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22:26:24

덕 브래디

덕 브래디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롯데 자이언츠
역대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브래디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길포일(2) 파일:미국 국기.svg
기론(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우드(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칸세코(1) 파일:쿠바 국기.svg
호세(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기론(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레이(3) 파일:미국 국기.svg
베로아(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해처(2) 파일:미국 국기.svg
매기(2)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3)(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모리(1)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온(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보이(2)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이시온(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라이온(3) 파일:미국 국기.svg
라이온 파일:미국 국기.svg
페레즈(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펠로우(3) 파일:미국 국기.svg
호세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마이로우(2) 파일:미국 국기.svg
존갈(3)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호세(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리오스(3)(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페레즈(3)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매클레리(2) 파일:미국 국기.svg
코르테스(3) 파일:멕시코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애킨스 파일:미국 국기.svg
가르시아 파일:멕시코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코리(2) 파일:미국 국기.svg
부첵(3) 파일:미국 국기.svg
사도스키 파일:미국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리치먼드(1) 파일:캐나다 국기.svg
옥스프링(3) 파일:호주 국기.svg
유먼 파일:미국 국기.svg
옥스프링 파일:호주 국기.svg
히메네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아두치(2)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웰(3)(2)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마켈(1) 파일:미국 국기.svg
애디튼(3)(2) 파일:미국 국기.svg
린드블럼(3) 파일:미국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듀브론트(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번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톰슨(2) 파일:미국 국기.svg
다익손(3) 파일:캐나다 국기.svg
아수아헤(2) 파일:미국 국기.svg
윌슨(3)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샘슨 파일:미국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트레일리 파일:미국 국기.svg
프랑코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마차도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파크맨(2)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3) 파일:미국 국기.svg
피터스(2)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3) 파일:미국 국기.svg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스트레일리(2)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3) 파일:미국 국기.svg
렉스(2) 파일:미국 국기.svg
구드럼(3) 파일:미국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윌커슨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반즈 파일:미국 국기.svg
데이비슨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 등록명을 우선적으로 기재했다.
}}}}}}}}} ||


덕 브래디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33번
진 라몬트
(1992~1995)
덕 브래디
(1995)
마빈 프리먼
(1996)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6번
임형석
(1997)
브래디
(1998)
서한규
(1999~2001)
}}} ||
}}} ||
파일:external/i68.tinypic.com/9urbdf.png
덕 브래디
Doug Brady
본명 스티븐 더글러스 브래디
Stephen Douglas Brady
출생 1969년 11월 23일 ([age(1969-11-23)]세)
일리노이 주 모건 카운티 잭슨빌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베이직 고등학교 - 리버티 대학교
신체 180cm, 74kg
포지션 내야수
투타 우투양타
프로 입단 1991년 드래프트 12라운드 (전체 332번, CHW)
소속팀 시카고 화이트삭스 (1995)
롯데 자이언츠 (1998)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후4. 연도별 성적5. 기타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미국의 前 프로야구 선수. 롯데 시절에는 등번호가 6번이었다.

2. 선수 경력

2.1. 시카고 화이트삭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8459-377Fr.jpg
1991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에 12라운드 지명을 받고 입단했다. 1995년에 메이저리그에 승격되어 잠시 뛰기도 했으나, 레이 더햄이 화이트삭스의 2루수 자리를 완전히 꿰차게 되면서 자리가 모호해졌고 결국 1995 시즌은 브래디의 유일한 메이저리그 커리어로 남게 되었다. 사실 올려볼만한 실력이 되어서 올린 것도 아니고, 94년 메이저리그 파업사태가 장기화되자 95년 구단들은 마이너리거를 올려 시즌을 강행하기로 했고, 브래디도 이래서 올라오게 되었던 것. 당연히 잘 할 리가 없었다.

1994년 마이너리그 더블 A 시절 농구황제 마이클 조던과 같은 팀에서 뛴 적이 있다.

2.2. 롯데 자이언츠

1997시즌이 끝난 이후 화이트삭스를 떠난 브래디는 외국인 선수 제도가 갓 도입된 한국에서 야구인생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트라이아웃에 롯데 자이언츠에 2순위로 선택되어서, 계약금 2만 달러, 연봉 9만 달러로 하여 도합 11만 달러의 조건으로[1] 롯데 자이언츠의 첫 외국인 선수가 된다.[2] 롯데 김용희 감독은 그를 1번타자 및 주전 유격수로 기용하여 롯데 내야진의 수비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선수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시즌 중 같은 유격수인 김민재에게 주전 경쟁에서 밀려 2루수로 수비 위치가 변경되었지만 2루수 자리에는 '탱크' 박정태가 버티고 있었다. 이 때 박정태는 3할의 타율에 13홈런을 쳤던 부동의 주전 2루수였다. 2루수를 보긴 했어도 박정태가 체력 안배 차원에서 휴식하거나 지명타자로 들어갈 때나 선발 2루수로 출장할 정도로 경쟁이 되지 않았다. 시즌 후반엔 어찌어찌 주전으로 뛰긴 했으나, 9번 지명타자까지 밀려났다.

경기 외적으로도 열악한 환경 때문에 상당한 고생을 겪었는데, 당시 외국인 선수 제도를 처음 맞이한 한국 구단들은 식단부터 시작해 외국인 선수에 대한 배려가 매우 부족했다. 브래디 또한 한국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아 식사를 제대로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고 한다.[3] 이를 보다 못한 구단 직원이 스테이크를 사주니 그 다음날 홈런을 쳤다고 한다.

그런 환경에서 성적이 좋게 나오기란 쉽지 않았고 결국 70경기 0.258 3홈런 6타점 4도루라는 매우 형편없는 성적으로 인해 재계약은 당연히 불발되어 한국을 떠났다.

2.3. 이후

이후 1999년에도 마이너리그에서 1년을 선수생활을 하였으나 시즌 후 은퇴를 하게 된다.

3. 은퇴 후

은퇴 이후에 도서관 사서도 했었다는 얘기도 있었으나, 2019년에 알려진 근황으로는 인테리어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4.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4]
연도 소속팀 경기수 타율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볼넷 사구 출루율 장타율 OPS
1998 롯데 70 .258 40 6 4 3 6 18 4 6 2 .295 .406 .701
KBO 통산
(1시즌)
70 .258 40 6 4 3 6 18 4 6 2 .295 .406 .701

5. 기타

마구마구에서도 그의 기록을 반영한 선수카드가 있다. 파워-컨택트-스피드-송구-수비 순으로 64-67-66-62-65이며, 그가 유격수, 2루수 임무를 수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포지션은 지명타자다.[5][6]

성적이 워낙 좋지 않았다 보니 그를 팀 선수들의 영어 선생님 취급하는 이들도 더러 있다.

3루타 개수가 홈런 개수보다 많은 최초의 외국인 선수다. 두번째 기록은 21년 뒤 같은 팀 소속의 카를로스 아수아헤.

6. 관련 문서


[1] 연봉뿐만이 아니라 한국에서 선수생활하는 동안 기거할 아파트 또한 구단으로부터 제공받았다.[2] 당시 롯데는 브래디 뿐만 아니라 3년뒤인 2001년에 두산 베어스에서 선수 생활을 하게 되는 투수 빅터 콜이라는 선수를 1순위로 지명했으나, 빅터 콜은 계약금 및 연봉을 45만 달러를 요구하여(이 때 외국인 연봉 상한선이 12만 달러였다.) 그를 포기하고 어쩔 수 없이 브래디 한 명만 영입한다.[3] 음식이 입에 맞지 않았다해도 완전히 끼니를 거를 순 없으니 그나마 먹을 만한 쌀밥에 물을 말아서 먹었다고 한다..[4] KBO에서의 성적만 기입[5] 그럴 일이 희박하겠지만 언젠가는 재평가 업데이트로 인하여 스페셜 카드도 나오게 된다면 듀얼 포지션 훈련을 하여 2루수로 써먹을 수 있다는 가정은 존재한다.[6] 마구마구가 최하등급 선수카드인 노멀 등급을 없애고 기존의 노멀 등급 선수카드들은 일괄적으로 스페셜로 승급을 시켰지만 마찬가지로 스페셜로 승급이 된 98 브리건 선수카드(성명권 문제로 인하여 개명됨)의 듀얼 포지션은 아직 추가되지 않았다. 마구마구 PC버전과는 다르게 모바일 마구마구에선 스페셜 등급에 유격수 포지션의 선수카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