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20:54:48

삼국지 시리즈/장수(ㅈ)

1. 개요2. 자허상인3. 잠위4. 잠혼5. 장각6. 장간7. 장개8. 장거9. 장굉10. 장교11. 장구12. 장균13. 장기14. 장기15. 장남16. 장남17. 장달18. 장량19. 장로20. 장료21. 장막22. 장만성23. 장반24. 장범25. 장보26. 장비27. 장빈28. 장상29. 장상30. 장서31. 장선32. 장선33. 장세평34. 장소35. 장소36. 장송37. 장수38. 장숙39. 장순40. 장승41. 장승42. 장씨43. 장아44. 장양45. 장양46. 장억47. 장엄48. 장연49. 장염50. 장영51. 장영52. 장예53. 장온54. 장온55. 장완56. 장위57. 장윤58. 장의59. 장의거60. 장익61. 장임62. 장자63. 장저64. 장절65. 장제66. 장제67. 장제68. 장준69. 장집70. 장창포71. 장천72. 장초73. 장춘화74. 장특75. 장패76. 장포77. 장포78. 장합79. 장현80. 장호81. 장홍82. 장화83. 장횡84. 장훈85. 장휴86. 장흠87. 저곡88. 저수89. 전기90. 전단91. 전만92. 전상93. 전속94. 전역95. 전예96. 전위97. 전유98. 전의99. 전장100. 전종101. 전주102. 전풍103. 전해104. 정고105. 정기106. 정도107. 정무108. 정밀109. 정병110. 정보111. 정봉112. 정봉113. 정비114. 정씨115. 정욱116. 정원117. 정원지118. 정은119. 정의120. 정자121. 정주122. 장각123. 정충124. 정태125. 정현126. 정혼127. 제갈각128. 제갈교129. 제갈균130. 제갈근131. 제갈량132. 제갈상133. 제갈서134. 제갈융135. 제갈정136. 제갈첨137. 제갈탄138. 조구139. 조광140. 조달141. 조루142. 조림143. 조모144. 조무145. 조방146. 조범147. 조비148. 조상149. 조성150. 조숭151. 조식152. 조씨정153. 조아154. 조안민155. 조앙156. 조앙157. 조엄158. 조언159. 조예160. 조예161. 조욱162. 조우163. 조운164. 조웅165. 조인166. 조자167. 조잠168. 조절169. 조정170. 조조171. 조준172. 조진173. 조창174. 조충175. 조통176. 조표177. 조표178. 조헌179. 조홍180. 조홍181. 조화182. 조환183. 조훈184. 조휴185. 조희186. 종리목187. 종리비188. 종보189. 종예190. 종요191. 종육192. 종진193. 종회194. 좌령195. 좌자196. 좌혁197. 주개198. 주거199. 주광200. 주군201. 주령202. 주방203. 주삭204. 주선205. 주소206. 주씨207. 주앙208. 주연209. 주우210. 주유211. 주윤212. 주이213. 주적214. 주조215. 주준216. 주준217. 주지218. 주찬219. 주창220. 주치221. 주태222. 주태223. 주포224. 주환225. 주흔226. 중장통227. 진건228. 진교229. 진군230. 진궁231. 진규232. 진기233. 진기234. 진도235. 진등236. 진란237. 진랑238. 진량239. 진림240. 진무241. 진밀242. 진생243. 진송244. 진수245. 진수246. 진식247. 진원248. 진응249. 진의록250. 진준251. 진지252. 진진253. 진취254. 진태255. 진표256. 진화257. 진횡

[clearfix]

1. 개요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 등장하는 장수들 중 (ㅈ)자로 시작하는 무장들을 정리한 문서.

2. 자허상인

파일:삼국지3자허상인.png
삼국지 3

삼국지 3, 삼국지 5, 삼국지 6에서만 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는 사마휘, 관노, 허자장, 이의, 간길, 좌자 등과 함께 나그네로 등장하여 장수들의 동태를 알려준다.

삼국지 6에서는 가끔씩 나타나서 수명을 예언해주거나 어떤 인물은 “잘 생겼는데도 수명이 적은 것이 안타깝다”라면서 그 인물의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3. 잠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19.jpg
삼국지 13 PK, 14

특이하게도 삼국지 8 PK에서 등장하고 쭉 출현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검 손잡이를 쥔 채 촉나라군과 분투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66, 지력 48, 정치 54. 특기는 공성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공성이고 전법은 창방강화.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55, 무력 56, 지력 45, 정치 36, 매력 4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무력이 10, 지력이 3, 정치력이 18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운반개발 Lv 1, 진형은 어린, 충차, 전법은 충차,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4. 잠혼

파일:external/kongming.net/576-Cen-Hu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22.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황호, 하후무, 한현 등과 함께 암울한 장수 4인방인 F4로 불린다. 특히 무력은 바닥 오브 바닥이며 대대로 황호와 쌍벽을 이룬다. 또한 F4를 포함하여 능력치 총합 100 미만이라는 8명의 장수를 일컫는 백하팔인의 멤버로 당당히 등재되어 있다. 백하팔인의 멤버로는 황호, 하후무, 한현, 잠혼 이외에도 유선, 마막, 양송, 손호가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는 그냥저냥 클론문관으로 나온다. 능력치도 지력과 정치력이 6~70대인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능력치는 암울하다. 특이점이라면 수명이 길어서 마지막까지 살아남는 경우가 더러 있다.

삼국지 4에서는 투구를 쓴 못생긴 클론 장수로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 40/무력 19/지력 48/정치 72/매력 19다. 백하팔인의 개성이 만들어지기 전에 작품이라 정치력이 무려 72다. 그리고 이 게임에서 최후까지 살아남는 장수로 나오는데 왜냐하면 더 등장할 장수도 없고 마지막까지 살아남는다. 즉 플레이어가 통일을 하지 않고 계속 버티면 게임상에 잠혼만 남는 셈이다. 그 다음이 제갈정이다.

삼국지 6까지만 해도 일러스트가 환관이었다.

삼국지 7부터는 일러스트가 미소년으로 나오지만 능력치는 낮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10/30/28/14로 능력치 총합 83의 황호와 1 차이로 이번작 장수 중 능력치 총합 꼴찌를 자랑한다.

황호와는 소문 특기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2/30/2. 병법도 조영 하나 있는 진정한 쓰레기.

황호가 시나리오상 세력 병법이 된 연노를 보유할 수도 있다는 것과 비교하면 더 부각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2/30/7/2로 백하팔인 중에서도 능력치 총합 꼴찌를 자랑한다. 당연히 특기는 하나도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1/1/33/13/4. 여전히 백하팔인이지만 여기선 황호를 제치고 꼴찌는 면했으며 일러스트는 영락없는 환관 생김새로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아주 포스가 넘치는데 자세히 보면 왼쪽 손가락을 위로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삼국지 11을 그대로 받아온 1/1/33/13. 황호보다 지력과 정치가 3씩 높다. 더군다나 의리도 황호보다 높다. 쌩뚱맞게도 이전작에서 늘 경시나 무시로 설정되었던 의리수치가 보통을 찍었다. 어쩌면 장상을 구명했던 정사의 기록 때문인지도 모른다. 또한 황호와는 달리 군주에게 항복을 주장하지도 않았으니. 특기는 농업 1, 문화 1.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궁속강화다.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 무력 1, 지력 33, 정치 9, 매력 2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징세, 탐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세출개선 Lv 1,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손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5. 장각

장각(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6. 장간

파일:Jiang_Gan_2_(1MROTK).png 파일:장간.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79.jpg
삼국지 12, 13, 14

연의의 형상에 기반하여 지력, 정치력은 60대 중반에 매력은 40대의 D+급 문관으로 설정되었다. 그나마 인격적으로 미운털이 박혀서 백하팔인이 된 양송보다는 나을지도? 삼국지 12부터 삼국지 14까지는 주유의 거짓 밀서를 몰래 보고 경악하는 모습을 일러스트로 나타냈다. 생몰년도가 여기서는 175년~239년으로 설정되었는데 아마도 연의에서 주유랑 동창생으로 나온 걸 반영한 생년으로 보인다. 삼국지 2편과 삼국지 3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8/7/67/63. 병법으로는 혼란, 매도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9/7/69/62/47의 쩌리. 특기도 혼란, 간첩. 총 2개라 이래저래 쓰기 애매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9/6/65/64/47. 특기는 없고 병과 적성은 올 C.

삼국지 12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9/6/66/64. 병과는 창병으로 전법은 색적.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고 특기는 상업 2, 언변 2.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도발. 음성은 책사.

정사에서 상인이기도 했다는 걸 반영했는지 특기와 전수특기는 고증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9, 무력 7, 지력 65, 정치 64, 매력 47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0,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경솔,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2, 진형은 안행, 충차, 전법은 혼란, 친애무장은 주유,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책사남이다.

7. 장개

파일:external/kongming.net/131-Zhang-Ka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6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꼬박꼬박 나오지만 가끔 AI 조조가 등용하는 패륜을 보여준다(...). 특히 친애, 혐오 장수 시스템이 있는 삼국지 11삼국지 12에서도 조조의 혐오 장수로 지정되어 있지 않아서 조숭 참살 이벤트가 일어난 후에 장개가 사로잡히거나 임관해도 조조가 등용한다. 삼국지 11에서 조조의 혐오 무장은 동탁, 주령이 전부이기 때문이다.[1]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서주대학살의 원인을 제공한 장본인이라서 매력은 정말 심하게 낮다.

역사 트리거를 분쇄 시킬려면 이놈을 반드시 죽여야 한다. 삼국지 10 / 삼국지 12 / 삼국지 13에서는 이놈이 도겸 휘하로 있으면 조숭이 살해당하는 이벤트로 인해, 역사가 굴러가고 만다. 그러므로 플레이어가 도겸이라면 무조건 추방시켜서 조조가 역사를 밟지 못하게 막아두는게 좋다.

삼국지 3에서는 안 그래도 60대 무력이라 애초에 장군이 될 수도 없는데 매력도 심각하게 낮아서 장군은 그냥 포기하면 편하다.

군사? 불가능 정도가 아니라 웃음이 나오는 지력과 정치력을 지니고 있어서 언급할 가치조차 없다. 야망이 개쩔게 높아서, 구호탄랑으로 깽판 지기고 도망가는게 일품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6/63/15/1. 병법이라고는 그 흔한 분전도 없고 충차 하나 뿐이다.

쓰레기 장수라 해도 부대나 시설의 지휘관을 능력 좋은 장수로 하면 이렇게 저렇게 쓸 수 있는 이번작 시스템에서 조차 써먹을 구석이 없는 쓰레기. 성격 쫄보답게 신중이라, 쓸 데도 없고, 이간지랄에 제일먼저 목표가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6/66/11/1/5의 쓰레기에 특기는 나선 단 1개 뿐.

정치 1은 등장하는 모든 사실 무장들 중에서도 단연 단독 꼴찌다. 영웅집결에서는 명성 최하위인 20인지라 도무지 굴릴 구석이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4/66/8/1/10.

등장해서 한 짓이라고는 살인 강도짓 뿐이어서 그런지 특기는 강탈이다. 장수도 듣보잡인데 능력과 특기까지 형편없다. 따라서 장수 숫자가 쪼달리지 않는 이상 그냥 버려도 좋다. 정치는 공동 꼴찌인데 다른 하나는 이각.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괴상한 웃음을 보이면서 조숭 일행으로부터 보물을 빼앗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4/66/8/1의 백하팔인 수준을 자랑하면서 무특기에다가 전법은 색적.... 효율성 자체에서도 완벽한 잉여전법이며, 색적을 발동한다 쳐도 낮은 지력 때문에 금세 풀리는 조루포스를 자랑한다. 영웅집결 같이 장수 숫자가 많은 시나리오에서는 바로바로 참수 또는 추방시키자.

삼국지 13에서도 저질 능력치는 그대로인데다가, 특기도 공성 1 달랑 하나 있으므로 부장으로도 써먹기 힘들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공성이고 전법은 궁병도발. 음성은 일러스트와 맞는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5, 무력 66, 지력 8, 정치 1, 매력 1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공명, 적도, 탐욕,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와 다른 상태에서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8. 장거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75.jpg
삼국지 12, 13, 14

동료 장순과 함께 삼국지 7,[2] 삼국지 8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2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황제를 자칭한 상태에서 곤룡포를 입은 채 오른손으로 면류관에 달려있는 류를 만지고 있는데 정작 관직이 황제가 아니다.

한조소란 시나리오에서는 군주로 등장하는데 부하는 장순 밖에 없고 근거지도 제일 구석인 양평이라 공손찬을 뚫고 가야되는 거시기한 상황이다. 그나마 엄백호는 탐색으로 쓸만한 장수라도 건질 수 있지만, 이쪽은 시원찮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5/지력 56/정치력 48.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뿐.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병과 적성은 창 B/기 A/궁 B이며 전법이 공격약화였지만 PK에서 대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난폭.

능력치는 나쁘지 않은 C급 무장. 사망년이 188년이기 때문에 가상 시나리오를 제외하면 황건적의 난(184년) 시나리오에서만 재야 무장으로 등장한다. 반란을 일으킨 행적 탓에 삼국지 8편에서는 의리가 낮았으나 이번작은 의리가 보통이다. 그런데 어째선지 무관이 아닌 문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무력이 높은데도 불구하고 일기토를 하지 못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62, 지력 41, 정치 25, 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6, 무력이 13, 지력이 15, 정치력이 23 하락했는데 특히 정치력은 거의 2배를 넘을 정도로 반토막났다. 개성은 소심, 나약,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학익강화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업화, 매성, 친애무장은 장순,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9. 장굉

파일:삼국지3장굉.png
삼국지 3
파일:Zhang_Hong_2_(1MROTK).png 파일:ZhangHong(ROTK10).jpg 파일:張紘.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7, 8,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79.jpg
삼국지 12, 13
파일:장굉.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대대로 장소 다음가는 오나라 정치력 2인자다. 초기작들에서는 장굉이 아닌 장현으로 이름이 나오기도 했는데 끈 굉(紘)자와 줄 현(絃)자가 모양이 비슷해서 생긴 오류로 추정된다.

삼국지 2에선 지력 94/무력 28/매력 88로 등장한다. 장소와 항상 같이 등장하고 능력치도 비슷하다. 놀랍게도 이런 무장형 얼굴을 하고 있다.
파일:삼국지2_장굉.png
삼국지 2

삼국지 3에선 용맹 수치가 13인데, 이는 관우, 마초, 하후돈, 손책, 태사자 등과 동일한 수치이며 엄안, 전위, 방덕보다 높은 수치다. 그러나 무력이 꼴랑 27이라 일기토에는 하등 도움이 안 된다.

삼국지 5에선 무력을 제외하곤 나머지는 A급인데, 문제는 통솔이 없어지고 무력이 통솔력이 할 것을 대체하는 시리즈다 보니 무력이 낮으면 전투에선 도저히 써먹을 수 없다.

군사여서 병사빨이라도 받거나 진립 셔틀이라도 해주면 모르겠지만 장굉 본인의 지력은 89여서 한 끝 차이로 군사가 되지 못했다. 내정 쪽으론 매우 특출난 인물이라 수행로또를 노리기가 아깝다.[3] 손권군으로 할 경우 죽으면서 건업천도 이벤트를 볼 수 있다.[4]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1/무력 11/지력 88/정치력 96. 병법으로는 조영, 교사, 혼란, 배반이 있기 때문에 내정용으로 쓰다가 전투에 동원해도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4/무력 14/지력 86/정치력 95/매력 82로 내정 특화 요원. 특기는 상업, 기술, 보수, 혼란, 항변, 반박, 논파, 명사, 간첩. 총 9개다.

하지만 농업 특기가 없고 보수 특기는 있다는 게 좀 미묘하다. 상업, 기술 특기는 매우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명사 특기가 있고 논파 특기도 있기 때문에 직접 플레이 시 산적 따위는 어렵지 않게 관광 태울 수 있다.

삼국지 11에서도 역시 오나라 정치 NO.2인데 무특기인 장소에 비하면 꽤 쓸모 있는 축성을 보유해서 대부분 잉여로 불리는 오나라 문관계 중에선 활용도가 꽤 높다.

그런데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낭야국 출신이어서인지, 오나라 소속이 아니고 장소 일족[5] 함께 하비에서 미발견 무장으로 나온다. 여포군에는 귀중한 인재이므로 플레이 시 바로바로 등용하자. 재밌게도 정사 기준으로 보면 여포가 장굉을 무재로 추천시켜 등용하려고한 행적을 본다면 피식한 장면이 연출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노인 이미지로 그려진 상태로 가슴에 손을 올리고 있는데 정황상 손책이 죽고 조조가 강동을 노리려고 하자 이를 말리며 자신을 사자로 오에 보내달라고 요청하는 내용으로 보인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솔력 24/무력 22/지력 86/정치력 95 이고 중신특성은 화기생재. 특기는 농업 9, 설파 7, 교섭 8, 언변 7, 인덕 2, 수련 2이고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병과 적성은 모두 C. 전법은 교란. 음성은 노옹.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노인의 모습에서 중년 상태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24, 무력 22, 지력 86, 정치력 95, 매력 84로 개성은 축성, 명성, 문화, 인맥, 논객,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성벽확장 Lv 5,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치료, 정란,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고옹, 공융, 손책, 장소, 조욱, 혐오무장은 여포, 착융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1편에 있던 축성을 개성으로 다시 받았고 혐오무장란에 여포가 추가되었는데, 이는 정사에서 장굉이 여포의 영입 권유를 거절한 것을 반영한 것으로 영웅집결 시나리오 장굉은 여포 세력이 등용 못하고 옆의 도겸, 관구검, 원술에게 가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8 리메이크에서는 전반적으로 스탯이 대폭 올라서 통솔력 41, 무력 30, 지력 88, 정치력 95, 매력 87에 랭크되었다. 자금 관련인 상재 1에 기술을 올려주는 발명 3이 특기가 있으며 전통의 축성은 없고 이상하게 같은 강동이장인 장소가 축성 3을 부여받았다.

10. 장교

파일:external/kongming.net/zhangqiao.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5/지력 68/정치력 51.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혼란을 가지고 있는 C급 장수.

11. 장구

파일:external/kongming.net/134-Zhang-Qiu.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7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왠지 애꾸눈으로 나온다. 그러나 삼국지연의에는 장구 본인이 애꾸눈이라는 내용은 없는데,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서 애꾸눈으로 나와서 그걸 따온 것이라는 의견이 있다.[6] 능력치 자체는 무력, 통솔만 어느 정도 되는 전형적인 무장형 능력치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9/73/46/26. 병법으로는 돌파, 몽충, 충차, 덫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9/71/47/30/45에 특기는 돌격, 나선. 총 2개 뿐.

인재가 부족한 후기 시나리오에 가도 위나라엔 이 정도 인재는 흔해서 효용도는 그다지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9/72/44/30/46이고 적성은 기병 A에 특기는 급습이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쪽 눈에 안대를 낀 채 왼손으로 검 손잡이를 잡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9/72/44/30.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훈련 1, 수영 2. 전수특기는 수영으로 전법은 창공강화이며 병과 적성은 창 C/기 A/궁 C.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72, 지력 44, 정치 30, 매력 45이며 개성은 진화, 저돌, 주의는 패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화시,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2. 장균

삼국지 6, 삼국지 7에서만 등장한다.[7]

13. 장기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Zhang_Ji_-_Wei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72.jpg
삼국지 12, 13, 14

특이하게도 초대판인 삼국지 1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다가 삼국지 7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지력과 정치력이 모두 높고 통솔력도 문관치곤 나쁘지 않은 편이라 적절히 사용하기 좋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31/지력 77/정치력 91의 정치력 강자. 병법으로는 제사, 조영,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35/지력 79/정치력 86/매력 87에 특기는 8개.(농업, 상업, 보수, 치안, 일제, 진정, 반목, 지리)

전장에서도 쓸 만은 하지만 농업, 상업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내정쪽의 가치가 더 크다. 후방에 적절한 부하들 딸려서 태수로 임명하면 정치가 높기 때문에 보급이 든든해진다.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74/무력 35/지력 75/정치력 88/매력 81로, 정치력과 무력을 제외하고 하향되었으나 준수한 능력치를 자랑한다.

그렇지만 특기가 잉여인 친강으로 쓰임새가 안타까운 무장 중 하나. PK라면 내정용 특기(능리, 번식, 축성 등)로 최대한 빠르게 갈아타자.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올린 상태에서 마등을 설득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35/지력 76/정치력 88로, 훌륭한 정치가 스탯. 특기로 상재/경작을 모두 가지고 있어서 내정에 매우 쓸만하다. 전법은 공격약화로 손유의 대타격 등과 더불어 컴퓨터가 자주 좋아하는 전법 중 하나라 일러스트를 자주 본다. 전장에서 써도 나쁠 건 없다. 친애무장으로 원상 토벌전에서 곽원을 함께 물리친 종요마초를 함께 물리친 하후연이 등록되어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그대로이고 전법은 철벽지휘로 좋은 전법을 부여받았으나, 전투 특기가 단 하나도 없다. 부장을 붙여서 활용하든가, 뒤에서 전법만 써 준다든가 하는 식으로 사용해야 한다. 다행히 내정에서는 상업 3, 농업 5, 문화 2, 설파 6, 교섭 7로 문관으로써 있을 건 다 있는 수준. 전수특기는 교섭이다. 음성은 정중.

중신특성으로 화기생재를 가지고 있으나, 지력이 높지 않으므로 차라리 특성이 없더라도 내정중신으로 쓰는 것도 좋다. 정치력이 2만 올라가면 90이라서 임무장이 2장이 되므로 가치가 있다. 그런데 무력이 35임에도 불구하고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35, 지력 75, 정치 88, 매력 8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교화, 친강, 개수, PK에서는 특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시설개발 Lv 4, 진형은 장사, 정란, 충차, 전법은 견제, 업화, 정란, 충차, 친애무장은 유초, 종요, 하후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14. 장기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연의에서는 순우경, 장합, 고람 등과 동렬의 대장으로 꼽히나 한맹과 마찬가지로 활약이 전무한 탓에, 그냥 잡장 수준인 초촉, 장남, 마연, 여광, 여상만도 못한 인지도.[8] 그나마 위안거리는 이번작에서의 능력치는 무력이 70대로 무력 60대인 저들보단 높다는 것.[9]

15. 장남

파일:external/kongming.net/125-Zhang-Na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05.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2부터 삼국지 4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1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삼국지 10까지는 클론무장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활을 든 채 소리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71/지력 46/정치력 34에, 중신특성도 없는 평범한 C급 무관이다. 특기는 견수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견수로 전법은 궁공강화이며 병과 적성은 창 C/기 A/궁 C다.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7, 무력 70, 지력 46, 정치 34, 매력 33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저돌, 주의는 패도, 정책은 삼령오신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화시, 매성, 친애무장은 초촉,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6. 장남

파일:external/kongming.net/126-Zhang-Nan2.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42.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7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수명도 짧고 능력도 별로인 평범한 C급 무장.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71/지력 42/정치력 52. 병법으로는 분투, 충차 뿐이다. 쓸 만한 병법은 분투 뿐이나 그거 하나는 괜찮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4/지력 38/정치력 43/매력 56의 평범하게 후진 무장이다. 특기는 일제, 반격. 총 2개 뿐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도끼를 왼손으로 올리면서 소리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9/지력 37/정치력 43.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기속강화. 특기는 훈련 1, 공성 1로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병과 적성은 창 C/기 A/궁 C.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 무력 68, 지력 37, 정치 43, 매력 5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침, 주의는 할거, 정책은 학익강화 Lv 3,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제사, 견제, 친애무장은 오반, 풍습,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7. 장달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00.jpg
삼국지 12, 13, 14

동료 범강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2, 삼국지 3, 삼국지 5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2에서 난데없이 범강, 규람, 대원과 함께 패치에서 첫 번째로 추가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단도를 든 채 장비를 죽이고 있다.

능력치 자체는 쩌리에 불과하지만, 특기 중에 포로의 탈옥을 막는 감시가 있어서 상당히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거 같긴한데 무력이 70을 넘지 않아 명성 보너스를 얻지 못하는데다 무력이 50대로 처참한 수준이라 이 특기가 있다고 실제 포로 탈주를 저지할 수 있는 지는 별개의 이야기. 그런데 촉빠들 입장에서는 장달 본인과 범강은 안 좋게 보는지라 직접 처형해버리는 경우가 대다수다.

삼국지 13에서는 통무지정 순으로 각각 43/56/34/22로 능력치가 범강보다 더욱 떨어지며 범강에게서 통솔 6을 빼가지고 무력에 6을 추가한건데 어차피 무력이 60대 이하면 쩌리이고 통솔력이 높으면 그나마 부장으로라도 쓸 수 있으므로 범강보다 효율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

병과 적성도 C/B/B로 A가 하나도 없는 잉여. 하지만 유일한 특기가 연전 1 하나 뿐인데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인데 연전을 전수해주는 장수는 드문 편이기 때문에 친해지면 좋다. 아이템 중에 2번째로 많은 분류인 보물(1번째는 당연히 술)을 좋아하므로 친해지기도 쉽다. 전법이 기공강화였지만 PK에서 범강과 같은 금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무례. 생몰년도가 175~222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 일러스트는 전작의 작품을 그대로 쓴다.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56/지력 31/정치력 20/매력 21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3,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하나에, 주의는 명리, 정책은 어린강화 Lv 1, 진형은 어린 하나뿐이고, 전법은 없다. 범강처럼 능력치도 안 좋고 전투에 도움 안되는 소심 개성에 전법도 없는 쓰레기 무장. 친애무장은 범강, 혐오무장은 장비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85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는 놀랍게도 자기가 싫어하는 장비의 부하로 소속되어 있다. 동료 범강은 영안에서 재야로 등장하는데 말이다.

18. 장량

파일:Zhang_Liang_%281MROTK%29.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22.jpg
삼국지 12, 13, 14

첫째 형 장각, 둘째 형 장보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통솔력은 70대 후반~80대, 무력은 전부 80 전후이며 지력과 정치도 50~60대로 높은 편은 아니지만 이 능력으로도 바보들만 가득한 황건군 중에서는 상위권에 든다. 요술 계열의 특기가 있는 시리즈에서는 특기를 들고 나오는 경우가 있으나 두 형들에 비해 약간 대우가 좋지 않으며, 지력도 형제 중 제일 낮아서 모처럼의 특기를 살리기 어렵다는 점이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그 대신 단순히 치고박는 싸움은 3형제 중 가장 나은 편이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4/지력 60/정치력 46/매력 89.

장각 3형제[10] 중 무력이 제일 높다. 특기 중 사기 책략 요술을 가지고 있어서 쓸 만한 무장이다.

삼국지 8에서는 지력, 정치가 형들보다 못하지만 희귀 특기인 천문, 의사와 요술은 가지고 있고 무엇보다도 돌격 레벨이 4를 찍는 등 황건군에서 가장 전투력이 높은 장수에 속한다. 특기도 위풍, 경비, 도발, 기병(!)으로 전투 특화인데다 무력이 81이나 되고 용맹 수치가 높아 장량 본인이 쓰는 호통은 결코 확률이 낫지 않다.

부하로는 A급이지만 본인이 플레이 시엔 두 가지가 약점인데 첫 번째는 성장 타입이 장군일 것 같은 능력치와 달리 매력[11]이라 무력을 100까지 높이려면 용맹 특기가 필요하단 점. 기본 무력이 출중하고 위풍 특기까지 있어 호통으로 무력을 높일 수 있으니 이 부분까지는 그렇다 치더라도 사실 가장 큰 문제는 초기 악명이 1000이나 된다는 점인데 덕분에 같은 황건군이 아닌 이상 다른 장수들이 면회를 엄청나게 거절하는데다 하진마저 장량을 붙잡으면 거의 100% 처형하려 든다. 형인 장각이 군주여서 도시 자금을 빼다가 악명을 낮출 수 있는 것과 달리 장량은 딱히 악명을 낮출 방법도 없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82/지력 68/정치력 49. 병법으로는 분투, 돌파, 충차, 환술, 치료를 들고 나온다.

요술까지 들고 나오는 형들과 달리 요술이 없지만, 환술이 더 좋은데다가 무엇보다 황건군에서 요화와 함께 단 둘 뿐인 분투 소유자라서 황건군에서는 대단히 귀중한 인재다. 지력이 다소 낮긴 하지만 환술로 다수 부대를 공격했을 때 목록대왕처럼 하나도 안 걸릴 정도는 아니고 무력도 높은 편이라 문무 양면으로 써먹을 수 있다. 단 모략과 책략계 병법에 특기가 없어서 숙련도가 잘 안 오른다. 영웅집결에서는 어느 세력에 가든지 장기 공성전[12]시에 유용한 환술, 치료가 둘 다 있으니 특급 인재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81/지력 69/정치력 53/매력 85에 특기는 7개.(훈련, 돌격, 일제, 반목, 회복, 반격, 역공)

황건군 중에선 매력이 상위권이지만 징병 특기가 없다. 장각은 그렇다치고 장보는 매력 89에 징병 특기가 있고 군사 특기까지 보유하고 있는 사기캐라는 점에서 장량은 여러모로 영 밀리는데, 그나마 훈련이라도 줘서 전투가 없더라도 놀 일은 없다. 신선 특기가 없는 건 당연하고 평상 시라면 가지고 있었을 터인 의사 특기마저 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80/지력 68/정치력 52/매력 80, 특기는 요술이다.

적성도 괜찮아서 황건군에서는 주력으로 써먹을 수 있으나 특기 면에서는 별 볼일 없다. 본인 지력이 썩 높지도 않고 요술 자체가 성공 확률이 낮으니 그냥 봉인하고 공격부대로 돌리는 게 좋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왼손으로 고삐를 쥔 상태에서 오른손에 월도를 든 채 소리치면서 돌격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80/지력 74/정치력 56로 전작과 달리 능력치가 소폭 상승했으며 전법은 전군속공.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며 특기는 훈련 3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요술이다. 음성은 청년. 삼국지 11의 요술보다는 훨씬 나으며, 작은 형인 장보와 같은 전법이다. 그리고 청년 음성 무장 중 생년이 가장 이른 인물이다.

삼국지 14에서는 형들과 달리 일러가 변경되지 않았으며 능력치는 통솔 78, 무력 80, 지력 70, 정치 53, 매력 82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4,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환술, 사역, 의술,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학익, 전법은 분전, 업화, 매성, 치료, 친애무장은 장각, 장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출진 화면에서 환술 개성 설명 때 "창천이사! 황천당립! 태평요술의 진수를 보여주마!"라는 전용 대사가 뜨는데 첫째 형 장각, 둘째 형 장보와 대사를 공유한다.

19. 장로

장로(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0. 장료

장료(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1. 장막

파일:Zhang_Miao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138-Zhang-Miao.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0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그저그런 B급/C급 문관이다. 매력은 그래도 쓸 만 하다. 그런데 군주가 아닌 여포의 부하로 상하관계가 반전되어서 나오는 일이 많다. 사실 여포를 부하로 두면 충성도 관리가 힘들고, 반대로 군주인 여포에게 있어서 장막 정도의 문관이라도 귀중한 내정 요원이니 둘에게 다 좋은 결과일 수도?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48/수지 32/무력 57/지력 26/정치 19/매력 37의 잉여.

문무 어느 쪽으로도 쓸모가 없다. 정치력이 평범한 수준만 됐더라도 밀정으로라도 쓸 텐데 처참한 수준이라 그마저도 버겁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50/지력 70/정치력 73. 병법으로는 분전, 혼란, 배반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3/무력 52/지력 70/정치력 69/매력 79로 능력치 자체는 평범한데 특기가 3개 밖에 안 된다.(상업, 진정, 명사)

상업 특기가 있지만 정치는 69밖에 안 되는지라 조금 미묘하다. 명사 특기가 있는 건 그래도 장점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53/지력 70/정치력 74/매력 85 으로 정치력과 매력이 높다.

매우 유용한 특기인 명성을 가지고 있어서 가치가 높다. 역대 시리즈 중 장막 본인이 가장 유용한데, 194년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여포 수하로 등장하며 여포 수하에 문관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장막 본인이 꽤 우대받는 편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에서는 비만으로 나오면서 오른손으로 배를 두드리며 밝게 웃고 있다. 매력이 삭제되었므로 내정용으로 활용하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2/53/71/74이며 중신특성이 없고, 특기도 상업 1, 농업 1 정도밖에 없어서 삼국지 11과 다르게 그냥 평범한 C급 문관이 되어버렸다.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공격명령이며 병과 적성은 창 C/기 C/궁 A. 음성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역사 이벤트 옵션을 켜놓으면 여포 패주 이벤트로 194년 전후로 사망하고, 이벤트를 꺼놓더라도 수명이 짧은 편(사망년도 195년). 그나마 부자연사 설정이라 사망년도보다 20년 정도 더 살다가 사망하게 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3, 무력 52, 지력 70, 정치 73, 매력 8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과 지력,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절감, 소심, 동요, 우유, 주의는 명리, 정책은 호적정비 Lv 4, 진형은 학익, 투석, 전법은 견제, 혼란, 투석, 친애무장은 원소, 진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2. 장만성

파일:Zhang_Mancheng_%281MROTK%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1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창천항로의 영향인지 능력치가 좋게 나온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83/지력 47/정치력 39/매력 55로 특기는 보수, 징병, 일제, 고무, 저지, 회복, 기합, 삼단. 총 8개다.

황건적 무장들 중에선 그나마 쓸 만하긴 한데 문제는 사망년도가 184년으로 되어 있어서 장각 병사 이벤트가 나오면 플레이어 무장이 아닌 이상 얄짤없이 죽고, 이벤트를 안 보더라도 얼마 안가 죽는 게 보통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81/지력 45/정치력 37/매력 53으로 황건적 장수 중에서는 능력치가 높은 편에 특기도 위압을 갖고 있다.

병종 적성도 창병 A, 병기 A로 높은 편이라 황건적 플레이 시에는 중용하게 될 무장.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채 검을 오른쪽 어깨에 메고 있으며 해당 배경에 독수리 3마리가 날아다니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81/지력 45/정치력 47로 삼국지 11 때에 비해 통솔력이 2, 정치력이 10 올라갔다. 장각 3형제를 제외하면 황건적 무장들 중에서는 능력치가 그나마 괜찮은 편이며 전법은 무력상승.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3, 공성 2. 전수특기는 훈련이며 전법은 특공.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81, 지력 47, 정치 39, 매력 57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 정치력이 8 하락했다. 개성은 일심, 사역, 주의는 아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제사, 경파, 철벽,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23. 장반

파일:external/kongming.net/595-Jiang-Ba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87.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왠지 황건적 같은 모습. 유찬을 죽였다는 점에서 플러스 점수를 받았는지 무력이 그나마 제일 높은데 그것도 70 수준에 불과하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73/지력 64/정치력 46. 병법으로는 분전과 몽충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73/지력 66/정치력 41/매력 52에 특기는 반목, 나선. 총 2개 뿐.

삼국지 11에서도 무력 73을 그대로 유지했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소심해 보이는 얼굴로 제갈탄을 피해 도망가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73/62/41.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궁속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73, 지력 62, 정치 41, 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신중, 주의는 패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제사, 강습, 친애무장은 초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24. 장범

파일:장범.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눈을 왼쪽으로 흘기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0, 무력 7, 지력 64, 정치 72, 매력 78이다. 개성은 교화,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치료,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동탁, 원술이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53년으로 되어있다.

25. 장보

파일:Zhang_Bao_-_Yellow_Turban_(1MROTK).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17.jpg
삼국지 12, 13
파일:장보14.jpg
삼국지 14

장각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장각의 첫째 동생이라 그런지 지력이 80대다. 기본적으로 장각의 군사로 책정되어 있다. 능력치는 형보다 통솔력, 지력, 매력은 형보다 약간 낮지만, 그래도 무력은 60대 중반에 나머지 능력치는 70대~80대의 능력치을 가지고 있어서 적어도 황건적의 희망격인 무장이 되고 그리고 이벤트로 장각이 죽으면 세력을 계승하는 것과 동시에 태평요술서를 받는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2/지력 72/정치력 42/매력 91. 특기 중에 사기 책략인 요술, 환술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70/지력 86/정치력 72로 준수한 편이다.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투석, 치료,[13] 환술,[14] 요술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69/지력 79/정치력 60/매력 89에 통무지정 순으로 특기는 징병, 화시, 고무, 은밀, 반목, 혼란, 천문, 지리, 회복, 위압, 군사, 간첩. 총 12개다.

형 장각조차도 없는 군사 특기가 있는데 전장에서는 군사 특기가 없는 형보다 오히려 더 활약한다. 그런데 황건군은 인재가 없어서 원격 조종보다 자기 자신이 움직이는 게 더 나을 수도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형처럼 특기가 귀문이다. 능력치가 통솔력 83/무력 71/지력 81/정치력 64/매력 82로 준수하고[15] 창병과 병기 적성이 S인 우수한 장수. 인재가 터무니 없이 부족한 황건 세력이라는 걸 떼어 놓고 봐도 우수한 인재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입에 부적을 문 채 오른손에 검을 들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71/지력 81/정치력 76인데 정치력이 전작보다 12 올랐다. 통솔력과 지력은 80대에 모든 능력치가 70대로 총합은 311이다. 전법은 단순한 성능의 복병.

삼국지 13에서는 능력치와 일러스트가 모두 전작과 동일하다. 특기는 상업 2. 문화 3, 훈련 6, 언변 5, 연전 3, 귀모 2로 전수특기는 훈련. 동생인 장량과 같이 형의 태평요술의 하위호환 전법인 요술이라는 전법을 들고 나왔다. 음성은 관리. 그리고 관리 음성 무장 중 생년이 가장 이른 인물이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말에서 내린 채 입에 부적을 물고 오른손에 검을 든 채 기운을 부여하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83, 무력 71, 지력 81, 정치 66, 매력 86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상승한 대신 정치력이 10 하락했다. 개성은 견수, 환술, 선동, 사역, 의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5, 진형은 안행, 방원, 학익, 정란, 전법은 업화, 혼란, 고무, 치료, 정란, 친애무장은 장각, 장량, 혐오무장은 없고 PK에서는 고유 전법으로 적군의 전능력과 사기를 동시에 저하시키는 중황태을이라는 지력 의존 전법을 부여받았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출진 화면에서 환술 개성 설명 때 "창천이사! 황천당립! 태평요술의 진수를 보여주마!"라는 전용 대사가 뜨는데 형 장각, 동생 장량과 대사를 공유한다.

26. 장비

장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7. 장빈

파일:external/kongming.net/596-Jiang-Bi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8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무관같이 생겼지만 막상 능력치는 아버지의 마이너 버전인 평범한 문관 수준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7/24/66/73이며 병법으로는 제사, 조영 뿐이다.

전투용 전법이 제사(무력에 피해가 비례) 뿐인데, 무력이 24로 매우 낮아 거의 무용지물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0/28/67/74/71인데 막상 특기는 능력치를 살리는데는 도움이 안 되는 보수, 고무. 총 2개 뿐이다. 한마디로 그냥 노답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성 위에 있는 난간을 두 손으로 붙잡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7/23/64/73. 특기는 상업 1, 문화 1, 교섭 1. 전수특기는 상업이고 전법은 궁병속공진.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0, 무력 23, 지력 64, 정치 73, 매력 7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상승했다. 개성은 개수, 소침,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제사, 친애무장은 종회,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28. 장상

파일:external/kongming.net/zhangxiang.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4, 삼국지 5, 삼국지 8 PK,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한다.

삼국지 9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65/지력 37/정치력 38.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뿐이다. 누선 셔틀이나 시키자.

29. 장상

파일:external/kongming.net/zhangshang.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오나라의 장수 장상과는 달리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 62/무력 76/지력 42/정치 27. 병법으로는 분전, 몽충을 가지고 있다. 특히 몽충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30. 장서

파일:external/kongming.net/601-Jiang-Sh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83.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무력 빼고 다 쩌리다. 그 무력마저도 후기 장수 중에서 봐줄 만하다는 거지 전체 장수 중에서는 높은 수준까진 아니다. 세트로 엮이는 부첨이 무력을 제외한 다른 능력치에서 장서 본인보다 월등하게 높은 걸 보면 배신자라서 능력치도 박하게 준 듯.[16]

따지고 보면 다른 매국노인 유선, 황호, 마막은 목숨이 아까워서 항복했다는 변명(?)이라도 할 수 있지 장서 본인은 항복하지 않으면 죽을 상황이 아닌데도 보신을 위해 적극적으로 항복 한거라 질이 더 안 좋은데도 불구하고 능력치가 말도 안 되게 높다. 연의에서 강유가 부첨과 더불어 용맹하고 담력이 있었다는 평가를 반영해서 그런 모양. 의리가 낮고 성격 소심(신중)인 장수 중 가장 무력이 높은 경우도 다소 있다. 애초에 등장이 워낙 늦어서 제대로 써 먹을 수 있는 시나리오도 별로 없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8/지력 41/정치력 36/매력 15.

명색이 강유가 부첨과 함께 아끼던 장수인데 능력치가 후기 장수라지만 무력도 60을 못 넘는 최악이다. 그나마 특기는 진화, 수습 등의 지원용 특기에 혼란, 복병이 있지만 애초에 지력이 40대인지라.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80/지력 33/정치력 31. 병법으로는 돌진 하나 뿐이다.

후기 시리즈와 비교하면 통솔력이 평타인 70 전후는 찍는 데다가 기병 전법 돌진을 들고 나오기 때문에 80 무력으로 갈기는 돌진은 후기 촉나라에서 만큼은 꽤 쓸 만하다. 다만 무력 80 주제에 성격이 소심이라 부대장을 맡기면 가끔 명령을 무시하고 퇴각하는 경우가 있어서 문제다. 또한, 성격 소심인 장수는 먼저 일기토를 걸지 않는 점도 마이너스. 최후반 탑 클래스에 들어가는 무력으로 직접 나서서 쓸어버릴 수가 없다. 그래도 돌진을 가지고 있고 촉나라 장수답게 후반기 시나리오에서는 연노를 기본 장착하고 있어서 특급 인재. 무력 순으로 정렬하면 촉나라 2위, 전국 기준으로도 5위[17]는 찍는다. 어찌보면 장서 본인의 리즈 시절. 얼굴도 약간 엑스트라 삘이 나긴 하지만 젊은 장수로 꽤 봐줄만하다.[18] 문제는 장서 자신인데. 의리 3, 야망 9로 노답이다. 이간지랄이 걸려오는 시점부터, 충성도가 미친듯이 내려가고 보면, 부하로 삼기는 글렀다고 보면 된다. 영웅집결에서는 이런 무장들은 쓸모가 없어서 처형 대상이 되기 쉽다. 그나마 위안으로 보병과 기병에 특기가 붙어 있어서, 전쟁으로 계속 굴려주면 그럭저럭 쓸만하다. 이간지랄이 붙으면 속 편하게 해고해주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72/지력 35/정치력 33/매력 22. 특기는 혼란, 기염. 총 2개다.

그런데 기염 하나 믿고 무력 72짜리를 전장에 일기토 하겠다고 내보낼 일도 별로 없거니와, 지력이 35라 혼란 특기가 있어봤자 쓸 일도 없다. 무력이 70을 넘긴 하지만 통솔력이 낮아서 아무리 촉나라가 인재난이라곤 해도 저런 걸 전방에 내세우긴 무리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큰 차이없는 통솔력 55/무력 76/지력 35/정치력 29/매력 30.

무력이 76으로 상향되면서 무력만은 후기 장수치곤 괜찮은 편이지만 낮은 통솔력과 의리가 걸림돌. 여전히 성격 소심인 장수 중 무력이 최고치인데, 이번 작품의 소심은 저돌이나 대담에 비해 더 좋은 편이라 성격이 별 문제는 안 된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투구를 벗고 있는데 아마 위나라로 붙기 직전의 묘사로 추정된다.

능력치는 삼국지 11과 그대로에 매력만 삭제됐다. 특기는 공성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공성이고 전법이 궁공강화였지만 PK에서 금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5, 무력 76, 지력 35, 정치 29, 매력 25로 개성은 소심, 나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세연구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견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31. 장선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40.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파워업키트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들어올리면서 호통을 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4/47/67/69. 특기는 상업 1, 설파 2, 견수 5. 정사의 기록이 많지 않은 장수인데 전수특기는 이상하게도 견수보다 3 낮은 설파로 전법은 수비명령이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관리.

다만 아들인 장역은 등장하지 못했는데 장선 본인 사후에 아들 장역이 장사태수(참칭)를 물려받았다는 기록을 보면 이미 성인이었을 테고 장선의 나이도 중년쯤 되었을 테지만, 요상하게도 출생년이 175년으로 설정되어 관도전투 당시 20대에 불과하게 되었다. 형주 남양군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어째선지 반동탁연합부터 관도전투 시나리오까지 출신지인 완이 아닌 계양에서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하지만 인재가 부족한 사섭군 진영에서 등용해 사용하다 보면 군사중신으로 활용을 할 수 있다. 202년이 사망한 연도로 유표에게 항거 중 병사했는데 자연사 판정이 아닌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고 문관형인데도 불구하고 특이하게 기본 무기가 검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45, 지력 55, 정치 66,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무력이 2, 지력이 12,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모집, 개수, 주의는 할거,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방원, 학익, 전법은 연노, 철벽, 업화, 강습,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유표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59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출신지인 완이 아닌 신야의 재야로 있다. 영웅집결과 영웅난무 시나리오에서 유표군에 처음부터 사관해 있지 않고 각각 신야와 장사의 재야로 있으며 유표와 적대적이었다는 사실을 반영해서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표군으로는 무슨 수를 써도 장선을 등용하지 못한다. 대신 등애군에서 발견하면 부하로 쓰기도 한다. 참고로 유표도 장선을 극도로 싫어하여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고 다른 장수는 한숭이다.

32. 장선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39.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도검을 들고 허저와 맞서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9/68/48/35. 특기는 견수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견수이고 전법은 교란. 생몰년도가 175~197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67, 지력 38, 정치 21, 매력 3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무력이 1, 지력이 10, 정치력이 14 하락했다. 개성은 저돌, 주의는 아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2, 진형은 봉시, 잡무관치고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뇌서,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사망년도가 198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33. 장세평

파일:external/bbsimg.ali213.net/013031atkk0dx4g46tg446.jpg
삼국지 11

삼국지 11 콘솔판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평범한 문관형이지만 특기가 부호이며 수명이 길어서 그냥 도시에 박아두기만 해도 돈줄로 활약한다.

34. 장소

파일:삼국지3장소.png
삼국지 3
파일:Zhang_Zhao_4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zhangzhao.jpg 파일:external/kongming.net/149-Zhang-Zhao.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4.jpg
삼국지 12, 13
파일:장소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항상 정치력이 90대 후반으로 최고 수준인 인물이다. 제갈량에게도 근소하게 앞설 정도. 주경칙의 수고조론에서 명재상으로 언급된 것이 반영된 듯 하다. 정치 능력이 존재하지 않던 초기 시리즈에서는 일류 책사급의 지력을 지니고 등장한다.

아무래도 '꼬장꼬장한 원로'라는 포지션 때문에 노인이라는 이미지가 박혀 있다. 일러스트만 해도 수염이 하얀 노인 모습이기도 하고. 실제로도 오나라 진영에서는 노인 축에 들긴 하지만[19] 조조보다는 한 살 어리다. 같은 나이인데도 불구하고 손견은 미청년인데 장소 본인은 완전히 늙은이다. 물론 손견이 일찍 죽고 장소는 오래 살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생몰년을 보면 알겠지만 여하튼 이 영감님은 당시 기준으론 정말 오래 살았다. 또한 꼬장꼬장한 노인이란 이미지에 더해 적벽대전 당시 항복파였던 점을 반영한건지 성격이 소심으로 설정되어서 나온다.[20]

삼국지 1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18/지력 98/매력 91.

한국에서 인지도가 낮아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이번작의 오나라 최고 지력 보유자는 주유육손도 아닌 장소다. 참고로 지력 100인 제갈량에 이어 98로 장소와 함께 전체 공동 2위인 다른 둘은 사마의와 방통.

삼국지 2에서는 무력 30/지력 95/매력 84.

여전히 우수한 지력으로 가후, 조조 등과 동급이다.

능력치에 정치력이 추가된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29/수전지휘 29/무력 32/지력 86/정치력 94/매력 92. 이번작부터 언제나 정치력이 가장 높은 능력으로 고정된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7/무력 23/정치력 98/지력 88/매력 83으로 정치력이 시리즈 등장인물 중에서 가장 높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14/지력 94/정치력 98/매력 84로 진군과 함께 정치력 투톱을 찍는다. 기본 진형은 방원, 안행이며 낙석, 침착, 반계, 고무, 토석, 격려를 특기로 가지고 나와 누가 봐도 수성 전용 책사.

사실 무력이 형편없어 공격전에는 쓸 일이 없고, 수비전도 상대보다 전력이 밀리면 모를까 그냥 쓸어버리는 것이 더 빠르다. 손권의 참모로 활약하지만 지력 94는 믿고 쓰자니 다른 세력의 참모에 비해 좀 아쉽고[21] 의외로 조언이 많이 틀리기에 교체되기 쉽다. 세력 내에 장소 본인보다 지력이 높은 이들(주유 99, 육손 97, 노숙 96, 각성한 여몽 95)이 없는 것도 아니고. 다만 참모를 통해 조언을 들으려면 군주와 참모가 한 도시에 있어야 하는데, 장소 본인 후방에 두는 장수지만 주유나 육손 등은 문무겸비형 도독으로서 전방에 두는 게 보통이다. 어차피 오나라의 수도는 건업으로 위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는 점에서 여기도 최전방이나 마찬가지니 세력 내 적절한 장수 이동을 통해서 참모를 갈아치우자. 다만 원윤 같은 잉여가 참모라서 등용이나 외교에서 효과를 보지 못하는 원술로 시작할 때는 수춘에 재야로 있는 장소를 얼른 데려오는 것이 좋다. 참모 역할에 특화된 군사들을 데려오기 전까지는 장소 정도면 충분히 땜빵으로 참모 역할은 할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1/무력 4/지력 85/정치력 97. 병법으로는 누선, 조영, 매도를 가지고 있지만 보다시피 누선 말고는 다 별로다.

진군과 마찬가지로 내정용으로 부지런히 굴리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5/무력 9/지력 84/정치력 97/매력 80에 특기는 농업, 상업, 기술, 반목, 항변, 반론, 반박, 논파, 명사로 9개다.

여전히 내정쪽으로는 최상급의 능력치를 갖추고 있고 지력, 매력도 괜찮게 나온다. 설전쪽으로도 논파, 반론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어 강캐이며, 내정쪽으론 농업, 상업, 기술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특화가 확실히 된 장수다. 다만 능력치가 최상급인 것에 비해 특기 수는 평범한 일반 장수급. 대개는 내정으로 주로 굴리는 캐릭터고 내정 특기는 잘 갖춰져 있어 문제는 없지만 직접 플레이 할 때는 그냥 사무직 공무원마냥 성 안에서 죽치고 내정만 하게 돼서 약간 아쉬운 점도 있다. 적벽대전을 반대했다고 코에이한테 밉보였는지 숨겨진 스탯인 물욕이 보통이고, 분명 정사에선 술을 못 마시는데 손권이 어거지로 먹인다고 나왔는데도 주량이 대량이라 술을 좋아한다.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33/무력 3/지력 84/정치력 97/매력 80의 능력치.

특히 정치력은 97로 98인 순욱에 이어 전체 삼국지 캐릭터 중 정치력 순위가 2위인데 특기가 없다. 내정가면서 특기가 없다는 점이 진군과 같은 경우다. 지력이 꽤나 높으며 소심 성격이기에 능력 연구를 통해 지력을 올린 다음 논객 특기[22]를 부여해 주는 것도 나쁘지 않으나, 그 높은 정치력이 아깝다고 생각하는 플레이어는 능리, 번식, 부호 같은 특기를 부여해서 내정용으로 써먹는게 좋다.

콘솔판 추가 시나리오인 영웅난무에서는 소패에서 군주로 등장한다. 장승, 장굉, 미축, 미방, 미씨, 진규, 진등, 왕랑, 왕숙, 진교를 부하로 두고 있다. 부하들 전투력이 좀 낮다는 걸 빼면 부하들 질은 제법 높은 편인데, 수춘에 장료, 하비에 제갈량, 복양에 하후돈, 진류에 원소 등 주변이 강대한 세력뿐이라 사실상 영웅난무 최고 난이도 세력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재야까지 합쳐도 가장 무력이 높은 무장이 71짜리 석포라 컴퓨터에게 맡겨 두면 거의 100%의 확률로 제갈량에게 멸망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전작들보다 더 성깔있는 영감님스럽게 나오는데 자세히 보면 관모를 쓴 채 포권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33/무력 3/지력 84/정치력 97. 전법은 엄청나게 쓸 만한 문무저하이나 능력이 저래서 전투에 참가하는 것이 애매모호하다. 여전히 높은 정치력으로 내정에서의 성능은 최상위권. 억지로 쓰려고 한다면 그냥 태사자, 감녕, 주태의 등 뒤에 숨어서 전법을 뿌리고 도망가는 비굴한 용도로 써주는 게 최선책. 일단 저 세 장수들은 몸빵은 되기 때문이다. 특히 주태는 전법으로 철벽을 갖고 있다. 주태의 철벽몸빵에 의지해서 전법을 뿌리고 도망가는 용도가 전장에서 최선책이다. 전법이 동일하고 통솔력과 무력이 훨씬 높은 주거가 가입한 후에는 완벽히 내정/외교용 장수가 된다.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 전체 삼국지 장수 중에서 정치력이 순욱에 이어 2번째로 높다. 중신특성도 내정 커맨드 기간 단축인 합리철저인지라 천상 군주 내정중신감. 특기는 상업 8, 문화 2, 설파 5, 교섭 7, 언변 4, 수영 2이며 전수특기는 상업인데 삼국지 공인 부자 노숙의 상업 9의 뒤를 잇는 상업 8 덕분에 훌륭한 금 공급원이 될 수 있다. 장굉의 농업 9와 함께 강동이장의 탁월함을 느낄 수 있는 부분. 전법은 상대 기동력 3단계, 사기를 1단계 깎고 도발 상태로 만드는 교란도발. 음성은 노옹.

허나 장소 본인의 저질 통솔력&무력과 병과 적성을 들고 무리하게 전장에 나설 일은 거의 없을 터. 그냥 이미지대로 무난하게 후방에서 내정에 전념시키자. 특히 오나라측이면 대대로 군사들도 전장에 뛰쳐나갈 수 있는 인재들로 이뤄져 있는지라 군주로 플레이시 십중팔구 원작대로 내정중신 장소에게 부재를 일임하고 다 싸우러 뛰쳐 나가게 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성격이 꼬장꼬장한 노인네라서 그런지 인덕 특기는 없다. 삼국지 10의 기호 책정 고증오류가 바뀌지 않아 술을 좋아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술 가지고 가서 같이 마시다 보면 친밀도 올리기가 쉽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관모를 벗은 채 호통을 치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통솔력 33/무력 3/지력 84/정치력 97/매력 81로 매력이 복귀되었음에도 삼국지 12 시절과 능력치가 별반 다를 바 없다. 이 정도면 사실상 저 능력치를 고정 컨셉으로 잡았다는 말이다. 개성으로는 동지, 명성, 교화, 인맥, 지낭이 있었으나 PK에서는 교화 개성이 삭제되고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다. 진형으로는 어린과 충차를 보유하며 전법은 혼란과 매성이 끝. 친애무장은 고담, 손책, 왕랑, 장굉, 장온, 조욱, 혐오무장은 노숙, 보즐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일단 지력이 높지만 저 스탯에 진형이 일기토에 휘말리기가 쉬운 어린 밖에 없어서 전투에서 도저히 써먹을 수가 없는데, 내정형 개성이 4개나 있으니까 내정으로만 돌려주는 게 편하다. 특히 손오가 있는 오월 종특이 너무 넓은 빈 땅에 항구는 더하기 때문에 명성 개성으로 달린 장소로 곱게 내정하면서 땅에 색칠이나 확실하게 해주는 게 좋다.

삼국지 8 리메이크에서는 전반적으로 스탯이 대폭 올라서 통솔력 44, 무력 28, 지력 87, 정치력 96, 매력 86의 능력치를 부여받았다. 자금 관련인 상재1에 기술을 올려주는 발명이 1이며 축성3을 부여받아 장굉과 더불어 역사와 전통의 손오 내정머신으로 활동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35. 장소

파일:external/kongming.net/151-Zhang-Shao.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무능한 D급 문관으로 나오며, 일부 작품에서는 장비 사후 장팔사모를 아이템으로 갖고 있다. 보통은 장비→장포장준으로 전승된다. 보통 아무리 듣보잡이어도 아비가 맹장이면 통솔과 무력이, 책사면 지력과 정치력이 그 후광을 받아 60~70대 정도는 찍기 마련인데 장소 본인은 유독 그런 것도 없다. 아무래도 연의에서 등애로 하여금 강유에게 항복하라고 전달하러 간 것과 옥새를 들고 나간 것 때문에 매국노로 찍혀 코에이가 일부러 하향 조정을 한 건지도 모르겠다.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장비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무력 12/지력 30/정치력 60. 병법이 하나도 없다. 내정용으로나 굴리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무력 32/지력 36/정치력 63/매력 46으로 능력치가 바닥인 것도 문제인데, 특기가 아예 없다. 유선 조차도 특기가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무력 12/지력 31/정치력 59/매력 52에 역시 전작과 마찬가지로 특기가 없다. 일러스트는 매우 후덕하다.

삼국지 12에서 나온 그의 일러스트는 딱 장비가 문관 옷을 입은 모습인데 자세히 보면 위나라에 항복할 때 두 손으로 옥새를 들고 나온 장면을 묘사했다. 생긴 것은 갑옷만 입으면 무력 최소 90은 찍어줘야 할 듯한 험악한 모습이지만 무력은 여동생 장씨보다도 낮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3/56/31/59. 중신특성은 없고 특기는 연전 1.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수비약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전작에 비해 통솔력과 무력이 2배로 상향됐지만 전투특기는 연전 하나만 있고, 분류도 무관이 아닌 문관이다보니 사실상 엿을 먹이는 능력 배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3, 무력 32, 지력 31, 정치 59, 매력 46으로 무력이 높은 것이 이상하다고 생각했는지 전작과 달리 무력이 2배 넘는 24씩이나 깎여나갔다. 개성은 소심, 주의는 할거, 정책은 지역순회 Lv 1,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36. 장송

파일:삼국지3장송.png
삼국지 3
파일:Zhang_Song_2_(1MROTK).webp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Zhang_Song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5.jpg
삼국지 12, 13
파일:장송(자교).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연의처럼 들창코에 외모가 못생기게 나온다.[23] 다만 몇몇 시리즈에서는 들창코가 없다. 시리즈를 통틀어 지력 80대 중후반 수준의 문관이기 때문에 그럭저럭 쓸만한 인재다. 보통 유장군에서 법정 다음가는 지력을 가지고 있다. 초기에는 가지고 있지 않지만, 후기 시나리오에서는 서촉지형도를 소유하고 있다.[24] 주군인 유장을 배신하려 했기 때문에 매력은 바닥이고, 전장에서 딱히 활약한 뭐가 없기 때문에 통솔, 무력도 바닥이다.

삼국지 3에서는 정치력이 91. 아주 좋은 개발용 인재이며 매력도 79로 괜찮은 수치다.

삼국지 5같은 경우는 지력 92/정치력 86의 군사로 등장한다.

유장 세력 내에서는 지력 94의 법정 다음으로 지력이 높다. 다만 법정과 장송 본인 모두 충성도가 80대로 낮은 데다 상성 역시 유비군에 더 가깝기 때문에 포상을 주어 충성도를 관리하지 않으면 언제든지 다른 세력으로 갈 위험이 높다. 반대로 유장 세력을 공략하기 전 가장 먼저 빼와야 할 장수 중 하나. 무력이 매우 허접하긴 해도 시작부터 병사 2만을 가질 수 있는 것은 확실한 메리트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2/무력 3/지력 87/정치력 81. 병법으로는 혼란, 매도 뿐이지만 병법 숙련도가 조금 아쉬운 장수.

파괴는 서촉지형도의 템빨로 가지고 있으며 자체로는 보유하지 않았다. 어째서인지 지력이 더 높은 법정이 있는데도 유장군으로 시작할 때의 군사는 장송 본인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12/지력 88/정치력 82/매력 19로 특기는 상업, 반목, 지리, 항변, 반박, 논파, 도발, 군사, 간첩으로 총 9개다.

군사 특기도 있고 좋은 편이지만, 유비 입촉 이벤트에서는 방통과 같이 이벤트 제물용으로 전락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보물인 서촉지형도는 유비가 이벤트 끝에 얻게 되지만 이벤트를 보지 않은 경우엔 초기 시나리오[25]에는 장송 본인이 가지고 있지 않고[26] 영웅 집결, 이릉 대전에서는 성도의 상회에 있다.

삼국지 11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6/지력 88/정치력 82/매력 19에 특기는 비책이다.

비책 문서를 보면 알다시피 자기보다 높은 지력을 지닌 장수에게 계략 크리티컬을 먹이는 것으로 조조에게 한방 먹인 장송 본인의 이미지에 맞는 특기. 다만 특기의 특성상 지력이 낮아야 적용대상이 늘어나서 쓸 만한데 장송 본인의 지력이 지나치게 높아 효용성은 그리 크지 않다. PK라면 능력연구를 통해 특기를 논객으로 바꿔보는 것도 좋다. 지력도 높은 데다가 성격이 소심이라서 논객으로 사용할 경우 설전에서 소진, 장의가 부럽지 않은 맹활약을 보여준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유비에게 두 손으로 파촉지형도를 바치고 있다.

전법이 파괴력약화라는 수성의 달인의 전법을 가지고 있고 지력이 보유자 중에서 가장 높아서 쓸만하다. 특히 장임과 같이 있으면 원맹사+파괴력약화로 상대를 짜증나게 해주지만, PK에서는 전법이 전법봉인으로 바뀌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5/무력 6/지력 88/정치력 82. 특기는 상업 2에 설파 6, 언변 6으로 전수특기는 설파. 병과 적성은 모두 C이며, 전법은 교란도발이다. 음성은 관리. 무엇인가 맞지 않다 생각되면 PK로 플레이 할 때 전수특기를 언변으로 변경해주자.

내정 쪽 스탯이 준수한 편이지만, 특기 레벨이 어중간해서 써먹기가 약간 난감하다. 하지만 이상위명이 사기전법인 적병수탈전법을 보유한 거괴이기 때문에 좋지 못한 전투 스탯에도 불구하고, 부장으로서 유용하다. 특히 대부분이 위나라 소속인 거괴 이상 보유자들 중, 유일한 촉나라 쪽 거괴 이상 보유자다.[27] 거괴 보유자 중 지력 공동 1위. 보물로 통솔력과 공성을 1씩 올려주는 서촉지형도가 있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6, 지력 88, 정치 82, 매력 1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0 하락했다. 개성은 언독, 책사, 공명, 오만,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세연구 Lv 4, 진형은 안행, 장사, 전법은 혼란,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맹달, 법정, 양수, 유비, 혐오무장은 형 장숙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어째선지 일러스트에 맞을 정도로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이 아닌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37. 장수

장수(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38. 장숙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38.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치면서 동생인 장송의 음모를 유장에게 알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13/무력 26/지력 75/정치력 72. 특기는 상업 2, 농업 1, 문화 2, 교섭 1. 전수특기는 문화이고 전법은 창공약화.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26, 지력 58, 정치 64, 매력 68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7, 정치력이 8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주의는 명리,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39. 장순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7,[28] 삼국지 8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2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검 손잡이를 짚고 있다.

능력치는 클론인 삼국지 8편과 달리 통솔력 73/무력 81/지력 60/정치력 36으로 상향되었다. 높게 책정된 무력은 양종 등을 격파하고 그들의 목을 취했다는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병과는 기병, 전법은 공성강화라서 백도어에 특화된 무장이다. 어째선지 공손찬과 혐오무장이 아니고 자신을 토벌할 때 참전한 유비와 상성이 맞다.

삼국지 13에서는 전작과 별 다르지 않은 능력치로 등장한다. 반란을 일으킨 행적 탓에 삼국지 8편에서는 의리가 낮았으나 이번작에서는 의리가 보통이다. 특기는 훈련 4 단 하나지만 동료인 장거보다 레벨이 3 높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기병속공진이다.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77, 지력 56, 정치 43, 매력 35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7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무력과 지력이 각각 4 하락했다. 개성은 친오, 친선, 공명, 격분, 난폭이라는 패널티 개성이 추가되었으며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3, 진형은 봉시, 학익, 전법은 제사, 매성, 친애무장은 장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PK DLC로 등장한 흔들리는 한조 시나리오에서는 양평의 군주로 등장하는데 본인을 포함해서 구력거, 장거 총 3명이 있다.

40. 장승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아버지와 아들 간 일러스트의 괴리감 때문인지 이 자가 장소의 아들인지 모르고 플레이하는 경우가 꽤 있다. 능력치가 딱히 좋은것도 아니고 전능력치 평균 70의 균형잡힌 70대 오각형이라, 잡아서 죽여놓고 보니 장소랑 원수지게 돼서 놀라는 사람도 꽤 있다. 그래도 수명이 아버지 장소처럼 길다는 점으로 쓸만하다.

삼국지 3에서는 장소를 계속 데리고 있으면 어느 시점에서 장휴가 먼저 태어나고 그러고 시간이 좀 지나면 장승 본인이 태어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6/72/74/77. 병법으로는 분전과 연사, 누선을 보유한 괜찮은 장수다. 특히 누선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5/68/75/68/72이며 특기는 치안, 화시, 일제, 진정, 지리, 반격, 명사. 총 7개다.

능력치 총합만 보면 준수하지만, 모든 능력치가 어중간하고 소속이 오나라인지라…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7/70/75/73/74인데 전체적으로 상향되었으며, 극/노/수군의 적성이 A에 특기는 수장이다.

모든 능력치가 어중간하고 특기가 애매하지만, 수명이 오나라 장수 중에서는 길기 때문에 발전시킬 여지는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파워업키트에서 전작에서 매력만 삭제된 능력치로 다시 부활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검을 잡고 있다.

병과는 창병에 전법이 전공격강화라서 제법 괜찮은 장수가 되었다. 여담으로 요상한 버그가 있는데 여포토벌전 시나리오에서 손책으로 플레이 하다가 보면 이 인간이 비정상적으로 봉록을 자꾸 가증해달라고 한다.[29] 유저들이 이상하게 생각되어서 에디터로 살펴보니까 임관년도가 자그마치 서기 100년 으로 나와있었다.후한 초기 인물이라 카더라 다른 시나리오에서는 정상적으로 197년 정도로 나온다. 가능한다면 추방시켜서 다시 등용하는게 더 현실적인 방법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2, 농업 1, 문화 2, 순찰 1, 수영 1.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창속약화.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69, 지력 75, 정치 70,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무력이 1,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안목,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안행, 장사, 전법은 제사, 업화, 도발, 구축, 친애무장은 노숙, 보즐, 엄준, 여대, 제갈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8 리메이크에서는 통솔 75, 무력 70, 지력 74, 정치 73, 매력 73으로 여전히 장승 특유의 평균 능력치 70대를 유지하였다.

41. 장승

파일:장승.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장범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쪽 손가락을 가리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3, 무력 18, 지력 73, 정치 70, 매력 67이다. 개성은 교화, 주의는 형과 같은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학익, 충차, 전법은 저지, 충차,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형 장범처럼 동탁, 원술이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56년, 몰년은 215년까지 되어있다.

42. 장씨

파일:장씨003.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Zhangshi_%281MROTK%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82.jpg
삼국지 12, 13
파일:장씨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추가되었는데 장씨(張氏)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열전 내용이나 몰년이 237년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보아 장황후가 아닌 경애황후가 확실하다.

삼국지 11 콘솔판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79/지력 58/정치력 66/매력 78. 무력이 79씩이나 되지만 무력과 매력 말고 다른 능력치들은 암울하며 병종 적성도 창병과 극병만 B이다. 게다가 특기도 없는 것보다 나은 수준인 앙양.

사실 시나리오에서는 자기 남편과의 혼인 관계를 활용하면 그나마 공성용 전투 유닛으로 써먹을 만하지만 그것조차도 수명이 너무 짧아서 (30살 정도에 자연사 책정) 효율이 나쁘다. 수명 걱정 없이 육성할 수 있는 영웅집결 같은 시나리오에서나 취미용으로 키워볼 수 있는 수준이다. 친애무장이 관평, 조운, 장비로 설정되어 있어서 대놓고 진삼국무쌍 시리즈의 장성채를 노린 것을 볼 수 있다. 일러스트도 머리태만 없으면 헤어스타일이 장성채와 비슷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사모를 든 채 오른손으로 허리를 짚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20/무력 61/지력 37/정치력 50으로 매력이 삭제되고 모든 능력치가 뭉텅 깎여나가 평균 능력치가 전작보다 25 가량이나 떨어졌다. 병종은 기병에 전법은 창병격봉인으로 전장에서는 요화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며, 특기는 수집과 인맥으로 지력을 감안하면 무특기와 큰 차이가 없으니 내정에서도 쓸모가 없는 일러스트 감상용 무장이다. 사실 아무리 장비의 딸이라도 무력 80대에 근접하는 무력을 가진다는 건 좀 무리이긴 하다. 문제는 여캐들의 경우 무력 쪽으로 능력치 줄게 없으면 지력, 정치력이라도 60~70대를 주는데 이런 케이스의 경우는 지력, 정치력도 바닥이라 어디 쓸 데가 없다는게 문제. 이번작에서 등장하는 모든 여성 무장 중에서 가장 쓸 데가 없는 암울한 무장. 동생은 빼놓고 자신만 나오며 능력치는 암울하지만 장비의 딸이라는 설정 때문에 사모를 들고 나온다. 친애무장은 유선 한 명으로 줄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0/무력 61/지력 37/정치력 50. 중신 특성은 없으며 특기는 인덕 1(유선 인연 효과), 일기 1. 전수 특기는 일기이며 병과 특성은 창병 B/기병 C/궁병 C. 전법은 전법 포인트 3의 주위공격으로 특징은 자부대의 범위 공격 부여다. 음성은 보통녀.

그 아버지에 그 딸 아니랄까 아버지처럼 술을 좋아해서 호감도 올리기는 어렵지 않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18/무력 60/지력 40/정치 53/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3 상승했지만 통솔력이 2, 무력이 1 하락했다. 무력이 그나마 높은 편이지만 통솔이 워낙 낮고 공격용 전법마저 없다. 그래도 여성 무장들 일부에게 주는 응원(특정 범위 내의 자신 세력 부대 남성의 모든 능력 상승)만 들고 나와서 버프 셔틀 담당이며 전작들보단 쓸데가 있는 편이다.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본초학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남편인 유선, 장비, 장포, 하후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녀다.

43. 장아

파일:7b57caaa2ce06a19770bf0f5ebe99502.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패도에서는 SR 무장으로 등장하며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4/66/53/31/57이다.

44. 장양

파일:external/kongming.net/113-Zhang-Ya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20.jpg
삼국지 12, 13, 14

상징색은 고동색이다.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7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플레이하기 불쌍한 군주. 부하 수도 부족하고 부하라고 있는 게 수고양추같은 능력치도 능력치대로 구리지만 의리는 더 처참해서 뒤통수나 안 때리면 다행인 쓰레기 장수들이다. 황건동란 시나리오에선 정원군 소속으로 나오다가 여포의 정원 배반->잔여 세력 긁어 모아서 정원의 뒤를 잇는 설정이다.

다만 부하로 동소가 있는 시나리오에서는 아주 못해먹을 세력은 아니다. 그 이전 시나리오까지는 군사도 없고 부하 무장의 태반이 D급 무관이라서 인재를 등용하기가 정말 어렵고 계략에도 관광을 타기가 일쑤지만 동소가 있으면 사정이 좀 낫다. 물론 그래도 주변에 원소 등의 쟁쟁한 세력이 모여있어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여포와 동맹이라는 점도 좋지만 문제는 여포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서로 도와줄 처지는 못 된다. 무엇보다 여포는 조조유비 막느라 자기도 먹고 살기 바쁘다.

반동탁연합 시나리오부터 군웅할거 시나리오까지 진양의 군주로 등장하지만 삼국지 11편부터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주군인 정원이 진양에서 대신 군주 자리를 차지함에 따라 그의 부하로 소속되어 있는다. 여담으로 하내와 상당이라는 도시가 지역으로 변경되어 왕광 세력을 자신의 세력에 두고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62/수전지휘 29/무력 64/지력 51/정치력 43/매력 76.

전체적으로는 잉여이긴 한데 매력이 좋아서 인재 등용이나 주민선정, 모병 등에는 요긴하게 쓰일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72/지력 65/정치력 63.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 충차를 가지고 있다.

영웅집결에서 독자적인 세력으로 나오지 못하고 여포가 근거지를 상당에 둠에 따라 여포의 부하로 있다. 부하인 수고와 양추는 옆 동네 장연의 부하로 들어갔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0/지력 68/정치력 60/매력 67로 균형잡혔지만 특화가 없어서 구리다. 특기는 농업, 보수, 돌격, 일제, 역공 총 5개.

가장 높은 무력마저도 딱 70이라 미묘하다. 보수 특기를 그나마 살릴 수는 있긴 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0/지력 62/정치력 58/매력 68로 통솔력과 매력이 전작보다 소폭 상향했으나 안 그래도 낮았던 지력과 정치력이 더 내려갔다.

군웅할거에서는 부하로 동소가 있기는 하나 공손찬원소 사이에 껴서 난이도가 매우 높다. 진양을 버리고 낙양으로 이사가는 꼼수를 쓸 수 있는데, 진양의 재야 4인방을 쓸어담고 낙양에 가서 낙양 재야도 다 등용해서 낙양 수비를 굳혀야 한다. 이각과 조조의 공격이 매섭지만 낙양 인재까지 흡수하면 서황, 채염, 양수 등 인재풀도 꽤 되고 낙양 자체가 방어에 유리하고 땅이 비옥한 금싸라기 땅이라 막는 게 가능하다. 여포와 동맹이라 여포가 버텨주면 조조 공세도 줄어든다. 낙양의 2번째 인재타임 때 사마의, 가규 등을 얻으면 슬슬 외부 진출각이 보인다.

동소도 원소에게 가고 부하라고는 쓰레기 무장 휴고와 양추 밖에 없는데다 도망칠 도시도 없는 여포토벌전에서는 멸망 직전의 막장 군주다. 재야로 있는 장연과 탐색하면 나오는 왕릉의 등용은 필수. 다행히 상성이 크게 차이 나지 않아 등용은 쉽다. 거기에 본작의 원소는 물량만 많고 쓸만한 무장이 그렇게 많이 없는데다 북쪽의 공손찬이 실제 역사와 달리 건재해서 오히려 남피에 역공을 가하거나 계까지는 뺏겨도 북평에서 끊임없이 원소를 괴롭히기 때문에 장양 입장에선 이이제이. 본거지인 진양도 수비하기에 나쁘지는 않은 지형이라 계속 일기토로 짤라먹다보면 언젠가 기회가 올지도 모른다. 장양의 무력이 일기토하기에 아주 알맞은 무력이기에[30] 이점도 소소한 보너스. 공손찬과 원소 인재에 의리가 높은 무장이 많이 없기 때문에 인재수급이 수월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은 채 동탁으로부터 명령을 받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70/지력 66/정치력 58로 지력이 전작보다 조금 상승했다. 전법은 무력저하. 영지인 진양이 업과 계 두 도시에만 인접해있던 전작과는 달리 이번작에서는 낙양과도 인접하게 되면서 난이도가 상당히 올라갔다. 특히 조조와 원소 동맹을 상대해야 하는 여포토벌전 시나리오에서의 장양은 이 작품에서 적벽대전의 공손강, 오로침공전의 맹획 등과 더불어 이번작에서 가장 어려운 시나리오 중 하나로 뽑힌다. 이 시나리오에서는 또 수명을 사실로 플레이하면 장양이 몇 년 지나지 않아 죽어버려서 더욱 암울하다. 다만 이제 낙양과 인접된 도시라는 점을 살리면 군웅할거에서만큼은 할 만하다. 시작하자마자 낙양을 털고 병력을 뽑으면서 인재를 긁어모으면 고만고만한 세력들이 난립한 군웅할거 특성상 일단 살아남기는 성공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낙양 재야인사 서황을 등용하는 것으로, 서황을 등용해 198년까지만 버티면 또 낙양에서 사마의가 나온다. 이 때부터는 천하통일각이 보이기 시작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며 중신특성은 없고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A/궁병 B다. 전법은 창방강화인데 창병 적성이 C이므로 사실상 없는 거나 다름없고 특기는 훈련 1 하나 밖에 없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 음성은 용장.

이번작에서도 여전히 암울하다. 반동탁연합부터 여포토벌전 시나리오까지 군주로 등장하며 바로 옆에 상당의 장연이 있기 때문에 재빨리 먹자. 장연의 질주지휘는 그나마 쓸만하며, 장양 쪽이 장수가 더 많기에 물량빨로 충분히 이길 수 있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정원 수하의 군사로 등장한다. 그리고 용장 음성 무장 중 생년이 가장 이른 인물이다. 장양이 황제가 되면 국호는 '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70, 지력 67, 정치 58, 매력 70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조달, 모집,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격려, 교란, 친애무장은 여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45. 장양

파일:external/san.nobuwiki.org/738.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1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여 정치력 96이라는 미친 능력을 찍은 뒤로는 삼국지 9탄까지 등장하지 않았다.

삼국지 10에선 이벤트로 얼굴만 등장한다. 특수 무장이라 130년생이라고 나오지만 별 의미는 없다.

삼국지 11에서도 이벤트용 무장으로만 존재하고 데이터상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2/1/84/66/24. 하진을 조기에 암살한 것 때문인지 지력이 높다. 황제를 데리고 다닌 것 때문인지 의외로 숨은 속성인 한실이 중시로 되어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어두운 얼굴을 한 채 두 손을 모으고 있으며 이번작에서도 이벤트용 무장으로 존재한다.

삼국지 13삼국지 14에서도 일반 장수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46. 장억

파일:삼국지3장억.png
삼국지 3
파일:Zhang_Ni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135-Zhang-Yi2.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7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5까지는 장의로 표기하다가 삼국지 6부터 제대로 장억이라고 표기한다.

보통 올 70대라는 균형잡힌 능력치로 나온다. 강유, 조운, 위연, 이엄, 왕평에게는 미치지 못하지만, 이들 외의 다른 촉나라 무장들과 달리 능력치 총합이 300이상으로 장익, 오의, 왕평보다 총합이 높다. 거기다 전사한 탓에 부자연사 시스템이 추가된 후기작에서 209년에 등장해 254년 이상 생존해있기 때문에 먼치킨으로 성장시킬 여지는 충분하다.

일러스트는 삼국지 11까지는 투구를 썼지만 삼국지 12에서는 벗었는데 서질에게 죽기 직전에 최후의 분전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64/수전지휘 23/무력 71/지력 65/정치력 36/매력 59, 야망 6, 운 6, 냉정 6, 용맹 8이다.[31]

하지만 참 박한 능력치인 데다가 무력이 71인데, 육전, 수전이 매우 낮아서 장군이 못되고, 정치는 36이라서 상업투자에 못써는 능력치라서 버림받는다. 그래도 전투형 무장이 부족할 때 쓸 정도의 능력치는 된다.

삼국지 5에서는 모든 능력치들이 70대 중반으로 상승해서 엄청나게 쓸 만해졌다. 진형은 봉시, 형액, 장사 특수능력은 무쌍, 분기, 화계, 진화, 침착, 내분으로 A-급으로 쓸 만하다.

삼국지 9에서는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3/지력 75/정치력 76으로 능력치 총합은 마충(297)보다 높고 병법으로는 분투, 연사, 정란, 조영, 배반을 가지고 있다.

특히 북벌기의 시나리오에서는 매우 쓸 만하고 보병 병법은 분투까지 있으며 노병 병법은 연사까지 있다. B급 탑 클래스인데 마충과 같이 병법 수가 5나 된다.

삼국지 10에서는 통솔력 80/무력 74/지력 75/정치력 77/매력 75의 능력치. 특기는 기술, 치안, 훈련, 화시, 일제, 진정, 은밀, 지리, 기염, 역공. 총 10개다.

통솔력이 무려 80인데 균형 잡힌 능력치라 장수제인 이번작에서는 매우 좋다. 후기 장수에 한정짓지 않더라도 능력치 총합 381은 무려 전체 32위다. 이래도 감이 안 온다면 합이 동률인 다른 장수가 가규, 공손찬, 장각이다. 어디에 써도 제 몫을 해 줄 수 있는 장수.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79/무력 72/지력 74/정치력 77/매력 7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이 1 내려갔지만 능력치 총합이 378[32]이고 적성도 기병과 수군 빼고 전부 올A인 만능형 장수다.

특기가 답파로 성능이 아쉽지만 AI가 불함정을 자주 쓰는 편이라 없는 것보다 나은 편이다.

삼국지 12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2/지력 75/정치력 77로 전법은 창병견수.

유선 시기에 주로 활약한 장수이기 때문에 촉에게는 매우 중요한 인재, 창군견수는 범위 내 아군 창병의 방어력, 무력, 지력이 상승 되는 전법이다. 특히 장비에게는 만인적의 지속시간을 늘려주고 유비의 의용병의 활용을 편하게 해주기 때문에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유비군에게 매우 유용하다.

삼국지 13에선 전작과 능력치가 완전히 동일하며 특기는 훈련 2, 순찰 4, 신속 3. 전수특기는 순찰이며 왠지 하후상과 묘하게 겹치는 것을 봐서는 대충 책정했다는 생각을 지울 수가 없다.음성은 용장.

전법 또한 하후상과 똑같이 전법 포인트 3을 사용하는 궁병공격진으로 범위 내 궁병에게 공격 2단계(아군전체 공격력 40) 사거리 2단계를 부여한다. 자부대 버프뿐인 강궁보다 공격력이 앞서며 사거리는 강궁이 조금 더 길 수도 있겠지만 이것도 충분히 길며 전법 지속시간도 긴 편이다. 전법 포인트 3을 사용하는 전법치곤 꽤나 쓸만한 전법인 셈. 특히 장억이 온전치 않은 몸 상태로 최후의 싸움을 분전한 데다 일러스트 역시 어디를 봐도 분전하고 있는 모습이라 분전 특기를 줄 만도 한데 없다는 점이 옥에티.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2/지력 75/정치력 77/매력 75. 매력을 제외한 기존 능력치는 전작에서 그대로 유지됐으며, 매력은 삼국지 11보다는 1 내려갔다. 개성은 숲전, 후위, 모집, 친만, 개수, 주의는 왕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장사, 학익, 투석, 전법은 분전, 화시, 진정, 투석, 친애무장은 강유, 마충, 요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장남이다.

그리고 전작에서 분전 특기가 없다는 것에 지적을 받았거나 제작진도 오류라 자각했는지 몰라도 전법에 분전을 넣어줬다.

47. 장엄

파일:external/kongming.net/zhangyan2.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 38, 무력 27, 지력 79, 정치 86로 매우 좋다. 제갈량을 좋게 평가해줬기에 코에이가 인심 좀 쓴 듯하다. 가진 병법도 누선, 혼란, 배반으로 괜찮은 편.

48. 장연

파일:external/kongming.net/120-Zhang-Ya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65.jpg
삼국지 12, 13, 14

상징색은 울트라마린색이다.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장연 자신의 능력치는 말할 것도 없고 삼국지 6편까지 아예 세력 자체가 등장하지 않는 비운을 겪다가 삼국지 6 PK의 추가 시나리오인 동태사 주살에서 처음으로 세력이 추가되었다. 물론 이후로도 장연의 부장들은 아예 등장하지 않아 세력의 장수가 군주 1명밖에 없는 비극의 세력이었지만, 장연 자체는 시리즈를 거쳐갈수록 꾸준히 능력치가 상승하고 있다.

일단 황건적 같은 반란군 계열인 데다 황건적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하다고는 하지만 결국 대군으로 밀어붙이다 털리기만 했기에, 원소가 재조명되며 장연의 비중이 늘어나더라도 양판소에서 고블린의 자리를 보다 강인한 인상의 오크가 대체하듯 이나 전투력 측정기 이미지를 벗어나기 힘들다는 의견도 있다. 그리고 맹획과도 비슷한 부분이 있는데 군주로는 하드코어 하지만 부하로는 나름 괜찮다는 점, 주변 세력이 모두 막강한 세력 뿐이라 본인이 힘을 못 쓴다는 점이 겹친다.

장연 본인은 등장 이후로 쭉 황건적 소속으로 등장하는데 황건적의 난 때 혼란을 틈타 자기 세력을 일군 건 맞지만 따지고보면 황건적과는 아무 연관이 없다. 오히려 황건적은 국가의 탄압에 못 이겨 들고 일어난 농민군이고 장연군은 오히려 그 농민들을 못살게 굴었던 도적떼였기 때문에 황건적과 별개의 세력으로 존재해야 정상인데도 이렇다. 물론 하진, 장각에 끼어있는 상황에서 장연 달랑 혼자 뭐 어떻게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고 도적이라는 특성상 하진, 장각 양쪽 모두에게 적대 세력일테니 차라리 장각 밑에 나름 유능한 부하로 존재하는 게 낫긴 하다. 코에이에서도 이렇게 밀어주고 싶은지 산적의 두목임에도 몸을 노란색으로 치장하고 나오고 상성도 8로 장각 쪽에 기울어져 있다.[33]

삼국지 3에서는 그냥 장군이 될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만 달고 등장했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4/지력 45/정치 38/매력 53. 무쌍과 일기가 모두 있어 특기는 괜찮은 편.

주창, 하의 등 황건적 잔당들을 죄다 이쪽으로 몰아줘서 비록 쩌리 수준이라도 부하는 제법 많다. 물론 그 황건적 부하들이 전부 제 갈길 간 200년 관도대전 시나리오에서는 부하가 전혀 없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83/지력 51/정치력 58. 병법으로는 돌파와 궁기병계 병법 최강급 특기인 비사를 가지고 있다.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진양에 변희와 2인조를 이루고 있고,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선 거기에 휴고만 추가된게 전부라 인재부족에 시달린다. 그러나 일단 휴고와 변희 모두 정란+제사를 가지고 있어서 공성 스페셜 리스트로 굴리면 꽤 쓸만하니 비사의 장연과 조합하면 전투에선 그나마 숨통이 트인다. 그러나 내정은 괴멸적이라 인재 등용이 시급한데, 영웅집결에선 양원 지방에 왕혼, 왕침, 왕창, 왕릉이 있으니 이들이라도 일단 등용하는 것이 우선일 듯. 그러나 장연군 세력의 정치가 워낙 시궁창이라 이것도 쉽지 않다. 차라리 최대한 병력을 잘 세이브하고 있다가 주변에 다른 군소 세력끼리 싸움이 붙을 때 슬쩍 빈집털이로 특정 세력 하나를 밀어버리는 편이 더 낫다. 다만 바로 밑이 여포라서 말은 쉽지...

삼국지 10의 능력치는 통솔력 82/무력 80/지력 54/정치력 55/매력 61에 특기는 징병, 돌격, 화시, 기습, 회복, 삼단, 나선으로 총 7개.

징병 특기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전투에 치중되어 있다. 군주로도 등장하지만 부하가 질은 둘째치고 양적으로 워낙 부족하기 때문에 난이도는 하드코어.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2/무력 81/지력 53/정치력 48/매력 63. 비장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쓸 만한 특기인 행군을 가지게 되었다. 당연히 기병 적성도 S.

하지만 이번작에서는 하북의 도시 수가 축소되면서 다시 장연 세력이 삭제되었다. 진양의 재야에 있는데, 인재가 매우 부족한 장양 세력에게는 어떻게든 등용해야하는 인물. 기병 s에 통솔력 무력 모두 높기에 공손찬이나 원소에게 가도 뛰어난 무장으로 활약한다. PK 시나리오인 하진포위망 단 하나에서 군주로 등장하지만 병주가 아닌 전혀 엉뚱한 도시에 박혀 있다. 게다가 이 시나리오는 순욱이 군주로 나오는 등 별별 이상한 세력들이 추가되어서 사실상 의미가 없다.[34]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창극을 든 채 무서운 얼굴로 노려보고 있다.

여전히 진양 쪽 재야로 등장하고 소유전법은 기군병격이라 기병을 주력으로 쓴다면 나름 좋은 전법이긴 한데, 어차피 공손찬과 원소 쪽에선 장연말고도 좋은 장수가 많으므로 주전력으로 쓰기 애매한 편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1/지력 57/정치력 48이다.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질주지휘,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A/궁병 C이며 특기는 순찰 2, 신속 6, 일기 3. 전수특기는 신속이다. 음성은 난폭.

반동탁연합(189년)부터 관도전투(200년) 시나리오, 그리고 가상 시나리오인 영웅집결에서는 군주로 등장한다. 이후의 시나리오에서는 조조 수하로 등장하고 황건적의 난(184년) 시나리오에서도 장각 수하로 등장한다. 하북의 도시 수는 물론 삼국지 시리즈 역대 최다 도시인 60개가 나오는 덕분에 게임상에선 장연은 상당 방면에서 독자 세력으로 등장한다. 바로 밑에는 하내 태수 장양과 여포가 있고 7개의 도시나 먹고 있는 원소와 붙어 있기 때문에 고난이도 세력이다. 이 진영이 어려운 이유는 반동탁연합과 영웅집결에서는 장연 본인과 변희, 수고 3명 뿐이고 군웅할거와 여포토벌전에서는 수고가 장양 세력으로 가버렸다. 관도대전에서는 장연 혼자 뿐이다. 똑같이 군주 1인으로 시작하는 세력은 익주평정 공손공이 있는데 그나마 장연은 공손공보다 능력치는 좋은 편이라는게 위안. 이번작을 통틀어 최악의 난이도 중 하나. 똑같이 돌대가리들 소수만 가지고 시작하는 엄백호에 비하면 장연이 능력치는 좋지만, 주변 여건이 좋지 못해 하드코어급 군주. 엄백호 주변에는 쩌리가 많지만 장연은 하북지 13 최강 원소가 인접해있다. 질주지휘는 성능이 좋은 전법이지만 부하무장 숫자가 적은 상황에선 돼지 목의 진주목걸이니 인재확보가 급선무다. 대부분의 시나리오에선 조조나 원소 둘 중 하나와 동맹+인접해 있는 같은 약소국인 장양을 없애고 부하로 만드는 게 최선이다. PK에서는 우독이 추가되어서 그나마 오리지널보다 상황은 조금 나아졌고,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의 경우 그렇게까지 난이도가 높진 않은데, 먼저 주변에 인접해있는 세력은 장양 하나인데, 장양은 우선순위가 하내의 왕광이고, 나머지 인접도시인 중산과 거록은 공백지이다. 원소는 감릉, 거록, 중산을 먹은 뒤 업을 우선적으로 공격하며, 유우는 공손찬과 치고받기 바쁘다. 따라서 원소가 확장하기 전에 먼저 거록, 중산을 먹고 사기캐릭인 조운을 어떻게든 부하로 만드는 것이 포인트. 내정쪽으론 죄다 돌대가리들이긴 하지만 진양에서 왕릉을 수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재수가 좋으면 중산을 먹었을 때 계에서 서막이 굴러들어올 수도 있다. 이후엔 조운을 믿고 원소와 결전을 하거나 원소와 화친하고 유우, 장양을 뒤치기하면 된다. CPU의 경우엔 세력에 돌대가리들만 존재해서 그런가 내정은 상당히 느리고 군비 위주로 발전하는데, 앞서 언급했듯이 주변 세력들의 우선순위에 들어있지 않기 때문에 진양 하나만 먹고 10년 가까이 버티면서 군대 10만, 정예기병을 굴리는 일도 드물지 않다.[35] 장연이 황제가 되면 국호는 '채'다.

삼국지 14의 능력치는 통솔 80, 무력 81, 지력 54, 정치 48,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지력이 3 상승했다. 개성은 질주, 산전, 지리, 소침, 적도, 주의는 아도, 정책은 추행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추행, 전법은 급습, 견제, 교란,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출진 화면에서 질주 개성 설명 때 "물 찬 제비처럼 신속한 진군. 어느 누가 따를 수 있으랴."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전작에 비해 상당, 하내라는 도시가 삭제되어 진양으로 통합됨에 따라 반동탁연합과 군웅할거 시나리오 때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지 못했으며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도 진양의 재야로 등장함에 따라 세력을 하내태수 왕광과 함께 단독 세력을 이끌지 못한 군주가 되고 말았다.

다만 PK에서 추가된 영웅난무에서는 자동의 군주로 등장하는데 부하로는 곽석, 관승, 관해, 구성, 국연, 뇌박, 뇌서, 수고, 양봉, 우독, 이악, 주조, 진란, 한섬을 두고 있으며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상관자수, 영수, 왕사, 윤상, 이흠, 장저, 조정, 조통, 천만 총 9명이 있다.

49. 장염

파일:장염.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허리띠를 잡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39, 지력 30, 정치 41, 매력 42이며 개성은 경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지역순회 Lv 1,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고간,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사례 홍농군 사람인데도 불구하고 어째선지 영웅집결과 영웅난무 시나리오에서는 출신지로 추정되는 낙양이 아닌 진양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50. 장영

파일:external/kongming.net/122-Zhang-Yi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6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주태장흠을 소환하는 데 필수요소이기 때문에 등장은 자주 하나 능력치는 잡장 A급 수준. 그래도 유요군의 장수들은 태사자를 제외하면 능력치가 좋지 않기 때문에 유요군에서는 그나마 쓸만한 인재다.

삼국지 4에서는 시나리오 1, 2에서 유요군 소속이며, 수하 장수 중 유일하게 보병 특기가 있어 백병전에서는 꽤 쓸 만한 장수로 활약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2/지력 36/정치력 37.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누선, 충차, 조영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2/지력 34/정치력 35/매력 53으로 그나마 대우 좀 받은 편. 특기는 4개다(치안, 일제, 저지, 회복)

전장에서 쓸 만한 특기가 부족한 게 흠이지만 어차피 유요군에서는 특기는 고사하고 능력치조차도 구린 애들이 대다수다. 태사자 다음가는 통솔력에 태사자가 없는 치안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치안 셔틀로 유용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4/지력 41/정치력 34/매력 49에 무특기이나 태사자에 이어 유요군 2위의 통솔과 무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주력으로 쓸 수 밖에 없다.

영웅집결에서도 재야로 있는 심영에 다음가는 무장이다. 일러스트가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의 영향으로 비대한 모습이 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활을 든 채 주먹을 쥔 오른손을 높이 치켜올리고 있다.

능력치가 통솔력 75/무력 74/지력 41/정치력 34로 전법은 대타격. 아무런 특기도 가지고 있지 않아 쓰임새가 애매하지만, 무력만 잘 키운다면 그의 대타격은 유요군의 희망이 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3, 수영 3.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창병속공진.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72, 지력 40, 정치 35, 매력 51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이 2,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견뢰, 경솔, 직정, 주의는 할거,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철벽, 견제,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무력이 높은 무장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기 때문에 전법의 서로 해결하는 것이 좋다.

51. 장영

파일:external/kongming.net/zhangying2.jpg
삼국지 9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8/지력 65/정치력 69. 병법으로는 연사, 조영, 덫을 가지고 있어 쓸만하다.

52. 장예

파일:장예.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묘하게 장송 같이 생긴 모습으로 오른손을 펼치면서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43, 지력 67, 정치 76, 매력 68이다. 개성은 발명, 농정, 능리, 주의는 예교,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방원, 충차, 전법은 매성, 충차, 구축, 친애무장은 제갈량, 혐오무장은 양홍이다. 어투는 책사남. 생년은 166년으로 설정되어 있어 장예 본인의 58살 이전 운운이 졸지에 1살 먹기전에 도망치는 꼴이 되었다.

53. 장온

파일:external/50932e9fb0730ff76ee2ad05f3951fd3c57a9035fc147cbeeffaaf4b62724de2.jpg
삼국지 8

삼국지 8에서만 등장하는데 정치, 매력은 70대며, 무력은 낮지만 지력은 60대로 쓰기에는 무난한 수준이다. 왠지는 몰라도 일러스트가 동탁과 비슷한 이미지다.

186년 '관군의 위엄은 실추되고 장온은 명을 받아 출진하는데'라는 이름의 시나리오에 이름을 올리고 오프닝에서도 등장한다.

54. 장온

파일:external/kongming.net/127-Zhang-We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6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범한 내정형 문관으로 등장. 영웅집결에서는 오에서 재야로 등장하며 해당 도시는 엄백호 세력으로 하다보면 등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엄백호와 엄여 형제의 정치력이 모두 개판이라 만약에 등용을 했다면 초반에 인재 탐색을 할 때 반드시 써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4/무력 12/지력 68/정치력 85로 정치력이 눈에 띄게 높다. 병법으로는 매도 하나 뿐이라 내정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7/무력 11/지력 68/정치력 77/매력 77. 특기는 혼란, 반박, 논파, 명사 4개.

전투 능력이 상당히 낮기 때문에 전장에 내보낼 생각은 하지 말자. 지력이 68인지라 논파가 있어도 설전에서 활용도는 미묘하고 명사 특기가 있는 게 그나마 도움이 되는 정도.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위로 펼친 채 밝게 웃으면서 촉나라의 정치를 찬미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10/지력 72/정치력 78. 특기는 농업 1, 교섭 2.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화공계. 음성은 보통.

평범한 문관형이지만 화공계라는 전장에서 쓸만한 전법 덕분에 손권군으로 한다면 전장에 데리고 나가야 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7, 무력 10, 지력 69, 정치력 77, 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 지력이 3,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논객, 여망, PK에서는 특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매성, 정란, 친애무장은 위소, 은례, 진밀, 혐오무장은 손소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은 문관답게 내정용으로 쓰인다.

55. 장완

파일:삼국지3장완.png
삼국지 3
파일:Jiang_Wan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589-Jiang-Wa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77.jpg
삼국지 12, 13
파일:장완.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무력은 매우 낮지만, 통솔력 70대에 지력 80대, 정치가 90대 정도의 내정형 군사로 등장한다. 또한 비록 실제로 시행했다는 적이 없지만 제갈량과 달리 수로를 이용한 공격을 주장해왔기에 촉나라 인물 치고는 수군 적성이 매우 높거나 관련 특기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영웅집결에서는 영릉에서 등장하므로 유도 및 다른 형남 4군주의 희망이 된다. 고난이도 진행 중 초반에 얻으면 게임 클리어의 1등공신이 되고, 타 세력에 뺏기면 안 그래도 어려운 게임의 난이도가 더 지옥 같아진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3/수전지휘 70/무력 60/지력 85/정치력 80/매력 84에 야망 8, 운 7, 냉정 8, 용맹 8로 B급 군사쯤 된다.

지력이 85라 손자병법서(지력 +10)로 보강해 주고 이를 물고 노가다를 해서 육전지휘 를 80대 후반까지 끌어올리면 서서의 대체자원도 된다. 사족이지만 제갈량보다 7살이 어린데 출생년도는 176년으로 되어 있다. 삼국지 9편부터는 188년으로 수정된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54/지력 91/정치력 94/매력 84로 보유 진형은 학익, 어린, 안행이며 특기는 수습, 진화, 반계, 격려, 낙석, 토석이다.

A급 책사인데 '오장원의 지는 별' 시나리오에서는 유선의 참모로 있다.

삼국지 6에서는 통솔력 70/무력 55/지력 86/정치 96/매력 82로 군무, 정무에서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38/지력 84/정치력 93이며 병법으로는 제사, 투함, 투석, 조영, 고무를 가지고 있다.

촉나라의 장군으로는 드물게 투함을 보유하고 있는데 실제 역사에서 장완이 주장한 대로 촉으로 상용에서 서성 쪽으로 진출하는 수로를 이용할 생각이라면 죽기 전에 다른 장군에게 투함을 익히도록 노력해 보자. 적에게 직접 방해 효과를 주는 모략 쪽 병법이 없는 게 아쉬운 점이다. 이 때문에 그냥 속편하게 내정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가끔 고무가 필요하겠다 싶을 때만 꺼내 쓰는 식이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39/지력 85/정치력 93/매력 81로 준수하며 특기는 농업, 상업, 기술, 치안, 고무, 반목, 반박, 논파, 명사, 제독. 총 10개다.

사기인 군사 특기가 없다는게 조금 아쉬운 점이다. 촉의 장수들 중에선 드물게 제독 특기도 가지고 있지만, 전투에서 쓸 만한 특기라고는 고무, 반목 밖에 없기 때문에 전투보다는 주로 내정에서 활약하게 될 것이다.

삼국지 11에서의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34/지력 84/정치력 93/매력 81. 병과 적성은 창병과 극병이 B, 노병과 수군이 A, 병기가 S, 기병이 C로 준수하다. 특기는 계략의 교란과 위보를 무조건 막는 명경으로 사실 시나리오에서는 조조의 좋은 카운터가 된다.

장비, 마초, 위연 같은 지력 낮은 맹장들과 세트 메뉴로 묶기 딱 좋은 장수. 높은 병기 적성을 살려 적당히 무력 높은 무장의 부장으로 삼아 병기 부대로 출진하는 것도 좋은 활용법이다. 지력이 84로 제법 높은 편이라 특기가 없이도 계략 방어가 어느 정도 된다는 점에서 특기와의 상성 자체는 실은 그리 좋지 않은 편이다. 게다가 장완 본인은 촉 소속이기 때문에 상대가 조조가 아니고서는 그냥 없는 것보다는 조금 더 나은 정도의 역할밖에 되지 않는다. PK의 경우 다른 특기를 연구하면 변경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병서를 짚고 왼손에 붓을 든 채 글을 쓰려 하고 있지만 어떤 때를 묘사했다고 확연히 알기 힘든데, 제갈량 사후 그의 뒤를 이었으니 국정을 돌보는 모습을 표현한거라 생각하면 될 것 같다.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34/지력 84/정치력 93으로 내정형 군사의 능력치이며, 자신의 후임인 비의와 비슷한 능력치 배분이다. 내정을 굴리기에도 쓸 만하며, '군사'를 가지고 있어서 계략부에서 진가를 발휘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도 통솔력 78/무력 34/지력 84/정치력 93이다. 특기는 농업 7, 설파 6, 교섭 7, 언변 6이며 전수특기는 농업이다. 전법은 창병동요이고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C/궁병 A. 음성은 정중.

여전히 내정용 장수인데 내정용 특기는 어째 농업 7 말고는 없다. 그래도 높은 정치력과 특기 덕분에 훌륭한 쌀 공급원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설파, 교섭, 변설도 높은 편이니 간간히 외교나 촌락 끌어들일 때에 활용하다 보면 공적은 차곡차곡 쌓인다. 중신특성이 군세의 병량 소모를 20% 줄여주는 병참관리이니 가급적이면 최대한 범위를 활용할 수 있는 군주 중신이나 도독 중신으로 써먹으면 좋다. 특이하게 정사에서 일 안 하고 술만 마시다 유비에게 걸려 죽을 뻔한 일화가 있었을만큼 술을 즐겼다는 정황이 있었음에도 이 때 이후 정신차리고 술을 줄이기라도 한 건지 애주도는 보통이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34/지력 84/정치력 93/매력 81로 삼국지 11과 똑같다. 개성은 절약, 태연, 명경, 진흥, 조타가 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선종외시 Lv 2,[36] 진형은 안행, 학익, 정란, 투석이 있고, 전법은 연노, 고무, 치료, 정란, 투석, 구축을 가지고 있다. 친애무장은 반준, 비의, 제갈량,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56. 장위

파일:삼국지3장위.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hang_Wei_%28ROTK11%29.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6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장로군에서 양앙, 양임과 함께 무력 담당이다. 통솔은 양임과 비슷한데 무력에서 밀려 다른 세력 같으면 구석에 처박힐 능력치이지만 장수진이 부실한 장로군인지라 자주 출전할 수밖에 없다. 양앙과는 서로 비슷한 능력치. 삼국지 4부터 삼국지 7까지 양임과 양앙이 등장하지 않는 동안은 장로군에서 제일가는 무장이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62, 수지 24, 무력 72, 지력 35, 정치 31, 매력 64에 야망 9, 운 7, 냉정 7, 용맹 8로 그냥 잡무관이다.

무력은 72정도 되지만 육전지휘와 수전지휘가 심각하게 낮아서 장군이 될 수가 없다.그래도 명색이 신선인데 장군 좀... 장군이 되기 위해서는 육전지휘나 수전지휘 중에서 26만큼 올리면 된다. 빡세다면 빡셀 수 있고 널럴하다면 널럴하다고 할 수 있는 수치인데 장로를 군주로 하게 될 경우 장위를 장군으로 발업하는게 전쟁 분야의 최당면 과제이므로 사기가 120이 된 병력은 무조건 장위에게 몰빵해줘야 한다.그냥 그 이전에 다른 장군을 찾는게 낫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74/35/33/65. 진형은 추행/구행. 특기는 고무, 복병, 화계, 진화, 원시, 강행.

무력을 제외한 능력치가 형편없지만 추행진형을 갖고 있기에, 기동력을 살린 속전속결 전투에 쓸만하다.

삼국지 7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75/34/35/61. 일기, 강행, 불화살, 욕설을 가지고 있다. 숨은 성향인 성장형은 무력, 전략경향은 군비.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69/34/34/62. 전법은 난격 3, 낙석 1에 특기는 축성 뿐.

능력치도 깎이고 특기도 안 좋다. 거기에다 이번작부터 양임과 양앙이 복귀하면서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그래도 장로군에선 여전히 쓰일 수 밖에 없고, 무력형 성장형은 유지되어서 다행.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8/65/42/41.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으며 양백과 더불어 장로군의 노병계 또는 궁기병계 병법 보유자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3/68/53/49/65에 특기는 훈련, 일제. 총 2개 뿐.

장로군에선 그나마 이 정도도 없어서 못 쓸 정도이며 세력이 강한 곳에서 얻을 경우 훈련 셔틀로 쓰면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66, 지력 45, 정치 44, 매력 61로 삼국지 3과 달리 무력과 육지가 역전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쪽 주먹을 치켜들고 소리치고 있다.

전작과 달리 통솔이 1 상승하였다. 인재진이 빈약한 장로군에게는 염포, 양임과 더불어 그나마 쓸만한 무장이다. 전법이 꽤나 좋은 전방어강화지만 지력이 45이라 지속력이 짧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무력 66/지력 45/정치 44. 특기는 훈련 1, 수영 3. 전수특기는 수영으로 전법은 궁병속공진이다. 음성은 무례.

어째선지 익주 지역 장수 중에서 특이하게 수영 특기를 가지고 있다. 전작부터 이어진 일러스트가 저런 모양이라 붕우를 맺거나 할 때 보면 다른 인물과 다르게 참 튄다. 일러스트 맨 위가 주먹부터 출력되는지라.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68, 지력 48, 정치 44,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지력이 3 상승했다. 개성은 산전, 교련, 미도, 분쇄, 주의는 패도, 정책은 삼령오신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화시, 격려, 매성, 친애무장은 양앙, 양임, 혐오무장은 유장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무관이지만 적에거 직접 피해를 주는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고 재야 무장들이 장위보다 능력치가 더 좋은 편이라 전법의 서 주기도 아깝긴하다. 그래도 교련과 미도 개성이 있으니 내정용으로 쓰이는 것으로도 나쁘지 않다.

57. 장윤

파일:Zhang_Yun_(ROTK11).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5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크게 나쁘지 않은 능력치를 가지고 수군이나 궁병 쪽으로 좋은 장수로 등장한다. 그런데 유표의 외조카이자 그의 일족인데도 불구하고 혈연 관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2/지력 61/정치력 59/매력 52 진형은 어린/수진, 특기는 내분, 수계, 화계, 고무, 수신, 화시.

능력치는 형편없어 쓸 데가 없지만, 시리즈 특성상 '수진'을 갖춘 장수가 워낙 귀하기 때문에 유비군의 미방 같이 어쩔 수 없이 쓸 수 밖에 없다. 손권군과 전쟁이 아니면, 유표의 아들들인 유기유종급인 잡장 수준이기에 내정이나 수행 보물 셔틀로 버려지게 된다. 참고로 이 때의 일러스트는 어느 미남자 못지 않은 간지 폭풍을 자랑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8/지력 54/정치력 64. 병법으로는 제사, 투함 뿐이다.

채모와 함께 수군 최강 병법인 투함을 가지고 있으며 채모와 동일한 수전 전용 무장으로 통솔과 무력은 비슷하나 지력과 정치에서 차이가 20, 10 이상 난다. 그래서 내정에도 투입시킬 수 있는 채모와 달리 활용방향이 철저히 수전에 한정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8/지력 54/정치력 53/매력 49에 특기는 훈련, 화시, 제독. 총 3개 뿐이다.

훈련 특기는 그나마 통솔력이 73이라 그럭저럭 쓸 만하다. 정치력이 전작에 비해 11 내려갔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7/지력 42/정치력 56/매력 48에 노병 적성 A, 수군 적성 S로 등장한다.

능력치가 전작보다 3 올라간 정치력을 빼고 전체적으로 내려갔는데, 특히 지력이 12 내려갔고 통솔력, 무력, 매력은 1 내려갔다. 적성 S를 소유한 무장 중 특기가 없는 무장은 장윤 본인과 조순 단 둘 뿐이며, 채모와 함께 조조군 쪽 상성인 무장 중 수군 적성이 S인 매우 귀한 무장이므로 능력치 이상의 활약이 가능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책상에 올린 상태에 표정이 무언가 의아해하는 걸로도 해석되는데, 정황상 연의에서 주유의 계략에 속아 채모와 장윤을 의심하게 된 조조가 갑자기 부른 것에 대한 반응으로 추정된다.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7/지력 42/정치력 56에 수련과 연병 특기를 갖고 있다. 전법은 전군원사로 궁병이 많은 유표군에서는 괜찮은 전법이나 지력이 낮아 효과가 쉽게 끊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2, 순찰 3, 수영 5. 그가 연의에서 조조군의 수군 도독이었던 걸 반영해서인지 전수특기는 수영이며 전법은 궁병수비진.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장. 정사에서 투항한 이후 기록이 없어서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68, 지력 42, 정치 56, 매력 4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1 상승했다. 개성은 수전, 소심, 동요, 주의는 패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어린, 안행, 전법은 분전, 강습, 시람, 친애무장은 채모, 채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58. 장의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36.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재등장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겁먹은 얼굴로 창을 두 손으로 든 채 분투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43/무력 67/지력 30/정치력 21. 특기는 훈련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훈련이며 전법은 수비지휘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용장. 생몰년도가 157~208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잡장 수준이지만 사기를 올려주는 전법 덕분에 그래도 전투를 하게 될 때 위급하다면 사용해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3, 무력 62, 지력 30, 정치 21, 매력 38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할거, 정책은 지역순회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화시, 친애무장은 마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67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일러스트와 맞는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59. 장의거

파일:삼국지3장의거.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8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그저 그렇다. 안량, 문추, 장합, 고람, 순우경 등이 모조리 떨어져나간 원소군의 최후의 장수라는 정도의 의의.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63/수지 23/무력 71/지력 35/정치 30/매력 60의 잡무관.

초기작을 보면 원소군의 주력 장수인 순우경, 한맹, 장기 등과 맞먹는 준수한 능력치(통솔, 무력 70대)를 지니고 있다. 물론 이 거품은 후속작으로 가며 대폭 깎이게 된다.(63/71/35/30) 비슷한 입지인 순우경보다 모든 능력치에서 밀린다. 약소 세력이라면 써먹을 건덕지는 있는데 소속이 원소군이라 잉여로 분류된다. 특이하게 단명하는 원소군 장군들 중에서는 이례적으로 장수하여 원소 세력이 망한 시나리오 4부터 마지막 시나리오 6까지 양평의 재야로 나온다.

삼국지 5처럼 원소가 조조에게 몰락하는 '하북의 폭풍' 시나리오가 있다면 그나마 해당 시나리오에서 군주인 원소와 함께 최강의 전투력을 가진 무장이기 때문에 감지덕지하고 쓰게 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64/52/56의 저질 장수. 병법으로는 기사, 제사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2/60/62/50/57에 특기는 징병, 일제, 진정. 총 3개.

징병 특기는 좋긴 한데 매력이 낮은지라 조금 미묘하다.

삼국지 11에서는 열전에 오류가 있어서 연의의 내용은 기록되었지만 정사에는 기술 없음으로 기록되어 가공인물로 취급되었다. 여담으로 일러스트가 턱수염만 기른 모습으로 나왔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펼친 채 위로 올리면서 흩어진 무리를 불러 모으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무력 58/지력 59/정치 51, 병과 적성은 창병 C, 기병 B, 궁병 B,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수비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58, 지력 59, 정치 50, 매력 57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모집, 진화, 주의는 할거,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격려, 치료,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60. 장익

파일:Zhang_Yi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114-Zhang-Y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2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모든 능력치가 70대 초중반인 만능형 장수다. 얼핏 보기엔 뭐하나 쓸 데가 없어 보이지만, 후기 시나리오 장수에, 이릉 이후에 가장 인재난에 시달리는 촉나라에서 몇 안되는 올라운드 플레이어이기 때문에 빛을 보는 편.

삼국지 3에서는 육전지휘 75/수전지휘 71/무력 72/지력 42/정치력 36/매력 73의 평범한 무장으로 나온다.

근데 출생이 158년이라 시나리오 6에서는 죽어서 안 나온다. 이후 삼국지 4부터 출생이 178년으로 고쳐졌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4/지력 71/정치력 68. 병법으로는 분투와 연사, 정란을 가진 좋은 장수.

이번작의 경우 익주쪽 장수들은 기병, 궁기계 병법을 가진 장수가 없는 대신 분투와 연사, 특히 연사는 거의 대부분이 가지고 있는 게 특징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4/지력 71/정치력 68/매력 70으로 고만고만. 특기는 기술, 보수, 화시, 진정, 은밀, 유인, 반격. 총 7개다.

삼국지 11에서도 통솔력 75/무력 74/지력 71/정치력 72/매력 70의 괜찮은 능력치이지만, 특기가 잉여인 친만.

다른 이민족 킬러 장수들은 답파인 것과 대조적이다. PK버전이라면 특기를 다른 것으로 바꿔주자.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측면인 상태에서 왼손에는 창을 든 채 무릎에 오른손을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4/지력 76/정치력 72. 엄청나게 쓸 만한 전법인 전공성강화가 생겨서 평범한 무장에서 쓸 만한 무장으로 위상이 올라갔다. 물론 본인은 공성 특기 없음에 궁병이라서 파괴력이 약하지만, 다른 무장들에게는 좋은 편이라서 팀의 파괴력을 책임지는 무장이다. 지력도 76이라서 나쁘지 않다. 게다가 제갈량팔진도와 합치면 아군에게 주는 파괴력이 세지고 공성 특기을 가진 무장들을 완벽한 공성병기으로 진화시켜 준다. 그래도 전국칠웅 시나리오에서는 낙읍(낙양)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장량의 후손이기 때문. 이는 장막도 마찬가지다.

삼국지 13에서도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다. 특기는 훈련 3, 순찰 3, 신속 2에 병종 적성은 창병 B/기병 C/궁병 A,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음성은 청년. 전법은 사기회복으로 전법 포인트 1로 사기 2단계(자신의 사기 50 상승)를 올려주는 전법인데 아무래도 전작보다 전법이 부실한 느낌이지만, 그래도 포인트 부담 없고 사기가 많이 차서 엔간해선 장익 본인의 부대는 궤주할 일이 없긴 하다.

유비군 소속이므로 창병은 거의 A로 나가게 될 것이다. 거기에 PK에서는 사기 상승이 30으로 줄었긴해도, PK에선 길을 지날 때마다 사기가 깎이는 반면 사기 상승전법 대부분의 너프 때문에 사기 30 한꺼번에 올려주는 전법 찾기가 쉽지 않다. 가성비로는 이만한 사기상승 전법이 또 없는셈, 3포인트만 질러줘도 자부대 사기가 90이나 오른다! 여기에 부장전법을 사용하게 해주는 트레이너까지 사용해 장익을 부장으로 이용해주면 해당 주장은 전투 마무리 단계에서 사기를 충전시켜 적어도 사기걱정은 없이 부대를 진군시킬수 있다. 장익의 능력치까지 나쁘지 않은것도 플러스 포인트.

삼국지 14에서 일러스트는 전작을 그대로 쓴다.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4/지력 72/정치력 72/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숲전, 법률, 친만,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시설개발 Lv 3, 진형은 장사, 안행, 방원, 전법은 연노, 철벽, 경파, 저지, 친애무장은 요화,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61. 장임

장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62. 장자

삼국지 2에서만 등장한다.

63. 장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41.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소리치면서 신호를 보내고 있는데 기록에서 보듯 위나라 군에게 포위당해 조운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58, 지력 35 정치 31.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연전이고 전법은 방어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난폭.

삼국지 14에서는 능력치가 전작과 동일하나 추가된 매력이 36이며, 개성은 동요, 주의는 패도, 정책은 봉시강화 Lv1, 진형은 봉시, 전법은 제사,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64. 장절

파일:external/kongming.net/zhangjie.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4부터 삼국지 9까지 등장한다.

삼국지 6의 전술 시뮬레이션에서는 오나라 토벌전 스토리에서 사마염조환을 폐위하려고 하자 이에 반대하는 발언을 하다가 사마염에게 한 칼에 죽는 모습으로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2/11/35/70이라는 낮은 스탯 달고 등장하는데 병법은 매도 하나 뿐이다.

옥새 보관하는 관리이니 통무야 그렇다쳐도 지력은 왜 이렇게까지 낮게 설정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을 정도.권력에 순종적인 코에이라서 그런가? 어차피 셋 줄짜리 가상인물인데, 굳이 능력치를 올릴 필요가 다만, 부하로 놓는다면 가장 최고의 부하다. 의리 12 야망 0 이라는 독특한 컨셉을 지닌 문관이다.

65. 장제

파일:張濟.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독립 세력이라기 보다는 이각 휘하 장수로 등장하며, 지력이 10~20대인 우매한 무장 스타일의 이각, 곽사보다는 지력이 높아 50대 전후를 마크하고 있으나, 무력은 70 전후로 조금 낮게 나온다. 통솔력은 근소하게 장제 본인이 높다. 이 두 사람이 그냥 무력형이면 장제는 지력, 정치력, 매력도 평균 수준 이상인 밸런스형 무장이다.

삼국지 3에서는 사도구 중에서 유일하게 장군이 될 수 있는 능력치를 달고 나온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70/지력 63/정치 66/매력 72의 능력치에 특기는 화계, 내분, 고무, 복병, 분기, 난사이며 기본 진형은 학익, 구행.

다른 시리즈에 비해 능력치 배분이 후한 편으로 모든 작을 통틀어서 유일하게 지력 60대, 매력 70대를 찍는다.[37] 무쌍이 없어서 잉여인 분기를 제외하면 특기들이 대부분 수비에 쓸만해서 약소 군주가 영입할 경우 꽤 좋은 무관으로 굴릴 수 있다. 특히 189년 시나리오에서는 초반부터 용명이 3000이상이기 때문에 초기 시나리오라 경험이 부족한 다른 장수들에 비해 많은 병력(13000명)을 굴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0/지력 48/정치력 56. 병법으로는 돌진, 충차를 보유하고 있고 노병계, 궁기병계 병법은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4/지력 55/정치력 57/매력 65에 특기는 돌격, 기습, 역공. 총 3개로 밸런스형.

이각, 곽사 패거리 중에서는 상당히 괜찮은 장수다. 내정 관련 특기는 없지만 이각 세력에서는 정치 높은 무장이 가후 정도인지라 내정에서도 어느 정도 써먹을 수 있는 수준이다.[38] 부인으로 추씨를 시작부터 두고 있어 다른 이와의 결혼은 에디터를 쓰지 않는 이상 불가능.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동탁 세력에 속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6/지력 52/정치력 53/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크게 너프되기는 했지만 그래도 이각, 곽사, 번주보다 좋다.

특기는 없고 병과도 기병 적성만 A이고 나머지 병과 적성은 C인지라 전투만큼은 이각, 곽사보다 안 좋을 수도 있다.[39] 영웅집결에서는 조카의 부하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수염을 덥수룩하게 기른 모습으로 나왔는데 자세히 보면 왼손을 허리에 댄 채 오른손을 턱수염에 갖다 대고 있다.

거기다가 대우가 좋아져서 원래 이각의 부하로 나오는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이각을 떠나 독립세력으로 등장한다. 전작까지 군웅할거 시작 연도는 194년 6월인데 12부터는 195년 1월로 나오기에 이 시점에서는 장제 본인이 독립한 시기이기 때문. 하지만 완에 위치하였고 바로 옆에 조조가 있기 때문에 멸망 1순위 세력으로 꼽힌다. 그래도 수하에 조카랑 가후가 있고 완의 를 등용하고 초반에 조조와 싸움 걸지 말고 동맹을 맺고 조공을 바치고 장안의 이각을 노리는게 쉬운 길이다. 사실 이 방법보다 더 좋은 방법은 시작하자마자 낙양을 털면된다. 서황, 양수 등의 인재와 비옥한 영토 및 방어기지를 얻을 수 있고 여기를 점령하고 버티는 자체가 조조의 확장을 견제하는 효과까지 있어서 좋다. 198년까지 버티면 사마의까지 나와서 그때까지 모은 물량과 인재를 바탕으로 서북방을 쓸어버리고 조조와 맞짱뜨면 된다. 영웅집결에서도 드디어 장수 대신에 군주가 되었다.

삼국지 13에서는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2/지력 55/정치력 53이고 특기는 문화 1(추씨 인연 효과), 훈련 5.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은 창속약화. 음성은 무례.

195년 군웅할거와 영웅집결에서 군주로 등장하는데[40] 이번에는 시작 위치가 완에서 홍농으로 바뀌었다. 바로 옆에는 장안의 이각이 있으니 손쉽게 먹어버리고 다음은 마등을 노리자. 이번에는 조조와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초반 걱정은 덜게 되었다. PK에서 추가된 이상 위명은 천하명장이라 간접적으로 상향되었다. 특히나 군주로 등장하는 군웅할거와 소패왕용약 시나리오에서는 시작부터 천하명장을 찍고 시작한다. 몰년이 196년이긴 하지만 비자연사이기 때문에 216년까지 생존한다. 장제 본인에게 자식이 있어도 장수가 있다면 장제가 사망한 후 장제의 자식이 아니라 조카 장수가 군주의 자리를 물려받는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66, 지력 55, 정치 53, 매력 6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6 하락했다. 개성은 저돌, 동요,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견제, 친애무장은 추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전작까지만 해도 군주 자리를 유지했었지만 이번작에서는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이각의 부하로 등장하고,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조카인 장수의 부하로 신분이 떨어졌다.

66. 장제

파일:Jiang_Ji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85.jpg
삼국지 12, 13
파일:장제(자통).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형적인 문관 캐릭터다. 참모로 활동하며 매번 상황을 정확히 파악해 조언을 올리는 초반부 참모들에 못지 않은 지략을 발휘한 인물인데, 조조 세력이 주도권을 잡은 이후에 출현하는 만큼 초반부 참모들에 비해 관심이 떨어져서인지 능력치도 행적에 비해 너무 낮게 나온다. 연의부터 이랬으니 대표적인 무관심의 피해자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왜인지 사마의군으로 나온다. 고평릉 사변때 사마의의 편을 들었긴 했지만 이후 장제 자신의 약속과는 달리 사마의가 조상을 죽여버리자 죄책감에 번민하다 병에 걸려 죽은 것을 보면 조상 일파의 막장짓에 반대했을 뿐 조씨 황실에 대한 충의는 지켰던 인물이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49/지력 81/정치력 80의 훌륭한 책사. 병법으로는 정란, 조영, 혼란, 덫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0/무력 42/지력 87/정치력 77/매력 55에 특기는 농업, 반목, 유인, 반박, 논파, 군사, 명사, 간첩. 총 8개다.

군사, 명사 특기를 가진 좋은 문관.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8/무력 43/지력 85/정치력 77/매력 56으로 역시 괜찮은 문관이지만, 특기가 없다. 여담으로 일러스트는 턱수염만 기르고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조조가 천도할 때 막는 장면인데 두 손을 펼친 채 내밀며 가로젓고 있다.

손권을 편지로 낚아서인지 파괴력약화라는 희망고문의 전법을 가지고 있다. 전법과 잘 어울리는 일러스트이긴 하나 이전 시리즈에서도 날카로운 인상의 일러스트였던 시절과 비교하면 괴리감이 크다. 위관 등과 함께 이번작부터 오히려 일러스트의 간지가 추락한 대표적인 인물.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4, 농업 4, 교섭 6, 언변 4, 견수 2. 중신특성은 농업중시로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위보다.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43, 지력 85, 정치 77,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명경, 문화, 안목, 지낭, 주란, 주의는 예교, 정책은 화계연구 Lv 4, 진형은 안행, 정란, 투석, 전법은 화시, 연노, 진정, 투석, 친애무장은 사마의, 온회, 왕릉, 종회, 호질, 혐오무장은 손자, 유방, 조상, 환범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67. 장제

파일:external/kongming.net/119-Zhang-Ti.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0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지력, 정치력, 매력이 우수하고 무력은 낮다. 통솔력은 삼국지 9에서는 78까지 찍었지만 왕혼하고 싸울때 포로로 잡은 장교를 그대로 살려주는 판단미스를 저질른 탓에 60대 후반으로 너프를 먹었다. 워낙 등장 시기가 늦다보니 대체로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등장 도시는 출신지인 양양.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78/무력 45/지력 80/정치력 78의 능력치에 병법 4종을 보유.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누선, 고무를 포함하고 있는데다가 지력도 높으니 전쟁 시 쓸모가 많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49/지력 81/정치력 78/매력 83에 특기는 무려 10개.(농업, 기술, 보수, 화시, 일제, 진정, 고무, 반목, 항변, 제독)

화시, 일제 특기가 있어 전투에서도 쓸 만하고 내정 쪽으로도 보수는 무력이 낮아서 잉여지만, 농업, 기술 특기가 있어서 등장 시기를 감안하면 여러모로 좋다.

삼국지 11에서는 능력치 통솔력 67/무력 43/지력 80/정치력 78/매력 83로 통솔이 67까지 떨어졌다. 특기는 불굴. 하지만 통솔력과 무력이 꽤 낮기 때문에 전장에서 써먹기가 애매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나라 최후의 결전에서 죽기를 각오한 모습으로 검을 들고 서 있다.

여기에서는 통솔력 이 69로 전작보다 소폭 올랐다. 지력/정치가 80 내외라 내정용으로 굴리기 괜찮은 편. 전법은 공격약화.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3, 농업 4, 문화 3, 설파 5, 언변 3. 중신특성은 농업중시로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전법은 위무다. 음성은 정중.

문관이지만 전투에 참전한 탓에 무관형으로 분류되어 있고 무기 취향도 도검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43, 지력 80, 정치 78, 매력 8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담력,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4, 진형은 어린, 방원, 전법은 연노, 철벽, 업화,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제갈정,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68. 장준

파일:external/kongming.net/157-Zhang-Zu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3.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특징없이 모든 능력치가 60근방이다. 그래도 작은 아버지인 장소보단 훨씬 낫다. 장팔사모를 물려받는다면 무력은 간혹 70을 넘기기도 한다. 전사한 기록 때문인지 의리도 충분히 높은 편. 일러스트는 빨간 두건을 두르고 있다. 그렇다고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장비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70/지력 60/정치력 51.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작의 특징 중 하나인 최후반 시나리오(촉한 멸망)에서는 자신이 장팔사모를 가지고 있고, 장팔사모에 있는 무력 보너스+5와 분투 병법이 들어가서 실질 무력은 75에 분투를 가진 장수가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7/지력 66/정치력 61/매력 59로 능력치 총합 318에 장팔사모를 물려받는 시나리오라면 실질 무력은 5가 오른 72가 된다. 특기로는 훈련, 돌격, 삼단. 총 3개다.

하지만 전장에 내보내기엔 무력 72 장수가 일기토 할 일도 딱히 없고 통솔력 65는 암만 인재가 부족한 촉나라더라도 미묘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무력 68/지력 66/정치력 59/매력 57로 능력치 총합은 313.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을 펼치면서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삼국지 11 때와 같은 수치이고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3, 무력 68, 지력 66, 정치력 60,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노발, 주의는 패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분전, 격려, 친애무장은 제갈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69. 장집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9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지력, 정치가 70대인 문관형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5, 무력 32, 지력 72, 정치 74. 병법으로는 혼란, 덫, 매도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1/무력 27/지력 74/정치력 74/매력 61에 특기는 농업, 기술, 반목. 총 3개.

통솔 31짜리를 전투에 내보내서 거기에 반목쓰자고 적군에 인접시키는 건 자살 행위므로 고민없이 후방에서 내정 셔틀로나 쓰면 된다.

삼국지 12에서는 짤렸으나 PS3판과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지도에다가 오른손으로 나무 막대를 갖다대고 있다.

통솔이 76, 지력이 80으로 상향된 데다가 군사 특기까지 있어 비책도 쓸 수가 있고, 계략부에 배치해도 좋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6/29/80/74 특기는 상업 2, 농업 1, 문화 1, 설파 3, 언변 1.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전법은 궁병수비진.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8, 무력 27, 지력 69, 정치 74, 매력 5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거의 4배인 38, 무력이 2, 지력이 11 하락했다. 개성은 능리, 탐욕, 주의는 명리, 정책은 세출개선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혼란, 도발, 친애무장은 이풍, 조방, 하후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1편에서 지력이 74 였는데, 지력이 69로 낮아진 것은 명백한 악의적인 책정이다.

70. 장창포

파일:장창포.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에 책을 들고 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아들인 종회에게 가르치려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6, 무력 20, 지력 72, 정치 55, 매력 61이다. 개성은 재원,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격려, 진정, 친애무장은 종회,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현명녀.

방원진이 있지만 통솔이 낮아 후방에서 쓰이며 남편 종요와 마찬가지로 영웅집결과 영웅난무 시나리오에서는 자기 아들인 종회 세력에 소속되었다.

71. 장천

파일:장천.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무관복을 입고 오른손에 창을 든 채 거의 측면을 바라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8, 무력 46, 지력 44, 정치 36, 매력 41이다. 개성은 나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정령철저 Lv 1, 진형은 봉시,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위풍, 혐오무장은 조비다. 어투는 보통남.

전체적으로 전 능력치 50 미만의 경이로운 능력치를 달고 나왔다.

72. 장초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01.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1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을 허리에 댄 채 오른손을 펼치며 환하게 웃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1/지력 62/정치력 35라는 그저 그런 스탯을 보유한 C급 무장으로 등장한다. 특기는 훈련 2 단 하나로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인데다가 전법은 궁병선동이다. 음성은 책사. 다만 그래야 할 이유는 커녕 조조의 뒤통수를 친걸 봤을 때 최대 보통이어야 맞을듯한 의리가 최고 수치인 '매우 중시' 인건 부하로서 괜찮은 부분. 광릉태수였다는 역사적 사실을 반영해 광릉의 군주로 등장하며 영웅집결에서는 수하로 형인 장막을 두고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56, 지력 62, 정치 51,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6 상승한 대신 무력이 15 하락했다. 개성은 개수, 소침, 주의는 패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3, 진형은 방원, 학익, 전법은 화시, 혼란, 도발, 친애무장은 장홍, 진궁, 혐오무장은 조조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책사남이다.

동탁연합 시나리오 때 광릉에서 군주로 등장하지만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형 장막과 함께 여포의 부하로 등장하는 바람에 군주 자리를 차지하지 못했다.

73. 장춘화

파일:Zhang_Chunhua_3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Zhang_Chunhua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83.jpg
삼국지 12, 13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400.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1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11에서는 정사에서의 무시무시한 일화에 비해서 많이 순진해보이는 일러스트로 나왔기 때문에 매치가 잘 되지 않는다.

하녀를 죽였다는 일화 때문에 강해보이는 이미지와는 달리 무력이 달랑 9 밖에 안 되며 나머지 능력치는 60~70대의 평범한 내정용 장수다. 특기는 비책. 라이벌이라 할 수 있는 황월영남편 버프를 받아 유니크 특기인 공신을 가지고 있고 능력치도 준 1류급 모사인 것과는 대조적이다.

삼국지 12에서는 사마의를 충분히 휘어잡을 수 있을 만한 드세게 보이는 일러스트로 나왔다.

남편보다 10살 연하인데 일러스트가 사마의는 노년의 모습으로 나오고 장춘화는 한창 젊었을 때 모습이라서 사마의가 도둑 장가 든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오른손에 단도를 든 것으로 보아 여종을 직접 죽일 때를 묘사한 모양. 만약 여종을 죽일 때를 묘사한 것이라면 이 일화가 위에서 나오듯이 장춘화 본인이 13세 때 일이라 전체적으로 성숙한 일러스트가 고증에 맞진 않다. 게임 내에서 전법이 진정이라서 활용도는 낮은 편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무력 49/지력 79/정치 72. 병과 적성은 C/B/C. 특기는 상업 4, 설파 7, 언변 7, 귀모 1(사마의 인연 효과)을 가지고 있다. 중신특성은 적중작적, 전수특기는 설파, 전법은 동요. 음성은 현명녀.

PK에서 신규 일러스트로 변경되었고, 이상위명으로 뜬금없이 국사를 부여받았다. 그간 미디어에서 보여진 이미지와는 어울리지 않는 위명. 이에 더해 전작에서는 시녀를 직접 살해했기 때문이었는지 드세 보이던 인상이 약간 유하게 변했는데 진삼국무쌍 시리즈에서의 이미지를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죽간 2개를 가지고 있는데 12편의 일러스트와 관련된 실제 일화의 다른 부분을 묘사한 모양이다. 일러스트 변경에 맞춰 목소리 타입도 기존의 '용감' 타입에서 '현명' 타입으로 변경되었다. 그런데 이해할 수 없는 점은 장춘화 본인은 몰년이 제대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년은 제대로 설정되었는데 몰년이 234년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실제 역사보다도 매우 빨리 사망한다.[41] 이 오류가 신경 쓰인다면 편집기에서 몰년을 수정 할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는 통솔 40, 무력 28, 지력 79, 정치 69,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배인 20, 무력이 2배 넘는 21,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봉살과 재원으로 딱 적당한 수준의 지역담당관 요원. 주의는 남편 사마의와 같은 패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저지, 매성, 정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 PK와 마찬가지로 어투가 현명녀다.

여성 무장 중에선 6위이고 정치력은 손노반, 대교와 함께 공동 9위로 꽤나 너프를 먹었다. 며느리의 하위호환 정도 수준이다. 전작에 비해 사망년도가 역사에 맞는 247년으로 변경되었다.

74. 장특

파일:장특.jpg 파일:external/kongming.net/124-Zhang-Te.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8~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0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제갈각을 속여 합비를 굳게 지켜낸 전적이 있지만 삼국시대 후반기 인재에게 정말 짠 능력치 배분으로 악명높은 코에이 삼국지에서는 통솔, 지력이 70대 초중반인 잡장으로 등장한다. 적어도 통솔, 지력 80대는 받을만한 활약을 했건만 안타깝게도 재평가는 없는 듯 하다. 이런 능력치여도 장특 본인이 활약할 무렵에는 통솔 80대 장수 자체가 정말 얼마 없어서 특급무장으로 활약할수는 있지만 아무도 장특이 나오는 시대까지 삼국지를 돌리지 않고 장특이 나오는 후반기 시나리오도 몇개 없기도 하거니와 인기도 없어서 장특을 제대로 보려면 영웅집결 같은 가상 시나리오로 가야 하지만 그 쪽에서는 결국 잡장일 뿐이라 버려지게 될 운명이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는 삼국지 14에서 손환의 일러스트로 재활용되었다.

삼국지 8 PK에서는 그야말로 리즈 시절이다.

능력치는 무력 66/지력 78/정치력 71/매력 68이지만 전법인 교란 4를 가지고 있어서 이거 하나로 제갈각이든 육항이든 이길 수가 있다. 위관과 함께 신캐 보정을 받은 케이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58/지력 77/정치력 72이며 병법으로는 제사, 조영, 혼란, 덫을 가지고 있어서 책사로 쓰면 좋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53/지력 74/정치력 67/매력 69인데 특기는 보수, 유인. 총 2개 밖에 없다.

가장 떨어지는 능력치가 무력인데 내정 쪽 유일한 특기가 보수라니... 물론 이 사람 행적을 보면 보수가 없는 게 역사왜곡이긴 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54/지력 75/정치력 66/매력 68에 병과 적성이 극, 병기가 A. 언독 특기[42]를 갖고 있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선 계의 재야 무장으로 등장하는데, 유우공손찬 세력에게 지장형 장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43] 해당 세력들에게 영입 우선순위가 상당히 높아진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올리면서 제갈각에게 기다려 달라고 부탁하고 있다.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삼국지 11 때와 같다.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기방강화. 음성은 보통. 방어계 특기인 견수가 저레벨도 아니고 아예 무특기란 점에서 이번작을 대충 만들었구나라는 인상을 준다. PK를 한다면 견수 특기를 추가해주자. 그런데 무력 54임에도 불구하고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 무력 53, 지력 74, 정치력 67,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무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봉살, 개수, PK에서는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충차, 전법은 격려, 철벽, 저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능력치가 우수하지만 진형이 방원이 아닌 어린 밖에 없고 낮은 무력치를 보호할 수단이 없기 때문에 내정용으로 쓰인다.

75. 장패

파일:Zang_Ba_4_(1MROTK).png 파일:Zang_Ba_(ROTK9).png 파일:Zang_Ba_(ROTK11).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8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도겸, 유비,[44] 여포, 조조군 소속의 무장으로 등장하고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최종적으로 도겸 소속의 무장으로 설정되며 정사대로 독립 세력으로 나온 적은 없다. 능력치 자체는 통솔, 무력이 70대 중반에 지력, 정치가 50대, 매력이 70대인 B급 지용겸비 무장이다. 조조군은 말할 것도 없고 유비군, 여포군의 각각 투탑인 관우, 장비, 장료, 고순에 비하면 많이 처지는 편이고 시리즈에 따라서 실적이 비교도 안 되는 송헌, 위속, 후성보다도 대우가 나쁜 시리즈도 있다. 그나마 최근작에 갈수록 여러 무장들이 상향되나 장패 본인은 상향된 것이 그게 다라서 저평가된 인물 중 하나다. 그래도 빠지는 능력치가 없어서 다용도로 굴리기 좋으며, 무관이 적은 도겸군 입장에서는 에이스이고 서주 시절의 유비군도 투톱인 관우, 장비 외에는 무관이 적어서 초반엔 장패도 주력으로 사용하게 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2/지력 46/정치력 52.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를 가지고 있다. 도겸군 아니면 안 쓸 그저 그런 장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72/지력 49/정치력 56/매력 69에 특기는 징병, 돌격, 기습, 기염. 총 4개.

매력 69가 미묘한 수치긴 해도 아쉬운대로 징병 특기가 효과를 발휘할 수는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5/지력 52/정치력 56/매력 71에 특기는 위압.

없는 것보다는 좋은 특기이기는 하나 영웅집결 기준으로는 같은 도겸군 장수인 손관도 특기가 위압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채 돌격하고 있는데 오른손 뒤로 검을 들고 있다.

전법은 대타격. 장패 본인의 무력이 어중간하고, 여포군에서는 여포의 인중여포 때문에 말할 것도 없으며, 도겸군에서도 진등의 매복의 독이 더 무섭기 때문에 장패의 대타격을 쓸 일은 많지 않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75/지력 53/정치력 56이고 중신특성은 없다. 전법은 소침공작이고 병과 적성은 창병 A/기병 A/궁병 C이며 특기는 훈련 4, 순찰 1, 신속 6으로 전수특기는 신속이다. 음성은 청년.

이번작에서 주군이 상당히 자주 바뀌는 장수로도 유명하다. 반동탁연합에서는 도겸의 수하로 등장하며, 군웅할거에서는 여포, 조조 어느 쪽에도 소속되어 있지 않고, 여포토벌전에서는 여포, 관도대전부터는 조조군에 소속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 무력 75, 지력 53, 정치력 56,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숲전, 위무,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추행, 전법은 분전, 대갈, 교란, 도발, 친애무장은 손관, 오돈, 윤례, 창희,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게임 특성상 전투 요원으로도 그럭저럭 쓸 만하고, 지역담당관으로도 어느 정도 굴릴 수 있는 올라운더 타입인데다가 위무 개성도 있어서 도시에 배치했을 때 도적의 출현을 막을 수 있다. 그런데 연주 태산군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성씨패란 시나리오에서 허창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76. 장포

파일:삼국지3장포.png
삼국지 3
파일:Zhang_Bao_%28ROTKHD%29.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hang_Bao_-_Shu_%28ROTK10%29.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Zhang_Bao_-_Shu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18.jpg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89.jpg
삼국지 12, 13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지력, 정치력은 아버지 장비보다 약간 높을 때도 있지만 통솔력, 무력은 항상 아버지의 하위 호환격. 그래도 아버지가 워낙에 무력괴물이라 하위 호환이라도 통솔력은 후기장수 중에선 평균 이상에 무력만은 매우 높으며, 은근히 관심을 받고 있는지 삼국지 9부터 신작이 나올 때마다 계속 일러스트가 달라져서 나온다. 특히 삼국지 11편은 왠지 모르게 무게감이 실려 있다. 연의에서는 똑같이 머리 쓰는 부분은 한 번도 등장하지 않지만 관흥이 아버지 덕분에 지력, 매력을 후하게 받는 것과는 대조적인 부분,

그리고 몇몇 시리즈에서는 관흥과 의형제다. 삼국지 11에선 친애무장에 의형제로 설정되었다. 부자연사 시스템이 있는 시리즈 중 출사표 시나리오에서 숨겨진 에이스로 유명한데, 정사에서 요절한 것과 달리 연의에서의 사고사를 설정으로 채용되어 비자연사로 설정이 되있기에 상당히 오래산다. 전반부 1세대 무장들이 살아있을 땐 몰라도 이 시기에 장포 정도 능력치면 따라올 자가 강유, 위연, 등애, 서황, 장합 정도 외엔 없기에 가히 촉의 에이스라 할 만하다. 관흥과 관색은 자연사라 얄짤없다.

의외로 의리 수치가 낮게 책정되었다.

삼국지 1에서는 무력 97 아버지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83/수전지휘 72/무력 92/지력 37/정치력 30/매력 55에 야망 10, 운 10, 냉정 5, 용맹 12, 수명 7이다.

삼국지 2와 달리 관흥과 관색관우의 아들들은 모조리 무력에 너프를 먹어 85, 88정도로 깎인 반면 장포 본인은 그대로 무력 92로 등장해서 90대 무력을 유지하고 있다. 거기에 육전지휘가 아버지와 동일한 83. 그러나 그 아비에 그 아들인지라 각종 계략에 약한 편이다. 같은 2세대 무장인 장포를 손책과 비교해보면 장포는 손책보다 육전지휘와 무력만 1씩 높을 뿐 지력과 정치력, 매력은 아예 손책이 넘사벽으로 높고 거기에 손책은 수전지휘가 96이나 돼서 손에 쥐는 병력은 오히려 손책쪽이 훨씬 많다. 무력은 장포가 손책보다 높지만 실제로 둘이 일기토를 뜨면 무승부이거나, 한쪽이 지는 편이다. 비교적으로 빨리 등장하고, 수명도 길고 후반 시나리오로 가면 90대 무력을 가진 장수가 드물기 때문에 상당히 쓸모가 많다. 그것도 무력 최강자 문앙이 등장하기전에 이미 최강자에 올라갈 정도.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89/지력 40/정치력 37/매력 55에 특기과 전기로는 화공, 보장, 기장, 화계, 낙석, 매성, 강습, 일소, 돌격을 가지고 있다.

통솔력이 근래작들에 비해 높은 편이고, 기병이 S급 병종이라 기병쪽에 배치 될 것이다. 낙석도 있어서 수비전에서 어느 정도 활용이 가능한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도 좋고 언월, 봉시 진형을 보유하고 있다.

특수 능력으로 분기, 난사, 화시, 화계, 강행, 속공을 가지고 있는데 정작 무쌍이 없다. 반면 의형제인 관흥은 무쌍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87/지력 46/정치력 49이며 병법으로는 분투, 돌진, 제사, 충차를 가지고 있다.

분신은 없지만 대신 제사가 있어서 아버지와는 달리 공성전에서도 활약이 가능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87/지력 49/정치력 45/매력 60에 특기는 8개(훈련, 돌격, 일제, 기습, 저지, 회복, 기염, 삼단, 나선) 중 7개가 전투, 일기토 특기에 남은 하나도 훈련 특기.

장비 사후 시나리오에서는 사모(+5)를 물려받아 실질 무력은 92가 된다. 이는 무기빨 없는 위연과 동급이고 99의 조운의 뒤를 이은 공동 2위. 기타 사항으론 어째서인지 의형제인 관흥(&관평, 관색)은 의리수치가 최고인 의사인데 장포 본인은 보통으로 설정되어 있다. 지력은 역시나 아버지의 피를 이어 받아 49밖에 안되니 전장에선 책략을 필히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87/지력 48/정치력 46/매력 68에 병과 적성은 창병 S, 극병, 기병이 A. 무력이 높은 편이지만 특기가 잉여 특기인 소탕이다.

참고로 본인의 동생인 장소, 본인의 아들인 장준도 특기가 없다. 무력이 높고 병과 적성이 나쁘지 않아서 묘 발견이나 PK에서의 능력연구를 통해 특기를 바꾸면 어느 정도 활용이 가능하다. 여기서부터 연의의 기준으로 사고사로 죽었기 때문에 부자연사로 책정되어서 안 그래도 인재가 부족한 후반기에 중요한 무력 부스터가 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상태에서 사모를 두 손으로 든 채 분투하고 있다.

통솔력이 78로 증가하고 병종이 창병에 전법이 대타격이다. 안 그래도 무력이 높고 창군견수의 장억, 왕평과 조합하면 대타격의 대미지가 커진다. 그러나 강력한 전법인 대타격과 무력 87임에도 불구하고 전투용 특기가 "일기"뿐이라 아쉽긴 한다. 내정용 특기인 연병과 감시가 있으니 병력 충전과 치안 회복에 힘 쓰도록 하자.

삼국지 13 오리지널에서는 전작 일러스트를 우려먹다가 PK에서 변경되었는데 역시 마찬가지로 사모를 든 상태에서 민소매 갑옷을 입은 채 웃고 있다.

능력치는 삼국지 12 때와 동일하고, 보유특기는 훈련 4, 순찰 5(관흥 인연 효과), 신속 6, 분전 6, 연전 5, 공성 6, 일기 5, 호걸 3으로 의형제인 관흥보다 전투특기가 우월하다. 전수특기는 신속. 아버지 장비가 신속이 없어서 고생하는 걸 생각하면 꽤나 대우받는다. 음성은 난폭. 전법은 부동으로 굉장히 좋은 전법인데 지휘 포인트를 3밖에 안 먹으면서 방어 100 상승, 자신의 이동력 50 감소, 범위 내 적 전체의 사기를 15 감소시키고 본인의 사기를 유지시킨다. 이동력은 안 움직일 정도로 감소하지만 애초에 부동은 방어용, 탱킹용 전법인지라 이동력 감소는 페널티라 볼 수 없다. 거기에 소비 포인트가 낮아 자주 질러줄 수 있어서 적의 사기 깎아먹기 쉽다. 최고의 탱커 전법 중 하나라고 해도 무방하다. 심지어 이상위명마저 만부부당으로, 저돌맹진 기반의 고유위명을 부여받은 아버지보다 훨씬 좋다. 특히 AI라면 더더욱 그렇다. AI는 사병 편성을 안 하기에 사병을 쓸 수 있는 유일한 무관 계열의 위명이라는 장점은 발휘 못 하고 공격력이 상승하는 대신 방어력 저하 디버프를 받아야 하는 아버지보다 낫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87, 지력 48, 정치 46, 매력 67이며 개성은 소탕, 노발, 호걸, 저돌, 주의는 아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추행, 고유 전법은 적군에게 피해를 주고 저지를 부여하는 호익용전으로 그 이외의 전법으로는 돌격, 대갈, 도발, 친애무장은 관흥, 장비, 장씨, 하후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출진 화면에서 소탕 개성 설명 때 "아버님께 전수받은 무예를 보여주겠다!"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아버지인 장비와 마찬가지로 주의, 정책, 전법이 같고 고유 전법도 이름만 다를 뿐 적군에게 전법을 쓰는 효과와 위력도 다르지 않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저돌이라는 적색 개성 때문에 퇴각을 할 상황에 적군이 있으면 곧바로 달려들어서 잘못하면 전멸을 해버리는 상황이 나올 수 있으니 전투가 끝나면 곧바로 퇴각을 시키거나 기회를 봐서 적 전멸시키는 것이 좋다.

77. 장포

파일:external/kongming.net/147-Zhang-B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16.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후반기 오나라 문관다운 능력치를 지니고 있다. 한마디로 통솔, 무력은 쓰레기에 지력, 정치도 70수준이라는 소리. 손호에게 죽임을 당한 대부분이 매력이 괜찮으며 기록에서 민심이 좋지 않은데 매력이 높은 복양흥에 비해 장포 본인만 매력도 낮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4/22/72/64. 능력치는 별로지만 병법으로는 누선, 혼란, 덫으로 나름 쓸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2/31/70/67/17에 특기는 상업, 반목. 총 2개다.

상업 특기가 있지만 정치가 67이라 미묘하고, 반목특기는 지력이 70으로 애매한건 둘째치고 통솔이 32인 장수를 전장에 데리고 나설 일이 있을지?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1/24/71/66/41인데 매력이 대폭 상향되어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후졌고, 무력은 오히려 깎인지라 상향이긴 한데 체감상 변한건 별로...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펼치면서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농업 1, 교섭 1.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창속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1, 무력 24, 지력 70, 정치 67,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오만, 주의는 명리, 정책은 화계연구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업화, 매성, 친애무장은 복양흥, 손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78. 장합

장합(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79. 장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16.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 무력 17, 지력 64, 정치 64. 병법으로는 제사, 혼란을 가지고 있어서 무력이 낮은 주제에 제사 밖에 없는 가진 형 장빈보다는 유용한 장수.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서신을 받은 상태에서 분개하는 모습인데, 정황상 항복서신을 강유에게 읽는 모습으로 추정된다.

능력치는 통솔 8, 무력 17, 지력 64, 정치 61. 특기는 농업 1, 문화 2, 교섭 3.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 무력 16, 지력 60, 정치 64, 매력 46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3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지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세출개선 Lv 2, 진형은 투석,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80. 장호

파일:Zhang_Hu_%281MROTK%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7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냥 그런 무장으로 자주 등장. 악침, 대릉과 세트로 잘 엮인다. 그래도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장료와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54, 수지 23, 무력 61, 지력 57, 정치 52, 매력 41에 야망 4, 운 6, 냉정 7, 용맹 9.

그냥 그저그런 2세 장수일 뿐만 아니라 장군도 못 되고 군사도 못 된다. 이는 친구인 악침도 사정이 별반 다르지 않다. 물론 아버지를 닯아서인지 용맹만 평타 이상이긴 하다. 같은 2세 장수로 비교해도 하위권. 물론 옆동네의 바보 황제같은 동네의 병졸만도 못한 장수보다는 상황이 좀 낫긴 하지만 모든 2세 장수 중 가장 대박친 손책이나 아버지의 재능을 하나씩만 물려받은 2세 장수들(조비, 조창, 조식, 조앙)에 비해서는 밀린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74/48/44.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몽충, 정란을 가지고 있지만 아버지와 비교하면 분신, 돌격, 기사, 파괴, 덫이 없다.

심지어 같은 세트인 대릉조차도 돌진을 가지고 있는데... 그래도 몽충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4/73/44/46/56이지만 능력치마저 악침과 비슷한데[45] 특기는 훈련, 돌격, 역공. 총 3개 뿐이라 특기가 5개인 악침보단 조금 떨어진다.

삼국지 11부터 아버지랑 무척 닮은 얼굴로 등장해서 수많은 장료빠들에게서 감격과 그리움의 눈물을 뽑아냈다.

이번작에서 능력치는 무력 통솔 모두 70대의 B급 무장이지만 등장하는 시기를 보면 준수한데다가 무장육성 잘해주고 병과 적성이 A가 많아 특기만 잘 달아주면 후반부 시나리오에선 훌륭한 A급 장수로 활약할 수 있다.

삼국지 12에는 친구 악침과 함께 사이좋게 짤렸다가 PK에서 둘 다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아버지와 꼭 닮게 그려지고 검을 뽑으려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5/74/51/34. 특기는 훈련 2, 순찰 3, 신속 5. 전수특기는 신속이며 전법은 역경강화.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73, 지력 44, 정치 34, 매력 5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1, 지력이 7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부친 장료와 같은 패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돌격, 교란, 친애무장은 악침,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81. 장홍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59.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1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언월도를 든 채 무언가를 이야기하려 하고 있으며 정황상 조조에게 추격당하는 장초를 구하려고 원소에게 허가를 받는 모습이다.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81/지력 65/정치력 24. 음성은 난폭. 나름대로 군웅이고, 원소가 회유를 했던 덕분인지 무력이 높게 책정되었다. 특기는 순찰 2, 신속 1로 전수특기는 순찰인데다가 전법은 창병속공진이다. 장초군에서 유일한 부하장수이기 때문에 인재 등용이나 전투 등을 할 때 반드시 사용을 해야 한다.

삼국지 14에서도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 장초의 부하로 등장하지만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장초군이 존재하지 않아서 광릉의 재야로 등장한다. 그와는 별개로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49, 지력 73, 정치 76, 매력 80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8, 정치력이 5배 넘는 52나 대폭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4, 무력이 3배 넘는 32나 대폭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교화, 위무, 주의는 왕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4, 진형은 학익, 정란, 전법은 견제, 고무, 정란, 친애무장은 장초, 진림, 혐오무장은 동탁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으며 전작에는 무관급의 스탯을 보유했지만 이번작에서는 문관급의 스탯으로 변경된 특이한 무장이다.

82. 장화

파일:external/kongming.net/129-Zhang-Hua.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68.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범한 문관 스탯. 그대신 매력은 가충보다 높고 지력이 70~80대라서 부장용으로 쓸 수 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4/무력 29/지력 80/정치력 76. 병법으로는 몽충, 혼란 뿐이지만 후반기인 걸 감안하면 꽤 유용한 장수. 특히 몽충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4/무력 26/지력 81/정치력 77/매력 62로 후기 장수 중에 몇 안 되는 지력 80 이상의 장수이며, 특기는 4개다.(기술, 혼란, 반박, 군사)

그 중 하나가 사기 특기인 군사 특기다. 통솔력 이 낮은 게 아쉽지만 아쉬운 대로 후방에서 준수한 장수를 원격조종하는 것은 유용하며, 지력을 살릴 수 있는 기술 특기가 있으니 기술 셔틀로 써도 된다. 참고로 군사 특기 보유자 중에서 최연소 무장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6/무력 27/지력 78/정치력 79/매력 64에 특기는 없다.

수준 이상의 문관이지만 251년 등장이라 역사 시나리오에서는 얼굴 볼 일이 없을 테고, 계에서 등장하기 때문에 영웅집결에서 유우 군의 초반 군사로 활약한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책상에 놓여진 책들이 많이 쌓여있는 곳에서 책을 읽고 있다.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1, 설파 1.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창공강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3, 무력 27, 지력 83, 정치 88,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7, 무력이 5, 지력이 9, 정치력이 9로 대폭 상승했다. 개성은 시상, 명성, 문화, 안목,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역진흥 Lv 4, 진형은 학익, 충차, 투석, 전법은 혼란, 고무, 충차, 투석, 친애무장은 두예, 사마염, 양호, 유방, 진수, 혐오무장은 순욱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83. 장횡

파일:external/kongming.net/128-Zhang-He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6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한수군에 슬롯을 차지하는 무장으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그냥 나오는데에 의의를 두는 수준. 연의에서 마초 편에서 싸우다 죽었음에도 불구하고, 같이 마초 편에서 죽은 정은성의가 상성이 마초에 가까운 반면에 장횡 본인은 상성이 한수에 가깝다.(...)[46] 삼국지 11부터는 특이하게 기른 수염과 카우보이 투구가 인상적.

삼국지 6에서는 무장임에도 문관 같은 머리 장식을 쓴 일러스트로 나온다. 정준하 닮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7/68/26/31. 병법으로는 돌진, 충차 뿐이지만 궁기병계 병법이 없다. 궁기병계 병법 숙련도도 0.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1/66/25/27/45에 특기는 돌격, 삼단.총 2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9/무력 70/지력 23/정치 24/매력 49. 무력만 조금 높은 잉여 무장이다.

특기는 없고 심지어 양흥과 더불어 병종 적성이 기병 적성 A를 제외하고, 모든 적성이 C다. 다른 기본팔기들의 적성이 최소 B가 1개 이상은 있다는걸 감안하면 낮다. 그래도 매력이 낮고, 의리까지 낮은 양흥보단 낫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상태에서 창을 든 채 돌격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9/70/23/24에 무특기. 기병에 전법은 방어약화로 전법 자체는 좋은 편인데 지력이 낮아 유명무실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로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다. 음성은 난폭. 그리고 염행급으로 상향되었다! 정확히는 전작처럼 전법이 수비약화인데, 수비약화가 전작보다 더욱 강해져서 주장급으로 사용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역대 최강의 장횡이라봐도 무방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9, 무력 70, 지력 23, 정치 24, 매력 49이며 개성은 저돌, 직정, 주의는 할거, 정책은 추행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추행, 전법은 분전,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84. 장훈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hang_Xun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7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원술의 부장들보다는 조금 나은 능력치를 가진 것으로 나온다. 특히 대장군이었다는 것 때문인지 통솔력만큼은 보통 70을 넘기는 경우가 많아 통솔 60도 못 찍는 잉여들도 많은 원술군에서는 보통 기령 다음가는 무장인 경우가 많다. 기령과의 차이점은 기령쪽이 약간 무력이 높은 정도인데 삼국지 5 이후로 넘어가면서 기령의 무력은 80대에 도달하게 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69, 수지 70, 무력 70, 지력 65, 정치 54, 매력 73에 야망 6, 운 6, 냉정 7, 용맹 9인데 나머지 능력치는 그럭저럭 양호하나 이상하게 육지가 69다. 그래서 육지에서 일제를 못 쓴다.

대장군이라는 것을 반영해서인지 장군은 될 수 있는 능력치를 갖고 있고. 명명도 대장군으로 되어있다. 참고로 원술의 세력에서 장군이 되는건 원술과 기령, 장훈 본인. 이렇게 셋 뿐인데. 기령과 비교해보면 육지에서는 1정도 밀리지만 지력, 정치, 매력에서 20~30씩 앞선다. 따라서 원술군에서는 원술 다음으로 유용한 인재니 초반에는 육지를 전투로 상승시켜줘서 70으로 만들어주는 것도 좋다. 그렇게 하면 태수로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67/61/41/61로 정치는 썩 좋지 않고 나머지는 하나같이 평범하기 그지없는 능력치지만 기령과 함께 용명이 높아서 원술군에서는 시작부터 많은 병력을 데리고 활약할 수 있다.

진형은 어린, 수진으로 특기는 속공, 강행, 수습, 내분, 분기, 진화로 어린과 속공이 있어서 뛰어난 기동성을 발휘할 수 있고 주변에 포위가 되었을 때는 분기를 때릴 수 있는데다가 수습이나 진화로 혼란이나 화계에 걸린 아군을 서포트해주기도 해서 공수양면에서 쓸만하다. 장훈 본인의 리즈 시절로 꼽히는 시리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71/46/42.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누선, 충차를 가지고 있다.

성능은 원술군 장수 치고는 괜찮은 정도. 누선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2/67/41/40/42에 특기는 반목, 기염. 총 2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무력 68/지력 41/정치 39/매력 59에 특기는 없으며 극병 적성이 A에 창병, 수군이 B이며 나머지는 전부 C다.

능력치는 평범하지만 원술 군에서는 기령 다음으로 통솔이 높아 자주 전장에 나가게 된다. 큰 의미는 없지만 매력이 대폭 상향되어 원환한호를 제외한 원술 군 무장 중 매력 1위를 달성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상태에서 말을 탄 채 고삐를 쥐고 있으며 전법은 창공격강화. 원술군 대부분이 창병으로 이루어졌기에 나쁠 건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3,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기속약화.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67, 지력 41, 정치 40,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정치가 1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불굴, 주의는 아도, 정책은 운반개발 Lv 3,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경파, 업화, 구축, 친애무장은 교유, 손책, 양홍,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85. 장휴

해당 항목 참고.

86. 장흠

파일:삼국지3장흠.png
삼국지 3
파일:Jiang_Qin_3_(1MROTK).webp 파일:external/kongming.net/592-Jiang-Qi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81.jpg
삼국지 12, 13, 14

S급은 아니지만 통솔력과 무력이 80언저리인 쓸 만한 무관으로 나온다. 시리즈에 따라 무력은 80 후반을 찍기도 하며 매력도 무관치고 나쁘지 않은 편. 친구 주태보다 종합 능력치는 높지만 인지도와 무력 때문에 주태에게 밀리는 편이다. S급인 주태와는 다르게 장흠 본인은 B~A급에 머무르는 편. 여몽과 같이 괄목상대 이벤트가 있는 시리즈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30 이상이나 되는 여몽의 능력치 상승량에 비해 장흠은 능력치 상승이 없거나 상대적으로 미미한 경우가 많다.[47] 삼국지 11편부터는 궁병 특화 무장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이는 창천항로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창천항로에서는 밑에 서술되었듯 오나라 제일의 명궁으로 각색돼서 등장하기 때문이다. 삼국지 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는 어쩐 일인지 서성과 마찬가지로 군사도 장군도 불가능한 잡무관이다.

서성은 그나마 정치력이라도 77이라 상업 투자용으로 쓰면 쓸 만하지만 장흠 본인은 그 정치력도 60이 안된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78에 지력 70이다. 기본 진형은 봉시와 수진. 특기는 고무, 수계, 화계, 화시, 난사 등이 있으나 오나라군 공통 특기인 수계를 제외하면 특출나게 전장에서 유용한 특기는 없다.

장흠 본인 외에도 주태와 감녕이 공통적으로 봉시와 수진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우선 순위도 밀리는 편.

삼국지 6에서 전술 시뮬레이션 모드의 우저 공방전에서 주태와 함께 손책의 원군으로 나타나서 자신을 구강의 도적이라고 소개하면서 손견님의 아들이 오셨다는 말을 듣고 가세하겠다고 말한다.

삼국지 8에서도 80 중반의 무력을 가진 B+급 장수지만, 난격 레벨 5를 보유하고 있기에 효용성은 보기보다 훨씬 좋다.

물론 난격 외에도 기습이나 창진이 있는 하후연, 위연, 관우에 비해서는 처지긴 하다. 그래도 만능형이라 육성이 중요한 본작에서는 플레이어가 직접 잡으면 꽤 쓸 만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85/지력 45/정치력 36. 병법으로는 분투, 돌파, 제사, 누선을 보유하고 있다.

그나마 제사를 보유하고 있어 공성전에선 주태보다는 낫다. 그리고 누선 셔틀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장흠은 통솔력 78/무력 87/지력 53→58/정치력 42→52/매력 78. 217년 시나리오부터 성장한 능력치로 나오며 특기는 9개로(치안, 징병, 돌격, 일제, 기습, 기합, 역공, 삼단, 제독) 변동이 없다.

학문에 힘쓴 것 치고는 크게 성장한 거 같지는 않고, 같은 괄목상대 이벤트 동지인 여몽에 비하면 초라한 성장치. 그렇기는 해도 무력이 높은 장수가 적은 편인 오나라에서는 손꼽을 만한 무력을 가지고 있고 통솔력이나 매력도 나쁘지 않아서 그럭저럭 쓸 만하다. 지력과 정치력도 좋다고는 못해도 아주 낮지는 않은 수준이라서 B~B+급으로는 쳐줄 만한 인재다. 전술, 일기토 특기도 괜찮은 편이고 오나라 출신답게 제독 특기도 있다. 매력이 준수한 데다 징병 특기가 있어 징병용으로 굴려먹어도 괜찮은 편이다. 그리고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투구를 썻던 모습에서 하늘색 두건을 쓴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11에서는 여몽과 같이 괄목상대 이벤트가 있다. 괄목상대 이전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84/지력 31/정치력 32/매력 74이며 괄목상대 이후는 능력치가 통솔력 78/지력 51/정치력 42로 오른다.

적성은 노병과 수군이 S에 특기는 궁장으로 오나라 장수 중에서는 드물게 육전용 특기를 보유하고 있다. 200년 이전 시나리오에서는 수춘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오나라 뿐 아니라 원술 진영에서도 활약할 수 있다.

PK 추가 시나리오인 서막을 제압하는 자에서는 여강에서 독립 군주로 등장한다. 부하는 주태 하나로 둘 다 지력과 정치력이 낮기 때문에 얼핏 보면 참 막막해 보일 수 있으나 본거지인 여강에는 허정이 재야로, 노숙이 미발견 무장으로 있기 때문에 이 둘을 우선적으로 등용하면 이후 플레이가 훨씬 쉬워진다. 특히 노숙의 부호 특기는 초반의 금 걱정을 덜어주는 좋은 특기. 장흠 본인의 매력이 낮지 않고 상성도 가까워서 등용도 잘 된다. 또한 주변에 공백지도 많으며 위협적인 세력이라고 해야 기껏해야 유요 정도이기 때문에 확장도 쉽다. 이후 건업의 유요와 오의 엄백호를 치고 손오 쪽으로 나가 지반을 굳히면 천하통일까지 그리 어렵지는 않을 것이다. 시나리오 표기상의 난이도는 ☆☆☆☆☆이나 노숙을 성공적으로 등용한다면 실제 난이도는 ☆☆☆ 정도라 봐도 무방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언월도를 아래로 내리면서 오빠 다리를 한 채 무서운 얼굴로 노려보고 있다.

전술은 전방어강화라는 꽤나 좋은 전법이지만, 손권에게 상위호환인 전군방호가 있다. 이번 작품에서도 여몽과 같이 괄목상대 이벤트가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84/지력 54/정치력 42이고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B/궁병 A다. 전법은 강궁이며 특기는 훈련 4, 순찰 2, 수영 4, 일기 4. 중신특성은 없고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68->78, 무력 84, 지력33->53, 정치32->42, 매력65->75로 괄목상대 이벤트 후 무력 돼지에서 쓸만한 무장으로 탈바꿈한다. 전작에 비해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잠재, 수전, 소욕, 절감, 저돌, 성장한 시나리오에서는 잠재가 다른 개성인 불굴로 바뀌어 있다. 주의는 아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안행, 전법은 제사, 화시, 구축, 강습, 친애무장은 여몽, 주태,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는 삼국지 11편처럼 개별 세력으로 등장하는데 소속 도시는 계양이며 부하로는 장간, 장반, 장빈, 장서, 장완, 장의거, 장제, 장현까지 총 8명을 두고 있고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포륭 단 1명이 있다.

87. 저곡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30.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삼국지 5에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9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능력치만 보면 호부견자의 케이스. 능력치 자체도 뭔가 어정쩡하고 가장 높은 능력치도 끽해야 70 초반에 불과하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48/지력 68/정치력 67. 병법으로는 기사, 정란, 조영이 있지만 아버지 저수의 영향인지 연의에서는 무장으로 묘사하는데도 무력이 너무 낮다.

덕분에 전장에서 쓸 수 있는 병법이 기사 밖에 없는 데 위력이 형편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53/지력 67/정치력 66/매력 71. 특기는 상업, 반목. 총 2개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검 손잡이를 잡은 채 소리치면서 돌격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57/지력 66/정치력 67. 특기는 문화 1, 연전 1, 견수 1. 전수특기는 견수이며 전법은 궁방강화. 흥미가 병기로 되어있다. 음성은 정중. 그런데 아버지와는 달리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5, 무력 52, 지력 66, 정치 66,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5,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교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철벽,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88. 저수

파일:삼국지3저수.png
삼국지 3
파일:Ju_Shou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066-Ju-Shou.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8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참모 캐릭터로 등장한다. 지력은 80대 후반~90대 초반으로 전풍에 이어 보통 2위인데, 실제로는 도독이었던 만큼 통솔도 70후반에서 80초반으로 책정되어, 전투에는 오히려 전풍보다 더 효율적일 때가 있다. 원소 세력에서 전풍이 지력 1위 콘셉트로 굳어졌다면 저수 본인은 정치력 1위 콘셉트로 굳어졌지면 정작 본인은 행정가보다는 도독으로서 능력을 보여줬기에 행적에 비해 정치 스탯이 고평가 받은 경우다. 능력치 자체는 어디 세력에서도 밥값을 하고도 남는 A+급 무장이지만 후기 시리즈에선 왠지 특기나 전법에서 홀대를 받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3에서는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 장합과 마찬가지로 한복 세력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처음부터 원소 밑에 있는 오류가 있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60/지력 90/정치력 91/매력 85로 군사를 맡을 수 있고 무력도 아주 낮지는 않아서 전장에서 아에 못 쓸 장수는 아니다.

특히 특기로 강행을 가지고 있어서 업에서 사방의 도시를 커버할 수 있기 때문에 속공으로 싸우는 입장에서 상당히 까다롭다.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는 한복군의 참모로 등장하는데 참모가 없거나 지력이 좀 후달려서 믿음이 안가는 참모를 보유한 다른 약소 세력들에 비하면 매우 믿음직한 존재다. 한복을 멸망시키면 원소 외에는 어지간하면 등용을 거부하니 그냥 편하게 참수하는 것이 좋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31/지력 93/정치력 92의 S급 문관.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교사, 혼란, 덫을 가지고 있으며 모략계 병법 숙련도는 400.

교사를 활용한 상태이상 방지, 혼란이나 덫을 활용한 공격이 모두 가능하다. 통솔이 어느정도 되기 때문에 부대장 역할도 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37/지력 88/정치력 90/매력 76에 특기는 농업, 기술, 보수, 진정, 반목, 유인, 항변, 반박, 군사, 명사. 총 10개다.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는 사기 캐릭터로 원소군에 있을 때도 전풍과 투탑이지만 한복군에 있을 때는 그야말로 에이스다. 내정 쪽으로도 농업, 기술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쓸모가 많으며 영웅집결에선 한복군 소속으로 나온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35/지력 90/정치력 89/매력 74의 A급 이상의 능력치이며, 노병/기병/병기 적성 A로 적성도 좋은 편이다.

그러나 이런 높은 능력치에도 불구하고 특기가 없는데, 능력 총합 366으로 무특기 무장 중 능력 총합이 가장 높은 인물이며 지력 90대로 무특기인 인물은 지력 93의 전풍과 더불어 단 둘 뿐이다. 특기 없이도 능력을 살려 활약은 가능하지만, 가급적 빨리 능력 연구나 묘 발견을 통해 특기를 부여해 주는 것이 좋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원소에게 조조와의 싸움에서 지구전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하는 강직한 모습으로 나왔다.

매력만 삭제되고 전작과 동일한 능력치로 등장하며, 전법은 전법봉인. 통솔도 높은 편이라 전장에서 상당히 무섭다. 참군으로서의 비책은 혈공지책과 매복지책이 있어서 하북지역에서 관문이 많은 사예지역으로 침공할 때 전술의 유연성을 부여하기 좋은 참군이다. 당연히 귀모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며 특기는 설파 7, 병기 1. 전수특기는 설파로 보유 전법은 병력을 일부 소모해서 임의의 진으로 워프하는 위병이다. 병종 적성은 창병이 B, 기병과 궁병이 A다. 음성은 관리.

책사치고는 통솔력이 괜찮은 편이고 병종 적성도 괜찮은 편인데 전투용으로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쓸 일이 없어서 애매한 편. 이게 문제가 되는건 특히 설전할 때 인데 언변이 아예 없기 때문에 무시 자체를 쓸 수가 없어서 지력이 90이나 됨에도 설전에서 매우 안 좋다. 능력치 자체는 상당히 좋아서 내정에 써먹기에도 좋지만 특기 유무의 차이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은근 나는 편인지라 서럽다. 덤으로 중신특성도 없다. 삼국지 11과 마찬가지로 푸대접을 받는 작품인 듯하다. 하지만 병기 특기의 존재로 성을 수비할 때엔 존재의 유무차이가 크고 내정 아이템 한두 개 정도 쥐어주고 굴리면 훌륭한 A급 내정 요원도 될 수 있다. 저수로 플레이하는 경우라면 최대한 빨리 인연을 맺어 전법을 바꾸어 주도록 하자. 동료 전풍의 일러스트와 붙여놓으면 격렬한 논쟁을 주고받는 구도가 완성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9, 무력 35, 지력 90, 정치 89, 매력 7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매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독려, 동지, 신중, 지낭, PK에서는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5, 진형은 안행, 방원, 충차, 전법은 제사, 고무, 진정, 충차, 친애무장은 전풍, 혐오무장은 곽도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진형이 안정적으로 좋지만 문제는 개성과 전법인데, 독려, 동지는 각각 저지, 도발 걸리는 시간을 줄이는 것인데 저지와 도발은 계략 중에서 호율도가 떨어지고 그 중 도발은 적 AI가 잘 사용하는 편이 아니라서 효율이 떨어진다. 전법도 지력 90치고 업화, 혼란이 없는 것이 큰 문제. 그나마 전법의 서, 교역에서 얻는 전법으로 해결이 가능하지만 기본적으로 업화, 혼란이 없는 것은 삼국지 11의 무특기 시절보다 더한 취급이다. 다행히 충차 전법이 있어서 충차로 사용하면 성능이 좋은 편이지만 애초에 원소 세력에는 원소 본인이나 심배 등 다른 좋은 공성 장수들이 많아서 보통은 내정에 힘쓰게 될 것이다. 하지만 안량이나 문추가 위보에 약한데다가 저돌 개성까지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 요소를 배제할 겸 안행 진형이나 방원 진형으로 전장에서 써먹어도 나쁘지 않다. 정책인 군제개혁은 5코스트로 써도 아깝지 않을 정도로 좋은 시정 중 하나인데 저수는 원소와 같은 왕도라 코스트를 2밖에 먹지 않으니 원소나 다른 왕도 군주를 플레이한다면 꼭 시정창에서 활용해주자.

89. 전기

파일:external/kongming.net/005-Quan-Ji.jpg
삼국지 8~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25.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대우는 그저 그렇다. 일러스트가 미남형에 능력치는 평범한 문관인데 특이하게 무력만 높게 설정되었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68/53/70. 병법으로는 분전, 몽충, 혼란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1/69/55/70/64에 특기는 치안, 명사. 총 2개 뿐.

명사 특기야 할아버지 잘 둔 전씨 집안은 다 들고 있는 거고, 통솔이 51인데 치안 특기 따위 있어 봤자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에 편지를 들고 오른손으로 주먹을 쥔 채 분개하고 있다.

능력치는 49/68/61/69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 무력, 정치력이 약간 내려갔고 지력이 소폭 올라갔다. 특기는 상업 2, 문화 1,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소침공작.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68, 지력 60, 정치 70, 매력 63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과 정치력이 각각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침, 주의는 왕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저지, 구축, 친애무장은 손량,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90. 전단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4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그저 그렇다. 삼국지 11에서는 무능해 보이는 외모로 나왔으나, 삼국지 12에서는 상당히 성깔있는 외모로 변신했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 검을 들고 이를 악문 상태에서 돌격하고 있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전종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9/무력 67/지력 36/정치력 43. 별 볼일 없는 장수이지만 병법으로는 제사, 투함 뿐이나 수상전 최강 병법인 투함이 있어서 육상전에서 잡아 해전에 쓰도록 하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65/지력 38/정치력 39/매력 57로 특기는 보수, 명사, 제독. 총 3개다.

평범하기 그지없는 무관의 능력치이지만,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사족으로 게임상 등장하는 전종 일가 인물들은(전종, 전단, 전역, 전위) 모두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7/64/39/37. 특기는 훈련 1, 연전 1, 수영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상태이상의 효과를 회복시켜주는 위무.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65, 지력 38, 정치력 38, 매력 58로 전작과 달리 무력과 정치력이 각각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부호, 주의는 할거,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경파,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고승, 장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수상전용 말고는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91. 전만

파일:external/kongming.net/182-Dian-Ma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7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초기작에서는 무력이라도 높았지만 꾸준히 너프되어 근래작에선 70을 겨우 넘기는 수준. 태사향, 곽혁과 같이 아버지를 잘 만나서 등장할 수 있었던 케이스라 볼 수 있겠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전위와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2에서는 아버지빨로 무력 80을 찍는다.

삼국지 3에서는 육전지휘 65, 수전지휘 24, 무력 72, 지력 27, 정치 20, 매력 48인지라 무력은 장군에 턱걸이로 오는 수준이면서도 수전지휘가 너무 낮아서 장군은 되지 못한다. 장군이 되려면 육전지휘나 수전지휘 중 하나를 56 상승시켜야 한다. 하지만 무력이 낮아서 그럴 가치가 없는 데다가 위나라에는 장군 진영이 너무 화려해서 굳이 장군으로 만들 필요성조차 못 느낀다. 하후돈, 하후연, 허저, 조인, 조홍, 조휴, 조진, 이전, 악진, 장료, 장합, 조조, 하후위, 하후패 등등 장군은 차고도 넘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5/72/36/27로 높지 않다.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2/74/38/25/56이며 특기도 3개 밖에(치안, 돌격, 기합) 없는데 그 중 한개도 아버지를 닮아 치안이며 나머지는 돌격, 기합.

여러모로 아버지의 다운 그레이드인데 이래선 어디 쓸 데가 없다.

삼국지 12에서 등장한 그의 일러스트를 말하자면, 외모는 아버지와 판박이요, 자세는 아버지의 무기인 쌍철극 2개를 이를 악문 상태에서 두 손으로 든 채 휘두르고 있다. 전종의 아들 전단과 비슷하게도 생겼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1/73/39/26. 특기는 일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일기이고 전법이 수비약화였지만 PK에서 대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67, 지력 38, 정치 25, 매력 48로 전작과 달리 능력치가 깎여나갔는데 무력이 6, 통솔력, 지력,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교련, 주의는 패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92. 전상

파일:external/kongming.net/007-Quan-Sha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45.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멀쩡하게 생긴 놈이 능력치는 백하팔인급이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8/4/40... 제일 높은 정치도 내정도 못 굴릴 지경. 의리도 바닥을 긴다. 병법으로는 누선 밖에 없으니 그거라도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6/11/38/56이며 특기는 상업, 명사, 간첩. 총 3개다.

능력치가 엄청 낮은 주제에 오나라 황제의 장인이어서 그런지 명사 특기에 간첩 특기까지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선 통솔 2, 무력 4, 지력 12, 정치 41, 매력 59의 합계 118로 아쉽게도 백하팔인에 들지 못하였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책상에 병서들이 있는 상태에서 두 손을 모은 채 손침 암살 사실을 아내에게 그대로 털어놓고 있다.

매력이 삭제되어 드디어 백하팔인에 당당하게 합류한다. 능력치는 전작과 같이 그대로이며 특기는 농업 2, 수영 1. 전수특기는 농업으로 전법은 창뱡약화.[48]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 무력 4, 지력 12, 정치 40, 매력 57로 전작과 달리 전작에 비해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단려, 주의는 명리, 정책은 방원강화 Lv 1,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손노반, 손량,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93. 전속

파일:external/kongming.net/203-Tian-X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7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등애를 죽인 사람이지만 능력치는 위관보다 휠씬 낮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9/무력 61/지력 56/정치력 14. 병법으로는 기사, 매도 뿐이다.

등애를 죽여서 그런지 매도가 있지만 지력도 낮고 매도 자체의 성능도 좋지 않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61/지력 55/정치력 19/매력 7로 특기는 반목, 명사. 총 2개다.

바닥급 능력치이지만, 일족 할아버지를 잘 둬서 능력치에 어울리지 않게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7/무력 60/지력 55/정치력 15/매력 32로, 전작보다 매력이 4배 이상으로 상승했으나 여전히 쓸모는 없다.

영웅집결에서는 종회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검을 뽑아서 등애 부자를 죽이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삼국지 11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궁속강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7, 무력 60, 지력 55, 정치 15, 매력 27이며 개성은 소심, 주의는 명리, 정책은 학익강화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저지,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등애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영웅집결과 영웅난무 시나리오에서는 종회의 부하로 등장한다.

94. 전역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43.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삼국지 5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물론 능력치는 기대말자. 삼국지 8~삼국지 11에서 쓰인 일러스트에는 왠지 왼쪽 뺨에 큰 점이 하나 있다. 그래도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전종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63/39/47로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말고는 기대할 게 없는 쓰레기. 누선 셔틀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0/62/37/46/54로 낮다. 특기가 딱 2개인데 반목, 명사라는 어마어마한 특기를 가지고 등장하지만 지력이 37이므로 돼지 목에 진주 목걸이.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채 눈을 옆으로 흘기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0/63/38/43. 특기는 훈련 1, 순찰 1, 수영 1.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창공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3, 지력 38, 정치 44, 매력 54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부호, 소심, 주의는 할거,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견제, 구축,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탄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수상전용 말고는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95. 전예

파일:Tian_Yu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199-Tian-Yu.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7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한 때는 삼국지 갤러리꾸준글에서 유래한, 완전소중 골든전예라는 별명으로 불리우며 삼국지 커뮤니티 전반에 떠받들어지는 아이돌이 었다.

시나리오 2부터 등장하고 위에 생몰년도처럼 고평릉 사변 이후 2년까지 매우 오래 살고 능력치도 통솔력과 지력이 80대 초반에 무력과 정치력은 70대 초반을 찍는 다재다능한 A급 장수다. 군웅할거(195년)와 여포토벌전(198년) 시나리오에서 공손찬군에서 조운에 이은 No.2 장수이고 조운이 유비 소속으로 있는 영웅집결에서는 공손찬 군의 에이스다. 고증을 따지면 190~194년 사이 시나리오에선 유비군에 속해야 하는데 잘 지켜지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조운, 전예 본인이 빠지면 힘들어지는 공손찬군의 밸런스 문제 때문일지도 모른다.

삼국지 3을 리메이크한 삼국지 DS에서는 수군 지휘 70외에는 삼국지 10의 능력치로 나온다.

역시 조운과 함께 공손찬의 양대 에이스. 책사도 겸한다. 숨겨진 능력치는 의리 66, 야망 8, 행운 8, 냉정 10, 용맹 7 수명 B. 그러나 다른 시리즈와 달리 비교적으로 수명이 짧다.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에서는 나오기는 하는데 SP 무장이라 실질적으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능력치는 통솔력 82/무력 72/지력 85/정치력 84/매력 79, 특기와 전기는 정보, 제조, 화공, 궁장, 화계, 낙석, 동토, 혼란, 수복, 매성, 허보, 난사, 연사.

삼국지 8에서는 당시 '전여'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열전을 살펴보면 전예를 소개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 때는 무력 63,/지력 58/정치력 62/매력 58에 전법도 불화살과 난사 밖에 없는 잉여 장수이고 일러스트도 매우 못나게 나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1/지력 78/정치력 74다. 그리고 골든전예의 일러스트는 이 때부터 시작되었다. 병법으로는 돌파, 궁기병계 최강 병법인 비사, 파괴를 가지고 있다.

거기다가 상성이 아예 유비로 맞추어져 있는 것도 특이점. 그래서 서서, 방덕과 함께 후방인 데다 충성도 100인데도 어느날 갑자기 제갈량이 와달라고 슬그머니 청하면 홀라당 유비 진영으로 넘어가버리는 쓰리탑이다. 여하튼 상성이 유비라는 점으로 인해 낚아오는데 성공만 하면 유비군 유일의 비사 보유 장수로 진정한 골든전예의 위용을 볼 수 있다. 공손찬을 정복할 경우 공손찬, 엄강, 전예 본인, 공손월, 선경의 비사 연쇄부대를 운용하면 공성전에서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반드시 등용하게 되는 장수.

삼국지 10에선 능력치가 무력을 제외하곤 전작보다 조금 상향되어 통솔력 80/무력 62/지력 83/정치력 72/매력 75이고 보유한 특기는 농업, 보수, 치안, 화시, 진정, 은밀, 반목, 지리, 반박. 총 9개다.

지력이 제일 높지만 기술 특기가 없고 무력이 제일 낮은데 보수 특기는 있는 등 특기 배분은 조금 불만족스럽지만, 치안 특기가 있고, 통솔력이 80인지라 전장에선 유용하다. 공손찬군이라면 조운에 이어 단연 넘버 2이며 유비군, 조조군으로 가면 인재가 많아 조금 묻히지만 출사표 시나리오까지도 살아있기 때문에 이 때쯤 되면 눈에 띄는 급은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72/지력 80/정치력 78/매력 75이고 병과 적성은 노병, 기병, 병기 적성이 A. 특기로는 오환족 등 이민족 토벌에 능했던 것을 반영했는지 친오라서 영 잉여스럽다.

그래도 전 능력치가 70 이상이라 전 장수 중 능력치 총합이 장임과 함께 30위다. 통솔력과 지력이 80인지라 쓰기도 괜찮으며 다른 능력치들도 어느 하나 심하게 떨어지는 건 없는지라 범용성이 높다. 게다가 수명도 매우 길기 때문에 발전의 가능성도 높으므로 PK라면 업그레이드를 통해 빨리 다른 특기를 주는 게 좋다. 영웅집결 시나리오를 플레이하다 보면 능력연구의 산물로 지력이 95가 되어 있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다. 배신도 잘 안한다. 상성은 위나라 쪽에 가깝지만 친애무장이 유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비로 쉽게 등용이 가능하다.

삼국지 12에서 일러스트가 그야말로 폭풍간지이긴 한데, 어째 진도의 좌우반전 같은 느낌도 든다.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72/지력 80/정치력 78. 전법은 무력 72인데 양민학살 특화인 대타격이라 애매하지만 전예가 소속된 세력이 지휘 포인트를 전예에게 투자할 일이 드물어서 별 상관없다.[49] 조조군은 말할 것도 없고, 공손찬군도 공손찬의 기군신속과 조운의 단기구가 우선이기 때문. 그래도 극초반에는 질러줄 만은 하다. 보통 처음으로 상대하게 될 유우와 공손도 세력 역시 무력이 높지 않기 때문이다.

삼국지 13에서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다. 전법은 오리지널에선 기동강화였으나, PK에서 적군의 기동성을 감소시키는 금족으로 변경됐다. 특기가 매우 많은데 상업 1, 문화 1, 훈련 6, 순찰 4, 설파 6, 교섭 5, 신속 4, 연전 1, 공성 2, 견수 4이고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음성은 용장. 병과 적성도 창병 B/기병 A/궁병 A로 뛰어나다. 군주인 공손찬의 중신특성 때문에 기병은 S라고 보면 된다. 다만 중신특성이 없어서 매우 아쉽다.

상성은 31로 조조를 섬긴 후 삼국시대 후반기까지 쭉 위나라 장수였음을 반영했는지 유비(75)보다는 조조(25)에 가깝게 설정되어 있다. 군웅할거 시나리오과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공손찬의 세력이라 얻어맞고 원소군 소속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유저가 잡더라도 전법이 좋지 않아서 쉽지 않은 편. 공손찬군이 이번 작에서 상당히 어려워진 이유는 공손찬 본인의 잉여화도 있지만 전예의 저평가도 한몫한다.

삼국지 14에서 일러스트는 전작의 재탕이며, 능력치 역시 동일하다. 통솔 80/무력 72/지력 80/정치 78에 매력 75로 매력이 부활해서 삼국지 11과 같은 수치를 받았다. 개성은 5개로 명경(혼란 상태이상 기간단축) 봉살(적부대 상태이상 저지 지속시간 증가) 친오, 친선(오환족, 선비족이 소속도시에 미출현 및 매복지독 계략으로 해당 이민족 출현) 소욕(자신의 봉록감소)으로 좀 잉여스러운 느낌이다. 주의는 왕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장사, 안행, 충차, 전법은 돌격, 제사, 저지, 혼란, 친애무장은 선우보, 유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PK에서는 고유 전법으로 아군의 상태이상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사기를 상승시키는 규략명련이라는 지력 의존 전법을 부여받았는데 위나라의 오자양장 중 하나인 우금과 같은 방식의 전법이다.

그리고 이번작부터 드디어 190~194년경의 행적이 고증이라도 된 듯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에서는 유비군으로 등장하게 되어 평원에서 노는 유비군에게 전력이 되어준다. 지력이 80이라 관우를 제치고 군사 자리에 오르는 건 덤이다.[50]

무엇 하나 부족함 없이 중상박을 치는 좋은 스탯이지만 어린, 봉시, 방원 진형이 없어 보통 안행으로 원거리 딜링을 하거나 충차로 쓰게 될 것이다. 통솔과 지력이 80대기 때문에 심배 등의 지장형 장수처럼 공성 병기로 써도 나쁘지 않은데, 고유전법이 별로 좋지 않기 때문에 병기 이외로 출진한다면 혼란 전법만 들고 나가는 것이 낫다. 군주와 친애가 있는 심배, 고순 등의 공성 장수들은 군주와 조합을 맞춰 사용하면 성능이 절륜해지지만 전예는 친애가 매우 애매해서 써먹기가 힘들다. 물론 유비와 쌍방 친애이긴 하지만 하필 유비가 전예 말고도 같이 쓸 더 좋은 장수들이 넘쳐나는 인싸 군주다보니... 어째 평원 스타팅 유비보다, 어정쩡한 장수들 천지인 공손찬으로 플레이할 때 더 알차게 써먹게 된다. 그나마도 대체할 장수가 많아서 어느 정도 플레이하다보면 후방에서 내정이나 하게 되지만.

96. 전위

전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97. 전유

파일:전유.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턱에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3, 무력 40, 지력 55, 정치 67, 매력 58이다. 개성은 부호, 동원, 여망, 주의는 할거,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견제, 업화, 강습, 친애무장은 손책, 혐오무장은 동탁이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168년, 몰년은 217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98. 전의

파일:external/kongming.net/003-Quan-Y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42.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연의의 활약 덕분에 등장하지만 능력치는... 나와도 보통 전의가 아닌 전위로 나온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64, 무력 71, 지력 39, 정치 37. 병법으로는 분전, 몽충, 충차를 보유하고 있다. 몽충 셔틀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1/66/45/34/56에 특기는 보수, 기염, 명사. 총 3개다.

그나마 보수는 무력 살리라고 준 거 같은데 그래봤자 겨우 66이니 쓰기야 쓰겠지만 거 참... 명사 특기는 할아버지 잘 만난 전씨 집안들의 아이덴티티.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도 불쌍해 보이는 얼굴이 유지되었는데 자세히 보면 검을 뽑으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68/44/32. 특기는 훈련 1, 순찰 1,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며 전법은 궁방약화. 전위라는 이름에서 전정이란 이름으로 또 나온다.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8, 지력 45, 정치 33, 매력 5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소심, 동요, 주의는 명리,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매성, 구축,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에서 드디어 전의라는 이름으로 정확하게 나온다.

99. 전장

파일:external/kongming.net/tianzhang.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3,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는 262년에 재야 장수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64/지력 42/정치력 46의 3류 장수.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투석을 가지고 있다.

100. 전종

파일:Quan_Cong_%281MROTK%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46.jpg
삼국지 12, 13
파일:전종.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모든 능력치가 70대인 만능 장수로 나오는데, 초기작에서 무력이 80대로 오나라 후반기의 무력 파이터나 다름이 없으나 이후 과하게 평가받은 것을 지적되어 무력이 70대 초반으로 너프가 되었다. 그래도 후반기임을 감안한다면 엄청나게 쓸만한 편이다.

삼국지 8에서는 특이하게도 전종 본인이 개털린 작피 전투가 언급되었다. 더 특이한 것은 이 시나리오 오프닝에서 육손손권에게 신뢰받지 못하고, 전종이 손권에게 총애받는 묘사가 나온다는 것이다. 이궁지쟁을 생각해보면 일종의 복선처럼 보인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0/지력 71/정치력 72로 병법으로는 분전, 연사, 투함, 정란, 조영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0/지력 73/정치력 72/매력 64로 특기는 보수, 징병, 화시, 일제, 진정, 유인, 회복, 명사, 제독. 총 9개다.

딱히 높은 능력치는 없지만 골고루 70대여서 능력치 합은 358로 높은 편. 하지만 손권군 소속이라 활용도는 미묘하다.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는데, 안 좋은 걸로 명성을 날려서 그런지 전종을 포함하여 전씨 일족은 모두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188년생으로 나오고 202년부터 등장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72/지력 71/정치력 61/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1이나 하락했다.

특기는 강습으로 일러스트는 좀 찌질한 무장처럼 생겼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가 멋있게 변경됐는데 자세히 보면 수염을 기른 모습으로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상태에서 오른손에 창을 든 채 돌진하고 있다.

전법은 화계로 지력이 75이지만, 같은 특기를 가진 지력 50대의 장수나 60대의 장수보다는 가치가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8/무력 72/지력 75/정치 61이다. 특기는 농업 3, 문화 1(손노반 인연 효과), 순찰 1, 신속 1, 수영 3으로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방어강화.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78, 무력 72, 지력 73, 정치 61,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신중, 명성, 위무, 부호, 동원,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안행, 추행, 투석, 전법은 화시, 경파, 투석,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고소, 방통, 손노반, 육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부터 자신의 아버지인 전유가 추가되었다.

지력이 73으로 내려가는 외에는 여전히 만능형 장수로 활약한다. 패널티인 적색 개성은 없고, 전투 개성으로 함정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신중과 소유 병력을 1000이나 올려주는 동원이 있고 내정 개성으로 도적의 출현을 막는 위무, 도시에 있을 때 자금 수입률 20% 늘려주는 부호, 지역담당일 때 땅을 더 칠하는 명성으로 전투 요원 이미지보다 내정관 이미지가 더 강하다. 진형들도 전법을 못 사용하는 추행을 제외한 어린, 안행, 투석으로 배치되었다.

DLC 시나리오 성씨패란에서 출신지인 회계에 자리잡고 부하로는 전기, 전단, 전상, 전역, 전유, 전의까지 총 6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감택, 낙통, 반림, 반씨, 번능, 우미, 우번, 우사, 유략, 유찬, 유평, 정고, 하달, 하제 총 14명. 처음에 소속된 세력 무장들이 모두 자신의 일족들만 되어있지만 처음부터 군사가 없어서 상당히 답답할 지경이다. 그나마 전종 본인과 아버지 전유의 개성 부호덕에 자금이 부족한 것이 없고 열심히 탐색을 하다가 우번이라도 등용되면 반드시 군사로 임명한 다음에 전력을 쌓도록 하자.

101. 전주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7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균 능력치 70정도의 고만고만한 무장이지만, 이 능력치로도 유우군한테는 상당한 전력이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선 후사인 전속도 유우군 소속으로 되어 있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6/지력 70/정치 73/매력 74.

스탯은 괜찮으나 전법이 교란 1에 화시 2, 낙석 2로 레벨이 낮아서 전장에서 부리기가 애매하다. 성장형은 매력. 특기는 경작, 혼란. 207년 원상 세력의 최후에서는 엉뚱하게도 원상군에 소속되어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6/지력 74/정치력 78로 병법으로는 기사, 교사, 혼란을 가지고 있다.

좀 애매한 만능형 스탯이지만 교사를 가지고 있어서 계략 방어용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4/지력 72/정치력 73/매력 74의 고만고만한 만능형에 특기는 총 8개.(농업, 보수, 진정, 기습, 반목, 유인, 지리, 명사)

특기 배분마저도 고만고만하며 평상 시엔 농업 셔틀로 쓰다가 전장에선 진정, 기습, 반목, 유인, 지리 특기로 주변을 서포트할 수 있다. 유우군이라는 걸 감안하면 저 능력치로도 전장에서 굴릴 만은 하다. 명사 특기는 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66/지력 72/정치력 76/매력 74, 특기는 풍수다.

전주의 혐오무장이 공손찬, 원소이기 때문에 공손찬, 원소는 아무리 전주를 등용하려고 해도 등용을 못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눈을 감고 팔짱을 낀 채 권유에 거절하는 모습이다.

그런데 서주 변천 시나리오에서 이상하게 원소 막하에 있다. 아무래도 잘못 배치한 듯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66/73/76으로 전작해 비해 지력이 1 상승해 있다. 특기는 농업 1, 순찰 2. 전수특기는 순찰이며 전법은 공격약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66, 지력 72, 정치 74, 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진흥, 교화, 친오, 친선, 소욕, PK에서는 진흥이 삭제되고 향도 개성으로 변경되었으며 주의는 왕도,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제사, 혼란, 고무, 친애무장은 유우, 하후돈, 혐오무장은 공손찬, 원소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02. 전풍

파일:삼국지3전풍.png
삼국지 3
파일:Tian_Feng_2_(1MROTK).png 파일:Tian_Feng_(ROTK10).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76.jpg
삼국지 12, 13
파일:전풍(14).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참으로 낮은 평가를 받고 있는 원소군이지만, 전풍은 전체 게임에 등장하는 많고 많은 모사와 문관 중에서도 충분히 상위권에 들어가는 든든한 재사 중 하나다. 지력 90대 초중반으로 원소군에서 거의 언제나 지력 탑을 놓치지 않으며, 나머지 모사 중에는 지력이 80대 후반~90대 초반인 저수나 전체적으로 만능형인 심배가 쓸 만하다. 봉기곽도도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이 둘은 지력 외의 능력치가 처지고 지력도 80대 초중반이라 90대를 찍는 전풍, 저수나 만능형인 심배에 비하면 한끝 부족하다. 다만 단순 능력치는 약간 아쉬운 감이 있어도 그런대로 괜찮은데, 묘하게 특기 부분에서 찬밥신세인 느낌이 드는 일이 많다.

무력이 높고 통솔력도 괜찮은데 지력이 좀 많이 떨어지는 안량문추, 전체적으로 무력 말고는 크게 뛰어나다고 할 수 없는 고람순우경, (그리고 여위황, 한거자 등 D급 무장들) 균형잡혔으나 뒷받침해줄 무장이 없는 장합 등 뭔가 이상하게 대우가 좋지 않은 원소군이라서 더욱 빛을 발하는 것일지도.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사마의의 축소판이라 할 수 있는데 육전지휘 88/수전지휘 73/무력 45/지력 90/정치력 71/매력 75에 야망 8, 운 8, 냉정 9, 용맹 2라 원소군 책사 중에서는 육전지휘가 제일 높고 무장 중 육전지휘가 제일 높은 장합과 동률을 찍는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44/정치력 82/지력 92/매력 74이다. 특기는 외교, 정보, 인재, 작전, 구호, 풍분, 첩보, 화계, 혼란, 연환, 수복, 허보.

사마의는 여기에 제조, 화공, 보병, 낙석, 내분을 가지고 있다. 전풍이 사마의의 다운 그레이드라고 하기에는 전체적인 능력치 수치가 사마의보다 딸리긴 하나 특기로 보면 다운 그레이드다.

삼국지 5에서는 통솔력 스탯이 삭제된 관계로 전장에서 무력하다. 무력 47에 지력 95. 90을 넘는 지력이면 군사의 지위를 받는 5편의 특성상 최대 20,000명의 병력을 통솔할 수 있다.

원소군의 장수 중에서 병력 2만을 지휘 가능한 장수는 전풍 본인, 저수 뿐이다. 저수는 언월, 기형을 갖고 있어 전천후 활약을 보이지만 전풍은 구행, 학익, 방원 진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방어전에 유용하다. 내정에서 계략을 잘 사용하지 않는 초반엔 내정담당이나 외교담당으로 어느 곳에 넣어도 좋다. 특기는 수습, 혼란, 침착, 화계, 진화, 반계. 시나리오 3 '조조의 대두'에서 여포를 공략할 때 반드시 전풍을 데려가도록 하자. 이번작의 여포는 시리즈 최강이나 계략에는 아이고오~봉선!!이 된다.[51]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8/무력 39/지력 95/정치력 90. 병법으로는 투석, 혼란, 덫, 매도, 고무를 가지고 있다. 모략계 병법 숙련도도 400.

명실상부한 원소군의 에이스로 전장에서나 내정에서나 가장 많이 사용하게 될 무장이다. 영웅집결에서는 주변지역에 장각군을 제외하고는 지력이 높은 무장이 있는 세력이 한 군데도 없으므로 전풍 심배 등을 활용하는 것이 초반 영토확장에 유리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32/지력 93/정치력 87/매력 62에 특기는 총 14개.(농업, 상업, 기술, 화시, 고무, 저지, 혼란, 지리, 항변, 반론, 반박, 논파, 군사, 명사)

농업, 상업, 기술 특기가 모두 있기 때문에 원소군의 훌륭한 내정담당에 원소군 최고의 지력인 이상 훌륭한 참모이며, 전투에서는 통솔력이 60으로 높진 않지만 사기 특기인 군사 특기로 커버하며, 설전에선 반론, 논파 특기를 가지고 있다. 가히 내정과 계략에서는 저수와 함께 투탑이며 전장에서도 모사진 중에서는 심배 다음으로 쓸 만해서 그야말로 일기토 빼곤 만능이니 코에이가 여러모로 전풍에게 대접을 잘해줬다.

삼국지 11에서는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29/지력 93/정치력 87/매력 64에 병과 적성은 창병 A/병기 A. 전작과 무력이 약간 내려갔으나 매력이 약간 올랐고, 통솔력이 크게 상향되어 전투에 내보낼 수 있다. 그런데 지력이 무려 93이나 되는데도 특기가 없다.

원소군 무장들의 특기 배분을 보아 코에이가 원소군을 까고 싶어서 일부러 특기를 주지 않았다는 설이 있으나, 전풍 본인의 능력과 인품을 생각하면 매우 부당한 처사라고 할 수 있다. 기본 능력 자체가 높아서 사용하기에 문제는 없으며, 안량이나 문추 등의 지력 보충용으로 쓸 수도 있지만 그러기에는 93이라는 높은 지력이 빛을 보지 못하는 감이 있기에 보통은 경국 특기를 가진 견씨와 조합하여 쓰게 된다. 특기가 없는 장수들 중에선 지력이 가장 높으니 PK라면 빨리 연구해서 다른 지락계 특기를 주자. 또한 원소군 장수 중 유일하게 조조보다 지력이 높아 조조의 허실 특기가 통하지 않는 인재이기도 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그의 강직한 성품을 반영하였는데 왼쪽 손가락을 가리키면서 원소한테 자신의 주장을 계속하여 펼치고 있다. 전작까지의 일러스트에서는 이빨을 보이며 웃지 않았다는 고사 때문인지 입을 앙다문 일러스트였지만 이번작에서는 휴고화가 되어버렸는데 관모는 100만의 삼국지의 관모로 변경되었다.

전작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다. 특기는 상재, 경작, 명사, 인맥, 변설, 공성, 냉정, 군사, 귀모에 병종은 창병, 전법은 허유엄살. 똑같이 주인에게 엄청난 계책을 알려주고도 주인이 자신의 말을 듣지 않아 망해버린 고대무장 범증과의 공통점에서인지 특기가 범증과 동일하다. 어쨌든 전작의 무특기의 한을 제대로 푼 느낌.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29/지력 93/정치력 88이고 특기는 농업 5, 설파 6, 교섭 7, 언변 5로 전수특기는 교섭인데다가 전법은 대화계다.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전작과는 달리 지력차 대미지는 없지만 그래도 충분히 좋은 전법이며 다른 원소군의 책사들의 전법이 전반적으로 그저그런 이번작에서는 독보적인 원소군 원탑 군사가 됐다. 다만 전투 특기가 단 하나도 없다 보니 반드시 부장을 붙여 줘야 한다. 원소군에는 남아도는 무장들이 많으니 문제는 없을 것이다. 중신특성은 계절당 휘하 장수들의 충성을 향상시키는 공정무사인데, 원소군 책사 중 유일한 중신특성 보유자인지라[52] 원소군에서는 부동의 군주 군사감이다. 삼국지 11에서의 설움을 전작과 이번작에서 연달아 풀고 있는 듯한 모습. 하지만 전풍과 통무지정 능력치가 모두 거의 판박이 수준인 순유와 비교했을 때,[53] PK까지 와서도 네임드 무장들에게 배정된 전투/내정/노년 등의 일러스트 변경없이 전작의 작품을 그대로 우려먹었기 때문에 대접이 그리 좋다고 말하긴 힘들다. 심지어 지력이 90을 훌쩍 넘김에도 귀모 특기가 아예 없다. 어디까지나 특기조차 주어지지 않던 삼국지 11에 비해서 나아졌을 뿐. 고증인지는 모르겠지만 영웅집결에선 대부분 각 세력 유명인사는 5~7품관 달고 시작하는 데 비해 전풍 혼자 9품관이라(심배 곽도 등은 7품관) 중신임명도 안 되기 때문에 원소로 플레이 시 전풍에게 뼈빠지게 일을 많이 시켜야 수월하게 플레이 가능하다. 동료 저수의 일러스트와 붙여놓으면 격렬한 논쟁을 주고받는 모습이 완성된다.

삼국지 14에서는 삼국지 10/11 시절의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29, 지력 93, 정치 87, 매력 68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신중, 능리, 책사,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5, 진형은 어린, 학익, 충차, 전법은 격려, 업화, 진정, 치료, 충차, 친애무장은 저수, 혐오무장은 봉기, 심배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우수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지만 쓸만한 전법이 업화 밖에 없고 진형도 단기접전에 휘말리지 않게 하거나 방어력이 높은 방원 진형조차 없다. 전법인 혼란은 업 탐색해서 나오는 전법의 서로 해결이 가능하다쳐도 방원 진형이 없기 때문에 호위 개성이 있는 무장과 조합하지 않으면 전풍이 단기접전으로 죽어버리는 경우가 많아서 컨트롤이 필요하다.

103. 전해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7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선경이나 엄강에 비해 기록이 월등히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리 능력치가 좋지는 않다. 공손찬군에 있는 장수치고 전예조운을 제외하면 별 쓸모가 없다는 것은 언제나 변한 적이 없지만, 어느 한편으로도 아주 못 써먹을 능력치는 아니고 워낙 무장수가 적어 문무 양면으로 자주 쓰이긴 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5/지력 53/정치력 66. 병법으로는 주사와 제사를 가지고 있지만 비사가 없어서 선경, 엄강, 공손월 등에 효율성이 밀린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3/지력 57/정치력 59/매력 62에 특기는 징병, 화시, 반목, 혼란. 총 4개 뿐.

능력치도 특화된 게 없는데 특기도 뭔가 어정쩡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채 오른손에 든 언월도를 위로 들면서 주먹 다짐을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8/65/58/61. 특기는 순찰 3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이 창공약화였지만 PK에서 금족으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5, 지력 57, 정치 60, 매력 63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모집, 낭비, 주의는 할거,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돌격, 견제, 친애무장은 선경, 엄강,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04. 정고

파일:정고.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은 채 이야기를 하려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33, 지력 70, 정치 76, 매력 67이다. 개성은 능리, 위무,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호적정비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교란, 강습, 친애무장은 맹종, 육개,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능리, 위무, 감수 개성 전부 내정관에도 도움이 되며 통솔 62에 진형은 방원진이라 어느정도 탱커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

105. 정기

파일:정기(촉나라).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정기 일러를 재활용한 것 덕분에 몇도 안 되게 자기 얼굴을 지킨 무장이며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0, 지력 75, 정치 71, 매력 72이다. 개성은 동지, 후위, 진화,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방원, 투석, 전법은 저지, 진정, 투석,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위엄남. =

우수한 만능형이지만 병기전용 말고는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한 편이다.

106. 정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44.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을 위로 올리면서 유장에게 계책을 내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2/29/60/68. 특기는 문화 1, 언변 3. 전수특기는 언변이며 전법은 화계. 평범한 문관이지만 괜찮은 전법을 가지고 있어서 유장군으로는 전투할 때 전장에 데려가도 문제가 없다. 음성은 책사. 생몰년도가 168~24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28, 지력 75, 정치 50, 매력 2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지력이 15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정치력이 18 하락했다. 개성은 봉살, 주의는 명리, 정책은 화계연구 Lv 3,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업화, 저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사망년도가 215년으로 변경되었고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책사남이다.

107. 정무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6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조운을 위기에 빠뜨린 계책을 내었다는 점을 반영하였는지 지력, 정치력은 어느 정도 되는 문관형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연의에서 정무 본인에게 머리가 나쁘다고 까인 조운의 지력이 정무와 비슷한 수준의 70대 중반이라는 점이 함정이다. 216년에 출생하며, 지력 81/무력 44/매력 72.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37/지력 75/정치력 71의 능력치. 병법으로는 파괴, 혼란, 덫을 가지고 있다.

다만 병법의 경우 아버지와 비교하면 매도가 없고 교사가 파괴로 한 단계 낮아졌다. 과연 지력 78에 교사까지 보유하고 있는 조운을 무슨 수로 궁지에 몰았는지 궁금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33/지력 76/정치력 71/매력 51에 특기는 농업 단 1개 뿐이다.

그래도 백하팔인하후무 따위와는 비교를 불허하는 능력치다.[54]

삼국지 11에서는 지력 75/정치력 71로 총합 282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매복과 포위 작전을 써서 통찰이란 특기로 계략에 내성이 있는 조운을 몰아붙였으니 아비와 같은 기각을 주었으면 꽤나 흥미로웠겠지만, 정작 본인은 무특기. 이번작부터 아버지인 정욱보다 모든 능력치를 넘지 못하게 되었다.

삼국지 12에서는 영 빈약한 사료의 기록과 연의에서도 보잘 것 없는 활약에 힘입어 짤렸다.(...) 그러나 PS3판과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35/지력 75/정치력 71로 뭔가 아쉽지만 다른 거 다 떠나서 복병 궁병 하나만으로도 등용할 가치는 충분하다. 여담으로 못 생겼던 이전작 일러스트에 비해서 상당히 멀끔한 모습으로 나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2, 설파 3, 언변 3.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전법은 수비명령. 음성은 청년. 그런데 무력 35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4, 무력 35, 지력 75, 정치 71, 매력 4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언독, 주의는 패도, 정책은 지세연구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하후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108. 정밀

파일:external/kongming.net/dingmi.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했는데 통솔 20 무력 32 지력 77 정치 34로 정치력을 보면 불쌍하다(...). 병법은 혼란, 매도.

삼국지 14에서 부친 정비가 첫 등장하고 자신과 절친한 동료인 필궤가 오랫만에 복귀했음에도 정작 본인은 끝내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109. 정병

파일:external/kongming.net/191-Cheng-Bing.jpg
삼국지 11 일러스트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62.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형적인 지력, 정치력 70 남짓한 문관 능력치로 나온다. 보통 정치는 70을 갓 넘고 지력은 60대 후반에서 노는 정도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4/무력 14/지력 69/정치력 72의 문관. 병법으로는 정란, 매도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7/무력 13/지력 66/정치력 71/매력 66에 특기는 상업, 반목, 항변. 총 3개 뿐.

항변만 가지고 설전하긴 무리고 통솔 17짜리를 반목 하나 가지고 전장에 내보낼 바보는 없다. 결국 상업 셔틀. 관도대전 시나리오 때 교지에서 재야로 등장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15/지력 71/정치력 72/매력 65로 문관 중에서는 기본은 하는 능력치.

비교적 오랜 기간 재야로 등장하는데 시나리오에 따라 여남→북해→영릉→회계로 소속지가 바뀐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을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삼국지 11과 같고 특기는 상업 2, 설파 4, 교섭 2, 언변 2, 전수특기는 설파이고, 전법은 창병도발. 음성은 정중. 영웅집결 시나리오 때 교지에서 재야로 등장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6, 무력 14, 지력 68, 정치 72, 매력 6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학자, 소심,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투석, 전법 역시 투석, 친애무장은 사섭, 손등,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110. 정보

정보(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11. 정봉

파일:삼국지3정봉.png
삼국지 3
파일:Ding_Feng_4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192-Ding-Feng.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6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통무지 특화(통솔력&무력은 80대, 지력은 70대) 무장이다. 정사를 반영했다면 문앙과 함께 무력 최고 장수 중 하나가 되었어야 하는데, 서성과 세트메뉴로 엮인 연의를 기반으로 능력치를 책정하다보니 시리즈 내내 다소 평범한 능력치를 부여 받고 있으며, 일러스트 마저도 평범하다. 삼국지 9~삼국지 11 시절 일러스트는 왠지 모르게 슈퍼 마리오를 닮았다.

물론 무력 특화 장수들이 비교적 부족한 오나라에서는 지금 능력치의 정봉 본인도 감지덕지다. 어차피 무력 90대의 무장들은 대부분 후반기 시나리오에선 사망한 상태라 사실 시나리오에서는 정봉의 능력치도 상위권이다.[55] 더군다나 제갈량 사후를 넘어 극 후기 시나리오까지 가면 무력 90대 장수는 꼴랑 문앙 혼자다. 그렇기 때문에 정봉은 후반기 시나리오의 명실상부한 오나라 에이스다. 일기토도 강유와 문앙, 부첨, 등애, 등충, 주지만 조심하면 적수가 없다. 그렇다 쳐도 연의에서 용장인 장료를 사살하고, 정사에선 더욱 대단해 무쌍 기록이 여러번 있는데도 무력이 주지보다도 낮은 80대 초반인 것은 확실한 저평가다.

특이하게 삼국지 1, 삼국지 2에서는 무력보다 지력이 훨씬 높았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0/수전지휘 70/무력 75 /지력 65/정치력 74/매력 71에 야망 7, 운 7, 냉정 7, 용맹 7로 코에이가 정봉 본인에 대한 정보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정봉의 능력치를 책정했다는 느낌 밖에 안 든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83/지력 75/정치력 40. 병법으로는 분투, 돌진, 누선, 충차를 가지고 있다.

분투, 돌진, 누선을 보유한 건 좋은 데 노병계 병법이나 궁기병계 병법이 없는 게 단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84/지력 70/정치력 54/매력 56에 특기는 치안, 돌격, 일제, 기습, 저지, 회복, 기염, 나선, 제독. 총 9개다.

오나라 장수답게 제독 특기를 가지고 있으며 지력이 70이라 계략도 어느 정도 방어할 수 있는 것이 장점. 정치력, 매력은 낮지만 통솔력이 높고 치안 특기가 있으니 내정은 치안 셔틀만 시키면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80/지력 71/정치력 55/매력 56이고 특기는 급습이다. 한종을 칠 때 경무장한 병사들만으로 큰 피해를 입혔기 때문으로 보인다. 손견과 같이 쓸 수 있는 영웅집결 시나리오라면 손견의 특기 구축과 좋은 시너지를 낼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2개의 단도를 든 채 한종을 죽이는 장면. 병과는 궁병으로 전법은 맹공. 이번작에서는 오나라의 궁병 라인이 워낙 강력해서 묻히는 감이 없지 않지만, 이 정도면 충분히 강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80/지력 75/정치력 55이고 특기는 훈련 7, 순찰 3, 신속 3, 분전 3, 공성 4, 견수 5, 수영 5, 일기 6.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제사지휘. 같은 전법 보유자는 대교인데, 대교의 전투 능력치를 감안하면 정봉 본인이 더 전장에 자주 나서게 될 것이다. 음성은 청년.

다만 정봉이 본격적으로 나서는 후반기 시나리오나 가상 시나리오에서는 상위호환인 육항의 맹사지휘가 있기에 묻힌다. 게다가 더 큰 문제는 정봉의 병종적성은 창병, 기병 모두 A급이지만 궁병은 B급이라는 것. 연의에서 장료를 활로 쏴서 잡았는데도 궁병적성이 낮게 나온 건 둘째치더라도 저래서야 전법을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 감녕과 서성 등 궁술조련을 중신특성으로 지닌 인물들을 군무중신에 앉혀서 활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래도 연의에서 콤보로 묶이는 서성보다 이번 작품에서는 확실히 활용도가 높아진 점이 위안. 삼국지 12까지는 삼국지 11 빼고는[56] 미묘하게 능력치나 특기가 밀렸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1, 무력 80, 지력 71, 정치 55, 매력 5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원시, 지리, 개수, 강건, 조타, 주의는 왕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4, 진형은 어린, 장사, 추행, 전법은 급습, 화시, 교란, 강습, 시람, 친애무장은 서성, 혐오무장은 유평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112. 정봉

파일:external/kongming.net/193-Ding-Feng2.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6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 PK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냥 특별할 거 하나 없는 능력치로 나온다. 안 짤리면 다행일 정도.(...)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형 정봉과 원수관계가 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72/지력 51/정치력 38.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몽충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형처럼 노병계나 궁기병계 병법이 없다. 몽충이라도 있으니 그거라도 시키면 수상전에서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68/지력 52/정치력 41/매력 59에 특기는 보수, 일제, 역공. 총 3개.

일제 특기가 있긴 하지만 통솔력 67에 다른 거 볼 거 없는 장수를 전장에 데려가기엔 영 메리트가 부족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채 왼손으로 창을 들고 있는데 행적상 촉나라에 원군으로 갈 때의 모습인 듯 하다.

전법은 전공성강화로 괜찮은 전법이긴 한데 지력이 좀 많이 낮은지라 손침이 더욱 각광받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66/53/39. 특기는 훈련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공격강화.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66, 지력 53, 정치 39, 매력 61이며 개성은 조타, 주의는 할거, 정책은 병참개혁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분전, 구축,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13. 정비

파일:정비.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턱수염을 쓰다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2, 무력 40, 지력 57, 정치 45, 매력 35이며 개성은 농정, 탐욕,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운반개발 Lv 1, 진형은 어린, 전법은 혼란, 도발, 친애무장은 조조, 혐오무장은 없다. 생년은 167년, 몰년은 219년까지 되어있다.

그런데 조조를 구한 행적에 비해 능력치가 심하게 구리며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114. 정씨

파일:백만인정부인.jpg
100만인의 삼국지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등장했다.

115. 정욱

정욱(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16. 정원

정원(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17. 정원지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hengyuanzhi-rotkx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5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형적인 황건적 무장의 능력치를 보여주며, 관우의 첫 희생자라서 연의에서의 활약은 전혀 없다 싶지만 상대가 관우라서 그런지 게임에서의 무력은 후하게 평가된다.

삼국지 6의 짧은 시나리오 중에서 하나인 의용군 초진에서는 유비로 플레이를 해서 계, 남피를 점령해야 하기에 쫓아내거나 죽여야 하는 대상으로 나오는데, 석방하느냐 죽이느냐에 따라 이벤트 장면이 약간 다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무지정매 순으로 74/76/22/34. 황건군에서는 나름 괜찮은 능력이다.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8/74/18/25/28 특기는 돌격, 반격, 삼단. 총 3개.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9/74/17/24/35로 창병, 기병 적성 A라 황건군 플레이 시에는 비교적 중용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창을 두 손으로 든 채 돌격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9/74/17/24이며 기병에 전법은 색적.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일기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소침공작.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74, 지력 19, 정치 25, 매력 29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정치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저돌,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3,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교란, 친애무장은 등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118. 정은

파일:external/kongming.net/187-Cheng-Yi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5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한수의 부하 무장으로 등장한다. 능력치는 기대말자. 성의와 더불어 기본팔기 중에서 유이하게 궁합이 마초(유비)에 가깝다.[57] 연의에서 마초편에서 싸우다 죽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사망년도도 정사 기준이 아닌 연의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6에선 시나리오 오프닝 시 한수에게 반말을 쓰는 게 부하가 아니라 같은 제후라는 설정을 살린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73/71/49/36. 병법으로는 돌진, 기사 뿐이다.

상기한 원인 때문인지, 통무가 기본팔기 중에서 성의와 함께 살짝 높은 편. 기본팔기 중에서 성의와 더불어 유이하게 통무 모두 70대인 장수.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76/68/46/35/46의 멧돼지형. 특기는 훈련, 돌격, 기습, 기합 총 4개다.

통솔이 기본팔기 중에서 가장 높긴 하다만 돌격, 기습 특기로 전장에서 활약하기엔 마등군이더라도 조금 애매하니 오히려 훈련 셔틀로 쓰는게 차라리 더 유용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무력 73/지력 40/정치 36/매력 50으로 기본팔기 중에서는 약간 좋은 편이다. 병종 적성은 기병 A, 극병 B를 제외하고는 모두 C이며, 특기는 없다.

웃기게도 후선과 함께 장로에게 의탁했다가 다시 조조에게 항복하여 잘 먹고 잘 사는데, 몰년이 동관 전투에서 전사한 다른 관중제장들과 똑같은 211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무래도 연의에서도 목숨을 건진 후선과 달리 정은은 연의에서는 장횡과 함께 조조의 계략에 전사하였기에 이런 결과가 나온 듯 하다. 그리고 이번작부터 일러스트가 턱수염만 기른 모습으로 나온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채 야습을 하기 위해 오른손에 횃불을 들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9/73/40/36에 연병, 공성 특기가 있고 전법이 속공이라 백도어용으로 쓸 수 있다. 기본팔기 중 유일한 특기 보유자로 꽤 대우받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신속 2, 연전 2. 전수특기는 신속이며 전법은 속공지휘.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73, 지력 40, 정치 35, 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과감,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봉시, 추행, 전법은 경파, 매성, 친애무장은 이감, 후선,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119. 정의

파일:external/kongming.net/186-Ding-Yi.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5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조조가 사위로 삼지 못해 후회했을 정도의 기재였던 것 치고는 그냥 흔한 보급형 문관이다. 짝눈에 외모도 못생겼으며 정치질에 연관된데다가 청렴했던 모개를 비방하기까지도 한 내외적인 모습들이 모두 비호감이라 그런지 매력이 특히 낮고, 지력이건 정치력이건 80 근처에도 가본 적이 없다.

삼국지 9에서는 통솔력 13/무력 4/지력 66/정치력 72의 능력치로 등장. 병법으로는 덫 하나 뿐이다.

문제는 평범한 문관 정도로 추정될 수 있으나, 의리 2 야망 12로 반골이다. 이간지랄 뜨면 가차없이 추방해주자. 금 100도 아까운 초반에는 이런 인재는 그다지 쓸모가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7/무력 3/지력 66/정치력 70/매력 28. 특기는 혼란. 단 1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5/지력 64/정치력 72/매력 51이다. 특기는 없다.

삼국지 12에서는 대전판에서 추가되었다.

일러스트를 보면 연의에서는 조식에게 붙어서 같이 술판이나 벌이던 모습, 정사에서는 한의 충신인 최염과 모개를 탄핵했다는 일화를 반영해서 그런지 간교하게 나오는데 자세히 보면 손을 올려서 뒷담화 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5/5/64/72. 특기는 상업 3, 농업 1, 설파 1. 전수특기는 상업으로 전법은 수비지휘.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정중.

사기를 올려주는 전법 덕분에 전장에 나가기도 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3, 지력 64, 정치 70,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과 정치력이 각각 2 하락했다. 개성은 문화, 주란, 주의는 명리, 정책은 세출개선 Lv 3,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조식, 혐오무장은 모개, 조비, 최염이다. 전작과 달리 어째선지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이 아닌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은데다가 병기 진형 밖에 없어서 내정용으로 쓰이며 고증에 맞게 주란이라는 패널티 개성을 갖고 있다.

120. 정자

파일:정자(오).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검 손잡이를 두 손으로 짚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3, 무력 52, 지력 50, 정치력 47, 매력 55이며 개성은 조타,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1, 진형은 안행, 전법은 경파, 강습, 친애무장은 주유,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182년, 몰년은 226년까지 되어있는데 정자 본인은 손권이 칭제할 때까지 살아있었기 때문에 고증에 맞지 않는다.

121. 정주

파일:정주.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투구를 쓴 채 오른손을 펼치면서 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44, 지력 51, 정치 61, 매력 57이며 개성은 위무, 주의는 예교, 정책은 장사강화 Lv 2, 진형은 장사, 전법은 경파,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이지만 위무라는 개성 덕분에 도시에다가 배치하면 도적의 출현을 막을 수 있어서 도시 관리하기가 편하다.

122. 장각

파일:정천.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20, 무력 27, 지력 61, 정치 68, 매력 72이며 개성은 논객, 주란, PK에서는 특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도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책사남.

고증을 반영하여 주란이라는 적색 개성을 가지고 있지만 저 능력치로 전투에 보낼 수가 없어서 의미가 없는 패널티다.

123. 정충

파일:external/kongming.net/zhenchong.jpg
삼국지 9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통솔 21, 무력 13, 지력 70, 정치 78로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 뿐이다.

이후 삼국지 10부터 등장하지 않고 있는데 삼국지 14가 출시되고 나서도 『진서』 「왕상등전(王祥等傳)」에 나오는 인물들 중 유일하게 삼국지 시리즈에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124. 정태

파일:정태.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동탁을 설득하던 때를 그린 듯하며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31, 지력 80, 정치 74, 매력 71이다. 동생인 정혼이 정치 특화라면 자신은 참모 특화 위주로 개성을 부여 받아서 전체적으로 개성은 동지, 책사다. 주의는 왕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4,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저지, 혼란, 친애무장은 순유, 하진, 화흠, 혐오무장은 공주, 동탁인데 친애무장에 자신이 의지하고자 했던 원술이 없는 것은 고증오류다. 어투는 위엄남. 생년은 154년, 몰년은 194년까지 되어있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자신은 하진군에 처음부터 소속되어 있는데 동생은 오히려 낙양의 재야로 있다.

125. 정현

특이하게도 삼국지 7에서만 플레이 가능한 무장으로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지력 70에 정치 92, 매력 84로 나름 준수한 편.

126. 정혼

파일:정혼.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정태와 마찬가지로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에 죽간을 들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32, 지력 67, 정치 87, 매력 82다. 개성은 축성, 진흥, 법률, 농정, 여망, 주의는 형과 같은 왕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4, 진형은 학익, 투석, 전법은 견제, 저지, 치료, 친애무장은 화흠,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59년, 몰년은 조예 시절까지 살아있었음에도 고증오류를 상징하는 223년으로 되어있다.

형인 정태가 지력 특화라면 이쪽은 정치 특화라고 할 수 있다. 오히려 수준급의 정치력과 개성이 다섯 개에 모두 청색 개성인 점을 보면 형보다 더 쓸만하다.[58] 여기에 양흥의 군대를 격파한 것을 반영하였는지 통솔력도 문관치고는 꽤 높은 68로 전장에서도 그런대로 굴릴 수 있다. 형은 물론이고 이번작 신규 무장 중에서는 구부, 유은과 같이 가장 준수한 능력치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지장형인데 지력이 67 밖에 되지 않아 주력급은 아니다.

127. 제갈각

파일:삼국지3제갈각.png
삼국지 3
파일:Zhuge_Ke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603-Zhuge-Ke.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3.jpg
삼국지 12, 13
파일:제갈각14.jpg
삼국지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전통적으로 지력 90대라서 A급 책사로 활약이 가능하지만 자기 아버지인 제갈근처럼 통솔은 그냥 그렇고, 매력은 낮은 편. 재능이 빼어났다지만 기고만장하고, 군사적 실적이 형편없어 암살당하는 계기를 자처했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며 외모도 시리즈가 지나면서 점점 건방진 젊은이 캐릭터로 나오는데, 아무래도 어린 시절부터 총명함을 보이며 기대주로 평가받았다가 높은 자리에 오르며 교만함으로 말아먹은 점이 이러한 캐릭터성을 만든 것이라 할 수 있지만 제갈각이 죽었을 때 나이가 50대이니 건방진 젊은이보다는 꼰대 중년이 좀 더 적합하나 기본적으로 연의 기반에 필요에 따라 정사를 적당히 가져다써서 건방진 젊은이 이미지가 굳어져있다.[59] 참고로 제갈각은 그나마 나은 편이지만 육손60살 넘어도 여전히 20대 시절의 얼굴일 정도로 극단적인 동안으로 나온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69, 수지 75, 무력 52, 지력 95, 정치 83, 매력 75다.

무력만 받쳐주면 장군이 될 수 있는 능력이지만 지력이 극단적으로 높아서 군사를 하면 그만이므로 굳이 장군일 필요는 없다. 참고로 이 정도의 지력이면 맨 마지막 시나리오 한정으로 사마의에 이어 전 무장 지력 2위 라는 굉장한 기록이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53, 지력 93, 정치 80, 매력 74에 숨겨진 스탯으로 의리 10, 야망 14, 냉정 4, 용맹 5.

기본 진형으로는 어린, 언월, 수진이고 특기는 고무, 기우, 진화, 점술, 격려, 수계를 배울 수 있다. 성격은 역시나(?) 악인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갈근의 아들이지만 제갈근을 부하로 두고 있어도 자동으로 세력에 임관하지 않는다. 시나리오 2에서는 220년에 하비를, 시나리오 3에서는 220년에 여강을 수색해야 발견할 수 있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1/53/92/80/72이며 무장이 부족한 오나라 후반 시나리오에서 준수하게 써먹을 수 있다. 매력도 72나 되어 쓸만한 편.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37/90/78이며 병법으로는 누선, 혼란, 덫, 매도를 가지고 있다.

성격은 저돌이지만 통솔이 꽤 낮아서 실제 대장을 맡을 일은 별로 없을 것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2/46/90/80/49이며 특기는 상업, 징병, 혼란, 논파, 도발, 군사, 명사. 총 7개다.

군사라는 사기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좀 괜찮은 편이지만, 성격이 저돌이라서 지력이 밑바닥을 걸어가는 무장에게 유인이 잘 통하는 지력 90짜리 군사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2/47/90/80/60인데 마속과 더불어 사기 특기인 백출을 소유하는 바람에 S급 참모진으로 승격되었다.[60]

이 덕분에 영웅집결에서 주유 및 육손과 콤비로 대활약시킬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을 허리에 댄 채 오른손을 올리면서 도발하는 듯 한 포즈를 취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통솔 72/무력 47/지력 90/정치 80이며 전법은 도발이다. 비책으론 수탈지책이 있어 높은 지력을 이용한 빨대 플레이에 좋다. 더불어 수탈방책도 있어서 상대하는 입장에선 우리는 빨대를 못 꽂는데 적은 꽂아버리는 골룸같은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고 특기는 상업 5/설파 8/교섭 7/언변 8/신속 6/수영 6으로 전투와 내정 다 활용가능하다. 병과 적성도 창 B/기 C/궁 A로 나쁘지 않다. 중신특성은 적중작적, 전수특기는 설파, 전법이 연사로 결국 궁병으로 다니라는 것 같았는데 PK에서 단일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책사.

보유 특기 덕분에 뛰어난 외교가로써의 활약도 가능하고 신속 6 덕분에 전장에서 활용도도 높은 편. 부족한 통솔은 템으로 보완해서 전장에 나가도록 하자.

삼국지 14에서는 전작들처럼 여전히 건방진 캐릭터 이미지로 그려졌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을 얼굴에 댄 채 왼손을 펼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47, 지력 90, 정치 80, 매력 64로 개성은 묘산, 선동, 사역, 지낭, 오만, PK에서는 사역 개성이 삭제되고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으며 주의는 아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5, 진형은 어린, 안행, 학익, 충차, 고유 전법은 적군의 전 능력을 저하시키면서 피해를 입히는 기지기책이며 그 이외의 전법으로는 연노, 업화, 혼란, 매성, 시람, 친애무장은 고담, 섭우, 손등, 장휴, 진표, 혐오무장은 등윤, 손준, 양도, 주적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출진 화면에서 묘산 개성 설명 때 "훗. 나의 묘산 앞에서는 적병도 허수아비나 다름없지."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128. 제갈교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무난한 문관형. 오래 살면 후기 시나리오에서 써먹기엔 나쁘지 않은데 수명이 짧다는게 문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5/17/77/67/75에 특기가 5개다.(기술, 화시, 고무, 유인, 반박)

그런데 특이하게 전투 특기가 2개나 있지만 군사 특기도 없고 통솔 55인 장수를 어디다 써먹을까... 기술 특기가 있으니 후방에서 죽기 전까지 기술 셔틀로나 굴리자.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병색이 짙어보이는 모습으로 그려졌는데 자세히 보면 왼손으로 얼굴 쪽에 가져가면서 기침을 하고 있다.정확히 말하자면 무섭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2/27/75/70. 특기는 상업 2, 농업 1, 문화 1, 교섭 2.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궁병공격진. 음성은 정중. 그런데 무력 27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23, 지력 75, 정치 68, 매력 7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4,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석병, 허약,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안행, 투석, 전법은 연노, 투석, 친애무장은 곽익, 제갈량, 황월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삼촌인 제갈량에게 전수 받았는지 석병이라는 사기 개성을 갖고 있다.

129. 제갈균

파일:external/kongming.net/605-Zhuge-Ju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이러한 낮은 존재감을 충실히 반영해서 항상 써먹기 힘든 한심한 D급 문관 수준의 능력치로 나온다. 정사에서는 그래도 나름대로 비중있는 관직을 수행한 인물임에도 형들에게 철저히 묻히다보니 통솔, 무력이 20대에다 지력은 50대, 그나마 정치와 매력이 60대 안팎에서 노는, 능력치로 따지자면 위대한 두 형의 얼굴에 먹칠하는 수준이다.[61] 후기작부터 삼고초려 이벤트에서는 정사를 반영하여 연의에서 융중에 남는 것과 달리 황월영과 함께 제갈량을 따라 유비에게 임관한다.

삼국지 6에서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9/45/74/65/67인데 정사에서 장수교위를 지냈다는 것을 반영된 듯한 통솔이 약간 높은 문관형 능력치를 갖고 있다.

삼국지 9에서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8/27/50/65. 병법으로는 연노, 석병 뿐이다.

하지만 작은 형의 후광으로 노병계 최강 병법인 연노를 처음부터 가지고 있어 전 시리즈 중 유일하게 전투에서 활약할 수 있다. 이번작이야 능력치가 낮은 무장들도 병법만 좋으면 다른 무장 사이에 끼워넣는 식으로 얼마든지 활약할 수 있는 시스템인데다 제갈량과 형제라서 병법 연계도 쉽다.[62] 사실 무력이 워낙 낮아서 무력 60대가 쓰는 제사나 50대 장수가 쓰는 연사보다 위력도 떨어지고 발동율도 낮으며 적장에게 막힐 확률도 높다는 문제 때문에 아무리 노병계 최강 병법이라고 해봤자 매 전투 때 마다 데리고 다니긴 힘들고, 궁병 숙련도가 꽉 찬 장수에게 연노를 가르치는 용도로 쓰면 좋다. 당장 무력 60대에 제사를 가진 장수도 극후반기 아니면 잘 안 쓰이는 마당인지라 더욱 그렇다.

삼국지 10에서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9/30/56/65/66이며 역시 쩌리 무장. 특기 4개가(농업, 기술, 고무, 석진) 모두 제갈량에 비해 뒤쳐지며 심지어 무력도 제갈량보다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삼국지 11에서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9/25/51/66/71인데 역시나 저조한 능력치. 무력조차도 삼형제 중 가장 낮다. 이번작부터 갑자기 일러스트가 무관복에서 문관복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12에서 일러스트는 두 손을 올리고 있는데 유비가 세 번째로 융중을 찾았을 때 집에 있는 제갈량에게 안내하는 것을 묘사했다.

전법은 전군색적이고 특기는 경작 하나 있지만 도무지 써먹을 구석이 없다.

삼국지 13에서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9/25/52/66 이고 당연히 중신특성은 없고, 특성은 농업 2, 병기 1.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이 궁방강화였지만 PK에서 대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정중.

그냥저냥 평범한 D급 문관. 전작과 이번작 모두 공통적으로 농사 관련 특기가 있는데, 본래 삼형제가 임관 전에는 농사를 하며 생계를 유지했다는 점을 반영했거나 연의에서 제갈량이 임관 때 '내가 뜻을 이루고 돌아올 때까지 네가 집과 밭을 맡아다오.'라는 일화를 고증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오늘날의 경찰청장이었음을 감안하면 순찰 특기를 줄만도 한데 전혀 없다.

삼국지 14에서 전작들의 일러스트를 또 우려먹었다. 능력치는 통솔 29, 무력 25, 지력 51, 정치 65, 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석병,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참개혁 Lv 2,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정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30. 제갈근

파일:삼국지3제갈근.png
삼국지 3
파일:Zhuge_Jin_4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Zhuge_Jin_%28ROTK9%29.png 파일:external/kongming.net/604-Zhuge-Ji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5.jpg
삼국지 12, 13
파일:제갈근14.jpg
삼국지 14
파일:df525414b57431a2e24b667ab0276812.webp
삼국지 패도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내정 중시형 A급 문관. 정치력과 매력은 80대 후반 ~ 90대를 마크하고 지력도 대충 80대 초반 ~ 중반 정도다. 통솔력도 70대는 유지해서 전장에서 못 굴릴 정도는 아니다. 물론 손권도 인재가 넘쳐나는 편이라 제갈근 본인을 전투에 쓸 일이 드물긴 하지만. 대충 첫째 동생 제갈량의 스탯에서 무력은 그대로 두고 나머지를 조금씩 깎았다고 생각하면 된다. 시리즈 내내 관복 차림이지만 100만인의 삼국지에서는 장군에 올라 군을 지휘한 걸 반영했는지 유일하게 갑주를 걸쳤다.

삼국지 11까지는 제갈량 오나라 버전 정도의 외모를 유지했으나, 삼국지 12에서는 아무리 봐도 제갈량과 형제로 보기 어려울 정도가 되고 말았다. 당나귀처럼 얼굴이 길쭉했다는 이야기를 반영해서인지 얼굴이 상당히 길어졌다. 갈색 전포를 걸치고 보라색 관복을 입었으며 유비군과 교섭하는 모습으로 나온다.[63] 그러나 인격자의 풍모는 여전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33/지력 79/정치력 92로 정치력이 90이 넘는다.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정란,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고초려 이전 시나리오에서는 207년이 되면 제갈근 본인이 소재한 도시에서 동생 제갈량이 재야 미발견 상태로 등장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35/지력 81/정치력 89/매력 88에 특기는 농업, 기술, 보수, 일제, 진정, 고무, 반목, 항변, 반박, 명사, 제독. 총 11개.

통솔력이 75에 일제, 진정, 고무, 반목 특기가 있는지라 전장에서도 굴릴 만하다. 내정으로는 농업, 기술 셔틀로 유용하며 등용 셔틀로도 좋은 편. 이 때부터 하늘색 관복을 입고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5/34/81/89/90에 적성은 노병과 수군이 A다.

특기가 논객이라 약소 세력에서 상당한 도움이 되는 편이었지만, 파워업키트 출시 후 특급 난이도에선 확률이 대폭 감소해서 노가다가 좀 필요해졌다. 초급이나 상급에선 변경사항이 없으므로 여전히 개사기 특기. 지력도 80대라 상대에 따라선 지력 수행이 필요한 간옹이나 손건보다 특기를 활용하기 더 쉬운 편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전법은 진정. 인격자라는 이미지답게 구현지책도 보유 중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34/지력 81/정치력 89, 중신특성은 상업중시, 전법은 위보동요, 특기는 상업 8, 농업 7,[64] 문화 3, 교섭 7, 언변 5, 수영 3. 전수특기는 상업보다 1 낮은 교섭으로 전형적인 외교관 스펙이다. 이상위명도 외교계의 패도계열인 요언혹중이다.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전작과 그대로에 매력만 추가된 통솔 75, 무력 34, 지력 81, 정치 89, 매력 90이다. 개성은 절약, 신중, 인맥, 논객, 소욕, 주의는 할거, 정책은 지세연구 Lv 5, 진형은 어린, 안행, 방원, 전법은 연노, 치료, 진정,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노숙, 보즐, 손권, 엄준, 장승,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부터 자신의 셋째 아들인 제갈융이 추가되었다.

삼국지 패도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정매 순으로 76/47/89/92/92다.

131. 제갈량

제갈량(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32. 제갈상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8.jpg
삼국지 12, 13, 14

아버지 제갈첨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연의에서의 활약 때문인지 무력이 70대 중반을 찍는다. 이는 제갈씨 일족 중 가장 높은 수치. 그러나 그 외의 능력치는 모두 70을 넘지 못하며 그중 지력과 정치는 가문빨을 못 받았는지 50대에 불과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무력 72/지력 52/정치 70. 병법으로는 분투, 연노, 석병, 덫을 가지고 있다.

무력도 70대 중반에 최강 병법인 연노를 가지고 있어서 다른 연노 보유자들과 비해서 엄청나게 세며 분투도 있어서 꽤 쓸만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4/73/55/55/68에 특기는 기술, 화시, 기합. 총 3개인데 좀 어정쩡하다.

무력이 73이라지만 기합 특기 하나 가지고 일기토에 나서긴 좀 그렇고, 기술은 지력에 영향받는데 그 지력이 55이고, 화시는 전투에서 쓸 특기이지만 통솔이 54인 이상 전투에 데리고 나갈 일이 별로 없다. 마지막 시나리오가 253년이기 때문에 8살에 등장한다.

삼국지 11에서의 특기노발.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투구를 쓴 채 오른손에 검을 들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73/62/55. 특기는 훈련 4, 순찰 4, 신속 6, 병기 1. 전수특기는 신속이며 전법은 전법포인트 4의 불굴, 이는 부대 방어 +2, 사기 +1(방어 40, 사기 30), 역경 효과, 사기 유지를 시켜주는 전법으로 역경은 자신의 부대가 상대부대에 유리할 때 공격력 20% 추가시켜주는 효과다. 음성은 청년. 참고로 병기 특기 보유자 중 최연소 무장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4, 무력 75, 지력 62, 정치 55,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노발, 석병,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성벽확장 Lv 3,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연노, 철벽, 업화, 친애무장은 제갈량, 혐오무장은 황호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9편처럼 석병을 갖고 있다.

133. 제갈서

파일:external/kongming.net/608-Zhuge-Xu.jpg
삼국지 8[65],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7.jpg
삼국지 13, 14

특이하게도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 PK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능력치가 상당히 암울한 잡장으로 등장한다. 강유에게 속아 임무를 실패하거나, 음평 샛길로 나아가자는 등애의 제안을 거부하고, 종회에게 병력을 빼앗기는 등 안습한 모습만 보여서 그런듯 하다. 하지만, 이는 제갈서 본인의 입장에서는 다소 억울한 능력치 책정이다. 강유에게 기만당한 것은 상대가 촉나라의 마지막 희망인 그 강유였다는 것을 감안해야 하며, 등애의 음평 샛길 제안은 당시 지휘관이라면 충분히 거부할 만한 도박수였다. 그리고 종회에게 병력을 빼앗긴 것도 종회는 당시 위나라 정계의 거물이자, 촉 정벌을 전담하는 총사령관에 가까웠으며, 관직 역시 진서장군이었기에 권위와 명성에 눌려 병력을 빼앗길 수 밖에 없었을 뿐더러, 앞서의 실책 때문에 더더욱 명분이 없었으리라. 물론, 전투에 관련한 유일한 기록이 강유에게 기만당한 것 뿐이므로 야전지휘관으로서의 능력치(통솔, 지력 등)는 박하게 줄 수도 있다. 그러나 정치력은 괜찮게 줄만 한데, 제갈서는 촉나라 정벌의 공신들이 줄줄이 죽는 와중에도 살아남아 진나라에 종사하여 태상, 위위 등 구경(九卿)의 고관에 올랐기 때문이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8/무력 41/지력 38/정치력 58. 병법으로는 기사, 제사 뿐이지만 무력이 낮아서 위력은 별 볼 일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5/무력 43/지력 27/정치력 48/매력 50으로 합계 213. 특기는 화시 단 1개로 무특기는 간신히 면했다.

삼국지 11에서는 능력치가 더 너프되어 통솔 41/무력 40/지력 29/정치 46/매력 48로, 합계가 204다.

병종 적성은 기병만 B이고, 나머지는 모두 C이며, 당연하게도 특기 조차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도검을 든 채 소리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41/40/29/46. 특기는 공성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공성이며 전법은 창속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노옹. 그런데 무력 40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1, 무력 40, 지력 27, 정치 46, 매력 49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우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침략황폐 Lv 1, 진형은 봉시, 전법은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134. 제갈융

파일:제갈융.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밝은 얼굴로 박수를 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9, 무력 52, 지력 55, 정치 63, 매력 69이며 개성은 교련, 낭비, 주란, 주의는 명리,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손준, 주적이다.

135. 제갈정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9.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무력 71/정치 49/지력 68/매력 67. 용맹은 2다.

잠혼 다음으로 마지막까지 천수를 누리는 장수로 나온다. 이번작에서 더 이상 장수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56/65/63. 제사, 누선, 정란을 가지고 있다.

제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무력이 낮으니 누선 셔틀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8/65/67/57/68에 특기는 농업, 혼란. 단 2개다.

능력치를 보면 알겠지만 능력치를 살릴 수 있는 특기들도 아니다. pk 고전분투 시나리오에서 아버지 제갈탄이 태수로 있는 여남에서 13세의 재야 상태로 등장한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왼손을 펼치면서 사마염의 권유를 사양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8/63/66/65, 특기는 훈련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창방강화. 음성은 보통. 게임 메뉴얼에 등장하여 제갈량에게 백부님이라 부르며 지혜를 빌려달라 하지만, 당신은 제갈탄의 일족으로 위나라 사람이니, 먼 친척이라며 가볍게 백부님이라는 등 부르지 말아달라고 존댓말로 대답받는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66, 지력 66, 정치 65, 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상승했다. 개성은 일심, 문화, 주의는 아버지와 같은 패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제사, 업화, 강습, 친애무장은 사마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36. 제갈첨

파일:Zhuge_Zhan_2_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0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정말 평범한 능력치. 모든 스탯이 평균적으로 60대 후반에서 70대 초반에 있다. 인재풀이 마르는 후반부를 생각하면 아주 나쁘다고는 할 수 없겠으나 상대가 등애라서야 뭐 하나 내세울 만한 게 없다. 자기 사촌형제인 제갈각이 극초반에 일찌감치 등장하기 시작한 것과 대조된다.

삼국지 6에서는 이름마저 갈첨으로 잘못 나오는 굴욕을 당했다.

삼국지 9에서는 그나마 제갈량의 아들답게 나오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5/지력 74/정치력 78에 병법으로는 분투, 연노, 정란, 석병, 덫, 배반을 가지고 있다.

노병 최강 병법 연노를 기본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아들 제갈상 역시 연노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후반기 장수 중에서는 상당히 좋은 편이다.

삼국지 10에서의 일러스트가 투구를 벗고 수염이 생긴 모습으로 그려지며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1/지력 72/정치력 61/매력 70에 특기는 명사 등 총 7개.(기술, 보수, 화시, 고무, 유인, 지리, 명사)

초중반 시나리오에 나왔으면 이런 걸 어디다 쓰나 싶겠지만, 제갈첨 본인이 등장하는 최후반 시나리오는 인재의 질은 차치하고 양적으로 절대적으로 열세인 촉나라 세력이기 때문에 어디다가 써도 그럭저럭 쓸 만한 정도다. 병법 24편은 강유가 물려받았지만 제갈첨은 사륜차를 물려받아서 필드에서 이동 속도 보정을 받고 퇴각 성공률이 100%다.

삼국지 11에서 특기는 상잉여 취급받는 매복.

덧붙여 아들 제갈상은 그나마 무력 하나만 70대 후반 찍어주는 정도지만,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상잉여 특기인 노발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별 볼 일 없기는 마찬가지다. 제갈량 자식으로서의 이미지가 못내 아쉽다면 PK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잘 육성시켜 보는 수밖에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다시 수염이 없어졌고 투구를 썼는데 자세히 보면 왼손을 검이 있는 허리에 대고 있다.

능력치는 무력이 52로 내려가는 대신 모든 능력치가 70대 초반이다. 전법은 창군견수.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57/지력 76/정치력 72다. 특기는 상업 3, 문화 3, 신속 2, 병기 3. 전수특기는 병기이며 전법은 적군을 후퇴시키는 전법인 위보.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57, 지력 72, 정치 68,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4 하락했다. 개성은 9, 10에 이어진 석병과 문화, 우유, 주의는 왕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3, 진형은 안행, 방원, 정란, 전법은 연노, 혼란, 정란, 친애무장은 동궐,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137. 제갈탄

제갈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38. 조구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139. 조광

파일:삼국지3조광.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143-Zhao-Guang.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88.jpg
삼국지 12, 13, 14

조통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싸우다 전사하였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에 형보단 보통 통솔력과 무력이 조금 높고, 지력, 정치력이 조금 낮게 설정되어 있다. 그래도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조운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2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1/지력 65/매력 68.

육손 못지 않게 일러스트가 꽃미남이다. 조광 본인을 모르는 사람들은 여자라고 착각할 정도.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0/수전지휘 70/무력 73/지력 64/정치력 53/매력 69로 만들어서 장군이 될 수 있다.

육전 수전 무력이 70대이긴 하나 인재폴이 딸리는 후반 시나리오에선 귀중한 인재라고 할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2/지력 53 /정치력 48. 병법으로는 형 조통과 함께 돌파, 기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7/지력 54/정치력 51/매력 60으로 총합 297로 총합 306인 형보단 조금 떨어진다. 특기 개수는 3개로(치안, 진정, 기합) 동일.

삼국지 11에서는 무력 71에 통솔력 67이라는 능력치를 받았다. 능력치 총합은 306.

삼국지 12에서는 오리지널에서는 짤렸다가 PK에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창을 들고 서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7/무력 71/지력 53/정치 53이고, 병종 적성은 창병 C/기병 A/궁병 B로 아버지가 기병 적성 S라서 형처럼 예의상 기병 적성이 높은 편. 특기는 순찰 1, 신속 4. 전수특기는 형과 똑같이 신속이며 전법은 적 기병의 방어력을 약화시키는 기방약화. 음성은 청년.

후반기 시나리오 플레이를 한다면 친해져서 특기를 사사하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68, 지력 53, 정치 51, 매력 6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정치력이 각각 2, 무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둔전, 주의는 할거, 정책은 삼령오신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견제, 고무,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형 조통과 마찬가지로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140. 조달

파일:조달.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목각을 만지면서 보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9, 무력 12, 지력 66, 정치 51, 매력 59다. 개성은 점술,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오범,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71년, 몰년은 230년까지 되어있다.

141. 조루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31.jpg
삼국지 12, 13
파일:조루14.jpg
삼국지 14
파일:attachment/나야말로조루다.jpg 파일:attachment/내가바로조루다.jpg
인터넷상에 가장 널리 퍼져 있는 삼국지 5에서의 조루 비교적 덜 퍼져 있는 삼국지 4에서의 조루
내가 바로 조루다 자 가자!
삼국지 4에서의 일기토 대사
나야말로 조루다. 자, 받아라!
삼국지 5에서의 일기토 대사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조루와 발음이 같다는 이유로 사정과 함께 등장할 때마다 묘한 느낌을 주는 인물. 보질의 발음이 보즐로 확정되면서 이제는 둘만 남았지만, 삼국지 12에서 사정이 삭제되어서 혼자 남았다. 그 때문인지 일부 작품에 한정해서 '조'로 표기되었다.[66] 능력치는 평범한 문관계.

능력치는 초기작에는 C급 문관형으로 나왔다가 삼국지 11부터 통솔력이 올라 무력만 낮고 나머지는 70 내외로 받는 C+급 무장. 미방, 반준, 사인이 배신할 때 관평, 왕보, 주창과 함께 관우와 최후를 함께한 것 때문에 대체로 의리를 매우 높게 부여받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5/무력 35/지력 68/정치력 74에 병법으로는 제사, 조영 뿐이라 내정용으로 굴릴 수 있는 문관.

모략계나 책략계 숙련도도 0이라 병법 익히기도 힘들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47/지력 69/정치력 72/매력 71의 문관형. 특기는 겨우 상업 단 1개 뿐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70/43/67/74/71에 특기는 보좌.

노병과 병기가 A로 특기를 살릴 수 있지만 무력이 낮은 것이 흠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무관복인 상태에서 검을 두 손으로 잡고 있으며 전법은 사정약화가 아니라 기동력약화.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43/지력 68/정치력 74. 특기는 상업 3, 농업 2, 교섭 3. 전수특기는 상업이며 전법은 사기회복. 병과 적성은 B/C/A.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조루 일러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67, 무력 43, 지력 68, 정치 74, 매력 7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절약, 조달, 진화,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운반개발 Lv 3, 진형은 안행, 투석, 전법은 제사, 고무, 투석, 친애무장은 관우, 관평, 왕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보좌 개성 덕분에 전장에 자주 나간다.

142. 조림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29.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그의 포악한 성격을 표현하고 있으며 오른손에 든 옷깃의 상태가 분홍색라는 것을 감안하면 처첩 중 한 명의 옷깃을 잡고 폭행을 가하는 장면을 묘사한 듯.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50/지력 48/정치력 44로 쓰레기 다운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특기는 훈련 2, 순찰 1, 분전 1, 일기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궁방강화. 음성도 당연히 일러스트와 맞는 난폭. 그런데 문관복을 입은 일러스트와 달리 무관 설정에다 병기 흥미도 있다. 이 때문에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인성도 능력치도 쓰레기지만 조씨 일족의 일원이라 그냥 해방시키는 것이 좋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4, 무력 51, 지력 28, 정치 15, 매력 6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지력이 2배, 정치력이 거의 3배 되는 29 하락했다. 개성은 격분, 악명, PK에서는 난폭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삼령오신 Lv 1, 진형은 봉시, 전법은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의외로 난폭남이 아닌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거기다가 잉여답게 공격용 전법이 없다고 무방하다.

143. 조모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Caomao-rotkx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85.jpg
삼국지 12, 13, 14

상징색은 파란색이다.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명색이 황제였던만큼 꾸준히 등장하지만 대우가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다. 일러스트는 삼국지 11부터 칼을 들고 있고 있다.

삼국지 6 파워업키트 전술시뮬레이션 사마씨편 수춘포위전에서 제갈탄을 토벌하는 총대장으로 등장한다.

병력이 절대 열세라 사마소가 원군으로 도착할 때까지 적군이 없는 측면 성문으로 우회하여 성문을 부수면서 원군이 오면 정무청 점거를 목표로 할 경우 오나라 원군이 오기 전에 깰 수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69/지력 56/정치력 76으로 병법으로는 분투, 혼란, 고무를 가지고 있지만 내정이나 해야 하는 수준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43/지력 59/정치력 72/매력 76으로 그냥그런 문관쪽이지만 특기라고 준 게 치안, 간첩. 총 2개다.

하지만 능력치를 전혀 살릴 수 없는 특기를 줬고 거기다가 무력이 전작과 달리 2배 넘는 26이나 대폭 하락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1/지력 59/정치력 75/매력 80.

특기는 노발이다. 친애 무장은 증조 할아버지인 조조다. 전작과 달리 무력이 18 상승했다. 열전에는 분명 "조식의 지혜와 조조의 무예를 겸비했다"고 나왔는데 능력치는 어째 신통치가 않다.

삼국지 12에서는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사마소를 토벌하기 위해 스스로 칼을 뽑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1/지력 59/정치력 75, 전법은 기군신속이다. 특기는 명사, 병심, 변설, 신속.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그다지 달라진 건 없다. 특기는 문화 3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문화이며 전법은 창병속공진. 음성은 보통. 그리고 PK에서 아버지 조림이 추가되어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4, 무력 61, 지력 59, 정치 75, 매력 76이며 개성은 문화, 격분, 주의는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대갈, 업화, 고무, 친애무장은 배수, 사마망, 왕경, 왕침, 조식, 조조, 종회, 혐오무장은 사마소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44. 조무

해당 항목 참고.

145. 조방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Caofang-rotkxi.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84.jpg
삼국지 12, 13, 14

상징색은 파란색이다.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래도 황제인 만큼 꾸준히 나오지만 능력치가 낮다. 황제일 경우는 옥새를 들고 있으니 매력이라도 100이지만 황제가 아닐 때라면...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5/무력 53/지력 47/정치력 55/매력 55에 특기는 화계, 호통. 2개 가지고 있다.

239년 1월에 나오며 나이가 7살이다. 숨은 능력치는 야망 14/용맹 3/수명 1이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0/무력 20/지력 31/정치력 60/매력 74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무력 6/지력 29/정치력 55. 병법으로는 조영, 혼란 뿐이다.

모략계 병법인 혼란을 가지고 있지만 지력이 저래서야....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무력 8/지력 24/정치력 58/매력 71에 특기라고 있는 게 주호 단 1개...

그나마 조상들 아이템을 물려받고 나온다면 전론, 의천검, 옥새 등을 물려받기 때문에 통솔력 3/무력 13/지력 30/정치력 58/매력 100이 된다.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PS3판에서 새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쓸데없이 성깔이 있어 보인다. 자세히 보면 왕좌에 앉은 채 무섭게 노려보는 장면이 압권이다.

그런데 능력치 총합은 102.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0/무력 14/지력 27/정치력 48. 특기는 문화 1, 견수 1.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고무.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 무력 8, 지력 28, 정치력 48, 매력 71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5, 무력이 6 하락했다. 개성은 소침,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이풍, 장집, 하후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46. 조범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0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몇몇 시리즈에선 특정 시나리오에서 아예 군주로 등장하기도 하나 대접은 좋지 않다. 그나마 무력 70대 초중반의 진응포륭 콤비를 활용하여 형남 4군을 장악하는 것만이 살 길이다. 다만 부하인 진응이 삼국지 4부터 삼국지 7까지 등장하지 않아서 포륭과 2명이서만 세력을 힘겹게 키워야 하는 최악의 사태도 있었다. 삼국지 12삼국지 13에서 일러스트는 조운에게 항복한 후 형수 번씨를 조운에게 소개하는 일화를 묘사한 모양이다.

삼국지 3에서는 본인 능력치도 별로 안 좋은 데다가 부하라고 있는 진응과 포륭 역시 조범만큼 능력이 안 좋다.

그나마 김선은 휘하에 공지밖에 없고 유도 역시 휘하에 형도영 밖에 없는 것에 비하면 부하 장수를 둘씩이나 둔 것도 나름 메리트다. 군주 중에서는 유도와 단 둘이서만 범용얼굴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8/20/35/61. 병법으로는 매도 하나 뿐이다.

여담으로 계양은 형주 남부 쩌리 진영 중에서도 입지가 제일 안 좋다. 이민족 산월에 접하고, 상업, 개간 최대치는 모두 최저값 400[67]인 데다가 심지어 재야 장수가 지역 내에 1명도 없다! 어떤 시나리오에서든 클리어 난이도는 최상급~최상.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1/18/33/60/56에 특기는 일제 단 1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8/21/32/58/56이고 특기는 없다. 이번작부터 형수인 번씨가 일반장수로 추가되어서 전작에 비해 내정을 하기 쉬워졌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농업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농업이며 전법은 궁방강화. 음성은 보통. PK로 할 시 문화나 훈련 등을 추가해주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8, 무력 21, 지력 32, 정치 58, 매력 56이며 개성은 소심, 나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순회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조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영웅집결에서는 부하 숫자는 변함이 없지만 번씨의 지력이 50대로 내려가서 군사로 쓸 무장이 없어졌다. 거기다가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곽석 1명 밖에 없다. 거리가 먼 옆 동네 건안을 점령하면 곽마, 수윤, 수칙, 황란 총 4명이 있는데 역시 지력 70이 넘는 무장이 없지만 최대한 이들을 등용해서 전력을 쌓도록 하자.

147. 조비

조비(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48. 조상

파일:Cao_Shuang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7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정치만 약간 높을 뿐 대대로 효율이 낮은 능력치다. 사실 정치적으로 사마의에게 밀리긴 했지만 나름 권력을 잡았다는 점과 꽤 많은 사람들과 두루 사귀어서 인맥이 넓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통무지가 낮고 정치, 매력은 그나마 좀 높은 인물로 묘사될 법도 하지만 역사적 패배자라 그런지 그냥 모든 능력치가 낮다. 그나마 정치는 60~70대라 아예 어디다 써야할지 모를 하후무 같은 장수보다는 훨씬 낫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2/지력 31/정치력 71/매력 67로 통무가 지나치게 높지만 후기 시리즈에서 떡락하는 매력치에 비해 나름 고증에 부합하는 매력치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5/무력 28/지력 31/정치력 72. 병법으로는 혼란, 매도 뿐이지만 지력도 낮고 병법 숙련도도 0.

은근히 정치는 높으니까 내정에 굴리자. 하지만 이간지랄이 걸린다면, 부담 가지지 말고 바로 해고하자. 의리 3 야망 14로 포상질을 전혀 해줄 필요가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7/무력 34/지력 30/정치력 69/매력 48로 특기는 상업, 주호. 총 2개다.

변변찮은 능력치에 특이하게 주호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9/무력 33/지력 30/정치력 66/매력 51이며 대장군 친목질 전력을 반영해 친애무장은 상당히 많지만 자기는 물론 다른 친애무장들 대부분도 전투에 쓸데없는 문관형들이 많아 한마디로 빛좋은 개살구다.

콘솔판 추가 시나리오인 영웅난무에서는 진양에서 군주로 등장한다. 부하는 조희, 조훈, 장집, 이승, 이풍, 하안, 하후현, 환범으로 전투용 무장이 1명도 없는데다가 옆 도시 업에 등애, 계에 장비가 있어서 심각하게 막장스러운 난이도를 자랑한다. 다행히 진양은 방어하기 나쁘지 않은 도시라 미발견 무장으로 있는 장연왕창을 최대한 빨리 등용하고, 능력 연구로 기략 특기인 하안의 지력을 95까지 올리면 좀 숨통이 트인다.

삼국지 12에서는 짤렸다가 PS3판,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상태로 팔짱을 끼고 있으며 투구 모양이 장료의 것처럼 나왔다.

하지만 능력치는 정치만 제외한다면 백하팔인 정도에 전법이 쓰레기인 방어강화라서 그냥 시장의 건전지로 쓰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9/무력 33/지력 30/정치 66으로 등장한다. 병과 적성은 C/B/C. 특기는 상업 1 단 하나다. 중신특성은 당연히 없고 전수특기도 당연히 상업으로 전법은 기병속공진이다. 음성은 청년.

무력이 33인데다가 저 능력치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당연히 이번작에서도 써먹기가 힘들다. 하지만 능력치가 쓰레기라고 생포했을 때 죽이려고 한다면 이 사람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다시 생각하기를 바란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2, 무력 35, 지력 30, 정치 66,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무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징세, 낭비, 우유, 오만, 탐욕으로 적색 개성만 넷. 주의는 아도, 정책은 삼령오신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화시,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문흠, 이승, 필궤, 하안, 하후현, 혐오무장은 노육, 사마의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정치빼고 능력치가 구린 것 답게 내정용으로 굴리면 되는데 청색 개성인 징세가 있지만 지력이 낮아서 큰 효과를 보지 못한다.

149. 조성

파일:Cao_Xing_(ROTK9).png 파일:Cao_Xing_(ROTK11).png
삼국지 7, 8,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ed19a611d5c6222aa57a0fec0b94e2c4b6efaa9586050cc2907ede99a760a0b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별로 좋지 않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지만 하후돈 아이 킬러 타이틀 덕분에 궁술은 높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무력도 정사에서 호각으로 싸웠던 학맹에 비하면 괜찮게 나오는 편이다.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8/무력 71/지력 37/정치력 29에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 제사를 갖고 있어서 공성전에 쓰인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74/지력 39/정치력 28/매력 34로 역시 좋지 않고 특기는 화시, 반격. 총 2개 뿐.

궁술계 특기인 화시는 역시 하후돈의 눈을 날려버린 일화를 반영한 듯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74/지력 38/정치력 27/매력 39.

노병 적성이 A인데, 진궁여포장료의 부장으로 붙인다면 여포군의 유일한 노병 적성 A 보유자라 초반에 노병대를 이끄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후돈의 눈을 맞춘 인물임에도 정작 딱 어울리는 특기인 사수는 보유하고 있지 않다. 하지만 '사수' 특기는 명칭과 크게 상관이 없이 그저 숲속에 있는 적에게 노병전법이 가능하게 하는 특기라 그다지 어울린다고 보긴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하후돈을 쏘기 위해 화살을 꺼내들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74/지력 38/정치력 27에 전법은 사정강화. 하후돈의 눈을 맞춘 일화 덕에 원사 특기를 갖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12와 동일하고, 병과 적성은 기병과 궁병 A이나 특기가 일기 2 단 하나 밖에 없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일기이고 전법은 궁병수비진. 그 흔한 훈련 특기도 없다. 음성은 난폭.

그 전의 시리즈에서는 학맹을 따라 여포를 배반했다가 고순의 반격으로 전황이 불리해지자 재차 학맹을 배신한 전적을 반영해서인지 의리가 그닥 높지 않았으나 이번작에서는 어째선지 의리 수치가 높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4, 무력 74, 지력 38, 정치 27, 매력 34이며 개성은 맹자, 주의는 할거, 정책은 안행강화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제사, 매성,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와 맞지 않게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50. 조숭

보통 클론 무장으로 등장하는데 삼국지 10, 삼국지 13, 삼국지 14 등에서 시나리오 이벤트를 진행할 때 나온다.

151. 조식

파일:삼국지3조식.png
삼국지 3
파일:Caozhi-100manninsangokushi.jpg 파일:external/kongming.net/059-Cao-Zh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6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코에이의 피해자라고 볼 수 있다. 지력과 정치력은 썩 훌륭한 모사형 인재로 상당한 미소년이다. 그의 자유분방한 이미지와는 잘 어울리는 모습이지만 무력과 통솔력이 지나치게 낮다. 심지어 시리즈를 통틀어서 어째 숨겨진 스탯이 탐욕스러운 성격으로 설정된 작품이 많다. 오히려 조식 본인은 귀사부같은 시를 지은 것도 그렇고 가난한 백성들을 가엾게 여겨 이것저것 힘을 쓰려고 한 인물인데 단지 술을 좋아한다고 탐욕스러운 인물로 설정된 것은 분명 오류다.

삼국지 2에서는 장료와 똑같이 능력치가 굉장히 심플하게 나오지만 매우 문제가 많다.

지력과 매력이 장료나 조식이나 80인 건 똑같은데 문제는 장료는 무력이 90이라 만능형인 반면 조식 본인은 무력이 15에 불과하다. 이 정도 무력으로 전장에서 일기토를 보내보면 절대로 1라운드를 못 넘긴다. 다만 형들인 조비조창보다는 지력이 높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12/수전지휘 10/무력 15/지력 76/정치력 82/매력 83에 야망 2, 운 6, 냉정 13, 용맹 8로 무력은 무력 1인 초선을 빼면 전체 꼴찌인 15다. 육전지휘도 초선을 제외하면 전체 꼴찌.

거기다가 절대로 일기토를 하면 안 되는데 무조건 죽는다. 거의 초선 급. 다만 정치력이 출중해서 군사로 사용하면 좋은데 육전지휘가 12라서 전방에 내보내면 절대 안 되므로 무조건 후방으로 빼야만 한다. 형인 조창의 무력은 93으로 아버지 조조보다 높으며 총 531명 중 13등[68]인데 조식은 같은 아버지를 두고도 무력이 이모양이다. 조창은 장료도 쳐잡는데 조식은 곽가한테도 얻어터진다. 물론 조조는 무장 쪽은 전혀 부족하지 않은 세력이고 조식은 매력이 높기 때문에 태수로써 용도가 아주 좋으며 조조가 죽을 때 후계자로도 아주 적합하다.

삼국지 4에서 능력치는 통솔력 20/무력 14/지력 89/정치력 75/매력 82다.

조비, 조창보다 오래 살아서 그런지 일러스트는 수염이 난 중년의 모습이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10/지력 91/정치력 80/ 매력 84라는 역대급 능력치로 나오며 진형도 안행, 학익으로 수비에 쓸 만하다. 특기는 내분, 수습, 고무, 격려, 침착, 반계. 지력 90, 정치력 80을 넘겨서 군사로 쓸 수 있으며 이 덕에 용명에 관계 없이 병사 2만을 이끌 수 있다.

그러나 무력이 10으로 암울한지라 직접적으로 전투에 투입하기보다는 격려, 수습 등을 활용한 참군 역할에 치중하는 것이 좋다. 조조가 죽을 경우 형들인 조비나 조창보다 우선적으로 군주를 계승받기도 하는데 원래 군사라서 병사 2만을 거느리니 큰 영향은 주지 않는 편이고 활을 쏘면 무조건 반격해대는 조비처럼 응사가 없어서 멀리서 활질만 해도 반격을 못한다. 여담으로 일러스트가 수염을 기르고 나왔는데 형인 조비도 약간 늙어보이는 얼굴로 나왔지만 이쪽은 뭐 그렇다고 치고 수염이 없는 모습으로 나온 형인 조창보다도 나이 들어보인다.

삼국지 6에서는 통솔 19/무력 19/지력 90/정치 66/매력 94로 나온다.

삼국지 7에서는 능력치가 많이 너프되었다. 다만 한시대회를 열면 지력 100이나 정치 100이 덤비든지 무조건 조식이 우승한다.[69]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2/무력 31/지력 84/정치 75. 병법으로는 충차, 투석, 혼란, 배반, 매도, 고무가 있지만 그냥 평범한 문관이라서 내정에 쓰자.

그런데 PK의 촉 도전 스토리 한왕실 재흥전에서 괴악한 짓을 한다. 무관을 점령하면 난데없이 나타나서는 위나라는 끝장이니 작별을 고한다며 야전황작행(野田黃雀行)이라는 시를 읊고 자살한다. 이 때문에 군사들이 자기들은 저주받았다고 동요해서 위나라의 전체 사기가 추락하고 40일 동안 혼란 상태가 된다. 그나마 한왕실재흥전의 난이도가 역대급으로 미쳐돌아가기 때문에 꽤나 금 같은 이벤트.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0/무력 22/지력 85(변도론 +1)/정치력 70/매력 79에 특기는 고무, 항변, 반박, 도발, 명사, 주호. 총 6개다.

특이하게 주호, 도발 특기를 가지고 있으며, 지력이 높긴 하지만 군사 특기가 없고 통솔력이 낮아서 전투에선 쓸 수 없는데다가 내정 특기는 하나도 없어서 효용도가 그렇게 높진 않다. 원래대로면 관직을 삭탈당하고 재야로 버로우해 있어야 될 듯한데 그런 거 없이 제갈량 출사표 시나리오에선 평원 태수로 나올 정도로 쭈욱 조조군 소속. 특이하게 전용 아이템으로 변도론(지력 +1)을 들고 나온다. 이번작부터 지력마저 형 조비에게 역전당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8/무력 22/지력 81/정치력 70/매력 80. 문학가적 면모를 보여줬다는 걸 참고했는지 보유 특기는 시상. 군악대를 지어놓은 상태에선 아버지나 형제들[70] 기력 보충에 도움이 된다.

콘솔판 추가 시나리오인 영웅난무에서는 공융 대신 북해에서 군주로 등장한다. 부하는 조창, 조웅, 견희, 양수, 전예, 정의, 진림인데, 이 중 조창과 전예를 제외한 5명이 무력 10을 넘기지 못하는 막장스러운 전투력을 자랑한다. 재야로 있는 왕기(창장)와 관해를 최대한 빨리 등용하도록 하자. 입지는 나쁘지 않은데 옆 도시인 복양에 하후돈, 하비에 제갈량이 있어서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왕기의 나선첨과 조창의 질주, 견희의 계략으로 적을 잘 혼란시키는 것이 관건. 혹은 재빨리 평원의 공융을 멸망시켜 이사를 가는 것도 한 방법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에서는 시를 짓는 장면이 나왔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 붓을 든 채 종이에 글을 쓰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33/무력 22/지력 81/정치력 70으로 통솔력이 전작보다 높아졌지만 무력은 변화가 없다. 혐오무장은 당연히 조비고 친애무장은 왕찬, 조예, 견희, 조창인데 나머지는 그렇다고 쳐도 실제 역사상에선 숙부가 애원해도 끝까지 등용하지 않았던 조예가 친애무장인건 좀 이상하긴 하다.[71] 전법은 문무저하이지만 전투 능력치가 상당히 낮다. 그러나 대전판에서는 1코스트로 나오는 궁병 중에서 통솔력이 33으로 가장 높기 때문에 견씨, 유선과 더불어서 가장 많이 쓰인다.

삼국지 13에서도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나, 사실무장 중 전체 1위인 문화 9를 지니고 나왔다. 아버지와 큰형도 문학 특기가 최상급으로 나온 점을 미루어 셋이 삼조로 불린 걸 참고하고, 언변 8은 지속적으로 서신을 보내 자신을 등용해야하는 이유를 낱낱이 설명했다는 걸 참고한 모양이다.[72] 그 외에 상업 2, 교섭 6이 있어서 내정에서 쓸 만하게 굴려줄 수 있다. 중신특성은 원정보좌이며 전수특기는 문화다. 전법은 위보인데 어차피 전장에 나갈 일이 없으니 전법이 무용지물이다. 지력 2, 언변 1을 올려주는 변도론이란 서적을 갖고 나온다.

파워업키트 추가 가상시나리오인 '화용도의 변'에서는 아버지 조조가 화용도에서 사망하고 후계자 문제로 분열된 조조 세력이 조비, 조창, 조식으로 나뉘고 다른 군웅들이 치고 올라왔다는 설정이라 군주 중 한 명이다. 그렇지만 조식 본인이 전투요원도 아니고, 이 시나리오 관직 설정이 이상해서 군주임에도 편성 병력이라든가 부하 장수들 관직 설정에 제한이 있다. 거기에 형들은 물론이고 유비와 손권이 눈에 불을 켜고 있는지라 꽤나 험난하다. 유일한 희망은 조식의 위명이 처음부터 이상위명인 거괴라서 조식이 출진한 전장에서 적병수탈전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그런데 이상하게도 본편에서는 일러스트와 안 맞는 책사 음성이었는데 PK에서 정중 음성으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0, 무력 22, 지력 81, 정치 70, 매력 8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3 하락했다. 개성은 시상, 명성, 문화, 주란, 주의는 패도, 정책은 태학 Lv 4, 진형은 학익, 투석, 전법은 격려, 고무, 친애무장은 견씨, 왕찬, 조예, 조창, 조표, 진림, 한단순, 혐오무장은 형 조비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이상하게도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PK에서 추가된 영웅난무에서는 북해의 군주로 등장하는데 부하로는 공융, 순운, 양수, 우금, 정의, 조창, 조표, 진림, 최씨, 최염, 포도, 포신, 포훈, 한단순을 두고 있으며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관통, 손관, 왕수, 호질 총 4명이 있다.

152. 조씨정

파일:조씨정.jpg
삼국지 14

조씨정(趙氏貞)이라는 이름으로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축융부인과 비슷한 아마존 전사 느낌의 복장으로 나오며[73]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80, 지력 31, 정치 20, 매력 72다. 개성은 앙양, 숲전, 동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급습, 교란, 구축, 친애 무장과 혐오 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용감녀.

축융을 제외한 전투계 여성 무장이 전원 잡장 수준으로 너프된 삼국지 14 기준으로 여성 무장치고는 통솔과 무력이 굉장해서 영웅집결 시나리오 때 교지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전투원이 거의 없는 사섭군에서는 반드시 등용해야 한다. 출생연도는 225년,[74] 사망연도는 248년으로 설정되어 본편 시나리오에서는 거의 보지를 못하며 사실상 영웅집결 시나리오나 가상 시나리오에서 주로 보게 된다.

153. 조아

파일:Zhao_E_3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hao_E_%281MROTK%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68.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1 콘솔판에서 추가되었는데 삼국지와는 약간 거리가 있는 시기에 행적을 남긴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의외로 등장한다. 이름이 삼국지 11부터 삼국지 13탄까지는 탈자인 '방아(龐娥)'로, 삼국지 14탄부터는 본명인 '조아(趙娥)'로 나온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11 콘솔판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76/지력 74/정치력 70/매력 78.

특기는 사기 특기로 이름난 포박[75]이라 전투용으로 대활약할 수 있다. 같은 양주 출신이란 점을 감안했는지 왕이와 친애무장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검을 빼들고 자신의 아버지인 조안을 살해한 이수를 죽이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72/지력 54/정치력 30인데 지력과 정치력이 대폭 하락했다. 특기는 문화 4, 언변 1, 일기 2. 전수특기는 문화보다 2 낮은 일기이며 전법은 채배 4를 소모하여 자부대 방어력 상승, 역경을 부여하는 불굴.

그나마 특기할 점은 이상위명이 귀신'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사실무장, 고대무장 통틀어 단 3명만이 가진 희귀한 위명이다. 희귀한 만큼 사기성은 덤. 다만 위명과의 궁합이 좋아 대놓고 사기캐가 된 조운과는 달리 능력치, 특기, 전법 중 그 어떤 것도 귀신 위명과 시너지를 내지 못한다. 사실상 조운 전용으로 만든 위명인데 그렇다고 조운만 부여해주면 좀 그러니 보여주기 식으로 다른 장수 2명에게도 부여해준 셈. 물론 조운에는 한참 못 미치더라도 윤례에 비하면 그나마 괜찮은 편이니 이상위명까지 성장시키는 것도 나쁘진 않다. 그러나 귀신 위명 달성이 워낙 조건이 빡센 편인데, 그 조건을 달성하고 귀신 위명을 찍어봤자 시너지를 못 내면 의미가 없기에 시간 낭비하느니 다른 위명을 찾는 게 빠를 것이다. 참고로 153년생으로 설정되어 있어 시리즈에 등장하는 여성 무장들 중 하씨 다음으로 나이가 많다. 첫 시나리오인 황건적의 난이 184년인데 이때 기준으로 32세. 나이도 그렇고 일러스트도 여장부스러운 이미지가 있는데 어째 목소리는 어린 나이이거나 애교있는 성격을 지닌 여성 무장들에게 주로 주어지는 '보통' 타입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뭔가 좀 안 어울린다. 거슬린다면 편집해서 일러스트에 맞게 음성을 용감녀로 변경해주자.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전작 PK와 동일하며 여성무장들이 전체적으로 능력치와 개성, 전법 등에서 너프를 먹는 와중에도 통솔력 44/무력 74/지력 66/정치력 30/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지력이 1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8 하락했지만 그럭저럭 괜찮은 수치를 찍었다. 비록 통솔력이 낮아 주전력으로 쓰기엔 힘들지만 개성으로 담력[76]과 포박[77]을 가지고 있어서 전법만 조금 보강해 주면 의외로 보조전력으로 활용이 가능하나 진형이 전법을 쓸 수가 없는 추행, 책략쪽 전법 발동 보너스인 방원이라 써먹기가 힘들다.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전법은 분전, 저지,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일러스트에 맞게 용감녀로 설정되었다.

154. 조안민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26.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C급 잡장급 스탯을 자랑한다.

삼국지 3에서는 완성에서 전사한 것밖에 없는 기록 치고는 무력, 지력, 매력, 육전지휘 등이 60대나 되는 의외의 능력치를 보여준다. 정치력은 50대로 해전은 다른 능력치에 비해 심각하게 딸리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숙부를 살리기 위해 검을 든 채 분전하는 모습이다.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9/지력 65/정치력 53. 특기는 훈련 1, 연전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기속강화. 음성은 청년. 198년 여포토벌전 시나리오에서는 뜬금없이 살아 있는데, 고증에는 안 맞지만 부자연사라 이 상태로 20년은 족히 더 사는 걸 볼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61, 지력 50, 정치 43,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8, 지력이 15, 정치력이 10 하락해서 군소세력 3류 바닥급 무장 정도의 능력치가 더 낮아졌다. 개성은 동요, 주의는 할거, 정책은 운반개발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저지, 친애무장은 조앙,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게다가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155. 조앙

파일:삼국지3조앙.png
삼국지 3
파일:Cao_Ang_(1MROTK).png 파일:조앙.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5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매력만 70대 중반인 B급 무장. 동생들과 비교하면 못하지만 기록의 반영으로 의리는 동생들에 비해서 상당히 높다. 다만 조조로 플레이할 경우에는 어차피 자식으로 배반할 일이 없고 타 세력으로 플레이할 때는 등용도 잘 안 되고 능력치가 평범해 굳이 쓸 이유도 없는지라 의리치 높은게 달리 도움이 되진 않는다.

조조의 장남이라서 후계자이긴 하지만 수명이 짧게 설정되어 있기에 조조보다 오래 살아서 조조군 세력을 물려받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수명 설정을 가상으로 해놓거나, 조조가 전사하거나 처형되어 단명하는 경우에나 희귀하게 조앙군을 볼 수 있다. 조앙 본인을 제대로 활용하고 싶으면 수명을 무시하는 가상, 장수 설정으로 플레이하는 것을 추천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58/수지 19/무력 60/지력 54/정치 50/매력 67이다.

전투나 내정쪽으로는 잉여자원이긴 한데 그나마 매력을 요구하는 인재 등용이나 주민 선정 등에는 쓸만하다. 평시에는 밀정으로 보내서 정보원으로 활용하면 좋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7/지력 52/ 정치 43/매력 74이며 특기는 혼란, 수습, 고무, 복병, 화시, 속공이다. 기본 진형은 추행, 어린.

능력치만 보면 군사담당 외에 어디 쓸 곳이 없는 수준[78]이지만 진형과 특기가 조조군에 맞게 속공형이라 전투에 내보내면 의외로 다른 주력 장수들과 함께 최전선에서 활약한다. 189년 시나리오의 경우 진형 때문에 발이 느린 악진, 이전보다 빠르게 전투에 뛰어들 수 있는 조앙 본인이 더 빨리 성장하는 걸 볼 수 있다. 초반에 할당할 병력이 없다면 일찌감치 수행을 보내서 무기를 구해 부족한 무력을 보강하거나 용명, 경험 등을 쌓는 것도 좋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0/지력 65/정치력 73. 병법으로는 분전, 기사,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다.

궁기병 병법이 있고 궁합이 25이기 때문에 하후연, 조순, 조휴와 함께 궁기병 부대를 구성하면 50% 연쇄보너스로 공성전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62/지력 68/정치력 74/매력 77로 특기는 치안, 화시, 진정, 고무, 저지, 기합, 간첩. 총 7개다.

조조군 소속인지라 조금 미묘하지만 치안 셔틀로는 쓸 만하다. 하지만 이벤트 씬에서 "후계자는 또 만들면 되지만 조맹덕은 천하에 단 한 분 뿐이십니다"라는 간지폭풍의 명대사를 날렸다. 자는 또 낳으면 되는 데스로 간주할만큼 조앙의 목숨값이 싼 것도 아니고 결정적으로 조홍의 발언 표절이긴 하지만 넘어가자.

삼국지 11의 특기는 혈로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위기에 처한 조조에게 말을 바치는 장면이며 전법은 기병계가 많은 위나라 소속답게 기군병격.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67/지력 69/정치력 68. 특기는 순찰 1, 신속 5. 전수특기는 신속으로 전법은 전진강화. 음성은 청년.

재미있는 것은 시나리오 1에서 조조 거병 이벤트 때 자동으로 조조군으로 임관하게 되는데 가장 빨리 볼 수 있는 연도가 186년이라 이럴 경우 12살에 임관하게 된다. 물론 직접 플레이는 190년 반동탁연합 시나리오부터 가능하며, 조조 거병 이벤트를 보지 않는다면 189년에 초에서 재야장수로 나오거나 조조가 다른 세력에 있다면 그 세력으로 임관하게 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4, 무력 65, 지력 66, 정치 68, 매력 77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일심, 혈로,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버지 조조와 같은 패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방원, 학익, 전법은 철벽, 교란, 저지, 친애무장은 전위, 조안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56. 조앙

파일:조앙(마초).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는 지력이나 정치가 딸리지만 무력, 육전지휘, 해전지휘가 70대, 매력은 80대로 무장으로서는 준수한 수준이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이마에 댄 채 고심하고 있는 모습이며 능력치는 통솔력 61, 무력 63, 지력 52, 정치력 68, 매력 60이다. 개성은 산전, 주의는 왕도, 정책은 묵수연구 Lv 2, 진형은 방원, 장사, 전법은 연노, 매성, 친애무장은 강서, 양부, 왕이, 위강, 혐오무장은 마초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176년, 몰년은 219년까지 되어있다.

157. 조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37.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입을 벌린 채 오른손을 펼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62/지력 78/정치력 73. 특기는 훈련 2, 순찰 6, 연전 2, 견수 3. 전수특기는 순찰이며 전법은 후방지원. 음성은 용장. 그리고 특이하게 중신특성이 신중견수로 되어있어서 두습과 함께 전투에 나갈 시 진영이나 성벽에 있을 때 수비할 때 엄청 도움이 된다. 과연 엘리트급. 일러스트가 동습이랑 도플갱어 급으로 닮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61, 지력 71, 정치 75, 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지력이 7 하락했다. 개성은 명경, 운반, 법률, PK에서는 보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어린, 방원, 학익, 전법은 격려, 견제, 진정, 친애무장은 두습, 이통,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활용성은 두습처럼 방원을 가진 보좌 개성 보유자답게 전장에 나서기가 편한 무장이다.

158. 조언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대부분 60대에 수전지휘만 10대다. 그 후에 나오는 시리즈에서는 조상 일족 중 유일하게 등장하지 않고 있다. 형제들의 능력치를 고려했을 때 만약 조언이 삼국지 7 이후의 삼국지 시리즈에 등장했다면 백하팔인에도 등록 가능했을 법했다.

159. 조예

조예(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60. 조예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35.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검을 든 채 분투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63/지력 56/정치력 47. 특기는 훈련 1, 순찰 1. 전수특기는 순찰이고 동료 한거자와 같이 특기와 전수특기가 똑같다. 다만 전법은 한거자와는 달리 동요도발. 음성은 무례. 출생년도가 179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5, 무력 60, 지력 38, 정치 44,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무력과 정치력이 각각 3, 지력이 거의 2배가 되는 18씩이나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동요, 주의는 패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62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동료 수원진, 여위황과 개성이 똑같고 전법은 여위황과 같으며 병참개혁이라는 좋은 정책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운반 개성 덕분에 물자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161. 조욱

파일:조욱.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45, 무력 34, 지력 72, 정치 82, 매력 79다. 개성은 명성, 교화, 소욕, 인정,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견제, 저지, 혼란, 친애무장은 왕랑, 장소, 혐오무장은 도겸이다. 어투는 정중남. 생년은 153년, 몰년은 193년까지 되었다.

명성 개성이 있어서 땅 색칠할 때 쓰인다. 반동탁연합 시나리오와 영웅집결 시나리오 때 도겸의 부하로 등장하는데 군주 도겸을 혐오무장으로 지정한 상태라 충성도 관리를 안 했을 경우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태수가 되면 금방 배반을 해 버리기 때문에 관직을 주지 않던가, 본거지에다가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162. 조우

파일:external/kongming.net/045-Cao-Y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4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만 보면 이게 조조의 아들이 맞는지 의심스러울 정도로 능력치가 형편없다. 거의 모든 시리즈에서 능력치 60 이상을 보기가 힘들 정도.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1/25/34/42. 무력이 25밖에 안 되는데 병법으로는 기사 하나 뿐이다.

거기다가 궁기 특기까지 있는데 위력은 기대하지 말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9/무력 44/지력 35/정치력 52/매력 60으로 역시 쓰레기급에 특기는 기술, 반목. 총 2개 뿐.

둘 다 지력에 의존하는 특기인데 지력이 35밖에 안 되니 있으나 마나다. 거기다가 정사를 반영하였는지 부친이 조조로 되어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의자에 앉은 채 오른손을 흔들면서 조예로부터 사양하는 모습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0/43/37/52. 특기는 문화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문화이며 전법은 위무.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43, 지력 42, 정치 57, 매력 6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5 상승했다. 개성은 소욕, 주의는 할거, 정책은 지역진흥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화시, 혼란, 친애무장은 조예, 진랑, 하후헌,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63. 조운

조운(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64. 조웅

파일:external/kongming.net/044-Cao-Xio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8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조조의 정실 아들 중에선 효율이 제일 나쁘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플레이어가 능력치가 낮은 조웅을 처형했다가는 모든 조씨 일족이 플레이어를 원수로 삼기 때문에 심히 곤란해진다.[79]

삼국지 4에서 원소 가문, 조조 가문, 유표 가문에만 일어나는 후계자 소동 이벤트에서 조비, 조창, 조식과 같은 땅에 있으면 일어나는데, 자신을 포함해서 조비 이외의 인물이 후계자가 될 경우에는 조비의 충성도가 20 하락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4/무력 6/지력 50/정치력 55이며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투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무력이 너무 낮아 전투에 보내면 효율이 떨어지므로 누선 셔틀이나 시키자. 여담으로 아버지인 조조도 가지고 있지 않은 수군계 병법을 가지고 있는데 능력치가 구린데도 불구하고 형 조비와 함께 수군계 병법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무력 3/지력 53/정치력 65/매력 67에 특기가 단 하나도 없다.

삼국지 12에는 대전판에서 추가됐는데 일러스트는 조비의 노여움을 샀다는 소식을 듣고 서신을 쥔 채 두려워하는 모습이다.

능력치는 통솔력 9/무력 5/지력 53/정치력 64이고 전법은 전방어강화.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9/무력 5/지력 52/정치력 64로 삼국지 12 때에 비해 지력이 1 하락했다. 특기는 상업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상업이며 전법은 기동약화.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 무력 5, 지력 52, 정치 65, 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허약, 주의는 왕도, 정책은 세출개선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문관이라 주로 내정용으로 쓰인다. 가상 시나리오인 조가분열의 군주 중 한명으로 나와 조비, 조창, 조식과 후계자 다툼을 한다.

165. 조인

조인(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66. 조자

파일:조자.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밝은 얼굴로 왼손을 펼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2, 무력 36, 지력 56, 정치 69, 매력 63이다. 개성은 논객,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2, 진형은 투석,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167. 조잠

삼국지 2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57/수지 18/무력 63/지력 25/정치 18/매력 28로 일단은 무관이긴 한데 육지 + 무력 합이 120 밖에 안 돼서 약소 세력에서도 머릿수 채우는 용도 외에는 그다지 쓸모는 없다.

168. 조절

파일:Cao_Jie_2_%281MROTK%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973.jpg
삼국지 12, 13
파일:삼14조절.jpg
삼국지 14

삼국지 12에서 처음으로 여성 무장인 상태에서 등장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후한 멸망 당시 옥새를 집어던지던 장면을 묘사한 것이며 여자치고 드문 지력, 정치 모두 70대를 기록하고 있다. 전법은 무력저하이지만 특기가 하나도 없어서 내정용으로 굴려주자.

삼국지 13에서는 통솔 36/무력 2/지력 75/정치 77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병과 적성은 C/C/B. 특기로는 문화 3을 갖고 있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문화이며[80] 전법은 궁병수비진. 음성은 현명녀.

헌제와 결혼한 이후의 시나리오(214년 익주평정 이후)에서는 인덕 1(에디터로 뜯어보면 헌제의 전수특기로 설정되어 있다)이 추가된다. 하지만 무력이 낮은 약골이라고 생포했을 때 죽였다가는 아버지 조조, 오라버니들인 조앙, 조비, 조창, 동갑인 조식, 동생들인 조웅, 조충, 조우 등과 원수관계가 되므로 조심하자.[81] 출생년도가 190년도로 설정되어 있다.

참고로 익주평정 이전 시나리오에서도 역사 이벤트가 켜져 있는 경우 213년 1월이 되면 별다른 이벤트도 없이 자동으로 헌제와 결혼하기 때문에 조절과 결혼하고 싶다면 그 전에 해야 한다. 213년 1월 시점에서 이미 결혼한 상태이거나 조조군 소속이 아닌 상태라면 헌제와 결혼하지 않는다.

쓸데없는 여담이지만 일러스트에서 옥새를 들고 있다보니 조절 본인이 군주가 되어 천통하면 집어던지는 게 아니라 정당한 주인으로서 집어드는 것처럼 보인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36, 무력 4, 지력 68, 정치 70, 매력 82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한 대신 지력과 정치력이 7 하락했다. 개성은 재원,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본초학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고무. 인간관계가 재미난데 친애무장은 추가된 언니 조헌과 동생 조화, 혐오무장은 오라버니인 조비가 있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현명녀다.

아버지인 조조가 사망할 경우 조비가 군주자리를 물려받는데 전작들과는 달리 곧바로 하야하며 손절해 버린다. 그리고 이릉대전 시나리오와 영웅난무 시나리오 때 복양에서 재야로 등장하는데 조비가 군주로 있을 경우 무슨 수를 써도 조절을 등용하지 못한다. 그래서 조절을 등용하라고 보내도 번번히 퇴짜를 놓는 장면을 볼 수가 있다. 아무래도 조절이 비록 산양공이라는 위나라 관직을 받게 된 헌제의 아내로 계속 지냈지만 그 자신은 끝까지 한나라 황실사람으로 살다가 죽겠다는 행보를 보인 걸 반영한 모양이다. 제작진이 조절이 197년생일 가능성이 높다는 설을 반영했는지 출생년도가 전작에서의 설정보다 6년 뒤인 196년도로 변경되었다.

169. 조정

파일:조정.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신비를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13, 무력 17, 지력 57, 정치 51, 매력 58이다. 개성은 점술,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본초학 Lv 1, 진형은 학익,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170. 조조

조조(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71. 조준

삼국지 8에서만 등장하는데 동료 주찬삼국지 13 PK에서 복귀했음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

172. 조진

파일:삼국지3조진.png
삼국지 3
파일:Cao_Zhen_4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057-Cao-Zhe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63.jpg
삼국지 12, 13
파일:조진(14).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대접이 좋으며 삼국지 10부터 통솔력과 매력이 80대 후반이고 무력과 정치력은 70대로 고정되어 의외로 능력치가 균형이 잘 잡혔다. 지력 60대 후반으로 나름대로 무장치고 똑똑하지만 계략에 잘 걸리는 편인게 단점. 그리고 일러스트는 뭔가 비대하다기보단 통통한 정도로 나오거나 근엄한 지휘관의 얼굴로 나온다. 실제로 뚱뚱한 외모 때문에 놀림까지 받았을 정도인데 사후에 꽤 이득을 보고있는 셈. 아무래도 조씨 일족인 데다가 능력도 나쁘지 않았고 위나라군 총사령관이라는 간지넘치는 위치 때문에 외모버프를 받은 케이스로 보인다.

본인 능력치는 그럭저럭 할만 하지만 문제는 다른 데에 있다. 조진 본인이야 말로 백하팔인 제조기라는 문제가 존재한다. 아들 셋 이라는 조상, 조훈, 조희 등 백하팔인이거나 백하팔인에 근접한 저스텟을 달고 나온다. 밥버러지를 3마리나 생산한다는 게 조진이 갖고 있는 숨은 결함이다. 이들 중 설령 백하팔인을 모면하더라도 결국 미방이나 차주 같은 쓸모없는 놈들과 자웅을 겨루는 수준의 무능아들이다. 본인은 별거 없지만 자식이 당대급 능력자인 하후상과 대조된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1/정치력 50/지력 61/매력 72. 특기는 보병/해전/낙석/혼란/수복/허보로 쓸 만한 정도다.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에서는 통솔력 84/무력 71/정치력 72/매력 84로 대폭 상승했다.

삼국지 6에서는 조조의 족자(族子)로 소개되었다.

차라리 친척 조카라고 했으면 모를까 족자란 말 자체가 중국이나 일본과는 달리 한국에서는 매우 생소한 단어여서 조조와는 무슨 사이지? 라는 의문을 낳기도 했다. 참고로 족자의 족(族)에서 비롯된 단어가 족하(族下)이고 이는 조카의 어원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71/지력 67/정치력 66. 병법으로는 분전, 돌진, 기사, 제사, 고무를 가지고 있는데 능력치 자체는 준수하지만 비교적 평범하다 못해 전투에 투입하기에 부족하다.

거기다가 병법이 전부 1차 병법이라 위력이 너무 약하고 다른 장수들과 연계를 하기도 힘들다. 그나마 보병, 기병, 노병, 궁기병 병법을 모두 골고루 갖추고 있어서 열심히 성장시키면 가능성이 있다는 것 정도가 위안.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8/무력 72/지력 67/정치력 71/매력 87로 총합은 385. 특기는 보수, 치안, 징병, 일제, 진정, 고무, 은밀, 저지, 회복, 명사. 총 10개다.[82] 능력치 총합 385는 전체 29위로 상위 5% 안에 드는 능력치.

이번작은 전투 시 부대 공격력이 무조건 통솔력에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통솔력이 높은 조진 본인은 의외로 상당히 강력한 무장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부대의 행동력에 영향을 미치는 무력, 지력이 평범하다는 게 단점. 실제 역사처럼 대부대를 지휘하는 총대장보다는 군사 특기로 지휘를 받아 행동력에서 자유로운 부장으로 출전시키는 게 더 낫다. 또한 이번작에서는 자기 부하인 곽회, 학소보다 오히려 통솔이 1 높다! 여전히 사마의장합보다는 낮긴해도 더 좋아진 셈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7/무력 74/지력 68/정치 72/매력 88.

병과 적성은 창병 A/극병 B/노병 B/기병 S/병기 C/수군 C. 특기도 정묘라서 애매하지만, 그나마 통솔력이 높고 기병 적성이 S라 전투용 부대로 참전해도 괜찮고 PK라면 키워볼 만한 장수 가운데 하나. 친애무장으로는 부하였던 곽회가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스토리텔링이 첨가된 본작 일러스트임에도 조진 본인은 대체 어떤 상황을 묘사했나 전혀 알 수 없게 나왔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 주먹을 쥔 채 다짐하고 있다. 오질주삭은 조진까지 얽힌 연회 때를 반영한 일러스트로 나왔음에도 조진은 이와는 전혀 상관없어 보인다.

지력이 70대로 올랐으나 통솔력이 81으로 줄었다. 그 대신 관직빨, 탄원을 써서 올릴 수 있다. 또 전법은 기군신속.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 무력 75, 지력 74, 정치력 73이다. 중신특성은 신중견수, 전수특기는 견수, 보유 전법은 채배 5를 소모하고 범위내 아군의 공격과 기동 30 사기 20을 올려주는 질주지휘. 병과 적성은 창병과 궁병이 B, 기병이 A다. 조조군의 중신특성상 기병은 S라고 보면 된다. 보유 특기는 농업 2, 훈련 5, 순찰 4, 신속 5, 연전 5, 견수 6으로 높은 통솔력과 보유 특기로 내정과 전투에서 나름대로 활약이 가능하다. 그런데 어째서 음성이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으로 설정되었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말을 탄 상태에서 검을 들고 있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88/무력 74/지력 68/정치력 72/매력 8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5,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6,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견수, 구심, 독려, 모집, 주석, 주의는 패도, 정책은 학익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방원, 학익, 추행, 전법은 돌격, 격려, 철벽, 저지, 치료, 친애무장은 곽회, 조비, 조휴, 혐오무장은 오질이다. 출진 화면에서 견수 개성 설명 때 "호표기는 공격에만 능한 것이 아니다."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위나라 사령관들이 대부분 마이너스 개성 하나씩은 가지고 있는데 조진 본인은 아예 없는 게 특이점. 지력과 정치력이 하락하긴 했지만 전쟁에서 중요한 통솔이 다시 올랐으니 전체적으로 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수비력을 올려주는 개성인 견수+ 방어력이 높은 진형인 어린, 방원과 조조의 간웅과 조인의 강장 버프에 혈연 보정으로 인한 연계 버프까지 합치면 엄청나게 딴딴한 조진이 된다. 최강의 방어력인 학소는 견수가 없는 반면에 조진은 견수가 있어서 학소의 상위호환이 되었다.

173. 조창

파일:삼국지3조창.png
삼국지 3
파일:Cao_Zhang_1(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331-Cao-Zhang.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Cao_Zhang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61.jpg
삼국지 12, 13
파일:조창.jpg
삼국지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통솔력과 무력에 특화된 무장으로 되어 조조의 자식들 중에서 무력이 제일 높으며 90대 초반부터 80대 후반 수준으로 조조의 자식들 중에서 지력, 정치력이 가장 낮아서 거의 장비, 마초 수준이다. 노란 수염을 가지고 있다는 외모 묘사 때문에 몇몇 시리즈를 제외하면 늘 턱수염을 기르고 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81/수전지휘 71/무력 93/지력 42/정치력 39/매력 70에 야망 9, 운 6, 냉정 6, 용맹 13으로 꽤나 괜찮은 맹장이다.

일러스트는 특유의 황수아인 누런 수염이 없고 악마같은 표정을 짓고 있는 모습이다. 한국판에선 이름이 조장으로 나온다. 조조의 자식들은 아예 배치 장소가 딱 정해져 있다. 전방에는 조창, 후방에는 조비, 조식 등을 배치하면 된다.

삼국지 4에서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94/지력 41/정치력 38/매력 70이다.

삼국지 5에선 무력 92/지력 41/정치력 24/매력 79에 기본 진형은 추행과 학익, 특기는 내분, 무쌍, 원시, 화시, 혼란, 격려인 전형적인 공격용 무장.

지력이 매우 낮은 관계로[83] 책략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시나리오 초반같은 경우에는 용명이 낮아서 수행을 보내거나 전쟁에서 꾸준히 굴려 용명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와룡출현 시나리오 정도는 되어야 용명이 꽤 높게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8/무력 91/지력 44/정치력 35로 병법으로는 기병계 최강 병법인 돌격, 주사, 제사를 가지고 있다.

게다가 무력이 91이라서 매우 쓸 만하다. 단점은 그놈의 수명. 일기토 고유 대사도 있다. '북쪽에서 단련된 병사들이 널 저승으로 보내 주마!'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88/지력 39/정치력 30/매력 68로 등장. 특기는 돌격, 고무, 기습, 저지, 기염, 반격, 삼단, 나선. 총 8개다.

전투에서 쓸 만한 편이긴 한데, 지력이 장비급이라 계략은 거는 족족 다 걸리고, 일기토도 뭔가 조금 아쉽다. 매력 68도 조조 아들 3인방 중에선 가장 낮다.[84]

삼국지 11에서는 무력이 90으로 다시 상향되었다. 하후돈과 더불어 조조 진영의 양대 기병계 에이스. 특기가 질주인 데다 무력도 보유자 중 가장 높아 악랄한 성능을 과시한다.

기본 수명이 짧다는 게 흠이지만 수명에 구애받지 않는 장수, 가상 설정이거나 영웅집결에서는 아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특기가 애매한 장수들이 많은 조조군에서도 돋보이는 대미지 딜러으로 대우가 꽤 좋다. 일러스트도 꽤 괜찮게 나왔다.

삼국지 12에서는 괜찮았던 일러스트가 일화에 따라서 호랑이에게 레슬링을 걸려는 모습으로 바뀌어서 괴이해졌다.

능력치는 전작의 능력치에서 매력이 삭제됐고 병종이 기병에 전법이 강용. 하지만 지력은 낮고 무엇보다 호걸이 없으며 연의에서 일기토로 오란을 참살했음에도 불구하고 일기 특기조차도 없다. 그래도 통솔력과 무력이 80대를 넘어서 공격력만큼은 높기에 전장에 굴리기에는 충분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3/무력 89/지력 40/정치력 35로 다소 하향되었다. 그러나 병과 적성은 창병과 기병이 A, 궁병 C로 준수한 편이며, 특기도 훈련 3, 순찰 5. 신속 7, 분전 5, 연전 6, 일기 6, 호걸 2로 잘 부여받아서 쓸 만하게 굴릴 수 있다. 중신특성은 호단맹진이고 전수특기는 신속으로 전법은 자신에게 돌격과 연격을 부여하고 공격력을 상승시키는 기병돌격. 음성은 난폭.

삼국지 11에서도 관색과 질주로 특기가 똑같았는데, 이번작에서도 전법이 똑같다. 능력치는 조창 쪽이 더 우위에 있지만.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와 비슷한 청색 갑옷을 입은 모습으로 변경되었고 능력치는 통솔 83, 무력 90, 지력 40, 정치 35, 매력 71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하여 다시 무력 90대 파이터가 되었다. 개성은 소탕, 과감, 맹자, 직정, 주의는 아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추행, 친애무장은 전예, 조식, 혐오무장은 없다. 고유전법은 적군에게 피해를 주면서 동시에 사기를 저하시키는 황수강용이며 그 이외의 전법으로는 급습, 대갈, 교란으로 야전에 매우 능하다. 이와 별개로 출진 화면에서 소탕 개성 설명 때 "호랑이마저 때려잡은 황수아의 힘을 똑똑히 보여주리라!"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조조군 최강의 딜러로 11 이후 역대 최강의 조창이라고 불려도 무방하다. 때문에 삼국지14 마이너 갤러리, 삼국지 도원결의 같은 코에이 삼국지 커뮤니티에서는 처형 1순위로 꼽을 정도로 매우 까다로운 장수다. 우선 무력도 높고 맹자가 있어 일기토라도 걸리거나 하면 무력 약한 장수들은 답이 없고 부대가 격파당했을 때 아군 무장의 부상을 걱정해야 한다. 또한 친애 장수간의 연계가 매우 중요한 본작의 특성상 조씨 인연 버프를 받아 능력치 상승율이 높고 조조, 조인, 하후돈의 간웅, 효장, 강장 버프까지 받으며 개성이 공군을 늘려주는 소탕인데다가, 공군에 특화된 봉시 진영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조창의 공군이 미친듯이 상승하기에 매우 위협적이다. 최고 난이도인 궁극에서 봉시 조창은 일반적으로 공군이 4000대를 넘나들며 아군 무장들과 병력들을 추풍낙엽으로 물리치고 부상을 입히는, 미쳐 날뛰는 괴수다. 게다가 조조의 혈연이란 특성상 잡혀도 등용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조조군이 아닌 이상 잡히는대로 바로 처형하는게 정신건강상 이롭다. 그나마 봉시가 방어력이 낮고 계략에 약하기 때문에 혼란을 걸면 된다.

174. 조충

파일:external/kongming.net/042-Cao-Chong.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79.jpg
삼국지 12, 13
파일:조충.jpg
삼국지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데 게임 내에서의 활용도와는 별개로 이 게임에서 관례를 치르는 성인 기준은 15세이지만 13세에 죽은 조충 본인이 등장하는 건 억지스런 감이 있다. 지금에야 이런 류의 장수가 동백, 여령기 등으로 확장되어 조충만 특별히 이상해 보이진 않지만.[85]

지력은 80대 수준이지만 문제는 수명이 끔찍하게 짧다. 208년 사망에 사유도 병사이기 때문에 등장하는 유일한 시나리오인 삼고초려 시나리오에서도 나온 지 1년 만에 죽어버린다는 소리. 수명 연장약으로 끈질기게 버텨도 10년 이상 버티기 힘들다. 따라서 주로 가상 시나리오, 영웅집결에서나 쓰게 된다. 다만 게임상 실제 사망하는 나이는 실제 수명+10년 전후이기 때문에, 삼국지 10 한정으로는 209년부터 출현하는 관로를 통해 생명 연장의 꿈을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0/무력 25/지력 91/정치력 84로 병법으로는 상병, 조영, 혼란, 덫, 배반을 가지고 있다.

지력이 유엽(88)이나 진궁(89) 등보다도 높은데 코끼리 무게를 잰 일화를 반영해서 공성계 최강 병법인 상병과 환술을 제외한 모략계 병법(혼란, 덫, 배반)을 전부 보유하고 있다. 그나마 수명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은 작품이라 수명이 최저치인 0으로 설정되어 있어도 다른 시리즈에 비하면 어느 정도 쓸 수 있다.[86]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4/무력 7/지력 80/정치력 74/매력 77로 전작의 과하게 높았던 능력치가 전체적으로 너프되었다. 특기는 기술, 반목, 지리, 항변, 반박. 총 5개.

기술, 등용 셔틀 정도로 쓰면 된다. 조식과 비슷하지만 조금 떨어지는 수준. 다만 직접 할 경우는 명사가 없어서 관로를 찾아 다니는등등 할 때는 만난 도적에게 얌전히 돈을 상납해야[87] 하는 점이 거슬린다. 그리고 일화와 다르게 웃기게도 의뢰를 수행할때 정치력 영향으로 성공률이 달라지는 코끼리 사육도 있는데 이러한 상병 특기 관련은 나오지도 않아 실패하는 일이 번번히 생긴다. 이는 목록대왕도 비슷한데 이쪽은 정치력이 너무 낮아 거의 불가능한 고증 오류도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1/무력 21/지력 85/정치력 79/매력 83으로 전작에 비해 능력치가 대폭 올랐다. 특기는 위의 말안장 일화를 반영한 듯한 인정으로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제법 유용하게 사용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코끼리의 무게를 쉽게 잴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모습이며 전법은 전군색적이지만 전투 능력치가 안 좋고 색적이란 전법이 효율성이 없다. 그래도 특기 군사를 가지고 있어서 계략부나 참모용으로 쓸 만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6, 문화 4, 교섭 3, 언변 7. 중신특성은 화기생재이고 전수특기는 언변이며 전법은 교란.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는 당당히 홈페이지에 새로운 일러스트와 함께 위나라 장수진에 공개됐다. 능력치는 통솔 21, 무력 14, 지력 80, 정치 76, 매력 8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0, 무력이 7, 지력이 5,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명경, 인정, 허약, PK에서는 자비 개성이 추가되었으며 주의는 패도, 정책은 태학 Lv 4, 진형은 충차, 투석, 전법 역시 충차, 투석,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병기 진형이 있지만 발명 개성을 가진 상위호환인 이전이 있고 전투 능력치가 낮고 진형이 병기 밖에 없기 때문에 다른 전법을 사용하지 못해서 내정으로 굴리자.

PK에서 추가된 영웅난무에서는 업의 군주로 등장하는데 부하로는 일찍 요절한 인물들로 고소, 사무, 사흠, 섭우, 손광, 손등, 손려, 왕찬, 유기, 유리, 유모, 제갈교, 조웅, 희지재를 두고 있고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가신, 경무, 고유, 관순, 국연, 국의, 서혁, 설제, 심영, 유소, 유훈, 윤해, 음기, 장각, 장량, 장로, 장보, 장천, 저곡, 조환, 하후헌, 한범 총 22명이 있다.

175. 조통

파일:삼국지3조통.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kongming.net/123-Zhao-Tong.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0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마초, 손책, 육항, 진태, 종회, 문앙, 제갈각, 하후현, 부첨, 관구검, 장승 등을 제외한 누군가의 아들로 나오는 인물이 대부분 아버지의 다운그레이드로 나오는 것처럼 조통 본인도 아버지의 능력치를 대폭 다운그레이드하고 얼굴은 닮은 미남으로 나온다. 사실 조통이 연의든 정사든 뭔가 활약했다는 내용이 마땅히 없는지라 후반 시나리오 인물 채우기에 아버지 이름빨을 본 거라 할 수 있다. 그래도 원수 시스템이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아버지 조운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삼국지 2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78/지력 72/매력 76으로 꽃미남으로 나온 동생 조광과는 다르게 제법 잘 생긴 훈남형이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61/수전지휘 22/무력 70/지력 69/정치력 57/매력 70이다.

양심은 있는지 다른 능력치는 평균 70대로 맞춰놓고 수전지휘만 22로 해놔서 장군이 되지 못하게 해놨다. 장군이 되려면 육전지휘 또는 수전지휘가 17이 모자란다. 조금만 분발하면 장군이 될 수 있다. 하지만, 틈만 나면 장수들이 눍어죽는 마지막 시나리오에선 이 정도면 아주 귀중한 인재이기도 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8/지력 66/정치력 59. 병법으로는 동생 조광과 함께 돌파, 기사, 정란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64/지력 65/정치력 60/매력 57에 특기는 기술, 고무, 역공. 총 3개.

조광과 비슷한 수준의 능력치다. 70이 넘는 능력치는 하나도 없지만 능력치 총합이 300을 넘는다. 조운 아들이란 것도 있고 조통이 등장하는 촉나라 후기 시나리오 특성상 인재가 너무 부족하다는 점을 감안한 능력치 책정으로 보인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7/지력 61/정치력 54/매력 58로 70이 넘는 능력치가 없고 특기도 없지만 능력치 총합은 308이나 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동생 조광과 더불어 아버지와 흡사한 외모로 등장하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 창을 든 채 고개를 돌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삼국지 11 때의 매력만 빠진 수치다.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A/궁병 B로 기병 S인 아버지의 이름값을 감안해 기병적성은 A로 쳐준 모양이다. 특기는 순찰 2, 신속 4. 전수특기는 신속이며 전법은 적 궁병의 공격력을 약화시키는 궁공약화. 음성은 청년.

후반기 시나리오 플레이를 한다면 조통&조광 형제와 친해져서 특기를 사사하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5, 지력 61, 정치 54, 매력 57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교련, 주의는 할거, 정책은 운반개발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경파, 대갈,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176. 조표

파일:Cao_Bao_2_%281MROTK%29.webp 파일:external/kongming.net/054-Cao-Bao.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8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배신의 행위에 괘씸죄가 적용된 듯 대대로 처참한 능력치를 달고 나와 삼국지 1부터 삼국지 6까지 능력치 총합 최하위권을 달린다.

삼국지 2에서는 문관형 포트레이트에 특이하게도 무력 19/지력 13/매력 15로 유일하게 모든 능력치가 10대를 기록하고 있어 일부 계층에서 컬트한 인기가 있었다.

그런 면에서는 백하팔인 기믹의 시초급. 어느 정도냐면, 조표를 등용하러 가는데 동탁조차 조표 본인을 등용하러 간다는 것에는 무조건 통과시켜준다. 동맹국 이외의 야망이 높은 제후인 동탁, 원술, 원소 같은 군웅들은 사신 체포에만 혈안이 되어 있어 거의 목숨 걸고 달려야 하는데, 조표 등용한다고 하면 아무도 안 막는다. 그리고 조표를 군주로 삼으면 휘하 장수들의 충성 관리가 전혀 안 돼 그 해 안에 모든 장수들이 떠나서 조표 홀로 남는 처참한 진풍경까지 연출된다. 당연하지만 조표를 군주로 삼았다가 전투에서 패하고 적에게 잡혀버리면 당연히...

사실 연의 내에서는 다른 사람도 아니고 삼국지 작중 용장으로 설정된 하후돈과도 일기토를 뜬 전력도 있는 인물이고[88]정사』에는 도겸군의 상장으로 기록된 인물인데 10대의 무력은 너무나 저평가된 느낌이 있었다. 그 때문인지 삼국지 3부터는 무력만은 대폭 상향되기 시작해서 2000년대 이후의 시리즈에서는 무력 6~70대까지 찍고 있다. 다른 능력치도 상당히 상향되어(그래봤자 낮지만) 오히려 눈에 띄지 않는 장수가 되어버렸다.

삼국지2 에서 일기토를 계속 시켜서 조표의 무력치를 여포급으로 상승시키는 도전 플레이 영상

삼국지 3에서 무력이 52로 대폭 상승했지만 나머지 능력치는 전작과 비슷하다.

장개와 더불어 작적이 잘 걸리는 배신쟁이로 나온다. 구호탄랑을 발동시키면 열에 아홉은 통한다. 한바탕 깽판 지기고 튀는데 태수가 병력이 많은 상급에서는 큰 위력은 없고, 초급에 태수와 병력이 엇 비슷하면 가끔 구호탄랑이 걸려서 독립에 성공하는 경우도 있다. 도겸군에 무관이래봐야 차주, 장개, 조표 본인등 등 배신 잘 땡기는 무관들이다.

삼국지 8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69/지력 36/정치력 28/매력 28. 특기는 꼴랑 도발만 있고, 전법은 LV 1 난격, LV 2 기습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73/지력 35/정치력 28. 병법도 돌파 하나 뿐인 쓰레기이지만, 이래봬도 도겸군에서는 무력 원탑이고 통솔력, 지력까지 고려해도 도겸군 무관 중에서 장패에 이은 2인자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70/지력 34/정치력 23/매력 26에 특기가 4개나 된다.(치안, 훈련, 반목, 반격)

초반의 홀대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발전을 했지만, 무력 의존 특기는 일기토 특기 1개고 나머지 능력치가 워낙 구린지라 특기는 있으나 마나. 특이하게 주량이 '소량'으로 설정되어 있는데 웬만한 찌질이 무장들은 일도 못하는 주제에 술만 많이 먹는다는 의미인지 거의 주량이 대량이지만 조표 본인은 장비와의 일 때문에 주량이 소량으로 설정된 것.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4/무력 69/지력 32/정치력 21/매력 26으로, 무력이 다시 70 미만으로 떨어졌다. 특기는 당연히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장비가 술을 권유하자 못 마신다고 왼손을 가로저으며 거절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똑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며 전법은 기동약화. 음성은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5, 무력 69, 지력 32, 정치 21, 매력 2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절감, 소심, 동요,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어린, 방원, 전법은 제사, 매성, 친애무장은 없으며 혐오무장은 장비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간신배들이 사용하는 교활남으로 설정되었다.

177. 조표

파일:조표.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허리에 댄 채 왼손을 펼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5, 무력 49, 지력 58, 정치 41, 매력 68이다. 개성은 시상, 문화, 경솔,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혼란, 매성, 친애무장은 영호우, 조식, 혐오무장은 형 조비인데, 정작 조비하고 불화가 있다는 기록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다. 어투는 보통남.

이 탓에 아버지인 조조가 군주인 상태에서 사망하면 조비가 군주가 될 경우 형 조식, 누나 조절과 함께 하야하는 모습을 볼 수가 있다.

178. 조헌

파일:조헌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복황후로 사용한 것을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29, 무력 5, 지력 62, 정치력 52, 매력 63이다. 개성은 응원,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조절, 조화,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녀. 생년은 194년, 몰년은 253년까지 되어있다.

179. 조홍

조홍(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80. 조홍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hao_Hong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58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좌절감이 키우는 사나이에 비하면 능력치가 휠씬 낮다. 황건적 출신답게 무력에만 특화된 능력치. 일러스트가 를 닮아서 낮은 능력치에 비해 캐릭터성은 확실한 편(...).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9/무력 73/지력 35/정치력 26. 병법으로는 분전, 충차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71/지력 30/정치력 25/매력 11에 보유한 특기는 보수, 삼단. 총 2개.

그래도 무력이 71이니 보수 셔틀로 쓸 수는 있겠지만 전방이 아닌 이상 보수 특기는 의외로 별로 쓸 일이 없는 특기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72/지력 28/정치력 22/매력 19으로 무력 70은 넘겼지만 적성 A가 없어 애매하다.

일러스트가 바뀌어 수염이 없어지며 특징이 많이 죽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를 보면 전작에 없어졌던 수염이 돌아왔으며 두 손을 펼치면서 모은 채 교활한 얼굴로 관군을 놀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72/지력 28/정치력 22에 전법은 마공격강화. 전법이 같은 변희보다 지력이 많이 낮아 전법을 발동할 일이 없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궁속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72, 지력 28, 정치 22, 매력 13이며 개성은 견뢰, 적도, 주의는 아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철벽, 교란, 친애무장은 손중, 한충,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181. 조화

파일:조화.jpg
삼국지 14

언니 조헌과 마찬가지로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등을 보인 채 고개를 돌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31, 무력 2, 지력 60, 정치력 51, 매력 65이며 개성은 응원, 주의는 예교, 정책은 세출개선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조절, 조헌,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녀. 생년은 199년, 몰년은 248년까지 되어있다.

여담으로 일러스트를 보면 늦게 태어난 것도 아니고 일찍 죽은 것도 아닌데 너무 어린이로 나왔다. 조화보다 4살이나 어린 제갈각과 일러스트를 비교해보면 이상하다는 느낌이 더욱 강해질 것이다. 언니 조헌과 개성, 주의, 진형이 같고 전법이 없는 것도 똑같은데 정책만 다르다. 응원 개성이 있기 때문에 언니 조헌과 같이 전장에 자주 나간다.

182. 조환

파일:external/kongming.net/047-Cao-Huan.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51.jpg
삼국지 12, 13, 14

상징색은 파란색이다.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보통 능력치가 나쁘다.

삼국지 3에서는 범용 얼굴에 육전지휘 41, 수전지휘 16, 무력 43, 지력 50, 정치력 52, 매력 59의 능력치로 쓸 데가 없다. 야망, 운, 냉정, 용맹도 마찬가지로 바라지 말자.

용맹이 높아봤자 이 무력으로는 허당이고[89] 냉정이 높아봤자 이 지력으로는 역시 허당이다. 운은 극후반 장수라서 그렇게 의미가 없고, 250년도 넘어서야 나오는 장수가 오래살아봤자 얼마 못 가서 게임이 끝난다. 야망이 낮아서 자진 하야 확률도 낮고, 장군과 군사로 쓸 능력치도 아니다. 무력 43으로는 장군은 어림 반푼어치 없고 지력 50과 정치력 52으로는 군사는 꿈도 못꾼다. 굳이 쓸모를 찾으려 한다면 상업 투자 정도 시켜주면 된다. 그리고 이번작에서 출생연도가 제일 늦은 무장으로 나온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34/24/42/51/80이며, 일러스트는 왠지 망국의 군주 답지 않게 활기가 넘쳐보이는 얼굴을 하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무력 8/지력 26/정치력 40. 병법은 조영 하나 뿐이다. 내정이나 시키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4/무력 13/지력 31/정치력 40/매력 64에 특기는 상업 단 1개 뿐인데 정치력이 40이라 별 의미도 없다.

특이 사항으론 사실 장수 중에서 두 번째로 늦은 302년 사망이라 305년 사망인 왕융이 먼저 죽을 경우 가끔 혼자 남을 때가 있다. 등장하는 장수 중 나이는 제갈상과 동일한 246년생으로 248년생인 사마유 다음으로 어리다.

삼국지 12에서는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선양하라고 겁박하는 사마염한테 잔뜩 쫄아있는 모습의 청소년으로 나왔다. 실제로 즉위할 때 중학생 정도의 나이였으니 고증이 된 편이다.

능력치는 통솔력 30/무력 28/지력 30/정치력 45이며 명사 특기 하나 뿐이다. 아쉽게도 백하팔인에 들어가지 못한 능력치다. 사실 무능함 때문에 그 행적이 유명해져서 백하팔인이 된 인물들과 단지 아무것도 안하고 별 다른 행적을 남긴 것도 없이 평온하게만 지낸 조환을 같은 선상에 두기엔 조환이 좀 억울할 수도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문화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문화이며 전법은 주위공격이다. 어투는 정중남.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18, 지력 30, 정치 45,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5, 무력이 10 하락했다. 개성은 나약, 주의는 왕도, 정책은 지역순회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183. 조훈

파일:external/kongming.net/050-Cao-Xu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5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초기작에서 뜬끔없이 능력치가 60 ~ 70의 무장으로 나와 코에이의 수혜자 중 1명이었으나, 후기작인 7편부터 고증을 반영하여 백하팔인에 근접한 스탯으로 너프먹었다. 환범에게 개돼지보다 못한 인물들라고 까였고 같은 라인인 조희에게 돌려서 까인 만큼 후기작의 스탯은 고증이다. 조훈 본인의 높은 능력치는 삼국지 6편까지 유지되다가 삼국지 7편부터 잉여인간이 되었다.[90] 결론적으로 조상 형제 사이에서 가장 능력치는 처참하다.[91]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는 아버지 조진보다 모든 능력치가 높다. 그것도 장군이 될 수가 있는 능력치다. 참으로 이율배반적(...)인 능력치다. 그냥 무위장군에 있다는 이유 때문일지도. 위빠들은 이런 존재가 해로운 조훈 본인을 삭제하고 두예왕준, 문앙을 대신 넣는다.[92] 둘째 형 조희, 막내 동생 조언과 나이가 219년생으로 전원 동일하다. 세쌍둥이?[93]

삼국지 6에서는 67/63/30/46/62로 여전히 나름대로 쓸만한 C급 무장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1/무력 36/지력 7/정치력 21. 병법은 매도 하나 뿐이지만 숙련도가 0이다.

여담으로 형 조희는 무력이 낮은데 병법이 제사고, 조훈 본인은 지력이 낮은데 병법이 매도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9/무력 37/지력 7/정치력 13/매력 26으로 능력치 총합 102. 다행히 총합 100을 넘겼다. 특기가 농업 하나 뿐인데 정치가 13밖에 안 돼서 있으나 마나다. 무특기가 아닌 것이 신기할 지경.

삼국지 11에서도 통솔력 18, 무력 34, 지력 11, 정치력 13, 매력 28로 합계 104로 아슬아슬하게 백하팔인에 들지 못했다.

특출나지 못할 것이라면 이쪽이라도 유명했으면 좋았으려만 뭔가 아쉽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쓸데없이 간지폭풍에 성깔이 있게 팔짱을 낀 채 노려보고 있다.

매력이 삭제되어서 백하팔인에 입성했다. 그런데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문화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문화로 전법은 궁방강화. 음성은 책사. 무력이 34인데다가 저 능력치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9, 무력 37, 지력 11, 정치 13, 매력 27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무력이 3 상승했다. 개성은 징세, 낭비, 우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어린강화 Lv 1, 진형은 어린, 전법은 매성, 친애무장은 조상, 혐오무장은 사마의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184. 조휴

파일:삼국지3조휴.png
삼국지 3
파일:Cao_Xiu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048-Cao-Xiu.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53.jpg
삼국지 12, 13
파일:조휴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등장하여 꾸준히 개근하고 있는 중인데 능력치가 조홍보다 낮게 나온다.

2세대 조조 가문 무장들 중에서 조순과 함께 암울함으론 탑을 달린다. 조순은 존재감 자체가 없어서 언급 자체가 잘 안되는 것을 감안하면 지명도는 높지만 석정 전투의 패전 탓에 많이 깎인 것으로 볼 수 있다. 비슷한 나이에 비슷한 관직에 있었던 조진은 연의에서 엄청 까였어도 제갈량에게 보통 상대가 아니라고 감탄한 탓에 7편부터 능력치가 좋은 편인데 조휴는 나아질 기미가 안보이고 더 낮아지거나, 지력과 정치력만 조금 상향될 뿐. 얼굴은 요코야마의 삼국지 영향으로 육손, 조운, 여포 등의 쩔어주는 미남만큼은 아니지만 그래도 꽤 멋있는 편에 속하게 나오는 반면 능력치는 얼굴값을 전혀 못하게 최소한만 나오고 있다. 연의의 동작대 덕에 궁술 특화 특기가 있거나 적성이 높은 경우가 많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군지휘 72/수군지휘 70/무력 72/지력 65/정치력 58/매력 78에 야망 8, 운 8, 냉정 8, 용맹 8이다.

그냥 그럭저럭 매력만 괜찮은 장군 수준일 뿐이며 조씨 가문 세력이라면 전방의 태수 겸 총대장 정도로 쓸만하다. 일러스트는 뭔가 있어보이지만 능력치는 허당이다.

삼국지 6의 일기토 작전에서 선제공격, 거짓퇴각이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3/지력 43/정치력 42으로 별 볼일 없는 능력치다. 병법으로는 주사, 연사 뿐이지만 공성전에는 강력하다.

그러나 보병계나 기병계 병법이 없어서 야전에서는 좀 부족한 능력치다. 궁기병 병법이 있고 궁합이 25이기 때문에 하후연, 조앙, 조순과 함께 궁기병 부대를 구성하면 50% 연쇄 보너스로 공성전에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5/지력 63/정치력 59/매력 69로 별 임팩트 없는 능력치지만 특기가 8개나(치안, 훈련, 화시, 일제, 기습, 저지, 기합, 반격) 있다.[94]

통솔력이 76, 무력이 75인데 특기 8개가 모두 통솔(치안, 훈련, 화시, 일제, 기습), 무력(저지, 기합, 반격)에 의존하는지라 특기 배분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특이사항으로 초기 시나리오에서 조순과 함께 진류에 호표기를 거느린 재야로 있기 때문에 큰 도움이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5/지력 58/정치력 56/매력 67. 병과 적성은 창병 B/극병 C/노병 S/기병 A/병기 C/수군 B. 특기는 사수.

능력치는 통솔이 2, 지력 5, 정치 3, 매력 2로 내려가고 부장용으로 쓰이는 게 더 낫은데, 노병 적성이 S이지만 능력치로나 특기로나 주장보다는 부장에 어울리는 장수이기 때문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말을 탄 채 화살을 쏘려 하고 있으며 지력은 62로 다시 상승되었지만 나머지 능력치는 전작과 같다. 병과는 궁병이고 전법은 궁군병격이다.

원맹사를 가진 하후연보다 밀리지만 이 밀리다는 표현은 단독으로 쓰일 때만 통용된 것이지 나머지 궁병들한테 더 쓸 만하다. 특히 조조군은 특이하게 궁병이 많고, 궁군강사를 가진 무장들에는 곽회, 우금, 조비, 진태, 문빙이라는 스타급 무장들이 있고, 이들은 병격공격이 없으니 궁군병격으로 병격을 아무나 쓰일 수가 있다. 특히 창병이 많은 촉나라한테 강하다.[95] 이번작에서는 그나마 쓸 구석이 있는 편.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5/지력 62/정치력 56으로 보유 특기는 훈련 4, 순찰 2, 신속 5. 전수특기는 신속이고 병과 적성은 창 B, 기/궁 A. 중신특성은 없다. 보유 전법은 채배치 소모 5의 특공지휘. 음성은 책사.

전법인 특공지휘의 경우, 오리지널에서는 아군의 공격력 40에 사기를 30 올려주고 사기유지 효과가 있었지만 아군의 병력을 10% 깎아버리니 그렇게 좋은 전법이라는 소리는 못 듣는 편. PK와서는 병력 소모도 줄고, 사기 유지가 중요해진 PK에서는 사기를 20 올려주는 데다가 사기 유지까지 붙어있는 특공 지휘의 위상이 많이 올라갔다. 시리즈마다 항상 그렇듯 주장으로 쓰기는 애매하지만 부장으로써는 상당히 유능한 인재. 신속이 없는 하후돈, 허저 같은 맹장들의 부장으로 붙여주자.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말을 탄 상태에서 활을 쏘고 있는 모습으로 나타났는데 전작과 다르게 검을 찬 모습이 자세하게 나왔다. 능력치는 통솔 77, 무력 74, 지력 62, 정치 56,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원시, 앙양, 격분, 오만,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4, 진형은 봉시, 안행, 추행, 전법은 제사, 화시, 교란, 구축, 친애무장은 조비, 조진, 혐오무장은 가규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출진 화면에서 원시 개성 설명 때 일족 조순과 마찬가지로 "호표기의 힘을 보여주겠다!"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185. 조희

파일:external/kongming.net/049-Cao-X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52.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백하팔인을 넘보는 동생보다는 능력치가 좋은데 형 조상보다는 조금 더 나쁘게 나오는 편이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4/57/71/70/66인데 형의 처신의 불안함에 대해 계속해서 간언한 것을 반영한 듯 지력과 정치력이 쓸만하다.

그러나 환범의 조언에도 아무것도 하지 않고 멸족당한 것 치곤 너무 높다. 통솔력과 무력도 상당히 높게 책정되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8/무력 24/지력 48/정치력 40. 병법은 제사 하나 뿐이지만 숙련도가 0이다.

여담으로 동생 조훈은 지력이 낮은데 병법이 매도고, 조희 본인은 무력이 낮은데 병법이 제사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0/무력 26/지력 58/정치력 64/매력 45에 특기는 기술, 진정, 혼란. 총 3개.

지력 58은 기술 셔틀로 쓰기도 좀 애매하지만 그래도 없는 것보단 낫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올리면서 형 조상을 말리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0/26/50/53. 특기는 문화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문화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정중. 하지만 능력치가 쓰레기라고 생포했을 때 죽이려고 한다면 이 사람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다시 생각하기를 바란다.인맥빨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0, 무력 26, 지력 50, 정치 53, 매력 45이며 개성은 문화, 동원, 우유, 주의는 왕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1, 진형은 안행,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조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개성 동원이 있지만 문화가 있다는 점과 잡문관답게 내정용으로 쓰인다.

186. 종리목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9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정치가 조금 낮지만 전반적으로 후기 장수 중에선 준수한 능력치다. 삼국지 9에는 종리목의 이름을 잘못 쓴 게 아닐까 하는 의혹이 있는 종리비가 대신 등장한다. 삼국지 6 한글판 기준 황란의 열전에서 '종이목'이라고 나오기도 했다. 주로 출신지인 회계의 재야로 나오다가 삼국지 11편부터 양주 회계군 산음현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여강의 재야로 등장하는데 이는 명백히 고증오류다.

삼국지 3을 리메이크한 삼국지 DS에서는 장군이 되기위해 무력이 70으로 상향되고, 수군지휘 60외에는 나머지 능력치는 삼국지 10 시절이다. 숨겨진 능력치는 의리 78, 야망 8, 행운 10, 냉정 10, 용맹 11, 수명 B으로 비교적으로 능력치도 좋고, 수명이 길고, 수군지휘가 오나라 인물치고 낮지만 압도적인 육군지휘로 대항이 가능하다.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에서는 SP무장으로 등장해서 비교적으로 등장하지 않는다.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0/75/77/65/71 외교, 화공, 보장, 화계, 낙성, 동토, 혼란, 연환, 매성, 허보, 기습, 화시.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4/68/75/61/73에 특기 10개로(치안, 훈련, 돌격, 일제, 진정, 기습, 저지, 지리, 기합, 제독) 좋다. 오나라 종특 제독 특기는 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7/72/73/65/71이지만 통솔이 많이 깎인 것도 억울한데 특기까지 잉여인 친월. 그나마 병종 적성이 극, 병기, 수군이 A이라서 쓸만한 편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검 손잡이를 두 손으로 잡은 채 산월족과 맞서고 있다.

통솔이 80으로 상향되고, 전법이 화계에 병과가 궁병이라, 여전히 쓸만한 무장. 여담으로 일러스트를 보면 오언과 똑같은 동작이다.

삼국지 13에서는 정치가 +6으로 상향되어 71가 되었으나, 통솔이 78으로 줄어들었다. 전체적으로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8/72/73/71. 특기는 농업 2, 순찰 3, 신속 3, 수영 5. 전수특기는 수영으로 전법은 궁병속공진.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7, 무력 71, 지력 72, 정치 65,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무력, 지력이 각각 1, 정치력이 6 하락했고 통솔력은 삼국지 11편 시절로 너프되었다. 개성은 숲전, 농정, 친월, 소욕, PK에서는 향도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지세연구 Lv 3,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급습, 교란, 대갈, 강습, 친애무장은 손화,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여전히 만능형이라 내정, 전투 양 쪽 방면으로 쓰인다.

187. 종리비

파일:external/kongming.net/zhonglifei.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실제로 있었는지도 불분명하고 오기라고도 생각되는 인물이나 263년 시나리오가 있을 정도로 삼국시대 후반기에 신경을 많이 써준 작품이었기에 등장할 수 있었다.

능력치도 통솔 75, 무력 77, 지력 56, 정치 50으로 후반부 인물임을 감안하면 아주 좋은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며 병법으로는 분투, 돌파, 몽충, 충차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 인물일지도 모른다는 의문과 이번작 이후 후반부 인물들을 홀대하기 시작하면서 삼국지 9 이후로는 등장하지 않는다. 종리목을 잘못 쓴 것이라는 주장대로라면 삼국지 10편부터는 이름을 고쳐서 내보낸 게 된다.

188. 종보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시나리오 1에서만 나오며, 어째선지 공융의 수하 무장이 아니라 북해의 재야 장수로 등록되어 있다.

근데 가공인물 주제에 매력이 84다. 매력은 장군, 군사가 못 되는 능력치에 정치력이 50 미만인 장수들,[96] 즉 잡장 중에서는 1등이며 유일하게 80 이상인 장수다.[97] 충신 + 순국자 버프를 받은 듯. 정작 능력도 뛰어난 충신 + 순국자인 장임도 매력이 80이 안 되는데 다만 이번작 시스템 상 무관이나 문관을 태수 시키면 그 영지는 위임으로 맡겨야 하기 때문에 이 좋은 매력을 태수로 활용하기 애매해진다. 그냥 군주 능력(특히 매력)이 별로면 군주 날리기 하고 대신 군주 삼을 무장 정도로 생각하자. 아니면 민충성도나 등용 캐리에 써먹기 괜찮다.

189. 종예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28.jpg
삼국지 13 PK, 14

특이하게도 삼국지 4삼국지 5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33/무력 36/지력 67/정치력 66. 특기는 문화 3, 설파 1, 교섭 6, 언변 3.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은 궁방강화. 지력이 60대임에도 불구하고 교섭 레벨이 무려 6이나 된다. 음성은 관리. 사망연도인 264년에 병사했음에도 불구하고 어째서인지 이상하게 자연사 판정이 아닌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32, 지력 65, 정치 66,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배가 넘는 23씩이나 상승한 대신 무력이 4, 지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진흥, 논객, PK에서는 특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전법은 화시, 도발, 친애무장은 요화,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여전히 문관이라 내정용으로 쓰이지만 병참개혁 정책 덕분에 선택했을 때 군량 소모를 줄일 수 있다.

190. 종요

파일:삼국지3종요.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Zhong_Yao_%28ROTK11%29.pn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8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대체적으로 정치력은 90 이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력도 70대 후반~80대는 유지하고 있다. 흔히 말하는 내정형. 무력이 낮긴 해도 통솔력은 삼국지 10부터 70대 초반의 일정 수준 이상을 찍기도 한다.

삼국지 2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16/지력 79/매력 24로, 무슨 잘못을 했는지는 몰라도 매력이 굉장히 폄하되었다.

삼국지 3에서는 정치력이 그럭저럭 수준이지만 70대라서 군사는 될 수 없다. 나머지 능력치는 잡문관 수준이다.

딱 2가지 용도 밖에 없는데 하나는 상업투자 전용이고 다른 하나는 엄청 오래 기다리면 아들 종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 문제는, 시나리오 1을 기준으로 한다면 실제 시간대가 아니라 게임상의 시간대 기준으로 무려 50년 씩이나 기다려야 종회가 등장한다는 점이다. 종회가 태어날 때쯤 되면 사실 시나리오일 경우 삼국지에 등장하는 거의 대부분의 장수들이 명을 끝내고 드러누운 이후이며 그 시기에도 여전히 살아남은 제갈량, 허저, 주태도 오늘내일 오늘내일 하는 수준이 된다. 즉, 너무 심할 정도로 종회가 늦게 나온다는 점이다.

삼국지 4에서도 정치력은 높은데 야망 수치가 높아서 반동탁이나 조조군의 태수로 있을 때 구호탄랑으로 배반이 쉬운 녀석 중 하나다.

삼국지 5에서는 무력 8/지력 76/정치력 92/매력 56에 특기는 내분, 수습, 고무, 진화, 격려, 진립.

왕윤, 장굉, 비의, 동윤 등과 함께 지력이 90을 넘지 않는 정치력 90대의 문관. 인사담당관에 배치하면 통일할 때까지 상당한 수의 인재를 물어다 준다. 조조, 유비, 왕윤, 순욱, 노식, 교현 등과 함께 인사담당으로는 최강이다. 진립, 격려 등 괜찮은 특기가 있지만 최하위 수준의 무력으로 인해 전투에 쓰기 어렵다.[98] 다만 충성도 관리가 안되면 쉽게 배반하기 때문에 등용하고 바로 포상을 해줘야 한다.[99] 전체적으로 본다면 같은 허접한 무력을 가진 유기의 상위호환이다. 황건적의 난과 같은 극초반 시나리오부터 등장하지만 수명이 상당히 길어서 오랫동안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최대 강점이며 중반부터는 조조 휘하에 있지만 초반에 다른 세력에 있을 때도 조조랑 상성이 좋아서 조조로 등용하기 쉽다.

삼국지 6에서는 기본 공적이 높게 책정되어 고위직 장군으로 자주 임명되는 탓에 야전에 종종 등장한다. 물론 종요 본인 단독이면 18,000명도 한 턴에 썰릴 수 있다.

삼국지 7에서는 무력 76/지력 81/정치력 88/매력 78이라는 만능형 능력치를 받았다.[100] 다만 일기토 특기가 없어서 일기토를 할 땐 불리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0/무력 15/지력 77/정치력 95. 병법으로는 조영,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지만 전투에 끌고 나가기에는 다소 부족해서 내정용으로 쓰게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26/지력 78/정치력 92/매력 72에 특기는 9개.(농업, 기술, 보수, 치안, 화시, 고무, 반목, 반박, 명사)

농업, 기술, 치안 특기가 있어서 내정 셔틀로 써먹기에 충분하며, 통솔과 정치 양면으로 괜찮기 때문에 태수로 써도 훌륭하다.

삼국지 11에서의 정치력은 91이고 부여된 특기는 내정형 중에도 상위권인 능리.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아들 종회가 독립 군주임에도 정작 자신은 그대로 조조군에 속해 있다. 방덕의 아들인 방회위나라에서 활약했음에도 마등군에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삼국지 12에서늬 일러스트는 뭔가 골똘히 생각하면서 오른손에 든 붓으로 죽간에다가 글씨를 쓰려 하고 있는데 정황상 마등과 한수의 싸움을 말리려고 편지를 쓰는 것으로 보인다.

특기 중에서는 상재가 없고 경작과 명사를 가지고 있다. 전법은 전군색적.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24/77/93. 특기는 농업 7, 문화 9, 설파 5, 교섭 8, 언변 6.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위보동요. 음성은 관리.

상업이 없는 게 아쉽지만 농업 7, 문화 9로 든든한 내정 요원이 되어준다. 아쉬운 건 중신특성이 군사특성인 화기생재인데 문제는 종요는 지력이 77밖에 안되기 때문에 90 이상을 만들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높은 정치력에 맞게 내정특성을 주지 않은 것이 아쉬운 대목이다. 그리고 PK에서 자신의 가공동생인 종진이 복귀되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24, 지력 76, 정치 91, 매력 77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진흥, 문화, 능리,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진흥 Lv 5, 진형은 방원, 학익, 충차, 전법은 연노, 견제, 치료, 진정, 친애무장은 순욱, 순유, 위풍, 장기, 장창포, 조비, 채염,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고 내정, 전투 양 쪽 모두 쓰이며 이번작부터 자신의 아내인 장창포가 추가되었다.

영웅집결과 영웅난무 시나리오에서는 자기 아들인 종회 세력에 소속되었다.

191. 종육

파일:external/kongming.net/585-Zhong-Yu.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76.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범한 문관으로 동생인 종회와 많이 비교된다. 조예 대(재위 226~239)에 이미 관직에 있었고 동생 종회는 유명한 늦둥이인데다 이복형제라 나이차도 많을 텐데 223년생으로 설정되어서 동생 종회 만큼이나 주요 시나리오에서 얼굴 보기 어려운 편. 생년도 말고도 코에이가 세설신어를 참고해서 종육 본인을 만든 게 확실한 것이 종육의 열전에는 위 세설신어에 있는 '땀이 비오듯 흐른다'는 부분이 꼭 들어가 있다. 얼마 안 되는 세설신어의 피해자[101]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6/무력 13/지력 70/정치력 74의 문관이다. 병법으로는 아버지 종요와 마찬가지로 조영, 배반, 고무를 가지고 있어 나름 쓸만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7/무력 11/지력 71/정치력 74/매력 70에 특기는 농업, 명사. 총 2개.

아버지와 동생을 잘 둬서 짤리지도 않고 명사 특기까지 가지고 있다. 나머지 특기는 농업으로 그나마 정치가 74라 특기를 살릴 수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12/지력 71/정치력 76/매력 72의 전형적인 문관형에 특기 기원을 소유하고 있다. 238년 등장이라 종회와 마찬가지로 사실 시나리오에서는 얼굴 구경할 일이 별로 없고, 가상 시나리오에서는 특기 덕에 영입 순위가 약간 높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으로 칙서를 펼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고 특기는 상업 1, 설파 2. 전수특기는 설파이며 전법은 기속강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는 통솔 32, 무력 12, 지력 71, 정치 75, 매력 70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위무,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고무, 치료,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이다.

192. 종진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17.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연의 기준인 종진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겁에 질린 채 검을 든 모습인데 방덕에게 죽은 것을 반영한 것이다. 능력치는 통솔 51, 무력 22, 지력 58, 정치 47. 특기는 농업 2, 교섭 2. 전수특기는 농업이며 전법은 창공강화. 음성은 청년. 출생년도가 190년으로 설정되어 형 종요보다 39살 차이가 난다.

능력치가 쓰레기지만 그렇다고 생포했을 때 죽였다가 종요, 종회 등 여러 종씨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어버리니 되도록 해방시켜주는 것이 편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26, 지력 38, 정치 47,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5, 무력이 4 상승한 대신 지력이 2배 하락했다. 개성은 진화, 직정, 주의는 패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1,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66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전작과 달리 종요 일족과 혈연관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덕분에 처형하기가 편해졌다.

193. 종회

종회(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194. 좌령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08.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능력치는 일러스트는 헌제를 호송할 때 왼손을 올리면서 안내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53, 지력 61, 정치 68. 특기는 상업 2, 교섭 3. 전수특기는 교섭보다 1 낮은 상업이며 전법은 수비지휘다. 음성은 관리.

평범한 능력치를 갖고 있지만 주준과 함께 사기를 올려주는 전법을 가지고 있어서 이각군으로 플레이 할 때 그래도 전장에 데리고 나가야 한다. 관리 음성으로 들리는 일러스트와는 달리 웬일인지 성격이 저돌적으로 되어있고 생몰년도가 162~236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양밀과 함께 이각, 곽사 사후에도 장안에서 재야로 있다. 특히 전법 때문에 인재가 부족한 장로군에서 반드시 등용해서 사용해야 한다. 다만 장로 본인으로 해야 하는데 추거할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고 있어서 친밀도를 60이상 쌓은 뒤에 등용을 해서 전력을 쌓도록 하는 것이 좋다.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47, 무력 42, 지력 49, 정치 62, 매력 4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4, 무력이 11, 지력이 12, 정치력이 6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순회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생몰년도가 153~197년으로 변경되었고 어째선지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난폭남 어투 보유자 중에서 정치력이 제일 높다.

잡문관이라 내정용으로 쓰인다.

195. 좌자

파일:삼국지3좌자.png
삼국지 3
파일:Gan_Ji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Zuo_Ci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01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는 헌제, 간길(우길), 이의 등과 같이 등용은 불가능한 나그네로 등장한다.

따라서 스텟 같은 건 없다. 이런저런 사실이나 특정 장수의 사망예언, 적 영토의 정보를 알려주는 것은 다른 나그네들과는 달리 돈갑천서 삼권(둔갑천서)이라는 특수 아이템을 군주에게 물려주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돈갑천서를 얻고 싶다면 좌자의 조언을 무조건 들어야 한다.

삼국지 4에서도 매월 다른 도시로 옮겨다니는 나그네로 등장한다.

그러나 역시 나그네인 사마휘, 허자장[102], 보정, 관로[103], 마균[104] 등과는 달리 다른 도시의 정보 같은 것 밖에 알려주지 않아 말을 걸 가치가 별로 없다.

삼국지 5에서는 극선인 특수 무장으로 등장하는데 무력 10/지력 99/정치 21/매력 91의 능력치로 등장한다.

숨겨진 능력치 점수는 의리가 15, 야망이 0, 냉정이 7, 용맹이 0, 선악 능력치는 극선, 궁합은 85.[105] 수명은 최대인 상태로 등장한다.[106]

특기는 도술, 천변, 환술, 요술, 침착, 반계에다가 모든 진형을 전부 다 배우고 등장한다. 초기 경험치 능력치가 60000점이고 둔갑천서 3권이라는 아이템을 가지고 등장하는데 효과가 지력 B등급 상승하고[107] 환술 특기가 추가된다. 용명이 낮아 장군에 임명하기 힘들어 병사는 8000명이 한계지만 환술, 요술, 도술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어 가히 사기라 할 수 있다. 적으로 만나면 우선 척살대상. 병력도 얼마 안되고 무력이 낮아 쉽게 잡을 수 있다.

삼국지 6에서는 가끔 플레이어가 맡는 군주를 찾아와 헛소리를 한다.

예를 들면 "난 하루에 양 천마리를 먹어도 배부르지 않는다."같은 것. 가끔 보물 둔갑천서를 건네주면서 아미산 밑에서 찾아낸 것이라고 말한다.

삼국지 8에서는 같은 종류의 특기를 모두 입수하면 나타나 돈을 받고 숨겨진 특기를 가르쳐준다.

악명이 일정수치 이상일 경우 겨울에 찾아와서 돈을 받아가며 둔갑천서를 주곤 한다.

삼국지 9에서는 탐색을 하다 보면 등장하는데, 일반적으로는 갑툭튀해서 금전을 요구한다.

승낙하면 자세력 신망이 오르고, 처형하면 자세력 신망이 대폭 깎인다. 성도에서 탐색하다 등장하면 선택지가 용인/처단으로 바뀌고, 용인하면 실행 장수는 병법 습득이 가능하나 처단하면 실행 장수가 중상을 입고 수명이 대폭 깎이며 자세력 신망까지 보너스로 깎인다. 또한 성도 근방의 아미를 탐색할 경우에도 일정 확률로 등장하며, 이때는 금 500을 받고 둔갑천서를 준다. 이후 둔갑천서를 소지한 장수로 다시 아미를 탐색하면 다시 나타나 둔갑천서를 돌려달라고 하는데, 이때 승낙을 하면 그냥 도로 둔갑천서를 가져가버린다. 거부를 하면 실행장수에게 병법을 가르쳐 준다.

삼국지 10에서는 조작이 불가능하고 이야기만 나누는 NPC 캐릭터로 등장한다.

예형과 같이 설전계 최고 특기인 면박을 가르쳐 주는데 전국토를 돌아다니는지라 예형에 비해서 활용도는 적은 편. 그 외 몇몇 특수 이벤트에서도 등장한다. 외양 덕분에 엔딩 동영상에 매 장면 나오는 학과 함께 등장하는 지팡이 짚고 삿갓 쓴 인물이 좌자라는 이야기도 있다.

삼국지 11 파워업키트에서는 군량을 백성들에게 기부하라고 권유하는 이벤트 캐릭터로 등장한다.

기부한다를 선택하면 군량을 손해보는 것으로 기교 포인트가 상승한다. 기부를 안하면 설전을 하게 되는데, 승리하면 별탈없이 넘어가지만 패배하면 치안이 내려간다. 결전제패의 여자 인재 모으기 부분에서는 대교, 소교 인재를 동시에 얻기 위한 설전을 하기도 하고, 설전 부분에서는 유명한 문사들을 소환해 오기도 한다. 또 이번작 컴퓨터 게임 버전판에서의 경우 반(VAN)만능 컴퓨터 캐릭터 에디터로 뜯어본 결과, 유비와 친애무장, 조조와 혐오무장으로 설정되어 있다. 능력치를 뜯어보면 통솔과 무력은 둘 다 10이라는 낮은 수치를 자랑하며, 정치는 23에 매력은 64라는 역시 낮은 수준이나 지력은 연의에서 조조를 엿먹인것 답게 조조보다 높은 94이며[108] 특기는 귀문. 몇몇 아마추어 모드 확장팩 개발자들이 반(VAN)에디터로 해당 능력치의 좌자 캐릭터를 추가한 확장팩 버전을 개발해서 배포하기도 했다.

삼국지 12에서도 등장. 일러스트를 설명하면, 조조가 위왕이 된 후 왕궁에서 잔치를 벌이고 있을 때였다. 그때 불쑥 찾아오더니 이 자리에는 온갖 산해진미가 있으나 오직 송강의 농어로 만든 회가 없다고 말했다. 이에 조조가 여기서 천리나 떨어진 송강의 농어를 무슨 수로 지금 먹을 수 있냐고 물었다. 그러더니 물이 채워진 구리 대야를 가져오게 한 후 그곳에 낚시질을 하자 즉시에 실한 농어를 낚아올리는 모습이 일러스트로 나왔다.

온라인 대전 전용 오리지널 한정판 카드도 있는데 전법이 복병신속이다. 가끔 등장해서 세력의 수명이 다 되어가는 장수들의 명을 연장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삼국지 13삼국지 14 일러스트는 삼국지 12와 같고, 이벤트에서만 등장한다.

196. 좌혁

파일:external/kongming.net/558-Zuo-Yi.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14.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최후반기 인물로 등장. 성만과 비슷한 수준의 수명을 가지고 있지만 성만보다는 나쁜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이름이 특이해서 뇌리에 깊게 새겨지는 이름. 일러스트는 그저 클론 무장답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1/64/53/48.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정란을 가지고 있으며, 231년생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0/66/51/47/56에 특기라고는 치안 단 1개 뿐이다.

통솔이 60이라 치안 효과도 크지 않지만 그래도 없는 것보단 조금 낫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2/66/51/43/57에 무특기.

극병 적성이 A라 최소한의 쓰임새는 있다. 무릉에서 등장하므로 이 능력치로도 영웅집결 김선군에서는 중요하게 쓰인다.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쪽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으며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고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며 전법은 창방약화.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66, 지력 51, 정치 45, 매력 56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조달, 주의는 왕도, 정책은 병참개혁 Lv 2, 진형은 학익, 전법은 경파,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197. 주개

파일:주개.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을 허리에 짚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8, 무력 66, 지력 44, 정치 34, 매력 40이다. 개성은 위무, 주의는 패도, 정책은 봉시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분전, 교란, 친애무장은 은서,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보통남.

198. 주거

파일:external/kongming.net/624-Zhu-J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5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능력치는 그리 좋은 편까진 아니다. 후기 장수여서 못 써먹을 정도는 아니지만. 무력이 60정도로 조금 낮은 대신 나머지 능력치는 평균 70수준.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8/무력 63/지력 77/정치력 78. 보유한 병법들이 상당히 좋은데 연사, 투함, 정란, 덫을 가지고 있어서 후반부 장수로서는 A급이라고 할 정도.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59/지력 73/정치력 68/매력 72에 특기는 농업, 화시, 진정, 저지, 유인, 명사, 제독. 총 7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7/57/72/70/76에 특기는 조타. 적성은 창병과 노병 A에 수군이 S다.

삼국지 12 PK에서 추가되었는데 공주와 결혼했다는 것 때문인지 일러스트가 업그레이드 된 상태로 미소를 띤 채 팔짱을 끼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7/ 무력 57/지력 72/정치 70이다. 특기는 상업 1, 문화 1,(손노육 인연 효과) 수영 4로 전수특기는 수영이며 전법은 방어강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57, 지력 72, 정치 70, 매력 71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소욕, 조타, 여망, 주의는 왕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어린, 안행, 방원, 전법은 화시, 구축, 강습, 시람, 친애무장은 은번, 혐오무장은 여일이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무력이 낮아도 안행진, 방원진형이 있어서 원거리 보조용, 탱커용으로 쓰이고 만능형답게 내정 및 전투용으로 쓰인다.

199. 주광

파일:주광.jpg
삼국지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4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는 무력 74에 육지 69의 그럭저럭 쓸만한 무관이다.

삼국지 14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위로 올리면서 소리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54, 지력 49, 정치 67, 매력 58이다. 개성은 둔전, 개수,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철벽, 진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보통남. 생년은 176년, 몰년은 연의의 설정대로 214년까지 되어있다.

트위터 무장소개에서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의 감녕이 주광 본인을 죽이고 했던 "감녕이 제일 먼저 올라왔다!(甘寧一番乗り)"가 사용됐다.

200. 주군

파일:주군.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턱수염을 만지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18, 지력 67, 정치 52, 매력 61이다. 개성은 점술,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2,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어투는 정중남.

병기 진형만 있는 주제에 전투 능력도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201. 주령

파일:Zhu_Ling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62.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그저그런 C급 무관으로 등장한다. 조조가 좀 괴롭혔던 것 때문에 열전 부분에선 조조에게 미움받았다라고 적히는 모양. 심지어 삼국지 11에선 조조의 혐오무장 중 한 명으로 설정되어 있을 정도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73/지력 66/정치력 50. 병법으로는 돌진, 충차 뿐이다.

그렇게 나쁜 능력치는 아니지만 조조군이라 은근히 소외 받는 장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70/지력 69/정치력 61/매력 38에 특기는 치안, 화시, 일제, 은밀, 반목, 회복 총 6개.

화시, 일제, 반목 특기가 있어서 전장에선 그럭저럭 써먹을 수 있긴 한데 소속이 조조군이라 전장에 나갈 일 자체가 많지 않다. 치안 셔틀로 쓰는 것이 유용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3/지력 67/정치력 53으로 통솔력이 전작보다 6이나 깎였다. 거기에 무특기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손을 턱에 올린 채 고심하고 있는데 정황상 '왜 주군(조조)은 나를 싫어할까?'라고 생각하는 모습으로 보인다.

능력치는 매력이 빠진 것을 제외하면 전작과 같다. 그나마 전법은 전방어강화로 쓸만한 전법이고 능력치는 여러 경로로 올릴 수가 있다는 게 위안이다.

삼국지 13에서도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순찰 3, 신속 3. 전수특기는 순찰이고 전법은 교란.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 무력 72, 지력 67, 정치력 53, 매력 38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축성,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분전, 업화, 친애무장은 노초,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02. 주방

파일:Zhou_Fang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4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석정 전투에서의 모사적인 이미지 때문인지 지력, 정치력이 높은 전형적인 책사형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20/지력 84/정치력 72. 병법으로는 파괴, 혼란, 덫, 매도를 가지고 있다.

통솔력이 아쉽지만 꽤 좋은 모사.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44/지력 82/정치력 75/매력 66에 특기는 7개.(치안, 유인, 혼란, 지리, 항변, 반박, 간첩)

전작과 달리 무력이 2배 이상 상향됐다. 모사적인 이미지를 반영한 특기가 대부분인데(유인, 혼란, 지리, 항변, 반박, 간첩) 특이하게 치안 특기가 있다. 물론 통솔력이 56이라 별 도움은 안 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2/무력 41/지력 80/정치력 75/매력 59에 언독 특기를 갖고 있다.

남만 정벌 시나리오에서는 제갈각과 조합하여 괜찮은 계략 부대를 꾸릴 수 있다. 등장하는 시나리오 기준으로 낮은 지력은 아니지만 특기를 활용하기에는 약간 모자라므로 PK라면 지력을 조금 올려주는 것이 좋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든 상태로 연의에서 나온 머리카락을 잘라 자신의 진심을 주장한 장면이 나왔다.

지력 80/정치력 75인 상태에서 쓸 만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으며 전법은 지력저하.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매력만 빠진 상태에서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농업 1, 교섭 7, 언변 7, 수영 3. 전수특기는 교섭이며 전법이 궁병수비진이였지만 PK에서 단일도발로 변경되었다. 생몰년도가 200~240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6, 무력 41, 지력 80, 정치 75,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상승했다. 개성은 언독, 위무, PK에서는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묵수연구 Lv 4, 진형은 안행, 정란, 전법은 저지, 도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생몰년도가 191~238년으로 변경되었고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안행진이 있지만 전투 스탯은 서포터용 그 이하도 아니나 도적 출현을 막을 위무 개성이 있어서 내정용으로 쓸만하다.

203. 주삭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57.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2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정사의 일화를 참고했는지 굉장히 마른 모습. 일러스트는 연회에서 오질이 인신공격을 하여 빡치자 오른손에 든 칼을 땅에다가 찍고 있다.

능력치는 오질과 동급 수준인 통솔력 32/무력 35/지력 55/정치력 66으로 정말 구리다. 같이 놀림받은 조진의 능력치와는 비교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다. 특기는 상업 3, 문화 4.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공격명령.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C/궁병 C. 음성은 정중. 자신을 모욕한 오질보다 특기를 훨씬 많이 받았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2, 무력 35, 지력 55, 정치 66, 매력 40이며 개성은 공명, 격분,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1, 진형은 충차, 전법은 충차, 친애무장은 사마의, 오질, 조비, 진군,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그런데 자신을 모욕했던 오질이 친애무장에 들어가 있는 것은 상당히 이상한데 놀림을 받자 빡쳐버린 사실을 생각하면 오히려 혐오무장에 오질이 들어가야 하는 것이 맞다.

204. 주선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12.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상태에서 오른손에 도검을 든 채 고군분투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59, 무력 75, 지력 42, 정치 36. 특기는 훈련 1, 순찰 1.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전법은 기병선동. 음성은 청년. 생몰년도가 191~212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6, 무력 50, 지력 44, 정치 25, 매력 34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3, 무력이 2배 넘는 25, 정치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조타,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역순회 Lv 1, 진형은 추행, 전법은 구축,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77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추행진 진형 하나 밖에 없기 때문에 육상전에서 전법을 아예 사용할 수 없지만 조타 개성을 가지고 있어서 수전 쪽 병참끊기 에이스로 활용할 수 있다.

205. 주소

파일:주소(오).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100만인의 삼국지의 유봉을 재활용했으며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71, 지력 35, 정치 32, 매력 45다. 개성은 강건, 주의는 패도, 정책은 방원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철벽, 구축,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용장남.

잡무관이지만 수상전용 말고는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지만 대놓고 방원 진형만 있는 것으로 몸빵용으로 사용하는 것라는 점, 아버지 주태와 혈연 보정으로 통한 연계로 쓰일수가 있어서 할만한 성능이다.

206. 주씨

파일:5a541e7b02087bf40cd9ce82e5d3572c10dfcfe1.jpg
100만인의 삼국지

100만인의 삼국지에서 주씨(周氏)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207. 주앙

파일:external/kongming.net/620-Zhou-Ang.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4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0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손견공손월의 연합 군대를 이긴 것 치고는 평가가 박하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64/지력 64/정치력 61/매력 59에 특기는 징병, 일제, 저지, 명사. 총 4개.

매력이 별로라 징병의 효율이 높은 편이 아니며, 통솔력이 75지만 특기가 딱히 좋은 게 없고 무력, 지력이 모두 60대인지라 전장에서 활약하기엔 조금 애매한 감이 있다. 평범한 무관의 능력치인데도 특이하게 명사 특기가 있다. 또 다른 특이사항으로는 처음 시작부터 보유한 명성이 매우 높아, 군웅할거 시나리오(혹은 군웅할거 이벤트가 일어난 뒤) 원소군에서 바로 태수가 될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활을 든 상태에서 목표물을 향해 쏘려 하고 있다.

통솔력은 74이나 무력 65/지력 65로 전투에서 쓰기는 좀 그런 무장. 이번작에서도 형 주흔과 함께 등장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4/65/65/49. 특기는 순찰 1, 수영 1. 전수특기는 순찰이고 전법은 기동강화.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65, 지력 65, 정치 53, 매력 6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정치력이 4 상승했다. 개성은 원시, 주의는 할거, 정책은 안행강화 Lv 3, 진형은 안행, 추행, 전법은 연노, 경파, 구축,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형 주흔과 마찬가지로 원술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08. 주연

파일:Zhu_Ran_2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612-Zhu-Ra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5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여 꾸준히 출연하고 있는 중인데 연의 반영으로 저평가 무장으로 손꼽히는 인물이었다. 초기작에서는 몰년이 연의 기준이 었지만 삼국지 8편부터는 정사가 반영되어 249년에 자연사하도록 수정되었고, 능력치도 크게 처지는 부분이 없도록 조정되고 있다. 하지만 일러스트는 간신배 콧수염을 한 간사한 모습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거기에 능력치가 상향되는 것과 별개로 뜬금없이 의리가 낮게 책정되질 않나 성향이 탐욕으로 설정되는 등, 실제 역사상 주연과 전혀 맞지 않는 이상한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특히 연의만 봐도 주연이 의리가 낮거나 탐욕스러운 장수로 표현될 이유가 없었다는 점에서 도저히 납득이 안 갈 수준.[109] 그나마 삼국지 14에서 소욕 개성이 추가됨으로 드디어 반영이 되긴 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70/수전지휘 70/무력 75/지력 35/정치력 27/매력 60이다.

턱걸이로 장군이 될 수는 있지만 지력과 정치력은 아예 형편없다. 정사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시대인지라 어쩔 수 없는 능력치다. 게다가 손권과 동갑인데 출생년도가 182년이 아니라 174년으로 손책보다 1살 많다. 후속작부터 나이가 수정이 되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2/무력 70/지력 65/정치력 62로 나름대로 준수하다. 분투, 연사, 투함, 정란 등 알짜배기 병법들을 보유하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6/무력 66/지력 71/정치력 60/매력 79에 총 능력치 합은 362로 50위 안에 아깝게 못드는 정도. 특기는 무려 12개나(보수, 훈련, 화시, 일제, 진정, 고무, 은밀, 저지, 유인, 나선, 명사, 제독) 된다.

이번작은 통솔력만이 부대의 전투력에 영향을 미치는 데다가 주연 본인이 전투 관련 특기를 잔뜩 지니고 있기 때문에 전투에 관해서는 상당히 좋은 무장이다. 통솔력만 놓고보면 그 장비황충과 동급이다. 다만 부대의 행동력에 영향을 미치는 무력과 지력은 평범한 수준이기 때문에 군사 특기의 지휘를 받을 수 없는 총대장보다는 부장으로 출전시키는 편이 더 낫다. 주인공으로 쓸 때는 명사 특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주로 적 군주를 설득시켜 항복시키는 편을 만드나 설전 특기가 없어서 아쉬운 점이다. 또한 성격이 '대담'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저돌'만큼은 아니지만 적의 유인에 쉽게 걸려든다. 강릉에서의 전투를 봐도 당연히 성격은 '냉정'으로 설정되어야 하는 부분인데 역시나 저평가 된 부분. 게다가 검소하다는 평가는 어디가고 물욕도 '강욕'으로 설정되어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통솔력 79/무력 70/지력 71/정치력 60/매력 75.

무력이 올랐지만 통솔력이 다시 79로 하향을 먹는 등, 총합이 354로 줄어버렸다. 게다가 특기마저 수상전 외에는 잉여인 수장이다. 가뜩이나 특기마저 별 볼 일 없는데 그 특기마저 무력 의존 특기인데 주연의 무력은 고작 70... 이 정도면 수전을 하러 나온 문관 상대로나 크리티컬을 터뜨리는 정도고 엥간한 잡장만 되더라도 크리티컬이 안 터진다. 사실상 추진이나 조타 특기보다 못한 셈.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콧수염을 만지고 있으며 전법은 기군신속. 하지만 오나라는 기병 장수가 적어서 유용하게 쓰기 힘들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69/지력 71/정치력 60. 특기는 훈련 3, 순찰 4, 수영 5. 전수특기는 수영으로 전법은 대화계. 음성은 관리.

전수특기도 좋고 주유의 신화계 다음으로 강력한 화공계열 전법이라[110] 적으로 삼으면 골치아프고 자군에 있으면 든든한 무장이다. 무력이 1타급으로 높지 않아서 아쉽지만.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9, 무력 69, 지력 71, 정치 60, 매력 77로 개성은 화공, 신중, 담력, 견뢰, 소욕, PK에서는 신중 개성이 삭제되고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으며 주의는 왕도, 정책은 화계연구 Lv 3, 진형은 안행, 방원, 정란, 전법은 화시, 철벽, 저지, 구축, 강습, 친애무장은 손권, 육손,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용장남으로 설정되었다.

209. 주우

해당 항목 참고.

210. 주유

주유(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11. 주윤

파일:주윤.jpg
삼국지 14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으로 창을 짚은 채 오빠 다리를 하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50, 무력 56, 지력 45, 정치 22, 매력 19다. 개성은 오만, 주의는 명리, 정책은 화계연구 Lv 1, 진형은 학익, 전법은 화시,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거만남.

아버지 주유가 불과 관련된 특기를 시리즈 내내 받아와서 그 자식인 주윤 본인도 그 특징을 이어받았으나 화공 개성이 없고 호부견자급으로 능력치가 처참하다. 이쯤이면 아버지의 장점은 이어받지 못하고 단점은 이어받았다고 해도 틀리지 않다.

212. 주이

파일:Zhu_Yi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Zhu_Yi_%28ROTK11%29.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3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나와도 특별할 게 없는 무관의 능력치를 가지고 나오는지라 인지도는 바닥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2/지력 68/정치력 64.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투함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8/지력 65/정치력 48/매력 55로 역시 볼 거 없는 능력치인데 특기는 반목, 반격, 명사, 제독. 총 4개다.

아비빨인지 명사, 제독 특기를 가지고 있으며 통솔력이 71이면 시대를 감안할 때 못 써먹을 능력치까지는 아닌데 전투에서 쓸 특기라고는 반목 하나밖에 없다는 게 문제. 지력이 65밖에 안되는지라 여러모로 미묘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68/지력 60/정치력 45/매력 54.

병과 적성은 창병 B/극병 A/노병 B/기병 C/병기 C/수군 A에 특기는 없다. 능력치는 평범하지만 수명이 길기 때문에 남만정벌 시나리오에서는 키워볼 만한 무장 중 하나.

삼국지 12에서는 처음엔 짤렸다가 PS3판과 PK에서 추가되었는데 멋지게 생긴 일러스트지만 문제는 태사자의 이번작 일러스트와 너무 닮았다. 자세히 보면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상태에서 등을 보인 채 고개를 돌리고 있다.

전법은 대타격. 삼국지 10 마냥 후반기 시나리오가 있었다면 주이 본인의 대타격도 꽤나 무서운 한 방 공격이었을 것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73/61/45. 특기는 순찰 1, 연전 2, 수영 2. 전수특기는 연전이며 전법은 역경지휘.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68, 지력 61, 정치 45, 매력 55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수전, 동원, 주의는 왕도, 정책은 학익강화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전법은 철벽, 고무,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여거, 혐오무장은 문흠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213. 주적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14.jpg
삼국지 13 PK, 14

오랫동안 오나라의 군권 1인자 중 유일하게 출연이 없었던 굴욕을 겪었으나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아버지 주연도 능력치가 저평가 되었던 것처럼 이 쪽도 능력치는 시원찮다. 그나마 주적 본인의 활약 시기를 감안한다면 주력으로 굴릴만은 하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도검을 든 채 왼손을 펼치면서 손짓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8/52/68/38. 특기는 순찰 3, 교섭 1, 연전 1, 공성 1, 견수 2로 전수특기는 순찰보다 2 낮고 견수보다 1 낮은 연전이며 전법은 궁공강화. 음성은 용장. 원래의 초기 능력치는 통솔이 50도 안 될 정도로 매우 낮고 병종 적성도 전부 C급에 무력만 70대였으나 패치를 통해 수정되었다. 무력이 낮아지긴 했지만 오히려 장군으로 많이 활약했던 걸 생각하면 패치로 수정된 능력치가 더 고증에 맞는 셈.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57, 지력 69, 정치 55, 매력 65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5, 지력이 1, 정치력이 17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7 하락했다. 개성은 규율, 직정, 주의는 왕도, 정책은 학익강화 Lv 3, 진형은 방원, 학익, 장사, 전법은 화시, 저지, 구축,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제갈각, 제갈융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규율 사기급 개성이 있지만 전투 능력이 약간 낮은 것이 단점. 그나마 방원진형이 있어 아버지인 주연의 연계 보정을 받을수가 있다는 점.

214. 주조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4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8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2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는데 보통 구성의 부하로 나온다.

삼국지 11에서는 구성 혼자만 살아남아 쓸쓸한 군주 생활을 영위했다.

삼국지 12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삼국지 8과 비슷한데 풍채가 후덕푸줏간 주인스러운 모습으로 오른손에 든 도끼를 들고 나온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3/68/26/22. 특기는 훈련 1, 순찰 1, 공성 3, 수영 2. 전수특기는 공성이고 전법은 기공약화. 음성은 난폭.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3, 무력 68, 지력 29, 정치 26, 매력 47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3, 정치력이 4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0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적도,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방원, 전법은 철벽, 친애무장은 곽석, 구성,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난폭남이다.

215. 주준

파일:Zhu_Jun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58.jpg
삼국지 12, 13, 14

초반에는 황보숭을 압도하는 능력치를 달고 나온다. 후반으로 가면 황보숭보다 통솔력과 지력이 약간 낮지만 무력, 특히 정치가 황보숭보다 높아서 능력치 총합은 황보숭보다 높게 나오는 편이다. 상성은 동탁이나 조조보다는 유비하진이랑 근접한 편이라서 노식과 함께 유비 쪽이랑 상성이 잘맞다. 삼국지 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는 주준 본인이 아니라 주전이라는 이름을 달고 등장한다.[111]

육전지휘 78과 매력 80을 달고 등장하지만 나머지 능력치들은 죄다 별볼일 없다. 그래도 육전지휘 63밖에 안 되는 황보숭보다는 상황이 나아서 장군은 될 수 있다. 조무와 더불어 매력치가 높은 장군이기에 태수를 시켜주면 좋다.

삼국지 5에서도 역시 황보숭, 노식과 함께 하진 또는 동탁의 수하 장수로 등장한다.

용명이 높아서 병력을 많이 보유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으며 정치나 매력 능력치가 준수해서 인사, 외교, 내정 쪽으로도 돌리기 좋다. 다만 인사 담당으로는 황보숭이나 노식을 더 많이 쓰는 편이라서 외교로 쓰는 것이 무난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40/지력 72/정치력 77로 나쁘지는 않지만 좋다고 하기도 좀 아쉬운 능력으로 나온다.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충차, 덫을 가지고 있지만 무력은 가히 내정을 맡은 문관 수준일 정도의 시궁창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62/지력 73/정치력 70/매력 78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배 넘는 22나 상승했다. 특기는 6개.(보수, 징병, 화시, 진정, 반목, 명사.)

무력이 낮고 설전 특기가 없긴 하지만 기본 지력이 70대에 일단 명사 특기가 있으니 도적은 어떻게든 상대할 수 있고 징병 특기는 유용하다. 통솔력 수치에 비해 보유한 특기가 적어서 전장에선 약간 아쉬움이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능력치들이 상향된 무력, 정치력 빼고 통솔력 78/무력 65/지력 70/정치력 71/매력 73으로 너프되고, 병과 적성은 S가 없고 극병, 노병, 병기만 A다.

게다가 특기는 화공이라 고증을 살렸지만 특기의 효율성 때문에 그다지 영 좋지 않다. 그나마 나름대로 굴려갈 수가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턱수염만 기른 모습으로 변경되었는데 뒷짐을 진 상태로 곽사에게 호통을 치는 모습으로 보인다.

병과가 궁병에 통솔력이 89으로 상향되고, 특기는 병심, 변설 뿐이지만 전법은 전공성강화이라 백 도어용으로 쓸만하고 통솔력 89의 궁병은 아주 좋은 측에 속해서 나름대로 쓸 만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66/지력 70/정치력 71.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조금 너프되긴 했으나 황건의 난 시나리오로 플레이 시 +3 관직 보정을 받아 통솔력은 87, 무력은 69까지 올라간다. 특기는 상업 3, 농업 1, 문화 2, 훈련 6, 순찰 7, 연전 5로 전수특기는 순찰이다. 음성은 노옹.

궁병 적성이 A급이고 전법도 '제사지휘'라 궁병으로 쓰면 좋은 편이다. 중신특성은 병참관리로 상당히 좋은 특성이기는 하나 주준의 정치력이 낮은 게 흠. 태수나 도독이라면 상관 없기는 하다. 특이하게도 제갈량과 더불어 내정 관련 특기를 모두 갖고 있다. 후유증으로 인해 혼절하여 쓰러진 뒤 시름시름 앓다가 죽었는데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지 않고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4, 무력 63, 지력 70, 정치 71, 매력 75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화공, 모집, 위무, 분쇄,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화계연구 Lv 4, 진형은 안행, 학익, 투석, 전법은 화시, 견제, 업화, 투석, 친애무장은 노식, 손견, 원유, 황보숭, 혐오무장은 동탁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DLC 시나리오인 성씨패란에서 여강에 자리잡고 부하로는 주개, 주거, 주광, 주령, 주삭, 주연, 주이, 주적, 주찬, 주치, 주포, 주환까지 총 12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가화, 노숙, 노숙, 뇌서, 대교, 사적, 소교, 송겸, 정봉, 정봉, 종리목 총 11명이 있으며 손견의 부하인 주치가 처음부터 군사로 설정되어 있는데 전투력이 뛰어난 무장들이 많지만 지력과 정치력이 약간 부족한 세력이라 노숙부터 얻고 군사로 변경한 뒤 국력을 쌓는 것이 좋다.

216. 주준

파일:external/kongming.net/zhoujun.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62/57/52. 병법으로는 제사, 누선, 정란을 가지고 있다.

217. 주지

파일:주지.jpg 파일:external/kongming.net/621-Zhou-Zhi.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41.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워낙 후반 장수라 있었는지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무력만 높은 장수로 등장하는데, 이 무력만 80대 중반으로 높지만 활약 년도가 270대라 후반기에 혼자 80 중반의 무력으로 적진을 휘젓고 다닐 수 있다. 왕쌍서질 처럼 무력만 높지만 너무 후반기에 등장하다보니 거의 전반기의 90대 초반 무장들 수준의 희소성을 보여준다.

삼국지 11탄까지는 열전에 기술 없음이라 나오지만 진서 두예전에 나오는 실존 인물이다. 삼국지 13 열전에는 '삼국지에는 기술 없으나 진서에 연의와 거의 같은 기술'로 바꾸어서 오류를 정정했다.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가 삼국지 14에서 손일의 일러스트로 재활용되었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1/지력 47/정치력 27/매력 44다. 보유 진형은 어린/수진이고, 습득 특기는 혼란/내분/복병/수습/수계/화시다.

시나리오 7의 시작으로부터 20년이 지난 254년에서야 등장한다.

삼국지 6에서는 전술 시뮬레이션 모드 사마의 루트의 오 토벌전에서 3월 4일에 두예와 함께 진 측의 원군으로 등장하는 것으로 나온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무력 84/지력 42/정치력 24.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몽충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84/지력 42/정치력 29/매력 44로 역시 무력돼지에 걸맞는 능력치. 특기는 총 5개다.(돌격, 기합, 반격, 역공, 제독)

특기 중 3개가 일기토 특기이고(기합, 반격, 역공) 그걸 빼면 역시 무력돼지에 걸맞는 돌격과, 장사에서 수군을 이끌고 손흠을 붙잡은 것을 반영한 듯한 제독 특기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특기는 잉여 특기로 불리는 추진이다.[112]

거기다가 연의에서 죽인 심영은 특기가 극장이라서 주지 지못미.[113] PK라면 특기를 바꾸면 된다. 이 때부터 일러스트가 콧수염에서 턱수염을 기르는 모습으로 등장하게 된다.

삼국지 12에서는 본인이 정사에서 잡은 손흠이나 연의에서 죽였던 심영 등 후반기 장수들이 대거 짤렸음에도 살아남는 저력을 보였다. 일러스트는 정황상 손흠의 뒤를 다가가는 모습인 듯하며 전법은 복병이라서 좋은 편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85/지력 42/정치력 29. 특기는 훈련 3, 순찰 4, 연전 3, 견수 4, 일기 2. 전수특기는 순찰로 전법은 기병공격진이다.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85, 지력 41, 정치 29, 매력 44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소탕, 조타, 공명, 주의는 패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4, 진형은 장사, 추행, 투석, 전법은 급습, 투석,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두예,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소탕 개성에 맹장형이지만 육지전 진형이 장사 밖에 없어서 이번작에 좋은 개성 소탕에 대한 활용이 불가능한 편이라 소탕 개성 소유자 중에서 최약체다. 그래도 수군 쪽에 활용 가능하기 때문에 수상전빼면 내정용으로 전락된다. 또한 전작들과 다르게 영웅집결에서 사마의 세력에 속하지 않는다.

218. 주찬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13.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3삼국지 8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랜만에 복귀했는데 별 특징 없는 잡장 평범한 장수로 나온다.

삼국지 3에서는 평균 능력 70대의 그저 그런 장군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8에서는 무력 외의 능력치가 더 깎여서 무력 71/지력 38/정치력 36/매력 47이 되었다. 그리고 이번작에서 자신과 동향인 조준이 잠깐 등장했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조운에게 죽기 전의 모습인데 자세히 보면 이를 악문 채 두 손으로 검을 위로 들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71/지력 38/정치력 36. 특기는 순찰 2, 분전 1. 전수특기는 순찰이고 전법은 기방강화.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68, 지력 34, 정치 26, 매력 4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3, 지력이 4, 정치력이 10 하락했다. 개성은 경솔, 주의는 명리, 정책은 장사강화 Lv 2, 진형은 장사, 전법은 돌격, 친애무장은 조진,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경솔이라는 패널티 개성 때문에 전장에서 사용할 때 주의가 필요하다.

219. 주창

파일:삼국지3주창.png
삼국지 3
파일:Zhou_Cang_3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240-Zhou-Cang.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hou_Cang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42.jpg
삼국지 12, 13
파일:주창14.jpg
삼국지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주로 80대 중반을 오르락내리는 무력을 지니고 나오는 등, 가공인물 치고는 상당히 후한 능력치가 특징이다. 같은 가공인물인 담웅이나 실존인물이면서도 오두미교의 신선이 되었다는 장위보다도 높은 능력치를 달고 등장한다. 담웅과는 같은 가공인물이라는 점을 들어서 능력치가 전반적으로 비슷하지만, 대체적으로 주창 쪽이 모든 면에서 다소 높게 책정되어 있다. 한편 수영을 잘 했다는 설정 때문에 수군 관련 능력치나 특기가 잘 갖춰진 경우가 많다.

능력치가 B ~ B+급임은 부정할 수 없지만, 사기급 무장들을 주렁주렁 달고 있는 유비군에서는 크게 눈에 띄지 않는다. 주창 본인이 가장 유용한 세력은 바로 황건적. 장각 일족과 요화, 관해 정도를 빼면 멀쩡한 장수가 없는지라 유용하게 쓰인다. 사실 주창도 무력만 좀 높지 다른 건 평범하다.

예를 들면 삼국지 14 기준의 스탯으로 따지면,
장수 통솔력 무력 지력 정치력 매력
주창 60 85 40 35 55
담웅 50 75 30 25 35

이런 식이다. 모든 능력치에서 주창이 10~20정도씩[114] 담웅을 앞질러 있다. 특이사항으론 방덕을 수중에서 싸움 끝에 사로잡았다는 연의의 기록을 반영하였는지 촉 장수들중에선 드물게도 관우와 더불어 수군 관련 특기들이 있다. 삼국지 5에서 수진을 가지고 있다거나, 삼국지 10에서 제독 특기를 가지고 있다거나, 삼국지 13에서 특기가 수영 5레벨이 있다거나.

여담으로 얼굴은 매 시리즈마다 고유 얼굴이 존재하긴 하지만 마치 관우장비를 섞어놓은 듯한 얼굴이다. 100만인의 삼국지는 관우를 약간 더 닮았고 삼국지 14는 장비를 약간 더 닮았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전지휘 82, 수전지휘 70, 무력 85, 지력 30, 정치력 24, 매력 58, 야망 9, 운 7, 냉정 8, 용맹 11.

무력 하나만으로도 장군이 가능하지만 무력이 살짝 낮아지더라도 육지와 수지의 평균치가 76인 관계로 장군이 가능하다. 촉나라에서는 조운, 관우, 장비, 장포, 관흥 등 다수의 뛰어난 장수들이 많아서 빛이 좀 바래지만 그래도 전쟁에서 쓰기에는 손색이 없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63/무력 85/지력 29/정치력 36/매력 59, 특기는 해전, 낙석, 호통.

비교적 높은 무력을 지녔음에도 낮은 통솔력으로 인하여 장군[115]이 불가능하다.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 한글판 열전에서는 오역으로 연의에는 등장하지 않는다고 쓰여있다.

삼국지 5에서의 능력치는 무력 82/지력 29/정치력 31/매력 54, 보유 진형은 봉시/수진, 특기는 고무, 복병, 화계, 분기, 수신, 무쌍이다.

능력치는 손권군이라면 평범하나 유비군에서는 관우, 미방과 더불어 '수진'을 갖춘 몇 안되는 장수다. 물 위에서는 관우&주창 콤비로 활약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83/지력 56/정치력 39. 병법으로는 분전, 몽충, 매도를 가지고 있다.

83이라는 무력도 주창 본인이 활약할 시기에는 그리 높지 않고 노병, 궁기병계 병법이 하나도 없으며 보병계 병법도 분전 뿐이라 별로 쓸 만한 장수는 아니다. 그나마 몽충을 가지고 있다는 게 장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1/무력 84/지력 49/정치력 31/매력 58로 특기는 치안, 기염, 반격, 역공, 제독. 총 5개다.

전투에서 쓰기엔 미묘한데 여남서 유비군 재결성했을 때나 극초반 우울한 황건군 소속이 아니라면 전장에서 쓰긴 좀 그렇다. 일기토 특기 3개를(기염, 반격, 역공) 빼면 남은 특기도 치안, 제독이 끝. 제독 특기는 방덕을 물에서 싸워 사로잡았다는 연의의 기록을 반영한 듯 싶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84/지력 42/정치력 33/매력 60으로 전작에서 암울하던 지력이 더 깎였다.

특기도 잉여인 추진인데 적성조차 극병과 수군만 A고 기병 B, 나머지는 C라서 무력 크리티컬 괴물들이 넘쳐나는 유비 진영에서는 뾰족히 내세울 만한 게 없다. 황건군 소속일 때에 존재감이 더 빛을 발하는 편이지만, 그나마 여기서도 특기 문제 때문에 유벽에 비하면 밀린다. 무력은 꽤 높지만 통솔력이 낮으니 통솔력이 괜찮은 무장과 의형제를 맺고 지상에서는 극병 위주로 써먹자. 물에서는 적성도 괜찮아서 나름대로 쓸 만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관우의 청룡언월도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호통을 치고 있는데 익양대치 때 관우와 노숙의 단도부회 회담 도중에 "닥쳐라! 세상 천하는 덕이 있는 자의 것인데 어째서 오나라 너희가 형주의 주인 노릇을 하느냐!" 라고 따지는 모습이다.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84/지력 42/정치력 33으로 전작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졌다. 촉에서는 발붙일 자리가 없을 만큼 빈약하긴 하지만, 위촉오 이외의 중소 세력에서는 엄청나게 쓸 만한 장수가 된다. 무엇보다 전법이 대타격이라는 점에서 먹고 들어간다. 감시와 보수 특기가 모두 있고 무력이 준수하므로 치안/명성을 위해 순찰국 전담 무장으로 써도 매우 효율이 좋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84/지력 42/정치력 33.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6 올랐으며 중신특성은 없고 전법으로 방원진을 들고 나온다. 자부대 방어력을 2단계 올려주고 범위공격을 가능하게 한다. 병과 적성은 창병 B/기병 C/궁병 C이고 특기는 훈련 2, 분전 5, 연전 6, 수영 5, 일기 5로 전수특기는 연전이다.[116] 음성은 무례.

관우와 특수인연 무신의 시종이기 때문에 관우의 부장으로 활용하는 편이 효율적이다. 또한 반동탁연합 시나리오 때 소패에서 재야로 등장하기 때문에 전투 요원이 부족한 도겸군으로 플레이 한다면 등용을 해서 전투용으로 써주자.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왼손으로 들고 있는 창을 아래로 내린 채 호통을 치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84, 지력 42, 정치 33, 매력 54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장구, 불굴, 포박, 조타, 주의는 할거, 정책은 수군육성 Lv 4,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분전, 경파, 대갈, 강습, 친애무장은 관우, 관평, 배원소, 왕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출진 화면에서 장구 개성 설명 때 "말을 짊어져서라도 하루 천 리를 주파하리라!"라는 전용 대사가 뜬다.

220. 주치

파일:Zhu_Zhi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aa54624ea95d76129b192f69260a490f0a3045a974d5c6363337cfba181ed56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전형적인 내정형 문관으로 나온다. 헌데 일러스트는 무관형...사실 무력이 낮아서 그렇지 통솔도 어느정도는 된다. 단 초반 시리즈에서는 그냥 잉여로 나왔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0/58/72/74이며 병법으로는 제사, 투함, 고무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0/58/74/73/76이며 특기는 기술, 치안, 화시, 진정, 고무, 저지, 유인, 군사, 명사, 제독. 총 10개다.

그저 그런 무장같이 보이지만 군사특기가 있다! 이거 하나만으로도 엄청 쓸 만하고, 내정 쪽으로는 치안, 기술 특기가 있어 활용도가 생각보다 높은 무장. 물론 참모로는 시나리오 1에서도 정보(지력 78)가 있기 때문에 무리. 애초에 지력 74로 참모가 되어봤자 별 도움이 안 되지만.

삼국지 11에서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1/56/72/73/75이며 특기도 친월이라 B급도 안 되는 잡장으로 나온다.

게다가 오나라 장수인데 수군 적성마저도 C라서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수준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어두운 얼굴을 한 상태에서 검을 끼워 넣은 채 팔짱을 끼고 있는데 어쩐 일인지 외모가 조조와 매우 비슷하게 되었다.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56, 지력 72, 정치 73이며 후방에서 성을 지키는 역할을 주로 맡았다는 걸 감안했는지 전법은 전공성약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9, 무력 56, 지력 72, 정치 73이며 특기는 상업 1, 수영 4. 전수특기는 수영으로 전법은 속공명령.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0, 무력 56, 지력 72, 정치 73, 매력 7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위무, 친월, 소욕, 주의는 예교, 정책은 지역순회 Lv 3, 진형은 안행, 학익, 전법은 연노, 격려, 고무, 친애무장은 손책, 여범,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공격용 전법이 있지만 무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이나 위무라는 개성 덕분에 도시에 배치하면 도적의 출현을 막을 수 있다.

삼국지 8 리메이크에서는 통솔 73, 무력 65, 지력 71, 정치 74, 매력 75로 도저히 이전까지는 일선 무장으로 볼 수 없었던 전투관련 능력치들이 대폭 상승했다. 하지만 상승했다고 해도 전투용 스탯이 역시 저평가 중인 아들 주연만도 못한 능력치라 저평가는 계속 이어지는 셈이 되었다.

221. 주태

주태(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22. 주태

파일:external/kongming.net/617-Zhou-Tai2.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4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사람들이 주태라고 생각했다가 등용하고 난 뒤 험악한 능력치에 놀라게 만드는 역할이다. 하지만 능력치 총합은 이 위나라의 주태 본인이 더 높다. 그 이유는 오나라의 주태는 무력은 기라성급이지만 머리를 쓰는 능력, 특히 정치력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삼국지 11 기준으로 오나라의 주태는 통솔력 76/무력 91/지력 48/정치력 38/매력 60, 총합 313, 위나라의 주태는 통솔력 71/무력 64/지력 71/정치력 64/매력 59, 총합 329. 위나라의 주태가 총합이 더 높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7/지력 70/정치력 71. 분전과 제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파괴와 덫도 있어서 책사과 무장 양쪽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63/지력 73/정치력 62/매력 60으로 총합 329이지만 특기는 농업, 화시. 달랑 2개.

정치가 62밖에 안 되는지라 내정으로 쓰기도 애매하다. 이와는 별개로 능력치가 통무지정매 순인 76/91/50/37/61, 총합 315의 오나라의 주태를 이 때도 앞섰다.

삼국지 11부터 일러스트가 콧수염을 기른 모습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2에선 짤렸다가 대전판에서 추가됐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든 검을 옆으로 내밀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삼국지 11 때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이며 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기동약화.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1, 무력 63, 지력 73, 정치 64, 매력 6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상승한 대신 무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침착, 독려, 진흥,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운반개발 Lv 3, 진형은 어린, 학익, 정란, 전법은 화시, 견제, 혼란, 구축, 친애무장은 배잠, 사마소, 사마의,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만능형이라 내정, 전투 양 쪽 방면으로 쓰인다.

223. 주포

파일:external/kongming.net/251-Zhu-Bao.jpg
삼국지 9, 10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61.jpg
삼국지 12, 13, 14

보통 옹개의 부하 무장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능력치는 통솔력이 60대 전후, 무력이 70 전후 정도. 능력치는 3인방 중에 중간에 된다. 다만 주포 본인은 존재감 자체가 적어서 부각되는 면이 적고 고정보다 지정매가 낮아 총합으로 낮은 편이다. 삼국지 4편과 삼국지 5편, 삼국지 6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는 정치력이 67이어서 머리 쓰는 일을 아예 못하는 남만 소속 중에서는 그나마 도시 운영을 할 줄 아는 인간이라 맹획 세력에서는 상당히 중요한 인재다.

이놈과 타사왕을 이용해서 상업투자나 열심히 하는 게 좋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1/지력 18/정치력 26. 병법으로는 분투, 충차 뿐이지만 그래도 이 때에는 고정보다 낫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9/무력 72/지력 12/정치력 19/매력 37에 특기는 기염 단 1개. 옹개 3인방 중에 가장 능력치가 떨어진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3/지력 34/정치력 32/매력 40.

통솔력이 68로 상승되고 특기는 없으나 적성은 극병 A와 병기 A로 의외로 나쁘지 않은 편. 여담으로 이번작의 일러스트는 카이저 수염을 한 채 멋진 모습으로 나왔다.

삼국지 12에서도 살아남는데 성공한다. 일러스트는 깜짝 놀라면서 두 손을 펼치고 있는데, 악환이 자신을 죽이려고 하자 당황하는 모습을 나타낸 듯하다.

전작의 멋진 일러스트와 비교해 보면 불쌍할 지경. 투구 모양을 보면 삼국지 8~삼국지 10의 일러스트가 베이스인 듯하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3/지력 34/정치력 32. 특기는 훈련 2, 순찰 1, 견수 3. 전수특기는 견수이고 전법은 주위공격. 음성은 보통. 생몰년도가 191~225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특이하게 소심해 보이는 일러스트와는 달리 성격이 저돌적으로 되어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 무력 73, 지력 24, 정치력 22,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2,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0 하락했다. 개성은 경솔, 주의는 아도, 정책은 학익강화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제사,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87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전장에서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하는 경솔이라는 패널티 개성 때문에 옹개 세력이 확장이 될 쯤 내정용으로 쓰인다.

224. 주환

파일:삼국지3주환.png
삼국지 3
파일:Zhu_Huan_2_(1MROTK).webp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Zhu_Huan_%28ROTK11%29.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5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조인을 이긴 것이 임팩트 있게 나오기 때문인지 무력, 통솔력 80대에 지력 70대를 보유한 준수한 올라운더 무장이다. 다만 직접 나서서 백성을 구제하고, 본인의 1만명에 달하는 사병들의 이름과 심지어 그들의 가족까지 일일이 외우고 있었으며 포상이 부족하면 자신의 재산까지 털어 베풀었을 정도로 워낙 부하들에게 잘 대해주어 죽었을 때 부하들이 곡을 하였을 정도의 덕장인데도 불구하고, 누군가의 명령을 듣는 것을 싫어하여 상관인 호종과 불화했던 점을 반영한 것인지 초기작에 80대였던 매력이 후기작에 들어서는 50대로 크게 깎였다. 어찌보면 동 세력의 문관인 우번과 비슷한 예. 헌데 우번은 애초에 사람 자체가 좀 꼬인 성격이었던 반면 주환은 위에 적혀있는 예시대로 부하들에게는 덕장으로 유명한데 누군가의 명령을 받는 것을 싫어하여 윗사람과 불화했다는 이유로 매력을 깎였으니 좀 억울할 법 하다. 사실 주환을 빼고 다른 유사한 사례, 즉 부하에게는 후덕하지만 동료나 윗 사람에게 다소 까칠하게 대한 케이스는 죄다 매력이 높은데[117] 주환만 이렇다.

의외로 삼국지 전 시리즈에 개근 중. 일러스트는 심하게 널뛰기한 편인데, 소년 장수와 웬 아재가 왔다갔다 한다. 단적으로 삼국지 삼국지 1~삼국지 9까지의 일러스트는 이미지가 전부 다르다. 시리즈별 일러스트 모음을 보면 도저히 동일 장수로 보이지 않을 정도. 삼국지 10 이후로는 적당히 준수한 외모의 소년 장수로 이미지가 확립되었다. 《삼국지연의》의 오류를 그대로 답습한 예. 그나마 원래 출생일은 177년생인데, 게임에선 170년대 초반 출생으로 나온다. 오류 중 하나지만, 적어도 183년 출생을 174년으로 왜곡하는 것보다 나은 편이다.

삼국지 3에서는 한국어판 한정으로 주항으로 오역되어 나온다. 능력치는 육전지휘 76/수전지휘 81/무력 83/지력 75/정치력 69/매력 82에 야망 11, 운 7, 냉정 8, 용맹 9로 꽤나 준수하게 나오는데 이건 완전히 학소 마크 2다.

후반으로 가면 아주 귀중한 인재가 된다. 용맹과 무력으로 따진다면 톱클래스에게는 발리고 그 나머지는 정리하는 수준이다. 매력도 꽤 높으니 태수(특히 전방지역)/총사령관으로 좋은 인재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7/무력 84/지력 81/정치력 59. 병법으로는 분투, 돌진, 연사, 누선, 정란을 가진 꽤 준수한 장수.

일러스트가 영걸전 시리즈장합처럼 털보숭이로 나온다. 그래도 능력치는 서성과 비슷하고 정치력을 제외한 모든 능력이 80대에 달한 무장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5/무력 82/지력 74/정치력 54/매력 59에 특기는 11개.(보수, 훈련, 화시, 일제, 진정, 기습, 저지, 기합, 기염, 역공, 명사)

전투, 일기토에 특기가 치중되어 있지만 보수, 훈련 특기가 있으니 내정쪽으로도 그럭저럭 쓸 수 있고 명사 특기도 가지고 있다. 특이점으로는 오나라 인물 치고 제독 특기가 없고, 실제 역사에는 부하들에게 나눠주는 의를 중시하는 사람인데 이상하게도 물욕이 탐욕으로 나온다. 일러스트는 연의의 오류로 다시 소년 장수로 나온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82/지력 73/정치력 56/매력 59이고, 병과 적성은 창병 S/극병 A/노병 A/기병 B/병기 C/수군 S. 특기는 창 적성 S답게 창장이다.

손책 이후로 육상 전법에서 두각을 드러내는 장수가 딱히 없는 오나라측이라 매우 귀중한 인재이며 오나라의 메인 나선첨 딜러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오의 재야 무장으로 있어서 엄백호왕랑 세력의 희망이 되는 장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든 검을 앞으로 내밀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82/지력 77/정치력 56, 전법은 창군견수. 능력치도 괜찮고 전법도 좋지만 주환이 활동할 시기에는 오나라에 쓸만한 창병이 많지 않다. 같은 전법이자 같은 오나라 장수인 한당손견이나 손책 등 좋은 창병들과 함께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5/무력 82/지력 77/정치력 56으로, 통솔력이 전작보다 1 올랐으며 특기는 훈련 6, 분전 6, 공성 6, 수영 7, 일기 2 등 적절히 있다. 전수특기는 수영이며 전법은 대화계. 지력이 나쁜 편은 아니나 오나라에는 주유의 신화계와 육손의 열화계가 있기에 대화계는 묻힌다. 음성은 청년.

다만 창병 적성 A, 기병 적성 B, 궁병 적성 A로 이번 작품의 적성이 매우 짠 편임을 감안하면 매우 준수한 적성을 부여받았으며, 주로 오나라의 군주군무중신을 맡게 되는 여몽이나 감녕 등의 중신 효과로 창이나 궁 적성 중 하나는 보통 S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장수 편집이나 에디터를 사용한다면 전법만 바꿔줘도 무결점의 장수 중 하나가 된다. 후반기 오나라를 지탱하는 장수이자, 왕랑, 엄백호 세력의 희망이 되는 장수이기도 하다. 오에서 재야로 나오기 때문. 실제 역사에서 상관과 불화했고 남의 명령을 받는 것을 치욕이라 생각했다는 이유로 여전히 매력에서 피해를 보고 있는데, 이번작은 매력이라는 능력치 자체가 없어진 대신 특기 인덕이 가장 크게 매력 능력치를 대신하고 그 외에는 물욕과 의리 성향 등이 일부 대체하는데, 조금 과장이 섞인 듯 하지만 어쨌든 1만명에 달하는 본인 사병들의 이름을 넘어 그들의 가족까지 일일이 외우고 다닐 정도였으며, 포상이 부족하면 흔쾌히 자신의 재산까지 털어 부하들에게 나누어 줄 정도로 부하들을 잘 대해주었던 주환임에도 의리는 보통이고 물욕이 무욕이다. 자부심이 강하여 다른 사람의 명령을 하급자로서 수행하는 것을 싫어하였고 본인이 지휘하는 것을 좋아하였다고 하는 부분은 좋게 말하면 출세욕, 나쁘게 말하면 권력욕이니 물욕 쪽에 포함시키고 직접 발벗고 나서 백성을 구제하고 1만명에 달하는 본인 사병들을 넘어 그들의 가족까지 일일이 이름을 외울 정도로 병사들에게 잘 대해주었다는 모습은 의리에 반영하여 의리를 매우 중시로 높혀주고 물욕[118]을 자신의 재산까지 털어 부하들과 혈연 친족들에게 베풀어준 점을 감안한다면 보통, 감안하지 않는다면 강욕으로 바꾸어 주는 것이 더 주환이라는 인물에 적합할 듯 하다. 아니면 인덕 특기를 부여해주는 것도 고려할만 한 듯.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4, 무력 82, 지력 74, 정치 56, 매력 59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지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노발, 과감, 동원, 공명, PK에서는 난폭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어린강화 Lv 4, 진형은 어린, 봉시, 추행, 전법은 급습, 교란, 구축, 강습, 시람, 친애무장은 없고 혐오무장은 호종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225. 주흔

파일:external/kongming.net/619-Zhou-Xi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3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아쉽게도 연의의 설정을 따라 좋은 능력치를 받지 못했다. 그래도 오경보다는 높은 편이다. 점술에 능통했다는 대로 점술이나 천문 관련 특기를 받는 경우가 많다. 뼛속까지 문관인 왕랑 세력에서는 주흔 본인이라도 처음에는 써야 한다. 초기 버전 왕랑군에는 왕랑, 우번, 주흔 달랑 3명 있었다.

삼국지 5에서 주근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역시 왕랑군에 있으며 왕랑군에는 왕랑, 우번, 주근 달랑 3명 있다.

삼국지 6에서 주흔의 일러스트는 가히 충격과 공포. 무슨 이민족 일러스트를 넘어 요괴 일러스트처럼 그려놨다.

능력치도 그다지 좋지 않아 인재가 넘쳐나는 초중기 시나리오에서 자연스럽게 버려져 치안 활동에만 투입하게 된다. 물론 왕랑 세력을 선택했다면 이야기가 다르지만.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68/지력 71/정치력 57. 병법으로는 분전, 제사, 몽충, 덫이 있어서 그런대로 쓸 만한 무장.

연의의 영향인지 성격이 저돌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53/지력 77/정치력 65/매력 62에 특기는 보수, 징병, 저지, 천문, 명사. 총 5개.

뭔가 고르긴 한데 부족해 보인다. 지력이 77인데 제대로 활용할 만한 특기가 없는 것도 조금 아쉽고. 특이하게도 이번작에서는 군웅할거 시나리오와 영웅집결 시나리오 때 어째선지 왕랑 세력이 아닌 유요 세력에 서속해 있고 이번작부터 동생 주앙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11에서는 오경은 특기가 없는데 주흔 본인은 특기가 있지만 잉여스러운 풍수다.

하지만 특기가 아예 없는 오경보다 좋은 대우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왕랑 세력이 아니라 유요 새력에 속해 있고, 군사까지 맡고 있다. 다만 지력이 72로 너프되어 사실상 턱걸이 군사에 가까우니 너무 큰 기대는 말자.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역법에 능했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두 손으로 점술도구를 들고 점을 치는 모습으로 등장했다.

전법은 궁방어강화. 병심 특기가 있어 전투형 무장이 없는 왕랑 세력에선 그래도 초반에 소중한 인재다. 회계에서 나오는 재야 장수들이 궁병이 많기도 하고.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62/지력 73/정치력 65. 특기는 순찰 2, 수영 2. 전수특기는 순찰이고 전법은 공격강화이며 궁병 적성이 A다. 음성은 무례.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5, 무력 58, 지력 73, 정치 65, 매력 62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점술, 동원, 주의는 명리, 정책은 병참개혁 Lv 3, 진형은 봉시, 안행, 전법은 연노, 업화, 치료, 구축, 친애무장은 조조, 혐오무장은 원술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26. 중장통

파일:중장통.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찡그린 얼굴을 한 채 오른손에 든 붓으로 종이에다가 글씨를 쓰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8, 무력 19, 지력 60, 정치 69, 매력 46이다. 개성은 인맥, 학자,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2,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상림,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거만남.

왕성한 저술을 남긴 학자였음에도 낮은 능력치의 잡문관으로 나와서 아쉬움을 준다. 기본적으로 전쟁이 주가 되는 삼국지 게임 특성상 뛰어난 학자라는 점을 지력이나 정치, 매력 능력치로 반영하기가 참 어려운 까닭에 능력치가 낮게 책정된 모양. 사실 신장의 야망 시리즈 역시 유독 유학자 능력에 인색한 경향이 있는 만큼, 게임 시스템의 피해자인 것으로 보인다.

227. 진건

파일:external/kongming.net/104-Chen-Qia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고만고만한 무관형의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72/70/61/49.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기사, 충차, 혼란을 가지고 있다. 모략계 병법 숙련도는 0.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2/67/65/62/51이며 특기는 보수, 돌격, 기습, 반목, 유인, 역공, 명사. 총 7개다.

아버지 따라 명사 특기를 보유.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72/71/65/57/50이며 무력이 상향되었지만 정치, 매력이 깎여서 능력치 총합이 약간 줄었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가 간지나게 그려졌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 든 검을 든 채 돌격하고 있다.근데 능력치는 왜 낮게 만들냐고!

전법은 매우 쓸만한 복병신속.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전수특기는 순찰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순찰이고 전법은 창병수비진.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2, 무력 71, 지력 65, 정치 61, 매력 50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4 상승했다. 개성은 교련, 개수, 주의는 패도, 정책은 시설개발 Lv 3, 진형은 어린, 충차, 전법은 급습, 격려, 충차, 구축, 친애무장은 당빈,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보통남이다.

228. 진교

파일:external/kongming.net/101-Chen-Jiao.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37.jpg
삼국지 12, 13
파일:진교(14).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초기작에서는 대우가 영 좋지 않았다. 하지만 나중으로 갈수록 정치력이 좋아져서 꽤나 쓸모있게 변신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18, 수지 9, 무력 20, 지력 68, 정치 79, 매력 71에 야망 6, 운 7, 냉정 10, 용맹 9라서 내정용으로 밖엔 쓸모가 없지만 정치가 간발의 차이로 군사가 되지 못한다.

그래도 군사로 임명이 불가능한 문관들 중에서는 가장 높은 정치력을 가졌기 때문에 상업 투자를 통한 최고의 금 공급원이다. 오히려 쓸데없이 뻥만 치는 지력 80대 초반의 군사가 되는 것보다는 차라리 이게 낫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3/32/78/82.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파괴, 고무를 가지고 있으므로 부장으로 딸려 보내기 딱 좋다.

평상시에도 80 이상의 정치로 내정에 보탬이 된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41/26/77/84/65. 특기는 4개(상업, 유인, 반박, 명사) 밖에 안 된다.

그나마 상업 특기는 높은 정치 능력치를 살릴 수 있으니 상업 셔틀로 유용. 명사 특기도 갖고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1/27/76/83/64인데 지력, 정치, 매력이 1씩 떨어진 대신 통솔이 2배 넘는 20이나 상승했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조비조조의 뒤를 이을 때 오른손에 검을 든 상태로 왼쪽 소매를 자르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보다 지력이 1 오르고 나머지는 같다. 특기가 명사 밖에 없고 전법도 지력상승으로 구리니까 내정 셔틀로 굴리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1/27/77/83. 특기는 농업 4, 설파 2.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사기회복.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오른손을 가슴에 올리고 왼손을 아래로 한 상태에서 이야기를 하려는 모습으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 61, 무력 27, 지력 76, 정치 83, 매력 6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법률, 능리, PK에서는 감수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호적정비 Lv 4, 진형은 안행, 방원, 전법은 화시, 저지, 친애무장은 설제, 조인, 진등, 혐오무장은 서선, 손책, 원술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전투 능력이 낮아서 내정용으로 쓰인다.

229. 진군

파일:삼국지3진군.png
삼국지 3
파일:Chen_Qun_(1MROTK).png 파일:external/kongming.net/103-Chen-Qun.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3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등장하여 꾸준히 개근하고 있는데 구품관인법 업적을 반영해 위나라의 장소라 해도 좋을 만큼 정치력이 두드러지는 인물로 등장한다.[119] 삼국지 4삼국지 5 시절에는 지력이 높아 군사로 활약하던 때도 있었다. 이후 정치력은 그대로 놔두고 지력은 점점 칼질되어 70대까지 내려갔다. 삼국지 5 이후로는 유비에게 잠시 출사했던 것을 근거로 군웅할거 시나리오(194년 무렵 시나리오) 때 유비의 부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 시나리오가 아니면 보통 허창에서 재야로 있거나 이미 조조의 부하가 되어 있다. 군웅할거 즈음 시나리오에서 유비의 부하로는 기껏해야 유비 3형제와 간옹 뿐이라서 진군은 정말 소중한 인재가 된다.

삼국지 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48/지력 91/정치력 90/매력 74.

특기는 정보, 인재, 제조, 풍문, 낙석, 혼란, 수복, 허보로 좋은 능력치와 알짜배기 특기는 다 가지고 있으며 군사, 시중 모두 가능하다. 조비가 황제로 나오는 221년 시나리오에서 정치력은 위나라 TOP 3, 지력은 TOP 4다.

삼국지 5에서는 장소와 더불어 정치력 최고치(98)를 기록했다.

지력도 93이나 되며 조조의 대두(196년) 시나리오에선 유비의 부하로 있기 때문에 소패, 하비 2개의 땅을 가지고 있는 유비는 이 시나리오에서 엄청 할 만하다. 단 초기 충성도가 86에 유비랑 궁합이 안 맞기 때문에 재수 없으면 첫 턴이 오기도 전에 타 세력에 뺏기는 수가 있다. 특히 궁합이 조조 쪽이라서 충성도 관리를 좀만 안하다보면 조조가 채가버린다. 보통 금 600정도를 쓰면 무난하게 충성도를 100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하비가 거점인 유비완 다르게 진군은 소패 소속으로 있으니 참모로 임명하고 바로 하비로 불러오는 건 필수. 안 그러면 유비군의 참모는 초기 설정 대로 관우가 된다. 군사라서 용명과 상관없이 처음부터 2만 병력을 보유하여 전쟁에서도 병력빨로 밀어붙이기 좋으며 전투적인 측면에서는 진군의 리즈시절이다.

삼국지 6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0/무력 38/지력 87/정치 99/매력 78인데 전작과 마찬가지로 장소와 더불어 정치력 최고치 99를 기록한다. 꿈은 대의, 성장은 보통이다.

지력 역시 꽤나 높게 설정되어 있고 매력도 80에 근접하기에 탑 클래스 문관이다. 군웅할거 시나리오에서는 유비군에 종사하고 이후 시나리오는 조조군에 종사한다. 군웅할거에선 유비군의 군사를 맡지만 나이와 내무경험이 쌓이지 않아 지력이 썩 좋지 않은 편이다. 어떻게 해서든 서서를 빠르게 수색해 군사를 갈아치우는 편이 낫다. 조조군에서는 진군보다 훨씬 지력이 좋은 모사가 많고 정치와 매력은 성장을 크게 타지 않아 계략이나 전쟁보다 내정과 인재등용에 요긴하게 쓸 수 있다.

삼국지 7에서는 이상하게 장양의 부하가 되는 일이 잦으며, 장양이 죽은 후 장양의 후계자 1순위라 진군군이라는 괴랄한 세력이 자주 만들어진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1/무력 7/지력 72/정치력 95. 병법으로는 매도 하나 뿐이다.

당연히 전장에 못 써먹는 능력치도 능력치지만 다른 A급 내정용 문관과는 달리 그 흔한 모략계 병법 하나도 없다. 매도는 혼란보다 한 수 아래고 병법 숙련도도 0라서 그냥 내정용으로나 굴리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8/무력 14/지력 78/정치력 97/매력 77에 특기는 6개다.(농업, 상업, 기술, 보수, 항변, 명사)

하지만농업, 상업, 기술을 모두 가지고 있는 내정계의 스페셜 리스트. 나머지 특기는 보수, 항변, 명사. 후방에 태수로 놓는다면 물자, 병력을 쉽게 불려놓는지라 든든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14/지력 74/정치력 96/매력 73으로, 정치력은 높으나 무특기인 것까지 장소와 흡사하다.

곽가를 탄핵한 건 반영되지 않아서 곽가와 혐오무장 관계는 아니다. 능력연구를 통해 능리 특기를 부여해주면 매우 쓸만하다.

삼국지 12에서는 그의 가장 큰 업적인 구품관인법을 두 손으로 든 채 황제에게 상주하는 모습이 일러스트로 나왔다.

지력이 75이지만 정치력이 96이라 적당히 잘 굴릴 수가 있고, 전법이 파괴력약화라서 수성의 달인이다. 물론 통솔력과 무력이 너무 낮아서 전투에 쓰기가 그렇지만.

삼국지 13의 능력치는 통솔력 32/무력 14/지력 75/정치력 96으로 이번작에 등장하는 인물 중 정치력이 3번째로 높다.[120] 특기는 농업 3, 문화 8, 교섭 7, 언변 7로 전수특기는 문화다. 음성은 책사.

중신특성은 합리철저이고 정치력도 90이 넘어서 내정중신으로 최적인데 조조군일 경우는 군주인 조조가 이미 합리철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중신특성은 좀 잉여가 된다. 근데 또 농업중시나 상업중시 가지고 있는 다른 장수들은 정치가 90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 보통은 조조군에서도 내정중신으로 많이 쓰인다.[121] 전법은 후방지원으로 못 쓸 정도는 아닌 전법이나, 진군의 병과 적성은 모두 C이며 전투 능력치도 저렇고 특기도 없으니 역시 내정관으로나 쓰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32, 무력 14, 지력 74, 정치 97, 매력 73으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명성, 법률, 교화, 능리, 안목, 주의는 예교, 정책은 정령철저 Lv 5, 진형은 방원, 전법은 치료, 친애무장은 사마의, 순욱, 오질, 조비, 주삭, 포훈, 허정,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개성과 능력치만 봐도 내정에 활용하게 되며 거기다가 정령철저 정책 레벨이 전 무장 중 최고 수치라 초반에 선택할 경우 명령서를 많이 늘려준다.

230. 진궁

진궁(삼국지 시리즈) 항목 참조.

231. 진규

파일:Chen_Gui_(1MROTK).png 파일:Chengui_rotkx9.jpg 파일:Chengui_rotk11.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9, 10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39.jpg
삼국지 12, 13, 14

연의를 비롯해 대다수 매체에서는 노회한 계략가 이미지에 장성한 아들을 두어 진규를 백발노인으로 묘사하는데, 사실 정사에 보듯이 생몰년이 확실치 않다. 그러나 아들 진등의 사망 당시 나이나 젊은 시절 원술과 친구였다는 기록을 보면 그렇게 노인이라 불릴 만한 나이는 아닐 것이다.

진등보다 통솔력, 무력 등이 낮은 관계로 총합 능력치는 떨어진다. 일러스트는 서주의 토착 호족이었던 것을 감안해서인지 뭔가 나이 많은 지역 유지 이미지로 그려지는 게 특징. 삼국지 2 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는 군사가 되면 참 좋았을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아까운 능력치를 갖고 있다.

육전지휘 30/수전지휘 11/무력 36/지력 68/정치력 77/매력 79에 야망 1/운 8/냉정 15/용맹 0인데, 중요한 건 제갈량도 달성하지 못한 냉정 15를 진규가 달고 있기 때문에 군사가 되지 못한 게 아까운 것이다. 냉정 15라면 어떠한 계략에도 안 걸리고 자신이 쓰는 계략은 거의 걸린다고 봐도 될 정도로 계략 본좌가 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냉정이 15인 대신 용맹이 0이라서 일기토하면 무조건 죽는다. 초선 빼면 무력 꼴찌라는 조식과 일기토를 떠도 승리를 장담할 수가 없다.

삼국지 5에서는 인사 담당관으로는 굉장히 좋은 인재로 나온다.

교현이나 종요 못지 않게 수많은 인재들을 데려오는 것이 특화되어 도겸 세력의 희망이자 핵심이며, 조조유비 같은 메이저 군주들이 보유하면 다른 인재들이 넘쳐서 존재감이 없지만 있으면 좋은 존재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21/무력 5/지력 82/정치력 80으로 도겸군에서 지력이 가장 높다. 병법으로는 파괴, 혼란, 덫, 배반을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6/무력 5/지력 83/정치력 79/매력 71에 특기는 상업, 반목, 혼란, 항변, 군사, 명사, 간첩으로 총 7개다.

비록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지만, 통솔력이 16밖에 안 돼서 전투에서 쓰기가 곤란하다. 도겸군 최고의 지력을 가지고 있으니 아쉬운 대로 참모로 쓰거나, 상업 셔틀로 쓰기 좋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5/무력 4/지력 82/정치력 77/매력 76에 특기는 언독이다. 비교적 높은 지력에 언독 특기를 갖고 있어 도겸군에서는 에이스로 활약한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으로 지팡이를 짚고 왼손을 펼치면서 거꾸로 올리고 있는데 정황상 양봉한섬을 설득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30/무력 4/지력 82/정치력 77에 상재, 명사, 인맥, 변설 특기를 소유하고 있다. 전법은 전법봉인으로 좋은 전법이기는 하나 저질의 통솔력과 무력 때문에 전장에 나갈 일은 거의 없다. 하지만 내정에서는 어디에 넣어도 밥값을 한다. 시장이거나 외교관이거나 하는 경우가 많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상업 8, 교섭 7, 언변 6. 중신특성은 화기생재로 전수특기는 상업보다 1 낮은 교섭으로 전법은 궁병동요다. 음성은 일러스트와 맞는 노옹.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5, 지력 82, 정치 77, 매력 74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5 하락했다. 개성은 언독, 명성, 책사, 여망, PK에서는 교사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세연구 Lv 4, 진형은 안행, 학익, 전법은 저지, 도발, 친애무장은 유비, 혐오무장은 여포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232. 진기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35.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삼국지 3에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9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그냥 평범한 원술군 능력치 부장이다. 한 가지 특이한 사실은 무장 일러스트를 번호 순으로 나열하면 진기는 여성 무장의 한 가운데에 혼자 존재하는 남성 무장이 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4/68/41/50. 병법으로는 분전, 정란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58/67/46/52/31에 특기는 상업, 반목. 총 2개 뿐이다.

기본적으로 능력치가 구린 이상 특기는 주나 안 주나 별 차이가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채 검을 뽑고 있으며 전법은 궁군병격, 방어전에서는 꽤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8/65/43/48.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은 기속강화.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65, 지력 43, 정치 48, 매력 31이며 개성은 개수, 주의는 패도, 정책은 안행강화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화시, 도발, 친애무장은 악취, 양강, 이풍,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33. 진기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무력을 제외하면 60이 되는 것이 없어서 매우 구리다. 또 다른 진기는 실존인물에 대장급이라도 되고 인재가 부족한 원술군의 장수 수를 맞춰주기 위해서라도 제법 꾸준히 등장하는데, 이쪽은 연의 기준으로 수문장 이미지 정도 뿐인터라 나름대로 황건적에 유성추의 달인이라고 묘사되는 같은 가상인물인 변희가 자주 등장하는 것에 비해서도 푸대접이다.

234. 진도

파일:Chen_Dao_(1MROTK).pn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Chen_Dao_%28ROTK11%29.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7.jpg
삼국지 12, 13
파일:진도14.jpg
삼국지 14

삼국지 6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열전에 '조운에 버금갔다'라는 설명이 붙어서 나오지만, 연의에서의 활약이 없기 때문에 통솔력이랑 무력이 70대 가량인 평범한 장수다. 있으면 나쁘지는 않은 수준이며 조운 능욕 삼국지 11 같은 경우는 특기도 없고 적당한 능력치라 능력연구로 키워서 써먹을 수 있어서 좋다. 특히 인재 없어서 빌빌대는 세력에 가면 초기 공신이 되어줄 수 있다. 대부분 여남에서 나오기 때문에 초반 시나리오의 공주나, 여남에서 전전긍긍하는 유비가 이에 해당되며 삼고초려 시나리오부터는 유비군 휘하로 나타난다.

삼국지 3에서는 등장하지 못했다가 삼국지 3을 리메이크한 삼국지 DS에서 등장하는데, 스펙은 무력 75/지력 65/정치력 50/매력 72/육전지휘 79/수전지휘 70으로 중견 장수에 속한다.

DS 1판의 설명은 촉한의 장군, 예주시대에 유비의 부하가 되어 각지를 전전했다. 조운 다음 가는 용사로서 유선의 즉위 후에 영안도독 정서장군이 된다.

삼국지 6에선 무력이 85다. 용맹하며 명성이 조운에 버금갔다곤 하지만 기록이 너무 없어서 더 올리기는 무리였던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2/지력 62/정치력 66. 병법으로는 분전, 돌파, 기사, 제사, 파괴를 가지고 있는데 효율이 떨어지는 1단계 병법만 잔뜩 있는 장수다.

그래도 적성이 고루고루 분포되어 있고 적당히 대미지를 뽑아낼 수 있는 무력에 아주 낮지는 않은 지력, 방어용 전법 파괴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작 시스템상 부장으로 충분히 활용이 가능하다. 느긋하게 키우는 잔재미가 있다. 어차피 유비군에 2, 3단계 병법 가르쳐 줄 장수들 많기도 하고.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74/지력 65/정치력 50/매력 72에 특기는 5개.(보수, 돌격, 화시, 회복, 역공)

내정용으로 쓸 특기는 보수 하나고 나머진 전투, 일기토 특기인데, 유비군이야 암울하던 여남 시절에도 인재풀은 좋은 편이기 때문에 에이스로 쓰기엔 조금 무리가 있다. 출사표 시나리오 때까지 장수한다는 게 그나마 장점이다. 조운 다음가는 용맹을 가졌다는 기록 때문인지 조운과 전역조합이 있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6/무력 71/지력 63/정치 53/매력 69에 창병과 기병 적성 A로 전작 시절과 달리 떨어졌으며 특기는 없다. 또한 조운과는 친애무장 관계다.

수명이 237년 사망으로 제법 길고 의리 최고치에 능력치가 골고루 높으므로 PK라면 육성할 만한 장수 중 한 명. 정사의 내용을 반영하려고 노력한 것인지, 남만정벌 시나리오에서는 공적치 33000으로 제갈량, 마초, 조운 다음가는 촉 전체 4위인 정서장군직에 올라 있으며, 한중쟁탈전 시나리오에서는 영안의 도독을 맡고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어찌된 일인지 일러스트가 위의 무장 전예복사 붙여넣기 굉장히 비슷하게 나왔는데 왼손으로 창을 들고 있다.

차이가 있다면 전예는 왼팔을 편 채 들고 있으나 진도는 오른팔을 편 채 들고 있다. 게다가 전법도 둘다 똑같이 대타격이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1/지력 67/정치력 53으로 전작과 같은 능력치인 촉의 중견 무장. 특기는 훈련 4, 순찰 4, 신속 4이고 전수특기는 훈련으로 보유전법은 재배치 4를 소모해서 아군의 공격 +40 사기 +20을 올려주는 가성비 좋은 공격지휘. 병과 적성은 창병 A, 기병 A, 궁병 B다. 음성은 용장.

촉군이다 보니 관우의 버프로 창병 적성은 S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병과 적성이 좋고 신속을 가지고 있어 전장에서 그럭저럭 굴리는게 가능하다. 쓰기가 곤란하다면 장비 같이 신속을 가지지 못한 무장의 부장으로 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삼국지 14에서는 100만인의 삼국지 일러스트로 변경되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76/무력 72/지력 65/정치력 50/매력 67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지력이 2, 정치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교련, 개수,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공법개혁 Lv 3, 진형은 어린, 봉시, 전법은 분전, 격려, 업화, 친애무장은 조운,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용장남이다.

235. 진등

파일:삼국지3진등.png
삼국지 3
파일:Chen_Deng_(1MROTK).png 파일:Chen_Deng_(ROTK10).pn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6.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정사의 내용을 어느 정도 반영하여 통솔은 70대 후반~80대 초반, 무력은 60~70대에 지력, 정치 80대로 모든 능력치가 준수하기 때문에 다용도로 굴릴 수 있다. 매력은 이리저리 주인을 바꾼 탓에 50대 후반 ~ 60대 후반을 찍는다.

삼국지 3에서는 육전지휘 25, 수전지휘 18, 무력 27, 지력 70, 정치 73, 매력 75에 야망 4, 운 9, 냉정 11, 용맹 2라 아주 훌륭한 문관으로 상업투자에 아주 좋다.

삼국지 6에서는 화타가 "진등님의 위 속에는..."이라는 대사를 한다.[122]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65/지력 80/정치력 81의 만능형 장수. 병법으로는 제사, 투석, 조영, 파괴, 혼란, 덫, 매도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63/지력 80/정치력 82/매력 59에 특기가 상업, 징병, 화시, 일제, 은밀, 반목, 저지, 유인, 위압, 반박, 명사, 간첩으로 12개다.

내정에선 상업 셔틀로 쓰면 되고 전장에서 효용도가 꽤나 좋다. 기본 통솔력이 84인 데다가 지력도 80이라 턴이 빨리 오고 행동력도 높은 편 인데 써먹을 특기도 화시, 일제, 은밀, 반목, 유인 등 쏠쏠한 특기들. 서주의 유지인지라 당연히 명사 특기는 덤이니 직접 플레이 할 때도 도적은 설전으로 발라먹으면 되기 때문에 플레이하기에 무난한 캐릭터. 여담으로 초상화가 더 콰이엇과 닮은 꼴이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64/지력 81/정치력 80/매력 61에 특기는 진등의 행보와 딱 어울리는 궤계.

공성/야전에서는 그다지 빛을 볼 일이 없지만, 수성에서는 꽤 훌륭한 미묘한 성능이라 하겠다. 기본 능력치가 좋고 병과 적성은 극/노 A에 병기 S라 유비군에서는 에이스로 활약하며, 유비군이나 조조군에서도 적성을 살려 활약할 수 있으나 짧은 수명이 걸림돌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은 채 고개를 숙이고 있는데 정황상 여포에게 거짓 간언을 하여 현혹할 때 모습으로 보인다.

능력치는 통솔력 79/무력 64/지력 81/정치력 80으로 전작에서 매력만 삭제됐다. 전법이 매복의 독이라서 매우 쓸만하다. 지력이 높았지만, 삼국지 10과 마찬가지로 군사 특기가 없는 것이 다소 아쉽기는 하다. 도겸군이라면 필시 백성의 진정으로 아군 능력치를 올릴 때 진등의 지력부터 올리게 될 것이다. 여포군이나 유비군이여도 충분히 1인분을 해 내는 편이다. 다만 괴수들이 즐비한 조조군에 합류한 시나리오에 가서는 다소 묻히는 편이고, 그나마도 수명 때문에 금방 죽는다. 초반에 열심히 키워서 굴려주자. 친애 무장란에 유비가 있고, 혐오 무장에 여포로 설정되어서, 여포 측에서는 진등이 처음부터 아군으로 있는 여포토벌전 시나리오 외에는 절대 등용이 불가능하다. 그나마도 초기 충성도가 낮으므로, 포상을 주지 않으면 바로 배신하는 경우가 많다. 아버지인 진규도 동일.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고, 전법은 4포인트를 소비해 아군의 공격력과 사기를 올리고 역경을 부여하는 역경지휘. 전법 포인트 대비 상당히 좋은 전법이다. 이번 작품에서도 도겸군에서 거의 유일하게 전투에서 쓸 만한 장수다. 다만 특기가 생각보다 부실한 편. 전체적으로 특기는 상업 7, 순찰 5, 설파 6, 교섭 7, 언변 7, 견수 7이고 중신특성은 신중견수로 전수특기는 상업이다. 음성은 정중.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0, 무력 64, 지력 81, 정치력 80, 매력 64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붕벽, 봉살, 명성, 진흥, 문화,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4, 진형은 안행, 방원, 충차, 투석, 전법은 연노, 철벽, 경파, 충차, 투석, 친애무장은 공융, 유비, 조욱, 진교, 화흠, 혐오무장은 손책, 여포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위엄남으로 설정되었다. PK에서는 문화 개성이 삭제되고 감지 개성이 추가되었고 고유 전법으로 적군에게 혼란과 저지를 동시에 부여하는 혼수모어라는 지력 의존 전법을 부여받았다.

DLC로 등장한 성씨패란에서는 여남의 군주로 나오며 부하로는 진건, 진교, 진군, 진궁, 진규, 진기, 진도, 진란, 진림, 진무, 진수, 진수, 진식, 진응, 진지, 진진, 진취, 진태, 진표, 진화, 진횡까지 총 21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공도, 뇌박, 맹건, 풍해 총 4명이 있으며 옆 동네 수춘을 점령하면 창자, 초이, 풍씨 총 3명이 있다.

236. 진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50.jpg
삼국지 12, 13, 14

원술군의 부장급 능력치로 등장하는데 한 마디로 좋지 않다는 소리. 그래도 삼국지 4편과 삼국지 5편, 삼국지 6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72/지력 56/정치력 17. 병법으로는 분투, 몽충 뿐이다.

뇌박과 함께 C급 장수 주제에 2단계 병법인 분투를 가지고 있어 기령을 제외하면 이렇다할 장수감이 없는 원술군이 초반을 넘기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된다. 원술을 등지고 끝내 배신했다는 기록 덕에 오히려 버프를 받은 것 같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0/지력 42/정치력 21/매력 26에 특기는 삼단 단 1개.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원술을 급습해 재물을 빼앗아가는 모습인데 오른손에는 장신구 주머니를, 왼손에는 장신구를 들고 있는 상태에서 음흉한 얼굴로 웃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66/69/40/24. 특기는 훈련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이고 전법은 궁방강화. 음성은 어째선지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관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6, 무력 69, 지력 41, 정치 24, 매력 36으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1 상승했다. 개성은 산전, 공명, 경솔, 적도,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장사, 전법은 돌격, 매성, 친애무장은 뇌박,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237. 진랑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30.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 PK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능력치는 영 좋지않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70/지력 37정치력 18에 병법으로는 돌파, 기사 뿐이다.

더구나 특화가 없어 경험치도 잘 안 오른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7/무력 70/지력 38/정치력 16/매력 39에 특기는 돌격, 기합. 총 2개.

무력, 통솔이 그나마 나으니 보수나 치안을 시키고 정 그것도 안 되면 탐색이나 시키자.

삼국지 11까지는 두씨가 예뻤다는 말 때문에 잘 생기게 나왔으나 삼국지 12에는 비열한 속성이 추가된 일러스트로 나왔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에 검을 든 채 왼손으로 검날을 대고 있다. 능력치는 역시 기대 말자.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8/무력 70/지력 35/정치력 15. 특기는 일기 2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일기이며 전법은 공격약화. 음성은 관리. 그리고 PK에서 아버지 진의록이 추가되어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70, 지력 35, 정치 15, 매력 39이며 개성은 친선, 공명, 직정, 탐욕,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추행, 전법은 분전, 격려, 친애무장은 조예, 조우, 하안, 하후헌, 혐오무장은 마균, 손자, 유방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거만남으로 설정되었다.

238. 진량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한다.

239. 진림

파일:陳琳.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51.jpg
삼국지 12, 13, 14

통솔, 무력은 엄청나게 낮고 지력, 정치, 매력은 70대 이상의 문관으로 나온다. 상성은 대대로 원소보다는 조조와 가까운 쪽으로 나온다. 그래서 원소로 플레이할때는 장합, 고람과 함께 상성이 정반대가 되는 진림의 충성도를 관리하기가 피곤하다. 삼국지 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55/수지 54/무력 23/지력 80/정치 66/매력 54로 별 쓸모 있지는 않은 잡군사.

진임이라는 이름으로 나오는데 189년 시나리오에서는 원소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지력이 최소기준에 간신히 부합해 군사가 될 수 있다. 군소 세력이라면 저 정도의 잡군사라도 절 하면서 데려와 군사로 써먹겠지만 소속이 원소군인지라 활약할 여지가 적어 묻히는 감이 있다. 지력 말고는 다 수준 이하라서 태수로도 부적절하고 턱걸이 군사라서 조언의 신뢰도도 매우 떨어지지만 수성시에 함정 1개를 설치할 수 있다는 깨알같은 이점은 있다. 전방보다는 후방에 군사로 보내 후방지역 태수를 보좌하게 하는 편이 낫다.

삼국지 5에서도 전형적인 내정형 문관으로 등장하며 전투로는 쓰기 곤란하지만 채옹이나 순욱처럼 내정, 인사, 외교 쪽에 어느 곳을 두어도 충분히 밥값을 해준다.

또한 초반 시나리오에는 원소군에 있지만 상성이 조조 쪽에 있고 충성도도 낮은 편이라서 수월하게 등용이 가능하다.

삼국지 7에서도 진임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9/9/71/80. 병법으로는 역사를 반영하여 매도, 고무 뿐이다.

모략계 병법이 없어서 전장에서 써먹기는 부족하다. 원소군에서는 S급 모사인 전풍저수에 밀려 야전에는 나올 일이 많지는 않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8/8/73/81/72에 특기는 농업, 고무, 혼란, 반박, 도발, 명사. 총 6개.

도발 특기는 조조를 격문으로 까서 어그로를 끈 걸 반영한 듯 하다.

삼국지 11의 특기는 시상.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관도 전투 전에 쓴 격문을 두 손으로 들고 조조를 규탄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5/9/75/78로 통솔력이 상승해 있다. 특기는 농업 2, 문화 7, 설파 7, 교섭 5, 언변 8. 전수특기는 언변보다 1 낮은 문화로 전법은 전장에서 쓸만한 선동도발. 음성은 책사.

특이하게도 지력이 70대임에도 불구하고 언변이 최고 수치 정도인 레벨 8로 되어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9, 무력 9, 지력 74, 정치 78, 매력 7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6,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시상, 주의는 명리,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방원, 정란, 전법은 고무, 친애무장은 왕찬, 장굉, 장홍, 조식,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40. 진무

파일:Chen_Wu_2_(1MROTK).webp 파일:external/kongming.net/108-Chen-Wu.jpg
100만인의 삼국지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무력이 80대를 찍으며 오나라에선 손꼽히는 무력 담당. 다만 통솔력, 무력을 제외하면 나머지 능력치는 밑바닥으로 긴다. 사실 정사에서는 큰 활약이 없는데 연의에서 그 방덕과도 호각을 이루다가 죽은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무력이 꽤나 준수하다.

삼국지 3에서는 비슷한 동료들인 장흠, 주태, 반장, 서성, 정봉, 주연 등등의 장수들 중 가장 무력이 낮다. 당연히 장군은 되지 못한다.

특히나, 여기에 언급된 장수들 중 무력이 69 이하는 서성과 진무 본인 뿐이다. 안 그래도 능력치가 낮은 장수인데 이런 시궁창 무력이 다른 능력치보다 높다. 지력은 거의 시궁창 수준. 하다 못해 담웅도 이 작품에서 만은 무력이 80이다. 시나리오 1에서는 이상하게 유요의 부하로 건업에 있으며 태사자와 같이 있다.

삼국지 5에서는 절대로 전쟁에서 일기토를 시키면 안 되는 장수다. 무력이 78인데 숨겨진 속성인 용맹이 0이기 때문이다.

삼국지 6에서는 무력도 60대에다가 숨은 능력치인 용맹이 0인데 정작 웃기는 건 무용 특기는 갖고 있다는 것이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82/지력 45/정치력 37로 병법으로는 분투, 제사, 투함, 충차를 가진 꽤 좋은 장수.

제사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공성전에서도 활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번작부터 아들 진표가 처음으로 등장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88/지력 47/정치력 40/매력 63에 특기는 훈련, 돌격, 일제, 저지, 회복, 기합, 삼단, 나선, 제독으로 총 9개.

일기토 특기가 4개라(회복, 기합, 삼단, 나선) 일기토로 쓸 만하고 돌격, 일제 특기를 가지고 있어서 책략만 주의하면 전장에서도 나쁘지 않은 활약을 펼친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무력 87/지력 43/정치력 40/매력 62에 극병과 수군의 적성이 S다.

특기는 극장인데 무력이 제법 높은 편이라 육전용 특기가 모자란 편인 오나라에서는 상당히 좋다.

삼국지 12에서는 일러스트가 괴수스럽게 변했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으로 창을 든 채 위나라군과 맞서 싸우는 모습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전작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이며 전법은 잉여스러운 속공이라 손책군이든 손권군이든 워낙 좋은 장수들이 많아 높은 무력에 비해 실제 전장에서 볼 일은 거의 없다.

삼국지 13에서는 통솔력이 72, 무력이 84로 삼국지 12 때보다 너프되고 지력이 44, 정치력이 41로 버프되었다. 전법은 특공. 병과 적성은 창병만 A고 나머지는 모두 C. 특기는 훈련 3, 공성 3, 수영 4, 일기 3으로 전수특기는 수영이다. 음성은 난폭.

주장으로 쓰기는 많이 애매해졌고 전투특기가 부실한 장수들의 부장으로 붙여서 보내자.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4, 무력 86, 지력 43, 정치력 40, 매력 6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2 상승한 대신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호걸, 수전, 동원, PK에서는 금강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패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4, 진형은 어린, 방원 전법은 분전, 구축, 강습, 시람, 친애무장은 동습, 주유,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부터 아들 진수가 추가되었다.

241. 진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42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한자를 제대로 읽지 않았기 때문에 매번 '진복'이란 이름으로 등장한다. 사료는 많이 남아있으나 크게 임팩트 있는 일화가 없어서 인지 몰라도 능력치는 고만고만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15/6/71/78. 병법으로는 배반 하나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2/6/70/71/76에 특기는 기술, 반목, 항변. 총 3개.

기술 셔틀로 쓰라는 소리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6/7/72/78/76이며 조금 상향되었지만 특기가 없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면서 오나라를 치려는 유비를 말리기 위해 간언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1/7/73/78이며 통솔이 상향되었다. 전법은 무력저하.

삼국지 13에서는 드디어 제대로 번역되어 진밀로 나온다.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며 특기로는 농업 1, 설파 1을 갖고 있다. 전수특기는 농업이고 전법은 수비지휘로 병과 적성은 모두 C. 음성은 책사.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4, 무력 7, 지력 70, 정치 75, 매력 7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7, 지력과 정치력이 각각 3 하락했다. 개성은 동지, 조달, 학자,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혼란, 매성, 진정, 친애무장은 간옹, 왕상,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242. 진생

삼국지 3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무력만 60대이고, 나머지는 4, 50대라 구리다.

243. 진송

파일:진송.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공손히 모으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15, 무력 17, 지력 66, 정치 75, 매력 60이다. 개성은 소심, 우유, 주의는 명리, 정책은 묵수연구 Lv 3, 진형은 학익,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장소, 혐오무장은 없다. 어투는 책사남. 생년은 165년, 몰년은 209년까지 설정되어 있다.

잡문관이라 내정용으로 쓰인다.

244. 진수

파일:external/kongming.net/111-Chen-Shou.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2.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삼국지의 저자라는 걸 강조하는 대사가 많이 나오기는 하지만, 그와는 별개로 능력치는 그냥 정치력 하나만 봐줄 만하기 때문에 내정에나 써먹을 수 있는 평범한 문관이다. 삼국지 1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123]

삼국지 DS 2[124]에서는 지력이 80에 정치력이 78인 군사형인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스페셜 무장이라서 얻으려면 조건을 클리어 해야 한다.

삼국지 5에서는 첫 등장이라서 그런지 능력치가 무력 31/지력 88/정치력 79/매력 60로 후하다. 특기는 고무, 수습, 내분, 혼란, 진화, 점술이다.

진식의 아들로 관계가 설정되어 있는데, 자기네들도 말이 안 되는 걸 아는지 후기작에서는 부자 관계는 설정되어 있지 않다.[125] 근데 능력치는 C~D급이고, 등장하는 시기도 247년이라서 비중은 공기에 가깝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22/지력 60/정치력 75. 병법으로는 혼란 뿐이지만 지력이 너무 낮다. 내정용으로나 쓰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15/무력 22/지력 60/정치력 71/매력 39에 특기는 혼란 단 1개 뿐.

장수별 엔딩 중에 사서 편찬 엔딩이 있는데, 이 엔딩을 보기 위해서는 다른 조건을 달성하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통일 당시 남아 있는 장수의 67% 이상과 관계가 면식 이상, 특기 지리 소유, 지력+정치 100 이상, 사서 1권 이상 보유라는 조건이 필요하다. 하지만 정작 진수 본인은 사서도 가지고 있지 않고, 지리 특기가 없기 때문에 그냥은 이 엔딩을 볼 수 없고 계략 경험과 첩보 경험을 각각 600과 400까지 올려야 하는 아스트랄한 상황이 발생한다.

파일:/pds/200611/22/98/b0055298_10115111.jpg

삼국지 11에서 진수를 참수하면 유언으로 저 대사를 한다. 참고로 짤방의 대사는 문법이 이상하게 나와 있다. '제가 죽으면 누가 이 시대의 기록을 남긴단 말이냐'에서 '제가'를 '내가'로 바꿔 넣어야 자연스럽다.[126]

삼국지 13에서의 일러스트는 정사 삼국지를 집필할 때의 모습으로 보이는데 자세히 보면 오른손으로 붓을 든 채 왼손을 턱에 올리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12/무력 22/지력 60/정치력 75다. 병과 적성은 창병과 궁병 B, 기병 C다, 특기는 문화 7, 언변 7, 전수특기는 문화로 전법은 기속강화다. 음성은 정중.

그가 정사의 저자였음을 감안하면 특기와 전수특기는 적절히 고증된 편. 내정용으로 굴리면 적당하다. 특이하게도 지력이 60임에도 불구하고 언변이 무려 7이나 된다. PK에서는 엔딩이 위명별로 달라지는데, 신기묘산이나 국사 위명을 달고 엔딩을 보면 X국지 라는 책을 집필하는 대사가 나오므로 진수로 이 엔딩을 보는 것이 이 게임의 진엔딩일지도.... 모르지만 문제는 출생 연도가 233년으로 너무 늦기 때문에 영웅집결이나 가상 시나리오인 강유북벌에서만 선택할 수 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12, 무력 22, 지력 60, 정치 75, 매력 49이며 개성은 사관,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장화, 초주, 혐오무장은 제갈첨, 황호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어투가 정중남이다.

245. 진수

파일:진수(오).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말을 탄 상태에서 오른손을 편 채 들어올리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 60, 무력 56, 지력 38, 정치 31, 매력 52다. 개성은 조타, 주의는 할거, 정책은 수군육성 Lv 2, 진형은 안행, 전법은 구축, 강습,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어투는 위엄남. 생년은 197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잡무관이지만 수상전용 말고는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246. 진식

파일:external/kongming.net/110-Chen-Shi.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평범한 무장으로 나오지만 진수와 부자 관계 또는 일족 관계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통솔력, 무력은 70을 넘길 때도 있으나 그래봤자 지력이 바닥 수준이라 전투요원으로 굴리기도 애매하다. 삼국지 4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4를 리메이크한 삼국지 DS 2에서는 두경[127]의 열전에서 '진무'로 오역되어 있다.

발번역으로 유명하지만 그래도 진식 본인의 이름은 진무로 오역되지 않다. 레어 특기인 화구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9에서는 능력치가 통솔력 70/무력 71/지력 26/정치력 27인 C급 무장. 병법으로는 분전, 충차, 매도가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무력 67/지력 31/정치력 27/매력 22에 특기는 기술, 화시, 지리, 반격. 총 4개.

지력 31짜리에 기술이고 지리고 줘봤자 쓸모없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71/지력 25/정치력 23/매력 30에 병기 적성 A, 특기는 답파다.

불함정은 컴퓨터가 꽤나 사용하므로 부장이 모자라면 넣어 주도록 하자.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포권을 한 상태에서 제갈량의 명을 받들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0/무력 71/지력 25/정치력 23에 병과는 기병, 전법은 속공이다. 병기 특기를 갖고 있으므로 백도어 용도로 제격인 장수.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2, 신속 1, 공성 2, 일기 1. 전수특기는 훈련이고 전법은 속공명령. 음성은 청년.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3, 무력 70, 지력 30, 정치력 23, 매력 22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3, 지력이 5 상승했다. 개성은 산전, 분쇄, 공명,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장사, 정란, 전법은 견제, 교란, 정란, 친애무장은 위연, 혐오무장은 제갈량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호걸남으로 설정되었다.

247. 진원

파일:external/kongming.net/chenyuan.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50/57/68/62의 문관에 가까우며 별 볼일 없다. 병법으로는 제사, 정란, 매도를 가지고 있는데 육항의 술을 경계한 일화 때문에 매도를 준 걸까.

248. 진응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33.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까지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 PK에서 다시 복귀했는데 조범군이 나오면 부하로 나오지만 대우는 물론 영 좋지 않다. 통솔, 무력에 특화된 무관계이지만 그나마도 70을 못 넘기 일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5/무력 70/지력 46/정치력 30. 병법으로는 연사 뿐이지만 무력이 높아 쓸만하다. 이번작 시스템의 수혜자.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69/지력 49/정치력 27/매력 18에 특기는 화시, 회복. 총 2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72/지력 45/정치력 27/매력 40, 창병 적성 A에 포륭과 친애 관계다.

친애 관계 덕분에 동급 3류 무장 중에서는 아주 약간 좋은 편이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삼지창을 든 채 소리를 지르면서 조운에게 덤비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72/지력 45/정치력 27, 전법은 공성강화에 특기는 병기 하나 뿐이다. 병과가 창병이므로 형남 4군주로 플레이 할 때 백도어용으로는 쓰일 일이 있을지도 모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동일하며 병과 적성은 창병 A, 기병, 궁병 C다. 전법은 창병공격진으로 저효율 전법 중에서는 그나마 양호하다. 특기는 훈련 1, 순찰 1, 연전 1을 가지고 있어 내정에서 써먹을 수 있다.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음성은 용장.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2, 무력 72, 지력 45, 정치 27, 매력 40이며 개성은 숲전, 공명, 주의는 명리, 정책은 지세연구 Lv 3, 진형은 장사, 전법은 철벽, 교란, 친애무장은 포륭,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249. 진의록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21.jpg
삼국지 13 PK, 14

삼국지 13 PK에서 추가되었는데 일러스트는 오른손을 가슴에 올린 채 놀란 모습을 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 46, 무력 43, 지력 17, 정치 13으로 특기는 훈련 1, 순찰 1, 인덕 1(두씨 인연 효과), 신속 2, 견수 1로 특기가 많지만 능력치를 보면 한심한 수준. 전수특기는 신속이고 전법은 도발. 음성은 청년. 생몰년도가 168~199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무력이 43인데다가 저 능력치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아들인 진랑도 기용하기 난감한 능력치의 소유자에 불과하나 진의록 본인에 비하면 차라리 맹장이다. 다만 특기 중에 신속과 견수가 있으므로 문관의 부장으로 출진하면 밥값은 한다. 수명이 짧아 사실 시나리오에선 키우기 힘들지만 영웅집결에선 의외로 키워줄만 한데, 이상위명이 그의 행적과 전혀 안 어울리는 '충용의열'이기 때문이다. 충용의열의 당지정병 전술은 아군 부상병을 씻은 듯이 낫게 해주는데다 사기도 많이 오르는 사기 전술이다. 능력치 때문에 주장감으로 쓸 수는 없지만 주력 장수에게 부장으로 붙여 공적을 떠먹여주면 좋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6, 무력 45, 지력 17, 정치 13, 매력 40으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2 상승했다. 개성은 소심, 우유, PK에서는 경망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1, 진형은 봉시,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잡장답게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250. 진준

파일:external/kongming.net/chenjun.jpg
삼국지 9 일러스트

삼국지 9에서만 등장하는데 능력치는 통솔력 67/무력 65/지력 69/정치력 52로 별 거 없으며 병법으로는 분전, 혼란, 덫을 가지고 있다.

251. 진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1.jpg
삼국지 13, 14

삼국지 1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가 쓸데없이 간지난다. 자세히 보면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왼쪽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다.매우 진지하다.

능력치는 통솔력 38/무력 35/지력 81/정치력 84. 특기는 상업 3, 문화 3, 교섭 5. 전수특기는 교섭으로 전법이 궁공강화였지만 PK에서 대도발로 변경되었다. 음성은 정중. 지력이 등지와 같고 동윤보다 높다. 촉한 멸망의 스타트를 끊은 장본인치고는 꽤나 고평가를 받은 셈. 다만 양의와 마찬가지로 인성과는 별개로 능력은 있다고 인정해 준 걸지도 모른다. 인성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 수치인 '매력'이 시리즈 내에서 사라지고 난 뒤에 등장한 인물이라 수혜를 본 것도 있다.

삼국지 14에서는 통솔 42/무력 25/지력 65/정치 81/매력 2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4 상승한 대신 무력이 10, 지력이 16, 정치력이 3 하락했다. 매력 능력치가 다시 부활한 시리즈인데, 예상할 수 있었듯 매력이 매우 낮게 등장한다. 이외에도 지력이 16이나 하향당하는 등 능력치에 크고 작은 변화가 있었다. 개성은 점술, 오만, 탐욕으로 부정적인 개성이 둘이다. 주의는 명리, 정책은 세출개선 Lv 4, 진형은 안행, 전법은 화시, 도발, 매성, 친애무장은 비의, 유선, 황호,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책사남으로 설정되었다.

252. 진진

파일:삼국지3진진.png
삼국지 3
파일:Cheng Zhen.jpg
삼국지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그저 그런 문관이다. 대체로 지력이 60대 후반, 정치력이 70대 중후반. 수명이 길기 때문에 후기 시나리오라면 그래도 가치가 조금 올라간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육지 32/수지 18/무력 35/지력 65/정치 76/매력 39로 정치력이 우수하여 내정용으로는 유능한데 문관이면서도 매력이 저 모양이라 인재 등용이나 주민선정 쪽으로는 잉여다.

원소의 모사들 중에서 신비와 더불어 단 둘만 지력과 정치력이 80 미만으로 군사가 되지 못한다. 단, 신비는 정치력이 79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48/지력 68/정치력 76. 병법으로는 혼란, 배반 뿐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54/지력 66/정치력 76/매력 78에 특기는 상업, 혼란, 반박, 간첩. 4개.

상업 셔틀로 쓰면 된다. 간첩 특기는 연의에서 연락망 역할을 했던 것을 반영한 듯하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죽간을 관우에게 바치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46/무력 46/지력 69/정치력 76에 병과 적성은 창병 C/기병 C/궁병 B, 특기는 상업 2, 농업 3, 설파 4로 전수특기는 설파이고 전법은 사기회복. 음성은 보통.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46, 무력 46, 지력 67, 정치 76, 매력 75로 전작과 달리 지력이 2 하락했다. 개성은 운반, 능리, 논객, 주의는 명리,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안행, 전법은 구축, 친애무장은 제갈량, 혐오무장은 이엄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운반 개성 덕분에 물자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다.

253. 진취

파일:external/san.nobuwiki.org/1343.jpg
삼국지 13 PK, 14

동료 등룡과 함께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하고 난 후 그 뒤로 쭉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13 PK에서 오랫만에 복귀했다.

삼국지 3에서의 능력치는 무력은 71로 그럭저럭 되는데 육전, 해전 능력이 낮아서 영 써먹기가 곤란한 무장이다.

삼국지 13 PK에서의 일러스트는 어깨에 화살통을 멘 상태에서 왼손으로 활을 든 채 손권군과 맞서려 하고 있다.

능력치는 56/63/45/33. 특기는 훈련 1, 수영 5. 전수특기는 수영이고 전법은 강궁이다. 음성은 정중. 등룡과 마찬가지로 생몰년도가 174~208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잡장급 능력치인데도 불구하고 수영 레벨이 무려 5나 된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8, 무력 65, 지력 32, 정치 28, 매력 36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과 무력이 각각 2 상승한 대신 지력이 13, 정치력이 5 하락했다. 개성은 수전, 저돌, 주의는 명리, 정책은 어린강화 Lv 2, 진형은 어린, 전법은 구축, 친애무장은 등룡,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출생년도가 169년으로 변경되었고 어투가 난폭남으로 설정되었다.

잡무관이지만 수상전용 말고는 공격용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는 동료 등룡과 달리 특이하게 강하에서 재야 무장으로 등장한다.

254. 진태

파일:삼국지3진태.png
삼국지 3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5.jpg
삼국지 12, 13
파일:진태(현백).jpg
삼국지 14

삼국지 2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문무(文武)를 겸비한 만능 무장. 보통 그가 등장하는 유비 사후인 후기 시나리오에서는 진태만한 인재를 찾아보기 힘들다.[128] 통솔력과 지력은 80대 중반을 넘기고 다른 능력치도 70대를 찍는 만능형. 실제 역사에서의 모습처럼 군사 통솔이나 내정 양쪽에서 골고루 일할 수 있다.

파일:attachment/진태/진태(삼국지6).jpg

일러스트 변화가 심한데, 삼국지 6에서의 인물 일러스트는 거의 악몽 수준. 삼국지 5의 일러스트를 그대로 가져다가 16비트화 시키려는 도중에 작업 시간이 부족했는지 완전 발로 그린 게 티가 날 정도로 조악하기 짝이 없다.

삼국지 7에서는 일러스트가 '젊고 능력있는 장군'으로 나왔다. 그러나 이 일러스트는 8탄까지 우려먹고 개성이 없다.

삼국지 9에서는 삭아보이고 어색한 일러스트로 나왔다. 능력치는 통솔력 87/무력 78/지력 87/정치력 77로 A급 장수. 병법으로는 분투, 돌파, 연사, 정란, 투석, 조영, 교사를 가지고 있다.

후반기에 찾기 힘든 인재. 흠이라면 모략계나 책략계 병법이 없고 숙련도만 있기 때문에 수련을 보내지 않으면 87의 지력을 직접 써먹기는 좋지 않다는 것. PK라면 어차피 진태의 능력도 출중하니까 한두 번쯤 진태에게 발탁 장수를 돌려다가 병법 연마를 해보는 것도 좋다. 전병법 특기이기도 해서 발탁 장수랑 사이좋게 상위 병법도 마스터할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는 수염을 달고 나왔고 제법 간지난다. 능력치는 통솔력 85/무력 73/지력 85/정치력 75/매력 75로 뭐하나 빠지는 것이 없는 A급 캐릭. 능력치 총합 393은 모든 장수를 통틀어서도 원소와 동급인 공동 25위이며, 특기는 15개에(기술, 징병, 화시, 일제, 진정, 은밀, 반목, 유인, 지리, 회복, 위압, 반박, 군사, 명사, 간첩) 군사, 명사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다.

삼국지 11의 일러스트는 다시 '젊고 능력있는 장군'의 이미지를 아주 철철 뿜어낸다.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73/지력 86/정치력 78/매력 77[129]로 여전히 좋지만 특기가 잉여인 정묘.

병과 적성은 창병 S/극병 A/노병 A/기병 A/병기 A/수군 C로 다방면으로 운용이 가능한 만능형이다. 친애무장으로는 사마소조모를 시해하기 전까진 주군이나 다름 없던 사마사, 사마소 형제와 등애, 종육, 부하가 있다. 특이하게도 한실 중시 성향인데, 위나라의 마지막 충신이었던 것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130]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육항과 같이 실망스러운 일러스트로 나왔다. 자세히 보면 말을 타고 고삐를 쥔 채 왼손을 가슴에 올리고 있다.

게다가 전법도 육항과 같다. 능력치는 무력이 77로 올라갔고 매력이 삭제된 것을 제외하면 전작과 같다. 하지만 전법이 매우 쓸 만한 궁군강사이기 때문에 후반기 위나라 무장 중 A급 이상의 화력을 자랑한다. 전법이 궁군강사이고 군사 특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은 대촉전선을 지키는 데 지대한 공을 세웠던 곽회와 같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지만 아쉽게도 중신 특성은 없다. 보유 특기는 상업 2/문화 1/훈련 6/순찰 5/신속 6/분전 2/공성 3/견수 6의 만능 무장. 전수특기는 훈련. 전법은 범위 내 방어 +3, 사기 +1, 사기 유지의 철벽지휘로 가성비가 매우 좋다. 병과 적성은 모두 A. 음성은 청년.

단, 등장 시기가 늦어 영웅집결 외에는 보기 힘든 장수 중 1명이다. 물론 사실 시나리오로 그 쯤되면 성에 5명 채우기도 벅찬 수준으로 인재 수가 막장이고 A급 무장도 거의 남지 않는 상황이라 활용도는 굉장히 높은 편이다.

삼국지 14에서는 일러스트가 삼국지 10때 처럼 수염을 기른 모습으로 돌아왔으며 능력치는 통솔 84, 무력 73, 지력 86, 정치 78, 매력 77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4 하락했다. 개성은 침착, 해제, 산전, 명성, 주의는 왕도, 정책은 군제개혁 Lv 4, 진형은 어린, 학익, 장사, 충차, 전법은 분전, 격려, 업화, 진정, 충차, 친애무장은 등애, 부하, 사마사, 사마소, 순의, 혐오무장은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정중남으로 설정되었다.

이번작 영웅집결에서는 같이 강유의 북벌을 막았던 동지였던 등애의 부하로 나왔다. 내정에서는 점령을 빠르게 해 주는 명성 특기가 있고 능력치가 고루 높아 지역담당관으로 아주 쓸만하며, 전장에서는 업화를 가지고 있고 지력이 높은 편이라서 괜찮다. 언제나 그랬듯이 이번 작품에서도 S급은 아니지만 전투, 내정 모두 S급에 가까운 A급으로는 활용이 가능한 장수. 사실 시나리오에서 등장 시기나, 영웅집결에서 등애 본인과 등충 외에는 쓸만한 장수가 없는 등애군임을 감안하면 위상은 더더욱 높아진다.

255. 진표

파일:external/kongming.net/106-Chen-Biao.jpg
삼국지 9,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48.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9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꽤 쓸 만한 능력치로 나온다. 아버지 진무와 다르게 능력치가 문관형이라는 게 특이사항.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8/무력 44/지력 76/정치력 78. 병법으로는 분전, 투함, 충차, 덫, 배반을 가지고 있어 수전에 좋고 배반 덕분에 공성전에서도 써먹을 수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2/무력 49/지력 74/정치력 78/매력 70으로 무난한데, 특기가 꼴랑 반목 단 1개만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여몽과 더불어 심공 특기를 가지고 있는 둘 밖에 없는 무장이다.

삼국지 12 본편에서 삭제되고 PK에서 복귀했는데 일러스트는 왼손에 죽간 2개를 든 상태에서 오른손을 위로 가리킨 채 올리고 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6/무력 42/지력 74/정치력 76. 특기는 농업 2, 교섭 4. 전수특기는 교섭이고 전법은 주위공격. 음성은 청년. 그런데 무력 42 주제에 무관으로 설정되어 있어서 일정확률로 일어나는 일기토에 얄짤없이 휘말린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64, 무력 42, 지력 73, 정치력 78, 매력 69로 전작과 달리 정치력이 2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2, 지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독려, 모집, 소욕, 주의는 왕도, 정책은 수군육성 Lv 3, 진형은 어린, 전법은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고담, 손등, 장휴, 제갈각, 혐오무장은 여일이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고 이번작부터 형 진수가 추가되었다.

수상전용 말고는 전법이 하나도 없어서 전법의 서가 필요하다.

256. 진화

파일:진화(오).jpg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14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일러스트는 두 손을 모으는 듯한 모습이며 능력치는 통솔 18, 무력 28, 지력 60, 정치 74, 매력 69다. 개성은 절약, 논객, 주의는 예교, 정책은 종횡술 Lv 3, 진형은 방원,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어투는 위엄남.

257. 진횡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634.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3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유요군 소속으로 나오지만 착융과 비슷한 잉여다. 실제인물인 우미는 짤리는 경우가 많은데 진횡 본인은 다행히 안 짤리고 계속 등장한다. 손책이 자신의 죽음을 위장했던 에피소드가 꽤나 임팩트가 컸기 때문인 듯.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9/66/28/31. 병법으로는 분전, 몽충, 충차를 가지고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3/64/25/28/42에 특기는 회복 단 1개.

화시라도 있는 착융보다도 암울하다. 그러나 능력치 총합은 착융의 매력이 겨우 4라 때문에 진횡이 살짝 더 높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64/63/26/35/43에 특기는 없다.

극병 적성 A에 노병 적성 B이므로 유요군이라면 최소한의 활약은 할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오른손에 검을 들고 있는데 손책의 함정에 걸려 당황한 상황이다.

전법은 궁공격강화. 유요군에서 태사자, 장영, 번능도 궁병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나쁘지는 않다. 지력이 낮아서 그렇지..태사자가 공융에게 가 있는 영웅집결이라면 어쩔 수 없이 활용해야 한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순찰 1, 분전 1로 전수특기는 훈련이다. 도발이라는 전법이 있으나 지력이 너무 낮아서 효용성이 없고, 병종 적성도 궁병 B가 전부다.

유요군에서도 지력이 가장 낮음에도 뜬금없이 군사중신 자리를 맡고 있으며 음성도 일러스트와 맞지 않는 청년 음성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63, 무력 64, 지력 26, 정치 35, 매력 42로 전작과 달리 무력이 1 상승한 대신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교련, 단려, 주의는 할거, 정책은 봉시강화 Lv 2, 진형은 봉시, 전법은 돌격, 업화,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전작과 달리 어투가 보통남으로 설정되었다.


[1] 좌자도 혐오무장이다. 하지만 게임상 등록만 돼 있고 등장은 안 하기 때문에 상관없다.[2] 콘솔판에서만 등장한다.[3] 학소도 지력 89로 수행로또를 바라볼 수 있다.[4] 손권이 건업으로 이동한다.[5] 장소와 두 아들 장승, 장휴다.[6] 삼국지 장수들의 일러스트의 대다수는 전략 삼국지에서 묘사된 모습을 많이 차용했다. 만화에서 두건을 쓴 장수들은 게임에서도 두건을 쓰고 있고, 투구를 쓴 장수들은 역시 투구를 쓰고 있을 정도. 물론 요코야마 화백이 장구를 애꾸로 등장시킨 이유 역시 불명히다.[7] 다만 삼국지 7은 플레이스테이션 판에서만 등장한다.[8] 저 잡장들은 영걸전이나 후속작에도 꾸준히 등장한다.[9] 무력만 놓고 보면 무려 순우경, 고람, 악진, 이전 등과 같은 급이다.[10] 장각은 무력 50/지력 95, 장보는 무력 82/지력 72다.[11] 이는 장각 삼형제가 모두 동일하다. 장각, 장보는 누가봐도 군사일 거 같은 능력치인데 타입이 매력이다.[12] 특히 이민족 제압이다.[13] 장각, 장량, 우번이 가지고 있다.[14] 그것도 형 장각과 마찬가지로 환술을 가지고 있다. 참고로 환술을 보유하고 있는 무장은 특전무장인 황월영목록대왕, 장각, 남만장수, 산월장수이지만 이 중에서 목록대왕은 지력이 낮다.[15] 총합 380로 형과 1차이가 난다. 총합 순위는 전체 36위다.[16] 그래도 모든 능력치가 폐급인 황호, 마막이나 유비의 아들이라 매력만 평균을 찍고 나머지는 황호나 마막보다 더 개판 5분전인 유선과 다르게 통무합만 쳐도 130 정도는 찍기에 후반부 기준으로 꽤 강한 장수다. 오히려 배신자임에도 불구하고 능력치가 대단히 높은 편. 부첨하고 비교해서 능력치가 낮으니 박하게 줬다고 보기도 뭣한 게 충신과 배신자 포지션을 빼고 보더라도 실제로 부첨이 훨씬 훌륭한 장수인 건 맞기 때문에 부첨보다 능력치가 낮으니 배신자라 능력치가 낮다고 볼 수도 없다. 그나마 뭔가 활약이 있으면 모르겠는데 장서는 항복할 때도 제대로 싸우고 항복한 것도 아니며 항복한 이후로도 위나라 장수로 이름을 날린 것도 아니다. 그냥 항복하자마자 빛의 속도로 묻혀버렸는데 애초에 능력치를 높게 평가할 껀덕지 자체가 없다. 행보만 보면 황호, 마막급 능력치에 무력만 50대를 받아도 할말이 없는 수준인데 그래도 장서의 제일 낮은 능력치인 정치(30대 전후)가 황호의 가장 높은 능력치인 지력(30)보다 높다는 것 만으로도 미움을 받아 능력치가 떨어졌다고 보긴 어려운 수준이다.[17] 문앙-강유-등애-등충이다.[18] 적어도 잡자마자 처형이 마려운 황호랑은 비교가 안 된다[19] 손권보다 30살 가까이 늙었다. 손권의 아버지인 손견과 나이가 같다.[20] 지력이 높은 무장들 중에선 소심 성격이 의외로 드물다. 대표적으로 삼국지 11에서 지력 80이상 중 소심인 성격은 딱 7명밖에 없다. 소심 성격 자체가 능력치가 낮은 장수들에게 거의 고정마냥 들어가기 때문이다. 지력이 80 이상인 장수들 중 어지간한 경우는 다 냉정이며 그나마 예외로 대담인 여몽이 있다.[21] 촉의 제갈량 100, 위의 사마의 99, 순욱/곽가 98, 가후 97 등.[22] 소심 성격의 경우 화가 나면 있는 그대로 자신의 통상 공격 패를 다 쏟으면서 연속 딜링을 들어가는데 지력이 90이 넘어가면 설전에서 낼 수 있는 패 숫자가 6개로 늘어나버린다. 즉, 화술 커맨드 없으면 운 좋게 6번을 한 번에 쏟아부으면서 폭딜이 가능하다는 소리.[23] 사실 이 얼굴은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의 장송을 거의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24] 몇몇 시리즈에선 장송 사후 시나리오에서 유비가 소지한다.[25] 장송으로 플레이하면 184년부터 가능하다.[26] 211년 의신횡사 시나리오 때가 유일하다.[27] 위나라-하안, 사마사, 제갈탄, 조예, 조식, 조충, 혜강, 촉나라-장송, 오나라-사지, 육적, 기타-장각, 장보, 도겸, 유종이다.[28] 콘솔판에서만 등장한다.[29] 원로격인 정보, 황개, 한당, 주치 같은 장수들보다 훨씬 더 많이 달라고 한다.[30] 무력이 너무 낮으면 일기토 자체를 이기지 못하고 무력이 너무 높으면 받아주질 않아서 군주의 무력은 70대 중후반 정도가 적당하다. 군주는 일기토 수락확률에 보너스가 붙으니 항상 일기토만 하는 장양을 보게 될 것이다.[31] 참고로 용맹 8을 가지고 있는 무장은 연의에서 장억에게 유성추를 던진 왕쌍이다.[32] 고대무장과 수호전의 무장을 제외하면 능력치 총합이 공동 40위다.[33] 그러나 이 상성 수치 자체는 좀 문제가 있는데 장각이 15, 조조가 25인데 장연은 원소랑 적대 관계였고 최종적으로 조조에게 협조했으니 조조쪽이랑 상성이 맞아야 한다. 설령 장각 쪽에 상성을 맞추더라도 15에서 7이 깎여서 8로 표기되는 게 아니라 15에서 7을 더해서 23 정도로 나오는 게 옳다. 그런데 오히려 깎이는 걸로 멀어져 버려서 조조랑 상성 차이가 18이나 나게 되고 원소랑은 미세하게나마 친해졌으니 역사적 사실과는 괴리감이 있다.[34] 그마저도 코에이에서 여포에게 간지를 부여해주기 위해 삼국지 10편부터 여포의 세력 색을 검은색으로 설정했기 때문에 흑산적인데 세력 색은 청색 계열이다.[35] 이 경우에 원소는 업을 먹은다음 업으로 천도를 하며 서로 치고받다가 약해진 유우, 공손찬을 사이좋게 멸망시키고 위치, 인재가 모두 구려 발전자체를 못한 공손도를 멸망시킨다음 역시 치고 받으면서 발전을 못한 왕광, 장양[131]을 멸망시킨 다음에야 장연을 친다.[36] 이 정책을 가진 무장은 사섭, 손권, 양호, 유표, 장완이 있으며, 고대무장까지 넓히면 곽외, 포숙아, 희평 총 8명만 가지고 있는 희귀 정책으로, 모든 인사정책의 레벨을 올려준다. 양호와 장완의 경우는 Lv 2 올려준다.[37] 종합치만 따지면 이각 3인방은 물론 화웅, 이유보다도 좋다. 물론 뒤의 둘과 가치를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38] 조카인 장수는 정치력과 매력이 장제보다 낮다. 매력은 그렇다쳐도 정치가 40대밖에 안 된다.[39] 이각과 곽사 모두 기병 적성 A에 이각은 창병, 병기 적성이 B이고, 곽사는 창병, 극병적성이 B다.[40] 198년 여포토벌전에서는 장수가 군주로 등장한다.[41] 이는 제갈량과 같은 해에 사망한다는 의미다.[42] 실제 활약상을 보면 이 특기에 가장 잘 맞는 장수라고 볼 수 있다. 웃긴 건 정작 자신이 계략으로 물러나게 한 제갈각은 지력이 훨씬 높아서 위보를 성공시키는 게 불가능에 가깝다.[43] 공손찬에겐 그나마 전예가 있지만 유우는 그야말로 암울하다.[44] 도겸에게 서주를 물려받은 이벤트 또는 시나리오 한정이다.[45] 통무지정매 순으로 72/75/41/49/57에 총합 차이도 1 밖에 안 난다.[46] 마초의 상성은 유비 쪽이고, 한수의 상성은 조조 쪽이다. 이들의 궁합 차이도 좀 큰 편.[47] 삼국지 14 괄목상대 이벤트에서는 장흠이 이벤트 조건에 포함되지도 않는데 이벤트에 등장해서 손권에게 핀잔을 듣는다.[48] 특기와 전수특기가 능력치에 비해 너무 안 어울리고 음성도 정중한 음성이라 더욱 안 어울린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능력치가 너무 아깝다. 멍청한 행동을 했는데 모든 능력치를 20대 중반 정도 이상 넘기게 하기가 진짜 힘들 정도로 답이 없다.[49] 재밌는 건 전예는 지력이 무력보다 8이나 높은데 대타격을 가진 반면 손례는 무력이 지력보다 14나 높은데 전법이 화계다... 그래서 둘의 전법을 바꾸면 활용도가 훨씬 나아진다.[50] 그러나 이는 컴퓨터의 대표적 뻘짓인데 지력 75나 80이나 조언 적중률이 개판 5분전인 건 똑같고 이 정도 지력대면 오히려 군사가 정책 코스트가 0이 된다는 점을 활용하는 편이 낫다. 그런 면에서 삼군강화라는 강력한 정책을 가진 관우를 밀어내고 군제개혁을 가진 전예를 군사로 임명하는 건 비효율적이란 이야기다.[51] 아군의 계략의 거의 통하지 않는 상급 난이도에서는 의미없는 이야기다.[52] No.2인 저수조차 중신특성이 없다.[53] 전풍이 통솔력과 지력은 1 낮고, 무력은 3이 더 높으며 정치력은 아예 똑같다. 심지어 전법마저도 둘 다 대화계로 동일하다.[54] 능력치 총합이 총 285로, 하후무와는 200 이상 차이가 난다.[55] 정봉보다 능력치가 높은 무장들은 강유, 등애, 진태, 문앙, 부첨, 나헌 정도 뿐이다.[56] 삼국지 11편은 서성은 일제공격 무효만 하는 잉여 특기 철벽(왜냐하면 CPU는 일제공격를 거의 쓰지 않는다.)이고 정봉은 미묘하지만 효과가 나쁘지 않은 급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기는 정봉이 더 우세하다. 단 서성이 극병적성이 S에 반면 정봉은 창병 적성이 S이라 활용도가 높은 극병이 유리한 게임이고 무력을 제외한 전 능력치가 정봉보다 높기 때문에 정봉이 서성에게 밀린다.[57] 다른 기본팔기의 궁합은 한수(조조)와 가깝다.[58] 형인 정태는 통솔 50, 무력 31, 지력 80, 정치 74, 매력 71에 개성은 동지, 책사 2개다.[59] 비슷한 사례로 마속 역시 시리즈가 지나며 건방진 젊은이 이미지가 삼국지 시리즈에서 굳어졌는데, 가정 전투에서 자기 멋대로 독단적인 전략을 행했다가 말아먹기는 했지만 마속이 평소에 건방지게 굴었다는 이야기는 없다.[60] 이 둘은 전통적으로 성격이 저돌인 것까지 서로 닮았는데, 이 게임에서 가상 장수가 아닌 이상 무력이 낮고 지력이 높은 인물 중 성격이 저돌인 경우는 이 둘 뿐이다.[61] 위에도 언급 되었듯, 제갈첨이 순전히 자기 능력으로 그런 고위직에 오른 게 아닌 제갈량의 아들이라는 버프가 있었듯 제갈균도 형이 촉한의 기둥이자 국무총리급 인물이라 자기 능력보다 높은 고위직에 올랐다는 해석이 충분히 가능하다.[62] 삼국지 9탄에서는 제갈량이 연노를 제작, 사용한 인물이라는 점이 반영되어 촉의 제갈씨[132]와 황월영은 모두 연노를 처음부터 갖고 있다.[63] 보기에 따라서는 묘하게 웃는 것 같은 얼굴이 교섭한답시고 도리어 유비를 자극하는 느낌을 주기도 한다. 아마도 이릉대전관우의 복수 겸 형주를 탈환하려고 군사를 일으켜 쳐들어온 유비와 화해를 주선하고자 하는 손권의 명에 의해 유비의 진중에 가서 교섭을 한 것으로 그려진 모양이다.[64] 3형제에게 공통적으로 농업 특기가 있는데, 임관 전에는 농사를 하며 생계를 유지한 걸 반영한 모양이다.[65] 위 이미지에 비해 색조가 조금 다르다.[66] 마이너하지만 다른 삼국지 인물들 이름과 조합해서 '조루여포초선등애사정한당조앙'이 완성되기도 한다.[67] 한 도시의 상업 및 개간 최대치는 각각 400~1000 사이의 고정 값을 갖는다.[68] 역대 조위 세력 장수들 중에서는 5위다. 허저, 전위, 하후돈, 방덕(다만 방덕은 위나라 세력 휘하로 나오는 시나리오가 삼국지 3에서는 없다) 다음.[69] 꼼수로 세로신공을 하다보면 조식이 경쟁자가 아닌 심사위원 자격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래야만 우승할 수 있다.[70] 조비 제외. 서로 혐오무장이다. 상성이 좋은 무장은 조창과 견씨. 낙신부 모델 견씨설로 인하여 그렇다.[71] 조예가 끝까지 조식을 등용할 마음이 없던 건 맞지만 그게 조식을 싫어했다는 의미는 아닌데, 오히려 둘은 서신을 주고받으며 긴밀히 교류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고증은 그럭저럭 맞췄다.[72]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았던 제갈량과의 장대한 키보드 배틀을 찾아내서 반영했든가 말이다.[73] 이는 당시의 베트남 복색을 완전히 무시한 것이다. 축융부인의 남만도 실제 삼국 시대 운남 지방과 거리가 있는 건 마찬가지지만 거기는 일단 창작 세력인데 이쪽은 엄연히 실존 인물이다.[74] 이는 삼국지 14의 여성 사실 무장 중에서 가장 출생 연도가 늦은 것이다.[75] 덧붙여 포박 보유자 중에서 능력치 총합이 가장 뛰어난 무장이기도 하다. 반장위관은 매력이 심하게 낮고 마충은 능력치가 모두 C급이기 때문이다.[76] 병사가 일정 수 이하면 자신부대의 모든 능력 상승.[77] 적 무장을 포로로 잡기 쉬움.[78] 당연하겠지만 저 정도 지력과 정치력으로 인사나 외교로 굴리기에는 택도 없다. 그나마 매력이 70대라 B~C급 인사담당으로 간신히 쓸 수는 있지만 매력 80-90짜리 문관이 넘쳐나는 조조군에서 굳이 인사담당으로 굴릴 필요가 없다.[79] 물론 조웅이 악행을 일삼는 장수거나 적장으로 있을 때 지휘관으로 무시무시한 장수는 아니라서 처형할 이유인 자체가 없긴 하다. 보통 유저가 처형하려는 장수는 양송이나 황호처럼 악행을 일삼는 장수거나 조운이나 마초처럼 아군으로 편입되지 않는 상태에서 적으로 있을 때 너무 강한 인물인 경우인데 조웅은 둘 다 해당이 없다.[80] 아무래도 아버지, 자신과 남매지간인 조비조식이 삼조라 불리며 문학 재능이 빼어났으니 거기에서 혜택을 받은 걸로 보인다.[81] 특히 조조와 조앙, 조창은 나머지 친족들에 비해 문관형이 아닌 무관형인 데다가 무력도 높아 필드에서 돌아다니가 잘못 걸렸을 때 끔살당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82] 정말 쓸데없는 여담이지만, 영웅집결 시나리오에서 군주인 조조와 조위의 2인자들인 하후돈순욱에 이어 하후연, 조인, 조홍의 1세대 친족들과 조조의 후계자 조비와 공적상 서열이 동렬이다. 이 다음 서열에 순유, 조예, 조휴, 종요, 화흠, 진군 같은 중진들이 있는 걸로 보아서 어느 면에서 버프라면 버프다.[83] 참고로 장비의 지력이 45, 마초의 지력이 40이다.[84] 실제로는 막장인 조비의 매력이 무려 84에 조식도 79나 된다.[85] 참고로 이 둘은 등장과 사망년도가 별 차이가 안 나고 똑같이 10대 임관인 인물이지만 그래도 부자연사로 취급되어 실제보단 10~20년 정도 오래 사는 반면 조충은 자연사라 얄짤없이 1년 만에 사망한다. 등장년도에 바로 사망하는 장각보다야 사정이 낫지만 장각은 삼국지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조충과 비교가 안 되게 높다.[86] 곽가 같은 경우도 0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어찌저찌 30줄까진 산다.[87] 도적의 경우는 500 정도면 100%로 순순히 넘어가 준다.[88] 중간에 싸움을 멈추고 물러났다. 끝까지 싸웠으면 끔살당했을 확률이 높지만 어찌되었든 하후돈과 맞장을 떠 살아남은 것만으로 어느 정도의 수준급 무력은 입증한 셈이다.[89] 조환 정도의 무력이라면 용맹 최고치인 15를 달아봤자 일기토 뜨면 왕평에게도 패한다. 용맹 7 높아봐야 30이나 차이나는 무력은 어찌해볼 수가 없다. 같은 30차라도 100과 70이 아니라 70과 40이라면 더더욱 그렇다.[90] 재밌게도 손기, 사마염도 마찬가지로 초기작에서는 여러 인물보다 능력치가 높게 나왔다. 그들도 7편부터 낮아졌다.[91] 막내인 조언은 삼국지 3 이외에는 등장하지 않았다.[92] 3명 다 DS판에서는 등장한다.[93] 여담으로 큰 형인 조상은 215년생으로 4세 연상이다.[94] 유비보다도 2개 더 많다.[95] 물론 기마부대인 관우나 조운한테는 의미가 없지만 병격공격인 만큼 최소한의 저항 정도는 할 수 있다.[96] 정치력 50 이상만 돼도 개발 요원으로 사용 가능한 용도가 존재하기에 쓸 가치는 있다. 정치력 50 미만에다가 무력/육지/수지 쪽으로도 두각(보통 70 이상 정도)을 나타내지 못하는 잡장들은 자동적으로 쩌리화...[97] 여담으로 무력이 69인데 이 높은 매력 덕분에 육전지휘/수전지휘가 낮은 거랑 상관없이 무력이 1만 높았으면 장군이 될 수 있었다.[98] 대신 중소규모 전투에서 10부대를 모두 채우지 않을 경우 병사 1명을 주어서 참군으로 쓸 만하다.[99] 물론 명성이 턴마다 명령을 5회 이상씩 해줄 정도가 되면 스스로 명성을 깎는 짓을 하지 않은 이상 충성도가 깎이지 않으니 이러한 걱정은 없어진다.[100] 참고로 그 제갈량의 무력이 78이다.[101] 어차피 사망년이 정해져 있는 인물이라면 생일이 빠른 게 이익이다. 관례를 하는 15세 이후로 조금이라도 더 활약할 가능성이 높고 나이가 들면 능력치가 오르는 몇몇 시리즈에서 높은 능력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102] 이상 둘은 방문한 장수에게 특기를 가르쳐 준다.[103] 이상 둘은 장수의 수명을 늘려준다.[104] 자신이 머무는 도시의 기술치를 올려준다.[105] 유비 세력의 궁합 수치가 대체로 70대 중후반으로 연의에서 유비를 두둔하는 발언을 한 에피소드를 반영한 듯하다.[106] 그러나 신선들의 나이는 --으로 표기되나 마지막 시나리오인 234년 시나리오로 시작해 10년이 좀 더 흐른 24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 선인들도 자연사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불로불사는 아닌 셈.[107] 그래서 좌자의 지력은 99에 +1이 된 100이다. 단, 참모로 임명해도 완벽한 조언을 들을 수는 없는데 이 게임에서 절대 틀리지 않는 조언은 오로지 제갈량의 전유물이기 때문.[108] 조조는 지력 91이어서 좌자가 설전에서 더 유리할 것 같지만 좌자는 설전 특기가 하나도 없다.[109] 주연의 연의상 눈에 띄는 행보라면 조운에게 죽었다는 것 밖에 없는데 결국 조운에게 죽었다고 탐욕스러운 사람이라는 황당한 논리가 되버린다. 그게 아니라면 조운이 옳으니까 그 조운한테 죽은 놈은 죽을만한 놈이었다고 말하고 싶었던건지. 여러모로 코에이의 의도가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다.[110] 사기를 퍼센테이지로 깎기 때문에 마초나 조운 같은 S급 장수가 있는 부대 하나랑 같이 쓰면 우주방어도 할 수 있다.[111] 당시 한국에서 출판되던 삼국지 관련 서적에는 상당수가 주준이 아니라 주전이라고 나와 있는 경우가 많았다. 만화, 소설 할 것 없이. 아마 번역자도 이런 국내 삼국지들을 읽고 잘못 생각했었던 것 같다.[112] 상관인 두예도 잉여 특기로 불리는 앙양이다.[113] 물론 심영의 무력이 낮아서 주지에게 크리티컬이 안 나오지만, 극병 전법은 주지도 대미지를 받는다.[114] 시리즈나 능력치마다 다소 차이는 있다.[115] 통솔력과 무력을 합하여 150 이상이다.[116] 수영 특기는 삼국지 10에서 제독 특기처럼 연의에서 방덕을 물에서 사로잡았다는 걸 반영했다.[117] 대표적으로 관우다.[118] 삼국지 13의 물욕은 단순히 보물에 대한 욕구만 표현한 스탯이 아니다. 세력을 이끌며 패도를 걸었다던가 출세욕이 강했다던가 하는 부분도 물욕에 종합적으로 포함되어 있다.[119] 실제로 사망한 해도 장소가 236년으로 흡사하다. 물론 까닭은 장소가 장수했기 때문이다. 출사한 시기로 따지면 진군은 170년을 전후한 출생자였을 것이다.[120] 1위는 순욱, 2위는 장소다.[121] 본작에서 정욱이 외면받는 이유다. 정욱은 정치가 80대라서 내정 쪽으로는 진군의 완벽한 하위호환이다.[122] 이는 진등의 사인인 간흡충을 의미하는 것이다.[123] 삼국지의 저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삼국지 12에서는 PK를 포함해서 아예 등장하지 않았다.[124] 삼국지 4를 닌텐도 게임으로 리메이크한 게임이다.[125] 대신 삼국지 11에선 같은 집안 사람으로 설정되어 있다.[126] 삼국지 11 PK의 경우엔 한국에서 정식 발매가 안 됐기 때문에 한글판이 없다. 그래서 유저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한글패치만이 존재하는데, 그 양이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약 10년도 더 전에 미완성인 채로 현재까지 내려오고 있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중요도가 좀 떨어지는 부분은 아예 한글화가 되어 있지 않기도 하고, 중요한 대사 부분에서도 저렇게 문법이나 철자가 어색한 경우가 적지 않다. 작업량이 상당히 많아서 최소 몇 달은 잡아야 가능한 작업인데, 막말로 후원금을 받는 일도 아닌 재능기부의 영역인지라 전문가들도 조금 손대다가 결국 GG치고 포기한 것이 오늘날의 삼국지 11 PK 한글패치인 것이다.[127] 두경의 이름도 두예로 오역되었다.[128] 무장이 그나마 제일 많은 위의 경우에도 진태보다 무력으로 나은 인재는 10명이 채 되지 않는 수준이다. 제갈량 사후 시나리오로 가면 장합, 학소 등이 죽고 난 후라 거기서 또 반토막이 난다.[129] 능력치 총합이 398로 곽회와 공동 20위다.[130] 이와 비슷하게 사마부 역시 한실 중시로 설정되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31] 여포 덕에 장양이 왕광을 멸망시켰을 수는 있는데 어차피 여포는 곧 복양으로 떠나간다.[132] 제갈량, 제갈균, 제갈첨, 제갈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