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한국프로농구 올스타전 | ||||
2023-24 한국프로농구 올스타전 | ← | 2024-25 한국프로농구 올스타전 | → | 2025-26 한국프로농구 올스타전 |
2024-2025 KCC 프로농구 올스타전 | |
날짜 | 2025년 1월 19일 |
개최지 | 부산광역시, 사직실내체육관 |
주최 | 한국농구연맹 |
후원 | KCC 부산광역시 |
최우수 선수 | 자밀 워니 |
중계 방송사 | 케이블: 온라인: |
[clearfix]
1. 개요
2025년 1월 19일에 열리는 2024-2025 KCC 프로농구 올스타전으로 2017년 이후 8년 만에 부산광역시 사직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된다.2. 후보
<rowcolor=#fff> 팀 | 후보 | ||||
원주 DB | 강상재 | 박인웅 | 이관희 | 알바노 | 오누아쿠 |
서울 삼성 | 이정현 | 이원석 | 최성모 | 구탕 | 최현민 |
고양 소노 | 이정현 | 이재도 | 정희재 | 최승욱 | 김진유 |
서울 SK | 오세근 | 김선형 | 안영준 | 오재현 | 워니 |
창원 LG | 유기상 | 양준석 | 두경민 | 전성현 | 타마요 |
안양 정관장 | 변준형 | 배병준 | 최성원 | 박지훈 | 정효근 |
부산 KCC | 허웅 | 이승현 | 최준용 | 송교창 | 버튼 |
수원 kt | 허훈 | 문정현 | 박준영 | 하윤기 | 해먼즈 |
대구 한국가스공사 | 이대헌 | 김낙현 | 정성우 | 벨란겔 | 니콜슨 |
울산 현대모비스 | 장재석 | 서명진 | 이우석 | 박무빈 | 숀 롱 |
3. 출전 명단
3.1. 팬 투표 결과
<rowcolor=#fff> 순위 | 선수명 | 소속팀 |
1위 | 유기상 | 창원 LG |
2위 | 변준형 | 안양 정관장 |
3위 | 이정현 | 고양 소노 |
4위 | 허훈 | 수원 kt |
5위 | 허웅 | 부산 KCC |
6위 | 이우석 | 울산 현대모비스 |
7위 | 박무빈 | 울산 현대모비스 |
8위 | 최준용 | 부산 KCC |
9위 | 알바노 | 원주 DB |
10위 | 이재도 | 고양 소노 |
3.2. 팬 투표 상위 10인 외 명단
<rowcolor=#fff> 순위 | 선수명 | 소속팀 |
11위 | 박지훈 | 안양 정관장 |
12위 | 이정현 | 서울 삼성 |
13위 | 김선형 | 서울 SK |
14위 | 벨란겔 | 대구 한국가스공사 |
15위 | 문정현 | 수원 kt |
16위 | 이원석 | 서울 삼성 |
17위 | 이관희 | 원주 DB |
18위 | 양준석 | 창원 LG |
19위 | 송교창 | 부산 KCC |
20위 | 오재현 | 서울 SK |
21위 | 워니 | 서울 SK |
22위 | 안영준 | 서울 SK |
23위 | 김낙현 | 대구 한국가스공사 |
24위 | 숀 롱 | 울산 현대모비스 |
4. 드래프트 결과
5. 올스타전 본 경기
팀 크블몽 | 팀 공아지 | ||
감독 | 전희철 | 감독 | 조동현 |
유기상 창원 LG 세이커스 | 허훈 수원 KT 소닉붐 | 변준형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알바노 원주 DB 프로미 |
허웅 부산 KCC 이지스 | 안영준 서울 SK 나이츠 | 이우석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이원석 서울 삼성 썬더스 |
워니 서울 SK 나이츠 | 숀 롱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5.1. 기록지
2024-25 한국프로농구 올스타전 2024-25 KBL ALLSTAR MATCH 1.19(일) 14:00, 사직실내체육관, 9,053명 (매진) 중계방송사: | 캐스터: 정용검 | 해설자: 문경은, 조현일 KBL 카운트다운(프리뷰 쇼) : 정용검, 전태풍, 하지원 | |||||
팀 | 1Q | 2Q | 3Q | 4Q | <colbgcolor=#dcdcdc,#191919> 합계 |
팀 크블몽 | 37 | 41 | 37 | 27 | 142 |
팀 공아지 | 36 | 31 | 35 | 24 | 126 |
팀 크블몽 | 세부 기록 | {{{#000 팀 공아지 }}} |
42/56 (75.00%) | 2점슛 | 38/51 (74.51%) |
17/53 (32.08%) | 3점슛 | 16/45 (32.56%) |
7/10 (70.00%) | 자유투 | 2/3 (66.67%) |
48 | 리바운드 | 37 |
34 | 어시스트 | 29 |
7 | 스틸 | 8 |
1 | 블록 | 1 |
6. 콘테스트
6.1. 3점슛 콘테스트
6.1.1. 참가 명단
6.1.2. 결과
최성모가 26점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최성모는 삼성 역사상 처음으로 올스타전 3점슛 콘테스트에서 우승을 했다.6.2. 덩크슛 콘테스트
6.2.1. 참가 명단
이름 | 소속 구단 |
김보배 | 원주 DB 프로미 |
조준희 | 서울 삼성 썬더스 |
~ |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 |
김건우 | 서울 SK 나이츠 |
이광진 | 창원 LG 세이커스 |
박정웅 |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 |
~ | |
이두원 | 수원 KT 소닉붐 |
손준 |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
이대균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6.2.2. 결과
삼성 조준희가 50점을 기록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삼성 소속으로 2017년 마이클 크레익 이후 8년 만에 우승이다.7. 평가
올스타전의 꽃인 덩크 콘테스트 부터 수준 이하의 덩크슛을 보여주거나 계속 실패만 한 조준희를 일방적으로 편애한다는 논란을 일으켰다. 다만 외국인선수가 1명도 없었던 상황에서 어떻게든 멋진 그림을 만들고자 했던 선수가 조준희가 유일했다 보니 이러한 부분에서 심사위원들이 높은 평가를 줬을 것이다. 3점슛 콘테스트에서는 아무도 주목하지 않았던 삼성의 최성모가 우승하는 이변이 나타나면서 이야기거리를 만든 의미 있던 시간이었다.본게임에서는 나름대로 여러 퍼포먼스를 보여주면서 팬들을 위한 노력은 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025 신명호는 놔두라고 그외 농구로서의 퍼포먼스는 여전히 부족했다.
일부 기자들이 일본 B.리그 올스타전 취재를 떠났다는 것을 마치 KBL 올스타전이 노잼이고 일본 올스타전이 훨씬 수준높고 재밌어서 그런것처럼 호도하기도 하는데 일단 일본 올스타전은 KBL 올스타전 하루 전에 열렸고 콘테스트의 수준은...... 직접 보도록 하자.덩크[9] 3점슛[10] 그 훌륭하다며 입이 마르도록 칭찬하는 경기장 인프라가 아까울 지경이다.
8. 여담
- 2006-07시즌 모비스 이후 18년 만에 타이틀스폰서 홈구장에서 올스타전이 열린다.
- 2016-2017 KCC 프로농구 올스타전 이후 8년 만에 부산에서 개최되는 올스타전이다. 영남권 기준으로 2018-19 시즌 창원 이후 6년만이며 2021-22 시즌 대구 이후 3년만이다.
- 수도권 팀들은 KTX로 8년 만에 부산에 여행가듯이 열차에 탑승했다. 수도권 구단들의 구단 채널에는 소개를 했다.
- 올스타전 전아제인 크블랜드는 작년 고양 시절보다 20명이 적은 팬들을 선발했다. 부산의 핫 플레이스인 민락더마켓에서 레크레이션 게임을 했다.
- 2020년 이후 5년 만에 9,000명 이상이 올스타전을 관전하게 되었다.
- 2024-25시즌부터 KBL 주관방송사가 된 tvN SPORTS의 첫 올스타전 중계 경기이며, 본경기 중계 전 'KBL 카운트다운' 프리뷰 쇼를 진행했다.
- 1, 2위를 차지한 유기상과 변준형은 올스타전 직전 부상으로 인해 시작한지 6초만에 교체되었다. 또한 유기상은 다른 선수들과 달리 계단에서 내려와 춤 추는 입장 퍼포먼스는 진행하지 못하고 바로 코트로 들어왔다.
- 자밀 워니가 2년 연속 MVP를 수상했다. 선수로써 올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밝혔기에 마지막 올스타전이다.
- 치어리더단은 창원 LG 세이커스 세이퀸과 부산 KCC 이지스 스카이걸스의 합동 응원이었다. 치어리더팀은 홈팀 부산 KCC 이지스와 인근의 창원 LG 세이커스의 응원가들이 나왔다. 양팀 대표 스타 치어리더로는 KCC 김연정 치어리더 팀장과 김수현 치어리더 팀장 그리고 LG 송재경 치어리더 팀장과 손지해 치어리더가 함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