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건축물은 아직 완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건축 등의 이유로 건설되지 않은 건축물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추후 실제 모습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건축 등의 이유로 건설되지 않은 건축물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추후 실제 모습과 달라질 수 있습니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ae1932> | }}}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555; 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자치구|{{{#ffffff 자치구}}}]] | |||||||||||||||||||||||||||||
종로구 | 중구 | 용산구 | 성동구 | 광진구 | ||||||||||||||||||||||||||
동대문구 | 중랑구 | 성북구 | 강북구 | 도봉구 | ||||||||||||||||||||||||||
노원구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양천구 | ||||||||||||||||||||||||||
강서구 | 구로구 | 금천구 | 영등포구 | 동작구 | ||||||||||||||||||||||||||
관악구 | 서초구 | 강남구 | 송파구 | 강동구 | }}}}}}}}} |
| |
조감도 | 투시도 |
| |
<colbgcolor=#8A2432><colcolor=#fff> 명칭 | 창경궁 롯데캐슬 시그니처 |
영문명칭 | Changgyeonggung Lotte Castle Signature |
종류 | 아파트 |
브랜드 | 롯데캐슬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2가 296번지 (삼선동) |
입주 | 2027년 4월 (예정) |
동수 | 19개동 |
층수 | 지하 4층 ~ 지상 18층 |
세대수 | 1,223세대 |
전용면적 | 39㎡(임대), 46㎡(임대), 59A㎡, 59B㎡, 59C㎡, 84㎡ |
주차대수 | 1,479대 (세대당 1.20대) |
시공사 | 롯데건설 |
1. 개요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에 건설 중인 대단지 브랜드 아파트.삼선5구역을 재개발하여 지어지며, 롯데건설이 HDC현대산업개발과 경쟁하여 수주하였다.
총 19개동 1,223세대[1]로 구성된다.
롯데캐슬의 프리미엄라인 ‘롯데캐슬 시그니처’ 브랜드로 일반 롯데캐슬에 비하여 고급화 특화설계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2. 주변 환경
행정구역상 성북구에 속하나 종로구 생활권 아파트로서[2], 서울 도심인 종로/광화문 등 우리나라 중심업무지구(CBD)로의 출퇴근이 상당히 용이하다. 버스를 이용하여 서울 중심부 어디든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뿐만 아니라, 아파트 인근에 성북천/낙산공원/한양도성 등 좋은 자연환경이 위치하고 있다. 산과 물이 공존하는 배산임수 지역으로 과거부터 터가 좋기로 유명하다.
서울대학교병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서울특별시 동부병원이 인근에 있어 의료환경이 뛰어나다.
영어유치원, 사립초등학교가 인근에 있어 서울 중심지에서 자녀 조기교육을 시킬 수 있는 지리적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근에 성북구에서 유명하고 규모있는 다양한 학원들이 있는 학원가가 있으며, 명문대학교를 걸어서 다닐 수 있는 교육 특화지역이다.
3. 교통
3.1. 지하철
3.2. 버스
3.3. 도로
4. 교육
- 서울삼선초등학교
- 서울대학교사범대학부설초등학교
- 삼선중학교
- 동성중학교(서울)
- 한성여자중학교
- 한성여자고등학교
-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 동성고등학교(서울)
- 서울과학고등학교
- 서울국제고등학교
- 고려대학교
- 가톨릭대학교 성신교정
- 서울대학교 연건캠퍼스
- 성균관대학교
- 한성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1] 조합세대 506세대, 일반 분양 509세대, 임대 208세대[2] 1975년 경계조정 때 한성대 맞은편인 창신동, 숭인동 등은 동대문구에서 종로구로 편입되었는데 지리적으로 보면 삼선동 또한 종로구로 편입되어야 하지만 성북구의 주요 공공기관(구청, 경찰서, 세무서 등)이 모두 삼선동에 있는 관계로 편입하지 않았다. 여담으로 같은 해, 지리적으로 창신,숭인동 바로 남쪽에 있는 성동구 청구동, 약수동 등도 중구로 편입되었다. 서울시 지도를 놓고 보면 주변부의 비슷한 면적을 종로/중구로 편입할 때 성북동, 삼선동 등만 빠진 것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