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이스트폴타워]]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ffffff 자치구}}}]] |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 |
조감도 | 투시도 |
| |
<colbgcolor=#8A2432><colcolor=#fff> 명칭 | 롯데캐슬 이스트폴 |
영문 명칭 | LOTTE CASTLE EASTPOLE |
종류 | 아파트 |
브랜드 | 롯데캐슬 |
주소 | 서울특별시 광진구 아차산로 420[1] |
서울특별시 광진구 뚝섬로 717[2] | |
입주 | 2025년 3월 12일 |
동수 | 6개동 |
층수 | 지하 7층, 지상 34~48층 |
세대수 | 1,063세대 |
면적 | 80,630.54㎡ |
시공사 | 롯데건설 |
주차대수 | 1,408대 (세대당 1.3대) |
1. 개요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2동에 위치한 아파트로 구의자양뉴타운 사업의 자양1재정비촉진구역을 재개발하여 지어졌다. 총 1,063세대, 6개동의 규모로 구성된 대단지 아파트이며 주차대수는 1,408대로 세대당 1.3대를 주차할 수 있다.2. 연혁
KT가 보유하고 있던 옛 전화국 부지와 서울동부지방법원, 동부지방검찰청[3]부지를 자양1구역 재정비촉진구역으로 묶어 재개발한 사업으로 지어진 단지이다. 롯데건설이 시공했다.자양1구역을 개발하면서 부지 내로 광진구청과 광진구의회 보건소 등 공공기관을 이주시켰다.
2023년 8월에 분양을 진행했으며, 일반분양 물량은 631세대였다. 이후 2025년 3월 6일부터 입주를 시작했다.
3. 특징 및 시설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8a2432,#8a2432>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987e52,#987e52><colcolor=#fff,#fff> 관련 문서 | 롯데캐슬 이스트폴 ‧ 구의자양뉴타운 | |
이스트폴 타워 | <colbgcolor=#987e52,#987e52><colcolor=#fff,#fff> 업무시설 | 쿠팡(예정) ‧ 풀만 앰배서더 서울 이스트폴 ‧ 리마크빌 이스트폴 | |
판매시설 | NC 이스트폴 ‧ 킴스클럽 구의점 ‧ 메가박스 구의 이스트폴 | ||
공공청사 | 광진구청 ‧ 광진구의회 ‧ 광진구보건소 ‧ KB국민은행 광진구청 | }}}}}}}}} |
단지 배치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동호수 배치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한강조망이 가능한 세대가 있으며 도보 30분 정도로 뚝섬한강공원 이용이 가능하다.
단지와 개별통로로 연결되어 있는 2호선 구의역은 지하철 노선상 강남과 광화문의 중간지점으로, 강남역 18분, 삼성역 12분, 잠실역 6분, 을지로 21분 소요되어 중심업무지구(CBD) 출퇴근에 상당히 용이하다.
단지 부지 내에 광진구청, 보건소를 비롯한 주요 관공서, 앰배서더풀만호텔, 대형쇼핑몰(NC백화점 구의점), 메가박스, 쿠팡 본사 등 공공/상업시설이 함께 위치하고 있는 일종의 복합단지로 볼 수 있다.
이 사업으로 왕복 2차로로 구의동, 자양동 일대의 도로를 4차선으로 늘리고 있다. 광진구 한강변에서 교류가 적던 서부광진(한양아파트 일대 제외 자양동 전체)과 동부광진(자양동 한양아파트 일대, 구의3동, 광장동)의 막혀있던 단절성을 해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3.1. 단지 내 시설
작은 규모의 근린공원이 조성된다. 단지 안에는 입주민용 사우나(탕, 건식 포함)와 골프 연습장, 헬스장, 독서실, 티하우스 등 최근의 대단지 신축아파트에 들어서는 편의시설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104동, 105동, 106동에는 저층부에 상가가 있다.무려 3개의 엘리베이터 업체가 참여했다. 현대엘리베이터, 티케이, 후지테크가 참여했고, 주거용 구간은 현대, 상업용, 구청 구간은 티케이, 타워 구간은 후지테크가 설치되었다. 각자의 주력 모델인 WBHS-GX, WBLX-GT-3, META-R, ZEXIA 등 매우 다양한 모델들이 골고루 설치되어 있다.
3.2. 이스트폴 타워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스트폴타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스트폴타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이스트폴타워|
롯데캐슬 이스트폴 단지에 KT 소유의 이스트폴타워가 있다. 광진구보건소, 광진구청, 광진구의회 등의 공공기관들이 업무시설, 상업시설과 함께 자리잡았다. KB국민은행 광진구청지점도 있다.
이스트폴타워 업무동에는 기업 사업체들이 입주하며 2025년 6월부터 쿠팡 본사가 부서별로 순차적으로 이전하고 있다. 업무동 최고층에는 이미 쿠팡 간판이 달려 있다.
이스트폴타워 판매동에는 메가박스 구의 이스트폴, NC 이스트폴 등이 입점하며 총 4개층 연면적 33,000평에 달한다. 또한, 고급 임대형 오피스텔인 리마크빌 이스트폴이 운영중이며 5성급 호텔인 풀만 앰배서더 서울 이스트폴도 오픈했다.도보 5분 거리에 동서울종합터미널 현대화 사업이 진행 중으로, 완공 시 신세계 스타필드 및 전망대 각종 위락시설이 신설될 예정이다. 2025년 기준 신세계가 부지를 매입하여 상가 퇴거 중으로 25년내 착공, 28년~30년 완공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3.3. 교통
단지 앞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 구의역이 지나가며, 서울도시철도 2호선 구의역과 아파트 단지가 연결통로를 통해 직결되는 초역세권 아파트이다. 또한 인근에 도시철도 강변역도 위치하고 있다.
인근에 고속버스 터미널인 동서울 터미널이 위치하고 있다.
3.4. 교육
초품아로 주변에 서울양남초등학교, 사립학교인 성동초등학교, 광진중학교, 광양중학교, 광양고등학교가 있으며, 건국대학교도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서울 동쪽 지역에서 가장 탄탄한 학군지인 광장동 학원가도 도보로 이동 가능하다.
4. 논란 및 사건사고
사전점검이 진행되던 당시 입주민이 보배드림에 부실시공 관련된 글[5]을 올려 논란이 있었다. 이에 광진구청이 직접 개입하여, 김경호 구청장이 공청회에서 하자 문제와 관련해 입주민들과 롯데건설, 광진구청은 3자 TF를 꾸려 하자 보수 후 확인 절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사실 위와 같은 하자논란은 같은 복합개발단지에 있는 관공서 및 상업시설 준공일정에 맞춰, 완벽히 공사가 끝나지않은 상태에서 주거단지 사전점검을 너무 앞당겨 실시해서 발생한 이유도 있었다. 현재 하자이슈는 대부분 해결되었으며, 오히려 공용부의 파격적인 업그레이드 등 긍정적인 결과를 만들어냈다.
[1] 101~103동[2] 104~106동[3] 해당 사법기관들은 자양1구역 개발과 함께 송파구 문정동으로 이전하였다.[4] 단지에서 5분 거리이므로, 목적지 지방에 따라 서울역/수서역까지 이동후 기차를 타는 것보다, 동서울터미널에서 바로 우등고속을 타는 경로가 더 선호될 경우도 있다.[5] 원글은 삭제처리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