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계열사 | |
<colbgcolor=#0f228b><colcolor=#ffffff> 주택 · 건설 · 토목 | 중흥건설 | 중흥건설산업 | 중흥주택 | 중흥토건 | 대우건설 | 중흥개발 | 중흥S-클래스 | 중흥엔지니어링 | 청원개발 | 청원건설산업 | 청원산업개발 | 에코세종 | 그린세종 | 세종건설산업 | 세종E&G | 중봉건설 | 중봉산업개발 | 새솔건설 | 세흥건설 | 세흥산업개발 | 순천에코밸리 | 다원개발 | 영담 | SM개발산업 | |
금융 | 브레인시티프로젝트금융투자 | |
관광 | 중흥골드스파&리조트 | |
언론 · 교육 · 문화 | 헤럴드 | 남도일보 | 헤럴드에듀 | 헤럴드아트데이 |
중흥건설 관련 틀 | ||||||||||||||||||||||||||||||||||||||||||||||||||||||||||||||||||||||||||||||||||||||||||||||||||||||||||||||||||||||||||||||||||||||||||||||||||||||||||||||||||||||||||||||||||||||||||||||||||||||||||||||||||||||||||||||||||||||||||||||||||||||||||||||||||||||||||||||||||||||||||||||||||||||||||||||||||||||||||||||||||||||||||||||||||||||||||||||||||||||||||||||||||||||||||||||||||||||||||||||||||||||||||||||||||||||||||||||||||||||||||||||||||||||||||||||||||||||||||||||||||||||||||||||||||||||||||||||||||||||||||||||||||||||||||||||||||||||||||||||
|
<colcolor=#fff> 중흥건설 주식회사 中興建設 株式會社 Jungheung Construction Co. Ltd. | |
| |
<colbgcolor=#0f228b> 설립일 | 1989년 3월 9일 |
업종명 | 아파트 건설업, 철근,콘크리트 공사업 |
창업주 | 정창선 |
대표자 | 백승권 |
아파트 브랜드 | 중흥S-클래스 |
기업 규모 | 대기업 |
상장 여부 | 비상장 기업 |
도급 순위 | 52위(2024) |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204 (신안동)[1] |
홈페이지 | 홈페이지 |
|
<colcolor=#fff> 중흥건설 본사 |
1. 개요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f228b><tablebgcolor=#fff,#191919><bgcolor=#0f228b>|| ||
새천년 초일류기업 - 중흥건설.
대한민국의 건설사이자 중흥그룹 계열사. 본사는 광주광역시 북구 무등로 204(舊 신안동 122-3)에 있다.
2010년만 하더라도 시공능력평가 순위 104위를 기록해 중소건설사로 분류됐다. 하지만 2011년 94위를 기록하며 100대 건설사 안에 진입한데 이어 2012년 77위, 2013년 63위, 2014년 52위, 2015년 39위, 2016년 33위로 순위가 가파르게 상승했다. 2017년 시공능력평가에서 39위, 2018년 시평액이 5671억원까지 낮아지며 59위로 순위가 급감하기도 했으나 2020년 35위, 2021년 40위로 회복세를 보였다.
중흥건설 시평액이 줄어든 이유로 자회사인 중흥토건으로 사업을 집중시킨 것이 크다. 중흥토건은 2013년 시공능력평가 143위에서 2014년 82위, 2015년 47위, 2016년 42위, 2017년 35위, 2018년 22위, 2019년 17위, 2020년 15위에 진입하며 매년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17위에 자리잡았다.
2. 상세
대한민국의 중대형 건설업체로 비상장사다. 자회사로 중흥토건, 중흥건설개발, 세솔건설, 중봉건설 등을 가지고 있으며, 거의 모든 지분은 오너 집안이 보유하여 지배하고 있다.대규모 토목공사를 통해 성장한 회사라 아파트를 지을 때도 중흥S-클래스라는 단일 브랜드로 복합 대단지 아파트만 짓는 것이 특징. 아파트뿐 아니라 주상복합이나 오피스텔도 중흥S-클래스 브랜드를 사용한다. 이러한 단일 브랜드로 대규모 택지지구(광교, 세종, 청라, 수완)등에 진출하며 많은 아파트를 공급했고 2012, 2013년에는 2년 연속 주택공급실적 전국 3위를 기록했다.
중흥건설은 호반건설과 마찬가지로 현금이 많고 무리한 대출을 시도하지 않는 회사로 유명하다. 업계에서는 ‘3년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로도 통한다. 하지만 현금을 마냥 쌓아두지만은 않는 것 같다.
한국산업은행이 대우건설 지분을 매각하기로 하자 중흥건설이 인수의지를 밝혔고 가장 유력한 후보로 떠올랐다. 기사 정창선 회장은 현재 중흥건설이 보유한 현금성자산 8,000억 원과 평택 브레인시티와 서산 예천2지구 도시개발사업의 통해 얻을 개발수익금 약 3조 원을 내세워 인수 경쟁에 뛰어든 상태이며, 예전부터 대기업 인수가 정 회장의 숙원으로 알려져 있어 인수 의지는 강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인수를 위한 자금 조달 방법에서부터 인수 이후 투자 규모, 활용 면에서 많은 사람들이 우려하고 있다.
인수 경쟁이 시작되고 지역 경쟁사 호반 건설이 인수전에 참여한다는 뉴스가 나돌았고, 지나치게 높은 금액을 제시한 중흥은 산업은행에게 다시 입찰하겠다는 보기 드문 떼쓰기를 보여주었다. # 재입찰에서 처음 입찰가의 4천억 이상 줄여 중흥건설이 2조 1천억원을 써내 우선협상자가 되었다. 석연치 않은 과정 끝에 중흥건설이 인수하긴했다.
3. 시공능력평가 순위
<rowcolor=#fff> 연도 | 시공능력평가 순위 |
<colcolor=#fff><colbgcolor=#0f228b> 2010년 | 104위 |
2011년 | 94위 |
2012년 | 77위 |
2013년 | 143위 |
2014년 | 52위 |
2015년 | 39위 |
2016년 | 33위 |
2017년 | 39위 |
2018년 | 22위 |
2019년 | 43위 |
2020년 | 35위 |
2021년 | 40위 |
2022년 | 48위 |
2023년 | 50위 |
2024년 | 52위 |
4. 지배 구조
<rowcolor=#fff> 주주명 | 지분율 |
정창선 | 76.7% |
정원주 | 10.9% |
5. 아파트 브랜드
5.1. 중흥S-클래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흥S-클래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중흥S-클래스#|]][[중흥S-클래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6. 비판 및 논란
중흥그룹/비판 및 논란7. 여담
- 정창선 회장은 자금관리를 주먹구구식으로 하다가 망한 기업들을 많이 봐왔다면서 "우리는 사업을 계획하고 자금계획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자금계획에 따라 사업계획을 세운다"고 하였다. 이에 따라 36개월(3년) 자금계획을 미리 짜고서 이에 맞춰 사업을 진행한다고 한다. 그만큼 자금관리가 철저하다. 그렇게 차곡차곡 자금을 모아 이를 바탕으로 2020년 1월 정창선 회장은 "3년 내 대기업을 인수해 재계 순위 20위 안에 진입할 것이다"라고 선언했다. 그렇게 2022년 메이저 건설사인 대우건설을 인수했고, 재계 순위 20위에 안착하였다.
- 동향 건설사인 호반건설과 우미건설이 사업 확장과 기업 인지도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으로 본사를 이전했던 것과 다르게[2] 중흥은 여전히 본사를 광주로 두고 있고, 심지어 사옥을 이전하거나 새로 짓지도 않고 1993년에 지은 사옥을 계속 사용중에 있다.[3] 다만 대우건설을 인수한 이후에는 중흥토건 등 일부 계열사들이 을지로4가에 위치한 대우건설 본사 사무실의 일부를 사용하고 있다.
- 정창선 회장 본인의 자택은 광주 북구 두암동의 두암동 중흥S-클래스에 있다.
[1] 상법 상 본점 주소는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읍 나주호로 442-129이다.[2] 단, 이들의 상법상 본사는 여전히 전라남도에 두고 있다.[3] 사옥을 이전하기 위해 상무지구 시청 바로 건너편에 부지를 매입했지만 끝내 사옥을 이전하지 않았고 대신 그 자리에 고층 오피스텔을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