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8:54:43

𡚴에서 넘어옴
편안 안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アン
일본어 훈독
やす-い, いずく-んぞ, やす-んじる
-
표준 중국어
ā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여담

1. 개요

安은 편안 안이라는 한자로, 편안을 뜻한다. 그래서 편안할 안이라고도 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편안
중국어 표준어 ān
광동어 on1
객가어 ôn
민북어 úing
민동어 ăng / ĕng[1]
민남어 an[文] / oaⁿ[白]
오어 oe (T1)
일본어 음독 アン
훈독 やす-い, いずく-んぞ,
やす-まる, やす-らう, やす-んじる
베트남어 an / yên
둥간어 нан (nan)

유니코드에는 5B89에 배당되어 있다.

파일:external/dicimg.naver.com/11-08-03-01.gif
획순

을 뜻하는 (집 면)과 여자를 뜻하는 (여자 녀)가 합쳐진 회의자로, '여자가 집에 있는 모양' → '편안'이 되어 지금의 뜻을 가지게 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위의 뜻을 가지지만 한문에서는 왕왕 의문사로 쓰이며 이 때는 '어찌'의 뜻을 가진다. 하(何)와 용법이 같다.

히라가나 의 유래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보국안민(輔國安民)
  • 안거낙업(安居樂業)
  • 안빈낙도(安貧樂道)
  • 일로평안(一路平安)
  • 좌불안석(坐不安席)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3.4. 지명

3.5. 역명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도시철도)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안양역(安養驛)
주안역(朱安驛)
천안역(天安驛)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안국역(安國驛)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역(安山驛)
파일:Seoulmetro6_icon.svg 수도권 전철 6호선 안암역(安岩驛)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안산역(安山驛)
파일:Incheonmetro2_icon.svg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주안국가산단역(朱安国家産団驛)
파일:Daegu1.svg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안심역(安心驛)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 동해선 광역철도 안락역(安樂驛)
파일:Busan2.sv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광안역(廣安驛)
파일:Busan4.svg 부산 도시철도 4호선 수안역(壽安驛)
안락역(安樂驛)
안평역(安平驛)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국내 / 일반철도)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天安牙山驛)
경전선 함안역(咸安驛)
동해선 안강역(安康驛)
서해선 안중역(安仲驛)
충북선 안인역(安仁驛)
중부내륙선 수안보온천역(水安堡溫泉驛)
중앙선 안동역(安東驛)
충북선 도안역(道安驛)
호남선 노안역(老安驛)
무안역(務安驛)
안평역(安平驛)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북한)
강원선 안변역(安邊驛)
개천선 안주역(安州驛)
금강산청년선 안변역(安邊驛)
대안역 대안화물역(大安貨物驛)
평남대안역(平南大安驛)
만포선 안찬역(安贊驛)
배천선 연안역(延安驛)
백두산청년선 보안역(甫安驛)
신흥선 도안역(道安驛)
평덕선 회안역(檜安驛)
평라선 경안역(景安驛)
평의선 순안역(順安驛)
신안주청년역(新安州靑年驛)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JR)
파일:JRC-SKS.svg 도카이도 신칸센 미카와안조역(三河安城駅)
파일:JRE-SKS.svg 호쿠리쿠 신칸센 안나카하루나역(安中榛名駅)
파일:JRH-SKS.svg 홋카이도 신칸센 (공사중) 쿳찬역(倶知安駅)
파일:JRK-JF.svg 닛포 본선 아베야마코엔역(安部山公園駅)
파일:JRW-A.svg 도카이도 본선
(비와코선)
아즈치역(安土駅)
파일:JRE-JK.svg 도카이도 본선
(케이힌토호쿠선)
신코야스역(新子安駅)
파일:JRC-CA.svg 도카이도 본선
(JR 도카이)
미카와안조역(三河安城駅)
아베카와역(安倍川駅)
안조역(安城駅)
파일:JRE_Wlogo.svg 도호쿠 본선 아다치역(安達駅)
아사카나가모리역(安積永盛駅)
파일:JRH_Wlogo.svg 무로란 본선 아비라역(安平駅)
파일:JRW_Wlogo.svg 산인 본선 아세리역(安栖里駅)
야스기역(安来駅)
야스오카역(安岡駅)
우라야스역(浦安駅)
파일:JRW_Wlogo.svg 산요 본선 아키나카노역(安芸中野駅)
파일:JRH-A.svg 세키호쿠 본선 안타로마역(安足間駅)
야스쿠니역(安国駅)
파일:JRE_Wlogo.svg 신에츠 본선 아모리역(安茂里駅)
안나카역(安中駅)
야스다역(安田駅)
파일:JRH-S.svg 하코다테 본선 쿳찬역(倶知安駅)
파일:JRWhs-P.svg 게이비선 아키야구치역(安芸矢口駅)
파일:JRE_Wlogo.svg 나리타선 아지키역(安食駅)
파일:JRS-K.svg 도산선 아와역(安和駅)
파일:JRW_Wlogo.svg 미네선 시게야스역(重安駅)
파일:JRE_Wlogo.svg 반에츠사이선 아코가시마역(安子ヶ島駅)
파일:JRW-P.svg 사쿠라지마선 아지카와구치역(安治川口駅)
파일:JRE_Wlogo.svg 소토보선 아와아마츠역(安房天津駅)
아와카모가와역(安房鴨川駅)
아와코미나토역(安房小湊駅)
파일:JRE_Wlogo.svg 스이군선 아사카나가모리역(安積永盛駅)
파일:JRE_Wlogo.svg 오이토선 아즈미오이와케역(安曇追分)
아즈미쿠츠카케역(安曇沓掛駅)
파일:JRE_Wlogo.svg 우치보선 아와카츠야마역(安房勝山駅)
파일:JRE-JI.svg 츠루미선 안젠역(安善駅)
파일:JRWhs-B.svg 카베선 아키나가츠카역(安芸長束駅)
파일:JRE-JE.svg 케이요선 신우라야스역(新浦安駅)
파일:JRW-B.svg 코세이선 아도가와역(安曇川駅)
파일:JRWhs-Y.svg 쿠레선 아키나가하마역(安芸長浜駅)
아키사이자키역(安芸幸崎駅)
아키아가역(安芸阿木駅)
아키츠역(安芸津駅)
아키카와지리역(安芸川尻駅)
아토역(安登駅)
야스우라역(安浦駅)
파일:키비선 로고.svg 키비선 다이안지역(大安寺駅)
파일:JRE_Wlogo.svg 하나와선 앗피코겐역(安比高原駅)
파일:후쿠엔선 로고.svg 후쿠엔선 빈고야스다역(備後安田駅)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대헝사철, 도시철도)
파일:NT-T.svg 니시테츠 텐진오무타선 야스타케역(安武駅)
파일:Tobu-TN.svg 도부 우츠노미야선 야스즈카역(安塚駅)
파일:MT-NH.svg 메이테츠 나고야 본선 신안조역(新安城駅)
파일:MT-GN.svg 메이테츠 니시오선 미나미안조역(南安城駅)
신안조역(新安城駅)
키타안조역(北安城駅)
파일:MT-BS.svg 메이테츠 비사이선 카리야스카역(苅安賀駅)
파일:Keikyu-KK.svg 케이큐 본선 안진즈카역(安針塚駅)
코야스역(子安駅)
케이큐신코야스역(京急新子安駅)
파일:KT-Z.svg 킨테츠 니시시기 강삭선 타카야스야마역(高安山駅)
파일:KT-D.svg 킨테츠 오사카선 안도역(安堂駅)
타카야스역(高安駅)
파일:NGYSub-M.svg 나고야 지하철 메이죠선 헤이안도리역(平安通駅)
파일:NGYSub-K.svg 나고야 지하철 카미이다선
파일:도야마 지방철도 흰색 심볼.svg 치테츠 도야마 시내궤도선 야스노야역(安野屋駅)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우라야스역(浦安駅)
파일:Yuirail_Wlogo.png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선 아사토역(安里駅)
파일:HiroRapi.svg HRT 아스트램 라인 야스히가시역(安東駅)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일본 / 기타)
파일:Nagaragawa_SQlogo.png 나가테츠 에츠미난선 미나미카리야스역(美並苅安駅)
파일:Randen-B.svg 란덴 키타노선 료안지역(龍安寺駅)
파일:SaitRailway.svg 사이타마 고속철도선 토즈카안교역(戸塚安行駅)
파일:SangiRW_Wlogo.png 산기 철도 산기선 다이안역(大安駅)
파일:Wakatetsu_Wlogo.svg [[와카사 철도 와카사선와카사 철도 와카사선]] 아베역(安部駅)
파일:Hankai-HN.svg 한카이선 안류마치역(安立町駅)
파일:TKT-GN.svg TKT 아사선 아키역(安芸駅)
야스다역(安田駅)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대만)
파일: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아이콘.svg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신이선 다안역(大安站)
다안삼림공원역(大安森林公園站)
신이안허역(信義安和站)
파일: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아이콘.svg 타이베이 첩운 원후선 다안역(大安站)
파일: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아이콘.svg 타이베이 첩운 중허신루선 융안시장역(永安市場站)
징안역(景安站)
파일:타이베이 첩운 환상선 아이콘.svg 타이베이 첩운 환상선 징안역(景安站)
파일:신베이 첩운 안컹경전철 아이콘.png 신베이 첩운 안컹경전철 겅신안캉병원역(耕莘安康院區站)
안캉역(安康站)
파일:타이중 첩운 심볼.svg 타이중 첩운 녹선 수이안궁역(水安宮站)
종관선 바오안역(保安車站)
타이중선 타이안역(泰安站)
핑둥선 전안역(鎮安站)
타이둥선 지안역(吉安站)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중국)
파일:베이징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호선 융안리역(永安里站)
톈안먼둥역(天安门东站)
톈안먼시역(天安门西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2호선 안딩먼역(安定门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4호선 안허차오베이역(安河桥北站)
핑안리역(平安里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6호선 진안차오역(金安桥站)
핑안리역(平安里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7호선 광안먼네이역(广安门内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8호선 안화차오역(安华桥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안전먼역(安贞门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1호선 베이신안역(北辛安站)
진안차오역(金安桥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2호선 안전차오역(安贞桥站)
안화차오역(安华桥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5호선 안리루역(安立路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16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6호선 베이안허역(北安河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19호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19호선 핑안리역(平安里站)
파일:베이징 지하철 S1선 아이콘.svg 베이징 지하철 S1선 진안차오역(金安桥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호선 바오안궁루역(宝安公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2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2호선 징안쓰역(静安寺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3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3호선 옌안시루역(延安西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4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4호선 둥안루역(东安路站)
옌안시루역(延安西路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7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7호선 둥안루역(东安路站)
징안쓰역(静安寺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1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1호선 안팅역(安亭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4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4호선 징안쓰역(静安寺站)
파일:상하이 지하철 15호선 로고.svg 상하이 지하철 15호선 칭안루역(祁安路站)
역명에 安이 들어가는 철도역 (중화권)
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 MTR 경철 온팅역(安定站)
킨온역(建安站)
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 MTR 튄마선 항온역(恆安站)

3.6. 기타

3.7. 중국어

  • 安 [ān]
    • 명) 안부
    • 명) 안전

      • 예) 公安 [gōngān]: 공안
    • 형) 안정되다, 편안하다
      • 예) 平安 [píngān]: 평안하다, 무사하다
    • 동) 위로하다, 안정시키다
      • 예) 安慰 [ānwèi]: 위로하다
    • 동) 자리잡다
      • 예) 安插 [ānchā]: 안착시키다
    • 동) 설치하다
      • 예) 安门窗 [ān ménchuāng]: 문과 창을 설치하다
    • 동) 붙이다
      • 예) 安绰号 [ān chuòhào]: 별명을 붙이다
    • 동) (부정적인 생각을) 품다
      • 예) 安心 [ānxīn]: 속셈을 품다[4]
    • 동) 심다
      • 예) 安花生 [ān huāshēng]: 땅콩을 심다
    • 양) 암페어
    • 양) 아르

4. 유의자

  • (편안할 강)
  • (편안할 녕)
  • (편안할 온)
  • (편안할 일)
  • (편안할 정)
  • 便(편할 편/똥오줌 변)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성씨 강)
  • (춤출 사)
  • (요긴할 요)
  • (맡길 위)
  • 姿(모양 자)
  • (사랑할 폐)
  • (고기썩을 알)

6. 여담



[1] 속독[文] 문독[白] 백독[4] 안심하다는 뜻도 되지만 문맥에 따라 이러한 뜻도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