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4 17:04:06

대한민국 국군/장비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대한민국 국군/장비/국산 장비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1. 개요2. 목록
2.1. 육군
2.1.1. 보병
2.1.1.1. 소화기2.1.1.2. 대전차 로켓2.1.1.3. 무반동총2.1.1.4. 대전차 미사일2.1.1.5. 박격포
2.1.2. 포병
2.1.2.1. 견인포2.1.2.2. 자주포2.1.2.3. 다연장로켓2.1.2.4. 지원차량2.1.2.5. 탄도 미사일2.1.2.6. 순항 미사일
2.1.3. 기갑2.1.4. 차량2.1.5. 방공2.1.6. 공병 장비2.1.7. 헬리콥터2.1.8. 무인정찰기
2.2. 해군
2.2.1. 고속상륙정2.2.2. 소해함2.2.3. 고속정/함2.2.4. 호위함/초계함2.2.5. 구축함2.2.6. 상륙함/강습상륙함2.2.7. 잠수함2.2.8. 지원함2.2.9. 지원정2.2.10. 기타2.2.11. 차량2.2.12. 방공2.2.13. 항공기2.2.14. 해병
2.2.14.1. 보병2.2.14.2. 포병2.2.14.3. 기갑2.2.14.4. 공병
2.3. 공군
2.3.1. 전투기/전폭기2.3.2. 수송기2.3.3. 조기경보통제기2.3.4. 공중급유기2.3.5. 정찰기2.3.6. 공격기2.3.7. 훈련기2.3.8. 헬리콥터2.3.9. 기타 항공기2.3.10. 방공2.3.11. 무인정찰기
2.4. 기타
2.4.1. 개인장비 및 장구류2.4.2. 개발 취소 무기2.4.3. 적성국 장비 연구용2.4.4. 차기장비
2.5. 퇴역장비
2.5.1. 육군 퇴역장비2.5.2. 해군 퇴역장비2.5.3. 공군 퇴역장비

1. 개요

대한민국 국군 현역 및 퇴역 장비의 목록을 열거하는 문서. 대한민국에서 개발한 장비에 관한 세부 목록은 국산 장비 하위문서를 참조.

2. 목록

2.1. 육군

냉전기의 대한민국 군경의 보병장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대한민국 군경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03, M1917, 대한식 소총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M14, M16A1, MX 소총, K2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 M3A1, K1, K1A
산탄총 S&W M916TG, M1200TG, 스티븐스 67/77TG, FABARM SDASS(초기형)TG
권총 자동권총 M1911A1, K5
리볼버 M1917,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 M&PP, M19P, M36P
지원화기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 M1919A6, M73, M60, M2, KIST A형 경기관총, XA-20 경기관총, K6, M134C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K201, 페더럴 37mm 최루탄 발사기TG
대전차화기 M9, M20, M20A1K, M18, M20, M67, M40, M72 LAW, K.LAW, BGM-71
화염방사기 M2, KM202A1
박격포 M1, M2, M29, KM29A1, KM181, KM187, M2,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M114, M59,KH178, KH179
맨패즈 재블린 지대공미사일
유탄 MK2, MK3A2, M26, M61, M67, K75, K400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특수전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SSG 69, 마우저 SP66
반자동소총 PSG1P
자동소총 CAR-15, XM177
기관단총 UZI, Mini UZI, MAC-10, MAC-11, MP5A3, MP5SD3
권총 PPK, 베레타 92SB, 92F, P7M13P, M459
산탄총 M1897, M1912, M870
냉병기 도검류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KM7, KCB-77
TG: 경찰이 시위 진압을 위한 최루탄 발사용으로 사용
P: 군 이외의 경찰이나 대통령경호실 등이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현대의 대한민국 국군 / 경찰 보병장비




돌격​소총 <colbgcolor=white,#191919>M16A1, K2, K2C1, K11
저격​소총 K14, M107A1-CQ
기관단총 K1A
산탄총 M4 슈퍼 90EOD, 스트라이커EOD, M3 슈퍼 90BAT, M1200BAT, 베레타 686BAT, M1897, M1912, USAS-12

자동​권총 M1911A1, K5, KP-52P, DH-380P
리볼버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P, M64P, M15P/M67P, M19P/M66P, M60P, M36P, STRV9P
총검 KM7, M9P





경​기관총 K3, K15
다목적 기관총 M60, K16, M134, PKT
중​기관총 M2, K6, NSVT
유탄발사기 M79, M203, K201, K4
대전차화기 M72 LAW, 판처파우스트 3, 90mm 무반동총, 106mm 무반동총, BGM-71, 메티스-M, 현궁, 스파이크
박격포 KM181, KM187, KMS114,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KH179
맨패즈 재블린, 스팅어, 이글라, 미스트랄, 신궁
수류탄 K75/K400, K413, MK3A2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K421 원격운용통제탄




소​총 돌격​소총 HK416, HK416A5, SCAR-L, SIG516, CAR816, M4A1P, DD Mk.18P, SR-16, KS-3, M6P, ARADP, K2C, AK-47C, 56식 자동소총C, AK-74C
저격​소총 SSG 69, SSG 3000, M700 AICS, AW, AWSM, AW50, APR308, TRG M10, LRT-3, PSG1, MSG90, Mk.11 SWS, M110 SASS, G28E, DD5V1, MRAD, M107A1, PSLC
기관단총 K7, K13, MP5A5, MP5SD6, MP5K, MP7A1P, UMP45P, MP9, APC9K PRO, DSMG9P, X95 9mm SMG, DSAR-15PC, Vz.61C
산탄총 M870P, M870 MCS, KSG, UTS-15, M590P, M4 슈퍼 90P
권총 G17, G19, G26, 베레타 92(SB/F), P7M13P, USP9T, P2000P, P226, CZ75 P01Ω, 제리코 941FL, Px4 스톰P, M&P9P, SFP9P, TT-33C
특수화기 APS, KSPW, M32 MGL
총검 KCB-77, 6X5C
의장 M1 개런드, M16A1, K2C1, M14US
※ 윗첨자P: 경찰/해양경찰/대통령경호처에서만 운용
※ 윗첨자BAT: 공군에서 조류퇴치용으로 일부 사용
※윗첨자EOD: 군 폭발물처리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윗첨자US: 한미연합사 의장대에서 무상대여로 운용
※ 윗첨자C: 적성화기
K1A, DSAR-15PC는 국방규격 상 기관단총으로 분류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냉전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45~1991)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기타전차 <colbgcolor=#2A5034> 경전차 M36 전차R/M, M24 채피L/R
중형전차 M4A3 (76) W HVSSR, T-34-85C/R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 M48(A1R/A2C) 패튼, M48(A3K / A5K · K2 · KW) 패튼M
2세대 Tiran-6X, T-72M1X, M60X
3세대 K-1
장갑차 차륜형 M8 LACR, M20 유틸리티 카R, KM900, UR-416X, M706R
궤도형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200(A1), K277, K533 · 534, K-77, KAFV
차량
소형 K-131, K-111, K-100
M38(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트럭 닛산 1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 K300R, K301R, K311(A1), K511(A1), K711, K800, K409 TEL, K501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 CCKWR,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 M985, M1142)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 M110, K-55(A1), 곡산 170mmX
자주박격포 M106R, M125R, K242(A1), K281(A1), K532
대전차 자주포 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자주대공무기 자주대공포 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자주대공
미사일
없음(?)
다연장로켓 K-136 구룡 I/II
대포병 체계 AN/TNS-10
공병 차량 구난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M88(A1) 구난전차, KAAVR7A1
AEV KM9 ACE, M728 X/R/?
교량 차량 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기타 K-313, K-512
대테러부대용 차량 없음(?)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91~현재)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MBT <colbgcolor=#2A5034> 1세대 M47 패튼R | M48(A1/A2C/A3K)R
2세대 M48A5(K1/K2/KW) | Tiran-6X | T-72M1X | M60X
3세대 K-1 | K-1A1 | T-80U
3.5세대 K-1(E1/{E2}) | K-1(A2/{A3}) | K-2 흑표
장갑차 차륜형 KM900R | RG-31 Mk.3 니알라L | 바라쿠다R | K806/808 백호 | KMPVX | M1224 MaxxPro Dash
궤도형 LVTP-7R | K200(A1) | K277(A1) | KAFV | BMP-3 | K-21({PIP}) | AS-21 레드백X | KAAVP-7A1 | {KAAV-II}
차량 소형 K-100R | K111 | K131 | K151 현마 | 전역차륜차량 | 샌드캣
트럭 K300/K301R | K800R | M37R | M602R | M35R | K311(A1/A2) | K511(A1) | K711(A1) | K911 | {K351} | {중형표준차량} | 민수용트럭 | FOX RRV | HEMTT(M977, M984A1, M985A2, M1142) | MTVR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 M110R | K-55(A1) | K-9(A1/{A2}/{A3}) | K105A1 풍익
자주박격포 M106R | M125R | K242(A1) | K281(A1) | K532 | KSM-120 비격
포병지원차량 탄약보급 K-10 | K-56
사격지휘 K-311 포사격지휘차 | K-514 | K-77
대포병 레이더 AN/TPQ-(36/37) | 아서-K | TPQ-74K 천경-II
다연장로켓 M270(A1) MLRS | K-136 구룡 | K-239 천무
TEL K409 TEL | K501 TEL | K-91X TEL
야전방공무기 자주대공포 K263(A1/A3) | K-30 비호 | K-30W 천호
대공 미사일 K-30 SAM 비호복합 | K-31 천마
지원 차량 구난차량 K288(A1) | K1 구난전차 | K-912 | 경구난차량 | KAAVR7A1 | M88(A1) 구난전차R | M578 경구난차량
AEV KM9 ACE | K-600 코뿔소
교량차량 K-1 AVLB 교량전차 | K-719 | 부교 운반차 | KM3 수룡
통신차량 K533/534
화생방차량 K-316 | K-332 | KM9
기타 K-313 | K-512
대테러부대용차량 TM-170 | S5 장갑차 | 렌코 베어캣 | 숄랜드 S600 | 포드 익스커션 | 포드 F-350 | 로셸 세네터 AR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X: 시범운용, 연구 목적 도입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2.1.1. 보병

2.1.1.1. 소화기
2.1.1.2. 대전차 로켓
2.1.1.3. 무반동총
2.1.1.4. 대전차 미사일
2.1.1.5. 박격포

2.1.2. 포병


2.1.2.1. 견인포
  • M114 155mm 곡사포
    KH-179를 전력화하기 전까진 이 포를 주력으로 운용했으며 2019년 현재는 예비군용으로 비축하고 있다. 또한 동원, 지역방위사단 등에서는 아직도 많이 남아있다.
  • KH178 105mm 견인곡사포
    대량양산을 시도했으나 일개 대대 수준만 양산하였으며 퇴역 여부는 잘 알려져있지는 않지만 생산 업체에 의하면 아직 라인이 닫히지 않았다고 한다. 카탈로그에서도 KH178 MK1이라는 개량형이 보인다. GPS 기능이나 제원입력 등이 자동화된 버전으로 보이는 점을 보면 운용 중일 가능성이 높다.
2.1.2.2. 자주포
2.1.2.3. 다연장로켓
2.1.2.4. 지원차량
2.1.2.5. 탄도 미사일
2.1.2.6. 순항 미사일

2.1.3. 기갑

2.1.4. 차량

2.1.5. 방공

2.1.6. 공병 장비

2.1.7. 헬리콥터

2.1.8. 무인정찰기

  • RQ-101 송골매 군단급 무인 정찰기
  • 서쳐 군단급 무인 정찰기
  • 리모아이 대대급 무인 정찰기
  • 차기 사단급 무인정찰기 (2017년 전력화)
  • 헤론-1 군단급 무인정찰기 (2015년 후반기 배치)
  • 차기 군단급 무인정찰기 (2020년 전력화)

2.2. 해군

파일:대한민국 해군기.svg 현대 대한민국 해군 함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1B69><colcolor=white> 잠수함 <colbgcolor=#001B69><colcolor=#fff> SS 장보고급, 손원일급, 도산안창호급, {KSS-III Batch-II}
SSM 비둘기/갈매기급, 돌고래급, 참고래급, 가자미급, 범고래급
SSN 362사업
항공모함 한국형 경항모 계획, {CVX}
아스널십 {합동화력함}
구축함 DDG 세종대왕급, 정조대왕급, {KDDX}
DDH 광개토대왕급, 충무공이순신급
DD 충무급, 충북급, 대구·인천급
호위구축함(DE)
고속수송함(APD)
경기·강원급, 충남급, 경남·아산급, 경북·전남급
호위함 FFG 인천급, 대구급, 충남급, {FFX Batch-IV}
FF 울산급
PF 두만강급
초계함 PCC
OPV
동해급, 포항급, {한국형 차세대 연안초계함}
경비함정
(PG, PCS, PC, PCE)
충무공 313·315, 수성급, 백두산급, 노량급, 거진급, 신성급
유도탄고속함 PKG 윤영하급
PGM 백구·기러기급
PKMM 기러기 121·122
고속정 PKM
PKMR
기러기 123, 기러기/참수리급
참수리 211급
PB
SB
FB
PK
올빼미급
보라매급
독수리급
제비급
PT 갈매기급
상륙함 LPH 독도급
LST-II (LSD) 천왕봉급
LST 천안·용화급, 안동급, 용비급, 운봉급, 고준봉급
LSM
LSMR
대초급
시흥급
상륙정 LSF 솔개 611, 거북이 613급, 솔개 621급, 솔개 631급
LCU 물개급
LCI
LSSL
서울/천안급
영흥만급
기뢰부설함 LSML
MLS
풍도·울릉
원산, 남포
소해함 MSC
MHC
MHS
금산급, 남양급
강경급
양양급, {MSH-II}
소해정 YMS
JMS
AMS
금강산/강진급
대전급
금화급
군수지원함 AOE 천지급, 소양급
수상함구조함 ARS
ATS
창원·구미
평택·광양, 통영·광양
잠수함구조함 ASR 청해진, 강화도
훈련함 ATH 한산도
정보함 AGS 신천지, 신세기, 신기원, {AGX-III}
잠수정모함 ASL 남양, 다도해
수리함 ARL 덕수
수송함 AKL 부산·인천/제물포, 원산급, 군산/천수급
유조함 YO
AO
AOR
구룡
천지·부전/부천, 백연/화천, 청평
소양·진양
예인함 ATA 인왕, 용문, 도봉
전투근무지원정 전투정 다목적훈련지원정(MTB), 항만경비정(YUB/HP), 항만수송정(YF), {특수전지원함·특수침투정}
근무지원정 숙영지원정(QB), 냉동정(RCM), 고속정지원정(YPK-A), 잠수지원정(DB), 구조지원정(YDT), 항무지휘정(YSB/HCB), 예인정(YTL), 기중기정(YD), 청소정(OS), 청수정(AWT/YWS), 항무지원정(LCM/HUB), 헬기이착함훈련지원정(YHE)
기타 단정, 주정 고속단정(RIB), 인원이송상륙주정(LCP), 상륙주정(LCVP), 고속상륙주정(LCM)
유인기 심해구조잠수정(DSRV)
무인기 수중무인탐사기(ROV), 무인기뢰처리기-II(MDV), {무인잠수정(UUV)}, {무인수상정(USV)}, {무인전력지휘통제함}
타기관 함정 육군, 국과연 육군경비정, 교량 가설 단정, 선진, 지심, 미래, 청해
황색 글자: 퇴역 함정
※ {중괄호}: 취역 예정 함정
취소선: 취소된 함정
※ 윗첨자: 정보사령부 소속 함정
※ 윗첨자: 대한민국 육군 소속 함정
※ 윗첨자: 국방과학연구소 소속 함정
※ 윗첨자나포: 적으로 부터 나포한 함정
※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해군 취역·퇴역 함정 일람 |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자세한 것은 대한민국 해군/전력 문서 참조.

2.2.1. 고속상륙정

2.2.2. 소해함

2.2.3. 고속정/함

2.2.4. 호위함/초계함

2.2.5. 구축함

2.2.6. 상륙함/강습상륙함

2.2.7. 잠수함

2.2.8. 지원함

2.2.9. 지원정

  • 물개급 상륙정
  • ASCL - 특수선박
  • HUB - 항무지원정
  • LCM - 소형 상륙정, 출입항 지원
  • MTB - 다목적 훈련 지원정
  • YD - 기중기정, 해상크레인
  • YHE - 헬기 이 착함 훈련 지원정
  • YTL - 출입항 지원 및 예인
  • YUB - 항만경비정
  • YF - 인원 수송
  • YO - 유조정
  • YOS - 청소정
  • YWS - 청수정
  • YDB - 잠수지원정
  • YDT - 심해잠수지원정

2.2.10. 기타

해군 내에서 쓰이는 소병기(소총, 권총 등) 일람

2.2.11. 차량

2.2.12. 방공

  • 맨패즈
    • 신궁
    • 미스트랄
  • 자주대공포
    • K263A3 20mm - K200 계열 파생형
  • 대공포
    • M167A1 견인 발칸포

2.2.13. 항공기

2.2.14. 해병

2.2.14.1. 보병
해병대는 지상전 부대이므로 최신형 장비를 제외하곤 육군과 동일하다.
  • 대전차 미사일
2.2.14.2. 포병
2.2.14.3. 기갑
2.2.14.4. 공병
해군 공병은 군사장비가 아니라 민간용 건설장비를 사용하므로 해당 문단을 해병에 분류했다.
  • 기갑 장비
    • KM9ACE - 장갑전투도자
    • M58 MICLIC - 차량통로개척용 로켓발사 견인식 지뢰제거장비
    • KM138 - 자동 지뢰 살포기
    • K1 AVLB - 교량전차
    • K-711 - 5톤 유압 크레인
  • 도하 장비
  • 개인 장비
    • POMINS-Ⅱ - 휴대용 지뢰제거 시스템
    • 휴대용 폭파기구세트
    • 휴대용 원격무선 폭파기구셑
    • KM-180 - 도로대화구 폭파키트

2.3. 공군

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大韓民國 國軍 |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colbgcolor=#407FBF> 회전익기 <colbgcolor=#407FBF> '''[[무장헬기|
경헬기
]]'''
LAH-1 미르온 | Bo 105CBS | 500MD 디펜더 | OH-58B 카이오와 | OH-23G 레이븐
'''
다목적 헬기
'''
KUH-1 수리온 | MUH-1 마린온 | UH-60P 블랙 호크 | HH-60P | HH-32A | 벨 412 | UH-1(B/H) 휴이 | UH-19D 치카소
수송헬기 CH-47(D/NE/{F}) 치누크 | HH-47D
공격헬기 AH-64E 아파치 | AH-1(J/S) 코브라 | {MAH}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AW159 와일드캣 | 슈퍼 링스 Mk.99(A/U) | SA.319B 알루에트 III
'''[[전투기|
전투기
]]'''
프롭 F-51D 머스탱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2세대 전투기|
2세대
]]'''
F-5(A/B) 프리덤 파이터
'''[[3세대 전투기|
3세대
]]'''
KF-5(E/F) 제공호 | F-5(E/F) 타이거 II | F-4(D/E) 팬텀 II
4(.5)세대 {KF-21 보라매} | F-15K 슬램 이글 | KF-16(C/D) 블록 52 → KF-16U 파이팅 팰콘 | F-16(C/D) 블록 32 → 블록 52 PBU | FA-50 파이팅 이글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프리덤 나이트
공격기 KA-1 웅비 | A-37B 드래곤플라이 | AT-33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16(C/D) | RA-50 | RF-5A | RF-4C | RF-86F
전자 팰콘 2000S 백두 2 | RC-800B 백두 | EC-47Q ELINT
ISR RC-800G 금강
해상초계기 P-8K 포세이돈 | P-3(C/CK) 오라이언 | S-2E 트래커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N-235(-100M/-220M) |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전술 {C-390 밀레니엄} | C-130(H/H-30/J-30) 허큘리스 | MC-130K | C-54E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수상기 KN-1 해취호 | SX-1 서해호 | SX-2 | SX-3 제해호
다목적기 U-9(C/F) | O-2A | O-1(A/E/G)버드 도그 | U-6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737 피스 아이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330 시그너스
전자전기 EC-47Q | {한국형 SOJ 전자전기}
'''
연락기
'''
L-5 센티넬 | L-4 그래스호퍼 | SX-5 통해호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티로터 | RQ-103K | {WB 워메이트} | 천뢰-2
클래스 1 - 소형
넵튠 V270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RQ-102K 참매 | RQ-101 송골매 | 서쳐 II | 캠콥터 S-100 | {캠콥터 S-300} | KUS-7 | 솔개
클래스 3 - MALE급
{RQ-105K} | 헤론
클래스 3 - HALE급
RQ-4B 글로벌 호크
'''
UCAV
'''
클래스 3 - MALE급
{MQ-105K}
{KUS-X} | {UCCR}
'''[[훈련기|
훈련기
]]'''
프롭 KT-1 웅비 | KT-100 | T-103 |CAP-10B | T-41D 메스칼레로 | T-28A 트로젼 | T-6 텍산 | TF-51D | 부활호 | 새매호
제트 T-50 · TA-50 골든이글 | T-59 호크 | T-38 탈론L | T-37C 트윗 | T-33A 슈팅스타
헬기 벨 505
표적예인 CARV-II 캐러밴
가상적기 MQM-107 | MiG-29 | L-2 | J-7 | MiG-19 | Il-28
VIP 탑승기 B747-8B5L | {B737 MAX 8}L | B737-3Z8 | VCN-235 | HS.748 | 보잉 747-4B5L | VC-118 | VC-54 | L-26
VH-60P | VH-92 | AS332 L2 | 벨 412SP | 벨 212 | UH-1(B/H/N) | UH-19D | H-13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해병대), 표기 없을 시 공군
}}}}}}}}}


2.3.1. 전투기/전폭기

2.3.2. 수송기

2.3.3. 조기경보통제기

2.3.4. 공중급유기

2.3.5. 정찰기

  • RF-16
  • 금강/백두
  • KA-1 - 전술통제기

2.3.6. 공격기

  • FA-50 - 경공격기, 경전투기

2.3.7. 훈련기

2.3.8. 헬리콥터

  • HH-60 - 탐색구조용으로 개조된 모델
  • VH-60 - VIP용으로 사용하는 모델
  • HH-32 - 탐색구조용으로 개조된 모델
  • CH-47 Chinook
  • VS-92
  • AS-332 슈퍼퓨마

2.3.9. 기타 항공기

2.3.10. 방공

2.3.11. 무인정찰기

2.4. 기타

2.4.1. 개인장비 및 장구류

아래에 존재하는 내역들이 군장에 포함되는 장비들 중의 일부이다. 자세한 내용은 군장/대한민국 육군 문서 참고하는 것을 권장한다.
* 무전기
* AN/PRC-343 - 가장 간이 무전기
* AN/PRC-152
* AN/PRC-148 - 중거리 무전기
* AN/PRC-119 - 장거리 무전기
* AN/PRC-117F - 장거리 무전기
* AN/PRC-77 - 장거리 무전기
* PRC-999K
* PRC-85K
* PRC-96K
* TRC-521K
* 방독면* 수통
* 야간투시경
* 야전삽
* 방탄모
* 화생방보호의
* KMARK-1
* 대검
* 수류탄
* K400(구형) 및 K413(신형) 세열 수류탄
* K401[12], K410 연습용 수류탄(구형)
* K416 ~ K418[13], K479 연습용 수류탄(신형)
* 탄띠(요대)
* 탄입대
* 탄창(탄알집)
* 서스펜더 - 구형 X밴드(반도), 신형 H밴드, 전투조끼, 특전조끼, 신형 전투조끼, 방탄복, 워벨트 등

2.4.2. 개발 취소 무기

  • KIST A형 경기관총
  • XA-20 경기관총
  • K.LAW 대전차 로켓포
  • 해룡 단거리 함대함 미사일
  • XK13 차기 중기관총
  • KT-75 상어 경어뢰
    최초의 국산 경어뢰 개발 계획이었다.
  • K2 방독면
    K1 방독면의 개량형이지만 1999년 불합격 판정을 받아 보급되진 않았다.

2.4.3. 적성국 장비 연구용

  • AK-47, AK-74, RPG-7, PSL
    중국제 RPG-7로 알려진 69식 화전통을 비롯해 AK-47(AKM), AK-74, PSL 등의 다수 화기를 중동 지역을 비롯한 다양한 지역에서 도입 추정된다.
  • Tiran-6
    이스라엘의 T-62 개수형 Tiran 6을 연구용으로 도입하여 기갑학교에 배치하여 연구용으로 운용하고 이후 전시.
  • T-72M1
    이스라엘의 정보기관인 모사드가 중동전쟁 시절 노획한 T-72M1[15] 1대를 한국에서 수입, 기갑학교에 연구용으로 운용하고 이후 전시.
  • T-80U/UK
    불곰사업으로 연구용으로 도입하여 분해 및 재조립 등의 연구를 마치고 제3기갑여단 배치.
  • BMP-3
    T-80U/UK와 동시기에 불곰사업으로 도입하고 연구용으로 사용되다가 제3기갑여단 배치.

2.4.4. 차기장비

2.5. 퇴역장비

2.5.1. 육군 퇴역장비

  • 소화기
    • 아리사카
      6.25 전쟁 초기까지 사용되었으며 이후 M1 개런드와 M1/M2 카빈이 대량으로 도입되어 퇴역된 것으로 추정.
    • M1917 엔필드
      6.25 전쟁 시기에 M1 개런드, M1/M2 카빈과 같이 도입되어 사용되었고 이후 퇴역 시기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M1 개런드
      6.25 전쟁 당시 도입되어 쓰이다가 이후 베트남전에서도 쓰였으며, 공식적으로는 1972년 혹은 1973년까지 제식소총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이후 예비군 장비로 사용되다가 퇴역된다.
    • M1 / M2 카빈
      예비군용으로 2014년 ~ 2016년까지 마지막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며 2017년 이후로는 공식적으로 예비군 장비에서도 퇴역되었다.
    • M14 소총
      M16 소총이 들어오기 전 극소수의 M14 소총이 들어왔다고 한다. 그리고 실제로 베트남 전쟁 당시 베트남에 파병된 국군이 사용한 이미지가 있고 2000년대까지는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1, #2, 이후 2010년대 현재 한미연합사의 한국군 의장대에서 운용 중인게 확인되었다. 다만 무상대여 방식이다.# 이후 2018년에 전시 기본품목 재선정과 관련된 기사가 올라왔는데 "육군 M48A3전차, 해군 45구경 권총, 공군 7.62mm 소총(M14 소총) 등 5,000여 품목을 줄였다."라고 언급이 되면서 M14 소총을 소량이라도 운용하고 있었다는게 밝혀졌다. 그래서 현재는 무상대여로 운용 중인 한미연합사 의장대를 제외하고 M14 소총을 운용하는 곳은 없다.
    • M1917 브라우닝
      1963년 퇴역#
    • M1918 브라우닝
      1970년대까지는 운용하다가 1990년대 이후로 예비군 장비에서도 퇴역되었을 것으로 추정.
    • M1919 브라우닝
      M1919A6을 예비군 치장물자로 보관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 M3 기관단총
      K1A 기관단총이 도입된 이후 퇴역되었을 것으로 추정.
    • M1944 모신나강[17]
    • CAR-15(XM177), MAC-10
      베트남전에 극 소수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파병된 특전사 등 특수임무부대들, 일부 파병된 부대에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다.# 전후에는 한국으로 반입되어 대테러부대나 경호부대 등에서 활용되었다. 이들 총기 가운데는 XM177 · E1 · E2등 다양한 총기들이 섞여있었다. 1979년에 제작된 대한뉴스 제1253호(수도권 민방위 훈련 영상)에서 특수부대용으로 운용 중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후 K-1 기관단총, K-7 기관단총 등의 개발로 퇴역한지는 알려지지 않는다. 일부 총기는 한국 경찰에도 이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 군수품으로 남아서 치장물자로 보관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군수품 상용전환 연구(6차)/PDF 파일, 자동 다운로드 주의
  • 중화기
    • 바주카
      • 2.36인치 M9A1 바주카
        6.25 전쟁 초기 대한민국 육군의 대전차 화기로 운용되었다가 이후 6.25 전쟁 중에 M20A1 바주카를 받으면서 퇴역된 것으로 추정.
      • 3.5인치 M20A1 바주카
        1970년대 번개사업으로 역설계 등을 시도하여 면허생산한 "M20A1K"도 포함하여 예비군 치장물자로 보관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고.
    • M18 57mm 무반동총
      전방 GP에서 제한적으로 운용 중이기도 하지만 예비군 치장물자로 보관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 M20 75mm 무반동총
      예비군 치장물자로 보관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 M79 40mm 유탄발사기
    • M202 / KM202 4연장 로켓발사기
      도태장비지만 모 부대에서는 2013년에 느닷없이 사용법을 숙달하라는 지시가 내려오기도 했다.(...) 미군의 아프간전/이라크전을 보니 이런 류의 화염로켓탄이 유용해보인다나 뭐라나... 문제는 도태장비였기 때문에 교범이고 뭐고 아무것도 없었다는 것. 간부들은 낡아빠진 교범을 재구성 및 참조해 실물을 조작해가며 간신히 사용법을 배웠다.
    • 57mm M1 대전차포
    • 75mm M1A1 견인곡사포
      낙동강 전선 때부터 사용되었다.
    • 105mm M3 견인곡사포
    • 155mm M59 견인곡사포
      주한미군으로부터 인수받았다.
    • 203mm M115 견인곡사포
  • 포병 지원 장비
  • 전차
    • M24 채피
      소년전차병으로 이루어진 제57전차중대의 훈련용으로 1952년에 들여와 3달 동안 쓴 뒤, 대만에게 주었다.
    • M4A3E8 셔먼
      6.25 전쟁(한국전쟁) 중에 도입하여 1970년대 중반 퇴역된 것으로 추정.[18]
    • M26 퍼싱 / M46 패튼[19]
      백선엽 장군의 회고록에 의하면 6.25 전쟁중에 M26 퍼싱과 M46 패튼이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퇴역시기를 알 수가 없다. 영상 자료에는 1960년대 초반에는 운용하고 있는 영상이 있으나 M2 중기관총이 전차장 자리에 있는 것과 엔진 배연기 위치, 텐선 아이들러로 보아 모두 M46 패튼만 출연한다.[20][21]
    • M47 패튼
      1959년부터 2007년까지 운용. 퇴역한 이후에도 구난전차 교보재[22]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 M48 패튼 계열
      • 1M48A
        1960년대 도입, 1977년부터 81년까지 M48A3K, M48A5K로 모두 개량됨.
      • M48A2C
        1971년부터 2007년까지 운용되었으며 극히 소수의 차량만 M48A5K 계열로 개량된 것으로 추정.
      • M48A5
        1980~1990년대 초반에 FMS와 WRSA로 도입, M48A5K 사양으로 모두 개량됨.
      • M48A3K
        기존의 M48A1/A2C 패튼 전차를 1977년부터 개량, 이후 한동안 운용하다가 2022년에 완전 퇴역.
  • 장갑차
    • 궤도형
      • M113(1967년)
        K200이 도입이 완료 되었을 무렵 퇴역.(?)
    • M2 / M3 반궤도장갑차(하프트랙)
      • M16 반궤도 방공장갑차
        M2에 승공포를 올린 것
    • 차륜형
      • M8 그레이하운드 / M20 정찰장갑차
        마지막으로 남은 M8은 1.4 후퇴 당시 배에 피난민들을 모두 태우기 위해서 탑재 거부 판정을 받자 적에게 노획당하지 않기 위해 소각했으며 이후 파생형인 M20 그레이하운드 정찰장갑차를 받아서 4.19 혁명 시기에는 경찰에 동원된 사진 자료가 있다. 그런데 이후 행방은 묘연하다.
      • KM900 병력수송 장갑차
        이탈리아의 Fiat 사의 장갑차(Fiat 6614)를 면허생산한 것으로 운용 기간은 1977년 ~ 2019년(추정)으로 수도방위사령부 예하 부대에서 최후로 운용하다가 K806/K808 장갑차로 대체되면서 퇴역했다. 자세한 내용은 링크 참고.
  • 기타 기갑차량
    • M32 ARV 구난전차
      52년 11월에 최초로 수령한 M36 잭슨 22대와 함께 1대가 지급되었다. 이 녀석은 M4 셔먼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구난전차다. 1960년대 ~ 1970년대까지 운용하다 퇴역되었을 것으로 추정.
    • M36 잭슨 90mm 대전차자주포
      처음으로 제대로 된 공격용으로 쓰인 국군의 기갑차량이다. 소년전차병들이 이 전차를 타고 전투에 나섰다. 특이점은 기존에 없던 보조 조종수 석에 브라우닝 기관총이 달렸으며 공식 퇴역시기는 1959년이다. 그러나 고정포대로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는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 M56 스콜피온 90mm 공수자주포
      60년대에 사용했으며 한동안 운용하다가 1970년대 후반에 퇴역되었을 것으로 추정, 지금은 전쟁기념관에 한 대만을 전시하고 있다.
    • M107 175mm 자주포
      1971년 당시에도 소량 운용했으며 2000년대 중반 퇴역 추정.
    • M110 203mm 자주포
      203mm M115 견인곡사포를 장착한 자주포다. 2010년에 퇴역 후 치장창고에 보관 중으로 추정.
  • 맨패즈 및 방공무기
    • FIM-43 레드아이 지대공 미사일
    • 승공포
      2010년대부터 공군에서 먼저 퇴역하였으며 육군 역시 수동식의 승공포는 2024년에 퇴역 추정. 단, M45D와 M55 등의 수동식이 아닌 경우 퇴역되었거나 퇴역에 임박한 것으로 추정.

2.5.2. 해군 퇴역장비

  • 경비정
    • 충무공급 초계정 PG-313 충무공정, PG-315 제2충무공정
      일본이 미완성채로 버리고 간 동급의 항만용 150톤급 어뢰운반선 2척을 개조해 각각 1947년 2월 2일, 1951년 5월 7일 에 완성시킨 한국 해군 최초의 배들이다.
  • 초계함(한국 해군 퇴역 초계함 목록)
    • 백두산(PC-461급)급 초계함[23]
      PC-701 백두산함(PC-823), PC-702 금강산함(PC-799), PC-703 삼각산함(PC-802), PC-704 지리산함(PC-810), PC-705 한라산함(PC-485), PC-706 묘향산함(PC-600), PC-707 오대산함(PC-1145), PC-708 금정산함(PC-1546), PC-709 설악산함(PC-564) - 이 중 지리산함은 기뢰에 격침당했다.
    • 노량(PCE-842급)급 초계함
      PCEC-51 노량함(PCE-882 Asheboro), PCEC-52 명량함(PCE-896 No Name(?)), PCEC-53 한산함(PCE-873 No Name(?)), PCEC-55 옥포함(PCE-898 No Name(?)), PCEC-56 당포함(PCE-842 Marfa)[24], PCEC-57 벽파함(PCE-870 Dania), PCEC-58 율포함(PCE-892 Somerset), PCEC-59 사천함(PCE-903 Batesburg)
    • 거진(Admirable)급 초계함: PCEC-50 거진함(MSF-289 Report)
      67년 도입되어 79년 퇴역한다.(추측이긴 하지만 PCEC-50 거진함을 들여온 이유가 PCEC-56 당포함의 침몰 때문인 듯하다.)
    • 신성(오크)급 초계함
      PCE-1001 신성함(MSF-376 Ptarmigan), PCE-1002 순천함(MSF-116 Speed), PCE-1003 거제함(MSF-341 Dextrous)
    • 동해급
  • 호위함
    • 두만(타코마)급 호위함
      PF-61 두만함(PF-49 USS Muskogee), PF-62 압록함(PF-48 USS Rockford), PF-63 대동함(PF-3 USS Tacoma), PF-65 낙동함(PF-5 USS Hoquiam), PF-66 임진함(PF-4 USS Sausalito) - 이중 압록함은 1951년 4월 5일 북한 항공기의 공격과 52년 5월 21일 기타 피해 등의 이유로 큰 손상을 입고 쓸 수 없게 되자 52년 9월 3일에 미국에 돌려주고 1년 후 5월 26일에 퇴역하여 9월 30일 표적함으로써 어뢰에 맞아 침물한다.
  • 소해정
    • JMS 1식 소해정
      이 중에서 305 두만강함은 미군의 오인 사격으로 인해 격침, 통천함은 48년도에 납북당해버렸다.
    • YMS-1급 소해정

2.5.3. 공군 퇴역장비

  • 전투임무기
    • F-51D (1950년 - 1957년)
    • F-86F (1955년 - 1990년)
    • F-86D (1961년 - 1971년)
    • F-5A/B (1965년 - 2005년)
    • F-5E/F 직도입분 (1960년대 추정 - 2023년)
    • F-4 팬텀 II (1968년 - 2024년) F-4D 팬텀은 2010년부로 퇴역했으며, 대한민국의 마지막 팬텀 F-4E 팬텀은 2024년 6월 7일에 퇴역식을 거치며 도입된지 56년의 시간 뒤로 퇴역했다.
    • A-37B Dragonfly (1976년 - 2007년) - 공격기
  • 훈련기
    • Ki-9 타치카와 95식 1형 연습기 (1948년? - 1951년?)[25]
    • T-6 건국기 (1950년 - 1962년)
    • 부활호 (1953년 - 1955년)
    • T-33 (1955년 - 1995년)
    • T-28A (1960년 - 1989년)
    • T-41 (1972년 - 2006년)
    • T-37 (1973년 - 2004년)
    • T-38 Talon (1999년 - 2009년)
    • T-59 호크 Mk 67 (1992년 - 2013년)
    • IL-103 (제식명칭 T-103) (2004 - 2018)
  • 수송기
    • C-46D (1955년 - 1978년)
    • C-54E (1966년 - 1992년)
    • VC-118 (1970년 - 1993년)
    • C-123K Provider (1973년 - 1994년)
  • 관측기 / 정찰기 / 전술통제기
    • L-4 (1948년 - 1954년) - 연락기
    • L-5 센티넬 (1948년 - 1954년) - 연락기
    • O-1A (1951년 - 1961년) - 관측기
    • U-9C (1954년 - ?) - 공중지휘기
    • O-1G (1972년 - 1991년)
    • PL-2 새매호 (1973년 - 1995년)
    • O-2A Skymaster (1974년 - 2006년) - 전술통제기
    • RF-4C (1989년 - 2014년) - 정찰기


[1] 장성급 장교들이 지급받는 무장이다.[2] 특수전부대에서 소량 도입, 명목은 UAV 대응이다.[3] SCAR-L을 707 특수임무대대에서 도입했다.[4] 1950년 6.25 전쟁 중에 미군으로부터 원조를 통한 도입을 시작으로 1970년대부터는 실측계산을 통해 역설계에 성공, 이후 미국으로부터 설계도를 받아서 면허생산했으며 2019년에도 현역 장비이다. 그 결과 장기간 운용으로 심각하게 노후화된 일부 화포만 퇴역했으며 2018년 이후부터는 곡사포의 포신을 신규 생산해서 K105HT 차륜형자주포로 사용. 기존 사용하던 곡사포는 비축 및 훈련용으로 전환 예정.[5] 수동식의 경우 2024년에 전량 퇴역하였으며 M45D와 M55 등의 자동으로 구동되는 경우도 대부분 퇴역한 것으로 추정.[6] UDT/SEAL에서 사용 중이다.[7] 함정이나 육상이나 전부 이걸 쓴다. 특전단은 외국산 권총을 쓴다.[8] 해병대의 M48A3K는전량 K1E1로 교체되었음이 기사로 나왔다 #[9] 상륙장갑차는 장갑차량이지만 상륙작전을 맡고 육군이 아닌 해병대 소속 장비라 엄연히 배로 분류된다. 그래서 해병대의 상륙장갑차부대는 함정수당이 나온다.[10] 2018년 3월에 1호기가 양산되었으며 2021년 말까지 40대 보유할 예정이다. (+추가주문 20대)[LPX-2] [12] 해당 블로그에서는 K413 세열수류탄에 관해 설명하고 있지만 이미지를 자세히보면 K401와 K417 훈련용 수류탄 이미지가 같이 있다.[13] K413 계열의 훈련용 수류탄으로 라벨과 연막 색상으로 구분이 되는데 적색이 K416, 황색이 K417, 백색이 K418이다. 자세한 성능은 출처 참고. K416 ~ K418 훈련용 수류탄의 제조사는 링크 참고.[14] 당시 곡산 자주포 1978형의 경우, 중동 및 아프리카 등지에 수출이 되었으며, 이란에도 수출되어 이란-이라크 전쟁에서 이라크군에 노획되어 쓰이다가 걸프 전쟁과 이라크 전쟁에서 다국적군에 재노획당한 적이 있어서 성능을 파악할 기회가 많았다.[15] 구 소련 T-72A 전차(T-72 초기형)의 다운그레이드로 사실상 서방권 분류 기준으로 2.5세대 전차 수준으로 평가된다.[16] 영문 위키백과에서 BTR-80 항목에 들어가보면 Christopher F. Foss. Jane's Tanks and Combat Vehicles Recognition Guide (2000 ed.). Harper Collins Publishers. pp. 410–414.에서 언급을 하고 있다고 작성이 되어있으며 게다가 기사에서도 불곰사업 때 도입했다는 언급을 하고 있다.[17] 한국전쟁 때 노획한 물품이다. 당시 북한군, 중공군으로부터 상당한 양의 총을 노획. 쓸 만한 물품 일부는 다른 나라 고급 인력이 왔을 때 선물로 주기도 했다.[18] 여담으로 당시 퇴역한 셔먼을 이스라엘에 판매되어 셔먼을 105mm 강선포(CN-105-F1 105mm)를 105mm를 올리기에는 너무 포신 길이가 길었으므로 44구경장으로 줄여서 장착한 M51 아이 셔먼으로 개수하여 이스라엘 군이 6일 전쟁(3차 중동전쟁) 중에 사용한 전력이 있다.[19] M46 패튼이 M26 퍼싱의 차대를 확장하여 신형 엔진과 변속기, 주포를 M3에서 M3A1으로 개수하여 신형탄 사용이 가능한 점. 구동계를 개수하지 않고 주포만 개수한 모델의 경우 M26A1이라고 불렀다.[20] 백선엽 회고록에 언급되는 M26/M46 전차[21] 대한뉴스 1961.6.2 기사 중에 등장하는 M26 혹은 M46 전차 동영상[22] 교보재는 교육훈련을 위한 보조재료의 줄임말이다.[23] 구잠함으로 분류하기도 한다.[24] 67년 북한의 해안포에 의해 격침되었다. 자세한 것은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참조.[25] 공군에서 사용했다는 사진 자료만 있고, 기록에는 없다. 미국의 본격적인 군사 원조가 시작된 이후에 폐기해 버린 듯 하다. 한 대의 비행기라도 아쉽던 시절에 아무런 언급도 기록도 없다는 점에서 이 비행기의 위상(...)을 알만하다. 실제 속도도 관측기인 L-4나 L-5보다 느렸다고 하니, 파일럿 양성 이외의 용도로는 사용하지 않은 듯하다. 그래도 대부분의 구 일본군 항공기들이 밥그릇으로 환생(...)하던 시절에 유일하게 국군에서 사용하던 일제 항공기였다. 이후 군사갤에서 밝혀진 내용에 의하면 Ki-9가 공군에서 사용했다는 기록은 없고 사진 자료만 있는 증거가 대한민국 교통부 전용기로 운용된 영향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