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71d49><tablebgcolor=#071d49> |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AAA팀 내슈빌 사운즈 로스터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 | <colcolor=#ffffff> 투수 |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c8102e> 19 맥윌리엄스 · 33 맥기 · 34 맥켄드리 · 38 미든도프 · 43 데이비슨 · 46 파노니 · 50 부카우스카스 · 51 스탈링스 · 54 제이 · 61 요호 · 64 가르시아 · # 피크 · # 리란소 · # 마세주스키 · # 메리웨더 |
포수 | 47 클라크 · 80 가르시아 · 82 로드리게스 | |
내야수 | 9 바우어스 · 15 자모라 · 72 델가도 · 83 시글러 · 86 마르티네스 Jr. · # 레스티투요 · # 던 | |
외야수 | 74 올리바 · 81 헤런 · # 스페인 · # 캐머런 · # 에반스 | |
''' | ||
|
| |
<colbgcolor=#071d49><colcolor=#fff> 내슈빌 사운즈 No.43 | |
터커 데이비슨 Tucker Davidson | |
본명 | 조셉 터커 데이비슨 Joseph Tucker Davidson |
출생 | 1996년 3월 25일 ([age(1996-03-25)]세) |
텍사스 주 애머릴로 | |
국적 |
|
학력 | 타스코사 고등학교 - 미드랜드 칼리지 |
신체 | 188cm | 97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좌투좌타 |
프로 입단 | 2016년 드래프트 19라운드 (전체 559번, ATL) |
소속팀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2020~2022)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2022~2023) 캔자스시티 로열스 (2023) 볼티모어 오리올스 (2024) 롯데 자이언츠 (2025) |
SNS |
1. 개요
밀워키 브루어스 산하 마이너 소속 좌완 투수.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터커 데이비슨/선수 경력 | ||||||
| ||||||
2020년 | 2021년 | 22 ATL | 22 LAA | 23 LAA | 23 KC | 2024년 |
| ||||||
2025년 |
3. 플레이 스타일
|
터커 데이비슨의 투구폼[1] |
베이스볼 서번트에 따르면 2024년에 AAA에서 슬라이더(31.8%), 포심(28.4%), 싱커(12.2%), 스플리터(11.9%), 스위퍼(10.4%), 커브(5.4%)를 던지며 실제로 다양한 구종을 던졌고, 암슬롯 59°에 수직 릴리스 포인트 6.2피트(189cm)로 타점이 높아 롯데의 설명 대로의 선수이다.
포심의 구속은 90.9마일(146.2km/h)에 최고 94.8마일(152.6km/h)으로 MLB에서는 낮은 편이지만, KBO 리그 평균 구속인 145.6km/h(포심)를 상회하고 있다.
이창섭, 이희영 위원의 분석에 따르면 포심 회전수도 좋으며 릴리스 포인트가 높은 점이 특히 큰 이점을 가지고 있고, 미국 기준으로는 피홈런 갯수가 많지만 삼성의 데니 레예스를 비롯한 많은 선수들의 피홈런이 KBO에서 크게 줄었으며, 유망주 시절 좋은 평을 받았던 커브와 준수한 레벨의 스플리터, 그리고 싱커 등 여러 구종의 완성도가 괜찮은 편이기 때문에 피칭 디자인에 따라 얼마든지 좋은 모습을 보여줄 수 있는 선수라는 평을 받았다.
롯데에서 최종적으로 10승 5패 ERA 3.65를 기록했다. 특유의 위기 관리 능력과 본인의 다채로운 경험을 바탕으로 초반의 볼 비율을 상쇄하여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단점으로는 경기에 따라 기복이 있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고 패스트볼 구위, 5이닝이 지나면 떨어지는 체력 등 단점이 나타나는 경기도 있었다.[2] 결국 롯데와는 8개월 만에 동행을 끝내고 말았다.[3]
4. 여담
- 2025년 KBO에서 맞붙게 된 맷 데이비슨과 성이 같다. 이로써 빅터 레이예스-데니 레예스와 함께 외국인 동명이인 투타대결이 2025 시즌에만 두 쌍이나 이루어지게 되었다.[4][5] 재미있게도 둘 다 롯데 선수들이 포함되어 있고 모두 영남권 팀 소속이다.
- SSG 랜더스의 기예르모 에레디아와 애틀랜타 브레이브스에서 같이 뛴 경력이 있으며, 둘 다 2021년 월드 시리즈 우승멤버였다. 또한 전 NC 다이노스 소속 투수 대니얼 카스타노와 카일 하트와는 2016년 MLB 신인드래프트 19라운드 지명 동기이다.
- 잘생긴 외모와 건장한 체격을 가진 훈남이다.
- 기혼자이다. 아내와 함께 구단의 공식 유튜브에도 출연한 적이 있다. #
- 필기와 식사만 오른손으로 하는 다른손잡이이다. 아내는 왼손잡이이며, 아내의 경우 식사도 왼손으로 한다.
- KBO 리그 역사상 최초로 시즌 10승을 달성하고도 정규 시즌 도중 교체된 외국인 선수가 되었다. 팀 내 WAR 최상위를 기록하고 있었는데도 롯데는 데이비슨을 벨라스케즈로 교체하는 도박수를 던지게 된다. 그리고...
4.1. 데이비슨의 저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이비슨의 저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데이비슨의 저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025년 8월 7일 본인에 대한 방출 결정을 내린 후 롯데 자이언츠는 몰락하기 시작했고 그 다음 경기부터 무려 12연패의 길고 긴 늪에 빠져들었다. 10승을 달성하며 준수하게 팀의 승수 적립에 기여한 자신을 방출해버린 구단이, 바로 그 10승보다도 더한 연패 수를 적립한 것. 롯데 팬들은 이를 데이비슨의 저주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또한 방출된 본인의 대체 외인 투수로 영입된 벨라스케즈가 절망적인 기량을 보이면서 롯데 팬들 사이에서는 "데이비슨을 대체 왜 교체했냐"는 반응이 나오는 중.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터커 데이비슨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2021 |
터커 데이비슨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등번호 64번 | ||||
루크 잭슨 (2018) | → | <colcolor=#fff> 터커 데이비슨 (2020~2022) | → | 다리우스 바인스 (2023) |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32번 | |||||
레이셀 이글레시아스 (2021~2022) | → | 터커 데이비슨 (2022~2023) | → | 아미르 개럿 (2024) | |
캔자스시티 로열스 등번호 41번 | |||||
재키 브래들리 주니어 (2023) | → | 터커 데이비슨 (2023) | → | 다니엘 린치 4세 (2024~) | |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67번 | |||||
비니 니톨리 (2024) | → | 터커 데이비슨 (2024) | → | 스캇 블루엣 (2025) | |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6번 | |||||
강승구 (2024.9.25.~2024) | → | 데이비슨 (2025) | → | 결번 |
[1] 2025년 4월 19일 삼성전 / 상대 타자는 김성윤.[2] 롯데 자이언츠 투수로 활동했던 강리호는 직구 자체는 그럭저럭 잘 가는 편인데 변화구가 압도적이지 못해 투구수가 많아져 이닝 소화에 약점을 드러낸 것이 아닌가 하고 분석했다.영상은 데이비슨 웨이버 공시 이후 벨라스케즈를 영입한 이후 둘을 비교하는 내용이다.[3] 롯데 프런트의 판단이 비판받는 이유는 데이비슨이 팀 내 WAR 최상위를 기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데이비슨의 대체 외국인으로 데려온 벨라스케즈가 완전히 절망적인 수준으로 경기를 말아먹어서 이럴 거면 대체 왜 데이비슨을 방출했냐는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4] 다만 레이예스와 레예스의 경우 성씨는 같지만 한국어 등록명이 다르기 때문에 등록명까지 모두 같은 경우로만 한정한다면 데이비슨-데이비슨이 유일하다.[5] 데니 레예스가 6월 14일 웨이버 공시되었고 본인도 8월 6일 마지막 등판을 하며 전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