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6:35:00

야당동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4989>
파일:파주시 CI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문산읍 법원읍 조리읍 파주읍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광탄면 군내면* 월롱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적성면 진동면* 탄현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bgcolor=#ffffff,#1f2023><tablewidth=100%> 파평면 장단면* 진서면*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 행정동 법정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교하동 교하동 당하동(일부) 목동동(일부) 문발동 산남동 서패동 송촌동 신촌동(일부) 연다산동 오도동 하지석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시청

금촌1동
금릉동(일부) 금촌동(일부) 아동동(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금촌2동 금릉동(일부) 금촌동(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금촌3동 검산동 아동동(일부) 금촌동(일부) 맥금동(일부) 야동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운정1동 당하동(일부) 와동동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운정2동 목동동(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운정3동 동패동(일부) 야당동(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운정4동 상지석동 야당동(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운정5동 다율동(일부) 동패동(일부)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tablecolor=#373a3c,#dddddd> 운정6동 다율동(일부) 동패동(일부)
: 거주 인구 0명 법정면. / *: 행정면 장단면 소속
}}}}}}}}} ||
파주시법정동
야당동
野塘洞 | Yadang-dong
<colbgcolor=#004989><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파주시
행정표준코드 4148010800
관할 행정동 운정3동, 운정4동
면적 3.70㎢
1. 개요2. 관할 행정동
2.1. 운정4동
3. 주요 시설
3.1. 상업시설3.2. 주거
3.2.1. 난개발로 인한 문제점
4. 교통
4.1. 버스
4.1.1. 광역/직행4.1.2. 공항4.1.3. 일반4.1.4. 마을4.1.5. 철도
[clearfix]

1. 개요

경기도 파주시에 있는 . 지명 유래는 들 가운데 못이 있어서 야당이라는 명칭이 생겼다고 한다.

교하읍 야당리였으나, 2011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교하읍이 교하동으로 개편될 때, 야당동으로 개편되었다. 행정동 운정3동[1] 및 운정4동[2] 관할이다.

2. 관할 행정동

2.1. 운정4동

파주시행정동
운정4동
雲井四洞 | Unjeong 4(sa)-dong
<colbgcolor=#004989><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기초자치단체 파주시
행정표준코드 4060444
관할 법정동 야당동, 상지석동
하위 행정구역 10통 46반
면적 6.42㎢
인구 22,833명[3]
인구밀도 3,556.54명/㎢
정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국회의원 | 파주시 갑

파일:zsdkl3gasdg.svg
윤후덕 (4선)
경기도의원 | 제3선거구

파일:zsdkl3gasdg.svg
이용욱 (초선)
파주시의원 | 다 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박신성 (초선)

파일:zsdkl3gasdg.svg
손성익 (초선) }}}}}}}}}
행정복지센터 하우3길 77 (야당동 54-1)
운정4동 행정복지센터
[clearfix]

3. 주요 시설

3.1. 상업시설

파주시 야당역 기준 서쪽인 1, 2번 출구 방향(행정동 운정3동)으로 대규모 상업시설이 형성되었다. 유흥지 업소 수 및 규모로는 파주 운정신도시 내에서 최대 규모이다. 이는 야당 일대가 운정신도시에서 가장 먼저, 가장 집중적으로 개발된 것이 큰 이유로 유흥뿐만 아니라 은행, 병원, 영화관 등 편의시설도 확충되어 있다. 이 시가지의 북쪽은 운정호수공원과 연결되어 있으며, 호수공원 내 용정저수지로부터 흘러내려오는 천(川)을 따라 면한 도로에 탄력적 주차허용구간이 형성되어 있어 주차도 아예 불가능하진 않은 수준이다.

반대로 야당역 기준 동쪽인 3번출구 방향(향정동 운정4동)부터 운정역 2번출구 방향까지를 잇는, 고양 성석동에 면한 동네는 같은 야당동임에도 구도심 느낌이 물씬 풍기는 편이다. 과거에는 상절시설이 거의 없었으나 최근 야로수길이라고 불리며 예쁜 식당과 카페가 들다서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상업시설보다는 빌라 형식의 주거시설이 빌라촌의 남쪽에는 가구공단이 꽤 밀집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일산과 화정에 개발과 함께 조성된 저층빌라단지와 달리 필요에 따라 개별적인 빌라끼리 조성되었다 보니 외지인이 방문할 일이 있으면 비교적 신축빌라단지임에도 중간에 길이 막히는 등 길을 자주 잃는다. 실제로 가구공단이 은근 조성되어 있다.

3.2. 주거

야당역 경의중앙선 서쪽에는 대형 아파트단지가, 동쪽에는 빌라촌이 모여있어 풍경이 매우 극단적이다. 아파트단지 방향에서 빌라촌 방향을 바라보면 옹기종기 빌라와 단독주택들이 모여있는 모습을 살펴볼 수 있으며, 빌라촌 방향에서 아파트단지 방향을 바라보면 아래는 유흥업소가 즐비한데 그 위로는 높은 마천루 같은 아파트단지와 오피스텔이 보여서 딱 야당역 선로를 경계로 꽤나 그럴듯하게 대비되는 장면을 볼 수 있다.

3.2.1. 난개발로 인한 문제점

또 다른 특징으로 아파트단지 쪽이 경의로, 한빛로를 기점으로 깔끔하게 정리된 넓고 간결한 도로망을 갖고 있는 것에 비해, 빌라촌 쪽은 차 두 대가 교행하기에도 벅찬 복잡한 도로를 가지고 있다.[4] 얼마나 그러면 자동차가 사람을 칠 수준으로 옆으로 지나간다해도 익숙하듯이 지나갈 정도이다. 가끔 이 동네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들이 경적을 울리기도 하나 도로가 도로인지라 일상이기 때문에 크게 별 신경은 안쓴다. 그리고 빌라촌의 경우 길이 미로처럼 얽혀있고 길이 사유지로 인해 끊겨있는 경우가 허다해[5] 한번 길을 잃었다면 길을 찾아 나가기 힘들정도이다. 또한 야당과선교와 황룡과선교가 빌라촌에서 아파트단지 방향으로 향하는 유일한 생명길이며 따라서 출퇴근시간이나 평시 가릴 것 없이(...) 엄청난 통행량을 자랑하나 둘 다 2차선이다. 물론 황룡과선교 북쪽으로 4차선인 과선교가 있기는 하지만 그건 야당동 빌라촌 쪽에서는 아주 멀기 때문에 통행량을 분산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상습 정체가 기본값이다.[6]. 다만 빌라촌 방향은 계획관리지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물론 진지하게 말해서, '명목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일 뿐 딱히 나아지는 것은 없다.

4. 교통

4.1. 버스

4.1.1. 광역/직행

4.1.2. 공항

4.1.3. 일반

4.1.4. 마을

4.1.5. 철도


[1] 경의선 서쪽[2] 경의선 동쪽[3] 2023년 2월 주민등록인구[4] 따라서 버스는 대형버스를 투입하지도 못하며 한국에 도입된 최초의 전기+저상+중형 버스인 BYD eBus7이 082 노선에 도입된 곳이기도 하다. 근데 이녀석도 이 동네 도로에서는 워낙 커다란 편이라 다른 차를 비켜주기 위해 10초 내외로 서있거나 다른 차가 빼주는 모습도 가끔 볼 수 있으며, 무려 084(본선/심야/와석초) 노선에선 봉고차가 다니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5] 이게 매우 불편한 점이, 사유지만 아니면 버스정류장을 1분 내에 편하게 갈 수 있는 것을 다른 빌라 주차장으로 우회하고 위험한 도로를 건너 2분 가까이 걸리는 거지같은 경우도 있으며, 무엇보다 이거는 지자체나 국가에서 뭘 할 수도 없다. 그 이유인즉슨 사유지는 개인 재산인지라 주인이 통행하는 이들의 쓰레기 투기 등의 이유로 길을 안뚫고 시에 땅을 팔지 않으면 그만이다. 판다고 해도 그런 사유지로 끊겨있는 곳이 어디 한두군데여야지.[6] 야당과선교가 2차선인 것도 모자라 신호까지 심각한 수준인 것도 상습 정체에 일조하는 원인인데, 야당과선교를 끝에서 끝까지 한 신호에 건널수 없는 것이 크다. 따라서 등교시 최소 7시 40~50분에는 출발해야 한다. 거리에 따라 조금씩은 다르지만 자동차를 탄다 해도 8시 20분이 넘어서 출발할 시 지각 확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