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3-21 20:48:09

주준/기타 창작물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주준

1. 개요

정사연의를 제외한 다른 창작물에 등장하는 주준을 정리한 문서.

2. 게임

2.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Zhu_Jun_2_(1MROTK).png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358.jpg
삼국지 12, 13, 14

초반에는 황보숭을 압도하는 능력치를 달고 나온다. 후반으로 가면 황보숭보다 통솔력과 지력이 약간 낮지만 무력, 특히 정치가 황보숭보다 높아서 능력치 총합은 황보숭보다 높게 나오는 편이다. 상성은 동탁이나 조조보다는 유비하진이랑 근접한 편이라서 노식과 함께 유비 쪽이랑 상성이 잘맞다. 삼국지 2편을 제외하고는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 중이다.

삼국지 3에서는 주준이 아니라 주전이라는 이름을 달고 등장한다.[1] 육전지휘 78과 매력 80을 달고 등장하지만 나머지 능력치들은 죄다 별볼일 없다. 그래도 육전지휘 63밖에 안 되는 황보숭보다는 상황이 나아서 장군은 될 수 있다. 조무와 더불어 매력치가 높은 장군이기에 태수를 시켜주면 좋다.

삼국지 5에서도 역시 황보숭, 노식과 함께 하진 또는 동탁의 수하 장수로 등장한다. 용명이 높아서 병력을 많이 보유할 수 있는 메리트가 있으며 정치나 매력 능력치가 준수해서 인사, 외교, 내정 쪽으로도 돌리기 좋다. 다만 인사 담당으로는 황보숭이나 노식을 더 많이 쓰는 편이라서 외교로 쓰는 것이 무난하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1/무력 40/지력 72/정치력 77로 나쁘지는 않지만 좋다고 하기도 좀 아쉬운 능력으로 나온다. 분전, 제사, 충차, 덫을 가지고 있다. 특히 무력은 가히 내정을 맡은 문관 수준일 정도의 시궁창이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62/지력 73/정치력 70/매력 78에 특기는 6개.[2] 무력이 낮고 설전 특기가 없긴 하지만 기본 지력이 70대에 일단 명사 특기가 있으니 도적은 어떻게든 상대할 수 있고 징병 특기는 유용하다. 통솔력 수치에 비해 보유한 특기가 적어서 전장에선 약간 아쉬움이 있다.

삼국지 11에서는 능력치들이 상향된 무력, 정치력 빼고 통솔력 78/무력 65/지력 70/정치력 71/매력 73으로 너프되고, 병과적성은 S가 없고 극병, 노병, 병기만 A다. 게다가 특기는 화공이라 고증을 살렸지만 특기의 효율성 때문에 그다지 영 좋지 않다. 그나마 나름대로 굴려갈 수가 있다.

삼국지 12에서는 병종이 궁병에 통솔력이 89으로 상향되고, 특기는 병심, 변설 뿐이지만 전법은 전공성강화이라 백 도어용으로 쓸만하고 통솔력 89의 궁병은 아주 좋은 측에 속해서 나름대로 쓸 만하다. 일러스트는 턱수염만 기른 모습으로 변경되었는데 뒷짐을 진 상태로 곽사에게 호통을 치는 모습으로 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84/무력 66/지력 70/정치력 71. 삼국지 12 때에 비해 통솔력이 조금 너프되긴 했으나 황건의 난 시나리오로 플레이 시 +3 관직 보정을 받아 통솔력은 87, 무력은 69까지 올라간다. 특기는 상업 3, 농업 1, 문화 2, 훈련 6, 순찰 7, 연전 5로 전수특기는 순찰이다. 궁병 적성이 A급이고 전법도 '제사지휘'라 궁병으로 쓰면 좋은 편이다. 중신특성은 병참관리로 상당히 좋은 특성이기는 하나 주준의 정치력이 낮은 게 흠. 태수나 도독이라면 상관 없기는 하다. 특이하게도 제갈량과 더불어 내정 관련 특기를 모두 갖고 있다. 후유증으로 인해 혼절하여 쓰러진 뒤 시름시름 앓다가 죽었는데 비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지 않고 자연사 판정으로 되어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84, 무력 63, 지력 70, 정치 71, 매력 75로 전작에 비해 무력이 3 하락했다. 개성은 화공, 모집, 위무, 분쇄, PK에서는 간파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할거, 정책은 화계연구 Lv 4, 진형은 안행, 학익, 투석, 전법은 화시, 견제, 업화, 투석, 친애무장은 노식, 손견, 원유, 황보숭, 혐오무장은 동탁이다.

DLC 시나리오인 성씨패란에서 여강에 자리잡고 부하로는 주개, 주거, 주광, 주령, 주삭, 주연, 주이, 주적, 주찬, 주치, 주포, 주환까지 총 12명을 두고 있다.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가화, 노숙, 노숙, 뇌서, 대교, 사적, 소교, 송겸, 정봉, 정봉, 종리목 총 11명이 있으며 손견의 부하인 주치가 처음부터 군사로 설정되어 있는데 전투력이 뛰어난 무장들이 많지만 지력과 정치력이 약간 부족한 세력이라 노숙부터 얻고 군사로 변경한 뒤 국력을 쌓는 것이 좋다.

3. 만화

3.1.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파일:전략 주준.png
여기에서는[3] 공을 탐내는 전형적인 부패한 신하로 그려져서 정사와는 전혀 다르게 묘사되었다. 특히 의용군에 불과했던 유비를 인정하고 대우해줬던 원작 삼국지연의와는 전혀 다르게 여기서는 처음에는 무시하다가 병력이 딸리자 자기 공을 위해서 철저히 이용하고 버리는 찌질이 내지 인간말종으로 묘사된다.[4]대체 뭐가 밉보였는지 알 수 없으나, 이런 묘사는 정사는 물론 연의 기준으로 봐도 명백한 고인드립이다.[5][6] 뭔가 연의기준 유비 삼형제와 만난 동탁하고 캐릭터가 바뀐 게 아닌가 싶을정도, 특히 자신들을 상대도 안 해주고 막사로 들어간 주준을 보며 장비가 화를 내며 고함을 지르자 거기 놀라기까지 한다.[7] 어디에도 강직한 노장의 이미지는 찾아볼 수가 없다. 황보숭이나 노식이 나름대로 대우 받는 것에 비하면 눈물이 날 정도로 푸대접을 받는데 이상하게도 이 시대의 여러 작품들에선 모두 주준이 이런 모습으로 등장한다. 오히려 이렇게 의용군을 철저히 무시하는 모습을 보면 황보숭, 노식과 같은 한 왕조를 떠받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충신이 아니라 비슷한 창작 일화가 연의에서 그려진 동탁과 비슷한 소인배로 그려진다.

3.2. 삼국전투기

황건의 난과 동시에 짤린 줄 알았으나 에필로그에서 황건의 난을 다뤄주면서 막판에 가서야 등장했다. 황건적 토벌의 공신 3인이 모두 삼대장으로 패러디 되었고 주준은 그 중 볼사리노로 등장한다. 삼대장이 함께 황건의 난 상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기도 했다.

3.3. 삼국지톡

파일:주준.png

직접적인 등장없이 카톡 대화로만 나온다. 손견, 유비와 연합한 황건적 토벌작전이 성공적으로 끝나자 보고하러간다며 환하게 웃는 셀카를 올린다. 말투가 곱다. 열심히 싸워준 유비에게 벼슬을 주고자 하였으나, 십상시의 농간으로 불발되었는데 정발판에서는 주준이 이를 원통해하는 장면이 추가되었다.

3.4. 삼국지 가후전

요코야마 삼국지의 영향인지 부정적인 인물로 그려진다. 직접적으로 등장하진 않지만 십상시들은 주준을 '우리를 잘 따르는 간사한 소인배'라고 하며, 가후의 스승으로 재창작된 염충은 주준을 눈치는 빠르지만 제 몸 지키기밖에 모르는 개밥그릇이라고 평한다. 달리 말하자면 십상시들은 개라는 것이다.

4. 기타

4.1. 와이파이 삼국지

성우는 김용. 등장 시기는 황건적의 난 ~ 삼보의 난이다. 와이파이 삼국지에서의 오리지널 컨셉은 생각하는 장군.[8] 행적은 연의를 따라가고, "~라고 생각하네, "~라는 생각이 드네", ~네 등의 독특한 말투를 가지고 있다.


[1] 당시 한국에서 출판되던 삼국지 관련 서적에는 상당수가 주준이 아니라 주전이라고 나와 있는 경우가 많았다. 만화, 소설 할 것 없이. 아마 번역자도 이런 국내 삼국지들을 읽고 잘못 생각했었던 것 같다.[2] 보수, 징병, 화시, 진정, 반목, 명사[3] 사실상의 원작인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의 영향일 지도 모른다.[4] 원작 만화에서는 사과도 하지 않고 태도를 바꿔서 장비가 변덕쟁이라고 욕을 했지만 애니판에서는 자신이 영천에서 갑질한 것을 사과했다.[5] 어쩌면 일본중국을 깔보기 위해서 왜곡한 것일 수도 있다.[6] 국내 발매된 삼국지에서도 상당수 이런 모습으로 나온다. 그나마 이각, 곽사에게 핍박 당하는 헌제를 지키며 최후까지 조정에 충성을 하는 충신 이미지는 지켜진다. 그래도 판본에 따라선 원본 연의에서 그랬던 것처럼 황건적 토벌 후 거기장군에 봉해질 때 영제에게 유비와 손견의 공이 크다고 상주하는 등 의로운 모습을 보일 때도 있다.[7] 만화책에서는 살짝 쫄지만, 애니판에서는 막사 안으로 도망쳐버린다.[8] 성우 본인이 밝혔다. 출처는 더빙의 신X와이파이 삼국지콜라보레이션 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