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5:54:50

AN/TNS-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냉전 대한민국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A5034> 대한민국 국군 (1945~1991)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大韓民國 國軍
기타전차 <colbgcolor=#2A5034> 경전차 M36 전차R/M, M24 채피L/R
중형전차 M4A3 (76) W HVSSR, T-34-85C/R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 M48(A1R/A2C) 패튼, M48(A3K / A5K · K2 · KW) 패튼M
2세대 Tiran-6X, T-72M1X, M60X
3세대 K-1
장갑차 차륜형 M8 LACR, M20 유틸리티 카R, KM900, UR-416X, M706R
궤도형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113A1R, M577A1R,M548R, LVT-3CR, LVTP-7R, KAAV7A1,
K200(A1), K277, K533 · 534, K-77, KAFV
차량
소형 K-131, K-111, K-100
M38(A1)R, M606R, J601R, M151R, 윌리스 MBR
트럭 닛산 180IJA/R, 토요타 BMR, GAZ-51C/R, GAZ-63C/R ZIS-150C/R, K300R, K301R, K311(A1), K511(A1), K711, K800, K409 TEL, K501 TEL,
M37R, M715R, G509/10/116R, J602R, M602R, M35R, M211R, J603R, M809, CCKWR, 민수용트럭, FOX RRV, HEMTT(M977, M984, M985, M1142)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 M110, K-55(A1), 곡산 170mmX
자주박격포 M106R, M125R, K242(A1), K281(A1), K532
대전차 자주포 M56 스콜피온R, SU-76MC/R/NONE
자주대공무기 자주대공포 M16 MGMCR, ZSU-23-4 쉴카X/R, K263(A1/A3)
자주대공
미사일
없음(?)
다연장로켓 K-136 구룡 I/II
대포병 체계 AN/TNS-10
공병 차량 구난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 TRVR, K288A1, K1 구난전차, K-912 10톤 구난차량, M88(A1) 구난전차, KAAVR7A1
AEV KM9 ACE, M728 X/R/?
교량 차량 K-1 AVLB 교량전차, K-719 부교 운반차
기타 K-313, K-512
대테러부대용 차량 없음(?)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차량
※ 윗첨자?: 사용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문헌에만 등장하는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L: 전량 타국으로 공여된 차량
※ 윗첨자NONE: 잔존 개체 없음
※ 윗첨자M: 개조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1. 개요

AN/TNS-10은 1978년 경 미 육군의 주도로 개발된 포성 표적탐지(Artillery Sound Ranging) 장비이다.
미합중국 육군-해군 합동 전자장비 제식명 명명법
Joint Electronics Type Designation System
육군 해군 슬래시 위치 유형 용도 하이픈 번호 계열 번호
A N / T N S - 10
A N / 지상 음향 측정 - 10

2. 상세

당시 GR-8이라는 1946년산 장비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했다. 미군은 당시 돈으로 400만 달러를 들여 개발했으며 110만 달러를 들여 54대의 장비를 사들일 계획을 세웠다[1] 오스트레일리아군에서는 1988년 도입했다. 그리스군도 도입했다.

미군의 사단 포병 관측대대 [2]에서는 통상적으로 4대의 AN/TNS-10 시스템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했다. 두 대의 AN/TNS-10이 세트로 운영되었다. 이 세트는 AN/GRA-114 (통신 데이터 링크 장비) 2개, M53 (음향 plot 장비) 2개, OL-274 컴퓨터 1대로 구성되었다. 이론적으로, 두 대의 AN/TNS-10 시스템이 있으면 10km x 20km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

사용방법은 특수한 마이크를 땅에 구멍파고 여럿 묻어 놓는 것이다. 그리고 그 마이크들을 전선으로 연결해서 음향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이다. 마이크의 위치를 알고 있고 폭음이 들린 시간차가 기록되었다면 음향병은 사칙연산 정도의 계산만으로 폭발이 발생한 지점을 추정할 수 있다.

땅에 구멍 파고 전선과 마이크를 묻어놓는 장비의 특성상 재밍이나 적의 파괴공작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으며, 특히 안개 낀 상황에서 유용했다. 하지만 땅에 묻어놓고 운용해야 하는 장비 특성상 강풍에 취약하고 심한 폭격 상황과 산악 지형에서도 성능이 제한되었는데, 산지가 70%인 나라에서 이런 걸 샀으니 문제가 생기는 건 당연했다.

거기다 음향 데이터를 사람이 소리로서 듣는 것이 아니라, 9개의 마이크를 한 단위로 해서 종이 롤러에 펜이 기록하는 형태였다는 것이 문제였다. 이런 이상한 기호를 음향병이 해독해야 했다. 그렇다보니 최적의 조건 하에서도 150m 정확도로 추정하는 게 한계였다. 결국 이는 훨씬 효율적이고 정확한 AN/TPQ-36 및 AN/TPQ-37 대포병 레이더에 의해 도태되었다.

3. 참고



[1] Hearings on Military Posture and H.R. 5068 (H.R. 5970), Department of Defense Authorization for Appropriations for Fiscal Year 1978. 책 읽기[2] DIVARTY TAB: DIVision ARTillerY Target Acquiring Battery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