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2 02:08:21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84년생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페르난도 에르난데스(1984)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3) 파일:미국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브래디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길포일(2) 파일:미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우드(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칸세코(1)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이(3) 파일:미국 국기.svg
베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처(2) 파일:미국 국기.svg
매기(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모리(1)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온(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보이(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이시온(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온(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온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펠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이로우(2) 파일:미국 국기.svg
존갈(3)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세(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매클레리(2) 파일:미국 국기.svg
코르테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애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부첵(3)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먼드(1) 파일:캐나다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2)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웰(3)(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마켈(1) 파일:미국 국기.svg
애디튼(3)(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3) 파일:미국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듀브론트(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톰슨(2) 파일:미국 국기.svg
다익손(3) 파일:캐나다 국기.svg
아수아헤(2)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3)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파크맨(2)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스(2)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3)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3)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2) 파일:미국 국기.svg
구드럼(3)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rowcolor=#fff> 2000 2001~2002 2003 2004 2005
김태석 에르난데스 스미스 카브레라 김원형
<rowcolor=#fff> 2006 2007~2008 2009 2010 2011
신승현 레이번 채병용 카도쿠라 글로버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마리오 레이예스 김광현 밴와트 김광현
<rowcolor=#fff> 2017~2018 2019 2020 2021 2022
켈리 김광현 킹험 르위키 폰트
<rowcolor=#fff> 2023~2024
김광현
}}}}}}}}}}}} ||

페르난도 에르난데스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탈삼진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노상수
롯데 자이언츠 / 141K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 220K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223K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 210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4K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 163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20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98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189K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 210K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강철
해태 타이거즈 / 155K
김상엽
삼성 라이온즈 / 170K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96K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63K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 221K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정민철
한화 이글스 / 160K
이대진
해태 타이거즈 / 183K
김수경
현대 유니콘스 / 184K
임선동
현대 유니콘스 / 174K
에르난데스
SK 와이번스 / 215K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김진우
KIA 타이거즈 / 177K
이승호
LG 트윈스 / 157K
박명환
두산 베어스 / 162K
리오스
두산 베어스 / 147K
배영수
삼성 라이온즈 / 147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04K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78K
김광현
SK 와이번스 / 150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50K
류현진
한화 이글스 / 187K
윤석민
KIA 타이거즈 / 178K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류현진
한화 이글스 / 210K
리즈
LG 트윈스 / 188K
밴덴헐크
삼성 라이온즈 / 180K
차우찬
삼성 라이온즈 / 194K
보우덴
두산 베어스 / 160K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켈리
SK 와이번스 / 189K
샘슨
한화 이글스 / 195K
린드블럼
두산 베어스 / 189K
스트레일리
롯데 자이언츠 / 205K
미란다
두산 베어스 / 225K
<rowcolor=#fff> 2022 2023 2024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 224K
페디
NC 다이노스 / 209K
하트
NC 다이노스 / 182K
* 탈삼진왕은 1993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투수 마일스톤 기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00승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김시진
(1983~1992)
1987년 / 124승
최동원
(1983~1990)
1990년 / 103승
선동열
(1985~1995)
1990년 / 146승
장호연
(1983~1995)
1993년 / 109승
윤학길
(1986~1997)
1994년 / 117승
정삼흠
(1985~1996)
1996년 / 106승
이강철
(1989~2005)
1996년 / 152승
조계현
(1989~2001)
1996년 / 126승
송진우
(1989~2009)
1997년 / 210승
김용수
(1985~2000)
1998년 / 126승
정민철
(1992~2009)
1999년 / 161승
김상진
(1989~2003)
1999년 / 122승
이상군
(1986~2001)
2000년 / 100승
한용덕
(1987~2004)
2000년 / 120승
정민태
(1992~2008)
2000년 / 124승
김원형
(1991~2011)
2005년 / 134승
임창용
(1995~2018)
2007년 / 130승
김수경
(1998~2012)
2007년 / 112승
이상목
(1990~2009)
2008년 / 100승
손민한
(1997~2015)
2009년 / 123승
이대진
(1993~2012)
2009년 / 100승
박명환
(1996~2015)
2010년 / 103승
배영수
(2000~2019)
2012년 / 138승
장원삼
(2006~2020)
2015년 / 121승
윤성환
(2004~2020)
2016년 / 135승
김광현
(2007~)
2016년 / 170승
장원준
(2004~2023)
2016년 / 132승
양현종
(2007~)
2017년 / 179승
송승준
(2007~2021)
2017년 / 109승
니퍼트
(2011~2018)
2018년 / 102승
차우찬
(2006~2023)
2019년 / 112승
유희관
(2009~2021)
2021년 / 101승
류현진
(2006~)
2024년 / 108승
}}}}}}}}} ||
300세이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오승환
(2005~)
2021년 / 400세이브
}}}}}}}}} ||
2000탈삼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송진우
(1989~2009)
2008년 / 2048탈삼진
양현종
(2007~)
2024년 / 2076탈삼진
}}}}}}}}} ||
같이 보기: KBO 리그 타자 마일스톤 기록
}}}}}}}}} ||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42번
샤논 펜
(1996)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1997)
호세 리마
(2001~2002)
SK 와이번스 등번호 29번
박진석
(2000)
에르난데스
(2001~2002)
정정호
(2003~2005)
}}} ||
}}} ||
파일:external/ph.spotvnews.co.kr/50528_69694_3155.jpg
페르난도 에르난데스
Fernando Hernández
출생 1971년 6월 16일 ([age(1971-06-16)]세)
산티아고 데 로스 카바예로스
국적
[[도미니카 공화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산티아고 고등학교
신체 188cm, 83kg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0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CLE)
소속팀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1997)
SK 와이번스 (2001~2002)
롯데 자이언츠 (2002)
가족 아들 조나단 에르난데스

1. 개요2. 선수 경력
2.1. 한국 진출 전2.2. SK 와이번스2.3. 이후
3. 주요 기록4. 피칭 스타일5. 연도별 성적6. 여담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의 前 야구선수.

2. 선수 경력

2.1. 한국 진출 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소속으로 메이저리그에 입성한 에르난데스는 주로 마이너리그에서 활약했다. 1997년에는 메이저리그에 콜업되었으나 2경기 1⅓이닝 방어율 40.50에 그치며 이렇다 할 성적을 내지 못했다.

2.2. SK 와이번스

에르난데스는 2001년, SK가 하비 풀리엄과 빅터 콜을 방출한 뒤 새로 영입한 용병이었다.

시범경기에서 3경기에 등판해 16이닝 동안 2승 방어율 3.94를 기록했다. 시범경기에서의 활약으로 인해 전년도 신인왕이자 팀 에이스였던 이승호를 제치고 개막전 선발로 낙점되기에 이르었다.

개막전에서 에르난데스는 5⅓이닝 동안 6탈삼진 3실점으로 전 시즌 다승 2위었던 데니 해리거를 상대로 승리를 따냈다. 두 번째 등판에서도 7이닝 동안 9탈삼진을 잡아내며 SK의 새로운 스타가 되었다. 이후 에르난데스는 이승호와 함께 원투펀치로 활약하며 SK의 투수진을 이끌었다. 이러한 활약 속에서 그는 한국에서의 첫 시즌인 2001년 14승 13패 233⅔이닝 215탈삼진 평균자책점 3.89를 기록했다.[1] 시즌 다승 3위, 탈삼진 1위, 이닝 1위에 올랐지만 들쭉날쭉한 제구력으로 인해 134볼넷을 허용하며 볼넷 1위에 오르는 불명예를 얻었다. 이 134볼넷 기록은 아직도 깨지지않는 기록이고, 앞으로도 깨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시즌에는 매 경기마다 120~130개를 던지고[2] 선발도 이승호, 김원형 외에는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 에르난데스-이승호-김원형-땜빵선발1(....)-가끔 땜빵선발2(......) 식으로 3일~4일 휴식만하고 나왔기 때문에 투구수도 4,144개를 넘었고,[3] 이는 역대 4위 기록이다. 에르난데스 말고도 KBO리그에서 한 시즌 4천구를 넘긴 투수는 4명이 더 있는데 모두다 1985년 이전 기록한 거고, 나머지는 전부 투고타저 시대에다 구원 등판을 적절히 활용해가며 던졌지만, 에르난데스는 순수 선발로만 등판해서 기록한 것이다.

2002년에는 7경기에 등판해 44⅔이닝 동안 2승 45탈삼진 11볼넷을 기록하며 전년도보다 안정적인 피칭을 했지만,[4] 5월 8일 삼성전에서 1번 타자 박한이를 상대하던 도중 에르난데스는 어깨에 이상을 느껴 박한이와의 승부 후 바로 교체 되었다. 그러나 그는 그 뒤로 다시는 마운드에 올라오지 못했다.

2군에서 재활에 매달렸으나 복귀하지 못했고 7월 SK 와이번스롯데 자이언츠간의 3:2 트레이드에 포함되어 롯데로 트레이드되었으나, 롯데는 용병 없이 경기를 하려고 하던 팀이었고, 그는 롯데에서 단 한 경기도 뛰지 못하고 방출되었다.

2.3. 이후

이후 에르난데스는 멕시코리그에 진출해 재활에 매달려 2005년 다시 마운드에 오르기도 했으나 이를 끝으로 현역 은퇴를 하였다. 2017년에는 도미니카 윈터리그에서 투수코치로 활동했었다.

3. 주요 기록

파일:KBO 로고(세로형).svg KBO 주요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기록 비고
2001년 더블200 달성 [5]

4. 피칭 스타일

시속 150km대 안팎의 강속구와 함께 강력한 구위로 타자를 윽박지르던 투수. 하지만 좋은 구위가 무색할 만큼 제구력이 불안정해 많은 볼넷을 허용했고, 이로 인해 삼진 1위와 볼넷 1위에 동시에 오르는 진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또한 체력이 좋아서 이닝도 많이 소화하던 투수였다.

5.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6]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01 SK 34 233⅔
(1위)
14
(공동 3위)
13
(2위)
0 0 3.89 198
(3위)
18 134
(1위)
14
(3위)
215
(1위)
1.42
<rowcolor=#373a3c>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2002 SK / 롯데 7 44⅔ 2 0 0 0 2.82 39 7 11 5 45 1.12
KBO 통산
(2시즌)
41 278⅓ 16 13 0 0 3.72 237 25 145 19 260 1.37

6. 여담

  • 박용택의 프로 데뷔 첫 안타를 허용한 투수다.
  • 실력뿐만이 아니라 인품 또한 훌륭했던 선수였다. 생활 태도도 모범적이었으며, 팀의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톡톡히 했다. 특히 에르난데스는 자신만의 개인기인 인디언 휘파람으로 동료들의 인기를 한몸에 받았다.
  • 당시 SK의 통역이었던 김현수[7]와 친했다. 김현수는 에르난데스가 출국 당시 SK 구단에서 마련한 에르난데스의 두 아들을 위한 옷을 주었고, 에르난데스는 한국말로 고맙다는 말을 몇 번씩이나 했다고 한다. 에르난데스는 출국하면서 그에게 만년필을 사주었다. 이후 에르난데스는 인천국제공항으로 출국하면서 출국장으로 걸어가다가 뒤를 돌아보고는 배웅하려 나온 그를 향해 고함을 쳤는데 그 고함이 짠하다.
현수! 반드시 재활에 성공해서 돌아오겠다. 내년에 그 만년필로 내 계약서 다시 써줄꺼지?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약속은 지켜지지 못했다.
  • 아들 조나단 에르난데스(Jonathan Hernández)도 야구선수로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으로 2019년 8월 21일(한국시간 22일) 빅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LA 에인절스와의 홈 경기에서 7회에 구원등판해 2.1이닝 무실점을 기록했고 팀이 9회말 헌터 펜스의 끝내기 안타로 승리하면서 데뷔전 승리를 따냈다.

7. 관련 문서


[1] 에르난데스가 기록한 233⅔이닝 215탈삼진은 용병 최초 200이닝-200탈삼진이다.[2] 이때 믿을 만한 중간계투라고는 조웅천, 조규제가 전부라서 에르난데스는 최대한 많은 이닝을 던져서 구원투수의 부담을 덜어줘야했다.[3] 경기당 평균 122개. 고작 3~4일만 쉬고 매 경기마다 저렇게 던져대니 어깨가 탈이 안 날 수가 없었다.[4] 7경기만 하고 2승만 기록했는데 이때는 승운이 좀 없는 편이었다.[5] 233⅔이닝-215탈삼진[6] KBO에서의 성적만 기입.[7] 야구선수 김현수와는 당연히 동명이인으로 현재는 스포츠 매니지먼트 사업을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