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15:25:27

하의(삼국지)

何儀
생몰년도 미상

[clearfix]

1. 개요

후한 말의 황건적.

2. 정사 삼국지

황건적의 난이 진압된 이후에 잔당으로써 남아 유벽[1], 황소, 하만 일행과 함께 각각 수만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원술에게 귀부했다가 손견에게 귀부했으나 196년 2월에 조조에게 공격받아 유벽과 황소가 살해되자 하의의 무리들이 항복했다고만 전해지고 살해되었다는 기술은 없다.

3. 삼국지연의

유벽, 황소, 하만 등과 함께 여남, 영천의 모든군을 휩쓸고 있었으나 조조군에게 공격받아 도주하는 중 허저에게 붙잡혔으며, 하의에 대한 처리를 두고 전위가 허저와 한바탕 싸우게 되었다. 그 뒤 조조군으로 들어간 허저에게 끌려가 살해되었다.

4. 미디어 믹스

4.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external/kongming.net/315-He-Yi.jpg
삼국지 10, 11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69.jpg
삼국지 12, 13, 14

삼국지 5에서 처음으로 등장했는데 황건적답게 허접한 능력치로 나온다. 삼국지 11까지는 다른 황건적과 차이가 나는 일러스트였으나 12에서는 결국 누런 두건으로 컴백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9/무력 67/지력 32/정치력 12로 병법도 분전 하나 있는 쓰레기.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5/무력 69/지력 37/정치력 10/매력 16에 특기는 기합. 단 1개 뿐.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69/지력 36/정치력 10/매력 17. 잉여로 보이지만 황건적 중 정말 얼마 없는 극병 적성 A라 쓰일 곳은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이를 악문 상태에서 두 손으로 창을 든 채 조조군과 맞서고 있으며 능력치는 통솔력 56/무력 69/지력 36/정치력 10. 기병에 전법은 사정약화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연전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연전이고 전법이 기공약화였지만 PK에서 대도발로 변경되었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55, 무력 69, 지력 36, 정치 10, 매력 15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1 하락했다. 개성은 공명, 적도, PK에서는 강탈 개성이 추가되었고 주의는 아도, 정책은 침략황폐 Lv 2, 진형은 장사, 전법은 분전, 친애무장과 혐오무장은 모두 없다.

4.2.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연의의 행적대로 나온다.

4.3. 삼국전투기

이름 때문에 변태가면으로 등장했는데 일단은 황건적이라 그런지 얼굴에 쓰고 있는 천이 노란색인 게 특징. 정군 전투 (4)편에서 처음 등장했고 등장한 화에서 바로 허저에게 제압됐다.

4.4. 진삼국무쌍 시리즈

대체적 황건적 관련 시나리오에서 클론 무장으로 등장하지만 진삼국무쌍6에서는 황건적 관련 시나리오 이외에도 구성의 난에서 등장하며, 아군을 공격하기 위해 남쪽에 있는 아군의 성 북쪽 바깥에서 서화, 사마구 등과 함께 위치하고 있다.

4.5. 토탈 워: 삼국

파일:tw3k_heyi_portrait.png

190년 군웅할거 시나리오의 예약구매 특전 DLC인 황건의 난에서 공도, 황소와 함께 군주로 등장했다. 토탈 워 삼국의 황건적은 도적이 아닌 민중 봉기로 재해석됐기 때문이다. 타입은 의원으로 인구 성장에 특화된 팩션 고유 능력을 가지고 있다. 황건적 DLC 세 무장 중 유일하게 고유 성우를 배정받는 등 황건적 군주 중에서 상당히 제작사의 편애를 받았다.

밤의 경비대를 오마쥬한 당시 사회의 정곡을 찌르는 대사와 성우의 열연[2]이 합쳐져 혁명가스러운 매력이 느껴지는 캐릭터로 토탈워 커뮤니티에서는 바지좌라며 찬양받았다.

160년생으로 설정되어 190년 시점에서 나이는 30세, 칭호는 백성의 군주, 특성은 친절함, 원칙주의자, 집요함, 능력치는 최대 200을 기준으로 전문성 47, 결의 90, 책략 53, 본능 106, 권위 68. 인간관계는 유표, 원술과는 지인으로 부정적인 관계다.

토탈 워: 삼국/세력/하의 항목 참조.


[1] 유벽이 여기서 죽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정사 무제기에서 큰 모순이 생기는데 여남에서 항복한 유벽이 조조에게 모반하여 원소에 호응했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2] 김명준 성우가 연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