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순위 | 변동 | 집단명 | 동일인(총수) | 계열사 수 | 자산총액 (조 원) | |||
| 상호출자제한 기업집단(대기업) | |||||||||
| 1 | (-) | 삼성 | 이재용 | 63 | 589.1 | ||||
| 2 | (-) | SK | 최태원 | 198 | 362.9 | ||||
| 3 | (-) | 현대자동차그룹 | 정의선 | 74 | 306.6 | ||||
| 4 | (-) | LG | 구광모 | 63 | 186.0 | ||||
| 5 | (▲1) | 롯데 | 신동빈 | 92 | 143.3 | ||||
| 6 | (▼1) | 포스코그룹 | 포스코홀딩스 주식회사 | 49 | 137.8 | ||||
| 7 | (-) | 한화 | 김승연 | 119 | 125.7 | ||||
| 8 | (-) | HD현대 | 정몽준 | 32 | 88.7 | ||||
| 9 | (▲1) | 농협 | 농업협동조합중앙회 | 56 | 80.0 | ||||
| 10 | (▼1) | GS | 허창수 | 98 | 79.3 | ||||
| 11 | (-) | 신세계그룹 | 이명희 | 59 | 63.8 | ||||
| 12 | (▲2) | 한진그룹 | 조원태 | 42 | 58.1 | ||||
| 13 | (▼1) | KT | 주식회사 케이티 | 47 | 46.2 | ||||
| 14 | (▼1) | CJ | 이재현 | 66 | 39.3 | ||||
| 15 | (▲1) | LS그룹 | 구자은 | 72 | 35.9 | ||||
| 16 | (▼1) | 카카오 | 김범수 | 115 | 34.8 | ||||
| 17 | (▲3) | HMM | 에이치엠엠 주식회사 | 4 | 33.4 | ||||
| 18 | (▼1) | 두산그룹 | 박정원 | 24 | 28.1 | ||||
| 19 | (▼1) | DL그룹 | 이해욱 | 45 | 26.9 | ||||
| 20 | (▲1) | 중흥그룹 | 정창선 | 51 | 26.7 | ||||
| 21 | (▼2) | 셀트리온 | 서정진 | 9 | 26.6 | ||||
| 22 | (▲1) | 네이버 | 이해진 | 45 | 25.4 | ||||
| 23 | (▲2) | S-OIL |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 2 | 24.5 | ||||
| 24 | (▼2) | 미래에셋금융그룹 | 박현주 | 28 | 23.4 | ||||
| 25 | (▲2) | 쿠팡 | 쿠팡 주식회사 | 16 | 22.2 | ||||
| 26 | (▼2) | 현대백화점그룹 | 정지선 | 24 | 22.2 | ||||
| 27 | (▲22) | 한국앤컴퍼니 | 조양래 | 25 | 21.5 | ||||
| 28 | (▼2) | 부영그룹 | 이중근 | 21 | 21.4 | ||||
| 29 | (▲3) | 영풍그룹 | 장형진 | 30 | 20.9 | ||||
| 30 | (▼1) | 하림그룹 | 김홍국 | 43 | 19.9 | ||||
| 31 | (▲2) | 효성그룹 | 조현준 | 60 | 19.8 | ||||
| 32 | (▲6) | 장금상선 | 정태순 | 28 | 19.4 | ||||
| 33 | (▼3) | SM그룹 | 우오현 | 58 | 18.3 | ||||
| 34 | (▼3) | HDC | 정몽규 | 34 | 17.4 | ||||
| 35 | (▲1) | 호반그룹 | 김상열 | 40 | 16.8 | ||||
| 36 | (▲17) | 두나무 | 두나무 주식회사 | 11 | 15.8 | ||||
| 37 | (▼1) | KT&G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17 | 15.7 | ||||
| 38 | (▲2) | 코오롱 | 이웅열 | 45 | 15.1 | ||||
| 39 | (▼2) | KCC그룹 | 정몽진 | 13 | 14.9 | ||||
| 40 | (▼5) | DB그룹 | 김준기 | 24 | 14.8 | ||||
| 41 | (▲2) | 넥슨 | 유정현 | 23 | 14.5 | ||||
| 42 | (▼2) | OCI그룹 | 이우현 | 24 | 13.7 | ||||
| 43 | (▲2) | LX그룹 | 구본준 | 17 | 12.6 | ||||
| 44 | (-) | 세아그룹 | 이순형 | 24 | 12.3 | ||||
| 45 | (▲1) | 넷마블 | 방준혁 | 31 | 11.8 | ||||
| 46 | (▲2) | 이랜드그룹 | 박성수 | 32 | 11.6 | ||||
| 공시대상 기업집단(준대기업) | |||||||||
| 47 | (▼8) | 교보생명 | 신창재 | 16 | 11.1 | ||||
| 48 | (▲10) | GM 한국사업장 | 한국지엠 주식회사 | 3 | 10.8 | ||||
| 49 | (▲3) | 다우키움그룹 | 김익래 | 45 | 10.3 | ||||
| 50 | (▲1) | 금호석유화학그룹 | 박찬구 | 16 | 10.0 | ||||
| 51 | (▲9) | 대방건설 | 구교운 | 41 | 9.9 | ||||
| 52 | (▼10) | 태영그룹 | 윤세영 | 51 | 9.8 | ||||
| 53 | (▲1) | 삼천리그룹 | 이만득 | 33 | 9.6 | ||||
| 54 | (▲2) | KG그룹 | 곽재선 | 26 | 9.6 | ||||
| 55 | (▼8) | 에코프로 | 이동채 | 17 | 9.3 | ||||
| 56 | (▲1) | HL그룹 | 정몽원 | 15 | 9.2 | ||||
| 57 | (▼2) | 동원그룹 | 김남정 | 23 | 8.8 | ||||
| 58 | (▲1) | 아모레퍼시픽 | 서경배 | 15 | 8.6 | ||||
| 59 | (▼9) | 태광그룹 | 이호진 | 20 | 8.6 | ||||
| 60 | (▲4) | 크래프톤 | 장병규 | 9 | 8.5 | ||||
| 61 | (▲9) | 글로벌세아그룹 | 김웅기 | 23 | 8.2 | ||||
| 62 | (▼1) | 한국항공우주산업 |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 4 | 8.1 | ||||
| 63 | (-) | 엠디엠 | 문주현 | 19 | 7.9 | ||||
| 64 | (▲22) | 대명소노그룹 | 박춘희 | 25 | 7.3 | ||||
| 65 | (▼3) | 애경그룹 | 장영신 | 30 | 7.3 | ||||
| 66 | (▲1) | 동국제강그룹 | 장세주 | 16 | 7.2 | ||||
| 67 | (▼1) | BS그룹 | 이기승 | 66 | 7.2 | ||||
| 68 | (▼3) | 삼양그룹 | 김윤 | 13 | 7.1 | ||||
| 69 | 신규 | LIG그룹 | 구본상 | 18 | 7.1 | ||||
| 70 | (▼1) | 중앙그룹 | 홍석현 | 57 | 6.9 | ||||
| 71 | (▲1) | 유진그룹 | 유경선 | 63 | 6.7 | ||||
| 72 | (▲3) | 고려해운 | 박정석 | 26 | 6.7 | ||||
| 73 | (▲4) | BGF그룹 | 홍석조 | 19 | 6.3 | ||||
| 74 | 신규 | 대광건영 | 조영훈 | 64 | 6.1 | ||||
| 75 | (▲8) | 반도건설 | 권홍사 | 15 | 6.0 | ||||
| 76 | (▲2) | 대신증권 | 양홍석 | 84 | 6.0 | ||||
| 77 | (▼1) | OK금융그룹 | 최윤 | 16 | 5.7 | ||||
| 78 | (▲1) | 하이트진로그룹 | 박문덕 | 12 | 5.7 | ||||
| 79 | (▲1) | 농심그룹 | 신동원 | 22 | 5.6 | ||||
| 80 | (▼6) | DN그룹 | 김상헌 | 7 | 5.6 | ||||
| 81 | (▼13) | 현대해상 | 정몽윤 | 14 | 5.5 | ||||
| 82 | (▼1) | 신영그룹 | 정춘보 | 32 | 5.5 | ||||
| 83 | (▲5) | 파라다이스 그룹 | 전필립 | 11 | 5.4 | ||||
| 84 | (▼13) | 아이에스동서 | 권혁운 | 32 | 5.4 | ||||
| 85 | (-) | HYBE | 방시혁 | 12 | 5.4 | ||||
| 86 | (▼4) | 한솔그룹 | 조동길 | 21 | 5.3 | ||||
| 87 | (▼3) | 삼표그룹 | 정도원 | 28 | 5.3 | ||||
| 88 | 신규 | 사조그룹 | 주진우 | 40 | 5.2 | ||||
| 89 | (▼2) | 원익 | 이용한 | 47 | 5.2 | ||||
| 90 | 신규 | 빗썸 | 이정훈 | 20 | 5.2 | ||||
| 91 | 신규 | 유코카캐리어스 | 유코카캐리어스 주식회사 | 2 | 5.1 | ||||
| 92 | (▼19) | 영원무역 | 성기학 | 20 | 5.0 | ||||
| ※ 2025년 기준 ※ 동일인이 법인인 기업: (주)포스코홀딩스, 농업협동조합중앙회, (주)케이티, 에이치엠엠(주), (주)케이티앤지,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유코카캐리어스(주) 7개사 ※ 동일인이 외국인인 기업: 에쓰대시오일(주), 오씨아이(주), 쿠팡(주), 한국지엠(주), 유코카캐리어스(주) 5개사 ※ 다음 업종의 기업 중에서 중소기업법에서 정하는 중소기업의 규모보다 더 큰 기업(가. 금융업, 나. 보험 및 연금업, 다.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 | }}}}}}}}} |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3377><colcolor=#fff> 계열사 | |
| 지주회사 | LS | |
| 전력 | LS일렉트릭 (LS메탈 | LS메카피온 | LS사우타 | LS에너지솔루션 | LS아이티씨) | LS이링크 (SE모빌리티) | |
| 전선 | LS전선 (지앤피) | LS EV Korea | LS에코에너지 | LS머트리얼즈 | LS에코첨단소재 | LS마린솔루션 (LS빌드윈) | 한국미래소재) | 가온전선 (모보) | LS아이앤디 | LS글로벌 | |
| 기계 금속 | LS MnM (GRM | 토리컴 | 선우 | 씨에스마린) | LS엠트론 (LS오토모티브 | 캐스코) | LS엘앤에프베터리솔루션 | |
| 에너지 | E1 (LS네트웍스 (LS증권 | 프로스펙스) | E1컨테이너터미널 | E1물류 | E1AmericaLLC | M1-EnergyLLC) | 예스코홀딩스 (예스코 | 한성PC건설) | |
| <colcolor=#fff> LS 엘에스 | |
| | |
| 국가 | <colbgcolor=#fff,#1f2023>(다국적 기업) |
| 창립일 | 1962년 5월 15일([age(1962-05-15)]주년) |
| 계열분리일 | 2003년 11월 11일 |
| 창업주 | 구인회 |
| 회장 | 구자은[1] |
| 본사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92 (한강로2가) |
| 분야 | 전선, 전력설비, 금속, 에너지 |
| 규모 | 대기업 |
| 유형 | 복합기업, 기업집단 |
| 매출액 | 34조 5,683억 원(2023년 기준 / ) |
| 영업이익 | 1조 5,239억 원(2023년 기준 / ) |
| 총자산 | 38조 8,110억 원(2023년 기준 / ) |
| 종업원수 | 13,750명(2023년 기준 / ) |
| 링크 | |
1. 개요
| | |
| <rowcolor=#fff> LS용산타워[2] | 안양시 LS타워[3] |
㈜LS를 중심으로 한 범LG계 대규모 기업집단으로, 전선, 전력설비, 금속, 에너지 등 기간산업에 기반을 둔 대표적인 B2B 그룹이다. B2B 사업 특성상 상대적으로 대중들에게 덜 알려져있지만 LG계열에서 분리된 그룹 중에서 GS그룹 다음으로 규모가 크다. 재계 서열 15위다. (2025년 기준)
2003년 LG 구인회 창업주의 동생들인 구태회, 구평회, 구두회가 LG그룹에 소속되어 있던 LG전선, LG산전, LG MnM, LG칼텍스가스, 극동도시가스 등을 계열 분리하여 LG전선그룹을 형성하였고, LG전선이 중심축을 이루었다. 2년 후인 2005년 3월 14일 LG전선그룹에서 LS그룹으로 그룹명을 변경하고 독립 법인으로 출범하였다.[4]
그룹 회장직은 창업 2세까지는 구태회, 구평회, 구두회 3인의 장남이 차례로 승계했다. 구자홍 회장이 10년간 재임 후 2013년 사촌 동생 구자열 회장에게 승계하고, 구자열 회장은 2022년 사촌동생 구자은 회장에게 승계한 후 자신은 ㈜LS의 이사회 의장으로 남았다. 그러나 구자홍 회장이 2022년 2월 11일 별세하고 구자홍 회장의 자녀들이 그룹 내 지분을 정리하면서 창업 3세부터는 이러한 원칙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2. 특징
LS는 전기, 전자, 소재 등의 연관사업 위주로 스몰딜[5] 형태 M&A를 주로 해 왔다. 구자열 회장이 지난 10년간 M&A한 계열사 중 현재까지 남아있는 곳은 30개 사로 이는 LS그룹 전체 계열사 수의 58.8%에 해당하는 규모이다.특히 인수합병으로 편입된 기업 중 절반인 15개 사는 전선 제조, 자동차부품 제조 등 다양한 분야의 제조업체이다. 2004년 이후 10년 동안 LS그룹에 편입돼 현재까지 남아 있는 계열사는 총 51개사이다. 이는 30대 그룹의 10년간 평균 신규편입 계열사 수 28.6개보다 22개 가량이 많은 것으로, M&A 및 지분 취득을 통해 편입된 곳은 30개사로 전체의 58.8%를 차지했으며, 그 중 제조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계열사는 15개로 50%에 육박하는데, 이는 LS그룹이 적극적으로 몸집을 키워왔음을 알 수 있다. 이들 15개 사는 전선관련 제조업체(GCI, 파운텍, JS전선, 가온전선, 모보, 위더스)와 자동차 관련 제조업체(LS오토모티브)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30개 사의 2014년 매출은 총 3조 2,071억 원으로, LS그룹 전체 매출 26조 9,669억 원의 11.9%를 차지한다.
3. 역사
1998년에는 LG산전이 LG금속을 합병하고 이듬해에는 승강기 사업을 미국 오티스 엘리베이터에 팔았으며, LG산전 측은 일본 닛코금속과 합작해서 'LG-Nikko동제련'으로 분사시켰다. 2003년에는 구인회 LG 창업주의 조카 구자홍이 LG전선, LG산전, LG-Nikko동제련, LG칼텍스가스, 극동도시가스 5개사를 갖고 분가해 'LG전선그룹'으로 거듭났고, 2005년에는 'LS그룹'을 출범시키고 2008년 기존 LS전선 법인을 지주회사 '㈜LS'로 개편시켜 지주사 총괄구조를 만들었다.
4. 지배구조
2025년 5월 기준| <rowcolor=#fff> 주주명 | 지분율 |
구자은[6] | 3.63% |
구동휘 | 2.99% |
구자용 | 2.40% |
구자철 | 1.94% |
구자열 | 1.87% |
구자균 | 1.85% |
구혜원 | 1.63% |
구자엽 | 1.46% |
구본혁 | 1.26% |
구본규 | 1.16% |
국민연금공단 | 12.67% |
자사주 | 15.07% |
5. 오너 일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범LG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범LG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계열사
6.1. 지주회사
- ㈜LS: 지주회사.
6.2. LS
- LS전선: 초고압, 해저, 광케이블 제조, 글로벌마켓 3위 수준이며 2008년 기존 법인에서 물적분할됐다.
- LS에코에너지: 구 LS전선아시아
- LS머트리얼즈: 2021년 LS엠트론에서 물적분할하여 설립된, 에너지 저장장치 제조 판매업.
- LS알스코
- 가온전선 : 1947년 대한민국 최초의 전선회사로 출범한 국제전선. 희성전선에서 LS그룹으로 편입된 이후 가온전선으로 사명을 변경하였다.
- 모보
- 이지전선
- 디케이씨
JS전선: 舊 연합전선 → 진로인더스트리 → 진로산업. 2014년 원전 케이블 납품 비리에 연루되어 상장폐지된 후, 2018년부터 청산절차에 들어간 상태다.- 지앤피
- 세종전선
- LS이브이코리아
- LS EVC: 전기차 부품 제조
GL마린: 해저 케이블 시공[7][8][9]- LS마린솔루션: 구 KT서브마린. 해저 케이블 설치 및 유지 보수 전문 기업으로, 2023년 8월 KT가 LS전선에 매각했다.
- LS빌드윈: 2017년 LS전선의 전력시공 사업부를 분리하여 설립한 회사. 2024년 10월 LS마린솔루션 자회사로 편입.
- 빌드윈인동태양광발전
- 빌드윈문경태양광발전
- 빌드윈충주지앤피태양광발전
- 빌드윈그린에너지태양광발전
- 빌드윈전주가온태양광발전
- LS일렉트릭: LG산전 → LS산전 → LS일렉트릭. 전력기기 제조 및 자동화 솔루션(스마트팩토리)
- LS메카피온
- LS메탈: LG금속 → LG산전 → LS산전 → LS메탈. 동(銅)관, 스태인리스강(Stainless鋼)관 제조. 가정·산업용 전자제품, LNG플랜트·선박, 건설 분야 판매.
- LS사우타: LS산전과 스위스 사우타가 2010년 합작으로 설립한 회사. 빌딩솔루션과 에너지솔루션 사업을 수행한다.
- LS에너지솔루션: 파커 하니핀의 에너지 그리드 타이(Energy Grid Tie, EGT) 사업부를 인수, 북미 ESS 제조 회사.
- LS ITC: IT시스템 구축/운영관리, 스마트에너지 및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등. 2021년 1월 LS글로벌에서 분리되어 LS ELECTRIC 자회사로 편입되었다.
- LS이모빌리티솔루션: LS일렉트릭에서 물적분할하여 2022년에 설립된 전기 공급 및 제어 장치 제조업 회사.
- LS MnM: 조선제련주식회사 → 한국광업제련공사 → LG금속 → LG산전 → LG니꼬동제련 → LS니꼬동제련 → LSMnM. 세계 2위 비철금속 제련회사[10]
- 토리컴
- GRM
- 선우: 제련 및 리싸이클링 플랜트 설비시공 및 유지보수 사업 담당.
- 씨에스마린
- LS엠트론: 한국중공업 → LG전선 → LS전선 → LS엠트론. LS전선의 기계사업부이며 2008년 기존 LS전선 법인이 지주회사가 되면서 물적분할된 법인이다. 트랙터, 사출기, 전자부품 제조 업체. 엠트론(Mtron)은 Machinery의 M과 Electronic Components의 tron을 합쳐 만든 사명이다.
- 팜모아: 농기계수리 및 농기계부품 회사.
- 농가온: 농업용 기계 판매 회사.
- LSA Holdings
- LS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舊 대성전기공업.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 사모펀드(KKR)에 46.67% 지분 매각.
- LS글로벌: 2005년에 설립된 1차 금속제품 및 금속광물 도매업 회사.
- LS I&D: 2013년 LS전선의 인적분할로 설립된 해외투자 및 부동산 개발 사업 회사.
- Superior Essex : 미국의 전선회사. 통신케이블이 주력이며, LS전선에서 LS아이앤디 자회사로 편입.
- LS이링크: 전기차 충전소 인프라 구축 및 운영기업. LS와 E1이 50%씩 합작으로 설립했다.
6.3. E1
6.4. 예스코
7. 둘러보기
| 범LG가 | |||
| | | | |
| | | | |
[1] 구두회 LG 창업고문의 장남으로, 2022년 1월 3일 LS그룹의 3대 회장으로 취임하였다.[2] 신용산역 앞에 있다. 舊 국제센터빌딩. ㈜LS, LS메탈, LS네트웍스, LS이링크, E1, 예스코홀딩스 본사 및 LS엠앤엠 서울사무소 소재지로 아셈타워에 있던 계열사들이 모두 집합했다, 바로 옆 건물이 아모레퍼시픽의 본사, 샌드박스 네트워크 본사이다.[3] 금정역 앞에 있지만 역에서 약 10분정도 걸어가야 한다. LS전선, LS산전, LS엠트론이 있다. LS글로벌 본사는 LS엠트론 하이테크 센터에 있다.[4] 같은 시기에 GS그룹은 2005년 3월 31일 출범했다.[5] 기업이 사업 부문별로 나누어서 매각하거나 통합하는 등의 구조개편을 말한다.[6] 구자은 외 45인이 32.11%를 가지고 있다.[7] 해저 케이블 포설.[8] 해저 케이블 포설선인 GL2030을 KT서브마린에 390억원에 양도했다.[9] 2023년 청산이 결정되었다.[10] LG금속 제련사업부 = LS니꼬동제련, 가공사업부 = LS메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