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6 21:25:06

조롱이떡

'''[[떡|{{{#!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 -5px 10px -5px -2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07CD7><colcolor=#fff>
찌는 떡
가랍떡 · 감떡 · 감자떡 · 개떡 · 거말떡 · 고구마떡 · 구름떡 · 귀리떡 · 근대떡 · 김치떡 · 깻잎떡 · 꿀떡 · 느티떡 · 달떡 · 달팽이떡 · 당귀떡 · 당콩떡 · 댑싸리떡 · 더덕떡 · 도토리떡 · 두텁떡 · 마꽃떡 · 만경떡 · 망개떡 · 메싹떡 · 무지개떡 · 무치 · 밀기울떡 · 밤떡 · 백설기 · 보리떡 · 복령떡 · 복숭아떡 · 봉치떡 · 상추떡 · 새미떡 · 서속떡 · 석이편 · 석탄병 · 솔방울떡 · 송편 · 순채떡 · 술떡 · 시루떡 · 여주산병 · 옥수수떡 · 외랑떡 · 율무떡 · 인삼떡 · 임지떡 · 조롱이떡 · 조침떡 · 청치주먹떡 · 취떡 · 칠곡떡 · 콩떡 · 호박떡 · 혼돈병 · 흑임자떡
치는 떡
가래떡 · 개피떡 · 고치떡 · 바나나떡 · 배피떡 · 살구떡 · 송기떡 · 숯떡 · 오쟁이떡 · 인절미 · 절편 · 좁쌀떡 · 찹쌀떡 (찰떡)
지지는 떡
곤떡 · 괴명떡 · 구절떡 · 노티 · 부꾸미 · 비지떡 · 빙떡 · 생강떡 · 우메기 (개성주악) · 조망댕이 · 호떡 · 화전
삶는 떡
경단 · 꼬장떡 · 닭알떡 · 돌래떡 · 오그랑떡 · 오메기떡 · 잣구리 · 즘떡
기타
LA 찹쌀떡 · 기름떡볶이 · 노점 떡갈비 · 떡국 · 떡국떡 · 떡꼬치 · 떡만둣국 · 떡볶이 · 떡케이크 · 모시떡 · 물떡 · 소떡소떡 · 약밥 · 웃기떡 · 주걱떡 · 총떡}}}}}}}}}


파일:조랑떡.jpg

1. 개요2. 이름에 관한 전설3. 만드는 법4. 먹는 법

1. 개요

멥쌀을 재료로 누에 고치 모양으로 만든 으로, 가운데가 움푹 들어가 조롱박 같다고 하여 이런 이름이 붙았다. 개성 지방의 전통 떡이며 하얗고 동글동글하다. 희고 길어 장수한다는 의미가 있어서 새해에 먹는 떡이기도 하다. 조랭이떡이라고도 불리는데 조랭이떡은 비표준어며[1] 조롱이떡이 표준어다. 다만 흔히들 그렇듯이 비표준어인 조랭이떡이 더 많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떡국에는 가래떡을 넣지만 개성에서는 조롱이떡을 넣어서 먹는다고 한다.[2] 조롱이떡국에는 귀신을 물리친다거나 한 해의 길운을 점칠 수 있다는 주술적인 믿음이 들어 있으며 엽전을 꿴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재물이 집안에 넘쳐나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설날 아침에 특별히 만들어 먹었다고 한다.

한입에 쏙 들어갈 수 있는 작은 크기이기 때문에 일반 북한 가정집에서는 조롱이떡을 먹고 잘 사는 집은 시루떡을 먹는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현재의 북한의 식량 상황을 감안하면 일반 가정집에서 떡을 먹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의미 없는 항설이 되었다.

강아지새끼 고양이 같은 어린 동물들은 아직 몸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인데[3] 앉아 있는 것을 뒤에서 보면 말 그대로 조롱이떡 같은 모양새라 귀여움을 표현하는 의미로 조롱이 혹은 조롱이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4]

2. 이름에 관한 전설

숫자 8을 눕힌 듯한 특이한 모양새에는 조선의 태조 이성계와 얽힌 전설이 있다. 이성계는 조선 건국 후 고려의 황족들을 학살했는데 이로 인해 고려의 잔존 사병 세력들은 이성계에게 분노하였다. 그 중 한 군인의 아내가 가래떡을 썰다가 그것을 이성계의 목이라고 생각하고 목 졸라 죽이고 싶은 충동에 꽉 졸라 버렸는데 그로 인해 만들어진 것이 바로 조롱이떡이라는 것.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의 떡이라 생긴 야사인데 성계육과 유사한 전설이다.

3. 만드는 법

  1. 멥쌀을 3~4회 깨끗이 씻은 뒤, 물에 12시간 정도 불린다.
  2. 소쿠리로 건진 후 소금을 뿌린 뒤, 소금과 함께 곱게 빻아서 체로 내린다.
  3. 체로 내린 쌀가루에 물을 적당히 뿌려 찰기를 주고 버무린 뒤, 찜기에서 15분 정도 쪄낸다. 다른 떡에 비해 물을 적게 뿌려야 쫄깃한 조롱이떡을 만들 수 있다.
  4. 절굿공이에 소금물을 묻힌 뒤, 절구에 쪄진 떡을 넣고 쳐낸다. 그 후 2cm정도의 굵기로 밀어낸 뒤 대나무 칼로 깎아내 조롱이 모양을 만들어 낸다.

4. 먹는 법

떡국에 넣어서 먹기도 하고 꿀이나 조청에 찍어 먹기도 한다. 매콤달콤한 양념을 만들어 강정처럼 먹어도 맛있다. 가래떡처럼 소금 외에는 다른 조미료가 딱히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요리하든 잘 어울린다.

[1] 일부 모음 발음을 'ㅐ'나 'ㅣ'로 발음하는 개성 쪽 방언에 의해 '조랭이'라는 발음이 나왔다는 이야기가 있다. 억양이 쎈 서남지방에서는 '쫄랭이떡'이라고 하기도 한다.[2] 이북 지역 음식의 특성상 십중팔구 만두도 넣어서 먹으며 '개성 왕만두'라는 이름으로 둥글게 빚어지는 그런 모양의 만두다.[3] 사람도 유년기 때는 전체 신장에서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어른보다 크다.[4] 보통은 위에서 언급한 비표준어인 조랭이떡으로 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