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5px;" | <colbgcolor=#FFF,#666> 메소포타미아 문명 | 수메르 | |||||
아카드 제국 | |||||||
우르 제3왕조 | |||||||
바빌로니아 | |||||||
미탄니 | 카시트 왕조 | ||||||
중아시리아 | |||||||
신아시리아 | |||||||
신바빌로니아 | |||||||
이란 | 아케메네스 | ||||||
헬레니즘 | 마케도니아 | ||||||
안티고노스 | |||||||
셀레우코스 | |||||||
로마 vs 이란 | 파르티아 | ||||||
로마 | 파르티아 | ||||||
사산 제국 | 라흠 왕국 | ||||||
동로마 제국 | 사산 제국 | ||||||
아랍계 이슬람 제국 | 정통 칼리파 시대 | ||||||
우마이야 왕조 | |||||||
아바스 왕조 | |||||||
중세 | 함단 왕조 | 아바스 | |||||
부와이흐 왕조 | |||||||
우카일 왕조 | 셀주크 제국 | ||||||
셀주크 제국 | |||||||
장기 왕조 | 셀주크 제국 | ||||||
아이유브 | 아바스 왕조 | ||||||
몽골/튀르크계 왕조 | 몽골 제국 | ||||||
일 칸국 | |||||||
잘라이르 왕조 | |||||||
티무르 제국 | |||||||
흑양 왕조 | |||||||
백양 왕조 | |||||||
오스만 제국 vs 이란 제국 | 사파비 왕조 | ||||||
오스만 제국 문타피크 후국 | |||||||
사파비 왕조 | |||||||
근대 | 오스만 제국 문타피크 후국 | ||||||
이라크 맘루크 잔드 왕조 | |||||||
오스만 제국 문타피크 후국 | |||||||
위임통치령 쿠르디스탄 왕국 | |||||||
근현대 | 이라크 왕국 | ||||||
아랍 연방 | |||||||
이라크 공화국 | |||||||
현대 | 이라크 공화국 바트당 집권 시대 | ||||||
연합군 점령기 | |||||||
이라크 쿠르디스탄 | 이라크 공화국 | ISIL | |||||
이라크 공화국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007a3b><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옛 국가 (1955~1981) (1981~2003) · 이라크/국기 · 국장 |
역사 |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수메르 · 아카드 · 우르 제3왕조 · 바빌로니아 · 미탄니 · 아시리아 · 신바빌로니아 · 우마이야 왕조 · 라흠 왕국 · 아바스 왕조 · 함단 왕조 · 부와이 왕조 · 우카일 왕조 · 장기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 이라크 왕국 · 이라크 제1공화국 · 바트당 집권 이라크 · 걸프 전쟁 · 이라크 전쟁 ·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 이라크 내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 |
정치· 치안· 사법 | 정치 전반 · 황금 광장 · 바트당 · 쿠르디스탄 민주당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이라크 대통령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김선일 피랍 사건 | |
경제 | 경제 전반 · 이라크 디나르 | |
국방 | 이라크군 · 특수 공화국 수비대 · 페슈메르가 | |
문화 |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칼데아 가톨릭 · 요리 · 마스코프 · 사문 · 클레이차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 아랍어 방언 | |
인물 | 길가메시 · 이븐 알하이삼 · 사담 후세인 · 잘랄 탈라바니 · 푸아드 마숨 · 바르함 살리흐 · 압둘 라티프 라시드 · 마수드 바르자니 · 네치르반 바르자니 · 나디아 무라드 | |
지리 | 유프라테스강 · 티그리스강 · 자그로스 산맥 · 알자지라 · 이라크 쿠르디스탄 · 그린 존 · 마슈리크 | |
민족 | 이라크인(아르메니아계) · 아시리아인 · 야지디족 · 이라크 흑인 · 이라크계 스웨덴인 · 투르코만 | }}}}}}}}} |
이라크 하심 왕국 المملكة العراقية الهاشمية al-Mamlakah al-‘Irāqiyyah Al-Hāshimīyah | ||
국기 | ||
왕실기 | 국장 | |
1932년 ~ 1958년 | ||
역사 | ||
1932년 10월 3일 독립 1958년 2월 14일 아랍 연방 수립 1958년 7월 14일 공화국 성립으로 인한 멸망 | ||
독립 이전 | 공화국 성립 이후 | |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 이라크 제1공화국 | |
지리 | ||
수도 | 바그다드 | |
정치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 |
국가원수 | 왕 | |
인문환경 | ||
언어 | 아랍어 | |
종교 | 이슬람 | |
민족 | 이라크 아랍인, 쿠르드인 | |
경제 | ||
통화 | 이라크 디나르 |
[clearfix]
1. 개요
1932년부터 1958년까지 이라크에 존재하던 왕국이다.2. 역사
2.1. 독립 이전
오스만 제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하자, 1920년 세브르 조약에서는 오스만 제국이 영국에게 이라크의 지배권을 위탁하기로 되어 있었다. 영국은 '영국 위임통치령 메소포타미아'를 설립한다. 1921년 카이로 평화회담을 통해 이라크에 군주제를 건설하기로 합의, 하심 가문의 파이살 1세를 국왕으로 옹립하여 이라크 왕국을 건설시켰다. 파이살 1세는 이라크에 와 본 적도 없는 수니파 무슬림으로 영국에서 일부로 꼭두각시로 내세운 인물이었다.
파이살은 얼마 전까지만 시리아 왕국의 왕이었지만 영국은 시리아를 프랑스한테 넘기기로 약속한 상태였고 시리아 왕국은 탄생한지 얼마 안 돼서 프랑스의 위임통치령이 되었다. 조금 더 자세한 사정은 시리아 왕국 문서 참조.
무함마드의 혈통이란 이름값이 있었지만 이라크 지역 사람이 아닌데다가 실세는 영국이다보니 초기부터 저항이 컸다.[1] 또한 파이살은 수니파였고 이라크엔 시아파가 더 많았다. 바그다드를 비롯한 시아파 지역은 수니파 지역은 분리되어 통치되길 바랬지만 영국은 원활한 통치를 위해 이질적인 지역들을 묶었다.[2]
영국은 파이살 1세를 허수아비로 내세운 다음에 시아파를 대대적으로 탄압하며 수니파와 유대인, 기독교도들을 중심으로 이라크를 통치했다. 이에 반발한 시아파를 중심으로 1920년 바그다드에서 쿠데타가 벌어져 이라크인 453명이 사망하고 영국인도 2천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는데 이때 영국은 독가스 살포와 민간인 공습 등 잔혹한 방법을 동원하여 이라크의 봉기를 진압했다. 이것이 윈스턴 처칠과 관련된 독가스 떡밥의 시초다.
영국은 계속해서 쿠르드 독립국가 건설, 아시리아인, 쿠르드인, 기독교도, 오스만 제국 관료 우대 정책을 펼쳐 시아파의 반발을 샀고 파이살 1세가 자신들의 기대와 달리 시아파와 수니파의 화해, 국방력 건설[3], 자주권 확보에 노력하자 영국은 각 부족과 친영파 내각을 이용하여 국왕의 권력을 약화시켰다. 1932년 이라크는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획득했지만 실상은 식민지나 다름없었다.
2.2. 독립 이후
1933년, 국가 단결을 위해 노력한 파이살 1세가 노환으로 서거하자 그의 아들인 가지 1세가 즉위했는데 문제는 이 사람이 반문맹이었다. 무능하면서 권력욕은 많았던 가지 1세는 군부를 이용하여 독재를 강화하려 했고 1936년 바크르 장군을 시켜 친위 쿠데타를 일으키는 등 이라크의 군부 전횡의 발판을 닦았다. 하지만 대중이 원하는 것을 읽어내는 능력은 기발하였고 자기 자신도 반영주의자라서 적극적인 반영 정책을 펼쳐서 큰 인기를 얻었다. 가지 1세는 영국에 저항하면서 현대화된 민족주의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하였으나 1939년 의문의 죽음을 맞이했다. 가지 1세가 사망한 이후 이라크의 왕위에는 어린 파이살 2세가 즉위했다.[4] [[틀:대영제국의 식민지| 대영제국의 식민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000,#e5e5e5 | 왕령 식민지 Crown Coloni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버지니아 · 뉴욕 · 매사추세츠만 · 뉴햄프셔 · 뉴저지 · 노스캐롤라이나 · 사우스캐롤라이나 · 조지아 · 동플로리다 · 서플로리다 · 뉴아일랜드 · 퀘벡 · 하 캐나다 · 상 캐나다 · 밴쿠버 섬 · 노바스코샤 · 캐나다 연합 · 브리티시컬럼비아 · 뉴펀들랜드 · 바하마 · 버뮤다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사이프러스 · 지브롤터 · 몰타 · 헬리골란드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해협식민지 · 아덴 식민지 · 싱가포르 · 말라카 · 홍콩 · 거문도 · 라부안 · 딘딩 · 피낭 · 북 보르네오 · 사라왁 · 실론 · 버마 · 인도양 지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뉴사우스웨일스 · 빅토리아 · 태즈메이니아 · 퀸즐랜드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 뉴질랜드 · 노퍽 섬 · 코코스 제도 · 크리스마스 섬 · 피지 · 길버트 엘리스 제도 · 투발루 · 길버트 제도 · 핏케언 제도 · 뉴 헤브리디스 공동통치령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케이프 · 나탈 · 트란스발 · 오렌지 강 · 시에라리온 · 골드코스트 · 아샨티 · 나이지리아 · 남나이지리아 · 라고스 · 바수톨란드 · 베추아날란드 · 케냐 · 감비아 · 모리셔스 · 세이셸 · 세인트헬레나 · 남로디지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포클랜드 · 자메이카 · 영국령 온두라스 · 케이맨 제도 ·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 세인트 크리스토퍼 네비스 및 앵귈라 · 몬트세랫 · 바베이도스 · 영국령 기아나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 앤티가 · 도미니카 · 그레나다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 빈센트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영국령 남극 지역 · 호주령 남극 지역 · 로스 속령 | }}} | |
※ 왕령 식민지 Crown Colony는 1982년 법령 개정에 따라 영국 속령 British Dependent Territory으로 명칭이 바뀌었고, 이후 2002년 다시 명칭을 영국 해외 영토 British Overseas Territories로 개정하여 현재에 이른다. | |||||||||||||||||||||
보호령 Protector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바베이도스 · 모스키토해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사이프러스 · 몰타 · 이오니아 제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아덴 보호령 · 남아라비아 보호령 · 남아라비아 토후국 연방 · 남아라비아 연방 · 몰디브 · 시킴 · 시스-수틀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토켈라우 · 파푸아 · 쿡 제도 · 길버트 엘리스 제도 · 영국령 솔로몬 제도 · 니우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영국령 소말릴란드 · 스와질란드 · 베추아날란드 · 니아살란드 · 감비아 · 우간다 · 동아프리카 · 케냐 · 시에라리온 · 앵글로-이집트 수단 · 북로디지아 · 바로첼란드 · 북나이지리아 · 남나이지리아 · 나이지리아 · 골드코스트 북쪽 영토 · 이집트 헤디브국 · 이집트 술탄국 · 월비스베이 · 잔지바르 | }}} | |||||||
보호국 Protected St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네팔 · 부탄 · 티베트 · 아프가니스탄 · 페르시아 · 몰디브 · 북보르네오 · 브루나이 · 사라왁 · 무스카트-오만 · 말레이 연합주 (파항 · 스름반 · 페락 · 슬랑오르) · 말레이 비연합주 (조호르 · 크다 · 클란탄 · 프를리스 · 트렝가누) · 말라야 연방 · 바레인 · 쿠웨이트 · 카타르 · 트루셜 스테이트 · 네지드-하사 · 네지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통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스와질란드 · 이집트 왕국 | }}} | |||||||||||||
인도 제국 Indian Empire | |||||||||||||||||||||
영국령 인도 British India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마드라스 · 벵갈 · 코로만델 및 벵갈 · 봄베이 · 서부(수라트) · 아그라 · 해협식민지 · 페르시아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나그푸르 · 델리 · 동벵갈 및 아삼 · 아그라 · 아삼 · 벵갈 · 버마 · 상부 버마 · 하부 버마 · 비하르 오리사 · 비하르 · 오리사 · 중부주 · 중부 및 베라르주 · 베라르 · 연합주 · 영국령 인도 연합주 · 아그라-아우드 연합주 · 마드라스 · 신드 · 아주머-멀와라 ·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 영국령 발루치스탄 · 코그 · 판트-피플로다 · 펀자브 · 서북변경주 · 서북주 · 아덴 · 소말릴란드 | }}} | ||||||||||||||||
인도 번왕국 Princely State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네팔 왕국* · 하이데라바드 번왕국 · 잠무-카슈미르 번왕국 · 마이소르 왕국 · 베나레스국 · 트라방코르 왕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bordercolor=#fff,#222><tablebgcolor=#fff,#222> | 괄리오르의 2개 번왕국 · 라지푸타나의 23개 번왕국 · 발루치스탄의 3개 번왕국 · 벵갈의 30개 번왕국 · 중부 인도의 148개 번왕국 · 동부 인도의 42개 번왕국 · 마드라스의 5개 번왕국 · 펀자브의 45개 번왕국 · 아삼의 26개 번왕국 · 연합주의 2개 번왕국 · 중부주의 15개 번왕국 · 봄베이의 354개 번왕국 · 서북변경주의 5개 번왕국 · 길기트의 2개 번왕국 · 콜라푸르와 데칸의 18개 번왕국 · 구자라트와 바로다의 43개 번왕국 · 서부 인도의 263개 번왕국 · 버마의 52개 번왕국 | }}} | ||||||||||||||||
* 네팔 왕국은 1923년까지 영국령 인도 제국 정부에게 외교권을 통제당하여 외무는 오로지 영국 통감(British resident)에 의해 행사되었지만, 다른 토후국들과는 달리 내부 행정에 대해서는 완전한 독립을 유지하였던 보호국이었다. 그러나 완전히 독립한 1923년 이전까지는 간혹 인도 제국의 토후국 목록에 이름을 올리기도 하였다. Imperial Gazetteer of India(1909) | |||||||||||||||||||||
자치령 Dominions | |||||||||||||||||||||
캐나다 · 호주 · 뉴질랜드 · 뉴펀들랜드 · 남아프리카 · 아일랜드 · 인도 · 파키스탄 · 실론 · 피지 · 가나 | |||||||||||||||||||||
* 로디지아는 일방적으로 식민지 남로디지아가 자치령을 선포한 것으로, 영국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 | |||||||||||||||||||||
조차지 Concessions | |||||||||||||||||||||
홍콩 · 신까이 · 상하이 · 톈진 · 웨이하이웨이 · 한커우 · 광저우 · 전장 · 샤먼 · 텅충 | |||||||||||||||||||||
국제연맹 위임통치령 League of Nations Mandates | |||||||||||||||||||||
팔레스타인 (트란스요르단) · 메소포타미아 · 탕가니카 · 서카메룬 · 토골란드 · 뉴기니 · 나우루 · 사모아 · 남서아프리카 | |||||||||||||||||||||
괴뢰국 Puppet States | |||||||||||||||||||||
이라크 왕국 · 이란 제국* | |||||||||||||||||||||
* 이란 제국은 1941년 대영제국과 소련의 페르시아 침공 협공으로 점령되어, 영소군 각각이 각 점령지에 주둔하였고 또한 각각의 점령지를 통치하는 분할 통치가 이뤄졌다. | |||||||||||||||||||||
군정 Military Administrations | |||||||||||||||||||||
오가덴 · 에리트레아 · 소말릴란드 · 리비아 |
그러던 중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의 지나친 내정 간섭에 지친 라시드 알리 알 가일라니와 황금 광장을 중심으로 이라크의 민족주의자들과 황금 광장은 쿠데타를 일으켰다. 정권을 잡은 이들은 친영국 정치인을 체포하고 독일에 지원을 요청하였다. 또한 추축국에 가입하여[5] 영국과 전쟁을 벌였으나, 1달도 안 돼서 패배하였고, 이라크는 영국에 항복하여 추축국 중 가장 먼저 항복한 국가가 되어버렸다.[6] 영국은 이라크에 대한 통치를 강화하여 이라크를 괴뢰국 화한다. 그리하여 영국은 1948년까지 이라크를 통치하다가, 1948년 영국-이라크 조약을 통해 이라크는 주권을 되찾고, 1955년 바그다드 조약을 통해 완전한 독립 국가가 되었다. 1958년, 요르단과 연합하여 아랍 연방을 설립한다.[7][8] 그러나 1958년 여름 요르단의 국왕 후세인 1세가 레바논 위기로 인해 군사 지원을 요청하자 이에 파병되는 이라크군을 이끌던 육군 장교 아브드 알카림 카심이 7월 14일 바그다드로 방향을 돌려 쿠데타를 일으켰다. 쿠데타군은 아무 저항 없이 파이살 2세 국왕과 왕실 근위대를 항복시켰다. 결국 아랍 연방은 해체되고, 이라크에는 공화정이 수립된다. 파이살 2세를 비롯한 왕족들은 총살당했다. 그러나 카심도 불과 5년 뒤, 바트당 쿠데타로 역시 총살당한다.
하지만 왕정이 군부 쿠데타로 폐지되고 공화정이 수립된 이후에 이라크가 쿠데타와 전쟁, 내분으로 혼란을 빚자 영국에 망명 중인 이라크의 하심 가문의 수장 샤리프 알리 빈 알 후세인을 새 국왕으로 즉위시켜 입헌 군주제로 개헌하여 왕정을 복귀시키자는 목소리가 이라크 국내에도 소수이긴 하지만 존재하고 있다.
3. 역대 국왕
하심 가문 군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이라크 | |||
<rowcolor=#fff>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 이라크 왕국 | |||
파이살 1세 | 가지 1세 | 파이살 2세 | ||
<rowcolor=#fff> 레반트 | ||||
<rowcolor=#fff> 시리아 아랍 왕국 | ||||
파이살 1세 | ||||
<rowcolor=#fff> 트란스요르단 | 요르단 왕국 | |||
압둘라 1세 | 탈랄 1세 | 후세인 1세 | ||
<rowcolor=#fff> 요르단 왕국 | ||||
압둘라 2세 | ||||
<rowcolor=#fff> 헤자즈 | ||||
<rowcolor=#fff> 헤자즈 왕국 | ||||
샤리프 후세인 | 알리 빈 후세인 | }}}}}}}}} |
4. 참고 문헌
- [중동은 왜 싸우는가? 정체성의 투쟁, 중동사 21장면]
[1] 시아파와 수니파가 함께 기도하고 시위한다는 유례가 없는 일도 벌어졌다.[2] 영국 입장에서 아시리아,쿠르드,시아파 지역등을 따로 관리하면 내륙지대라 관리하기 더 힘들어지고 하나로 묶으면 늘 그렇듯이 세력 간 갈등을 일으키기도 쉬워진다.[3] 여담으로 파이살 1세의 국방건설로 인하여 입대한 사람이 다름아닌 사담 후세인의 알 티그리티 가문이다.[4] 그렇다고 진짜 어린 파이살 2세가 통치하진 않았고 압둘-일라섭정이 대신 통치했다.[5] 그러나 이라크는 삼국 동맹 조약에 가입하지는 않았다.[6] 보통 추축국 중 가장 먼저 항복한 국가가 이탈리아 왕국인줄 알지만 이라크는 1941년에 항복했고, 이탈리아는 1943년에 항복하였다. 2년이나 일찍 항복한 셈이다.[7] 아랍 연합 공화국과 비슷하다.[8] 파이살 2세와 후세인 1세는 같은 하심 가문 출신으로, 사촌관계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