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14:07:14

김명곤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문화체육관광부장관.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보처장 (1948~1956)
<nopad> 이승만 정부
초대
김동성
제2대
이철원
제3대
김활란
<nopad> 이승만 정부
제4대
이철원
제5대
안연생
제6대
갈홍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보실장 (1956~1961)
<nopad> 이승만 정부 <nopad> 허정 내각 <nopad> 장면 내각
제6대
갈홍기
제7대
오재경
제8대
전성천
제9대
최치환
제10대
서석순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공보부장관 (1961~1968)
<nopad> 장도영 내각 <nopad> 송요찬 내각 <nopad> 김현철 내각
제11대
심흥선
제12대
오재경
제13대
이원우
제14대
임성희
<nopad> 박정희 정부
제15대
김동성
제16대
이수영
제17대
홍종철
문화공보부장관 (1968~1989)
<nopad> 박정희 정부
제17대
홍종철
제18대
신범식
제19대
윤주영
제20대
이원경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최규하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제21대
김성진
제22대
이규현
제23대
이광표
제24대
이진희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제25대
이원홍
제26대
이웅희
제27대
정한모
제28대
최병렬
1989년 문화부·공보처 분리
문화부장관 (1989~1993)
<nopad> 노태우 정부
제29대
이어령
제30대
이수정
1993년 문화부·체육청소년부 통합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문화체육부장관 (1993~1998)
<nopad> 문민정부
제31대
이민섭
제32대
주돈식
제33대
김영수
제34대
송태호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화관광부장관 (1998~2008)
<nopad> 국민의 정부
제35대
신낙균
제36대
박지원
제37대
김한길
제38대
남궁진
제39대
김성재
<nopad> 참여정부
제40대
이창동
제41대
정동채
제42대
김명곤
제43대
김종민
2008년 문화관광부·국정홍보처 통합
문화체육관광부장관 (2008~현재)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제44대
유인촌
제45대
정병국
제46대
최광식
제47대
유진룡
제48대
김종덕
<nopad> 박근혜 정부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9대
조윤선
제50대
도종환
제51대
박양우
제52대
황희
제53대
박보균
<nopad> 윤석열 정부
제54대
유인촌
}}}}}}}}}
김명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근정훈장 수훈자
파일:청조근정훈장 정장.png
<colbgcolor=#980000><colcolor=#EDE4D3> 연도 <colbgcolor=#EDE4D3><colcolor=#980000> 2007년
이름 김명곤
소속 문화관광부
청조근정훈장(1등급)

{{{#white 역대}}} 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
파일:bluedragonawards3.png
남우주연상
제13회
(1992년)
제14회
(1993년)
제15회
(1994년)
문성근
(경마장 가는 길)
김명곤
(서편제)
문성근
(너에게 나를 보낸다)
박중훈
(게임의 법칙)
}}} ||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대한민국 제42대 문화관광부장관
김명곤
金明坤 | Kim Myung-gon
파일:287-8719_IMG_small2_.jpg
출생 1952년 12월 3일 ([age(1952-12-03)]세)
전라북도 전주시
(現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
본관 김해 김씨
재임기간 제42대 문화관광부장관
2006년 3월 27일 ~ 2007년 5월 7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 가족 배우자 정선옥[1], 슬하 1남 1녀
학력 전주국민학교 (졸업)
전주북중학교 (졸업)
전주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학 / 학사)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신문방송학 / 석사[2])
신체 168cm, 63kg
종교 개신교[3]
데뷔 1983년 영화 '바보선언'
경력 배화여자고등학교 교사
국립극장 극장장 (국민의 정부)
제42대 문화관광부장관 (참여정부)
세종문화회관 이사장
마포문화재단 이사장
}}}}}}}}}

1. 개요2. 생애3. 주요 출연작
3.1. 영화3.2. 드라마3.3. 애니메이션
4. 수상 내역5. 강제추행 사건6. 여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왜놈 노래, 양놈 노래가 판소리에 당하기나 하냐?

이제부터는 니 응어리진 한에 파묻히지 말고 그 한을 넘어서는 소리를 혀라... 동편제는 무겁고 매짐새가 분명하다면은 서편제는 애절하고 정한이 많다고들 하지. 허지만 한을 넘어서게 된다믄 동편제도 서편제도 없고 득음의 경지만이 있을 뿐이다...

- 영화 서편제에서 유봉의 대사 중

대한민국배우, 제42대 문화관광부장관.

2. 생애

1952년 12월 3일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에서 태어났다. 전주초등학교, 전주북중학교, 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독어교육과를 졸업하고 2005년 동국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에서 신문방송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서울대학교 재학 시절 연극배우로 활동하였으나 1976년 대학교 졸업 후에는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잡지사 뿌리깊은 나무 기자, 1978년부터 1979년까지 배화여자고등학교 독일어 과목 교사 등으로 재직하는 등 여러 직업을 거쳤다.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시리즈를 번역하기도 했다.#[4]

그 뒤 다시 배우[5]로 복귀하여 1983년 영화 <바보선언>으로 스타덤에 올랐다. 그 후 영화 서편제, 태백산맥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였다. 연극 연출, 각본에 일가견이 있어 영화 서편제의 각본을 직접 쓰기도 했으며, 같은 작품에서 좋은 연기를 보여주어 1993년 청룡영화제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1986년 극단 <아리랑>을 창단했고, 국민의 정부 시절인 2000년부터 6년간 국립극장장을, 참여정부 중기(2006년) 문화관광부장관을 지내기도 했으며, 디즈니 애니메이션 알라딘에서 지니 성우를 맡기도 했다. 이 더빙에서 노래도 직접 불렀는데, 원작 더빙의 로빈 윌리엄스와 비교해도 전혀 뒤지지 않을만큼 매우 훌륭한 실력을 보여주었다. 영화 명량에서는 토도 타카토라 역을 맡아 인상깊은 악역 연기를 보여주었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세종문화회관 이사장을 역임했다.

3. 주요 출연작

3.1. 영화

3.2. 드라마

방영 연도 방송사 제목 배역 비고
1982년 파일:KBS 1TV 로고(1980-1984).svg 그 여름의 이틀
1986년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형사 25시
1988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배비장전 배비장
1989년 지리산
1993년 떠도는 혼 표기자 6.25 특집극
1997년 파일:MBC 로고(1986-2005).svg 신옹고집전 옹고집 설날 특집극
1998년 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 나는 집으로 간다 사진작가
2008년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대왕 세종 옥환
2012년 각시탈 양백
2014년 왕의 얼굴 송내관
2015년 파일:MBC 로고.svg 밤을 걷는 선비 노창선
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 드라마 스페셜 - 붉은 달 영조
2017년 파일:tvN 로고(2012-2021).svg 명불허전 마성태
2018년 파일:JTBC 로고.svg 미스티 정대한
파일:SBS 로고.svg 친애하는 판사님께 오대양
2022년 파일:넷플릭스 로고.svg 글리치

3.3. 애니메이션

4. 수상 내역

  • 1992년 제1회 어린이연극제 연출상
  • 1992년 제1회 어린이연극제 최우수작품상
  • 1993년 제13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남우주연상
  • 1993년 제14회 청룡영화상 남우주연상
  • 1995년 자랑스런 서울시민상
  • 1995년 제1회 현대연극상 연출상
  • 1997년 연극평론가협회 1996년 올해의 연극 베스트3
  • 2006년 APEC 2005 KOREA 유공 포장
  • 2007년 대한민국 청조근정훈장(1등급) 수훈
  • 2017년 은관문화훈장 수훈
  • 2019년 전주고등학교 100주년 기념 '자랑스러운 전고인' 상

5. 강제추행 사건

2024년 1월경,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의해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되었다. 기소 사유는, 2014년 5월쯤 자신이 총연출을 맡은 뮤지컬 제작 과정에서 업무상 하급자인 피해자와 대화하던 도중 피해자가 원하지 않는 신체 접촉인 손을 2차례 잡은 혐의를 받고 있다. 김명곤은 이 부분을 재판에서 소명할 것으로 밝혔다. 연합뉴스#

1심 재판에서 본인의 혐의를 인정하였다. 연합뉴스#

2024년 6월 13일, 징역 4개월에 집행유예 1년, 40시간의 성폭력 치료 강의 수강을 선고받았다. 김명곤은 2,000만 원을 공탁했지만 피해자가 엄벌을 탄원했다. 스포티비뉴스#

6. 여담

  • "100인의 배우, 우리 문학을 읽다" 라는 오디오북에서 이효석의 <모밀꽃 필 무렵>을 읽었다.

7. 둘러보기

{{{#!wiki style="border-top: 0px none; border-left: 10px solid #FFD918; border-right: 10px solid #FFD918; text-align: center; margin: -6px -11px; padding: 7px; min-height: 34px"
{{{#!wiki style="margin: 0 -16px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word-break: keep-all"
직위 명단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장관 <colcolor=#D6C94D> 김진표이헌재한덕수권오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장관 윤덕홍안병영이기준김진표김병준김신일
과학기술부장관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박호군오명김우식
통일부장관 정세현정동영이종석이재정
외교통상부장관 윤영관반기문송민순
법무부장관 강금실김승규천정배김성호정성진
국방부장관 조영길윤광웅김장수
행정자치부장관 김두관허성관오영교이용섭박명재
문화관광부장관 이창동정동채김명곤김종민
농림부장관 김영진허상만박홍수임상규
산업자원부장관 윤진식이희범정세균김영주
정보통신부장관 진대제노준형유영환
보건복지부장관 김화중김근태유시민변재진
환경부장관 한명숙곽결호이재용이치범이규용
노동부장관 권기홍김대환이상수
여성가족부장관 지은희장하진
건설교통부장관 최종찬강동석추병직이용섭
해양수산부장관 허성관최낙정장승우오거돈김성진강무현
기획예산처장관 박봉흠김병일변양균장병완}}}
}}}}}}}}}




[1] 배화여자고등학교 독일어 교사로 일하던 시절에 가르치던 학생 중 하나였다고 한다.[2] 석사 학위 논문: 극장의 대(對)고객 커뮤니케이션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국립극장의 사례를 중심으로 (2005)[3] 침례회 교인이다.[4] 당시 1, 3, 4, 5권은 김명곤이, 2권은 차미례가 번역했다. 뒷권 쪽으로 가면 역자의 말 부분에 이런 재미만 있는 이야기가 무슨 교훈이 있느냐는 셀프디스까지 적어 놓는데, 번역가의 반복 교체도 그렇고, 이 번역이 업적으로 널리 알려지지도 않은 것을 보면, 출판사와 번역가 사이에 뭔가 뒷사정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5] 그 이전에도 연극배우를 직장인으로 할 수 있는 범위, 즉 겸직의 수준 내에서는 최대한 했었다. 1970년대말이나 1980년에도 연극을 했다.[6] 본래 타이틀명은 서울 예수 였으나, 개신교 협회의 집단 반발로 인해 황제로 바뀌었다.[7] 청나라의 실제 인물이었던 이홍장 장군은 아니다. 다만 극중 역할로 봐서 이 인물의 이름을 이렇게 지은 것에 영향을 준 것은 맞는 것으로 보인다.[8] 최일화의 성추행 사건으로 통편집 후 대체배우로 투입.[9] 독립 단편 영화[10] 원제가 <Matin Calme(고요한 아침)>인 프랑스 영화이다.[11] 영어판 로빈 윌리엄스의 절륜한 싱크로율과 호연을 감안하면 비성우임에도 지니 특유의 익살스러움을 잘 살렸다. 특히 더빙판 번역 역시 영화판 TV시리즈 가릴 것 없이 상당히 찰지게 된 편인데 이런 대사들도 굉장히 잘 살린 편. 목소리도 원판의 로빈 윌리암스와 상당히 비슷한 느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