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04:56:26

미치 화이트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화이트의 2025 시즌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미치 화이트/선수 경력/2025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2025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1 백승건 · 16 이건욱 · 19 조병현 · 22 서진용
· 25 조요한 · 28 송영진 · 29 [[김광현|김광현 [[주장|
C
]] · 32 신헌민
· 33 앤더슨 · 34 한두솔 · 38 노경은 · 39 김건우
· 42 문승원 · 43 김택형 · 46 이승훈 · 48 안현서
· 50 박종훈 · 51 정동윤 · 57 박시후 · 62 최수호
· 66 장지훈 · 67 최민준 · 68 류현곤 · 90 박기호
· 92 이로운 · 94 최현석 · 00 박성빈 · 09 임성준
· # 김민 · # 전영준 · # 신지환 · # 천범석
· # 김현재 · # 이도우 · # 한지헌 · # 도재현
· # 화이트'''
최종 편집: 2024년 12월 1일
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군 입대 선수등록 선수육성선수
다른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미치 화이트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등번호 66번
야시엘 푸이그
(2013~2018)
미치 화이트
(2020~2022)
결번
토론토 블루제이스 등번호 45번
토마스 파노니
(2018~2019)
<colcolor=#ffffff> 미치 화이트
(2022~2024)
토미 낸스
(2024~)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등번호 54번
스캇 알렉산더
(2022~2023)
미치 화이트
(2024)
마이크 바우만
(2024)
밀워키 브루어스 등번호 58번
알렉스 클라우디오
(2023)
미치 화이트
(2024)
제임스 미커
(2024)
SSG 랜더스 등번호 번
화이트
(2025~)
현역
}}} ||
파일:미치화이트 계약.jpg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SSG 랜더스 No.
미치 화이트
Mitch White
본명 미첼 해리슨 화이트
Mitchell Harrison White
출생 1994년 12월 28일 ([age(1994-12-28)]세)
캘리포니아 주 산호세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1]
학력 벨라마인 칼리지 프리파라토리 - 산타클라라 대학교
신체 190cm | 95kg
포지션 선발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2016년 드래프트 2라운드 (전체 65번, LAD)
소속팀 로스앤젤레스 다저스 (2020~2022)
토론토 블루제이스 (2022~2024)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2024)
밀워키 브루어스 (2024)
SSG 랜더스 (2025~)
계약 1yr / $1,000,000
연봉 2025 /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여담
4.1. 대한민국과의 인연
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우완 투수.

2. 선수 경력

미치 화이트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미치 화이트/선수 경력
파일:MLB 로고.svg
2020년 2021년 22 LAD 22 TOR 2023년 24 TOR 24 SF 24 MIL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5년

3. 플레이 스타일

최고 157km/h, 평균 152km/h의 포심 패스트볼과 최고 153km/h, 평균 150km/h의 투심 패스트볼을 던지는 우완 강속구 투수이다.

변화구로는 커터, 커브, 스위퍼성 슬라이더, 스플리터를 구사한다. 마이너리그에서는 커터를 결정구로 삼았지만 메이저로 올라와서는 결정구를 평균 150km/h의 투심으로 삼고 있다. 마이너리그에서 지적 받은 커맨드 불안은 여전해서 이닝 대비 볼넷 비율이 많은 편이다. 스트라이크 존에 들어가는 공의 비율이 47%로 리그 평균인 49%에 못 미치는 것을 보면 제구력 보완에 힘을 써야 한다.

4. 여담

  • 다저스 시절 워낙 마이너와 메이저를 자주 오가면서 로스터 활용을 많이 당하다 보니 선수협과 사무국에서도 문제가 되었다.

4.1. 대한민국과의 인연

  • 대한민국 야구의 전설인 '코리안 특급' 박찬호와 닮았으며, 짭찬호로 불리며 한국 팬들에게 유명세를 타고 있다. 본인도 이를 잘 알고 있으며, 가족 및 친척이 사용하는 채팅방에서 자신이 박찬호를 닮았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고 한다. # 1초 박찬호, 실시간 짭찬호 때문에 해외야구 갤러리에서는 아예 박찬호의 숨겨진 아들 취급을 한다. 하필 팀도 로스앤젤레스 다저스에 그의 출생년도인 1994년은 박찬호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데뷔 년도이기도 하기에 관련 드립이 빵빵 터졌다. 다만 박찬호의 상징인 61번은 먼저 올라온 좌완 개럿 클레빈저가 달고 있다. 61번을 화이트가 딱히 원하지는 않는다고 전해진다. 이 사실이 공공연한 사실이라 그가 등장하는 경기에서는 위 및 아래의 사실들이 언급되고, 급기야 2022년 5월 26일 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원정을 중계하던 SPOTV의 캐스터는 "백(White)찬호"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얼굴 생김새뿐만 아니라 플레이 스타일이나 투구폼도 유사하다.[2]
  • 실제로 어머니가 이민 2세대인 한국계 미국인이다. 미치 화이트의 외조부모(장백기, 조옥영)는 1969년 미국으로 세 자매를 데리고 유학을 왔는데, 그 뒤 미국에서 자식을 둘 더 낳아 오남매를 기르게 되자 학업을 그만두고 아예 미국에 정착해서 한국 이민자들이 으레히 그렇게 살았듯 여러 가지 자영업을 하며 자식들을 키웠다. 그 중 셋째 딸이 ABC 방송의 나이트라인 간판앵커 기자인 주주 장(한국명 장현주)이다. 즉 화이트의 이모는 미국에서 전국구 뉴스 하는 유명인이다. 장백기 씨는 화이트를 포함하여 자녀와 손자들을 다저스타디움에 자주 데리고 갔고 손자가 야구하는 것도 뒷바라지했다고 한다. 이모와 어머니가 모두 그러는 걸 보면 장씨는 Chang으로 쓰는 듯하다. 또한, 어머니가 한국계이기 때문에 한국 대표팀에서 콜업하면 WBC에서 한국 대표팀으로도 출전 가능하다. 참고로 2021년 메이저리그에서 뛰고 있는 한국계 미국인은 데인 더닝, 토미 에드먼, 롭 레프스나이더가 있다. 그러나 2022년 9월 3일 대니얼 킴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DKTV와의 인터뷰를 통해 자신은 완전히 MLB에 자리잡은 처지가 아니어서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나가기는 힘들 것이라고 밝혔다.[3] 팬들의 반응은 애국 언플 하나 없이 못나가는 이유를 솔직하게 밝힌 덕에 호감이라는 반응이다.
  • ABC 방송에서 가족에 관한 3분짜리 인터뷰 영상을 만들었다. # 영상 보면 알겠지만 이모인 주주 장의 인터뷰가 주축이다. 그러나 단순히 스타 앵커의 가십거리 뉴스는 아닌 것이, 미치 화이트의 가족 스토리는 미국인 시청자에게 확실히 먹히는 아이템인 "아메리칸 드림" 이민 3세대의 성공담인 측면이 있고 영상에서도 직접 그것을 언급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그리고 2025 시즌은 KBO 리그 소속 SSG 랜더스와 계약하면서, 이제 정말로 한국에서 선수 생활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2026 WBC에 발탁될 가능성도 매우 높아졌다.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561>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KBO 리그
외국인 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삼성 라이온즈 엠블럼.svg 파일:LG 트윈스 엠블럼.svg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파일:kt wiz 엠블럼.svg
디아즈
후라도
레예스
삼성 라이온즈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파일:한화 이글스 엠블럼.png 파일:NC 다이노스 홈 엠블럼.svg 파일:키움 히어로즈 엠블럼.svg
<rowcolor=#fff>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파일:SSG 랜더스 엠블럼.svgSSG 랜더스
역대 외국인 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fff>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풀리엄 파일:미국 국기.svg
뮬렌(2)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브리또(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혼즈(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러시아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에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페르난데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스텔라노(1)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러핀(3)(2) 파일:미국 국기.svg
잉글린(3) 파일:미국 국기.svg
에르난데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매기(3) 파일:미국 국기.svg
디아스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스미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또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카브레라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카브레라(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크루즈(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산체스(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차바치(3) 파일:미국 국기.svg
시오타니(2) 파일:일본 국기.svg
세라노(3) 파일:미국 국기.svg
피커링(2) 파일:미국 국기.svg
카브레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마노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번 파일:미국 국기.svg
쿠비얀(2)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레이(3)(2) 파일:미국 국기.svg
(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니코스키(2) 파일:미국 국기.svg
글로버(3) 파일:미국 국기.svg
존슨(2)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도쿠라(3) 파일:일본 국기.svg
<rowcolor=#ffffff>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카도쿠라 파일:일본 국기.svg
글로버 파일:미국 국기.svg
매그레인(2) 파일:미국 국기.svg
고든(3) 파일:미국 국기.svg
마리오 파일:푸에르토리코 국기.svg
로페즈(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부시(3) 파일:미국 국기.svg
슬래튼(1)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3)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예스(2)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3) 파일:미국 국기.svg
울프 파일:미국 국기.svg
스캇(2)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밴와트(2) 파일:미국 국기.svg
세든(3) 파일:미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고메즈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세든(2) 파일:미국 국기.svg
라라(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다이아몬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워스(2)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3) 파일:캐나다 국기.svg
켈리 파일:미국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산체스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다익손(2) 파일:캐나다 국기.svg
소사(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핀토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킹엄(2) 파일:미국 국기.svg
화이트(3) 파일:미국 국기.svg
로맥 파일:캐나다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르위키(2) 파일:미국 국기.svg
가빌리오(3) 파일:미국 국기.svg
폰트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노바(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모리만도(3) 파일:미국 국기.svg
크론(2) 파일:미국 국기.svg
라가레스(3)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맥카티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로메로(2)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엘리아스(3) 파일:쿠바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엘리아스 파일:쿠바 국기.svg
시라카와(4) 파일:일본 국기.svg
더거(2)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3) 파일:미국 국기.svg
<rowcolor=#ffffff>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2029년
화이트 파일:미국 국기.svg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에레디아 파일:쿠바 국기.svg
(1) 시즌 전 방출/계약 취소
(2) 시즌 중 이적/방출
(3) 대체 영입
(4) 일시 대체 영입
본 항목에서 선수의 이름은 등록명만을 기재합니다
}}}}}}}}}}}} ||



[1] 국적은 미국이지만 한국계 미국인이기에 WBC에는 대한민국 대표팀 소속으로도 출전이 가능하다. 물론 미국 국적인 만큼 KBO 리그에서는 엄연한 외국인 선수이며 다른 대회의 대표팀에는 대한민국 대표팀으로 출전할 수 없다.[2] 최고구속 99마일의 직구 위주의 플레이 스타일, 박찬호와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상당히 유사한 투구폼을 가지고 있다. 물론 시대 대비 구위는 박찬호의 압도 우위.[3] 실제 WBC에 차출된 해외파 내지 한국계 외국인 선수는 전부 메이저 주전급 선수들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