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15:05:01

김연정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김연정(동명이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연정(동명이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김연정(동명이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 }}}[[김연정(동명이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연정(동명이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김연정(동명이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2025 시즌 응원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응원단장 장내 아나운서
홍창화 박호 박준호
치어리더
'''17 김연정 [[팀장|
]] · 1 이미래 [[팀장|
]] · 22 하지원 · 23 우수한
27 최석화 · 99 김나연 · 00 이호은 · 25 유진경
20 지아영 · 19 아야카'''
}}}}}}}}}
<colkeepall><nopad> 파일:2025 김연정 프로필.png
<colbgcolor=#FC4E00><colcolor=#fff> 한화 이글스 치어리더 No.17[1] [[팀장|
[2]]]
울산 HD FC 응원단 울산큰애기 치어리더 [[팀장|
]]
부산 KCC 이지스 치어리더 스카이걸스 No.17[3] [[팀장|
]]
부산 OK저축은행 읏맨 치어리더 [[팀장|
]]
김연정
金娟婷 | Kim Yeon-jeong
출생 1990년 11월 23일 ([age(1990-11-23)]세)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관 김해 김씨 (金海 金氏)
신체 172cm|48kg|B형
학력 문현여자중학교 (졸업)[4]
부산마케팅고등학교 (졸업)
경성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영어영문학 / 학사)[5]
MBTI ENFJ[6]
가족 부모님, 여동생(1995년생)
배우자 하주석(2025년 12월 결혼 예정)
데뷔 2007년 울산 모비스 피버스 치어리더
소속사 스카이치어리더 에이전시경남권[7]
응원 구단 한화 이글스 (2009~2011, 2017~ / KBO 리그)
울산 현대-울산 HD FC (2015~ / K리그1)
부산 KCC 이지스 (2023-24~ / KBL)[8]
안산 OK금융그룹/저축은행 읏맨-부산 OK저축은행 읏맨 (2020-21~ / V-리그 남자부)[9]
{{{#!folding [ 역대 응원 경력 보기 ]
별명 경성대 전지현[10], 대전 민효린, 마산 미친 막둥이[11], 연팀장, 야구장 3대 여신, 홍진경[12], 연정느님, 연듕, 김철근[13], 부산 사직 농구여신[14], 대독[15], 연경누나[16], 면장님
서명 파일:김연정 서명.png
플랫폼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YouTube 김연정 [Kimyeonjeong]
구독자: 9.85천명
누적 조회수: 723,650회
Facebook 김연정 (쫑이)
팔로워: 확인불가[17]
Instagram 90_allie
팔로워: 22만명
Threads 90_allie
팔로워: 3.4만명
Tiktok 90_allie
팔로워: 45,700명
기준: 2025년 6월 24일 오후 10시 }}}}}}}}}
관련 링크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커뮤니티 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18]

1. 개요2. 치어리더 활동3. 경력4. 평가
4.1. 댄스 실력
4.1.1. 영상
5. 다른 치어리더들과의 관계6. 사건 사고7. 여담8. 역대 프로필 사진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치어리더.

스카이치어리더 에이전시 치어리더 팀장이자 한화 이글스 치어리더 팀장.

이글스 야구 팬들에게는 여자 응원단장으로 알려진 이글스 프랜차이즈 치어리더.

대한민국 프로 4대 구기 종목을 모두 경험한 간판. KBO 리그, K리그, KBL, WKBL, KOVO에서 모두 치어리딩을 한 치어리더.

현재 한화 이글스, 울산 현대, 부산 KCC 이지스, 안산 OK금융그룹 읏맨의 치어리더를 맡고 있다. 예전에는 부산 BNK 썸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서도 활약했다.

2007년 데뷔 이래 16년째 치어리더계에서 대선배인 배수현에 이어 활동 중인 장수 치어리더로 알려져있다. 박기량과 강윤이를 포함해서 김한나이수진 그리고 이나경서현숙 등과 함께 치어리더의 대중화에 앞장선 세대로 평가받는다.

2010년대 초중반 박기량, 강윤이와 함께 야구장 3대 여신이라 불리며 인기 절정을 누렸으며 업계 최고참급 베테랑의 자리에 올라선 2020년대에도 여전히 많은 팬들의 사랑과 존경을 받으며 활동하고 있다. 철저한 자기관리와 팬 서비스, 댄스 실력으로 치어리더로서의 그녀의 커리어는 최상위에 속한다.

2. 치어리더 활동

2007년 울산 모비스 피버스 치어리더로 발탁되며 처음 치어리더계에 입문했다. 2022년 기준 데뷔 15년차 고참 치어리더로 라이벌이라고 여겨지는 박기량과 치어리더 입문 동기이다. 박기량과 함께 치어리더계의 양대산맥이자 가장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은 치어리더로 평가받고 있다.
본격적인 치어리더로서의 시작은 2008-09시즌 프로농구에서 창원 LG 세이커스 치어리더로 합류한 시점이다.[19] 2009년 한화 이글스에서 치어리더로 데뷔하며 야구 무대에 섰고, 2009-2010 시즌부터는 고향팀인 부산 kt 소닉붐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이 시기부터 부산 지역 팬들에게 이름이 알려지기 시작하며 인기를 끌었다. 박기량보다도 먼저 공중파 방송에 출연했고, '인기 치어리더' 라는 타이틀의 원조를 달았다.
그러던 2011년 말, 김연정은 본인의 소속사인 에스컴과 결별하며 한화 이글스를 떠나면서 2012년, 롯데 자이언츠 치어리더 팀으로 이적했다. 데뷔 동기였던 박기량이 팀장으로 있었던 RS COMPANY에 계약하게 되었고, 2012년 박기량과 함께 활동하게 되었다. 인기 치어리더 두 사람의 만남은 엄청난 화제를 불러일으켰고, 김연정은 '경성대 전지현', '롯데 여신'으로 이름을 날리며 큰 인기를 끌었다. 롯데 관계자의 인터뷰에 따르면, 2012년 당시 박기량과 김연정의 몸값만 1억이 넘었다고 하며 응원단장석 앞(일명 '조지훈 존')은 예매 시작과 동시에 동이 났다. 소위 야구가 아닌 치어리더를 보기 위해 야구장을 찾는 팬덤들이 이 시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했던 것. 야구 시즌이 끝난 뒤에는 4년 만에 창원 LG 치어리더로 복귀했고 여기서도 박기량과 함께 활동했다. 신화방송에도 출연하여 신혜성에게 애교를 보여주는 장면으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그러나 2013년 김연정은 다시 박기량과 결별하였고, 에스컴으로 돌아갔다.
2013년부터는 신생 구단인 NC 다이노스 치어리더로 들어가게 되었고, 에스컴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농구를 제외한[20] 그 후에도 역시 여러 방송과 매체와의 인터뷰를 자주 가졌고, NC 팬들 사이에서 큰 인기몰이를 하게 된다. 야구 치어리더 인기 투표를 하면 꼭 상위권을 차지하는 강자이지만 박기량에게 밀려 1위는 못 하고 3년째 2위만 한다... 2014년부터는 은퇴한 이미경의 뒤를 이어 치어리더 팀장을 맡게 되었다.
2015년 6월 25일 라디오스타에 출연했다.
2015년부터 울산 현대 축구의 치어리더팀인 울산큰애기로 활동하며 축구팬들에게도 볼거리를 제공했다.
‘축구여신’ 김연정 ①편, “울산 현대 보러 와주실 거죠?”,
‘축구여신’ 김연정 ②편, “우리 K리그 많이 사랑해주세요”
2015-16시즌에는 창원 LG에서 떠나게 되면서 농구 응원을 하지 않게 되었으나 2016-17시즌 개막으로 앞두고 2010-11시즌 정규리그 우승 이후 무려 6년만에 고향의 농구팀인 부산 kt 소닉붐에서 다시 응원을 하게 되었으나 2017-18시즌과 2018-19 시즌에는 박기량이 속한 치어리더팀이 kt를 맡게 되면서 농구 응원을 하지 않게 되었다.
2016-17시즌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에서 치어리더 생활 첫 우승을 경험했다. #
2017년, 김연정은 6년 만에 한화 이글스 치어리더로 복귀했다. 팀장급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확정이라고. 다만 이나경 등 기존 치어리더들이 타 팀으로 이적하게 되면서 한화 치어리더의 대격변이 일어났다. 또한 NC에는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치어리더 팀이 오게 되었다.[21] 한국 대표 치어리더 김연정, 한화 돌아간다 ‘한화 이글스’ 김연정, 팬들에게 보내는 컴백 메시지 공개…“내일 야구장 올 거지?”
한화로 간 이후 NC 팬들은 당연히 아쉬워했지만[22] 한화 팬들은 간판 치어리더였던 김연정이 돌아와 기쁘다는 반응이다.
2017-18 시즌 개막으로 앞두고 KOVO V리그의 여자 배구 치어리더로 무려 9년만에 복귀하게 된다. 천안에서 연고이전을 한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의 치어리더로 활동을 재개하게 된다.
2017-18 시즌 부산 kt를 떠나게 되었고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로 떠났을 때 본인은 전신 천안 연고 시절을 회상했고 팀은 인천으로 연고 이전을 했으나 애정과 열정을 가지면서 응원을 하게 되지만 팀은 최하위의 아픔을 겪게 된다.
그러나, 2018-19시즌 흥국생명이 12년 만에 V-리그 여자부 통합우승을 달성했고 자신이 응원하던 현대캐피탈 또한 2016-17시즌 첫 V-리그 남자부 플레이오프 우승 이후 2년 뒤 2018-19시즌 V-리그 남자부 플레이오프 우승을 하게 되며 배구에서 챔치(챔피언 치어리더의 줄임말)로 등극하게 된다. V리그 우승요정 김연정 “챔치돼서 너무 뿌듯해요”
2019-20시즌에는 여자프로농구 6번째 팀이자 사상 첫 부산-경남 연고지로 새로 창단한 부산 BNK 썸의 초대 치어리더로 활동했다. 동시에 2016-17시즌 이후 3년 만에 자신을 만들어주었던 부산 kt의 치어리더로 복귀했다. 이로써 치어리더로는 사상 처음으로 부산 남녀프로농구단을 모두 맡게 되었다.
2019-20시즌 사상 첫 남녀 농구와 남녀 배구의 치어리더로 후배들과 함께 응원을 이어가고 있고 2020년 새해 설날에 방송되었면 KBS 특집 도전 골든벨에서 인터뷰를 할 때 남녀 배구 동반우승을 자랑이자 뿌듯함으로 기억을 하고 있다.
2020년에는 아프리카 채널 개설과 유튜버 활동으로 팀 동료 후배들과 소통 방송을 한다. 자신도 소통을 강조하는 스타일이고 팬들에게도 이 부분은 변함이 없는 편이다. 한 때 고향인 부산에서 치어리더라는 직업을 통해 멘토링을 하기도 했으며 과거 모교에서도 멘토링 형태의 토크쇼 및 공연을 하기도 했다.
2021년 여름에는 응원팀들이 모두 강산이 변했는지 큰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2021-22시즌 농구는 고향 연고팀인 부산 kt 소닉붐이 수원으로 연고이전을 단행하며 자신이 데뷔의 첫 무대이자 정들었던 팀을 잃게 된다.[23] 하지만, 여자농구팀인 부산 BNK 썸으로 2년 만에 돌아오면서 홈경기장도 kt가 야반도주[24]하고 비어진 사직실내체육관을 새 홈으로 쓰게 된다. 심지어 BNK 썸 구단 영상과 경기 일정 홍보물에는 바뀐 사직체육관의 소개영상까지 나와있다. 구단에서 이 정도면 역대급 대우로 평가를 받는다. 이로서 부산 출신 치어리더로 유일하게 부산 남녀농구를 모두 사직체육관에서 응원한 최초의 치어리더라는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추가로 자신을 오늘의 치어리더를 만들어주었던 흥국생명 또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의 경영난으로 인해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에 인수되면서 비어진 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서 홈 이전마저 겪게 된다.
그러나, 2년 후 기적같은 일이 일어나게 된다. 2021년 6월 9일 kt의 수원 연고이전 충격으로 눈물을 흘렸으나 2023년 8월 30일 명가이자 인기팀인 전주 KCC 이지스가 전주에 더 이상 남지 못한 상황에 놓이더니 공교롭게도 부산으로 연고이전을 하면서 극적으로 돌아오게 된다.

2023-2024 시즌 개막을 앞두고 부산 KCC 이지스의 부산 입성과 함께 부산 BNK 썸과 같이 사직체육관에서 한지붕 두가족의 농구응원대장으로 등극하게 된다. 4년전 부산 남녀농구를 모두 응원한 이후 KBL에서 kt로 KCC로 변경한 지 4년뒤에도 해내게 된다. 이로인해 농구 팬들은 전주에서 부산의 새 주인이 된 KCC를 슈퍼팀이라 부르는데 치어리더 팬들도 슈퍼스타라 부를 정도로 엄청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절친 후배인 김수현 치어리더가 부산 KCC의 팀장을 맡으면서 사실상 공동 팀장으로 한지붕 두가족과 함께 역대 부산 출신 치어리더 중 진정한 부산 사직 농구 여신이라는 별명을 안기면서 존중을 표시하고 있다. 대다수 농구 팬들 또한 KCC와 BNK 모두 부산의 남녀농구 통합 치어리더 팀장으로 부르고 있다. 2024-2025 KBL 올스타전의 메인 치어리더로 활약했다.
2025년 한화 이글스에서 팀 창단 40주년의 치어리더가 되었다. 더불어 2025년 7월 12일 2025 KBO 올스타전의 메인 치어리더로 활약했다.
2025년 4월자로 자신의 일상을 담은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2025년 9월, 부산일보가 주관하는 제8회 학교폭력예방 스마트폰영상제 홍보대사가 되었다. 동료 치어리더들과 함께 학교폭력예방을 통해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기여했다.
2025년 10월 1일, 한화 이글스 레전드인 정민철 해설위원의 중계 중 내야수 하주석 선수와의 결혼소식이 알려졌다.
2025년 10월 17일과 18일, 공교롭게도 자신의 고향에서 전국체육대회가 있는 날에 7년만에 포스트 시즌에서 응원을 하게 되었다.

3.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연정/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연정/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연정/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평가

뛰어난 춤 실력과 리더십, 팬 서비스와 자기관리 그리고 대중적인 인지도까지 합쳐져 치어리더로서는 최고의 커리어를 달성했고, 박기량 강윤이와 함께 전성기를 이끈 치어리더계의 입지적인 인물로 뽑힌다. 부산 출신의 최고 인기 치어리더로 알려졌다. 특히 대중 매체 출연은 가장 일찍 시작했고, 방송에 출연하여 인기를 얻은 최초의 치어리더다. 그로 인해 2008 베이징올림픽 야구 금메달 열풍과 함께 2010년부터 한화 이글스 팬덤에서 김태균[25]류현진[26] 못지 않은 독보적인 인기를 누렸으며, 이는 롯데와 NC에서도 계속되었다. 특히 NC 다이노스 시절에는 신생팀의 응원 문화를 잘 정착시키며 마산에서 열풍을 일으킬 정도였다. NC 다이노스 초창기 시절의 상징 중 하나였으나 그 자리는 롯데 시절 치어 후배인 김수현 치어리더가 팀장으로 대신하게 된다.[27]
전성기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로, 특히 2012년과 2014~2015년은 인기가 매우 절정이었다. 2012년에는 롯데에서 박기량과 함께 하며 부산에서 열풍을 일으켰고, 2014~2015년에는 NC 다이노스 치어리더로서 마산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으며 방송 출연과 대외 활동도 매주 잦았던 해이다.
치어리더로서 그녀의 커리어는 그야말로 Untouchable. 이 정도의 탄탄한 커리어를 쌓은 치어리더는 박기량, 배수현 정도를 제외하면 거의 없다고 할 정도로 독보적이다.
2017년에 2015년부터 KBO 대표 인기구단으로 자리를 잡은 한화로 복귀할 당시 팬들의 호불호가 있었지만 한화 이글스 팬들은 막내 치어리더가 대독(대장독수리의 줄임말)으로 돌아오면서 대환영을 했고 NC 다이노스 팬들마저 한화 이글스로 응원팀을 바꾸는 일이 일어나더니 대전-청주-천안-아산에서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를 통해 종전 한화 이글스 시절부터 관계가 좋았던 팬들은 놀라움과 환영으로 더 환호를 했다. 2018년 팀의 11년만의 포스트 시즌과 당시 준플레이오프 1차전인 대전 홈에서 가을 야구 현장 응원을 하게 되었다. (울산 현대의 경기 일정 문제로 인해 대전 홈에서의 2차전을 함께하지는 못했다.)
이외 자신이 처음 인지도를 알렸던 부산 연고 프로농구 팀들의 활약상을 통해 고향인 부산에도 팬덤을 보유한 상징적인 치어리더다.

4.1. 댄스 실력

대한민국 치어리더들 중 춤 실력으로는 탑클래스 위치다. 동기이자 라이벌로 여겨지는 박기량과 함께 가장 뛰어난 춤 실력을 가진 치어리더로 평가받고 있다. 배수현, 박기량, 이다혜, 안지현 등 춤 실력으로 이름 날리는 치어리더들을 언급할 때 절대 빼놓지 않고 들어가는 인물 중 1명. 치어리더의 군무 및 걸그룹 댄스, 여러 장르의 춤들도 완벽하게 소화해낸다. 3년 차였던 2010년부터 후배들의 안무 교육을 전담했다고 하며, 지금은 은퇴한 치어리더 금보아 역시 2011년 야구 데뷔 첫 시즌 때 출연한 다큐에서 김연정에게 안무 레슨을 받는 모습이 나온다. 애초에 김연정이 한화 1기 시절 야구 팬들에게 알려졌던 계기가 예쁜 외모와 더불어 뛰어난 춤 실력이었다.
20대 시절의 김연정은 춤 실력으로는 치어리더판에서 근접할 수준이 없을 정도로 뛰어났다. 특히 그녀의 최전성기 시절이었던 NC 시절의 김연정은, 치어리더로서의 정석을 보여줬다고 과언이 아니다. 이 시기 방송에도 종종 출연해 여러 안무와 춤을 보여줬는데, 172cm의 키와 치어리더의 군무를 하며 갈고 닦은 파워풀한 스타일의 춤을 보여주었다. 2016년 2월 출연했던 출발 드림팀에서는 난이도 높은 탱고 댄스도 무리 없이 소화했을 정도. 사실 한화-롯데-NC를 거치며 같이 일했던 치어리더들이 결코 경력이 떨어지는 것이 아님에도 무대에서는 김연정에게 밀리는 모습이 보일만큼 존재감이 대단했다. 2014년 9월 출연했던 XTM 댄스배틀에서는 강렬한 힙합 음악에 맞춰 완벽한 군무를 소화하여 호평을 받았다. 출연한 치어리더 4명 중에서 가장 완성도 높은 안무와 춤 실력을 선보였다.
한화로 돌아온 이후에도 춤 실력은 여전했으나, 2010년대 후반부터 30이 넘는 나이 때문에 조금씩 노쇠화가 진행되어 NC 시절만큼의 기량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특히 2018~2020년을 전후하여 3, 4세대 치어리더라고 불리는 후배 치어리더들이 많이 들어와 자리를 차지하는 바람에 김연정의 입지가 이전보다는 좁아진 부분도 있다. 그러나 여전히 댄스 실력은 어디 안 가고 좋은 편이며, 후배들에게 절대 밀릴 수준은 아니다.

4.1.1. 영상


2012년 8월 롯데 시절에 춘 유피의 <바다>. 김연정 본인이 직접 안무를 재창작했다고 한다.

2013년 3월 29일 세바퀴에서 한 치어리딩. NC 다이노스에 갓 합류했던 시절이나, 신생 창단으로 주목을 받던 시절 NC를 대표하는 치어리더로 자주 방송에 등장했던 시기다.

2013년 11월 컬투의 베란다쇼에서 선보인 치어리딩이다.

2014년 12월 <S의 비결> 에 출연했을 당시 보인 솔로 댄스이다.

출발 드림팀에 출연하여 선보인 탱고.

2020년 홍창화를 직접 지도하여 만든 무대

5. 다른 치어리더들과의 관계

5.1. 박기량

먼저 둘의 관계는 다양한 의미로 굉장히 복잡하다.

두 사람 모두 치어리더의 대중화와 활동 범위 확장을 선도한 선구자들이며, 업계 최고로 인정받고 있다. 한 때는 친분이 있었고 각자의 길을 걷게 된 후에 뼈가 실린 언급을 할 만큼 관계가 틀어진 적도 있으나 시간이 지나며 불가피한 최소한의 언급은 할 정도로 누그러들었지만 굳이 만나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 리오넬 메시크리스티아누 호날두의 관계로도 비유되는 아직 불편함이 남아 있는 복잡미묘한 관계이다.

즉, 두 사람이 원하건 원하지 않건 각자가 걸어온 길과 대한민국 치어리더의 역사를 논할 때 서로의 존재를 빼놓거나 갈라놓고 얘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두 사람이 처음 만난 건 2007년 9월로, 이미경의 스카우트로 울산 모비스 피버스의 치어리더로 함께 데뷔했다. 당시 두 사람 모두 신인이었기에 팀 내에서 어떤 주장을 펼치거나 할 수 없었다. 박기량은 RS에 남았지만 김연정은 1년 만에 에스컴으로 떠나면서 두 사람은 1년 만에 각자의 길을 가게 된다.

이후 두 사람이 해후한 건 2011년. 당시 김연정은 에스컴과의 계약이 끝나면서 소속사를 찾던 중이었고, 박기량은 RS ENT의 치어리더 팀장이었다. 박기량의 스카우트로 김연정과 박기량은 4년 만에 한 팀이 된다. 그렇게 두 사람은 2012년 롯데 자이언츠 치어리더로 활동하면서 엄청난 인기를 얻었고, 몸값 5억에 광고 모델 계약 제의만 수십 개씩을 받게 되었다.[28] 두 사람을 보러 야구장에 오는 팬들이 많았다. 겨울 시즌에는 창원 LG 세이커스 치어리더로 함께 활동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두 사람은 사이가 좋았다. 인터뷰를 할 때마다 두 사람은 같이 붙어 앉아 서로를 칭찬했고, 2012년 11월 23일 김연정의 생일에 박기량이 코트로 케이크를 들고 나와 김연정의 생일을 축하해준 적도 있었다. 2013년 1월에는 신화방송에 함께 출연하는 등 친구이자 동업자로서 전혀 불화감 없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2013년 3월 김연정은 다시 에스컴으로 돌아갔고, NC 다이노스의 치어리더가 되면서 박기량과 결별하게 된다. 표면적으로는 단순히 이적으로 인한 결별이지만 이 이적 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루머가 떠돌았는데, 대표적인 루머는 두 사람이 싸워서 갈라섰다는 것이다. 그리고 김연정의 이적 4개월 후, 박기량은 스포츠조선과의 인터뷰에서 싸워서 헤어진 것은 아니라고 밝혔지만 "그 친구도 유명해지고 싶어했다"라는 발언으로 갈등이 있었음을 시인하는 것으로 해석이 될만한 언급을 했다. 롯데 관계자 역시 다투지는 않았어도 두 사람이 팀 내 위치를 놓고 미묘하게 경쟁을 벌였다며 갈등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29]

결과적으로 두 사람이 결별한 가장 대표적인 원인은 팀 내 위치 싸움으로 보인다. 두 사람의 경력은 비슷하지만 RS에서 박기량은 팀장, 김연정은 팀원이라는 위치가 갈등을 만든 것으로 보인다. 박기량은 2016년 3월 화퉁에 출연해 "팀원들의 세세한 부분을 간접적으로 케어해주지 못해 미안했다"라며 이 일을 간접적으로 언급했다.

이후로 두 사람은 서로를 언급하는 것을 상당히 자제한다. 박기량은 김연정에 대한 질문이 나올 때마다 "같이 해서 시너지 효과를 얻었다"는 말로 무마하며 언급을 피하고 있으며, 김연정 역시 박기량에 대해 일절 언급하지 않다가 2017년 3월 맥심 화보 촬영을 하며 언급을 했다. 그러나 김연정은 여기서 "나에게 섭외가 먼저 왔다"는 짦은 대답으로 대신했으며, 결과적으로 두 사람의 사이는 상당히 틀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때 같은 팀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스타그램 맞팔도 되어있지 않고, 박기량의 자선 콘서트 <박기량과 친구들>에서도 당시 김연정이 소속되어 있던 랠리 다이노스는 불참했다.

다만 합동 공연은 한 적이 두 번 있다. 2014년 4월 시상식, 2016년 12월 V리그 클래식 시리즈에서이다.

같이 방송에 나온 것은 2014년 9월. 이수진과 함께 출연해 '욕설 금지'를 외쳤다.

2018년 이후로는 가끔 서로에 대해 어느 정도 언급도 하고 응원도 해주는 등, 시간이 지나며 감정이 많이 누그러든 듯한 모습도 보였지만 역시나 제3자가 지켜보는 공적인 자리에서 둘이 만나는 모습은 보이지 않고 있다. 감정이 아직 남아있음을 떠나 서로와 여론을 더 이상 자극하지 않고 이 일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각자의 후배들에게 더 이상 불편함을 주지 않기 위해 최소한의 조치를 취하고 매듭을 지은 것으로 보여지는데, 막말로 후배들 앞에서 자신들의 위신도 깎이는 일임을 모를 리가 없다.

그러다 2025년 다시 잠깐 언급이 됐다. 김연정은 본인의 유튜브에서 본인의 나무위키 문서를 읽으며 "벽이 있다기보단, 단지 연락을 안 한 지 너무 오래돼서 그렇다. 주변에서 여러 이야기가 있다 보니, 괜히 더 서먹해져서 연락도 뜸해지고 세월이 이만큼 흐르는 거 같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회가 되면 맥주 한 잔 마시자는 건 덤. 더불어 상술한 루머에 대해서도 직접 해명했는데, 2011-12 시즌을 마친 후 치어리더를 그만두고 본래 꿈이었던 승무원으로의 길을 다시 걷기 위해 대학[30]에 복학해 있던 와중에 박기량에게 권유가 들어와 받아들였고 애초에 RS와 계약할 때부터 연장이나 갱신 없이 한 시즌만 하는 것으로 되어있었고, 그 기간을 마친 후 다시 복학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에스컴에서 다시 권유가 들어와서 받아들인 것 뿐이라고 한다. 즉 롯데 시절에 둘이 어떻게 지냈건 계약 상으로는 2012 시즌 이후에 각자의 길을 가는 것은 시즌 시작 전부터 이미 정해져 있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둘이 실제로 만나거나 관계를 회복할 가능성은 김연정의 결혼 발표로 더더욱 희박해지게 되었다. 박기량은 2025년 7월 말에 방영된 한 방송에 출연해 "치어리더는 운동선수와의 연애 금지가 암묵적인 룰"이라는 언급을 한 적이 있다. 더욱이 하차한 치어리더들의 하차 원인이 사실 소속팀 선수와의 연애 발각으로 인한 축출이라는 소문도 많이 돌고 있을 정도이다. 물론 박기량이 운동선수와 본의 아니게 얽혀 홍역을 겪은 적이 있음을 감안해야 하나, 암암리에 선수들과 치어리더가 만남을 이어가고 있다는 사례가 상당히 많다는 것을 오랜 팬들은 이미 알고 있으므로 박기량의 언급에 콧방귀를 뀌는 반응도 적지 않았다. 하지만 김연정의 결혼 상대가 그냥 운동선수인 것도 모자라 같은 팀의 선수였기에 김연정은 본의 아니게 박기량의 언급에다 정면으로 물을 먹인 꼴이 된 것이다. 안 그래도 껄끄러움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발언에 물을 먹여 체면을 구긴 상대의 하객으로 찾아갈 가능성은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5.2. 한화 이글스

한화 이글스 팬들에게는 이보다 더 좋은 리더가 없는지 충성도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군기반장 치어리더계의 마이클 조던이라는 소문과 함께 후배들에게 엄격한 교육을 하지만 2017년 팀장 복귀 이후 이제는 후배들의 진정한 멘토로 활동하면서 강함 속 부드러운 리더십으로 모두에게 인정받는다.[31] 이로 인해 치어리더계의 사단이라는 별명이 따를 정도다.

한화 이글스에서는 대선배인 강보경 치어리더 이후 이글스 응원단의 레전드라는 극찬이 나오고 있을 정도다.

사실 NC 다이노스는 김연정이 떠난 이후 그 급의 경험과 인기가 있는 치어리더가 부재한 바람에 취재 열기가 예전만 못하고 소수의 마산아재만 겨우 남는 등 이후 한시적으로 응원단의 흥행 참패까지 이어졌는데 2017년부터 2020년에 타 소속사의 새 치어리더 팀장들이 왔지만 그 중 하나의 치어리더는 2년 만에 약속이라도 한 듯 데뷔했던 친정으로 돌아간 걸 보면 리더십을 알 수 있다.

실제로 김연정이 NC 다이노스에서 떠난 이후 팬들이 줄어들었는데 2년간 창원 마산 야구장 관중은 성적이 났던 2017년에도 감소하는 등 흥행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며 창원NC파크 개장 이후에도 좌석점유율은 더 떨어지기도 했다. 반대로, 한화 이글스는 그 작은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는 최하위를 했던 2014년에도 매진을 했는데 2015년 성적이 5위 근처까지 오르면서 주말 경기 포함 1만 1천여석이지만 21번의 매진과 함께 연간 누적관중도 창단 첫 60만을 돌파했고 2017년 복귀 이후 11년 만에 포스트 시즌에 진출한 2018년에는 창단 첫 연간 70만을 돌파하면서 흥행의 아이콘임을 보여주었다. 특히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인천 문학야구장이 포함된 수도권 경기는 두 팀의 팬층에서 엄청난 차이를 보여주었다. NC 다이노스가 2020 KBO 통합우승 이후 합류하게 된 이미래 치어리더와 김수현 치어리더의 이전에는 응원에서도 타팀 팬들도 NC 응원의 메리트를 느끼지 못했다. 다행인 건 4년간 활약하면서 후배들의 발판을 마련했던 점이다.

뿐만 아니라 농구는 2008-2009 시즌 창원 LG 세이커스에서 먼저 데뷔한 이후 2013-2014 시즌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을 했지만 실제로 그녀가 오늘에 알려진 건 그 이후 응원하게 된 2009-2010 시즌부터 부산 kt 소닉붐에서의 데뷔 시절이었고 다음해인 2010-2011 시즌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과 함께 2010-2011 시즌 이후 무려 6년뒤인 2016-2017 시즌에 돌아옴을 넘어 그 시즌은 성적부진이었지만 응원단에 없었던 2018-2019 시즌에도 배구 응원에 올인을 했지만 팬들 몰래 TV로 친정의 소식을 알고 있는 등 감각 유지에서 노력을 많이 했다. 자신도 2019-2020 시즌 꼭 복귀를 그 이전부터 다짐했는데 씩씩한 모습으로 돌아오면서 팬들이 놀라워했다. 2019-2020 시즌 개막전에서 그 썰렁한 부산 사직체육관에서는 열정적인 동작과 함성으로 긍정적인 응원의 에너지를 전달하더니 1년전 창원체육관에서 패배했던 절친 후배인 염지원과 함께 농구영신에서도 승리의 아이콘으로 한 때 팀은 2010-2011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시절 이후 기복이 심한 팀이지만 9년뒤에 무려 정규리그 7연승을 타기도 했다. 당시 주축인 LG 시절의 김영환은 최고참 베테랑으로 감독이 바뀐 이후 사람 구실의 리더에서 다시한번 잘하는 리더가 되었고 2년전 신인이었던 허훈도 원래 잘하는 선수지만 감독이 바뀐 이후 에이스로 성장하기 시작했다.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 시절 주역으로 과거 송영진조성민 시절 이후 신세대로 이 정도면 AGAIN 2010-2011 모드였다.

KBL 최고 인기구단이라는 창원 LG 세이커스 팬들은 김연정이 떠난 이후 팀장 윤시우[32]박아람이유미가 고군분투를 하게 되는데 취재 분위기는 그 시절보다 떨어지면서 농구 매체에서 겨우 꾸리는 등 응원 기간 중 단 1번도 봄 농구를 못하면서 통곡을 했다. KBL 주관방송사에서 창원 LG 세이커스 선수들 인터뷰는 하지만 세이퀸 치어리더는 거르기도 했다. 이 역사를 극복한 게 김연정의 멤버 중 하나인 염지원인데 후배인 송윤화, 김다빈과 함께 2018-2019 시즌 LG 세이퀸으로 3년 연속 KBL 베스트 치어리더가 된 오지연이미래가 맡은 원주 DB 프로미의 연속 우승을 저지하고 2018-2019 KBL 베스트 치어리더팀에 선정되기도 했다. 이해 창원 LG는 18-19 시즌 정규리그 3위와 플레이오프 4강에 진출했다. 18-19 시즌 KBL 파이널에서 대인배처럼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의 합동 응원을 했지만 역시 농구 소식을 모를 리 없는 김연정은 그 소문과 함께 2019-2020 시즌을 준비했다. 알고보면 부산 KT의 상징이었다. 2019-2020 시즌을 앞두고 2018-2019 시즌 창원 LG 세이커스 치어리더팀인 세이퀸의 2018-2019 KBL 베스트 치어리더팀 선정 소문과 함께 2년간 공백이 있었던 부산 kt 소닉붐에 재복귀 이후 소닉걸스로 공교롭게도 절친 후배이지만 1년전 창원 LG 세이커스 세이퀸이었던 염지원을 데리고 공동 팀장과 함께 돌아왔다. 사실 부산 kt 소닉붐은 KBL에서 비주류라는 비판이 있지만 김연정이 오기 전부터 전신 시절이었던 KTF 매직윙스 시절에는 2006-2007 KBL 파이널에 진출했고 자신의 처음 치어리딩이었던 2009-2010 시즌 정규리그 2위와 2010-2011 시즌 창단 첫 정규리그 우승과 함께 저력이 있는 부산 kt 소닉붐 팬들에게는 농구 응원의 여신이기도 하다. 실제로 부산 kt의 응원은 김연정과 함께한 응원단 출신 선후배들의 유무에 따라 180도 달랐다. kt 소닉붐 구단 SNS에는 이미 김연정의 복귀를 간절히 원했다. 자신이 한 때 창원 LG 응원 시절에도 한화 이글스 출신 선후배들이 번갈아서 맡는 등 공백을 최소화했는데 2016-2017 시즌 성적 부진이 있었지만 그래도 미디어는 여전히 찾고 있었다. 자신도 2019-2020 시즌 3년 만에 다시 돌아올 때 부산 kt의 응원은 끝장나게 할 꺼라 인터뷰를 하면서 암흑기였던 부산 kt 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부탁했다. 2년뒤 kt 소닉붐 농구단이 부산에서 수원으로 연고이전을 하면서 농구 치어리더로서 큰 위기를 맞았으나 2년전 부산-경남 연고 첫 여 농구팀인 BNK 썸의 등장과 함께 응원단의 응원전을 이어가고 있다. 참고로, BNK 썸은 부산-경남 금융사의 팀으로 왠맨한 부산 농구 팬들과 창원 농구 팬들이 같이 응원을 할 정도다.

배구는 더이상 설명이 필요없을 정도로 천안 유관순체육관-안산 상록수체육관인천 계양체육관-인천삼산월드체육관에는 주말 경기와 KOVO V 리그 포스트 시즌 만큼은 함성이 절정이었으며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 올인하기 위해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에서 안산 OK금융그룹 읏샷으로 이적하도 변함은 없었으며 울산 현대에서 후배들과 함께 얼마되지 않은 일반석 관중에서 마치 최강한화의 육성 응원처럼 큰 목소리로 응원을 독려했으며 멤버들 중 절반은 대구 FC에서도 이렇게 유도를 하고 있다.

NC 다이노스 시절에는 이미경이 발굴했지만 자신이 그 시절 힘듬을 아는지 그 시절의 어려움을 통해 후배들을 더 잘해주고 있다.

NC 다이노스 시절에도 과거 한화 이글스 응원단 출신이었던 조윤경, 송윤화와 비록 한화 이글스를 가지 못했지만 가끔씩 송재경과 함께 그래도 연락을 하는 편인 손지해에 이어 같이 NC 다이노스에서 한화 이글스로 옮긴 김은빈김유나는 감사함을 가지고 있었다.

한화 이글스에서 역시 자신이 복귀하기 전 NC 다이노스에서 2년간 함께하면서 지낸 자신의 동갑으로 전 치어리더 팀장이기도 했던 조민지가 은퇴를 하고 자신 이전 한화 이글스의 간판이었던 금보아이나경이 떠난 뒤 복귀였는지 그 이전 이미 조민지와 함께했던 후배인 이은지를 믿고 의지했다.

이은지 치어리더와 함께 사실상 뒤를 받치고 있지만 2년간 활약했던 김은빈 치어리더와 조아련 치어리더에게도 후배들을 잘 부탁했으며 두 치어리더는 2017년에 후배들을 잘 이끌었으며 이은지 치어리더가 잠시 쉬었던 2018년 가을야구를 한 해에도 나이차가 많았던 후배들을 잘 이끌었는지 후배들은 더 그리워하고 있다.

실제로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비 부산-창원-울산 출신으로 대구 출신으로 알려진 서유림의 스타성과 자신을 멘토로 생각하는 울산큰애기 조연주를 시작으로 고향 출신 10년 후배인 박재령과 NC 다이노스 시절부터 함께한 김유나 그리고 같은 창원 마산 출신인 목나경[33]까지 부산-창원-울산 지역 치어리더들의 멘토로도 리더십이 훌륭하다. 대전의 딸이라는 별명이 붙은 이하윤도 2017년 여름부터 치어리딩을 하고 있는데 부산은 제2의 고향이라는 고백을 하기도 했다.

2019년에 함께한 프랑스 출신의 도리스 롤랑도 자신의 지인을 통해 그 존재감을 알게 되었으며 1년간 활동하면서 존경을 표시했다.

염지원 치어리더의 영향을 받은 강지유 치어리더와 김유나 치어리더 이후의 박지민 치어리더 그리고 김새별 치어리더도 현재 당당한 한화 응원단으로 자리잡도록 만들어주었다.

2021년에는 해당 멤버들이 자신이 과거 몸담았던 NC 다이노스에 재진출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창원 마산 출신인 김유나 치어리더도 3년간 한화 이글스 응원단에서 활약하며 자신처럼 5년 만에 친정인 NC 다이노스에 복귀하게 된다. NC 팀장은 2021년에 합류한 뒤 2022년에 팀장이 되었지만 2021년부터 사실상 절친인 김수현 치어리더가 맡고 있다.

이외 홍창화 응원단장과 함께 응원단에 있기도 했던 유하영 치어리더와 이들의 후배인 김해리 치어리더와 박소영 치어리더도 영향을 받고 있다. 세 명의 치어리더는 절친인 이미래 치어리더와 함께 영향을 받고 있다.

2022년에는 소속사 동료이자 절친인 이미래와 한화 이글스의 치어리더 공동 팀장을 맡게 되는데, 좋은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된다.

2023년에는 한때 LG 트윈스에서 활동했던 정다혜 치어리더 팀장의 후배들인 우수한, 하지원, 최석화와 같이 응원하게 되었다.

2024년에는 2022년에 울산 현대 축구에서 인연이 된 김나연과 다시 재회를 했으며 야구에 처음 데뷔하게 된 이호은과도 처음으로 한화 이글스에서 함께하게 된다. 최석화와는 같은 소속사에서 활약하게 된다.

2025년에는 수도권 스카이 멤버인 유진경을 포함해서 지아영 그리고 창단 두번째 해외 치어리더인 아야카와 처음으로 같이 응원하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농구에서도 유명세가 컸는지 부산 kt 소닉붐의 수원 연고이전 이후 2년뒤 전주 KCC 이지스의 연고이전으로 인한 부산 KCC 이지스가 되면서 한화 이글스에서 함께했던 후배들만 아니라 자신의 전 응원팀이었던 NC 다이노스로 진출한 현 후배들에게도 겨울종목에 재복귀하는 등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5.3. 그 외

언급한 한화 이글스 응원단 출신만 아니라 타 구단 치어리더들도 대표적으로 대다수 좋은 편으로 알려졌다. 어떻게 보면 치어리더의 사단으로 보면 알 수 있다. 응원단 팬들이 응원단장도 사단으로 보지만 실제로 치어리더도 각자 사단이 있을 정도로 멤버들이 가장 많다. 평소 멘토로 배우는 선배 배수현을 시작으로 같은 부산 출신인 염지원, 김수현, 이아영, 송윤화 그리고 김진아와 친분이 있다. 예전에 치어리더를 했던 금보아조윤경과 아무 인연이 없는 김다빈과도 좋은 관계였다. 과거 NC 다이노스 시절에 함께했던 송재경손지해도 영향이 있었다. 그 중 롯데 자이언츠에서 활약했던 이아영은 향후 NC 다이노스의 치어리더가 되고 나서 같은 소속사에서 활동한 경력이 있다. 김수현의 경우 그 발판을 절친인 이미래와 함께 마련했다. 이외 박선주도 영향을 받기도 했다. 김수현 치어리더의 NC 다이노스 팀장 이후 김가은감서윤도 알려지면서 영향을 받고 있다. 이외 SK 와이번스와 동부-DB 프로미의 오지연이미래에 이어 두산 베어스-오리온 오리온스-FC 서울의 김다정을 시작으로 이나경서현숙은 물론이고 두산 출신에서 SSG로 이적한 도정은 등 여러 치어리더들과 친하다. 추가로 부산 출신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홍재연의 재기를 돕기도 했다. 비슷한 사례로 김한슬도 영향을 받았다. 이외 서유림의 연고권인 대구-경북의 이수진을 포함해서 이정윤이소영과도 친하며, 이들은 울산 현대 축구에서 인연이 되었다. 팀 한번도 겹치지 않았던 KIA 타이거즈의 간판 선배 치어리더들도 친분이 있다. 가수 출신의 선배인 김맑음와도 친분이 있으며 선배 김한나와도 친분이 있다. 추가로 접합점이 단 1번도 없는 후배인 정다혜의 경우 한화 이글스에 진출한 후배들로 인해 언급되기도 한다. 배수현을 보고 자란 차영현도 가끔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KIA 타이거즈에도 과거 한솥밥을 먹었던 후배인 유수아와도 친분이 있다. 유수아의 경우에는 소속사를 옮기기 전에 에스컴에서 활동하였으며, 천안 현대캐피탈 스카이워커스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서 함께했던 선후배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NC 다이노스에서 활약한 이후 SSG 랜더스로 이적한 후배들인 이지원허수미도 친분이 있다. 심지어 가수에서 실패한 이후 치어리더가 된 전은비는 연락을 받은 이후 연락할 정도이며 인연조차 없었던 이시아는 본인이 직접 연락을 하기도 했다. 함께 응원한 적은 없지만 SSG 랜더스김도아이연진도 해당되며 KIA 타이거즈의 새 인기 치어리더 중 하나인 고가빈만 아니라 자신의 NC 시절 후임 인기 치어리더로 SSG 랜더스를 거쳐 NC 다이노스로 복귀한 이주희에 이어 kt wiz신세희에 대해 애정을 표시하고 있다. 창원 출신의 김정원도 본인의 접점은 없지만 NC 시절 김수현에 의해 알려졌고 kt 시절 김진아에 의해 알려지며 관심을 표시하고 있다.

6. 사건 사고

7. 여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연정/여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연정/여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연정/여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역대 프로필 사진

파일:김연정.jpg 파일:김연정2022.png 파일:2023김연정.png
2021년 2022년 2023년
파일:2024 김연정 프로필.png 파일:2025 김연정 프로필.png
2024년 2025년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김연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c4e00,#fc4e00>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한화 이글스
역대 치어리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5명)
강보경, 엄노을, 김연정, 염지원, 금보아
(5명)
강보경, 엄노을, 염지원, 금보아, 송윤화
(7명)
엄노을, 강보경, 이경미, 최미교, 임수연, 염지원, 금보아
(5명)
엄노을, 임수연, 염지원, 금보아. 조윤경
(6명)
조민지, 임수연, 염지원, 금보아, 이나경, 이은지
<rowcolor=#fff>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7명)
조민지, 임수연, 이나경, 이은지, 조아련, 이연경, 김라희
(7명)
김연정, 이은지, 조아련, 김은빈, 박윤혜, 목나경, 이하은
(8명)
김연정, 조아련, 김은빈, 이하은, 목나경, 서유림, 조연주, 안민정
(8명)
김연정, 이은지, 이하은, 서유림, 김유나, 박재령, 박지민, 도리스 롤랑
(8명)
김연정, 이은지, 이하은, 서유림, 김유나, 박재령, 목나경, 조연주
<rowcolor=#fff>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8명)
김연정, 서유림, 김유나, 박재령, 박지민, 김해리, 박소영, 이소림
(9명)
김연정, 이미래, 박재령, 김해리, 박소영, 강지유, 김새별, 조다정, 박세아
(10명)
김연정, 이미래, 박재령, 박소영, 박세아, 우수한, 하지원, 최석화, 유하영, 최예진
(8명)
김연정, 이미래, 박소영, 우수한, 하지원, 최석화, 김나연, 이호은
(10명)
김연정, 이미래, 우수한, 하지원, 최석화, 김나연, 이호은, 유진경, 지아영, 아야카
※ 2011년 이후의 치어리더 명단을 풀기재.
※ 해당 시즌 팀장은 주황색으로 표시.
}}}}}}}}} ||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15288>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NC 다이노스
역대 치어리더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7명)
이미경, 서희린, 김연정, 최보배, 이소연, 이소원, 송윤화
(8명)
이미경, 김연정, 최보배, 이소연, 이소원, 송윤화, 송재경, 손지해, 김유나
(9명)
김연정, 이단비, 최보배, 이소연, 이소원, 송윤화, 송재경, 손지해, 김유나
(8명)
김연정, 이소원, 김은빈, 박윤혜, 김보경, 송재경, 손지해, 김유나
(8명)
장세정, 윤요안나, 이애수, 나혜인, 김보배, 송재경, 손지해, 김유나
<rowcolor=#fff>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9명)
장세정, 윤요안나, 이애수, 나혜인, 김보배, 이주희, 신세희, 김수빈, 김보라
(8명)
정유민, 이주희, 도정은, 박아람, 이유미, 박혜린, 안지은, 김하나, 윤별하
(10명)
장세정, 윤요안나, 나혜인, 이주희, 박혜린, 안지은, 김하나, 주승은, 황별님, 박민선
(10명)
이미래, 윤요안나, 이주희, 김수현, 박윤혜, 김하나, 김자인, 이지원, 황별님, 김지윤
(10명)
김수현, 박윤혜, 김자인, 이지원, 김유나, 이아영, 박선주, 김나연, 허수미, 박지민
<rowcolor=#fff>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8명)
김수현, 김유나, 이지원, 이아영, 박선주, 김나연, 허수미, 강지유
(10명)
김수현, 김유나, 이지원, 허수미, 강지유, 감서윤, 김가은, 김정원, 황지빈, 김가영
(11명)
윤요안나, 김수현, 이주희, 강지유, 감서윤, 김가은, 염세빈, 박슬비, 배한비, 안수연, 노가현
※ 2013년 이후의 치어리더 명단을 풀기재.
※ 해당 시즌 팀장은 남색으로 표시.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로고(가로형,유색배경).svgKBO 리그
치어리더 팀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sv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1658> 파일:한국농구연맹 로고 화이트.svg한국프로농구
치어리더 팀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color:#181818"
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svg파일:창원 LG 세이커스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서울 SK 나이츠 엠블럼.svg 파일: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엠블럼.svg 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svg파일:수원 kt 소닉붐 엠블럼(유색배경).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송재경 서현숙 목나경 신세희 이수진
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svg파일: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엠블럼 흑색배경.svg 파일:원주 DB 프로미 엠블럼(녹색).svg 파일: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엠블럼.svg 파일:부산 KCC 이지스 엠블럼.svg 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svg파일:서울 삼성 썬더스 엠블럼(유색배경).svg
정가예 박혜린 박소영 김연정
김수현
차영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21230; 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 -10px" 장내 아나운서
강진영 · 이상연
치어리더 (울산큰애기)
김연정★ · 홍재연 · 이수진 · 강지유 · 신채원 · 감서윤 · 김민서 · 서여진 · 설혜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f236a,#0f236a><colcolor=#fff,#fff> 장내 아나운서 손동혁
응원단장 3 박승건
치어리더 (스카이걸스) 1 김수현★ · 5 신채원 · 6 감서윤 · 7 김가영 · 10 강지유 · 15 홍재연 · 17 김연정★ · 33 김유나 · 44 김가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5000><tablebgcolor=#f55000> 파일:부산 OK저축은행 읏맨 엠블럼.svg부산 OK저축은행 읏맨
2025-26 시즌 응원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474a,#b7aaad
<colcolor=#373a3c> 장내 아나운서 <colbgcolor=#ffffff,#1c1d1f> 김진완
응원단장 한재권
치어리더 김연정★, 이미래, 김수현, 강지유, 김가은, 감서윤, 신채원, 김가영, 류혜민, 최석화
}}}}}}}}}}}}}}} ||

[1] 선수 기준 백넘버로 과거 박정진, 노수광이었으며 2025 시즌 기준으로 권광민이다.[2] 한화 이글스 총괄팀장/메인팀장[3] 2023-2024 시즌은 스카이걸스 전원 NO.00 이었으나 2024-2025 시즌부터 개별 등번호로 본인의 17번을 달고 있다. 과거 부산 kt 소닉붐 시절에는 조성민과 트레이드되었던 김영환의 임시 등번호였다. 현재 부산 KCC 이지스 시절에는 과거 전주 시절 선수이자 현재 코치인 신명호의 등번호로도 유명하다. KCC 선수 기준으로 전주 시절 김동현 선수의 등번호였으며 부산 시절 2024-2025 시즌 기준으로 전준범 선수의 등번호였다. 2025-2026 시즌은 정배권 선수의 등번호다.[4] 인스타그램에 인증.[5] 2009년 SBS 스타킹에 출연하면서 나온 경성대 전지현은 여기서 유래했다. 하지만 본인은 자신이 전지현을 닮았다고 생각하지 않으며 당시 한화 이글스에 소속되어 있었을 때 홍보 영상에 '대전 민효린'이라는 별명으로 나왔는데 스타킹에서 섭외가 들어왔을 때 "민효린보다는 전지현이 더 유명하다"(...)[6] 2024-2025 시즌 KCC 농구단 홈페이지 소개에 공개[7] 사업장으로 에이치에스컴[8] 부산 KCC의 경우 절친 후배인 김수현 치어리더가 팀장이지만 농구 팬들과 한화 이글스 팬들은 사실상 공동 팀장으로 보고 있다. 연고 이전 첫해 KBL 플레이오프 챔피언이 되었다.[9] 2020-2021 시즌 천안 현대캐피탈을 떠나 응원하게 되었다. 우승경력은 없지만 안산에서 5년을 응원했다. 2025-2026 시즌 OK 배구단에서 안산에서 부산으로 연고이전이 확정되면서 고향에서 배구팀을 응원하게 되었다.[10] 한화 팬이 올린 김연정의 응원 영상의 조회수가 터지고 이것이 기사화되면서 대전의 민효린으로 유명해졌다. 덕분에 스타킹에서 섭외됐는데 담당 작가가 고심 끝에 지어준 별명이라고 한다.[11] 이 시절 별명은 선후배들로 인해 NC로 이적하면서 2014 XTM 댄스배틀 출연 당시 붙혀진 별명이다.[12] 출발 드림팀 출연 당시 이창명이 "좌는 홍진경, 우는 전지현"이라고 말한 것에서 유래된 별명.[13] 2025년 자기 유튜브에서 자신을 김철근이라 불러달라는 부탁을 하면서 생겨졌다.[14] 자신의 고향이자 첫 치어리더의 시작이다. 특히 부산 농구 팬들이 지은 별명으로 줄여서 사직농여신이라 불리기도 한다. 부산 kt 소닉붐 치어리더로 농구는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출신인 조성민양홍석 이었으며 부산 KCC 이지스는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출신인 허웅송교창 그리고 이적으로 다시 만나게 된 허훈 급이다. 추가로 응원하게 된 두 팀에서의 감독은 전창진이었다. 부산 BNK 썸 치어리더로 여농구로 여자프로농구 레전드 중 같은 부산 출신으로 1년 선배인 강아정과 함께했었다. 이외 부산 여농구의 과거의 레전드로 박정은 감독과 변연하 코치도 포함되어 있다. 선수로는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출신인 김한별이소희급이다. 이외 같은 연고 출신의 팀 창단멤버인 안혜지도 연관이 있다.[15] 한화 이글스 치어리더 팀장을 팬들이 비유한 별명. 이 별명의 유래는 직업적 개념에서 팬덤의 개념으로 바뀐 별명 중 하나다. 즉 독수리군단의 응원대장을 의미하는 대장독수리의 줄임말. 반대 용어로 막내독수리의 줄임어인 막독이 있다. 실제로 2023 시즌 응원단 프로필 촬영 중 자기소개 때 구단 자체 채널인 이글스TV에서 이 멘트가 있었다. 사실 원조별명과는 거리가 있으나 인기 치어리더의 상징으로 불린 별명이다. 사실 알고보면 2016년에 FA로 마무리 투수 역대 FA 최고액의 주인공이었던 정우람이다. 정우람 선수의 별명이 현역 시절 대장독수리였는데 이 별명의 주인공이 되었다. 선수로 보면 막내 시절은 김태균류현진 급이며 김성근 감독 말년 시절에는 정근우정우람이 있었다. 시간이 흐른 뒤 같은 고향의 동생인 노시환의 팬으로 알려졌으며 연고는 다르지만 문동주의 팬으로도 알려졌다. 여담이지만 한화 마스코트인 위니를 본뜬 대머리 독수리라는 설이 있지만 사실은 아니다. 본인도 이마가 넓은 편이다. 정우람의 정우 과거 넓은 이마로 인해 대머리설이 있다.[16]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에서 식빵누나라는 별명이 붙은 배구여제인 김연경급.[17] 프로필을 잠가놨다.[18] 팬 카페[19] 모비스에서는 아르바이트 식으로 5~6경기만 뛰고 그만뒀다.[20] 사실 소속사를 옮기며 농구팀도 옮겨져야 했으나 에스컴이 창원 LG 세이커스와 시즌 계약을 하고, 반대로 RS COMPANY는 울산 모비스 피버스와 팀 계약을 맺으면서 농구 팀은 바뀌지 않게 되었다.[21] NC는 이후 그 해 평균 관중이 창단 첫 최하위 때 만큼 급속도로 줄어든 반면 한화는 2015년부터 한 시즌 최다 60만 관중의 신기록을 넘어 김연정의 복귀 이후 2018년 11년 만의 포스트 시즌 진출, 소위 가을 야구 때 팀 창단 최초 70만 관중 돌파의 신기록을 작성하며 KBO 대표 인기 구단임을 증명한다.[22] 그런데 개막 이후 NC 팬들은 새로 들어온 치어리더들이 김연정보다 더 낫다는 평을 한다. 새 치어리더들이 기존에 있었던 치어리더들보다 적극적으로 응원을 유도하고 춤도 더 잘 춘다는 것이 그 이유다. 현재 NC 팬덤에선 김연정을 그냥 예전에 있었던 사람 정도로 취급하는 중이었다. 그러나, NC는 팬들을 잃기 시작했고 한화는 이미 2015년부터 김성근 신드롬으로 팬층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이적열풍이 불었다.[23] 본인도 충격을 받았는지 그 소식에 자신의 SNS로 눈물을 보이면서 농구팬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24] 보통 농구팬들은 연고이전을 강한 비난의 성격에서 야반도주라 쓴다. 여기에 해당되는 건 가장 최근으로 볼 때 10년전 오리온스로 연고지는 대구에서 고양으로 떠났다. 과거 부산 첫 프로농구팀이었던 기아 엔터프라이즈마저 이외 모기업이 IMF 부도로 인해 인수되면서 모비스 오토몬스-피버스로 바뀐 이후 울산으로 연고이전을 했다. 결국 부산은 역대 KBL 프로농구 사상 첫 동일 연고이전 2회라는 역대급 굴욕을 당하게 된다.[25] 별명이 TK인 이글스의 리빙 레전드 4번 타자였다. 당시 일본 지바 마린스로 해외진출을 하며 2012년에 복귀했으며 김연정 치어 본인은 응원단으로는 재복귀한 2017년에 TK를 응원단상에서 보게 된다.[26] 2009년 본인이 데뷔했을 때 소년가장의 에이스였으며 자신이 떠난 2011년 이후 레전드 박찬호 이후 코리안 메이저리거가 되었으며 11년간 MLB에서 활약했다. 이후 12년 만에 친정인 한화에 돌아오게 된다. 애칭으로 RYU라 쓴다.[27] 지금 NC 팬덤은 김연정을 예전에 있었던 사람 정도로 취급하는 비판이 있으나 그래도 김연정으로 인해 과거 함께했던 대선배였던 이미경과 친정으로 복귀한 김유나와 함께 NC 구단의 인지도 상승에 기여한 부분과 응원 문화를 잘 정착시킨 부분은 부정하지 않고 있으며 감사한 팬들도 있다. 이후 자신과 함께하면서 친분이 생긴 후배인 김수현으로 인해 그 멤버들과 함께 재평가를 받고 있다. 오히려 돌아간 친정인 한화에서 잘되길 바라는 팬도 있다.[28] 그러나 박기량과 김연정은 이 제의를 모두 거절했고, 신소정만 수락해 야구 9단 광고를 찍었다.[29] 이 대목 또한 재해석의 여지는 있다. 먼저 당시 언론사의 분위기 상 자극적인 기사를 쓰기 위해 인물들의 언급을 각색했을 가능성이 있고 무엇보다 박기량이 이 이후에도 리더십 측면에서 부족함을 자주 노출한 점에서 비추어 보면, 박기량과 김연정의 1대1이라기보다는 개인으로서의 능력이나 워크에식은 뛰어나지만 그만큼 높은 잣대로 엄격한 스탠스를 고수하는 리더와 이를 벅차하는 팔로워라는 조직구성의 숙명인 팔로워 측을 대변하는 견제세력의 발생과 리더-팔로워 간의 보이지 않는 벽 발생이 둘의 라이벌리 구도를 즐기는 세간의 분위기와 어우러져 두 사람 간의 갈등으로 해석되었을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30] 그녀의 전공인 영어영문학 또한 승무원이라는 꿈에 기반한 선택이었다고 한다.[31] 본인이 출연한 나무위키 악플읽기 유튜브 영상에서 '예전엔 정말 악귀가 씌인 적이 있었다'고 할 정도로 팀장으로서의 열정이 과다했다고 스스로 인정했다. 실제로 농구황제 마이클 조던도 자신만 아니라 팀 동료들을 몰아세운 적이 있다. 마이클 조던의 경우 사람이 여리고 기복심한 센터 룩 롱리를 그렇게 갈군 적이 있었다. 마이클 조던 - 더 라스트 댄스 참고.[32] 선배로 개명 전 이름은 윤영진. 농구 응원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다.[33] 특히 목나경은 김연정의 가장 성공적인 수제자 중 한 명으로 손꼽힐 정도로 화려한 커리어를 이어가고 있다. 한화 막내 시절부터 김연정과 함께 활동하며 그녀의 노하우를 상당부분 습득했고, 김연정의 품을 떠나 배수현 사단으로 옮긴 후에는 단기간에 적응해 막내 팀장까지 달았으며, 2024년부터는 신생회사로 완전 독립한 후 자신의 이름을 건 목나경 사단을 성공적으로 일궈내기도 했다. 오죽하면 목나경이 배수현 사단에 있을 때 모범적인 모습을 보인 영향으로 김연정의 스카이가 팀장 만드는 회사라는 칭찬을 들었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