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사로 6촌 | 신라 6부 | 성씨 | 시조 |
알천 양산촌 | 급량부 | 이씨 | 알평 | |
돌산 고허촌 | 사량부 | 최씨 | 소벌도리 | |
취산 진지촌 | 본피부 | 정씨 | 지백호 | |
무산 대수촌 | 점량부 | 손씨 | 구례마 | |
금산 가리촌 | 한기부 | 배씨 | 지타 | |
명활산 고야촌 | 습비부 | 설씨 | 호진 | |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 |
신라 6성 {{{#!wiki style="margin: -1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230><tablebordercolor=#fad2eb> 慶州 崔氏 (月城 崔氏) 경주 최씨 (월성 최씨) | }}} | |
<colbgcolor=#990000> 관향 | 경상북도 경주시 | ||
시조 | 소벌도리(蘇伐都利) | ||
중시조 | 최치원(崔致遠)[1] | ||
파조 | 관가정공파(觀稼亭公派): 최청(崔淸) 광정공파(匡靖公派): 최단(崔鄲) 정랑공파(正郞公派): 최호(崔灝) 사성공파(司成公派): 최예(崔汭) 화숙공파(和淑公派): 최현우(崔玄祐) 충렬공파(忠烈公派): 최광위(崔光位) | ||
집성촌 | 서울특별시 강서구 인천광역시 강화군·남동구·연수구·중구 대전광역시 유성구 광주광역시 남구 대구광역시 달성군·달서구·동구·서구·수성구·군위군 부산광역시 기장군·강서구·사상구 울산광역시 울주군·북구 강원도 양양군·원주시·인제군·철원군 경기도 이천시·포천시·화성시 충청북도 보은군·청주시 충청남도 금산군·보령시·부여군·서산시 충청남도 서천군·예산군·천안시·청양군 충청남도 태안군 전라북도 고창군·무주군·익산시 전라남도 고흥군·광양시·담양군·신안군 전라남도 여수시·영광군·영암군·함평군 전라남도 해남군 경상북도 경산시·경주시·구미시 경상북도 김천시·문경시·봉화군·성주군 경상북도 안동시·영천시·예천군·의성군 경상북도 청도군•청송군·포항시 경상남도 거제시·거창군·고성군·김해시 경상남도 남해군·밀양시·사천시·산청군 경상남도 양산시·의령군·진주시·창녕군 경상남도 창원시·하동군·함양군·합천군 | ||
강원도 회양군 황해도 봉산군·송화군·신계군·재령군 평안남도 강서군·성천군·평원군 평안북도 강계군·박천군·영변군·의주군 함경남도 단천군·덕원군·북청군·이원군 함경남도 정평군·함주군·홍원군 함경북도 경원군·길주군·무산군·성진시 | |||
인구 | 1,027,848명(2015년)[2] | 국내 7위 | ||
링크 | 경주최씨중앙종친회 |
[clearfix]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 중시조 최치원(崔致遠)은 신라의 개국공신이자 시조 진한(辰韓) 사로(斯盧)국 돌산 고허촌 촌장 소벌도리(蘇伐都利)의 24세손이며, 최치원은 신라시대 말기의 대문장가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기준 1,027,848명으로 성씨 본관 순위 7위쯤에 위치해 있으며, 역사적 기준으로도 2,000년 안팎으로 지속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고성(古姓) 중 하나이다.18세기 말부터 경주 교동에 살며 이앙법의 적극적인 도입과 소작료의 인하에 따른 선순환으로 부를 쌓은 일명 최부자 가문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정신이 2000년대에 재발굴되며 2010년에 KBS 드라마 명가로 만들어질 정도로 유명해졌다. 일제강점기에는 의친왕이 경주 최씨의 고택에 엿새 동안 머물면서 종손이었던 최준에게 '문파'(汶坡)라는 호를 지어주었다.[3] 최부자댁에는 여섯 가지 가훈인 6훈과 지켜야 할 교훈인 6연이 있다. 후손들은 아직도 이를 지키며 살아간다고 한다.
6연(六然) - 자신을 지키는 교훈
몸가짐을 초연하게 하라
(자처초연: 自處超然)
다른 사람에게 온화하게 대하라
(대인애연: 對人靄然)[4]
일이 없을 때는 마음을 맑게 하라
(무사징연: 無事澄然)
일이 있을 때는 단호하게 대처하라
(유사감연: 有事斬然)
뜻을 이뤘을 때 담담하게 행동하라
(득의담연: 得意澹然)
실패하더라도 태연하게 행동하라
(실의초연: 失意泰然)
몸가짐을 초연하게 하라
(자처초연: 自處超然)
다른 사람에게 온화하게 대하라
(대인애연: 對人靄然)[4]
일이 없을 때는 마음을 맑게 하라
(무사징연: 無事澄然)
일이 있을 때는 단호하게 대처하라
(유사감연: 有事斬然)
뜻을 이뤘을 때 담담하게 행동하라
(득의담연: 得意澹然)
실패하더라도 태연하게 행동하라
(실의초연: 失意泰然)
6훈(六訓) - 여섯 가지 가훈
권력을 탐하지 말라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은 하지 마라[5])
상생의 이윤을 추구하라
(재산은 만 석 이상 지니지 마라[6])
소통과 화합하라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정당한 방법으로 부를 추구하라
(흉년기에 땅 사지 마라[7])
근검절약하라
(며느리는 시집온 후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8])
상부상조하라
(사방 백 리[9] 안에 굶어죽는 이가 없게 하라[10])
권력을 탐하지 말라
(과거를 보되, 진사 이상은 하지 마라[5])
상생의 이윤을 추구하라
(재산은 만 석 이상 지니지 마라[6])
소통과 화합하라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정당한 방법으로 부를 추구하라
(흉년기에 땅 사지 마라[7])
근검절약하라
(며느리는 시집온 후 3년 동안 무명옷을 입어라[8])
상부상조하라
(사방 백 리[9] 안에 굶어죽는 이가 없게 하라[10])
이외에도 시장의 파장 때 물건을 사지 않았다고 하는데, 파장 때는 대개 물건의 가격을 낮추어 떨이로 팔게 마련이므로 이것은 물건을 살 때 제값을 쳐서 사들이라는 의미다. 흉년에 땅 사지 말라는 말과 일맥상통하는 행동.
2. 분파
경주 최씨는 27파로 나뉘었는데 그중 아래의 6대파가 주축을 이룬다.- 관가정공파(觀稼亭公派): 최청(崔淸)[11]
- 광정공파(匡靖公派): 최단(崔鄲)
- 정랑공파(正郞公派): 최호(崔灝)
- 사성공파(司成公派): 최예(崔汭)
- 화숙공파(和淑公派): 최현우(崔玄祐)
- 충렬공파(忠烈公派): 최광위(崔光位)
- 경주최씨 대동보를 보면 파가 대부분 문창후 최치원의 11세손과 12세손에서 분파되었다. 따라서 관가정공파는 최청이 문창후 최치원의 11세손이므로 관가정공파 19세손은 문창후 30세손이고 소벌도리공 54세손이 된다.
그 밖의 21파는 다음과 같다.
- 판서공파(判書公派): 최강(崔江)
- 판서공파(判書公派): 최진(崔津)
- 상서공파(尙書公派): 최연(崔淵)
- 좌윤공파(左尹公派): 최해운(崔海雲)
- 길성군파(吉城君派): 최유정(崔有井)
- 학림군파(鶴林君派): 최탁(崔倬)
- 판서공파(判書公派): 최사원(崔士元)
- 시중공파(侍中公派): 최상훈(崔尙勳)
- 청성후파(淸城侯派): 최주(崔周)
- 송오공파(松塢公派): 최한(崔漢)
- 문밀공파(文密公派): 최제(崔堤)
- 동성군파(東城君派): 최종유(崔宗楡)
- 문정공파(文正公派): 최해(崔瀣)
- 영흥백파(永興伯派): 최지미(崔之美)
- 목사공파(牧使公派): 최득룡(崔得龍)
- 밀직공파(密直公派): 최광우(崔光祐)
- 문순공파(文順公派): 최환(崔渙)
- 학사공파(學士公派): 최림(崔琳)
- 진사공파(進士公派): 최종지(崔宗祗)
- 참봉공파(參奉公派): 최봉조(崔鳳朝)
- 절의공파(節義公派): 최항(崔沆)
3. 집성촌
3.1. 강원
- 강원도 양양군 강현면 간곡리
-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구학리·용암리
- 강원도 인제군 인제읍 귀둔리
- 강원도 철원군 서면 와수리
3.2. 서울·인천·경기
- 서울특별시 강서구 외발산동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옥림리
- 인천광역시 남동구 장수동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
- 인천광역시 중구 운서동·중산동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가좌동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풍동
-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삼봉리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천천동
-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백우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12]
-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성동리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한각리
-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고포리
- 경기도 하남시 미사동
3.3. 대전·충청
-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산동
- 충청북도 보은군 수한면 질신리
- 충청북도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마구리
- 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두두리
- 충청남도 금산군 추부면 신평리
-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달산리
- 충청남도 보령시 주교면 은포리
- 충청남도 보령시 청소면 장곡리
- 충청남도 부여군 임천면 가신리·구교리
- 충청남도 당진시 고대면 슬항리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장현리
- 충청남도 서천군 서면 도둔리
- 충청남도 예산군 신양면 무봉리
- 충청남도 예산군 오가면 분천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수남리
- 충청남도 청양군 대치면 광대리
- 충청남도 청양군 화성면 농암리[13]
- 충청남도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 충청남도 태안군 근흥면 두야리
- 충청남도 태안군 남면 양잠리
3.4. 광주·전라
- 광주광역시 남구 대촌동·양과동
-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면 도곡리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장덕리
-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 구자리·신성리·용산리·죽촌리
- 전라남도 고흥군 금산면 신촌리
- 전라남도 광양시 태인동[14]
- 전라남도 담양군 대전면 중옥리
- 전라남도 신안군 비금면 죽림리
-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 대우리·소곡리
- 전라남도 신안군 임자면 삼두리
- 전라남도 신안군 자은면 유각리
-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면 만재도리·영산리
- 전라남도 여수시 동문동·만덕동
-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읍 상하리
- 전라남도 영암군 시종면 만수리
- 전라남도 함평군 대동면 서호리
- 전라남도 함평군 손불면 석창리
- 전라남도 해남군 송지면 군곡리
-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고현리
3.5. 대구·경북
- 대구광역시 군위군 소보면 내의리
-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대리
-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동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
- 대구광역시 동구 둔산동[15][16]·봉무동·지묘동·평광동
- 대구광역시 서구 상리동
- 대구광역시 수성구 범물동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교리·한사리
- 경상북도 경산시 남천면 산전리
- 경상북도 경주시 교동[17]·배반동·손곡동
- 경상북도 경주시 안강읍 검단리·두류리·안강리·육통리
- 경상북도 경주시 외동읍 구어리·입실리·제내리
-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이조리[18]
-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 나산리·환서리
-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가정리[19]
- 경상북도 고령군 우곡면 봉산리
- 경상북도 구미시 도량동·지산동
-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면 도중리
- 경상북도 김천시 남산동[20]
-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유성리[21]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작천리
- 경상북도 문경시 산양면 봉정리
- 경상북도 봉화군 상운면 운계리
-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용사리
-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대두서리·이송천리
- 경상북도 영천시 고경면 오룡리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효리
- 경상북도 예천군 유천면 고림리·사곡리·초적리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대죽리
- 경상북도 예천군 지보면 상월리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고산리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달제리·양서리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장림리
- 경상북도 청도군 각남면 일곡리[22]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정상리
-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지촌리[독립유공자]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동해면 도구리·임곡리·흥환리
-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호미곶면 구만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흥해읍 곡강리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죽장면 두마리·합덕리
3.6. 부산·울산·경남
-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덕선리
- 부산광역시 기장군 일광읍 이천리
-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범방동·생곡동
- 부산광역시 북구 화명동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다개리·직동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양읍 망양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동면 구미리·이전리
- 울산광역시 울주군 서생면 위양리[24]
- 울산광역시 북구 당사동·정자동
- 경상남도 거제시 동부면 율포리
- 경상남도 거제시 둔덕면 방하리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송정리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
-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당동리
- 경상남도 김해시 대동면 대감리
-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망덕리
-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 영지리[25]
- 경상남도 남해군 서면 남상리·노구리
-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난음리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제대리
-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중항리
- 경상남도 사천시 사남면 우천리
- 경상남도 산청군 산청읍 옥산리
- 경상남도 양산시 평산동
- 경상남도 의령군 궁류면 평촌리
- 경상남도 의령군 낙서면 율산리·전화리
- 경상남도 의령군 용덕면 이목리[26]
- 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상곡리
- 경상남도 의령군 화정면 석천리
- 경상남도 진주시 망경동·본성동·봉곡동·봉래동·수정동
-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우수리
-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미곡리
- 경상남도 창녕군 계성면 봉산리
-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중대리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내울리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동
- 경상남도 창원시 구산면 반동리
- 경상남도 하동군 하동읍 흥룡리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금천리
-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술곡리[27]
3.7. 북한
3.7.1. 강원특별자치도
- 강원도 회양군 안풍면 장치동리
3.7.2. 황해도
- 황해도 봉산군 덕재면 적성리
- 황해도 봉산군 쌍산면 궁대리
- 황해도 송화군 진풍면 덕정리[28]·수산리
- 황해도 신계군 적여면 대평리
- 황해도 재령군 장수면 식성리
3.7.3. 평안도
- 평안남도 강서군 보림면 남삼리
- 평안남도 성천군 삼덕면 신덕리
- 평안남도 평원군 용호면 용강리
- 평안북도 강계군 용림면 용운동
- 평안북도 강계군 입관면 천산동
- 평안북도 박천군 남면 동남동
- 평안북도 영변군 북신현면 용응동
- 평안북도 의주군 위원면 서하동
3.7.4. 함경도
- 함경남도 단천군 복귀면 복평리[29]
- 함경남도 단천군 하다면 백자동리·쌍상리·원동리
- 함경남도 덕원군 현면 두남리[30]
- 함경남도 북청군 하거서면 상신흥리
- 함경남도 이원군 남면 상차호리·안시리·용항리·포진리·하차호리
- 함경남도 정평군 주이면 왕상리
- 함경남도 함주군 천서면 고양리
- 함경남도 홍원군 보청면 원흥리·중흥리
- 함경북도 경원군 경원면 봉운동
- 함경북도 경원군 동원면 화정동
- 함경북도 경원군 아산면 백동·송동·최치동·하면동
- 함경북도 경원군 안농면 이동
- 함경북도 경원군 용덕면 용북동·용서동·용신동·용평동
- 함경북도 길주군 덕산면 도목동
- 함경북도 길주군 동해면 산성동
- 함경북도 길주군 웅평면 용남동
- 함경북도 길주군 장백면 도화동
- 함경북도 무산군 연사면 사지동
- 함경북도 무산군 영북면 노덕동·양영동
- 함경북도 성진군 학남면 풍호동
- 함경북도 성진군 학상면 성현동
- 함경북도 성진군 학서면 신흥동·탑평동
4. 유명 인물
4.1. 나말여초
4.2. 고려시대
- 최량 - 내사시랑[33], (증)태사 내사령, 배향공신
- 최승로[A] - 문하수시중, (증)태사 내사령, 배향공신
- 최숙[A] - 문하시중, (증)태사, 배향공신
- 최항[36] - 수문하시랑[37], (증)태사 문하시중, 배향공신
- 최제안[A] - 문하시중, (증)태위, 배향공신
- 최준문 - 대장군
- 최백륜 - 민부의랑, 원나라 고려왕경유학교수
- 최해[39] - 예문응교, 검교성균관대사성[40]
- 최단 - 광정대부. 안동도원수겸 부사, 한양윤, 무진회군공신, 조선 태조조 개국원종공신.
- 최청 - 고려의 검교정승.
4.3. 조선시대
- 최한홍 - 경상우도병마절도사, 정국공신 2등, 계림군
- 최진립[41] - 공조참판, 삼도수군통제사, (증)병조판서, 정무공
- 최호 - 함경도병마절도사, 충청도수군절도사, 청난공신 2등, 계성군, (증)병조판서·판의금부사, 충원공
4.4. 근대
- 최익현 - 호조참판, 승정원동부승지. 대한제국 궁내부특진관, 경기관찰사, 의정부찬정. 독립운동가.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최준[42] - 독립운동가
- 최현배 - 독립운동가
- 최용신 - 독립운동가
- 최완[43] - 독립운동가
- 최석민 - 대한제국 내부협판, 중추원 찬의, 경기관찰사, 경리원경, 내장원경, 조선귀족 남작, 친일반민족행위자
4.5. 현대
- 최하영 - 감사원장
- 최경환 - 기획재정부장관
- 최형우 - 내무부장관, 제8·9·13·14·15대 국회의원
- 최시중 - 대통령직속기관 차관
- 최세창 - 국방부장관
- 최규남 - 문교부 장관
- 최재욱 - 환경부장관
- 최상화 - 해군참모총장
- 최용덕 - 국방부차관, 공군참모총장
- 최국현 - 제헌 국회의원
- 최윤동 - 제헌 국회의원
- 최영근 - 제5·6·13대 국회의원
- 최용수 - 제8-9대 국회의원
- 최태호 - 제10대 국회의원
- 최영덕 - 제12대 국회의원, 제16대 내무부 해양경찰대장[44]
- 최운지 - 제12-14대 국회의원
- 최병욱 - 제14대 국회의원
- 최상용 - 제14대 국회의원
- 최두환 - 제14대 국회의원
- 최재천 - 제17-19대 국회의원
- 최동익 - 제19대 국회의원
- 최경환 - 제20대 국회의원
- 최교일 - 제20대 국회의원
- 최종윤 - 제21대 국회의원
- 최석원 - 제18대 부산광역시장, 제6대 노동청장
- 최홍묵 - 제1·2·4·5대 충청남도 계룡시장
- 최기문 - 제21-22대 경상북도 영천시장, 제11대 경찰청장
- 최문찬 - 제5대 전반기 대구광역시의회 의장
- 최기찬 - 제10·11대 서울특별시의원
- 최병준 - 제12대 경상북도의회 의원
- 최병덕 - 판사, 법원장, 제23대 사법연수원장, 법무법인 동인 대표 변호사, 제9대 경찰위원회 위원장
- 최문환 - 서울대학교 총장
- 최성해 - 동양대학교 총장, 한국사립대학총장협의회 회장
- 최상용 -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 최현호 - 충북대학교 교수
- 최순영 - 제2대 신동아그룹 회장, 제39-43대 대한축구협회 회장
- 최원석 - 동아그룹 제2대 회장
- 최진민 - 귀뚜라미그룹 창업주 겸 회장
- 최양진 - 윤리 교사
- 최태성 - 역사 교사[45]
- 최재현 - 배우
- 최무룡 - 원로 배우
- 최상훈 - 원로 배우
- 최성국 - 배우
- 최규환 - 배우
- 최병두
- 최명길 - 배우
- 최민수 - 배우
- 최준용 - 배우
- 최민용 - 배우
- 최우식 - 배우
- 최수원 - 야구 심판
- 최석호 - 승려
- 최제우[46] - 천도교 교조[47]
- 최시형 - 천도교 교주
- 최양업 - 한국 가톨릭의 두 번째 사제
- 나훈아 - 원로 가수, 본명은 최홍기
- 최순강 - 원로 가수
- 최경필 - 가수, RoaD-B 멤버
- 최윤겸 - 축구 감독
- 민호 - 가수, 샤이니 멤버, 본명은 최민호, 최윤겸의 차남
- 에스쿱스 - 가수, 세븐틴 멤버, 본명은 최승철
- 렌 - 가수, 뉴이스트 멤버, 본명은 최민기
- 범규 - 가수,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멤버, 본명은 최범규
- 최석원 - 가수, 싸이퍼 멤버
- 최성훈 - 성악가이자 가수, 라포엠의 멤버
- 최윤하 - 트로트가수
- 아린 - 가수, 오마이걸 멤버, 본명은 최예원
- 최인호 - Mainfrost 엔지니어
- 효정 - 가수, 오마이걸 멤버, 본명은 최효정
- 최유정 - 가수, 위키미키 멤버
- 최광민 - 가수
- 산 - 가수, ATEEZ 멤버, 본명은 최산
- 종호 - 가수, ATEEZ 멤버, 본명은 최종호
- Bryn - 래퍼, 싱어송라이터, 본명은 최란
- 최주봉 - 원로 배우
- 케인 - 스트리머, 본명은 최진우
- 최고존엄TV - 유튜버, 본명은 최진우
- 최현우
- 최형욱 - 유튜버
- 최효찬 - 작가, 수필가. 전 경향신문 기자. 비교문학자(문학박사)
- 최동원 - 前 롯데 자이언츠, 삼성 라이온즈 투수
- 최수원[48] - KBO 리그 심판
- 최민준 - SSG 랜더스 투수
- 최용규 - 前 KIA 타이거즈 내야수
- 최병광 - 육상 선수
- 최지호
- 최창희
- 최용선
- 최윤식
- 최정희
- 최점현 - 태권도인(군인)
- 최제완
- 최원정 - KBS 아나운서
- 최원형
- 최길영
- 최은송 - 화백
- 최홍라
- 최윤아 - 헤어 디자이너
- 최덕규
- 최원복 - 서예가
- 최세환 - 프로게이머
- 최연안 - 前 한국일보 편집국 사회부 부산취재본부 본부장 부국장
- 최학철
- 최현빈 - 대한민국의 마술사
- 최윤
5. 같이 보기
- 신라
- 최치원
- 사로국
- 범죄와의 전쟁: 나쁜놈들 전성시대 - 작중 두 주인공인 최익현과 최형배는 비록 영화 속 허구의 인물이지만, 이 영화에서 정말 경주 최씨는 스토리의 한 축이자 장면마다 참 많이 강조된다. 물론 이 스토리 내용이 실제 경주 최씨 인물과의 관련은 없다.
[1] 10년 전까지만해도 최승우, 최언위도 경주 최씨 시조에 들어갔지만 최근에는 어찌된 영문인지 종친회에서 최치원 선생만 경주 최씨 시조로 알고 단독 시조가 되게 했다. 최치원 선생이 장자로 태어나서 경주 최씨 단독 시조가 된 것이라 추측된다. 최언위, 최승우는 선대(先代)에서 갈라져 나왔다.[2] 경주 최씨 945,005명+월성 최씨 82,843명=1,027,848명. 전체 최씨중 약 40%.[3] 의친왕은 옛 황족으로 강점기에도 여행의 자유가 있었는데, 1919년 11월 소위 조선민족독립대동단사건 때문에 그마저도 박탈되었으니 적어도 그 전의 일일 것이다.[4] 인터뷰 기사에는 처인애연(處人靄然)이라 나와 있으나, 최부자 고택 팻말에는 '대'로 나와있다.[5] 양반 신분은 유지해야 하니 진사까지는 하되, 괜히 고관대작이 되려고 여기저기 줄 대다 줄 댄 사람이 숙청당할 때 같이 날아가지 말라는 뜻이다.[6] 간단하게 말해 황금만능주의를 경계하고 소작인들의 부담을 덜기 위한 것이다.[7] 조선시대에 좀 산다는 이들중에는 보릿고개나 흉년기처럼 자영농민들이 가장 힘들 시기에 보리쌀 한 됫박으로 땅을 사는 식으로 쉽게 재산을 불리는 경우가 많았고, 이렇게 땅을 팔았던 자영농민들은 자연히 소작농이나 노비로 떨어지게 된다. 이게 도덕적으로도 그다지 떳떳한 방법은 아닐 뿐더러, 실리적으로도 땅값을 후려쳐 원한을 쌓으면 민란이 터질 때 보복당할 수가 있다.[8] 남녀차별을 하자는 의도가 아니라, 아들은 이 집에서 나고 자라면서 근검절약과 상부상조하는 가풍을 알고 있겠지만 며느리는 부자라는 것만 알고 시집왔을 가능성이 높은 만큼 며느리에게 부잣집이라 해서 사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일깨워주려는 가훈이라고 한다.[9] 39.2727...km 정도이다. 약 40km.[10] 지역에서 제일가는 유지로서 지역의 안정을 유지할 책임이 있음을 명시한 의미[11] 대동보 상으로는 경주 최씨의 종가집이다. 최청은 최승로의 종손이며, 그의 후손들인 관가정공파가 경주 최씨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태조 이성계는 그의 인품을 매우 흠모하여 좌천성의 벼슬을 주고 조정으로 출사할 것을 요구하였으나 그는 불사이군을 천명하고 경기도 양주에 은거했다. 태조는 그의 절개를 인정하고 그를 좌찬성으로 추증하였다. 나중에 그는 유언으로 고려 검교 정승이라고 묘비명을 쓸 것을 유언으로 남겼으나, 후손들은 조선시대시기 이기 때문에 이성계가 준 벼슬인 이조 좌찬성이라고 묘비 명을 썼다. 그러자 번개가 쳐서 묘비를 박살냈다. 후손들은 이에 놀라 묘비명에 고려 검교 정승이라고 새겼더니 아무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다. 죽을 때 까지 고려의 절개를 지킨 충신이다.[12] 독립유공자 최면식·최익현이 이 마을 출신이다.[13] 독립유공자 최장준·최정돈이 이 마을 출신이다.[14] 독립유공자 최한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15] 독립유공자 최종응이 이 마을 출신이다.[16] 둔산동에 옻골마을이란 한옥마을이 조성되어 있다.[17] 독립유공자 최준이 이 마을 출신이다.[18] 임진왜란 때 의병장 최진립이 이 마을 출신이다.[19] 동학 교조 최제우가 이 마을 출신이다.[20] 독립유공자 최용수·최인근이 이 마을 출신이다.[21] 독립유공자 최경연이 이 마을 출신이다.[22] 귀뚜라미그룹 창업주 최진민과 독립유공자 최한룡이 이 마을 출신이다.[독립유공자] 최윤구 출신 마을이다.[24] 최형우 전 국회의원이 이 마을 출신이다.[25] 독립유공자 최금경·최봉기·최용덕이 이 마을 출신이다.[26] 독립유공자 최광·최병규가 이 마을 출신이다.[27] 최효석·최효찬 작가(수필가)가 이 마을 출신이다.[28] 독립유공자 최영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29] 독립유공자 최민환이 이 마을 출신이다.[30] 독립유공자 최용신이 이 마을 출신이다.[31] 守兵部侍郞.[32] 최치원의 종제(從弟). 최항의 조부.[33] 내사시랑 겸 민관어사 동내사문하평장사 감수국사.[A] 최승로, 최숙, 최제안 3대가 문하시중이자 배향공신이 되었다.[A] [36] 최언위의 손자.[37] 수문하시랑 동내사문하평장사.[A] [39] 1287~1340. 최백륜의 아들이다.[40] 검교(檢校)는 산직(散職) 또는 훈직(勳職)으로서 일종의 명예직을 의미한다.[41] 최제우의 7대조.[42] 최완의 형으로 4형제 중 첫째이다.[43] 최준의 동생으로 4형제 중 셋째이다.[44] 현 해양경찰청장.[45] 함경도 실향민 2세[46] 최진립의 7대손.[47] 동학의 창시자[48] 최동원의 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