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4 02:52:56

마그넷 워리어

마그넷(유희왕)에서 넘어옴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테마 일람'''
[ㅇ]
[A~Z, 특수문자]
[ 각주 ]
● 기준은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데이터베이스의 덱 검색 사이트의 등록 카테고리다.
● 한국어판 미발매 테마들은 비공식 번역명으로 작성한다.
TCG 선행 테마영문판 DB 덱 검색에 카테고리가 등록되어 있으면 영판명 그대로 작성한다.
● 이 리스트에 존재하지 않는 테마의 경우는 카드군 분류, 서포트 카드군 분류 혹은 지정되지 않는 카드군 분류 참조.
게임별 마그넷 워리어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유희왕 러시 듀얼
<colbgcolor=#68937F> 마그넷 워리어
한국어판 명칭 <colbgcolor=#fff,#191919> 마그넷 워리어
일어판 명칭 [ruby(磁石の戦士, ruby=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
영어판 명칭 Magnet Warrior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암석족 효과
특수 소환
융합

1. 개요2. 설명3. 일반 몬스터4. 효과 몬스터
4.1. 레벨 3
4.1.1.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4.1.2.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4.1.3.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
4.2. 레벨 4
4.2.1. 마그넷 워리어 δ4.2.2. 마그넷 워리어 ε4.2.3. 마그넷 워리어 Σ+4.2.4. 마그넷 워리어 Σ-4.2.5. 마그넷 워리어 Ω+
5. "자석의 전사" 몬스터
5.1. 레벨 8
5.1.1.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5.1.2. 전자석의 전사 마그넷 벨세리온5.1.3. 자석의 전사 마그넷 텔루스리온
6. "마그넷" 마법 카드
6.1. 일반 마법
6.1.1. 마그넷 서클 LV26.1.2. 마그넷 인덕션
6.2. 속공 마법
6.2.1. 마그넷 리버스6.2.2. 마그넷 본딩
6.3. 필드 마법
6.3.1. 마그넷 필드
7. 기타 서포트 카드
7.1. 효과 몬스터
7.1.1. 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
7.2. 융합 몬스터
7.2.1. 초전도전기 플라즈마 매그넘7.2.2. 초전도전기 인페리온 매그넘
7.3. 함정 카드
7.3.1. 마그넷 컨버전7.3.2. 마그넷 포스
8. OCG화되지 않은 카드
8.1. 몬스터 카드
8.1.1. 마그넷 워리어 Ω-
8.2. 마법 카드
8.2.1. 마그넷 컨덕터 플러스8.2.2. 파워 오프
8.3. 함정 카드
8.3.1. 10만 가우스!8.3.2. 마그넷 포스 마이너스8.3.3. 마그넷 포스 플러스
9. 같이 쓰면 좋은 카드

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카드군.

2. 설명

이름 그대로 자석을 모티브로 하고 있는 테마로, 이에 따라 전원이 암석족 / 땅 속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외형이나 플레이버 텍스트를 보면 돌덩어리가 아니라 영락없는 로봇이다.

"자석의 전사"라 쓰고 "마그넷 워리어"라 읽는 방식이며, 3레벨들은 "전자석의 전사"라 쓰고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라 읽는다. 이름 때문에 헷갈릴 수 있지만,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는 일렉 카드군에 속하지 않는다. 일렉은 가타카나로 エレキ으로 쓰지만, 이 카드군은 エレク이기 때문이다. 일렉 카드군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한글판에선 일렉이 아닌 엘렉으로 바뀌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판 더빙에서는 합체 전과 후를 가리지 않고 '자석의 전사' 명의로만 등장했지만, 이후 대원방송에서 후속 시리즈를 방영하면서 원본처럼 합체 전은 '마그넷 워리어'로, 합체 후는 '자석의 전사'라는 명칭으로 고정되었다.

먼저 OCG로 등장한 마그넷 1,2호하고는 전혀 무관하다.

2.1. 원작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유희왕 애니메이션 시리즈
주인공의 카드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B1429> DM 어둠의 유우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무토우 유우기 사일런트 매지션 · 사일런트 스워드맨 · 간드라 · 매지션 걸 · 가제트 · 토이
GX 유우키 쥬다이 엘리멘틀 히어로 · 네오스 · 네오 스페이시언 · 코쿤 · 융합 / 퓨전 · 날개 크리보 · 윙맨 · 페이버릿 · 유벨
5D's 후도 유세이 스타더스트 · 정크 · 워리어 · 싱크론 · 세이비어
ZEXAL 츠쿠모 유마 유토피아 · 호프 · 미래황 호프 · ZW · ZS · 가가가 · 주바바 · 고고고 · 도도도 · 아차차 · RUM · 마인(魔人)
아스트랄 유토피아 · 호프 · No. · 아스트랄
ARC-V 사카키 유우야 오드아이즈 · 펜듈럼 드래곤 · EM · 마술사 · 스마일 · 패왕
VRAINS 후지키 유사쿠 코드 토커 · 파이어월 · 사이바넷 · 사이버스 · 링크
아이 Ai
SEVENS 오도 유가 세븐즈로드 · 로드 매직 · 매그넘 오버로드 · 소서러 · 액셀원더
GO RUSH!! 유디아스 벨갸 갤럭티카 · 트랜잠
}}}}}}}}} ||

어둠의 유우기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블랙 매지션 · 암흑 기사 가이아 · 용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 버스터 블레이더 · 엘프 검사
크리보 · 마그넷 워리어 · 트럼프의 삼총사 · 유익환상수 키메라 · 봉인된 · 엑조디아 · 삼환신
서브 에이스 에이스
원작 · DM
데몬 소환
암흑 기사 가이아 · 카오스 솔저
버스터 블레이더
블랙 매지션 걸
크리보
DM
티마이오스의 눈
R
아르카나 나이트 조커
OCG · GX
카오스 솔저 -개벽-
블랙 매지션
DSOD
수호신관 마하드 ||
에이스 진화체 최종 몬스터
원작 · DM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초마도검사 블랙 파라딘
DM
검은 옷의 대현자
블랙 매지션즈 나이트
애뮤릿 드래곤
빛의 피라미드
어둠의 마법신관
OCG
혼돈의 흑마술사
매지션 오브 블랙 카오스 MAX
용기사 블랙 매지션
초마도사-블랙 매지션즈
초마도용기사-붉은 눈의 드라군
초마도전사-마스터 오브 카오스
초마법 기사 블랙 카발리
원작 · DM 초반
봉인된 엑조디아(유실)
토에이
메테오 블랙 드래곤
DM / GX
오시리스의 천공룡
오벨리스크의 거신병
라의 익신룡
}}}}}}}}} ||

미사와 다이치
덱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관련 카드군
워터 드래곤 · 마그넷 워리어
에이스 몬스터
물속성 덱
워터 드래곤
땅속성 덱
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
7번째 덱
리트머스 죽음의 검사
요괴 덱(코믹스)
다이다라봇치
}}}}}}}}} ||
마그넷 워리어는 그 듀얼 킹이 사용했다고 알려진 테마로, 합체와 분리를 반복하는 몬스터로 잘 알려져 있어.
하지만, 가 사용하는 마그넷 워리어는 조금 달라. 플러스와 마이너스라는 자석의 특성을 이용해 배틀을 유리하게 이끌어가는 덱이야.
마그넷 워리어라고 하지만 전략은 하나가 아니라는 거지.
미사와 다이치. 버스트 프로토콜 OCG 타임즈.

원작 배틀 시티 편에서부터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하는 테마로 등장. 마그넷 워리어 α, β, γ가 등장했으며, 후술할 OCG와는 달리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으로 합체하는 능력을 가진 효과 몬스터들로 등장했지만, 빛의 가면&어둠의 가면과의 듀얼을 제외하면 보통 다른 몬스터의 소환 제물용으로 사용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싸움의 의식에서 무토우 유우기아템과의 듀얼 중 사용하는 것으로도 나오며, 이들과 마그넷 포스와의 콤보를 통해 삼환신을 격파하는 저력을 선보였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미사와 다이치가 사용하는 땅 테마의 카드들로 등장. 감마 이후의 그리스 문자들을 띄고 있지만 대문자이며, 플러스 몬스터, 마이너스 몬스터라는 새로운 분류를 효과 대상으로 지정하여 '플러스는 플러스끼리, 마이너스는 마이너스끼리 전투를 무효화시킨다', '플러스와 마이너스는 강제로 전투한다'는 식으로 자석의 성질을 모티브로 한 효과가 존재했다. 공격명은 전부 '리니어 세이버'인 듯 하지만, Ω-의 경우 타니야의 미인계에 걸려든 미사와의 정신 상태의 영향인지 '사랑의 리니어 세이버'가 되었다.

타니야와의 듀얼에서 처음 등장했지만, 아마조네스 덱에게 무참히 패배, 이후 빛의 결사 편에서 다시 등장하지만 사이오의 계략에 빠져 만죠메 화이트 썬더에게 일부러 패배해버리는 등 초라한 전적만을 남겼다. 이들은 이후 작품에서도 카드 일러스트나 배경으로나마 등장하지만 정작 OCG화 되지는 않고, 유희왕 태그 포스 등의 게임에서도 오리지널 카드로조차 수록되지 못하다가 한참 후 2025년에서야 GX리마스터에 맞춰 출시되었다.

유희왕 ZEXAL에서는 폴 가이즈 멤버들이 여기에서 따온 듯한 "마그넷" 덱을 사용한다.

2.2. 성능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의 공통 효과
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고유 효과)
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rowcolor=white> 카드명 ①의 고유 효과
<colbgcolor=#111><colcolor=white> α <colbgcolor=#FFF>①: 덱에서 레벨 8 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β ①: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동명 카드 이외)
γ ①: 패에서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동명 카드 이외)

전원 암석족 / 땅 속성으로 통일된 테마. 테마 내 몬스터는 레벨 4 몬스터인 "마그넷 워리어", 레벨 3 몬스터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레벨 8의 에이스 "자석의 전사" 몬스터로 구성된다. "[ruby(자석의 전사,ruby=마그넷 워리어)]" 중 읽는 법을 따른 한국판에서는 구분이 쉬우나, 일본판 기준으로는 깜빡 구분하지 못하고 넘어갈 우려가 있다보니 '레벨 4 이하'나 '레벨 8'이라는 레벨을 매번 명시하여 서포트가 지정되어있다.

덱 운용에서는 3레벨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이 핵심으로, 공통적으로 소환시 어드밴티지 창출 효과와 상대 턴 한정이지만 손쉬운 새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 후 덱 특소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해당 ②번 효과로는 레벨 3이 아닌 레벨 4만 소환 가능하므로 엘렉트로 이외의 마그넷 워리어만 소환할 수 있다. 본래 이는 원조 바닐라 마그넷 워리어를 소환할 것을 의도한 효과였으나, 이후 지원을 받으면서 4레벨 효과 몬스터가 늘어나서 훨씬 유용한 연계가 가능해지며 우수한 효과로 평이 점차 올라갔다.

묘지 덤핑이 기이할 정도로 많다는 것이 특징이며 심지어 효과의 코스트나 소환 코스트로 덤핑하는 효과들도 많다. 정작 마그넷 워리어 덱의 묘지 자원 활용 능력이 매우 떨어져서 기껏해야 블록드래곤 탄환 장전이 쉽다는 정도밖에 장점이 되지 못했으나,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그 묘지 자원을 활용할 지원을 받으면서 잠재력이 개화했다.

부가적으로는 카드군화되면서 융합 기믹도 추가로 받았는데, 본래는 얼굴마담 수준의 실전성 없는 컨셉용 에이스 초전도전기 인페리온 매그넘뿐이었으며 심지어 테마 내에 융합 카드조차 없었다. 그러다가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융합 효과가 덱 기믹에 융화되어 융합을 주축으로 돌리는 덱으로 변모하였다.

GX 미사와의 ± 상태 부여 기믹은 OCG화되며 카운터를 놓는 등의 한정적인 방식이 아니라 땅 속성으로의 속성 변환으로 개변되었다. 전용 마그넷 워리어가 없으면 함정 카드로 효과 범위에 들어갈 수 있게 만들어줘야 하는 복잡한 기믹인 만큼, 마침 상대였던 아마조네스비트론의 속성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 단일 속성 덱이나 도미나스 채용 덱의 경우 운용을 꼬이게 만들 수 있어 훨씬 범용성이 넓다.

원작 카드를 리스펙트하는 경향이 많은 유희왕 애니 지원에서 특이하게도 OCG 리메이크 카드가 원본을 완전히 대체해버린 케이스이다. 이러한 특성은 암드 드래곤 썬더와도 유사하다.

2.2.1.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몬스터 자체는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의 부속 카드로 마그넷 워리어 α, 마그넷 워리어 β가,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4 최강결투자전기의 부속 카드로 마그넷 워리어 γ가 등장했다. 당시에는 카드군이 아니었으며 평범한 시리즈들이었다.

출시 후 오랫동안 필드 위에 모으기는 굉장히 힘들지만, 최상급 몬스터인 마그넷 발키리온의 소환용 소재를 패에서도 써먹을 수 있어서 게이트 가디언 같은 비슷한 종류의 카드들에 비해선 나은 편이었다. 또한 레스큐 래빗이 나온 이후로 일반 몬스터라는 점을 살려서 발키리온의 소환 용도로 못 써먹는 상황이면 엑시즈 소재로 써먹기도 했다.

9기에 스트럭처 덱 - 무토 유우기에서 정식으로 카드군이 되면서 레벨 3의 리메이크 버전인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가 등장하여 덱의 기반을 다졌다. 몬스터 각각의 능력치는 일반적인 레벨 3 하급 몬스터 수준이지만, 서치와 전개에 특화돼서 덱 압축이 빠르고, 새로운 에이스인 벨세리온은 묘지의 소재를 제외하고 불러올 수 있었다. 하지만 카이바 스트럭처에서 나온 동기인 ABC와 달리 빛은 보지 못했다. 그 쪽은 최상급 몬스터가 융합 몬스터라 메인 덱 몬스터라 패에 에이스 몬스터를 잡아야 낼 수 있던 마그넷 워리어와 달리 특정 몬스터를 잡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도 있었고, 빛/기계족이라는 점을 살려서 타 용병과의 접목도 쉬웠기 때문. 더군다나 이들은 원본인 XYZ를 넣지 않고 ABC 파츠만 투입해도 덱이 돌아갔지만, 마그넷 워리어는 일반 몬스터인 원본들도 반드시 투입해야 제대로 써먹을 수 있다는 문제도 있었다.

듀얼리스트 팩 - 왕의 기억 편에서도 추가 서포트 카드들이 등장했고, 이외에도 심심하면 간간히 지원을 받았다. 이들은 모두 레벨 4의 몬스터라 더 이상 말림패인 원본 마그넷 워리어들을 투입할 이유는 사라졌지만, 고점은 그대로라는 문제점이 발목을 잡았고, 마법/함정 관련된 카드를 서치할 방법도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긴 시간이 흐른 13기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5장의 지원을 받아갔다. OCG 타임즈 방송에서 공개됐는데 미사와 다이치가 패널로 참가했으며 게스트로는 과학 방송인 요네무라 덴지로가 초청되었다. 비슷한 시기에 받아간 리미티드 팩 GX -오시리스 레드-과 점프 동봉으로 공개된 지원에 이어서 서브 애니 테마 포지션으로 지원을 받았으며 미OCG였던 Σ +,-나 애니에서 나오지 않았던 Ω+가 OCG화되었다. 지원 방향성은 레벨 4 카드풀을 늘리면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유용한 몬스터들을 추가, 마법 서치 수단 추가, 그리고 융합 기믹을 본격적으로 테마 내에 추가하면서 플라즈마 매그넘으로 필드의 모든 몬스터들을 땅 속성으로 만들어서 그를 통한 부가효과를 얻는 것을 추구하였다. 미사와의 다른 테마인 워터 드래곤과도 성능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팬서비스성 연결고리를 주었다.

원래부터 덤핑해주는 카드는 많지만 그걸 살릴 묘지 효과가 없던 테마였는데, 그런 테마에 묘지 효과를 더해주니 전개력은 지원 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비약적으로 상승하였다. 코스트 덤핑이나 무체인 덤핑 같은 효과도 있다보니 덤핑 자체를 막을 수 없는 상황을 자주 연출할 수 있다. 융합 기믹이 추가되면서 사실상 쓸 수 없었던 인페리온 매그넘도 호감패를 각오하면 써볼 길이 생겼다. 무엇보다 순수 암석족 덱에 이만한 강화가 온 것은 실로 오랜만이다보니[1] 아다마시아의 최적 파트너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덱에 호감패는 꽤 있는 편이지만 블록드래곤, 어영지사 등의 풍부한 암석족 서포트를 잘 살릴 수 있다는 메리트가 있고, 2핸드 초동이나 초동을 서치하는 초동이 여럿 있어서 궁리가 가능하다.

2.2.2. 유희왕 듀얼링크스

한때 그럭저럭 강력한 모습을 보이다가 인플레에 밀려 비티어로 떨어졌었다.

그런데 2022년 듀얼링크스가 파워 디플레에 시달렸을 무렵[2], 오랫동안 지원도 안 받았고[3], 전술이 크게 달라진 것도 아닌데, 마그넷 워리어 덱이 단독 1티어를 먹는 기적이 일어났다. 신규 티어덱들의 부진, 그리고 다른 티어덱 상대로 마그넷 워리어 덱이 상성이 좋다는 우연이 겹쳐진 결과였다. 대상 지정 견제가 많은 듀링에서 유효한 프리체인 회피, 액세스코드 토커급 돌파력을 가진 벨세리온, 스킬에 크게 의존하지 않는 덱 구성, 퍼미션 몬스터 고르고닉 가디언 이용 가능 등의 장점이 발휘된 것이다.

이는 듀얼링크스의 당시 파워 디플레의 상징이자 정점이라고도 할 수 있었으며 당시 유저들에게는 충격적이었다. 이후 파워 디플레 현상이 빠지자 다시 티어에서 탈락했다.

3. 일반 몬스터

3.1. 레벨 4

3.1.1. 마그넷 워리어 α

3.1.2. 마그넷 워리어 β

3.1.3. 마그넷 워리어 γ

4. 효과 몬스터

4.1. 레벨 3

4.1.1.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716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
일어판명칭=<ruby>電磁石の戦士α<rp>(</rp><rt>エレクトロ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アルファ</rt><rp>)</rp></ruby>,
영어판명칭=Alpha The Electromagnet Warrior,
레벨=3,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700, 수비력=11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8 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고유 효과는 자석의 전사 서치. 마그넷 본딩의 2번째 효과와 겹친다. 발키리온은 인페리온 매그넘의 소재로만 써먹히고, 텔루스리온은 묘지에서만 자체 효과로 나올 수 있으니 일반적으로는 벨세리온의 서치 용도로 쓰인다.

원본과 달리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중에서는 타점이 제일 높다.
수록 시리즈
2016-06-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JP00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2016-09-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KR001 | 스트럭처 덱 - 유희 -
2016-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EN001 | STRUCTURE DECK : YUGI MUTO

4.1.2.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7168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일어판명칭=<ruby>電磁石の戦士β<rp>(</rp><rt>エレクトロ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ベータ</rt><rp>)</rp></ruby>,
영어판명칭=Beta The Electromagnet Warrior,
레벨=3,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5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고유 효과는 마그넷 워리어 서치. 마그넷 본딩의 1번째 효과와 겹친다. 당연히 중요한 카드.
수록 시리즈
2016-06-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JP002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2016-09-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KR002 | 스트럭처 덱 - 유희 -
2016-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EN002 | STRUCTURE DECK : YUGI MUTO

4.1.3.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7171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
일어판명칭=<ruby>電磁石の戦士γ<rp>(</rp><rt>エレクトロ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ガンマ</rt><rp>)</rp></ruby>,
영어판명칭=Gamma The Electromagnet Warrior,
레벨=3,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800, 수비력=20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고유 효과는 패 특소. 위의 둘에 비하면 심심한 효과지만, 그래도 괜찮은 효과고, 벨세리온의 소환용도로 써먹어야 하니 반드시 투입된다.

수록 시리즈
2016-06-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JP00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2016-09-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KR003 | 스트럭처 덱 - 유희 -
2016-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EN003 | STRUCTURE DECK : YUGI MUTO

4.2. 레벨 4

4.2.1. 마그넷 워리어 δ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16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0102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1147_1.jpg
파일:문라이트크림즌폭스.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3194_1.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110
파란 눈의 무녀
VJMP-JP111
푸른 눈의 쌍폭렬룡
VJMP-JP112
문라이트 크림즌 폭스
VJMP-JP113
창세의 용기사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3991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5092_1.jpg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5962_1.jpg
파일:沈黙の魔導剣士-サイレント・パラディン.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114
오드아이즈 페르소나 드래곤
VJMP-JP115
초코 매지션 걸
VJMP-JP116
오시리스의 천공룡
VJMP-JP117
침묵의 마도검사-사일런트 파라딘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8440_1.jpg
파일:磁石の戦士δ.jpg
파일:환상의견습마도사.jpg
파일:SRパッシングライダー.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120
크리스탈 드래곤
VJMP-JP121
마그넷 워리어 δ
VJMP-JP122
환상의 견습 마도사
VJMP-JP123
SR 패싱글라이더
정기구독 특전
VJMP-JP118 EM 핸사무라이거
VJMP-JP119 패치워크 퍼니멀
}}}}}}}}} ||
← 2015년2017년 →

파일:磁石の戦士δ(21T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δ,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δ<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デルタ</rt><rp>)</rp></ruby>,
영어판명칭=Delta the Magnet Warrior,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600, 수비력=14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마그넷 워리어 δ"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3장을 자신의 묘지에서 제외하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 1장을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V점프 10월호 동봉카드로 출시된 카드. 기존 마그넷 워리어가 레벨 4의 일반 몬스터였던 전례를 깬 최초의 효과 몬스터. 이 카드를 기점으로 마그넷 워리어의 운용 방식은 원조 바닐라의 서포트에서 벗어나 우수한 4레벨 몬스터들을 불러내 운영하는 방식으로 변모하였다.

① 효과는 덤핑 효과. 소환만 되면 덱에서 마그넷 워리어 한 장을 묘지로 덤핑할 수 있다. 그 자체로는 코스트 덤핑인 ε(엡실론)의 하위호환이 되기에, 엡실론과 별개의 덤핑권이라는 점을 노리고 쓰는 게 좋다.

②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경우 묘지에 있던 마그넷 워리어 3장을 제외하고 발키리온을 패 / 덱에서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하는 효과. 이 효과로 불러오는 건 정규 소환이 아니니 발키리온은 소생 제한 룰에 걸리긴 하지만, 애초에 인페리온 매그넘의 소재용도로만 쓰일 카드이니 의미는 없다. 원조 바닐라 3인방을 굳이 투입하지 않는 현대 덱리에서는 발키리온을 소환할 유일한 수단이 되며, 제외한 몬스터들은 본딩으로 회수가 가능하다.

"δ"는 로마자의 d에 해당하는 네 번째 그리스 문자 델타.
수록 시리즈
2016-08-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121 | Vジャンプ 2016年 10月号 付録カード
2021-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1TP-JP403 | トーナメントパック 2021 Vol.4
2017-02-1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RATE-EN097 | RAGING TEMPEST
2020-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BCB-EN026 | Speed Duel: Battle City Box
2017-06-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P12-KR023 | 프리미엄 팩 Vol.12

4.2.2. 마그넷 워리어 ε

파일:磁石の戦士ε.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ε,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ε<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イプシロン</rt><rp>)</rp></ruby>,
영어판명칭=Epsilon the Magnet Warrior,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3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 덱에서 "마그넷 워리어 ε" 이외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는 엔드 페이즈까지\, 묘지로 보낸 몬스터와 같은 이름의 카드로 취급한다. 그 후\, 같은 이름의 카드가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는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자신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배틀 오브 카오스에서 블랙 매지션 덱이 지원받을 때 덤으로 받은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King's Court에서 출시되어 월프팩 2021로 들여온 마그넷 인덕션과의 연동 지원이기도 하다.

소환하면 덱의 다른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코스트로 덤핑하고 엔드 페이즈까지 그 몬스터의 이름을 복사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덱의 몬스터를 코스트로 묘지로 보내기 때문에 덤핑이 막힐 일은 없다.

또한 그 후 묘지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는데, 자신 필드에 같은 이름의 카드가 존재하면 안 되므로 코스트로 덤핑한(=이 카드 자신과 이름이 같아진) 몬스터를 직접 바로 되살릴 수는 없다. 따라서 이미 묘지에 존재하던 다른 마그넷 워리어를 소환하는 효과로 사용하게 된다. 이 부가 효과를 쓰기 위해서는 이미 어느 정도 묘지가 쌓여있는 상태에서 소환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지만, 동시에 필드 상황을 살펴볼 필요가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마그넷 워리어 뿐만 아니라 자석의 전사를 소생하는 것도 가능한데, 당연하지만 그래도 소생 제한 룰을 따지므로 이 효과로 불러올 자석의 전사는 정규 소생을 거쳐야 하며, 마그넷 텔루스리온은 소환 제약도 달려 있으니 소생 대상이 아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벨세리온을 소생시킬 수 있다는 정도에서 의의가 있다.

덤핑과 소생, 거기에 이름을 복사해 자석의 전사의 소환을 돕는 등 유능한 효과들로만 뭉쳐있어 필수적으로 2~3장씩 투입되는 카드. 다만 원핸드 초동이 되는 것은 아니므로 투입 매수는 저울질할 필요가 있다.

"ε"는 로마자의 e에 해당하는 다섯 번째 그리스 문자 엡실론.
수록 시리즈
2021-10-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JP020 | バトル・オブ・カオス[ BATTLE OF CHAOS]
2022-01-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KR020 | 배틀 오브 카오스
2022-02-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ACH-EN020 | BATTLE OF CHAOS
2023-09-0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MP23-EN014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HEROES MEGA PACK

4.2.3. 마그넷 워리어 Σ+

파일:磁石の戦士Σ+.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Σ+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Σ+<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シグマプラス</rt><rp>)</rp></ruby>,
영어판명칭=Magnet Warrior Σ+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800, 수비력=15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③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땅 속성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공격 가능한 상대 몬스터는 땅 속성 몬스터를 공격해야 한다.,
효과2=②: 상대 필드에 땅 속성 몬스터가 존재하는 한\, 상대가 자신의 몬스터의 공격 대상을 선택할 시기에\, 그 공격 대상을 자신이 선택한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 "마그넷 워리어 Σ+"가 아닌\,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거나 특수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파일:Magnet-Warrior-Sigma-Plus.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Σ+,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Σ+<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シグマプラス</rt><rp>)</rp></ruby>,
영어판명칭=Magnet Warrior Σ+,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800, 수비력=1500,
효과1=플러스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그 배틀을 무효로 하고 종료한다. 마이너스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에 있을 때\, 전투는 마이너스 몬스터를 대상으로 골라야 한다.)]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OCG화된 미사와 다이치의 마그넷 워리어 중 하나.

①번 효과는 자신 필드에 땅 속성 몬스터가 있을 때 공격을 강요한다. 이 카드를 포함해 마그넷 워리어들은 모두 땅 속성이라 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 같은 속성 변환이라도 맞지 않는 이상 이 효과는 거의 무조건 기능한다. 저타점 몬스터에게 공격을 강요하거나, 고타점 몬스터라도 억지로 전투를 하게 만들어 마그넷 필드에 의한 비대상 바운스 제거가 가능하다. 마그넷 필드를 준비하지 못했더라도 타 속성 용병 카드를 지킬 수 있다는 점에서 메리트가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 필드에 땅 속성 몬스터가 있으면 드래곤의 독재자처럼 공격받는 대상을 자신쪽에서 선택하는 교란 효과. 초전도전기 플라즈마 매그넘의 보조가 있어야 충족하기 쉬운 효과로, 마찬가지로 고타점 에이스 몬스터를 억지로 공격하여 자폭하게 만들거나 마그넷 필드와의 연계를 노릴 수 있다. 이 두 효과는 원작에서 가지고 있던 플러스(+) 마이너스(-) 상극간의 인력 효과를 적절히 어레인지한 형태다.

③번 효과는 OCG 오리지널 효과로, 묘지로 보내지면 묘지에서 동명 카드가 아닌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1장을 선택해 패에 넣거나 소생시킨다. 마그넷 워리어는 리니어 매그넘의 소환 코스트나 마그넷 워리어 ε의 효과 코스트 등 덤핑 기믹이 많은데 그 특성을 유용하게 자원으로 바꿀 수 있는 최초의 카드다. 특히 상대 턴에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의 효과로 소환된 마그넷 워리어 ε의 코스트로 덤핑되면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를 소생시키고, 명칭 턴제가 없는 덱 특소 효과를 사용해서 전선을 유지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세븐 스타즈 편 36화에서 미사와 다이치타니야와의 듀얼 중 사용.

유희왕 ARC-V 106화에서 유우쇼 학원의 어느 학생이 사용하는 것으로 뒷모습만 잠깐 비췄다.

"Σ"는 로마자의 S에 해당하는 열여덟 번째 그리스 문자 시그마.
수록 시리즈
2025-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RO-JP005 | バースト・プロトコル[ BURST PROTOCOL ]

4.2.4. 마그넷 워리어 Σ-

파일:磁石の戦士Σ-.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Σ-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Σ-<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シグママイナス</rt><rp>)</rp></ruby>,
영어판명칭=Magnet Warrior Σ-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500, 수비력=18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패의 이 카드를 상대에게 보여주고 발동할 수 있다. 패의 이 카드를 포함한 자신의 패 / 필드의 암석족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효과2=②: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레벨 8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낸다.,
효과3=③: 1턴에 1번\, 서로의 땅 속성 몬스터끼리 전투를 실행하는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을 무효로 한다.)]
[ 원작 효과 ]
파일:magnet-warrior-sigma-minus.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Σ-,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Σ+<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シグママイナス</rt><rp>)</rp></ruby>,
영어판명칭=Magnet Warrior Σ-,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500, 수비력=1800,
효과1=마이너스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그 배틀을 무효로 하고 종료한다. 플러스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에 있을 때\, 전투는 플러스 몬스터를 대상으로 골라야 한다.)]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OCG화된 미사와 다이치의 마그넷 워리어 중 하나.

원작재현에 충실한 플러스와 달리 원작의 효과는 ③의 전투 무효 효과로 간략화되고, 오리지널 효과가 붙었다.

①의 효과는 패에서 보여주고 실행하는 융합 소환. 융합 소재에만 제약이 걸려있고 결과물은 걸려있지 않아 범용 융합 몬스터를 꺼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당연히 플라즈마 매그넘을 부르는 용도로 쓰일 것이다. 또한 이 카드가 무조건 융합 소재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대가 홍연의 지명자 같은 카드로 이 카드를 치워버리면 효과가 불발된다.

②의 효과는 소환시 덤핑. 덤핑할 카드로는 묘지에서의 소환 기믹을 가진 자석의 전사 마그넷 텔루스리온이 최우선이고, 플라즈마 매그넘이나 인페리온 매그넘의 융합 소환을 노린다면 소재가 될 다른 몬스터를 덤핑할 수도 있다.

③의 효과는 땅 속성 몬스터끼리의 공격선언을 무효화하는 효과. +가 자석의 인력을 상징한다면 -는 척력을 상징한다.
수록 시리즈
2025-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RO-JP006 | バースト・プロトコル[ BURST PROTOCOL ]

4.2.5. 마그넷 워리어 Ω+

{{{#!wiki style="margin: -10px -10px; padding:5px 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A001C> 파일:V 점프 로고.svg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V점프 동봉 카드(2025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파일:葬角のカルノヴルス.jpg
파일:聖月の魔導士エンディミオン.jpg
파일:うかのみつねのたまゆら.jpg
파일:心を凍らせるスノークリスタル.jpg
1월호 2월호 3월호 4월호
VJMP-JP263
장각의 카르노불스
VJMP-JP264
크레센트 오브 마기스토스 엔디미온
VJMP-JP265
우카노미츠네노타마유라
VJMP-JP266
마음을 얼리는 스노우크리스탈
파일:ダークリボー.jpg 파일:試号閃刀姫-アマツ.jpg 파일:ドローパン.jpg 파일:黒魔術の護符.jpg
5월호 6월호 7월호 8월호
VJMP-JP270
다크리보
VJMP-JP271
시호섬도희-아마츠
VJMP-JP272
드로우빵
VJMP-JP273
흑마술의 호부
파일:熒焅聖 アレクゥス.jpg 파일:教導の死徒.jpg 파일:トレジャー・パンサー.jpg 파일:磁石の戦士Ω+.jpg
9월호 10월호 11월호 12월호
VJMP-JP277
형곡성 알레쿠스
VJMP-JP278
채플린 드래그마
VJMP-JP279
트레져 팬서
VJMP-JP280
마그넷 워리어 Ω+
정기구독 특전
VJMP-JP267 문 매지션
VJMP-JP268 문 가드너
VJMP-JP269 스타쉽 어저스트 프레인
VJMP-JP274 계약을 맺은 드래곤 워리어
VJMP-JP275 아인 로이드
VJMP-JP276 요마 누리카베
}}}}}}}}} ||
← 2024년2026년 →


파일:磁石の戦士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 명칭=마그넷 워리어 Ω+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磁石の戦士<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rt><rp>)</rp>Ω+<rp>(</rp><rt>オメガプラス</rt><rp>)</rp></ruby>,
영어판 명칭=Omega Plus the Magnet Warrio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800, 수비력=1900,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가 패 / 묘지에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이 카드 이외의 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의 암석족 몬스터 1장을 파괴하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제외된다.,
효과2=②: 필드의 땅 속성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했을 때\,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원작에서 나오지 않았던 Ω의 +몬스터. 원작에서 미사와가 쓴 마그넷 워리어들을 제치고 먼저 공개되었다.

①의 효과는 패나 필드의 암석족 1장을 파괴하고 패/묘지의 이 카드를 특수 소환하는 기동 효과. 마그넷 워리어는 자괴 기믹하고는 딱히 큰 연이 없지만, 파괴된 리니어 매그넘은 자체 샐비지 효과로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 외에는 일단 묘지로 보낸다는 점에 주목해서 델타나 시그마+를 묘지로 보내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효과로 부르면 제외 디메리트가 붙지만, 이런 카드가 늘 그렇듯이 그냥 엑시즈 소재로 써먹으면 된다. 어차피 레벨도 4니 어영지사 등 수많은 4축 엑시즈 몬스터를 써먹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필드의 땅 속성 몬스터의 효과가 발동하면 자신을 릴리스하고 몬스터 1장을 뒷면 수비 표시로 바꿔버리는 유발 즉시 효과. 마그넷 워리어에만 국한되지 않고 땅 속성 전체가 범위라 나츄르 비스트코아키메일 등 용병 몬스터와도 쓰기 좋다. 플라즈마 매그넘을 세웠다면 상대 필드의 효과에도 반응하는 견제기로 바꿀 수 있다.

"Ω"는 로마자의 O에 해당하는 스물네 번째 마지막 그리스 문자 오메가.
수록 시리즈
2025-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JMP-JP280 | Vジャンプ 2025年 7月号 付録カード

5. "자석의 전사" 몬스터

특정한 종류의 마그넷 워리어들을 소재로 소환 가능한 레벨 8의 특수 소환 몬스터들이다.

5.1. 레벨 8

5.1.1.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

오리지널 마그넷 워리어 3체가 합체한 에이스 몬스터.

5.1.2. 전자석의 전사 마그넷 벨세리온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7174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특수소환=,
한글판명칭=전자석의 전사 마그넷 벨세리온,
일어판명칭=<ruby>電磁石<rp>(</rp><rt>でんじしゃく</rt><rp>)</rp></ruby>の<ruby>戦士<rp>(</rp><rt>せんし</rt><rp>)</rp></ruby>マグネット・ベルセリオン,
영어판명칭=Berserkion the Electromagna Warrior,
레벨=8,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3000, 수비력=28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효과외2=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 / 묘지에서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를 1장씩 제외했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자신 묘지에서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이 카드가 전투 또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경우\, 자신의 제외 상태인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γ"를 1장씩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의 합체형.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과 달리 재료가 되는 마그넷 워리어들을 제외시켜야 하지만, 이쪽은 소환 조건에 묘지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소환하기 훨씬 편하다. 발키리온에 비해 스탯이 낮은 건 아쉽지만, 이 카드도 발키리온과 마찬가지로 1번 정규 소환을 끝냈다면 다른 소생 카드들로 부활할 수 있다.

① 효과는 발키리온에게는 없던 견제 효과. 묘지의 마그넷 워리어를 1장 제외해 상대 카드 1장을 파괴할 수 있다. 턴/카드명 제약이 없고 카드 종류나 표시 형식도 안 가리고, 밑의 텔루스리온에 비해 범위가 넓고, 능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 제외된 마그넷 워리어들은 마그넷 본딩이나 마그넷 리버스 외에는 벨세리온과 텔루스리온의 한정적인 복귀만 가능하니 주의.[4] 델타/엡실론/오메가+는 대응하는 자석의 전사가 없으니 왠만해서는 이 쪽을 먼저 자원으로 써먹자.

②는 자석의 전사들에게 있는 분리 효과. 다른 자석의 전사와 달리 이 카드는 자체적인 분리가 불가능하고 자괴에는 반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오메가+로 파괴하지 않도록 주의. 참고로 분리 효과는 상대의 효과로 파괴됐다면 어디든 대응해서, 소환 도중 무효파괴를 당하거나 패에서 파괴된다고 해도 발동 가능하다. 하지만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알파, 베타, 감마가 전부 있어야 쓸 수 있어서 제외 존에 몬스터가 없거나 파츠가 모자랄 때는 못 써먹으니 주의.

마그넷 워리어 엡실론을 동원하면 이하의 콤보도 가능하다.
  1. 벨세리온이 전투나 효과로 파괴된다.
  2. 벨세리온의 효과로 엘렉트럼 알파, 베타, 감마가 특수 소환된다.
  3. 베타의 효과로 덱에서 엡실론을 서치한다.
  4. 감마의 효과로 패의 엡실론을 특수 소환한다. 혹은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의 2번 효과로 덱에서 엡실론을 특수 소환한다.
  5. 엡실론의 효과로 벨세리온을 소생시킨다.

이름의 유래는 북유럽의 광전사 베르세르크.
수록 시리즈
2016-06-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JP004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2016-09-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KR004 | 스트럭처 덱 - 유희 -
2016-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EN004 | STRUCTURE DECK : YUGI MUTO

5.1.3. 자석의 전사 마그넷 텔루스리온

파일:磁石の戦士マグネット・テルスリオ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자석의 전사 마그넷 텔루스리온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磁石<rp>(</rp><rt>じしゃく</rt><rp>)</rp></ruby>の<ruby>戦士<rp>(</rp><rt>せんし</rt><rp>)</rp></ruby>マグネット・テルスリオン,
영어판 명칭=Tellusrion the Magna Warrior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8,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500, 수비력=25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효과외2=자신의 패 / 필드(앞면 표시) / 묘지의 "마그넷 워리어 Σ+"\, "마그넷 워리어 Σ-"를 1장씩 제외했을 경우에만 묘지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가 효과를 발동했을 때\, 상대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파괴한다. 땅 속성 몬스터를 대상으로 하고 발동했을 경우\, 대신에 그 몬스터의 컨트롤을 얻을 수도 있다.,
효과2=②: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제외 상태인 "마그넷 워리어 Σ" 몬스터 2장을 특수 소환한다.)]

Σ+와 Σ-의 합체형. 소재 몬스터들은 원작에 존재했으나 사용자가 하급 마그넷을 소재로 리니어 매그넘을 주로 소환하다 보니, 시그마의 합체형은 OCG 오리지널로 등장했다.

벨세리온과 비슷하게 넓은 범위의 소재를 제외하고 소환되지만, 패가 아닌 묘지에서 특수 소환된다. 다른 자석의 전사와 달리 해당 방법으로 특수 소환 가능하기에 소생 제한을 충족하더라도 마그넷 리버스나 마그넷 워리어 ε 등으로 소생시킬 수 없는 점에 주의.

①의 효과는 상대의 효과에 체인해 상대 몬스터 1장을 대상 파괴하는 효과. 만약 땅 속성 몬스터가 대상이라면 대신 컨트롤을 가져올 수도 있다. 플라즈마 매그넘이 이미 나와있으면 상대의 몹들은 이미 땅 속성이 되어있기 때문에 쉽게 아드를 빼앗아올 수 있다. 턴 제약이 개별 카드별로 붙는 효과라 여럿이 있으면 여러 번 써먹을 수 있다.

②의 효과는 상대 턴에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소환 코스트로 쓴 시그마 몬스터들을 제외 존에서 불러오는 효과. 직접적으로 지정하고 있지는 않아서 2장의 Σ+나 2장의 Σ-를 꺼내는 것도 가능하다. 필드에 플라즈마 매그넘이 있으면 이 효과로 불러온 몬스터들을 이용해 상대의 배틀을 봉쇄할 수 있다.

이름의 유래는 기계식 태양계 모형 Tellurion으로 추정된다. 미사와 다이치 관련 카드이기 때문인지 북유럽과 관계없는 작명이 되었다.
수록 시리즈
2025-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RO-JP004 | バースト・プロトコル[ BURST PROTOCOL ]

6. "마그넷" 마법 카드

일반 / 속공 / 필드 마법에 한해 초전도전기 플라즈마 매그넘이 지정하고 있다.[5]

6.1. 일반 마법

6.1.1. 마그넷 서클 LV2

최초의 "마그넷" 마법 카드이지만, 패에서 레벨 2 이하의 기계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는 카드라서 상관 없다.

6.1.2. 마그넷 인덕션

파일:マグネット・インダクション.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마그넷 인덕션,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インダクション,
영어판명칭=Magnet Inductio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원래의 레벨이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같은 이름의 카드가 자신 필드에 존재하지 않는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이 카드의 발동 후\, 턴 종료시까지 자신 필드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및 "자석의 전사" 몬스터는\, 전투 및 상대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King's Court에서 트럼프 지원에 덤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등장한 월드 프리미어 지원.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전용 덱 특소로, 필드에 이미 다른 마그넷 워리어가 있어야 하므로 2핸드 초동 역할이 된다.

추가로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랑 자석의 전사 몬스터에게 파괴 내성을 부여하는 부가 효과도 붙어있는데, 발동 후에 소환된 몬스터들에도 적용된다. 일반 마법이라 상대 턴에 써먹을 수는 없으니 자신 턴 동안 파괴 견제를 무시하고 안정성 높은 전개를 가능케 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일러스트는 마그넷 워리어들이 마그넷 발키리온으로 합체하는 과정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1-07-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KICO-EN009 | KING'S COURT
2021-09-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PP2-JP064 | WORLD PREMIERE PACK 2021
2021-12-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WPP2-KR064 | 월드 프리미어 팩 2021

6.2. 속공 마법

6.2.1. 마그넷 리버스

파일:card100187622_1.jpg 파일:MagnetReverse-SR10-EN-C-1E.png
내수판 수출판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마그넷 리버스,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リバース,
영어판명칭=Magnet Reverse,
효과1=①: 자신의 묘지 / 제외 상태인 기계족 / 암석족인 통상 소환할 수 없는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 원작 효과 ]
파일:magnet-reverse.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마그넷 리버스,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リバース,
영어판명칭=Magnet Reverse,
효과1=이 턴 중에 자신 묘지로 보내진 기계족 / 암석족 몬스터 1장을 앞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223화에서 무토우 유우기아템과의 듀얼 중 사용. 패가 없는 상황에서 이 카드를 드로우해내며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를 소생시킨 후 마그넷 포스와의 콤보를 통한 삼환신의 격파의 서막이 되어주었다.

종영 한참 후에 듀얼리스트 팩 - 파라오의 기억 편 -에서 OCG화 되었다. 원작과는 달리 언제든지 소생시킬 수 있고 표시 형식 조건도 사라진 대신 통상 소환할 수 없는 몬스터로 조건이 추가되었다. 조건은 통상 소환 불가 몬스터 뿐이므로 특수 소환 몬스터 말고도 의식, 엑스트라 덱 몬스터들도 효과 대상에 들어간다. 덕분에 범위가 굉장히 넓은 편.

마그넷 워리어 덱에서는 원작과 마찬가지로 "자석의 전사" 계열 몬스터를 소생시키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리니어 매그넘이나 플라즈마 매그넘도 범위에 들어간다. 오랫동안 서치 불가 카드였으나 초전도전기 플라즈마 매그넘의 등장으로 마그넷 워리어 덱에서의 서치 수단이 생기면서 사용해 볼 여지가 생겼다.

본래 마그넷 워리어 전용으로 만들어진 카드지만 어째서인지 원작에서부터 기계족도 소생 가능하다고 언급하였고[6] OCG화에서도 이것이 재현되면서 기계족 덱에서도 써볼만하다. 등장 당시에는 쓰라는 마그넷 덱에서는 안 쓰고 어째 라이벌의 카드군인 ABC에서 에이스인 ABC-드래곤 버스터가 제한을 먹어버려 한번 파괴된 버스터를 재활용하기 위해 채용되고는 했다.

정규 소환을 거치지 않았거나 카운터 함정으로 소환이 무효화 된 카드는 소생 제한 룰에 걸려 소환할 수 없으니 주의. 소환조건을 무시하지 않으므로 통상소환을 할 수 없다해도 'xx의 경우에' 소환할 수 있는 카드들도 소환 불가능하다. 자석의 전사 텔루스리온과 초전도전기 인페리온 매그넘이 대표적인 예시.

카드명은 본래 Rebirth를 의도한 것으로 보이나, TCG 번역명은 Reverse로 번역되었다.
수록 시리즈
2016-06-0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17-JP005 | デュエリストパック - 王の記憶編 -
2020-02-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R10-JP028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R - マシンナーズ・コマンド -
2016-08-22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17-KR005 | 듀얼리스트 팩 - 파라오의 기억 편 -
2020-05-14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R10-KR028 | 스트럭처 덱 R - 머시너즈 커맨드 -
2016-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DPRP-EN006 | DUELIST PACK - RIVALS OF THE PHARAOH -
2020-04-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R10-EN028 | STRUCTURE DECK: MECHANIZED MADNESS

6.2.2. 마그넷 본딩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워터 드래곤
#!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マグネット・ボンディング.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마그넷 본딩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ボンディング,
영어판명칭=Magnet Bonding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효과1=①: 자신 / 상대의 메인 페이즈에\, 이하의 효과에서 1개씩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이 카드명의 이하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선택할 수 없다).,
효과2=●"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 또는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패에 넣는다.,
효과3=●덱에서 레벨 8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4=●자신의 패 / 필드 / 묘지 / 제외 상태인 암석족 몬스터를 융합 소재로서 덱으로 되돌리고\, 암석족의 융합 몬스터 1장을 융합 소환한다.)]

3가지 효과 중 하나를 선택해 사용하는 마법 카드. 섬멸의 타키온 스파이럴처럼 카드명 턴제가 이 효과 자체가 아니라 각 효과에 걸려 있어서 다른 효과를 선택하면 여러번 발동할 수 있다.

1번째 효과는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β의 상향 버전. 베타도 서치할 수 있으며, 리니어 매그넘도 직접 서치할 수 있다. 속공 서치이므로 드롤을 맞아도 어느 정도 저항할 능력을 부여한다.

2번째 효과는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α의 고유 효과와 동일하다.

3번째 효과는 덱 이외의 모든 범위 내의 암석족을 소재로 암석족 몬스터를 융합 소환할 수 있다. 암석족 융합 몬스터 카드풀이 좁아서 범용 몬스터를 소환할 수는 없고, 사실상 마그넷 관련 몬스터만 소환이 가능하다.[7] 융합 몬스터라서 정작 부르기 어려웠던 인페리온 매그넘의 소환 난이도가 대폭 내려간 건 물론, 덱의 자원을 빠르게 고갈내는 마그넷 워리어 덱의 단점을 회수 융합으로 커버하였다.

요약하자면 마그넷 하피니스. 3개의 효과 다 버릴 게 없이 쓸만하고, 턴제도 없어서 여러 장을 겹쳐잡으면 모든 효과를 다 써볼 수 있다. 이 카드 덕에 마그넷 워리어 덱은 1핸드 전개가 가능해지게 된데다가, 가짓수도 꽤 많아지게 되었다. 버스트 프로토콜의 마그넷 지원 중에서도 제일 고평가받는 카드.

여담으로, "본딩" 마법/함정이라서 듀테리온의 서치 범위에 해당된다. 서치 방법도 패에서 버리는 방식이라 부담은 낮은 편. 공식에서도 공개 방송에서 헬 퍼니셔를 통해 덱에서 끌어와 서치할 수 있다고 언급한 걸 보면 미사와 다이치의 카드로서 엮기 위해 노린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5-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RO-JP053 | バースト・プロトコル[ BURST PROTOCOL ]

6.3. 필드 마법

6.3.1. 마그넷 필드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7180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필드=,
한글판명칭=마그넷 필드,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フィールド,
영어판명칭=Magnetic Field,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의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레벨 4 이하의 암석족 / 땅 속성 몬스터가 존재할 경우\,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효과2=②: 1턴에 1번\, 자신의 암석족 / 땅 속성 몬스터와 상대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하고\, 상대 몬스터가 그 전투로 파괴되지 않은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발동할 수 있다. 그 상대 몬스터를 패로 되돌린다.)]

스트럭쳐 덱 유희 편에서 추가된 마그넷 워리어의 전용 필드.

①의 효과는 마그넷 워리어 소생 효과이며, 발동 조건으로 모든 마그넷 워리어가 범위에 들어간다.

②의 효과는 암석족 땅속성 몬스터를 임시로 우주두더지처럼 만들 수 있는 비대상 바운스 효과.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들의 효과로 불러오는 4렙 마그넷 워리어들은 대개 수비표시로 소환되기 마련인데 이 카드와 함께한다면 공격해 온 몬스터를 동귀어진하여 바운스 시킬 수 있다. 반대로 자신 몬스터쪽에서 공격하였을 때도 1:1 교환으로 안정적인 제거가 가능하고, 수비 표시 몬스터를 공격하면 전투 데미지만 받고도 제거할 수 있기에 더욱 이득교환이 된다. 명칭 턴제는 아니지만, 배틀 페이즈 중에 필드 마법을 교환할 방법이 한정적이다보니 큰 의미는 없다.

효과 자체는 무난하지만 아직 접속 방법이 적은 게 단점. 필드 마법이라 그래도 좀 낫지만, 유니온 격납고처럼 파격적인 수준의 효과도 아니라서 우선도가 높지는 않다.

일러스트는 알파, 베타, 감마가 마그넷 발키리온으로 합체하고 있는 모습. 여담이지만 일러스트에는 마그넷 발키리온의 머리 파츠가 보이는데, 실제 합체 과정에서는 반분된 베타의 머리와 감마의 머리끼리 합쳐지며 머리 파츠가 된다.
수록 시리즈
2016-06-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JP02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2016-09-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KR021 | 스트럭처 덱 - 유희 -
2016-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EN024 | STRUCTURE DECK : YUGI MUTO
2020-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BCB-EN034 | Speed Duel: Battle City Box
2022-09-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TP4-EN013 | SPEED DUEL TOURNAMENT PACK 4

7. 기타 서포트 카드

7.1. 효과 몬스터

7.1.1. 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

파일:超電導戦士 リニア・マグナ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超電導戦士<rp>(</rp><rt>ちょうでんどうせんし</rt><rp>)</rp></ruby> リニア・マグナム<ruby>±<rp>(</rp><rt>プラスマイナス</rt><rp>)</rp></ruby>,
영어판 명칭=Conduction Warrior Linear Magnum ±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레벨=7,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700, 수비력=1300,
효과외1=이 카드는 통상 소환할 수 없다.,
효과외2="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는 1턴에 1번\, 자신의 패 / 덱 / 필드(앞면 표시)에서 원래 레벨이 4 이하인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2장을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외2=이 카드명의 ①②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필드의 다른 땅 속성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공격력의 절반만큼 이 카드의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올린다.,
효과2=②: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를 패에 넣는다.)]
[ 원작 효과 ]
파일:Conduction-Warrior-Linear-Magnum-±-(Tem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특수 소환=, 효과=,
한글판 명칭=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
일어판 명칭=<ruby>超電導戦士<rp>(</rp><rt>ちょうでんどうせんし</rt><rp>)</rp></ruby> リニア・マグナム<ruby>±<rp>(</rp><rt>プラスマイナス</rt><rp>)</rp></ruby>,
영어판 명칭=Conduction Warrior Linear Magnum ±,
레벨=7,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700, 수비력=1300,
효과외1=자신의 패 및 필드의 "마그넷 워리어 Σ+"와 "마그넷 워리어 Ω-"를 묘지로 보내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필드 위의 플러스 및 마이너스 몬스터의 공격력의 절반을 이 카드의 공격력에 더한다.)]

리미티드 팩 GX -오시리스 레드-에서 OCG화되었다.

소환 방식은 마그넷 발키리온과 닮았지만, OCG화되며 모든 마그넷 워리어를 코스트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덱의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소환할 수도 있다. 체인을 형성하지 않고 엑스트라 덱의 몬스터를 덤핑하는 라이제올 엑스만 해도 엑스트라 덱 몬스터는 소생 제약 때문에 사용법이 제한됨에도 높은 평가를 받았는데, 메인 덱의 몬스터를 그러한 수단으로 덤핑할 수 있는 최초의 카드이다.

출시 당시엔 이 카드를 서치할 방법이 카드군 내에 없어서 어영지사의 효과를 써야 하며, 기존 몬스터 중 묘지 이점을 살릴 수 있는 몬스터가 거의 없어서 메리트가 낮았다. 아무런 준비 없이 쉽게 튀어나오는 개체수라는 점, 블록드래곤 등의 용병이 쓸 묘지 자원 정도에만 살릴 수 있었으나, 버스트 프로토콜 지원과 연동 동봉에서 덤핑시의 묘지 어드밴티지가 큰 몬스터들이 등장하면서 문자 그대로 개체수가 1장 무료로 나오는데 덱에서 2장을 덤핑해준다는 막을 수조차 없는 1:3 교환비가 되어 밸류가 크게 올랐다. 그야말로 암석족 서큘러라는 표현이 부족하지 않을 정도.

①의 효과는 다른 땅 속성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의 절반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기동 효과. 전투 우위를 취할 수 있는 효과이며, 자신/상대를 가리지 않는다. 플라즈마 매그넘이 있으면 더욱 유용해지는 효과.

원작은 다른 플러스 몬스터와 마이너스 몬스터의 공격력의 합계의 절반만큼 공격력을 올리는 지속 효과였다. 플러스 마이너스 기믹은 OCG화되면서 땅 속성으로 변환하는 기믹으로 바뀌었는데 그 시작점이다. 대신 폭발력이 크게 줄어들었고, 기동 효과기 때문에 상대 턴에는 취약하다. 그래도 공격력을 참조한 몬스터가 필드에 벗어나거나 공격력이 반화해도 발동한 턴에는 공격력이 유지되니 일장일단은 있다.

②의 효과는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지면 자신을 패로 회수하는 강제발동형 유발 효과. 원작에는 없던 효과로 일단 같은 듀얼에 사용한 마그넷 컨덕터 + 가 플러스 몬스터를 회수하는 효과가 있긴 하다. 자체 특수 소환은 1턴에 1번이므로 소환한 턴에 회수하여 바로 소환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피아를 가리지 않으니 오메가+의 효과로 파괴해 능동적으로 써먹을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미사와 다이치가 사용. 작중에서는 세븐 스타즈 편 36화에서 타니야와의 듀얼 중 첫 등장했다. 플러스 마이너스 카드들과의 콤보로 타점을 올리며 나름 선전하나 결국 패배하게 된다.

이후 빛의 결사 편 82화에서 만죠메 화이트 썬더와의 듀얼에서도 등장했으나 미사와가 일부러 패배를 택하면서 지게 된다. 여담으로 만죠메의 카부 톱 터보에 마그넷 포스 플러스를 장착했음에도 어째서인지 공격력 추가 효과가 적용되지 않았다. 만약 적용되었다면 1050의 데미지가 늘어난 상태였으므로 플라즈마 전사 에이톰의 직접 공격으로 미사와가 승리했을 것이다. OCG화되며 기동 효과가 되었기 때문에 본의 아니게 원작 재현이 가능해졌다.

공격명은 '매그넘 레일건(マグナム・レールガン)'.

모티브는 리니어 모터.
수록 시리즈
2025-09-1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PG1-JP002 | LIMITED PACK GX -オシリスレッド-

7.2. 융합 몬스터

7.2.1. 초전도전기 플라즈마 매그넘

파일:超電導戦騎プラズマ・マグナム.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 명칭=초전도전기 플라즈마 매그넘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 명칭=<ruby>超電導戦騎<rp>(</rp><rt>ちょうでんどうせんき</rt><rp>)</rp></ruby>プラズマ・マグナム,
영어판 명칭=Conduction Warrior Plasma Magnum <sub>(마스터 듀얼 번역명),
레벨=7,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2300, 수비력=2800,
소재=암석족 / 땅 속성 몬스터 × 2,
효과외1=이 카드명의 ①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효과1=①: 이 카드를 융합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마그넷" 일반 / 속공 / 필드 마법 카드 1장을 패에 넣는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는 땅 속성이 된다.,
효과3=③: 덱에서 레벨 8의 "자석의 전사"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의 일반 소환을 실행한다.)]

플라즈마 전사 에이톰의 리메이크 카드. 다만 같이 사용했던 마그넷 워리어 테마 소속으로 개조되면서 디자인과 이름을 제외하고는 유사성이 없어졌다. OCG 타임즈에서 요네무라 덴지로의 게스트 출연을 통해 공개되면서, 전자석과 쇠공의 자력을 이용하여 실체화된 다이렉트 어택을 시전하기도 했다.

①의 융합 소환 시 발동하는 효과는 장착 마법과 지속 마법을 제외한 "마그넷" 마법 카드[8]를 서치하는 효과.

②의 지속 효과는 No.4 맹독자포 스텔스 크라겐과 동일하지만, 물 속성 대신 땅 속성으로 만든다. 같이 나온 미사와의 마그넷 워리어들의 땅 속성 메타 효과를 지원하는 효과로, 속성을 주요 기믹으로 사용하는 덱을 기능 정지시킬 수 있다. 그 외에는 상대가 도미나스 임펄스를 사용했다면 그 디메리트를 겪게 만들 수 있고, 자체 기믹 외에는 봄화정 카드의 제약 회피로까지 사용할 수 있다.

③의 효과는 덱에서 자석의 전사를 덤핑하고 마그넷 워리어를 일반 소환할 수 있는 기동 효과. 추가 전개를 이어나가는 한편, 자체 효과로 부활할 수 있는 마그넷 텔루스리온 소환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영문 번역은 인페리온 매그넘과 통일하지 않고, 리니어 매그넘의 GX 영어 더빙판 번역명에서 따왔다. 이를 보아 리니어 매그넘 또한 잠재적으로 더빙판 번역명을 그대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수록 시리즈
2025-10-2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RO-JP065 | バースト・プロトコル[ BURST PROTOCOL ]

7.2.2. 초전도전기 인페리온 매그넘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7189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융합=, 효과=,
한글판명칭=초전도전기 인페리온 매그넘,
일어판명칭=<ruby>超電導戦機<rp>(</rp><rt>ちょうでんどうせんき</rt><rp>)</rp></ruby>インペリオン・マグナム,
영어판명칭=Imperion Magnum the Superconductive Battlebot,
레벨=10,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4000, 수비력=4000,
소재="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 + "전자석의 전사 마그넷 벨세리온",
효과외1=이 카드는 상기의 카드를 융합 소재로 한 융합 소환으로만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1=①: 1턴에 1번\, 상대가 몬스터의 효과 / 마법 / 함정 카드를 발동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발동을 무효로 하고 파괴한다.,
효과2=②: 앞면 표시의 이 카드가 상대의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났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 "전자석의 전사 마그넷 벨세리온" 1장씩을 패 / 덱에서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한다.)]

스트럭처 덱 - 유희편에 수록된 자석의 전사 2장이 그레이트 합체한 궁극의 마그넷 워리어. 이름은 미사와 다이치가 사용한 마그넷 시리즈의 에이스인 초전도전사 리니어 매그넘 ±에서 따온 작명법이다. 이 와중에 한국어판은 Imperion을 페리온으로 표기했다. 디자인은 페가서스 세이버처럼 생겼다.

이전까지 암석족 최강의 공격력과 수비력을 지녔던 몬스터인 자석의 전사 마그넷 발키리온을 제치고 최고 공격력 / 수비력의 암석족 몬스터 자리를 차지했다.

①의 효과 자체는 ABC의 강화형인 AtoZ-드래곤 버스터캐논과 비슷하지만, 노코스트라는 장점이 있다. 카드의 발동을 막으므로 묘지에서 발동하는 마법 / 함정 카드들의 효과나 필드에 이미 나와있는 지속 마법 / 함정의 효과 발동은 못 막는다.

②는 보험 효과로, 이 카드가 상대의 효과로 필드에서 벗어나면 발키리온과 벨세리온을 패/덱에서 소환 조건을 무시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상대 효과에만 해당되기에 덤 정도지만 후속을 마련할 수 있다는 건 좋은 점. 다만 후속이면서도 벨세리온, 발키리온, A to Z 등 여타 분리 효과와 다르게 분리된 몬스터들을 덱에서만 불러온 데다가 소재인 발키리온이나 벨세리온을 복수장 투입할 의미가 딱히 없어서 등장 당시에서는 사실상 의미가 없는 효과였으나, 마그넷 본딩으로 회수 융합을 할 수 있게 되면서 비로소 사용이 가능해졌다.

전반적으로 마그넷 덱의 에이스라기보다 콘셉용 카드라는 느낌이 강한 카드였으나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등장한 마그넷 지원으로 에이스스럽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마그넷 테마이면서도 소재를 덱으로 돌려 ②의 효과를 쉽게 사용할 수도 있는 마그넷 본딩이 유용하다.

파일:초전도전기인페리온매그넘Live2D.gif

최강의 암석족 답게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 Live2D 소환 연출을 받았다.
수록 시리즈
2016-06-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JP041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2016-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EN041 | STRUCTURE DECK : YUGI MUTO
2016-09-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KR041 | 스트럭처 덱 - 유희 -

7.3. 함정 카드

7.3.1. 마그넷 컨버전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7186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마그넷 컨버전,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コンバーション,
영어판명칭=Magnet Conversion,
효과1=① : 자신 묘지의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를 3장까지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패에 넣는다.,
효과2=② : 이 턴에 묘지로 보내지지 않은 이 카드를 묘지에서 제외하고\, 자신의 제외 상태인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같이 발매된 카이바 스트럭쳐의 스크램블 유니온과 매우 유사한 효과를 갖고 있다. 그쪽에 비하면, 1번 효과는 묘지에서 패로 넣는 효과로 바뀌어 있고, 2번 효과는 특수 소환으로 상향된 편.

1번 효과는 묘지 자원 회수 효과. 3장까지인데, 동명 제약은 붙어 있지 않다.

2번 효과는 묘지에서 제외하고 제외되어 있는 레벨 4 이하의 마그넷 워리어를 1장 특수 소환하는 효과.

안타깝게도 플라즈마 매그넘이 마법카드만을 지정하기에 현재로서는 서치 수단이 없다.

일러스트는 마그넷 워리어 베타와 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 베타가 서로의 파츠를 교환하고 있는 모습이다.
수록 시리즈
2016-06-1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JP033 | ストラクチャーデッキ - 武藤遊戯 -
2016-09-0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KR033 | 스트럭처 덱 - 유희 -
2016-10-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DMY-EN035 | STRUCTURE DECK : YUGI MUTO
2020-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BCB-EN041 | Speed Duel: Battle City Box

7.3.2. 마그넷 포스

직접적으로 마그넷 워리어를 지정하는 카드는 아니다.

8. OCG화되지 않은 카드

8.1. 몬스터 카드

8.1.1. 마그넷 워리어 Ω-

파일:Magnet-Warrior-omega-minus.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마그넷 워리어 Ω-,
일어판명칭=<ruby>磁石の戦士Ω-<rp>(</rp><rt>マグネット・ウォリアー・ シグママイナス</rt><rp>)</rp></ruby>,
영어판명칭=Magnet Warrior Ω-,
레벨=4, 속성=땅, 종족=암석족, 공격력=1900, 수비력=800,
효과1=마이너스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그 배틀을 무효로 하고 종료한다. 플러스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에 있을 때\, 전투는 플러스 몬스터를 대상으로 골라야 한다.)]

"Ω"는 로마자의 O에 해당하는 그리스 문자 오메가.

미사와가 쓴 다른 하급 마그넷 워리어들이 버스트 프로토콜에서 OCG화될 때 혼자만 나오지 못했다. 출시 패턴을 고려해보면 리미트 오버 컬렉션에서 출시될 가능성이 높다.

8.2. 마법 카드

8.2.1. 마그넷 컨덕터 플러스

파일:Magnet-Conductor-Plus-マグネットコンダクタープラ-copy.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마그넷 컨덕터 플러스,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コンダクター・プラス,
영어판명칭=Magnet Conductor Plus,
효과1=자신의 묘지에 있는 "플러스"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8.2.2. 파워 오프

파일:Power-Off-(Tem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속공=,
한글판명칭=파워 오프,
일어판명칭=パワーオフ,
영어판명칭=Power Off,
효과1=몬스터 효과에 의해 특수 소환된 플러스마이너스 몬스터를 묘지로 보내고\, 특수 소환시에 묘지로 보낸 몬스터를 특수 소환한다.)]

쉽게 말하면 리니어 매그넘을 묘지로 보내고 시그마 플러스와 오메가 마이너스를 부르는 카드. 더 쉽게 말하자면 융합 해제라고 보면 된다.

8.3. 함정 카드

8.3.1. 10만 가우스!

파일:One-Hundred-Thousand-Gauss-(Temp).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10만 가우스!,
일어판명칭=10<ruby>万<rp>(</rp><rt>まん</rt><rp>)</rp></ruby>ガウス!,
영어판명칭=One Hundred Thousand Gauss,
효과1=자신의 필드에 플러스 몬스터와 마이너스 몬스터가 있을 때에 발동 가능. 상대 필드 위의 몬스터 1장을 공격 표시로 하고 그 공격력을 800 포인트 내린다.)]

가우스는 자속밀도(자기력의 척도)의 물리학적 단위다.

8.3.2. 마그넷 포스 마이너스

파일:マグネットフォースマイナス-Magnet-Force-Minus.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마그넷 포스 마이너스,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フォース・マイナス,
영어판명칭=Magnet Force Minus,
효과1=발동 후\,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한 장착 카드가 된다.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는 【마이너스 몬스터】가 된다. 마이너스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그 배틀을 무효로 하고 종료한다. 플러스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에 있을 때\, 공격 표시가 되고\, 플러스 몬스터와 전투해야 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36화에서 사용.

8.3.3. 마그넷 포스 플러스

파일:Magnet-Force-Plus.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지속=,
한글판명칭=마그넷 포스 플러스,
일어판명칭=マグネット・フォース・プラス,
영어판명칭=Magnet Force Plus,
효과1=발동 후\,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한 장착 카드가 된다. 이 카드를 장착한 몬스터는 【플러스 몬스터】가 된다. 플러스 몬스터와 전투할 경우\, 그 배틀을 무효로 하고 종료한다. 마이너스 몬스터가 상대의 필드에 있을 때\, 공격 표시가 되고\, 플러스 몬스터와 전투해야 한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82화에서 사용.

9. 같이 쓰면 좋은 카드

  • 듀테리온
    패에서 버리고 "본딩" 마법 / 함정 카드를 서치할 수 있어서, 마그넷 워리어에서 가장 중요한 카드인 마그넷 본딩을 서치 가능하기에 사실상의 매수 증가 감각으로 투입 가능하다. 어차피 본딩은 속공 마법이므로 드롤 & 로크 버드에 대한 우려도 적다. 필요하다면 듀테리온을 서치할 화석조사헬 퍼니셔까지 증량이 가능하나, 이 경우에는 드롤 리스크가 커진다.

[1] 11기 후반부터 땅 속성에는 천년이나 봄화정 등 강한 테마가 여럿 있어서 땅 속성 굿 스터프로 근근히 먹고 살곤 했으나, 암석족은 아니라서 종족이 따로 놀다보니 아다마시아의 채굴 같은 시너지를 완전히 살린다고는 하기 어려웠다.[2] 기존 티어덱은 금제로 몰락하고, 신규 카드나 테마, 지원은 전부 예전 티어덱보다 수준이 떨어지던 시기였다.[3] 정확히는 고르고닉 가디언이라는 암석족 3축 전용 퍼미션 엑시즈 몬스터를 받긴 했고, 엑스트라 범용 몬스터의 추가도 생각한다면 지원이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이 덕에 덱파워가 올라가긴 했으나, 문제는 당시 기준으로 최근의 일까지는 아니었다.[4] 마그넷 컨버전의 묘지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데, 정작 컨버전을 서치/덤핑할 방법이 없어서 범용 카드의 위치나 마찬가지다.[5] 이는 지속 마법 전자 실드와 장착 마법 자력의 반지, 일반 함정 팬텀 나이츠 렁 마그네링의 TCG명에 Magnet이 들어가기 때문에 피한 것으로 보인다.[6] 유우기의 덱에서는 기계족 테마로 가제트가 있는데 이를 염두에 둔 효과였던 것으로 추정된다.[7] 화석은 애초에 파슬 퓨전으로만 소환이 가능하니 논외고, 소환수 메가라니카엘섀도르 에그리스타, 모래의 마녀는 지정 소재 중 암석족이 아닌 몬스터가 포함되어있어서 종족 변환을 쓰지 않는 이상 소환할 수 없다. 젬나이트는 젬나이트 몬스터를 포함해야 하는 소재 지정이 있으며 젬나이트를 섞을 거면 테마 내에 이미 융합 기믹이 충분히 널렸다. 남는 건 멀티 피스 골렘나츄르 가이아스트라이오 정도인데, 둘 다 마그넷 덱에서 채용할 이유가 없다.[8] 위에 말했듯이 TCG권 번역 문제 때문에 이렇게 애매한 분류가 책정되었다. 장착 마법은 자력의 반지, 지속 마법은 전자실드, 함정 카드는 팬텀 나이츠 렁 마그네링 때문에 지정되지 못한 것. 의식 마법, 지속/카운터 함정은 존재하지 않으니 의미 없다.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전자석의 전사 마그넷 벨세리온,version=47, uuid=de30839c-c46a-400e-b0e6-0824eb8525cb,
title2=엘렉트로 마그넷 워리어,version2=61, uuid2=a70f745d-2f9f-492d-9c88-748b1a052955,
title3=마그넷 리버스,version3=12, uuid3=d064db95-3a74-4049-b3eb-51b98eea2a43,
title4=초전도전기 인페리온 매그넘,version4=104, uuid4=17192feb-e4a0-44ec-ab72-8a8095011b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