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9 19:56:28

터커 데이비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1d49><tablebgcolor=#071d49> 파일:내슈빌 사운즈 엠블럼.svg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AAA팀
내슈빌 사운즈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
<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c8102e> 19 맥윌리엄스 · 33 맥기 · 34 맥켄드리 · 38 미든도프 · 43 데이비슨 · 46 파노니 · 50 부카우스카스 · 51 스탈링스 · 54 제이 · 61 요호 · 64 가르시아 · # 피크 · # 리란소 · # 마세주스키 · # 메리웨더
포수 47 클라크 · 80 가르시아 · 82 로드리게스
내야수 9 바우어스 · 15 자모라 · 72 델가도 · 83 시글러 · 86 마르티네스 Jr. · # 레스티투요 · #
외야수 74 올리바 · 81 헤런 · # 스페인 · # 캐머런 · # 에반스
''' 파일:미국 국기.svg 릭 스위트'''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언 레슬리 파일:미국 국기.svg 팀 도허티 파일:미국 국기.svg 패트릭 맥거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리우 로드리게스 · 파일:미국 국기.svg 네드 요스트 4세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엠블럼.svg 밀워키 브루어스 40인 로스터 보기
}}}}}}}}}}}}}}} ||
파일:2025 롯데 터커 데이비슨 프로필.png
<colbgcolor=#071d49><colcolor=#fff> 내슈빌 사운즈 No.43
터커 데이비슨
Tucker Davidson
본명 조셉 터커 데이비슨
Joseph Tucker Davidson
출생 1996년 3월 25일 ([age(1996-03-25)]세)
텍사스 주 애머릴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타스코사 고등학교 - 미드랜드 칼리지
신체 188cm | 97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16년 드래프트 19라운드 (전체 559번, ATL)
소속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0~202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2~2023)
캔자스시티 로열스 (2023)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4)
롯데 자이언츠 (2025)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마이너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터커 데이비슨/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20년 2021년 22 ATL 22 LAA 23 LAA 23 KC 2024년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5년

3. 플레이 스타일

파일:터커 데이비슨 투구폼.gif
터커 데이비슨의 투구폼[1]
롯데 구단은 "데이비슨은 투구 타점이 높고 디셉션(투구 시 감춤 동작)이 좋은 투수"라며 "직구, 슬라이더, 커브, 스플리터 등 다양한 구종을 던진다" 고 전했다.

베이스볼 서번트에 따르면 2024년에 AAA에서 슬라이더(31.8%), 포심(28.4%), 싱커(12.2%), 스플리터(11.9%), 스위퍼(10.4%), 커브(5.4%)를 던지며 실제로 다양한 구종을 던졌고, 암슬롯 59°에 수직 릴리스 포인트 6.2피트(189cm)로 타점이 높아 롯데의 설명 대로의 선수이다.

포심의 구속은 90.9마일(146.2km/h)에 최고 94.8마일(152.6km/h)으로 MLB에서는 낮은 편이지만, KBO 리그 평균 구속인 145.6km/h(포심)를 상회하고 있다.

이창섭, 이희영 위원의 분석에 따르면 포심 회전수도 좋으며 릴리스 포인트가 높은 점이 특히 큰 이점을 가지고 있고, 미국 기준으로는 피홈런 갯수가 많지만 삼성의 데니 레예스를 비롯한 많은 선수들의 피홈런이 KBO에서 크게 줄었으며, 유망주 시절 좋은 평을 받았던 커브와 준수한 레벨의 스플리터, 그리고 싱커 등 여러 구종의 완성도가 괜찮은 편이기 때문에 피칭 디자인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선수라는 평을 받았다.

롯데에서 최종적으로 10승 5패 ERA 3.65를 기록했다. 특유의 위기 관리 능력과 본인의 다채로운 경험을 바탕으로 초반의 볼 비율을 상쇄하여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단점으로는 경기에 따라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고 패스트볼 구위, 5이닝이 지나면 떨어지는 체력 등 단점이 나타나는 경기도 있었다.[2] 결국 롯데와는 8개월 만에 동행을 끝내고 말았다.[3]

4. 여담

  • 2025년 KBO에서 맞붙게 된 맷 데이비슨과 성이 같다. 이로써 빅터 레이예스-데니 레예스와 함께 외국인 동명이인 투타대결이 2025 시즌에만 두 쌍이나 이루어지게 되었다.[4][5] 재미있게도 둘 다 롯데 선수들이 포함되어 있고 모두 영남권 팀 소속이다.
  • 잘생긴 외모와 건장한 체격을 가진 훈남이다.
  • 기혼자이다. 아내와 함께 구단의 공식 유튜브에도 출연한 적이 있다. #
  • 필기와 식사만 오른손으로 하는 다른손잡이이다. 아내는 왼손잡이이며, 아내의 경우 식사도 왼손으로 한다.

파일:dufjrkwlvkdlfemf1.jpg
  • KBO 리그 역사상 최초로 시즌 10승을 달성하고도 정규 시즌 도중 교체된 외국인 선수가 되었다. 팀 내 WAR 최상위를 기록하고 있었는데도 롯데는 데이비슨을 벨라스케즈로 교체하는 도박수를 던지게 된다. 그리고...

4.1. 데이비슨의 저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데이비슨의 저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이비슨의 저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이비슨의 저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5년 8월 7일 본인에 대한 방출 결정을 내린 후 롯데 자이언츠는 몰락하기 시작했고 그 다음 경기부터 무려 12연패의 길고 긴 늪에 빠져들었다. 10승을 달성하며 준수하게 팀의 승수 적립에 기여한 자신을 방출해버린 구단이, 바로 그 10승보다도 더한 연패 수를 적립한 것. 롯데 팬들은 이를 데이비슨의 저주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또한 방출된 본인의 대체 외인 투수로 영입된 벨라스케즈가 절망적인 기량을 보이면서 롯데 팬들 사이에서는 "데이비슨을 대체 왜 교체했냐"는 반응이 나오는 중.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브래디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길포일(2) 파일:미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우드(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칸세코(1)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이(3) 파일:미국 국기.svg
베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처(2) 파일:미국 국기.svg
매기(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모리(1)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온(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보이(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이시온(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온(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온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펠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이로우(2) 파일:미국 국기.svg
존갈(3)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세(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매클레리(2) 파일:미국 국기.svg
코르테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애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부첵(3)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먼드(1) 파일:캐나다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2)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웰(3)(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마켈(1) 파일:미국 국기.svg
애디튼(3)(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3) 파일:미국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듀브론트(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톰슨(2) 파일:미국 국기.svg
다익손(3) 파일:캐나다 국기.svg
아수아헤(2)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3)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파크맨(2)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스(2)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3)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3)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2) 파일:미국 국기.svg
구드럼(3)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2) 파일:미국 국기.svg
감보아(3)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슨(2) 파일:미국 국기.svg
벨라스케즈(3)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터커 데이비슨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Atlanta_Braves_logo_champion_2021.png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2021
}}} ||
터커 데이비슨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64번
루크 잭슨
(2018)
<colcolor=#fff> 터커 데이비슨
(2020~2022)
다리우스 바인스
(2023)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32번
레이셀 이글레시아스
(2021~2022)
터커 데이비슨
(2022~2023)
아미르 개럿
(2024)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41번
재키 브래들리 주니어
(2023)
터커 데이비슨
(2023)
다니엘 린치 4세
(2024~)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67번
비니 니톨리
(2024)
터커 데이비슨
(2024)
스캇 블루엣
(2025)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6번
강승구
(2024.9.25.~2024)
데이비슨
(2025)
결번
}}} ||
[1] 2025년 4월 19일 삼성전 / 상대 타자는 김성윤.[2] 롯데 자이언츠 투수로 활동했던 강리호는 직구 자체는 그럭저럭 잘 가는 편인데 변화구가 압도적이지 못해 투구수가 많아져 이닝 소화에 약점을 드러낸 것이 아닌가 하고 분석했다.영상은 데이비슨 웨이버 공시 이후 벨라스케즈를 영입한 이후 둘을 비교하는 내용이다.[3] 롯데 프런트의 판단이 비판받는 이유는 데이비슨이 팀 내 WAR 최상위를 기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데이비슨의 대체 외국인으로 데려온 벨라스케즈가 완전히 절망적인 수준으로 경기를 말아먹어서 이럴 거면 대체 왜 데이비슨을 방출했냐는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4] 다만 레이예스와 레예스의 경우 성씨는 같지만 한국어 등록명이 다르기 때문에 등록명까지 모두 같은 경우로만 한정한다면 데이비슨-데이비슨이 유일하다.[5] 데니 레예스가 6월 14일 웨이버 공시되었고 본인도 8월 6일 마지막 등판을 하며 전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