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밥의 종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89bbbe><colcolor=#fff,#fff> 재료 | 강황밥 · 귀리밥 · 기장밥 · 가지밥 · 감자밥 · 고구마밥 · 곤드레밥 · 곤약밥 · 녹두밥 · 메밀밥 · 밀밥 · 백미밥 · 단호박밥 · 당근밥 · 대추밥 · 대통밥 · 두부밥 · 밤밥 · 비지밥 · 보리밥 · 수수밥 · 연잎밥 · 은행밥 · 인삼밥 · 인조고기밥 · 옥수수밥 · 율무밥 · 자굴밥 · 자미밥 · 조밥 · 지라 바트 · 찰밥 · 콩밥(완두콩밥) · 클로렐라밥 · 팥밥 · 피밥 · 해초밥 · 현미밥 · 호밀밥 · 홍미밥(앵미밥 및 적미밥) · 흑미밥 | |
| 국밥 | 굴국밥 · 돼지국밥 · 따로국밥 · 소머리국밥 · 수구레국밥 · 우거지국밥 · 순대국밥 · 짬뽕밥 · 콩나물국밥 · 평양온반 · 라면에 밥 말아먹기 | ||
| 김밥 | 김치김밥 · 돈가스김밥 · 불고기김밥 · 야채김밥 · 제육김밥 · 참치김밥 · 충무김밥 · 치즈김밥 | ||
| 덮밥 | 김치덮밥 · 돈부리(가루비동 · 가츠동 · 규동 · 산마이니쿠동 · 오야코동 · 우나기동 · 텐동 · 텐신항) · 라면덮밥 · 삼겹살덮밥 · 스팸마요 · 오므라이스 · 오징어덮밥 · 잡채밥 · 제육덮밥 · 짜장밥 · 참치마요 · 치킨마요 · 카레라이스 · 카오 니아오 마무앙 · 컵밥 · 페이조아다 · 하이라이스 · 회덮밥 · 포케 · 피자 라이스 볼 | ||
| 볶음밥 | 계란볶음밥 · 김치볶음밥 · 까오팟 · 나시고렝 · 비르야니 · 삼선볶음밥 · 아메리칸 프라이드 라이스 · 야채볶음밥 · 잠발라야 · 차오판 · 파에야 · 파인애플 볶음밥 · 필라프 · 황금 볶음밥 | ||
| 비빔밥 | 꼬막비빔밥 · 꽃비빔밥 · 나물비빔밥 · 나시르막 · 돌솥비빔밥 · 멍게비빔밥 · 산채비빔밥 · 새싹비빔밥 · 육회비빔밥 · 전주비빔밥 · 중화비빔밥 · 진주비빔밥 · 콩나물비빔밥 · 해주비빔밥 · 계란밥 · 묵밥 · 알밥 | ||
| 주먹밥 | 무스비 · 밥버거 · 삼각김밥 · 수플리 · 아란치니 | ||
| 쌈밥 | 김쌈 · 우렁쌈밥 · 제육쌈밥 · 불고기쌈밥 · 생선구이쌈밥 | ||
| 초밥 | 군칸마키 · 노리마키 · 니기리즈시 · 유부초밥 · 캘리포니아 롤 | ||
| 기타 | 백반 · 고두밥 · 고봉밥 · 공깃밥 · 누룽지(누룽지탕 · 기리탄포 · 타딕) · 미음 · 비닐밥 · 죽 · 치밥 · 라밥 · 떡 · 물만밥(오차즈케) · 헛제삿밥 | ||
| 한국의 국물 요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 | 감잣국 · 계란국 · 고사릿국 · 고지국 · 국밥 · 굴국밥 · 김칫국 · 다슬깃국 · 닭개장 · 돼지국밥 · 된장국 · 따로국밥 · 떡국 · 떡만둣국 · 만둣국 · 매생이국 · ᄆᆞᆷ국 · 묵국 · 뭇국 · 미역국 · 배추속댓국 · 보말국 · 북엇국 · 사골국 · 선짓국 · 소머리국밥 · 솎음배춧국 · 쇠고깃국 · 수구레국밥 · 수제비 · 순댓국 · 술국 · 숭엇국 · 시래깃국 · 쑥국 · 아욱국 · 우거짓국 · 우거지국밥 · 육개장 · 접짝뼈국 · 재첩국 · 조깃국 · 콩국 · 콩나물국 · 콩나물국밥 · 탕국 · 토란국 · 평양온반 · 해장국 · 호박국 · 홍어앳국 · 황태국 · 효종갱 · 뼈다귀해장국 |
| 탕 | 갈낙탕 · 갈비탕 · 감자탕 · 거갑탕 · 곰탕 · 금중탕 · 꽃게탕 · 꿩탕 · 내장탕 · 누룽지탕 · 닭곰탕 · 닭도리탕 · 대구탕 · 도가니탕 · 들깨탕 · 매운탕 · 물곰탕 · 보신탕 · 삼계탕 · 백숙 · 새우탕 · 설렁탕 · 승기악탕 · 신선로 · 아귀탕 · 알탕 · 어탕 · 얼추탕 · 연포탕 · 완자탕 · 오리탕 · 용봉탕 · 용압탕 · 임자수탕 · 옻닭 · 잡탕 · 조개탕 · 짱뚱어탕 · 지리 · 초계탕 · 추어탕 · 추포탕 · 토끼탕 · 해물탕 · 홍합탕 | |
| 찌개 | 고추장찌개 · 김치찌개 · 동태찌개 · 된장찌개 · 닭한마리 · 부대찌개 · 비지찌개 · 순두부찌개 · 짜글이 · 청국장찌개 · 갈치찌개 · 막장찌개 | |
| 전골 | 선산곱창 · 어복쟁반 · 조방 낙지볶음 | |
| 냉국 | 가지냉국 · 더덕냉국 · 미역냉국 · 오이냉국 · 우무냉국 · 콩나물냉국 · 화채 |
| 대구10미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대구 전역 | 누른국수 · 뭉티기 · 복어 불고기 · 볶음짬뽕 |
| 중구 | 납작만두 · 따로국밥 · 동인동 찜갈비 · 막창구이 | |
| 서구 | 무침회 | |
| 달성군 | 논메기 · 매운탕 | }}}}}}}}} |
| |
| 따로국밥 |
1. 대구 10미
국밥의 일종으로 대구광역시 향토음식 중 하나다. 대구에서 소고기국밥이라 하면 육개장과 이 대구식 따로국밥을 뭉뚱그려 지칭한다. 이 때문에 대구에서 본래 대구 향토음식인 따로국밥집을 추천받으려면, (들어가는 재료가 소고기, 파, 무만 있는) 소고기 따로국밥집을 물어봐야 한다. 육개장 또한 대구 향토음식이자 대표음식 중 하나이며 상술했듯이 소고기국밥과 육개장을 엄밀히 구분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소고기국밥집만 물어보면 육개장을 먹을 가능성이 꽤나 높다.소 뼈와 소 무릎뼈를 13~14시간동안 고아서 국물을 만든 후 쇠고기와 선지를 넣고 1~2시간 동안 더 끓인다. 여기에 소금·후추·파·고춧가루·마늘 등의 양념을 넣고 다시 30분 정도 끓여서 국과 밥을 따로 담아낸다. 스타일에 따라서 무와 대파를 잔뜩 썰어넣어서 채소에서 배어나온 물 때문에 국밥치고는 맛이 상당히 달아지는 경우가 있다. 대구의 따로국밥은 타 지역 소고기국밥이나 육개장에 비해 들어가는 건더기가 간단한 것이 특징이다. 딱 필수 재료인 소고기[1], 무, 파 3가지만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2]이며, 그래서 무와 파가 엄청나게 많이 들어가 국물 맛이 상당히 시원달큰하다.
일제시대에 대구의 국일국밥집 첫째 아들 이름이 따로상[3]이라서 따로상네 국밥이라고 따로국밥이라 불렀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공식적으로 확인된 사항은 아니다.
2. 국물과 밥이 따로 나오는 국밥
일반적인 국밥과 다르게 국과 밥을 따로 담아내고 가격도 1,000원 정도 비싼 경우가 있다.따로국밥이 옛날 양반들이 국에다 밥을 말아먹는 것을 천박하게 여겨 따로 주문한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온장 기술이 발달한 요즘이야 어지간한 국밥집들도[4] 따로국밥을 제공하지만[5], 이전까지는 온장 기술이 떨어져서 상온에서 쉬이 상하고 식으면 딱딱하게 굳는 밥을 항상 따뜻하게 제공할 수 없었기 때문에 토렴이라는 방식으로 밥을 따뜻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써서 국밥을 제공했다. 이처럼 밥이 딱 되는 시점에 맞춰 식당에 가서 먹지 않는 이상 따로국밥을 먹을 수 없었으므로, 주로 노동을 하지 않는 양반들이 따로국밥을 주로 먹었고 그래서 따로국밥이 더 비싸고 대우받는 음식이었던 것이다.
또 다른 설로는 애초에 국에 밥을 말아 나오는 국밥의 경우에는 밥 양을 적게 주거나, 먹다 남은 밥을 이용하는 경우가 있어 정량의 깨끗한 공깃밥을 손님이 직접 확인하고 먹을 수 있게 따로 제공했다는 설도 있다.
온장 기술이 발달해 공깃밥이 보편화된 이후로는 전국의 국밥집들 대부분이 따로국밥이라는 메뉴를 별도로 만들어 놨을 정도로 용어가 일반화된 상태다. 이는 대구에서도 그렇다. [6]
3. 비유
비유적 의미로 원래 함께 있어야 하는 것들이 따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가리키며, 특정 무리 가운데 어느 하나만 따로 떨어져 있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의외로 수수께끼로도 유행했는데, 따로국밥이 말과 행동이 다른 사람이 먹는 밥이라고 일컬었다고 한다.
[1] 장조림 고기처럼 세로로 찢은 소고기가 아니라, 무조건 뭉텅이로 숭덩숭덩 자른 소고기 덩어리를 넣는다.[2] 마늘도 국을 끓일 때 넣지 않고, 돼지국밥을 먹을 때 각자 새우젓이나 다대기로 간을 하듯이 먹기 직전에 다진마늘을 기호에 맞게 첨가하는 식이다.[3] たろう는 일본 남자 이름으로 꽤 흔한 이름이다.[4] 심지어 재래시장 등지에서도 토렴으로 국밥을 내 주는 곳은 많이 줄어들었다.[5] 이것은 공깃밥이 보편화된 한국의 외식 역사에서 생긴지 40~50년 정도로 비교적 최근에 생겨난 조리법이다.[6] 상술했듯 대구에서 대구 향토음식을 말할 때에는 '소고기 따로국밥'이라고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