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1. 개요
경상남도 김해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한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성씨로, 세 계열이 있다고 한다. 본문의 대제목은 가나다순으로 작성되어 있지만, 실제 등장하였던 순서는 가야계 김해 김씨, 신라계 김해 김씨와, 사성 김해 김씨 순이다.간혹 ‘김에 김씨’로 오인받기도 한다.
2. 가야계 김해 김씨
금관가야의 국성{{{#!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240><tablebordercolor=#ece5b6> 金海 金氏 (駕洛 金氏) 김해 김씨 (가락 김씨) | }}} | |
관향 | <colbgcolor=#fff,#191919>경상남도 김해시[1] | ||
시조 | 김수로(金首露) | ||
중시조 | 김유신(金庾信) | ||
집성촌 | 광주광역시 광산구 경기도 성남시·수원시·안산시·시흥시 용인시·여주시·포천시·화성시 안성시·남양주시 강원특별자치도 인제군·정선군·철원군 충청북도 청주시·옥천군·괴산군 충청남도 공주시·논산시·보령시·아산시 부여군·금산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남원시·장수군·고창군 부안군 전라남도 나주시·광양시·진도군·신안군 해남군·영광군·완도군·무안군 영암군·화순군·곡성군 경상북도 포항시·김천시·상주시·경산시 구미시·청도군·예천군·고령군 경상남도 김해시·창원시·진주시·사천시 창녕군·하동군·남해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
평안남도 용강군 함경북도 나진시·경성군·명천군 함경남도 북청군·홍원군 | |||
인구 | 4,456,700명(2015년) | 국내 1위 | ||
링크 | 김해김씨 홈페이지개인 운영 |
김해 김씨가 김(金)자를 성씨 글자로 삼은 이유는 삼국유사에서 개황력을 인용해, 시조 수로왕이 금으로 된 알(金卵)에서 태어났기 때문이라고 한다.
2.1. 동성동본
김수로왕의 아내가 허씨였기 때문에 후손 중 김수로왕의 아내의 성을 따라서 김씨에서 갈라져 나온 김해 허씨[3]와 김해 김씨는 이성(실제로 동성)동본관계가 되어 서로 혼인을 금한다는 옛 통념이 있었다. 여기에 김해 허씨 말고도 양천 허씨[4]나, 같은 계열 성씨인 태인 허씨에서 갈라져 나온 인천 이씨 등 갈라져나온 성씨가 꽤 많아서 옛 통념상 동성동본이 되어 혼인을 금하는 성씨들이 제법 된다.[5] 이런 이성동본 불혼 관습은 옛 민법의 동성동본 결혼 금지 조항에는 저촉되지 않으므로 실제로 통혼은 이루어지고 있었지만, 완고한 집안인 경우엔 부모의 강한 반대로 헤어지는 일도 왕왕 있었다.그리고 고성 김씨, 진주 김씨(가야계)[6], 함창 김씨, 금릉 김씨[7] 집안도 서로 결혼을 못한다. 구지봉에서 같이 태어난 육동자 중의 하나가 함창 김씨[8]이고, 막내가 고성 김씨[9]로 갈라져 나왔다. 또한 남양 김씨[10]나 웅천 김씨[11] 또한 김해 김씨에 분적설이 있다.
2.2. 분파
김해 김씨의 계파는 금녕군파를 비롯한 총 142개 파가 있으며, 그중에서 김유신 직계의 종파인 3개 파(경파, 사군파, 삼현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여기에 경파, 사군파, 삼현파마다 각각 세부적인 인물을 중조로 하여 총 24개의 파로 구분되어 있는 등 계보가 복잡하다.[12] 항렬은 평균적으로 삼현파, 사군파가 경파보다 2~3세대가량 높은 편이다.김해 김씨끼리 분파한 경우 외에도 김수로의 왕비인 허황옥의 성을 따라 허씨로 분성한 경우가 있다. 이는 허씨 문서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허씨까지 포함하면 그 인구는 무려 760만 명까지 올라간다.
규모가 몹시 큰 만큼 동명이파도 많으므로 자신이 속한 파를 정확히 알려면 조상이나 세거지 등을 함께 비교해보아야 한다.
- 참고자료: 김해 김씨 전체 선원세계도
2.2.1. 경파
- 경파(京派)는 금녕군파(金寧君派)라고도 하며 파조는 수로왕의 51세손(50대손)인 김목경(金牧卿)이다. 김해 김씨 전체 중에서 종갓집에 해당한다.
- 참의공파[13](參議公派): 수로왕 55세손 병조참의(兵曹參議) 김효원[14][15]
- 호참공파(戶參公派): 수로왕 56세손 김진서(金震敍)[16]
- 참판공파(參判公派): 수로왕 57세손 김영견(金永堅)
- 횡성공파(橫城公派): 수로왕 57세손 김영서(金永瑞)
- 안경공파(安敬公派): 수로왕 57세손 김영정(金永貞)
- 천주교성인공파(天主敎聖人公派): 수로왕 66세손 복자 김진후(金震厚) 비오[17]
- 석성공파(石城公派): 수로왕 57세손 김영순(金永純)
- 참찬공파(參贊公派): 수로왕 53세손 김달문(金達門)
- 봉상공파(奉常公派): 수로왕 53세손 김현문(金顯門)
-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수로왕 53세손 김창문(金昌門)
- 문간공파(文簡公派): 수로왕 52세손 김저(金著)
- 밀직공파(密直公派): 수로왕 52세손 김수(金秀)
- 평장사공파(平章事公派): 수로왕 52세손 김란(金蘭)
- 남강공파(南岡公派): 수로왕 57세손 김영간(金永幹)
2.2.2. 사군파
- 사군파(四君派)는 감무공파(監務公派)라고도 하며 파조는 수로왕의 51세손으로 경파 파조 김목경의 아우인 김익경(金益卿)이다.
- ①생원공파(生員公派): 수로왕 54세손 김련(金鍊)
- 도총관공파(都摠管公派): 수로왕 54세손 김추(金錘)
- ②생원공파(生員公派): 수로왕 54세손 김구(金銶)
- 찬성공파(贊成公派): 수로왕 54세손 김석(金錫)
- 상서공파(尙書公派): 수로왕 54세손 김감(金鑑)
- 공간공파(恭簡公派): 수로왕 54세손 김조(金銚)
2.2.3. 삼현파
- 삼현파(三賢派)는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라고도 하며 파조는 수로왕의 49세손 김관(金管)이다.
- 군수공파(郡守公派): 수로왕 54세손 김건(金建)
- 참판공파(參判公派): 수로왕 54세손 김맹(金孟)[18]
- 한림공파(翰林公派): 수로왕 54세손 김용(金勇)
- 진사공파(進士公派): 수로왕 54세손 김순(金順)
- 녹사공파(錄士公派): 수로왕 54세손 김인(金靭)
- 진의공파(進義公派): 수로왕 54세손 김현(金鉉)
2.2.4. 정국계
수로왕 41세손 김정국(金定國)의 후손들이다.- 판서공파(判書公派) - 수로왕 56세손 김유공(金維公)
-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 수로왕 56세손 김거공(金巨公)
- 우후공파(虞侯公派) - 수로왕 56세손 김옥진(金玉振)
- 승사랑공파(承仕郞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지서(金之瑞)
- 부정공파(副正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평(金平)
- 판서공파(判書公派) - 수로왕 52세손 김첨검(金添劍)
2.2.5. 서지계
수로왕 38세손 김서지(金瑞地)의 후손이다.- 녹사공파(錄事公派) - 수로왕 49세손 김소(金炤)
2.2.6. 상현계
수로왕 31세손 김상현(金商賢)의 후손들이다.- 판전공파(判典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명택(金明澤)
- 판서공파(判書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불비(金不比)
-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만희(金萬希)[19]
- 참봉공파(参奉公派) - 수로왕 50세손 김인서(金鱗瑞)
- 숭정공파(崇政公派) - 수로왕 56세손 김종정(金宗貞)
- 상서공파(尙書公派) - 수로왕 52세손 김홍보(金洪寶)
-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 수로왕 56세손 김천익(金天翼)
- 통사랑공파(通仕郞公派) - 수로왕 49세손 김여구(金汝龜)
- 판결사공파(判決事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용만(金用萬)
- 단련사공파(團鍊使公派) - 수로왕 56세손 김경(金慶)
- 진사공파(進士公派) - 수로왕 56세손 김건(金虔)
- 충정공파(忠精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이장(金以障)
2.2.7. 상인계
수로왕 31세손 김상인(金商寅)의 후손들이다.- 유수공파(留守公派) - 김운(金芸)
2.2.8. 진의계
수로왕 27세손 김진의(金進意)의 후손들이다.- 운은공파(雲隱公派) - 수로왕 57세손 김대진(金大震)
- 율은공파(栗隱公派) - 수로왕 52세손 김손(金遜)
- 승지공파(承旨公派) - 수로왕 52세손 김간(金侃)
- 시중공파,문경공파(侍中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탁(金琢)
- 부사공파(府使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근(金瑾)
- 한림공파(翰林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관(金鑧[20])
- 충정공파(忠貞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구(金球)
- 도사공파(都事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련(金璉)
- 승정공파(承政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현(金現)
- 휴은공파(休隱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호(金琥)
- 장사군파(長沙郡派) - 수로왕 55세손 김선(金璇)
- 도사공파(都事公派) - 수로왕 55세손 김린(金隣)
- 동정공파(同正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호(金灝)
-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득하(金得河)
- 도총관공파(都總管公派) - 수로왕 50세손 김경신(金敬臣)[21]
- 판윤공파(判尹公派) - 수로왕 50세손 김경보(金敬輔)
2.2.9. 천여계
수로왕 22세손 김천여(金天輿)[22]의 후손들이다.- 충경공파(忠景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대리(金大理)
- 첨정공파(僉正公派) - 수로왕 51세손 김덕휴(金德休)
2.3. 항렬
2.3.1. 경파(京派)
시조 | 파조 | 항렬 |
67세 | 17세 | ○현(鉉) |
68세 | 18세 | 제(濟)○ |
69세 | 19세 | ○식(植) |
70세 | 20세 | 현(顯)○ |
71세 | 21세 | ○배(培) |
72세 | 22세 | 종(鍾)○, 석(錫)○ |
73세 | 23세 | ○태(泰), ○수(洙) |
74세 | 24세 | 영(榮)○ |
75세 | 25세 | ○겸(謙), ○섭(燮) |
76세 | 26세 | 재(載)○, 재(在)○ |
77세 | 27세 | ○진(鎭) |
78세 | 28세 | 호(浩)○ |
79세 | 29세 | ○근(根) |
80세 | 30세 | 병(炳)○, 성(性)○ |
81세 | 31세 | ○곤(坤), ○용(用) |
82세 | 32세 | 호(鎬)○ |
83세 | 33세 | ○순(淳) |
2.3.2. 삼현파(三賢派)
시조 | 파조 | 항렬 |
65세 | 17세 | 재(再)○ |
66세 | 18세 | 국(國)○ |
67세 | 19세 | 창(昌)○ |
68세 | 20세 | ○두(斗) |
69세 | 21세 | 용(容)○ |
70세 | 22세 | ○곤(坤) |
71세 | 23세 | 진(鎭)○, 종(鍾)○ |
72세 | 24세 | ○수(洙), ○태(泰) |
73세 | 25세 | 상(相)○, 동(東)○ |
74세 | 26세 | ○환(煥), ○희(熙) |
75세 | 27세 | 규(奎)○, 기(基)○ |
76세 | 28세 | ○석(錫), ○호(鎬) |
77세 | 29세 | 락(洛)○, 영(永)○ |
2.4. 출신 인물 : 가야계 김해 김씨
2.4.1. 신라
- 김무력 - 신주 군주. 각간.
- 김삼광 - 이찬.
- 김서현 - 대량주 도독. 안무대량주제군사. 각간[23].
- 김암 - 집사시랑. 사천대박사.
- 김웅원 - 완산주 도독. 이찬.
- 김원술 - 소판.
- 김유신 - 중시조. 상대등. 태대각간.
- 김윤중 - 중시(시중).
- 김융 - 대아찬. 김융의 난을 일으킴.
- 김장청 - 집사랑.
- 김흠순 - 장군. 각간.
- 노리부 - 구형왕의 장남이자 김무력의 맏형. 이 사람은 경주 김씨라는 이야기도 있는데, 하필이면 근거가 화랑세기다. 고로 경주 김씨라는 이야기는 딱히 믿을 만하지 못하다.
- 김반굴 - 화랑.
- 진경대사 - 속명은 김심희.
2.4.2. 고려
- 김경신(金敬臣): 충렬왕 때 진변총관부군총관(鎭邊總管部軍總管)을 지냈다.[A]
- 김만희(金萬希): 좌정승공파의 파조이자 김해 김씨의 제주 입도조이다. 공민왕 때 찬성사를 거쳐 좌정승을 지냈다. 조선 개국 후 출사를 거부하고 제주에 유배되어, 애월읍 곽지리에 은거한 절신(節臣)이다. 이때 이름을 김경흥(金景興)에서 김만희(金萬希)로 고쳤다.[25]
- 김목경(金牧卿): 경파의 파조. 충혜왕(忠惠王) 때 조적(曺頔)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금녕군(金寧君)에 봉해졌으나, 국사(國事)가 날로 어지러워짐을 보고 정당문학 이조년(李兆年)과 함께 누차 왕에게 간했으나 듣지 않자, 속리산(俗離山)에 들어가 세상과 인연을 끊고 미록(靡鹿)과 벗하여 여생을 마쳤다고 한다. 고려사에는 풍산군(豊山君) 우산절(禹山節)의 장인으로 밀성부사(密城副使)로 있으면서 탐욕스럽고 포악하여 탄핵되어 파면되었으나 우산절의 세력에 의지해 양부(兩府)[26]에 사사로이 청탁하여 복직되었다는 기록만 있다.#
- 김방려(金方勵): 판종부사(判宗簿事). 정몽주(鄭夢周)와 이인임(李仁任)의 친원 정책에 반대하다가 김해 퇴은에 유배되었다. 위화도 회군 때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 개국에 공을 세웠다. 후에 김해 퇴은에 낙향하였다.[A]
- 김보(金普): 공민왕 때 첨의평리, 찬성사를 거쳐 도첨의시중을 지냈다. 금녕군에 봉해지고 수종공신에 책록되었다.[28]
- 김상좌(金商佐): 고려개국공신ㆍ삼중대광(1품관).[A]
- 김상흠(金商欽): 현종 때 대사성(大司成). 최치원(崔致遠)을 문창후(文昌候)에 봉하고 최치원의 부인을 선성묘에 모시라는 상소를 올렸다. 이후 금주백(金州伯)에 봉해졌고 대제학이 되었다.[A]
- 김서천(金瑞天): 경대승(慶大升) 장군과 함께 정중부를 죽여 부친의 원수를 갚았다.[A]
- 김선(金璇): 고려 공민왕 때 공을 세워 장사군(長沙君)에 봉해졌다.[A]
- 김소(金炤): 문하시중녹사. 선죽교에서 정몽주(鄭夢周)와 함께 이방원이 보낸 하수인 조영규에게 피살되었다.[A]
- 김수(金繡): 검교신용호위상장군(檢校神龍虎衛上將軍)으로 왕의 밀유(密諭)로 이자겸(李資謙)을 영광으로 유배시켰다.[A]
- 김수성(金洙聖): 삼중대광ㆍ호부상서. 강감찬(姜邯贊) 장군과 함께 여진족과 싸우다 전사하였다.[A]
- 김승의(金承意): 검교신호위상장군(撿校神虎衛上將軍). 승려 혜거를 쫓아내려했으나 파직당했다.[A]
- 김원현(金元鉉): 충렬왕 때 광정대부 첨의평리 상호군 영부사(匡靖大夫僉議評理上護軍領府事)를 지냈고, 충선왕 때 양산방어사(梁山防禦使)로서 왜적(倭賊)을 물리친 공으로 양산춘추원(梁山春秋園) 장충단(奬忠壇)에 삼조의열(三朝義烈)로 배향되었다.[A]
- 김이탁(金以琢): 의종 때 정중부(鄭仲夫)가 난을 일으켜 사대부를 모조리 살해해 시체가 길거리에 가득 차자 시신을 수습하기를 청하다 정중부 일당에게 살해당했다.[A]
- 김저(金佇): 율은공파의 파조. 시중 최영(崔瑩)의 생질. 폐왕 우왕을 만나 이성계를 살해하라는 부탁을 받고, 이성계의 집에 잠입하여 암살하려다 실패해 김저의 옥사가 일어났다.
- 김진유(金振酉): 광정대부ㆍ도첨의중찬ㆍ수문전대제학ㆍ판전리사사ㆍ세자사 역임. 광종이 과거제 시험담당관으로 승려 혜거(惠居)를 임명하자 반대했지만 왕이 듣지 않아 금마저에 은거했다.[A]
- 김천정(金天精): 삼중대광ㆍ병부상서 역임. 거란에 가서 화친을 청했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A]
- 김탁(金琢): 고려 충혜왕 때에 이제현(李齊賢) 문하에서 수학하다 승보시(陞補試)에 급제 후 좌정언을 시작으로 우사의, 정당문학, 호부의 시랑 등을 지내고 밀직사에 들어가 부사(副使), 제학(提學), 지성사(知省事) 등을 거쳐 공민왕 때 최유(崔濡)가 공민왕을 폐위하고 덕흥군을 옹립하려하자 이를 물리쳐 추성양절동덕협의찬화공신(推誠亮節同德協義贊化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에 봉해 졌고, 도첨의문하시중(都僉議門下侍中)을 역임했다.
- 김택정(金澤精): 삼중대광ㆍ문하시중.[A]
- 김항령(金恒齡): 검교신호위상장군(撿校神虎衛上將軍)으로 여진족과 전투에 참전하였고 태평산에 은거하였다.[A]
- 김호(金浩): 한림학사ㆍ좌간의대부(정4품)ㆍ대학사(종2품) 역임. 101세 장수.[A]
- 김화제(金華齊): 삼중대광(1품관)ㆍ도첨의ㆍ우정승.[A]
2.4.3. 조선
- 김극희: 조선 중기의 무신.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의 막하에서 전공을 세우고 한산도 대첩에서 전사했다.
-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 안경공파 13세손, 경파 19세손, 수로 69세손 '植'자 항렬.[45]
- 김불비(金不比): 조선 전기 이조판서(吏曹判書).[46]
- 김여준: 김우의 아들. 병자호란 직후 볼모로 잡혀가는 소현세자와 인평대군을 호종(護從)한 18장사(壯士)의 한 사람으로 심양에 갔을 때 옥하관(玉河關)에서 세자를 소리내어 울렸다는 <월명비안(月明飛雁)>의 노래를 읊어 더욱 명성을 떨쳤으며, 그의 용력에 힘을 뽐내며 목숨을 건 결투를 신청해 온 청나라 장수 우거(禹巨)의 코를 문질러 이김으로써 병자호란의 굴욕과 인질로 잡혀가는 세자를 호종하는 비애 등 백성들의 원한을 풀었다고 한다.
- 김완: 사군파(四君派) 후손.
- 김우: 김완의 아우. 조선 중기의 무신. 병자호란때 벽동성(碧潼城)을 사수했던 명장(名將)으로 이름이 높았다.
- 김우항: 조선 숙종 때 우의정을 지내고, 경종 때 영중추부사[47]를 지냄. 경파(京派) 후손. 김해 김씨 출신으로서 조선시대 최초이자 최후의 정승.
- 김일손: 삼현파(三賢派) 후손.
- 김조: 조선 초기의 문신. 세종 때 집현전 수찬(修撰)을 거쳐 예조판서에 올랐으며, 직제학(直提學)을 역임할 때 장영실과 함께 간의대, 자격루, 혼천의 등을 만든 것으로 전한다.
- 김천택: 조선 후기의 시인. 평민 출신으로서 <해동가요(海東歌謠)>를 남기고 「청구영언(靑丘永言)」을 편찬한 인물.
- 김홍도: 조선 후기의 화가. 도화서 화원.
2.4.4. 일제강점기
- 김기권 - 독립운동가, 성진회
- 김상옥 - 독립운동가, 의열단
- 김영랑 - 시인. 독립운동가
- 김원봉 - 독립운동가, 북한의 정치인. 참판공파 19세손,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 김종원
2.4.5. 대한민국
본명의 한자만 보고 추측으로 서술된 인물이 많으므로, 절대적으로 신뢰하지는 않기를 권한다.2.4.5.1. 경파(京派)
- 김경인
- 김대중 - 안경공파 14세손, 경파 20세손, 수로 70세손 '顯'자 항렬. 제15대 대한민국 대통령.[48]
- 김도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쇼트트랙 선수.
- 김두겸 - 제8대 울산광역시장.
- 김부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정치인. 前 행정안전부 장관, 제47대 국무총리.
- 김석겸
- 김성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배우.
- 김세배 - 경파 21세손, 수로 71세손 '培'자 항렬.
- 김승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군인. 제43대 합동참모의장.
- 김영춘 - 경파 24세손, 수로 74세손 '榮'자 항렬. 정치인. 제16, 17, 20대 국회의원. 前 해양수산부 장관.
- 김용재
- 김우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농구선수.
- 김운태
- 김윤태 - 경파 23세손, 수로 73세손 '泰'자 항렬. 前 유튜버.
- 김은실 - 인터넷 방송인. 아프리카TV 및 유트브에서 활동.
- 김의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前 기자, 前 청와대 대변인, 국회의원.
- 김장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기자, 前 MBC 사장.
- 김재원(배우) - 경파 26세손, 수로 76세손 '載'자 항렬.
- 김재록(작가) - 안경공파 20세손, 경파 26세손, 수로 76세손 '載'자 항렬.
- 김정배 - 경파 21세손, 수로 71세손 '培'자 항렬.
- 김종배
- 김종서(가수)
- 김종석 - 경파 22세손, 수로 72세손 '鍾'자 항렬. 정치인.
- 김종필 - 안경공파 16세손, 경파 22세손, 수로 72세손 '鍾'자 항렬. 제11·31대 국무총리.
- 김현배
- 김현승 - 경파 20세손, 수로 70세손 '顯'자 항렬. 시인.
- 김현욱 - 경파 20세손, 수로 70세손 '顯'자 항렬. 정치인.
- 김희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공무원.
- 김보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유튜버.
- 김정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前 축구선수.
- 김현풍
- 릴러말즈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래퍼. 본명은 김민겸.
- 유겸 - 경파 25세손, 수로 75세손 '謙'자 항렬. 보이그룹 GOT7의 멤버. 본명은 김유겸.
2.4.5.2. 삼현파(三賢派)
- 고윤 - 삼현파 23세손, 수로 71세손. 본명은 김종민.
- 김경수 - 삼현파(三賢派) 24세손, 수로 72세손 '洙'자 항렬. 제37대 경상남도지사
- 김광수 - 삼현파 24세손, 수로 72세손 '洙'자 항렬. 야구선수.
- 김명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배우, 前 문화관광부 장관.
- 김무성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49] 정치인, 전 새누리당 대표
- 김문희
- 김민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정치인.
- 김바위 - 삼현파 21세손, 수로 69세손 '容'자 항렬. 개명 전 이름은 김용윤. 야구선수.
- 김봉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교육가(훈장) 겸 시인.
- 김상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前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前 경기도 교육감
- 김석원
- 김석준
- 김석훈 - 삼현파 28세손, 수로 76세손 '錫'자 항렬. 배우
- 김성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기업인.
- 김성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정치인.
- 김승곤
- 김오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한의사, 방송인.
- 김웅 - 삼현파 23세손, 수로 71세손 '鍾'자 항렬. 정치인.
- 김용주
- 김유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PD.
- 김일두 - 삼현파 20세손, 수로 68세손 '斗'자 항렬. 前 농구선수.
- 김종운 - 삼현파 23세손, 수로 71세손 '鍾'자 항렬. 아이돌 가수. 2022년 5월 8일 김강훈(金康熏)으로 개명했다.
- 김지용 - 위의 기업인 김성곤의 손자이자, 기업인 김석원의 아들. 기업인.
- 김진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야구선수, 김바위의 아들.
- 김창성
- 김태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게임 개발자.
- 김판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축구 감독.
- 김헌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야구선수.
- 김현수 - 삼현파 24세손, 수로 72세손 '洙'자 항렬. 야구선수.
- 김호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축구 감독.
- 김후곤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 검사.
- 남진 - 삼현파 21대손, 수로 69세손. 본명은 김남진.
- 레이먼 킴 - 셰프. 한국명은 김덕윤.
- 윈터 -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본명은 김민정.
- BIBI - 삼현파 18세손. 본명 김형서
2.4.5.3. 계보 불명
- 각별 - 스트리머. 본명은 김일영.
- 공명 - 배우. 본명은 김동현.[50]
- 공지호 - 걸그룹 오마이걸 출신의 배우.
- 김강산(기업인) - 외국에서 한국으로 귀화한 한국의 기업인.
- 김강헌
- 김건태 - 야구선수. 개명 전 이름은 김정훈.
- 김경
- 김경주(정치인)
- 김경협 - 정치인.
- 김경호 - 가수.
- 김광석
- 김광수
- 김광현 - 야구선수.
- 김기열 - 개그맨.
- 김기운(정치인)
- 김기춘 - 박근혜 정부 비서실장.
- 김기태 - 前 야구선수.
- 김기현 - 정치인. 국민의힘 제2대 대표.
- 김나경 - 가수. BIBI(본명: 김형서)의 친동생.
- 김나운 - 배우.
- 김다솜 - 걸그룹 씨스타 출신의 배우.
- 김덕배(1954)
- 김도균 - 기타리스트.
- 김도읍 - 정치인.
- 김도향 - 가수.
- 김도혁 - 돌잼의 멤버.
- 김동태
- 김동현 - 이종격투기 선수.
- 김동호
- 김두현
- 김뚜띠 - 스트리머.
- 김말봉 - 소설가.
- 김명주
- 김민아 - 배우.[51]
- 김민정 - 배우
- 김민정
- 김바밍
- 김백준 - 대통령비서실 총무기획관[52]
- 김병만 - 개그맨.
- 김병세 - 배우.
- 김병용
- 김병욱(1965) - 정치인.
- 김병지 - 前 축구선수.
- 김보민 - 아나운서.
- 김복동(1949)
- 김봉준 - 前 프로게이머
- 김봉호 - 전 국회부의장.
- 김상경 - 배우.
- 김상석
- 김상순(배우)
- 김상태(군인)
- 김상현 - 전 정치인.
- 김상훈(1967)
- 김새롬 - 모델, 방송인.
- 김석호
- 김선길(1958)
- 김성일
- 김성태(1958년 8월)
- 김성희 - 전직 가수이자 前 카라의 멤버.
- 김세완 - 제5대 심계원장.[53]
- 김세의 - 기자.
- 김근희 - 한국대학창업협회 운영위원
- 김상권 - 한국대학창업협회 운영위원
- 김세현(1957)
- 김소연 - 변호사.
- 김소원 - 걸그룹 여자친구의 멤버이자 배우. 본명은 김소정.
- 김소정 - 변호사
- 김소현 - 배우.
- 김수겸(배우)
- 김수영(시인)
- 김수학
- 김슬기 - 배우.[54]
- 김신(1963)
- 김신욱 - 축구선수.
- 김어준 - 기자 및 언론인.
- 김여진 - 배우.
- 김연일
- 김연정 - 치어리더.
- 김영권 - 축구선수.
- 김영근(1956)
- 김영대(배우)
- 김영도(1924)
- 김영란(법조인)
- 김영립
- 김영배 - 전 국회부의장.
- 김영주 - 제21대 후반기 국회부의장. 농구선수.
- 김영준(1916)
- 김영준(1928) - 서울고법 부장판사. 제13-14대 감사원장.
- 김영찬(성우)
- 김영찬(축구선수)
- 김영태 - 김두한 협객 및 국회의원의 참모.[55]
- 김영호 - 정치인. 김상현의 아들.
- 김영환(1935)
- 김오랑 - 군인.
- 김요한 - 배구선수.
- 김요한 - 가수.
- 김용남
- 김용철 - 제7대 대법원장.
- 김용태 - 정치인.
- 김운학 - 스트리머.
- 김원효 - 개그맨.
- 김유복
- 김유석 - 배우.
- 김윤배
- 김윤석 - 배우
- 김윤식 - LG 트윈스의 투수
- 김윤옥 - 이명박 전 대통령의 영부인.
- 김의성 - 배우.
- 김인식(1913)
- 김인호(1967)
- 김일 - 성우.
- 김일 - 프로레슬러.
- 김장(성우)
- 김재경 - 걸그룹 레인보우의 멤버.
- 김재박 - 야구선수.
- 김재범
- 김재욱(코미디언)
- 김재원(인터넷 방송인)
- 김재중 - JYJ의 멤버.
- 김재철(언론인)
- 김재현 - 밴드 보이그룹 엔플라잉의 멤버
- 김점곤
- 김정민
- 김정선(1952)
- 김태욱 - 배우
- 김정훈 - 정치인.
- 김제태
- 김종 - 정치인.
- 김종국 - 가수.
- 김종명
- 김종민 - 정치인.
- 김종서(가수)
- 김종숙(1956년 2월)
- 김종양
- 김종오
- 김종인(1970)
- 김종철
- 김종하 - 전 국회부의장.
- 김종환
- 김좌겸
- 김주열 - 열사.
- 김준혁(1969)
- 김지연
- 김지철
- 김지혜(코미디언)
- 김지훈(가수)
- 김진영 - 前 군인.
- 김진호 - 가수.
- 김창열 - 가수, 방송인.
- 김창완 - 가수, 배우.
- 김철민 - 코미디언.
- 김철호(1940)
- 김철호(1970)
- 김태균
- 김태수
- 김태완(정치인)
- 김태우 - 가수.
- 김한곤
- 김한길 - 정치인.
- 김해숙 - 배우.
- 김해영 - 정치인.
- 김현미 - 정치인, 前 국토교통부 장관.
- 김현숙 - 정치인.
- 김현우 - 밴드 딕펑스 멤버
- 김현웅 - 前 법무부장관.
- 김현정 - 가수 겸 배우.
- 김현주 - 배우.
- 김현철(1955)
- 김현철(독립운동가)
- 김형곤 - 개그맨.[56]
- 김형석(프로게이머)
- 김형오 - 제18대 전반기 국회의장.
- 김형욱 - 제4대 중앙정보부장.
- 김호 - 前 축구 감독.
- 김홍국(정치인)
- 김홍규(1960)
- 김홍신 - 소설가.
- 김효선 - 음악가. 업사이클밴드 훌라 사운즈큐레이터.
- 김훈(소설가) - 소설가.
- 김희갑 - 前 연극배우.
- 김C - 가수. 본명은 김대원.
- 덱스 - UDT 출신 유튜버 겸 방송인. 본명은 김진영.
- 도영 - 보이그룹 NCT의 멤버. 본명은 김동영.[57]
- 라비 - 보이그룹 VIXX 출신의 가수. 본명은 김원식.
- 랄로 - 스트리머. 본명은 김찬호.
- 러끼 - 스트리머. 본명은 김은주.
- 리즈 - 걸그룹 IVE의 멤버. 본명은 김지원.
- 김명준
- 민지영 - 본명은 김민정
- 승민 - 보이그룹 Stray Kids의 멤버. 본명은 김승민.
- 시우민 - 보이그룹 EXO의 멤버. 본명은 김민석.
- 신소율 - 배우. 본명은 김정민.
- 압둘와헤구루 - 웹툰 작가. 본명은 김희원.
- 엄지 - 여자친구, VIVIZ의 멤버. 본명은 김예원.
- 영훈 - 보이그룹 더보이즈의 멤버. 본명은 김영훈.
- 운학 - 스트리머. 본명은 김운학.
- 원빈 - 배우. 본명은 김도진.
- 유라 - 걸그룹 걸스데이의 멤버. 본명은 김아영.
- 유빈 - 걸그룹 원더걸스의 멤버.
- 은가은 - 가수. 본명은 김지은.
- 정우 - 보이그룹 NCT의 멤버. 본명은 김정우.
- 정우 - 배우. 본명은 김정국.[58]
- 종현 - 보이그룹 SHINee의 멤버.
- 진세연 - 배우. 본명은 김윤정.[59]
- 첫눈에뿅 - 트위치 스트리머.
- 청하 - 가수. 본명은 김찬미.
- 첸 - 보이그룹 EXO의 멤버. 본명은 김종대.[60]
- 츄 - 이달의 소녀 출신의 가수. 본명은 김지우.
- 테이 - 가수. 본명은 김호경.
- 한보름 - 배우. 본명은 김보름.
- 한예리 - 배우. 본명은 김예리.
- 현아 - 가수. 본명은 김현아.
- 효린 - 걸그룹 씨스타 출신의 가수. 본명은 김효정.
- 효진 - 보이그룹 온앤오프의 멤버. 본명은 김효진.
- 휘영 - 보이그룹 SF9의 멤버. 본명은 김영균.
- B.I - 대한민국의 래퍼. 본명은 김한빈.
- BIBI - 가수.
3. 사성 김해 김씨
임진왜란 당시 조선으로 귀화한 일본인 장수 사야가(沙也可)가 선조로부터 김해 김씨를 사성받고 충선(忠善)이란 이름을 받으면서 생겨난 씨족으로 시조는 김충선. 김충선이 말년에 은거하면서 사슴을 벗하며 살았다는 점에서 앞서 언급된 김해 김씨와 구별하기 위하여 우록(友鹿)[61] 김씨라고도 한다. 앞서 언급된 김해 김씨와는 관계가 없다.3.1. 출신 인물 : 사성 김해 김씨
- 김충선 - 시조.
- 김치열 - 대한민국의 정치인.
- 김기훈(국어강사) - 대한민국의 국어 강사.
- 칼카나마 - 축구 웹툰 작가.[62]
- KEY - 보이그룹 SHINee의 멤버. 본명은 김기범.
4. 신라계 김해 김씨
일부 신라 계열 김해 김씨는 김녕 김씨로 바꾸지 않았고,[63] 그 때문에 지금도 그대로 (후) 김해 김씨라는 본을 사용하는 파도 존재한다. 이렇게 후김을 유지하는 파는 익화파(익화 김씨, 양근 김씨, 김해 김씨 북청파), 김해 김씨 종남파, 법흥파(법흥 김씨), 김해 김씨 종민파가 있다. 이 중에는 아예 경주 김씨의 일부 계통으로 옮겨 가 있는 파도 있다.이들의 대부분은 인구 센서스에서 김해 김씨로 잡히기 때문에, 덕분에 안 그래도 많은 김해 김씨의 수가 더 많아 보이는 효과가 있다. 이들을 김렴계 김해 김씨라고도 하는데, 공통적인 뿌리를 경순왕의 손자로 전하는 김렴에서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김영삼 전 대통령이 김녕 김씨이기 때문에 김녕 김씨가 이름 안 바꿨으면 삼김이 전부 김해 김씨였을 거라는 할아버지용 유머가 있다.
4.1. 출신 인물 : 신라계 김해 김씨
- 김홍일 - 독립운동가.
[1] 김해 서상동, 대성동 일대로 추측된다. 이칭인 가락 김씨는 금관가야의 다른 이름인 가락국을 따서 부르는 것이지, 행정구역 지명인 부산 강서구 가락동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다.[2] 하지만 김씨 연예인 중에서는 경주 김씨가 가장 많다. 김해 김씨 연예인은 광산 김씨 연예인 인구 숫자만큼 많을 정도다.[3] 거의 모든 허씨의 조상은 본관과는 상관없이 김수로의 왕비 허황옥이기 때문.[4] 양천 허씨의 시조인 허선문은 김수로왕의 30대손으로 지금의 서울특별시 강서구에서 살다 왕건에게 군량을 바친 공로로 양천의 본관을 얻었다.[5] 다만 인천 이씨와 허씨 사이에서 혼인이 이뤄진 경우가 멀리는 고려 중기에서 짧게는 조선 후기까지 있었다.[6] 크게 신라계와 가야계로 나뉜다. 신라계는 경순왕의 여덟번째 아들의 가문인 삼척 김씨에서 갈라져 나온 것이고, 가야계는 김유신의 둘째 아들인 원술의 후손이다.[7] 김유신의 작은 할아버지인 김무득(金武得)을 시조로 하는 가문[8] 남양 김씨처럼 가락종친회에서 언급하고 있지 않는 성(姓), 본관(本貫)[9] 소가야의 국성. 남양 김씨처럼 가락종친회에서 언급하고 있지 않는 성(姓), 본관(本貫)[10] 김해 김씨와 허씨, 그리고 인천 이씨의 연합 종친회라고 말할 수 있는 가락중앙종친회 측에서는 분적된 근거기록이 없어서 이를 부정하고 있다.[11] 웅천김씨세보를 보면 김유신의 후손에서 갈라져 나왔다고 적고 있다.[12] 김해는 고려 충선왕 전까지 다양한 지명으로 불렸기 때문에 옛 가야의 지방 출신 김씨들을 가락 김씨(駕洛金氏)라고 통틀어 부르기도 했었다. 충선왕 대에 김해부가 설치되면서 본격적으로 김해 김씨라는 틀이 확립되었고, 직계종파도 그 시기에 갈라지기 시작한다.[13] 그 외에도 다른 참의공파(參議公派)로 진덕(盡德)파, 대승(大承)파, 순손(順孫)파, 여림(汝霖)파, 영준(永俊)파, 정기(鼎基)파, 진시(盡始)파, 홍윤(洪潤)파 등 8개 파가 있다.[14] 강릉 유씨 유창의 손녀와 혼인했는데, 어떤 기록은 아들이 없었다고 하고, 어떤 기록은 김진서(金震敍)가 김효원의 양자로서 대를 이었다고 한다. 이 경우 김진서가 김효원의 서자였을 가능성도 있다.[15] 수로왕 55세손 김효원(1370~?), 김효분(?~?) 형제는 문과에 급제해 가학을 빛냈으며 각각 병조참의, 사간원정언을 역임했다. 김효분의 아들 김진손(1407~1449)은 문과에 급제하고 승문원교리를 역임했다. 그의 아들 김영견, 김영서, 김영정, 김영순 4형제가 학덕과 공적을 남겼다. 출처: 남도일보(http://www.namdonews.com).[16] 가 문중에서는 병조참의공파(兵曹參議公派)라고 부르고 나 문중에서는 호참공파(戶參公派)라고 부르고 있다. 병조참의공파라고 부르는 가 문중 측에서는 수로왕 55세손 김효원(金孝源)을 파조(派祖)로 알고 있고 김진서가 김효원의 양자로 들어갔다고 주장하지만, 나 문중 측에서는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17] 2002년에 복자 김진후 비오를 파시조로 하여 분파하였다. 복자 김진후 비오의 증손인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를 비롯해 성인 3명, 복자 2명을 배출하고 십수 명의 순교자를 배출하였다. 집안 대대로 순교자가 많다 보니 자손이 무척 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오늘날에도 3대 독자 집안에서 태어난 4형제가 모조리 신부가 되는 집안이라 손이 귀하다고 한다.[18] 집의공파(執義公派)라고도 한다.[19] 주로 제주도에 분포해있으며, 제주도 인구의 10퍼센트 정도를 차지한다. 제주도내 김해김씨는 대부분 좌정승공파일 정도이다.[20] 실제 이름자는 玉+寬이나 현행 유니코드로 표현하지 못하는 글자이므로 임시 대체.[21] 도총관 김경신의 증손인 축은(築隱) 김방려(金方礪)를 파조로 하는 축은공파가 한국의 경제 및 정치에 영향력이 상당했다고 한다.[22] 김천흥(金天興)으로 되어있기도 하다.[23] 최종관등을 소판이라고 한 기록도 있음.[A] 족보상의 기록으로, 고려사 등에는 기록이 없다.[25] 족보상의 기록으로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에는 기록이 없다.[26] 재부(宰府)인 중서문하성과 추밀원을 가리킴.[A] [28] 경파 파조 김목경의 아들.[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A] [45] 항렬자를 쓰지 않았으나, 보명(譜名)이 김지식(金芝植)이다.[46] 족보상의 기록으로, 조선왕조실록에는 기록이 없다.[47] 중추부의 정1품 영사. 주로 삼정승을 지낸 사람들이 임명되었다.[48] 단, 이름에 항렬자를 넣지 않았다. 족보상의 이름과 호적 상의 이름이 다른 케이스. 이 때문에 '○중(中)'을 항렬자로 쓰는 광산 김씨 종친회(광산 김씨 39세손 항렬이 '○중(中)'이며, 이름 끝자에 '중'자가 들어가 있으면 거의 90% 이상이 광산 김씨라 보면 된다.)에서 수차례 연락이 왔다.[49] 본인은 항렬자를 쓰지 않았고 그의 남동생인 김남곤(金南坤)만 항렬자를 사용하고 있다.[50] 친동생이 NCT의 도영이다. 동(東)자 항렬로 보아 삼현파 25세손으로 추정.[51] 친동생이 NCT의 정우이다.[52] 이명박 전 대통령의 최측근 중 한 명.[53] 심계원은 감사원의 전신이다.[54] 김해 김씨라고 하나, 확실하지 않다.[55] 끝 자가 태(泰) 자 돌림인 것을 보아서는 경파 23세손, 수로 73세손 태(泰) 자 항렬로 추측.[56] 삼현파 22세손, 수로 70세손 '坤'자 항렬과 같긴 하지만 삼현파인지는 불명. 그의 형제들이 전부 김X곤이 아닌 김형X를 쓰고 있다.[57] 그의 형은 앞서 언급되었던 공명이다. 마찬가지로 삼현파 73세손 東자 항렬로 추정.[58] 김해 김씨라고도 하나, 아직 확실하지 않다.[59] 오빠 이름이 종(鍾)자임을 감안하여 삼현파 71세손으로 추정.[60] 삼현파 71세손 종(鍾)자 항렬로 추정.[61]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우록리이다. 이 일대에 김충선의 후손인 사성 김해 김씨들이 많이 사는 편이다.[62] 본명 김찬희[63] 이들은 후김이 먼저 김해 김씨라는 명칭을 사용했고, 가야계는 충선왕 대에서야 나중에 본관을 김해 김씨로 바꾸는 바람에 후김 소리 듣는 것도 억울한 상황인데, 선김이 아닌 후김이 김녕 김씨라는 호칭으로 바뀌어야 하는 상황에 처하자 이의를 제기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