최근 수정 시각 : 2024-04-12 10:55:03

찰보리빵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min-height: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과자빵류 맘모스빵 · 고구마빵 · 마약옥수수빵
조리빵류 튀김소보로 · 허니브레드 · 감자핫도그 · 식빵 튀김 · 고로케빵 · 인기가요 샌드위치 · 마늘빵 · 생크림 꽈배기 · 사찰식 피자 · 피자빵 · 불고기버거 · 군대리아
도넛류 찹쌀도넛 · 꽈배기 · 꿀빵 · 치즈볼
찜류 찐빵 · 호빵 · 술빵 · 보리빵
생과자류 바나나빵 · 황남빵 · 찰보리빵 · 호떡 · 고구마 케이크 · 수제 초코파이 · 백설기빵
풀빵류 붕어빵 · 잉어빵 · 계란빵 · 땅콩과자 · 호두과자 · 델리만쥬 · 국화빵 · 오방떡 · 대게빵 · 닭빵 · 주령구 빵 · 십원빵
*생과자류는 본래 과자에 속하지만 인식상 틀에 포함
* 풀빵류는 생과자류의 하위 분류에 속함
*한국에서 개발하거나 개량한 종류만 기재
}}}}}}}}} ||



파일:찰보리빵.jpg

[1]

1. 개요2. 상세
2.1. 특징2.2. 도라야키와의 관계2.3. 황남빵과의 관계
3. 기타

1. 개요


대한민국경상북도에 있는 경주시의 유명한 . 경주시 지정 전통 음식으로 지정된 황남빵과 더불어 경주의 명물 먹거리다.

2002년 서영석이 처음 개발해 단석가 찰보리빵 본점[2]이 운영되고 있으며, 그 외에도 경주 내에 70여 군데에서 여러 찰보리빵 가게가 영업 중이다.

2. 상세

2.1. 특징

둥글고 조그만 팬케이크 2개를 겹친 것처럼 생겼고, 안에 팥소가 약간 들었다. 반죽에 경주 건천읍산 찰보리 가루를 사용하고 있다. 찰보리 특유의 쫀득한 식감과 구수함이 많이 느껴진다.

찰보리 가루 외의 재료는 계란,[3] 국내산 이라는 단순한 구성. 속에 팥소 대신 고구마 앙금을 넣은 찰보리빵도 있다.

냉장고에 넣어두고 차갑게 한 상태에서 우유와 같이 먹으면 맛있다. 원래 단맛이 강하지 않고[4] 쫀득하고 부드러운 찰보리의 식감이 맛을 좌우하는 빵이라서 따뜻하기보다는 차가운 편이 더 맛있다.

다만 방부제를 쓰지 않는 빵이다 보니 금방 상한다. 상온 보관 시 계절을 불문하고 2~3일을 넘기기 어렵고 냉장 보관 역시 장기간 보관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자칫하다가는 곰팡이가 핀 빵이 되어버려 돈만 날릴 수 있다. 때문에 구입한 뒤 며칠 안에 먹을 수 있는 양이면 가급적 냉장 보관해서 빨리 먹고, 며칠 안에 먹지 못할 양이라면 그냥 냉동 보관해야 한다.

2.2. 도라야키와의 관계

일본화과자도라야키와 외형이 많이 닮았는데, 실제로 찰보리빵을 개발한 서영석은 과거 일본에 어학 연수를 가면서 각 지역별로 그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빵을 보고 자신도 지역 특산물을 활용한 빵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고 한다. 일본에서 돌아와 중소기업에서 2년 동안 일하다가 퇴직한 후 퇴직금으로 빵 가게를 열었지만 잘 안 팔렸다고. 그러던 중 건천 지역의 찰보리가 유명하다는 얘기를 듣고 밀가루 대신 찰보리 가루를 이용해 빵을 만들었고 그 결과 대성공, 순식간에 황남빵과 함께 경주 명물로 자리 잡았다.

도라야키와는 외형은 닮았지만 맛은 전혀 다르다. 가장 큰 차이점은 도라야키는 다소 퍽퍽한 팬케이크와 비슷한 식감인 데 비해 찰보리빵은 쫀득쫀득하면서 퍽퍽하지 않고 같은 식감을 갖고 있다. 단석가의 경우 찰보리빵 외에 찰보리떡도 같이 판다. 또한 도라야키의 재료는 밀가루인데 비해 찰보리빵은 보리가루가 들어가기 때문에 보리 특유의 묘하고 구수한 향이 올라온다.

도라야키는 포켓 샌드처럼 끝부분이 붙은 형태와 떨어진 형태 모두 있는 반면 찰보리빵은 떨어져 있는 형태만 존재한다. 크기는 찰보리빵이 약간 작은 편이며 도라야키에 비해 팥소가 매우 적게 들어간다. 그래서 도라야키가 찰보리빵에 비해 단맛이 굉장히 강하다. 하지만 찰보리빵은 달지 않고 담백하고 구수한 것이 매력이기 때문에 나름대로 마니아층이 있으며, 특히 단 것을 좋아하지 않는 어르신들이 좋아하는 편이다.

2.3. 황남빵과의 관계

경주 내에 성업 중인 황남빵(경주빵) 가게는 어째서인지 찰보리빵 가게를 병행하는 곳이 많다. 경주 내를 조금만 걸어가다 보면 경주빵&찰보리빵 가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으며, 덕분에 관광객들이 경주빵과 찰보리빵을 동시에 사가기도 한다. 외지에서 오가는 곳인 경주시외버스터미널이나 경주역 등에서도 구입할 수 있다.[5]

3. 기타

  • 찰보리빵이 처음 만들어진 단석가 찰보리빵은 경주시 사정동에 위치한 본점 외에도 해장국 명물거리 부근에 한 곳, 탑동에 두 곳이 있다. 그 외 첨성대 맞은편 미니스톱에서도 팔고 있다. 한편 단석가는 유사 황남빵을 취급하지 않으며 대신 찰보리에만 집중하기로 했는지 찰보리 아이스크림, 건천 보리쌀, 찰보리떡, 찰보리 카스테라 등의 제품도 팔고 있다.
  • 가격은 10개 9,000원 / 20개 18,000원 / 30개 27,000원으로 개당 900원에 고정되어 있다. 황남빵 20개 20,000원과 비교하면 더 저렴하다. 경주 내 대다수의 가게들은 가격이 비슷하다.
  • 고령화 사회에 맞춰 경주시의 사회복지단체인 경주시니어클럽에서는 직영 노인 일자리 창출 가게인 서라벌 찰보리빵을 창업해 60대 이상 노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고 있다.
  • 경주시 외의 경상권 각지에서도 팔리는 인기 먹거리이며 그 중에서는 소가 개량된 경우도 있다.
    • 경상북도 김천시에는 단팥 대신 이 들어간 새코미 찰보리빵이 있다. 단팥만 들어가는 경주시 찰보리빵과 달리 포도잼, 자두잼, 단팥 등 3종류가 있다.
    •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 봉하마을에서도 판다. 현재는 노무현의 친척이 매입했다고 한다. 제조 기술은 경주의 찰보리빵 제조업체인 불국빵으로부터 전수 받았다고 한다.
    • 울산 옥동단석명가(since2005) 찰보리빵이 삼호로11번길 36에서 궁거랑 찰보리빵으로 이전 영업하고 있다.
    • 대구에도 팔공산에서 난 미나리 가루를 넣어 만든 찰보리빵을 파는 곳이 있다.
  • 외지인들은 많이 사지만 정작 경주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사람들은 간식으로 하도 많이 먹은 탓에 질려서 질색하는 경우가 제법 있다.
  • 위의 영상에서도 알 수 있듯이 대부분의 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져 있다. 같은 경주의 명물인 황남빵의 공정이 대부분 수작업이라는 점과 대비되는 부분.
  • 경상남도 (부.울.경)상남동찰보리빵은 2005년부터 한 곳에서 찰보리가루로 다양한 제품을 연구 생산중이고 지역 특산물로 인기가 있다.
  • 번외로 부산에도 찰보리빵을 파는 곳이 있는데 강서구 부근에 'JJ165'라는 브랜드로 찰보리빵을 판매하는 곳이 있다. 경주의 찰보리빵과 생김새는 똑같으나, 레시피가 다른지 오히려 경주보다 맛있다고 하는 사람들도 더러 있다. 금액은 조금 비싼 편.

[1] 해당 공장은 단석가 보문점 바로 옆에 있는 찰보리빵 생산 시설인 '단석가 보문공장'이다.[2] 경북 경주시 금성로 237.[3] 단석가의 경우 경주 남산 방사유정란만 사용한다고 한다.[4] 빵 자체의 단맛이 적고 팥소도 적기 때문. 팥소를 많이 넣으면 더 달게 만들 수 있을 텐데 그러지 않는 걸 보면 처음부터 달지 않은 빵을 목표로 개발한 것 같다.[5] 다만 양쪽의 원조라고 할 수 있는 가게들은 하나만 취급하고 있다. 황남빵 1대 장인인 최영화 옹의 가족들이 운영하는 '최영화빵'(장손이 운영)과 '황남빵'(동생이 운영)은 황남빵만 팔고, 단석가에선 찰보리빵만 판다. 한편 최영화의 수제자였던 이상복의 가게인 이상복명과에서는 '경주빵' 타이틀을 달고 찰보리빵을 같이 팔고 있다. 그 외에 우후죽순 있는 유사 황남빵 가게들이 찰보리빵을 같이 파는 것은 대충 경주 명물이니까 같이 파는 것일 확률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