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롯데기공의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내용은 [[롯데인벤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롯데인벤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롯데인벤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롯데기공의 아파트 브랜드: }}}[[롯데인벤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롯데인벤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롯데인벤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시공능력평가순위(도급순위 )가 산정되는 민간 건설사의 브랜드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bgcolor=#fff,#1c1d1f>
공기업의 브랜드 ||
}}}}}} ||
1 . 개요2 . BI/전용 색상3 . 특징4 . 기타 브랜드5 . 지역별 단지 현황6 . 외부 링크7 . 사건사고8 . 기타9 . 관련 문서
Live Classic 지금도 살아 숨쉬는 나만의 클래식
롯데캐슬(LOTTE CASTLE ) 은 1999년 부터 롯데건설 에서 건설하고 있는 아파트에 붙이는 브랜드명이다. 정확히는 1999년 2월 23일에 런칭하였고, 서초 롯데캐슬 84(2001년 입주) 아파트부터 롯데캐슬 브랜드를 붙이기 시작하였다.2. BI/전용 색상 초기 BI(1999~2006) 1차 수정 BI(2006~2016) 2차 BI(2016~2024) 2차 수정 BI(2024~)
아파트 단지 구분을 위하여 롯데캐슬 뒤에 카이저, 골드, 레전드, 그랜드, 프레스티지, 리버파크, 더 퍼스트, 킹덤, 피렌체, 알바트로스 등의 영문 펫네임 을 붙이기도 하며, 롯데캐슬 천지인같은 동양적인 느낌의 이름을 붙인 단지도 일부 존재한다. 롯데건설이 아파트 시공권 수주에는 굉장히 적극적이라 롯데캐슬은 대기업 건설사 브랜드중 가장 흔한 아파트 브랜드이기도 하다. 광역시급 이상의 도시나 경기도에는 동네마다 롯데캐슬 단지가 하나씩은 있을정도. 심지어 도심 재개발 이 진행중인 지역이나, 신도시 지역에는 한 동 안에 롯데캐슬 단지가 2~3개씩 있는경우도 흔하다. 위에 서술된 롯데캐슬 단지명에 펫네임이 많이 붙는 이유이기도 하다. 롯데캐슬의 상위급 고급 아파트 브랜드로는 르엘 , '롯데캐슬 시그니처'라는 특화 아파트 브랜드가 있다. 시그니처는 기존 롯데캐슬에 약간 특화 설계를 적용한 롯데캐슬과 르엘의 사이급 브랜드이다. 고급 브랜드인 르엘이 런칭되기 전에는 롯데건설의 고급 브랜드로 사용될 예정이었으나, 최종적으로 르엘이 고급 아파트 브랜드로 사용되고 롯데캐슬 시그니처는 특화 브랜드 정도로 가지고 가게 되었다.자이 , 래미안 , 힐스테이트 등과 함께 고품격이나 고급스러움을 상당히 강조하는 브랜드이다. 그중에서도 자이 나 래미안 이 미래지향적인 첨단적 이미지의 고급스러움을 지향한다면 롯데캐슬은 힐스테이트 와 함께 웅장하며 화려한 전통적인 고급스러움을 지향하였지만 2016년 BI변경 이후부터는 트렌디한 컨셉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 도시형 최고급 아파트를 컨셉으로 삼고 롯데캐슬이라는 명칭답게 아파트 이미지를 성이 주는 중후하고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기 위해 저층부 외벽을 화강석으로 마무리하거나 상당히 우수한 조경 시설을 만들어놓는다. 실제로 조경 부분에서는 롯데캐슬이 아파트 브랜드중 조경이 우수하다는 평이 많은데 롯데건설의 조경 팀이 훌륭한 편이기도 하다. 또 유럽의 개선문 을 떠올리게 하는 캐슬 게이트 는 롯데캐슬만의 특화된 문주 라고 한다. 다만 일부 아파트에는 캐슬 게이트 대신 다른 디자인의 문주가 들어가는 경우가 있으니 확인해보자. 2006년 4월 11일, 롯데건설의 CI와 롯데캐슬의 BI가 동시에 교체되었다. # 롯데그룹 이 2011년 '쓰리엘' 로고를 버린 이후에 로고 안 독수리의 가슴에 있던 쓰리엘 로고를 세리프체의 'LOTTE CASTLE'로 바꾸었다. 그러나 2016년, 로고를 새롭게 개편하면서 완전히 사라졌다. 2021년 부동산114 의 아파트 브랜드 주거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주거만족도가 가장 높은 아파트 4위로 조사되었다. # 3.1. 롯데캐슬 2.0 롯데캐슬 2.0
<rowcolor=#8a2432> 구형 캐슬 게이트 신형 캐슬 게이트
16년 2월, BI를 개편하며 새로운 외관 디자인 '롯데캐슬 2.0'을 선보였다. 이에 롯데캐슬의 아파트 외벽 도색 컨셉 또한 바뀌었는데 기존의 누런 황색톤의 도색에서 그레이톤 배경에 기와를 연상하게하는 빨간색, 파란색 옥탑장식을 포인트로 다는 도시적인 컨셉으로 바뀌었다. 또한 문주인 캐슬 게이트 디자인도 같이 변경이 되었는데 기존의 캐슬 게이트는 웅장함이나 무게감을 중시해서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지만 반대로 늙어보이고 노티난다거나 촌스럽다는 의견 또한 많았다. 새로운 디자인의 캐슬 게이트는 최근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더 단정해진 고급스러운 느낌의 디자인을 적용하였다. 2016년에 롯데캐슬 2.0이 등장함으로써 2014년~2015년에 기존 디자인으로 분양하고 2016년 공사중이던 롯데캐슬 아파트들의 입주 예정자들 상당수가 자신들의 아파트에도 신형 로고와 신형 문주와 신형 디자인으로 시공해줄것을 요구하고 있다. 롯데건설측도 본인들의 새 로고 홍보를 위해서라도 로고의 경우 신형으로 달아줄 예정이라고 하나 문주나 디자인 등은 입주 예정자와 롯데건설간 협의가 필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롯데건설측에서는 설계때부터 롯데캐슬 2.0을 반영해야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취하며 BI의 경우 신형으로 달아주었지만, 문주나 디자인 등은 기존 롯데캐슬의 디자인 그대로 건설되었다. 실제로 과도기에 입주한 오창 롯데캐슬 더 하이스트 와 운정 롯데캐슬 파크타운 에는 BI만 새로 적용되었을뿐 기존 디자인과 문주 그대로 건설되었다.기사 3.2. 롯데캐슬 3.0 롯데캐슬 3.0
롯데캐슬 3.0 캐슬 게이트
2019년 1월, 롯데건설 은 롯데캐슬 2.0 리뉴얼 2년여만에 다시 새롭게 롯데캐슬 3.0으로의 리뉴얼을 진행했다. # 새롭게 바뀐 롯데캐슬 3.0은 과거 2.0 시절의 빨간색, 파란색 옥탑장식 포인트를 제거하고, 검은 바탕에 와인색, 하얀색의 긴 세로줄로 디자인되었다. 과거 롯데캐슬 2.0으로의 과도기 때와 마찬가지로, 롯데캐슬 3.0으로 넘어갈때도 분양 당시 롯데캐슬 2.0이 적용된 단지들은 그대로 2.0으로 입주했다. 롯데캐슬 3.0이 적용되어 입주한 첫 단지는 춘천 롯데캐슬 위너클래스 이다.4. 기타 브랜드 낙천대(1998~2006)
원래는 롯데건설에서 짓는 일반형 아파트에 붙이는 브랜드인 '롯데 낙천대'와 고급형 아파트에 붙이는 하이엔드 브랜드인 '롯데캐슬' 2가지 브랜드가 롯데건설의 아파트 브랜드였으나, 2006년 하반기부터 롯데건설은 롯데캐슬로 아파트 브랜드를 일원화하면서 '롯데 낙천대' 브랜드는 폐지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 롯데낙천대 아파트들도 상당수 롯데캐슬로 단지 이름을 바꾸었다. 여담이지만,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에서 롯데캐슬 정류장을 중국어로 표기할 때 이 명칭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4.2. 르엘(LE | EL) 자세한 내용은 르엘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르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르엘#|]][[르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루미니 문서#!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루미니#|]][[루미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지역별 단지 현황한국토지주택공사 (대한주택공사 )가 시행한 아파트는 를, 지역주택조합 이 시행한 아파트는 을 표기한다.오피스텔 은 를, 도시형 생활주택 은 을, 연립주택 은 을 표기한다. 아파트와 오피스텔이 혼재된 주상복합 단지의 경우, 따로 표기하지 않고 세대수만 각주로 분리해서 작성한다.생활숙박시설 은 을 표기한다.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설악아파트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426세대 1978년 9월 목동 신시가지 4단지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1,382세대 1986년 9월 올림픽선수기자촌 서울특별시 송파구 방이동 5,540세대 1988년 12월 올림픽훼밀리타운 서울특별시 송파구 문정동 4,494세대 1988년 12월 경남롯데상아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 1,890세대 1989년 6월 보라매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98세대 1997년 10월 서초 롯데아파트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30세대 1998년 4월 구로 롯데아파트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 718세대 1999년 11월 천호 롯데아파트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동 114세대 1999년 11월 삼성 롯데아파트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339세대 2000년 4월 휘경 롯데아파트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 265세대 2000년 8월 서초 롯데캐슬 84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84세대 2001년 2월 평창동 롯데낙천대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156세대 2001년 4월 대치동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42세대 2002년 6월 잠원 롯데캐슬 갤럭시 1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256세대 2002년 8월 금호동 롯데아파트 서울특별시 성동구 금호동 249세대 2003년 1월 서초 롯데캐슬 스파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58세대 2003년 5월 휘경 롯데낙천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휘경동 239세대 2003년 7월 보라매 롯데낙천대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734세대 2003년 8월 우장산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1,164세대 2003년 8월 도곡 롯데캐슬 모닝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60세대 2003년 9월 성수 롯데캐슬 파크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604세대 2003년 9월 사당동 롯데캐슬 샤인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444세대 2003년 9월 방배 롯데캐슬 포레스트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60세대 2003년 11월 서초 롯데캐슬 주피터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10세대 2003년 11월 송파 롯데캐슬 파인힐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 102세대 2003년 12월 강남역 롯데 골드로즈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310세대 2004년 2월 잠원동 롯데캐슬 갤럭시 2차 서울특별시 서초구 잠원동 428세대 2004년 4월 사당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223세대 2004년 9월 숭인동 롯데캐슬 천지인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419세대 2004년 9월 신정동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230세대 2004년 11월 염창 롯데캐슬 스카이 서울특별시 강서구 염창동 284세대 2005년 3월 서초 롯데캐슬 리버티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132세대 2005년 4월 롯데캐슬 엠파이어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06세대 2005년 5월 목동 롯데캐슬 위너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1,067세대 2005년 6월 롯데캐슬골드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400세대 2005년 11월 삼성동 롯데캐슬 킹덤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118세대 2005년 11월 롯데캐슬 아이비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445세대 2005년 12월 서초롯데캐슬클래식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990세대 2006년 6월 방배 롯데캐슬 헤론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337세대 2006년 6월 월계동 롯데캐슬 루나 서울특별시 노원구 월계동 850세대 2006년 11월 대치동 롯데캐슬리베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44세대 2006년 12월 삼성동 롯데캐슬 프레미어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713세대 2007년 3월 롯데캐슬베네치아 서울특별시 중구 황학동 1,870세대 2008년 4월 수명산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215세대 2008년 6월 강동 롯데캐슬 퍼스트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3,226세대 2008년 9월 롯데캐슬 프레지던트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 232세대 2009년 2월 용두동 롯데캐슬 피렌체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435세대 2009년 2월 평창 롯데캐슬 로잔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112세대 2009년 3월 서초 롯데캐슬 메디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50세대 2010년 2월 상도 롯데캐슬 비엔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141세대 2010년 7월 양천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317세대 2010년 10월 남산 롯데캐슬 아이리스 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1가 386세대 2011년 10월 불광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588세대 2013년 9월 방배 롯데캐슬 아르떼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774세대 2013년 11월 신정뉴타운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 930세대 2014년 2월 서초 롯데캐슬 프레지던트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280세대 2014년 11월 용두 롯데캐슬 리치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 311세대 2015년 3월 덕수궁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중구 순화동 296세대 2016년 7월 금천 롯데캐슬 골드파크 1차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1,743세대 2016년 11월 꿈의숲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615세대 2017년 2월 당산역 롯데캐슬 프레스티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동4가 198세대 2017년 7월 금천 롯데캐슬 골드파크 2차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292세대 2017년 9월 오류동 행복주택 서울특별시 구로구 오류동 890세대 2018년 2월 목동 롯데캐슬 마에스트로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410세대 2018년 6월 동대문 롯데캐슬 노블레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584세대 2018년 6월 금천 롯데캐슬 골드파크 3차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1,236세대 2018년 10월 흑석뉴타운 롯데캐슬 에듀포레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동 545세대 2018년 11월 불광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588세대 2018년 11월 경희궁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종로구 무악동 195세대 2019년 1월 롯데캐슬 골든힐스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399세대 2019년 1월 금천 롯데캐슬 골드파크 타워 960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960실 2019년 3월 용산 롯데캐슬 센터포레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478세대 2019년 4월 삼성 롯데캐슬 클라쎄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 287세대 2019년 10월 나인원 한남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341세대 2019년 11월 고덕 롯데캐슬 베네루체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1,859세대 2019년 12월 사당 롯데캐슬 골든포레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959 세대 2020년 2월 문래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문래동6가 737세대 2020년 4월 녹번역 e편한세상 캐슬 서울특별시 은평구 응암동 2,441세대 2020년 5월 DMC 롯데캐슬 더 퍼스트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 1,192세대 2020년 7월 상도역 롯데캐슬 파크엘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 885세대 2021년 2월 독산역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금천구 독산동 927세대 2021년 5월 롯데캐슬 클라시아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2,029세대 2022년 1월 송파 시그니처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송파구 거여동 1,945세대 2022년 1월 노원 롯데캐슬 시그니처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1,163세대 2023년 6월 롯데캐슬 리버파크 시그니처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 878세대 2023년 7월 청량리역 롯데캐슬 SKY-L65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1,425세대 2023년 7월 아스티 논현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81실 2023년 9월 길음역 롯데캐슬 트윈골드 서울특별시 성북구 길음동 395세대 2024년 4월 롯데캐슬 르웨스트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 876세대 2024년 8월 올림픽파크 포레온 서울특별시 강동구 둔촌동 12,032세대 2024년 11월 롯데캐슬 이스트폴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동 1,363세대 2025년 3월 도봉 롯데캐슬 골든파크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282세대 2025년 7월 (예정) VL르웨스트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동 810세대 2025년 8월 (예정) 리버센 SK VIEW 롯데캐슬 서울특별시 중랑구 중화동 1,055세대 2025년 11월 (예정) 청량리 롯데캐슬 하이루체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761세대 2026년 4월 (예정)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1,223세대 2027년 4월 (예정) 남영역 롯데캐슬 헤리티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남영동 269세대 2025년 6월 (예정) 북한산 시그니처 캐슬 서울특별시 은평구 갈현동 4,116세대 미정 리버티지 강동 서울특별시 강동구 암사동 3,328세대 미정 신월곡1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 2,728세대 미정 신림2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 1,487세대 미정 목동 우성2차 리모델링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정동 1,311세대 미정 성수1구역 재건축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동 272세대 미정 봉천1-1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 741세대 미정 미아3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강북구 미아동 1,037세대 미정 돈암6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889세대 미정 이문4재정비촉진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3,628세대 미정 청량리8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610세대 미정 천호우성아파트 재건축 서울특별시 강동구 천호동 629세대 미정 전농8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전농동 1,750세대 미정 상계5구역 재개발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 2,016세대 미정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해운대 롯데아파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852세대 1993년 7월 해운대 롯데2차아파트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214세대 1998년 4월 해운대 롯데3차아파트 824세대 1997년 11월 해운대 롯데4차아파트 842세대 1999년 10월 거제 롯데캐슬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540세대 2001년 12월 화명 롯데낙천대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1,950세대 2002년 10월 해운대 롯데캐슬 비치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204세대 2003년 1월 롯데캐슬 자이언트 부산광역시 수영구 민락동 591세대 2003년 12월 해운대 롯데캐슬 마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780세대 2004년 10월 덕천 롯데아파트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 705세대 2004년 12월 센텀 롯데캐슬 1차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1,198세대 2004년 10월 서면 롯데캐슬 스카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전포동 1,395세대 2004년 12월 센텀 롯데캐슬 2차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1,166세대 2005년 2월 신영도 롯데낙천대 부산광역시 영도구 청학동 528세대 2005년 10월 센텀 롯데캐슬 3차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여동 517세대 2005년 12월 해운대 롯데캐슬 마스터 I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 200세대 2005년 12월 구서 롯데캐슬 골드 부산광역시 금정구 구서동 3,654세대 2006년 2월 롯데 골드로즈 부산광역시 수영구 광안동 299세대 2006년 6월 시청역 롯데 골드로즈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506세대 2006년 12월 롯데캐슬 아인스 부산광역시 남구 용호동 430세대 2007년 1월 동래 롯데캐슬 애브뉴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 172세대 2007년 5월 해운대 롯데캐슬 마스터 II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242세대 2007년 10월 화명 롯데캐슬 멤버스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299세대 2007년 11월 다대 롯데캐슬 몰운대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3,462세대 2007년 11월 정관 롯데캐슬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761세대 2008년 11월 명지 롯데캐슬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 1,122세대 2008년 12월 부곡 롯데캐슬 디아망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곡동 311세대 2010년 1월 엄궁 롯데캐슬 리버 부산광역시 사상구 엄궁동 1,852세대 2010년 5월 개금 롯데캐슬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개금동 489세대 2010년 11월 거제 롯데캐슬 피렌체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364세대 2011년 1월 화명 롯데캐슬 카이저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5,239세대 2012년 6월 정관 롯데캐슬 2차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911세대 2013년 6월 다대 롯데캐슬 블루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동 1,326세대 2014년 8월 대신 롯데캐슬 부산광역시 서구 서대신동3가 753세대 2014년 11월 대연 롯데캐슬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564세대 2015년 1월 사직 롯데캐슬 더 클래식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동 1,064세대 2017년 1월 롯데캐슬 블루오션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 381세대 2017년 8월 대연 롯데캐슬 레전드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3,149세대 2018년 2월 연제 롯데캐슬 앤 데시앙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1,168세대 2018년 10월 연산 롯데캐슬 골드포레 1,230세대 2020년 7월 해운대 롯데캐슬 스타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중동 906세대 2020년 9월 동래 롯데캐슬 퀸 부산광역시 동래구 명륜동 211세대 2020년 12월 가야 롯데캐슬 골드아너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935세대 2022년 9월 하단 롯데캐슬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356세대 2022년 10월 주례 롯데캐슬 골드스마트 부산광역시 사상구 주례동 998세대 2022년 11월 서면 롯데캐슬 엘루체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 802세대 2023년 9월 롯데캐슬 라센트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 2,195세대 2023년 12월 롯데캐슬 드메르 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 1,221세대 2025년 8월 (예정) 가야역 롯데캐슬 스카이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805세대 2025년 11월 (예정) 롯데캐슬 인피니엘 부산광역시 남구 문현동 709세대 2026년 6월 (예정) 양정 롯데캐슬 프론티엘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양정동 903세대 2027년 3월 (예정) 대연 디아이엘 부산광역시 남구 대연동 4,488세대 2027년 4월 (예정) 동래 롯데캐슬 시그니처 부산광역시 동래구 수안동 870세대 2027년 11월 (예정) 범일 롯데캐슬 시그니처 부산광역시 동구 범일동 1,456세대 미정 프레스티아 캐슬 부산광역시 금정구 서동 2,368세대 미정 괴정6구역 재개발 부산광역시 사하구 괴정동 692세대 미정 거제1구역 재건축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 683세대 미정 초읍1구역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초읍동 1,795세대 미정 힐스테이트 롯데캐슬 센텀스카이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 2,803세대 미정 롯데캐슬 아스테온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동 2,003세대 미정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연수 롯데아파트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320세대 1993년 8월 도두리마을 롯데.동남아파트 인천광역시 계양구 작전동 1,282세대 1997년 10월 구월 힐스테이트 롯데캐슬골드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8,934세대 2007년 8월 서창 퍼스트뷰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창동 1,196세대 2012년 6월 송도 롯데캐슬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643세대 2012년 11월 청라 롯데캐슬 인천광역시 서구 청라동 828세대 2013년 2월 송도 캐슬&해모로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동 1,439세대 2013년 10월 롯데캐슬 캠퍼스타운 3,065세대 2016년 3월 송도 캐슬 센트럴파크 462실 2019년 10월 주안 캐슬&더샵 에듀포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안동 1,856세대 2022년 7월 부평 캐슬&더샵 퍼스트 인천광역시 부평구 청천동 1,623세대 2023년 11월 검단신도시 롯데캐슬 넥스티엘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동 372세대 2026년 4월 (예정) 계양 롯데캐슬 파크시티 인천광역시 계양구 효성동 3,053세대 2027년 11월 (예정) 부평 e편한세상&캐슬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평동 2,143세대 미정 구월동 1446번지 일원 공동주택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동 1,000세대 미정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초월 롯데캐슬 광주시 초월읍 398세대 2004년 7월 초월 롯데낙천대 2단지 418세대 2004년 7월 오포 롯데캐슬 포레스트 광주시 능평동 204세대 2008년 12월 광주 쌍령공원 민간특례사업 광주시 쌍령동 767세대 미정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묘향 롯데아파트 군포시 산본동 784세대 1993년 7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다산롯데낙천대 남양주시 다산동 708세대 2005년 10월 남양주 진접 롯데캐슬 남양주시 진접읍 484세대 2009년 7월 다산 롯데캐슬 남양주시 다산동 1,186세대 2018년 1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향촌마을 롯데아파트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530세대 1993년 3월 비산 롯데캐슬 안양시 동안구 비산동 955세대 2003년 9월 종합운동장 북측구역 재개발 1,283세대 미정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평택 롯데캐슬 평택시 서정동 828세대 2010년 2월 비전 롯데캐슬 평택시 비전동 553세대 2011년 2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위례 롯데캐슬 하남시 학암동 1,673세대 2016년 2월 하남미사 롯데캐슬 스타 하남시 망월동 984세대 2019년 12월 하남미사 롯데캐슬 헤븐시티Ⅰ 439세대 2020년 1월 하남미사 롯데캐슬 헤븐시티Ⅱ 647세대 2020년 1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강릉 교동 롯데캐슬 1단지 강릉시 교동 286세대 2009년 12월 강릉 교동 롯데캐슬 2단지 295세대 2009년 12월 강릉 롯데캐슬 시그니처 1,305세대 2024년 11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천곡동 롯데아파트 동해시 천곡동 166세대 1996년 12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제천 장락 롯데캐슬 제천시 장락동 342세대 2008년 10월 강저 롯데캐슬 프리미어 제천시 강제동 863세대 2017년 8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당진 롯데캐슬 당진시 송악읍 706세대 2012년 4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서산 롯데캐슬 서산시 읍내동 790세대 2006년 10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배방 롯데캐슬 아산시 배방읍 704세대 2008년 1월 아산모종 캐슬어울림 1차 아산시 모종동 792세대 2017년 2월 아산모종 캐슬어울림 2차 794세대 2017년 6월 아산모종 캐슬어울림 3차 516세대 2017년 2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내포신도시 롯데캐슬 홍성군 홍북읍 885세대 2012년 12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나운 1차 롯데아파트 군산시 나운동 420세대 1991년 3월 나운 2차 롯데아파트 460세대 1992년 8월 나운 3차 롯데아파트 572세대 1994년 6월 나운 4차 롯데아파트 210세대 1996년 4월 군산 은파 롯데캐슬 군산시 미룡동 307세대 2007년 9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롯데케미칼 여수시 선원동 780세대 미정 여수 웅천 캐슬디아트 여수시 웅천동 400세대 2021년 10월 여수 웅천캐슬스타 524실 2022년 3월 웅천 롯데캐슬 마리나 550실 2022년 6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하양 롯데아파트 경산시 하양읍 724세대 1999년 3월 하양 롯데낙천대 2차 486세대 2006년 7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안동 롯데캐슬 안동시 태화동 246세대 2009년 6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두호 롯데아파트 포항시 북구 두호동 300세대 1990년 11월 장성 롯데낙천대 포항시 북구 장성동 820세대 2004년 3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거제 롯데캐슬 아일랜드 거제시 능포동 408세대 2006년 10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롯데캐슬 가야1단지 김해시 동상동 482세대 2005년 12월 롯데캐슬 가야2단지 214세대 김해 구산 롯데캐슬 시그니처 김해시 구산동 714세대 2027년 9월 (예정) 지내동 공동주택 김해시 지내동 630세대 2027년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양산신도시 청어람 양산시 남부동 1,724세대 2005년 1월 양산 롯데캐슬 양산시 주진동 623세대 2016년 8월 사송 롯데캐슬 양산시 동면 903세대 2024년 6월
<rowcolor=#fff> 단지명 소재지 규모 입주 평거4단지 LH 휴먼시아 진주시 평거동 706세대 2011년 9월
6. 외부 링크7. 사건사고아파트 배선 잘못으로 옆집 전기요금 7년간 1,600만원 더 부담 - 서울 서초구 방배동 에 위치한 롯데캐슬 아파트에서 롯데건설 의 설계미스로 203호와 204호의 계량기가 서로 바뀌는 바람에 7년간 203호의 주민은 204호에서 사용한 전기요금을 냈고 204호에선 203호에서 사용한 전기 요금을 내고 있었다. 문제는 204호의 전기 사용량이 203호 사용량의 3배가 넘기도 해서 203호 입주민인 이씨가 204호의 전기요금을 대신 내는 과정에서 203호의 원래 요금에서 1,600만원을 더 냈다고 한다. 이 문제에 대해 처음에는 전액변상이 아닌 일부만 변상하는 어처구니 없는 태도를 보였다는데 연합뉴스 취재가 시작되자 전액변상하겠다고 태도가 손바닥 뒤집듯이 바뀐 것.1층에 출입구 없는 황당한 아파트 2017년 완공된 제천시 강저 롯데캐슬 프리미어의 경우 출입문이 주차장 출입구 내에만 있어 주민들이 불편을 호소하고 있었다. 결국 1층에도 아파트 출입문을 추가로 설치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2024년 5월 3일 13:30쯤 시멘트 타설 작업 중이던 롯데캐슬 르웨스트 지하주차장 바닥이 붕괴해 현장에 있던 노동자 2명이 부상을 입었다.# * 서초 롯데캐슬 84를 분양할 당시에는 롯데캐슬 우표도 만들기도 했다.
캐슬(성 )이라는 이름에 얽힌 우스갯소리가 있다. 한 해외 유학생이 장학금을 신청하면서 한국의 주소를 적었는데, 'CASTLE'이라는 주소만 보고 학교측이 해당 학생을 귀족 으로 착각하고 장학금 지급을 거부했다는 것(...) 물론 웃자고 하는 얘기다. 또 롯데캐슬 뒤에 붙는 펫네임이 대부분 카이저, 더 클래식, 프레지던트, 레전드, 스카이 클래스, 골드파크 등 보그체 인 까닭에, 한국사람한테는 멋있고 웅장한 이름으로 보이지만 영미권과 서유럽권 외국인들은 아파트 이름에다가 무슨 대통령이니 전설이니 황제니 하는 어울리지도 않는 거창한 단어가 붙냐며 이해하기 힘들어하거나 어이없어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인 감성에 맞게 풀이해보자면 외국에 다녀와서 아파트를 구하려고 하는데 아파트 이름이 춘향 산성 전설이나 홍길동 대궐 대통령인 꼴이나 마찬가지이다. 단지명 풀네임 쓰기가 부끄러웠던 외국계 기업 직원이 집주소를 Lotte Apt. 로만 적었다는 얘기는 나름 유명하다. 안양 관양동 현대아파트 재건축 수주전에서 HDC현대산업개발 에게 패배했다. 최종투표 결정 몇 주 전에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참사가 일어나서 아이파크 브랜드 이미지가 떨어졌을 때 롯데건설이 우세할거라는 예상과 다르게 100표 차이로 패배했다. 참사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더 큰 표차이가 났을지도 모른다.보이콧 뚫고 시공권 따낸 HDC현산…체면 구긴 롯데건설 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