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22:56:29

질병/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질병
새 질병 문서를 작성시 템플릿:질병을 사용할 것.
가나다 - ABC - 123 순서대로 적을 것.

1. 인간의 질병
1.1. I. 감염성 질환1.2. II. 종양1.3. III. 혈액질환, 조혈기관질환, 특정 면역계질환1.4. IV. 내분비계, 영양, 대사질환1.5. V. 정신 및 행동장애1.6. VI. 신경계 질환1.7. VII. 또는 부속기 질환1.8. VIII. 또는 유양돌기 질환1.9. IX. 순환계 질환1.10. X. 호흡계 질환1.11. XI. 소화계 질환 + 치과질환1.12. XII.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1.13. XIII. 근육계, 골격계, 결합조직 질환1.14. XIV. 배설계, 생식계 질환1.15. XV. 임신, 출산, 산후 질환1.16. XVI.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질환1.17. XVII. 기형, 선천적이상, 유전병1.18. XVIII. 그 외, 이상소견, 달리 분류되지 않음1.19. XIX. 손상, 중독 등 외인1.20. XX. 그 외 외인1.21. XXI. 그 외 보건서비스1.22. XXII. 특수목적
2. 동물의 질병3. 식물의 질병4. 증후군5. 이름만 병인 것들6. 관련 문서

1. 인간의 질병

  • 본 항목은 ICD-10에 따라 분류되어 있습니다. 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항목을 추가 시, ICD-10 이 링크에서 영어로 검색하면 ICD-10 코드를 알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의학검색엔진, 영문판 위키백과 등의 사이트에도 ICD-10 코드의 목록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 분류코드에 따라 중복되는 항목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 국제적 영향력이 있는 질병 분류가 새로 정립될 시, ICD-10 문서 또는 문단을 새로 만들어 밑의 목록을 그곳으로 옮긴 후, 새로운 질병 분류를 이곳에 써 주십시오.
  • 1개의 숫자 쳅터에 2개이상의 알파벳코드가 할당될수있습니다.

1.1. I. 감염성 질환

A00~B99 특정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
보통 병이 생긴 장기를 전문으로 하는 과에서 진료하지만, 드문 감염이거나 감염 자체를 주의깊게 케어해야 할 경우 감염내과에서 본다.
코드 질병
A00~A09 장 감염 질환
A15~A19 결핵
  • 호흡기 결핵,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됨(A15)
A20~A28 특정 동물매개의 세균성 질환
A30~A49 기타 세균성 질환
A50~A64 주로 성행위로 전파되는 감염
A65~A69 기타 스피로헤타 질환
A70~A74 클라미디아에 의한 기타 질환
  • 개설 항목 없음
A75~A79 리케차
A80~A89 중추신경계통의 바이러스 감염
A90~A99 절지동물매개의 바이러스열 및 바이러스 출혈열
B00~B09 피부 및 점막병변이 특징인 바이러스감염
B15~B19 바이러스 간염
B20~B24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B25~B34 기타 바이러스 질환
B35~B49 진균증
B50~B64 원충질환
B65~B83 연충병
B85~B89 이감염증, 진드기증 및 기타 감염
B90~B94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의 후유증
  • 개설 항목 없음
B95~B98 세균, 바이러스 및 기타 감염체
B99 기타 감염성 질환
  • 개설 항목 없음
  • 전염병 : 항목 참조.
  • 장염 :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참고로 감염성 질환이 아닐 수도 있다.[11] 장염의 원인은 다양하므로, '~균에 의한 장염' 따위로 분류한다.
  • 패혈증 : 모든 균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이므로 패혈증 하나만 따로 코드를 분류하지 않고, '~균에 의한 패혈증' 따위로 분류한다. 감염균이 전신에 퍼져서 생기는 전신증상이 원인이다. 다만 대개 세균에 의한 경우가 많다.
  • 뇌수막염: 감염이 주된 원인이지만 신경계 질환 코드 (G)로 분류된다.
  • 인플루엔자(=독감) : 호흡기 질환 코드(J)으로 분류된다.
  • 지카 바이러스 : 특수목적코드(U)로 분류된다.[12]
  • 사스(SARS) : 특수목적코드(U)로 분류된다.

1.2. II. 종양

C00~D48 신생물(Neoplasms), 그외 자세한건 항목 참고[13]
수술은 해당 장기를 다루는 외과, 항암치료는 해당 장기를 다루는 내과나 종양내과,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진료한다.
코드 질병
C00~C14 입술, 구강 및 인두의 악성 신생물
C15~C26 소화기관의 악성 신생물
C30~C39 호흡기 및 흉곽내 기관의 악성 신생물
C40~C41 뼈 및 관절연골의 악성 신생물
  • 개설 항목 없음
C43~C44 흑색종 및 기타 피부의 악성 신생물
C50 유방의 악성 신생물
C51~C58 여성 생식기관의 악성 신생물
C60~C63 남성 생식기관의 악성 신생물
C64~C68 비뇨계통의 악성 신생물
C69~C72 눈, 뇌 및 중추신경계통의 기타부분의 악성 신생물
C73~C75 갑상선 및 기타 내분비선의 악성 신생물
C76~C80 불명확한, 이차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악성 신생물
C81~C96 림프, 조혈 및 관련조직의 악성 신생물
C97 독립된 여러 부위의 악성 신생물
  • 개설 항목 없음
D00~D09 제자리신생물
  • 개설 항목 없음
D10~D36 양성 신생물
D37~D48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 테라토마 : 발생위치에 따라, 또한 양성인지 악성인지에 따라 코드가 다양하게 분류된다.

1.3. III. 혈액질환, 조혈기관질환, 특정 면역계질환

D50~D89 혈액 및 조혈기관의 질환과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 질환[17]
혈액내과에서 전문적으로 진료한다.
코드 질병
D50~D53 영양성 빈혈
D55~D59 용혈성 빈혈
D60~D64 무형성 및 기타 빈혈
  • 개설 항목 없음
D65~D69 응고결합, 자반 및 기타 출혈성 병태
D70~D77 혈액 및 조혈기관의 기타 질환
  • 개설 항목 없음
D80~D89 면역메커니즘을 침범하는 특정장애
  • 개설 항목 없음

1.4. IV. 내분비계, 영양, 대사질환

E00~E90 내분비, 영양 및 대사질환
내분비내과와 관련 외과에서 주로 진료한다.
코드 질병
E00~E07 갑상선[18]의 장애
E10~E14 당뇨병
E15~E16 포도당 조절 및 췌장 내분비의 기타 장애
E20~E35 기타 내분비선의 장애
E40~E46 영양실조
  • 개설 항목 없음
E50~E64 기타 영양결핍
E65~E68 비만 및 기타 과다영양
E70~E90 대사장애

영양결핍과 관련되지만, 베르니케-코르사코프 증후군은 정신과 질환으로 분류된다.

1.5. V. 정신 및 행동장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DSM-5 기준 정신질환 분류에 대한 내용은 정신질환/분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F00~F99 정신 및 행동 장애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진료한다. 이 병명으로 진단받으면 진단서에는 대개 F코드가 붙는다.[20]

참고로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분야이기 때문인지 개설 항목이 다양한 편이다. 그러나 그런 만큼 비전문가가 작성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아지다 보니 의학적인 측면에서는 오개념도 많다. 쉬운 용어로 기술할 수 있는 내용이라고 해도 그 깊이가 얕은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개개인의 섣부른 판단으로 작성하는 일은 삼가야 한다. 또한 정신과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입장에서는 정신과 질환 자체를 바라보는 편견에 고통받고 있기 때문에 이를 더 부추기는 오개념을 작성하지 않도록 주의하길 바란다.
코드 질병
F00~F09 증상성을 포함하는 기질성 정신장애
F10~F19 향정신성물질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21]
  • 알코올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0)
  • 아편유사제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1)
    • 아편유사제 과다복용(F11.0)
    • 아편유사제 의존증(F11.2)
  • 카나비노이드(대마초)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2)
    • 대마초의 단기적 효과(F12.0)
    • 대마초 의존증(F12.2)
  • 진정제수면제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3)
    •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진정제) 과다복용(F13.0)
    • 벤조디아제핀 남용(F13.1)
    • 벤조디아제핀 의존증(F13.2)
    • 벤조디아제핀 금단증상(F13.3)
  • 코카인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4)
    • 코카인 중독증세(F14.0)
    • 코카인 의존증(F14.2)
  • 기타 각성제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5)
    • 각성제성 정신이상(F15.5)
  • 환각제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6)
    • 환각제 복용 후 인지장애(F16.7)
  • 담배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7)
  • 휘발성 용매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8)
  • 복수 약물 및 기타 향정신성 물질 사용에 의한 정신 및 행동장애(F19)
F20~F29 정신분열병, 분열형 및 망상성 장애
  • 조현병 (구 정신분열증)(F20)
    • 망상형 조현병(F20.0)
    • 혼란형 조현병(F20.1)
    • 긴장형 조현병(F20.2)
    • 미분화형 조현병(F20.3)
    • 조현병후 우울병(F20.4)
    • 잔류형 조현병(F20.5)
    • 단순형 조현병(F20.6)
    • 기타 조현병(F20.8)
  • 분열형 인격장애(F21)
  • 지속성 망상장애(F22)
    • 망상장애(F22.0)
    • 기타 지속성 망상장애(F22.8)
      • 호소성 조병
  • 급성 및 일시적 정신장애(F23)
    • 조현병 증상이 없는 급성 다형성 정신장애(F23.0)
    • 조현병 증상이 있는 급성 다형성 정신장애(F23.1)
    • 조현병과 유사한 급성 다형성 정신장애(F23.2)
    • 기타 대개 망상성인 급성 정신장애(F23.3)
    • 기타 급성 및 일시적 정신장애(F23.8)
    • 급성 및 일시적 정신장애, 상세불명(F23.9)
  • 유발성 망상장애(F24)
  • 분열정동장애(F25)
    • 분열정동장애, 조병형(F25.0)
    • 분열정동장애, 우울병형(F25.1)
    • 분열정동장애, 혼합형(F25.2)
    • 기타 분열정동장애(F25.8)
    • 분열정동장애, 상세불명(F25.9)
  • 기타 비기질성 정신병(F28)
  • 비기질성 정신병, 상세불명(F29)
F30~F39 기분(정동)장애(기분장애 참조)
  • 조증 삽화[23](F30)
    • 경조증(F30.0)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조증(F30.1)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는 조증(F30.2)
    • 기타 조증 삽화[24](F30.8)
    • 조증, 상세불명(F30.9)
  • 양극성 정동장애(조울증)(F31)
    • 양극성 정동장애, 현재 경조증 증상(F31.0)
    • 양극성 정동장애, 현재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조증 증상(F31.1)
    • 양극성 정동장애, 현재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는 조증 증상(F31.2)
    • 양극성 정동장애, 현재 경증 또는 중등도의 우울증(F31.3)
    • 양극성 정동장애, 현재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중증 우울증 증상(F31.4)
    • 양극성 정동장애, 현재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는 중증 우울증 증상(F31.5)
    • 양극성 정동장애, 현재 혼합형 증상(F31.6)
    • 양극성 정동장애, 현재 관해 상태(F31.7)
    • 기타 양극성 정동장애(F31.8)
      • 제2형 양극성 장애
    • 양극성 정동장애, 상세불명(F31.9)
  • 우울증 삽화(F32)
    • 경증 우울증 증상(F32.0)
    • 중등도 우울증 증상(F32.1)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지 않는 중증 우울 증상(F32.2)
    • 정신병적 증상을 동반하는 중증 우울 증상(F32.3)
    • 기타 우울 증상(F32.8)
      • 비전형 우울증
    • 우울 증세(F32.9)
  • 재발성 우울장애(F33)
  • 지속성 기분(정동)장애(F34)
    • 순환성 기분장애(F34.0)
    • 기분부전장애(F34.1)
  • 기타 기분(정동)장애(F38)
  • 기분(정동)장애, 상세불명(F39)
F40~F48 신경증성, 스트레스-연관 및 신체형 장애
F50~F59 생리적 장애 및 신체적 요인들과 수반된 행동 증후군
F60~F69 성인 인격 및 행동의 장애
F70~F79 정신지연
F80~F89 정신발달장애 : 발달장애 항목 참조.
F90~F98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행동 및 정서장애
F99 상세불명의 정신장애
  • 개설 항목 없음
  • 정신증, 신경증 : Psychosis/Neurosis 나무위키에서는 흔히 쓰는 표현이지만 실제로는 학문의 발전에 맞춰 사용이 줄어들고 있는 표현이다. ICD-10에서는 위에서 알 수 있듯이 큰 범주를 나누는데는 사용되지 않고, 하위 세부분류 항목을 나누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여러 질병의 하위로 나타나다 보니 단순히 '정신증' '신경증'으로만 검색하면 상위항목이 중복된다.
  • 성인ADHD : ICD-10에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 화병 : 정신학회에서는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국제 ICD-10에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일단 한의병명에 존재하여 U 코드로 분류.
  • 행동장애 : 이것도 하위 항목으로 적절히 사용되는 용어로, 큰 분류로 잡기에는 ICD-10과 맞지 않는다. [36]
  • 모글리 현상 : ICD-10에 의해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 듯하다.
  • 유아퇴행 : 애초에 어떤 개념을 번역한 것인지 애매하며, 의학적 용어가 아닌 듯 하다. 다만 '랜도-크래프너 증후군' 이라는 장애가 있지만, 이는 7세이후 성장기때 되려 3세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유아붕괴성 장애이다. 성인이 다시 유아적으로 퇴행하는 것은 아니다.
  • 파리 신드롬 : 사회과학적 용어 내지는 일반 매체 용어 정도로 보인다. 의학적 용어는 아니다.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증후군 : 학계에서 인정하지 않는 개념으로 보인다.
  • 안면인식장애 : 일단 실제 안면인식에 장애가 있으면 안면인식과 관련된 뇌엽이 망가졌다는 뜻으로, 정신과 질환이 아니라 신경과 질환이다. 관련된 질환은 대개 뇌졸중같은 질환에 의해 발생한다. 게다가 일반인이 말하는 안면인식장애는 사실 그냥 얼굴을 기억하는 기억력이 나빠서[37] 발생하는 경우가 태반이다. 쉽게 말해 일반인이 '안면인식장애'라고 말하는 건 병이 아니라 그냥 머리 나쁘다고 놀려대는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 실제 안면인식에 대한 장애가 발생하면 안면 뿐 아니라 다른 대상에 대한 인식장애를 동반할 확률이 매우 높다.

1.6. VI. 신경계 질환

G00~G99 신경계통의 질환
신경과 및 신경외과에서 진료하나,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한의과에서도 진료한다.
코드 질병
G00~G09 중추신경계통의 염증성 질환
G10~G14 일차적으로 중추신경계통에 영향을 주는 계통성 위축
G20~G26 추체외로 및 운동 장애
G30~G32 신경계통의 기타 퇴행성 질환
G35~G37 중추신경계통의 탈수초질환
G40~G47 우발적 및 발작적 장애
G50~G59 신경, 신경뿌리 및 신경총 장애 : 신경통 참조.
G60~G64 다발 신경병증 및 말초신경계통의 장애
G70~G73 근신경 이행부 및 근육의 질환
G80~G83 뇌성마비 및 기타 마비증후군
G90~G99 신경계통의 기타 장애
  • 뇌졸중, 모야모야병 : 주로 신경과 및 신경외과에서 보긴 하지만 혈관문제기 때문에 순환계 코드인 I 코드로 분류된다.
  • 만성피로 : 정식으로 ICD-10에 등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일본뇌염 : 균주가 명확한 분류이기 때문에 A 코드로 분류된다.
  • 아판타시아

1.7. VII. 또는 부속기 질환

H00~H59 눈 및 눈 부속기의 질환
거의 안과에서 진료한다.
코드 질병
H00~H06 눈꺼풀, 눈물기관 및 안와의 장애
H10~H13 결막의 장애
H15~H22 공막, 각막, 홍채 및 섬모체의 장애
H25~H28 수정체의 장애
H30~H36 맥락막 및 망막의 장애
H40~H42 녹내장
H43~H45 유리체 및 안구의 장애
H46~H48 시신경 및 시각로의 장애
  • 개설 항목 없음
H49~H52 안근, 양안운동, 조절 및 굴절의 장애
H53~H54 시각장애 및 실명
H55~H59 눈 및 눈부속기의 기타 장애

1.8. VIII. 또는 유양돌기 질환

H60~H95 귀 및 유돌의 질환
거의 이비인후과에서 진료한다.
코드 질병
H60~H62 외이의 질환
H65~H75 중이 및 유돌의 질환
H80~H83 내이의 질환
H90~H95 귀의 기타 장애

1.9. IX. 순환계 질환

I00~I99 순환계통의 질환.
순환기내과, 흉부외과 등에서 주로 진료한다.
코드 질병
I00~I02 급성 류마티스열[48]
  • 개설 항목 없음
I05~I09 만성 류마티스심장질환
  • 개설 항목 없음
I10~I15 고혈압질환
I20~I25 허혈성 심장질환
I26~I28 폐성 심장병 및 폐순환의 질환
I30~I52 기타 형태의 심장병
I60~I69 뇌혈관 질환
I70~I79 동맥, 세동맥 및 모세혈관의 질환
I80~I8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정맥, 림프관 및 림프절의 질환 : 정맥류 참조.
I95~I99 순환계통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장애
  • 지방색전증 : 순환계 질환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종류에 따라 T 또는 O 코드를 받는다.

1.10. X. 호흡계 질환

J00~J99 호흡계통의 질환
호흡기내과, 흉부외과 등에서 주로 진료한다.
코드 질병
J00~J06 급성 상기도감염
J09~J18 인플루엔자 및 폐렴
J20~J22 기타 급성 하기도감염
  • 개설 항목 없음
J30~J39 상기도의 기타 질환
J40~J47 만성 하기도질환
J60~J70 외부요인에 의한 폐질환
J80~J84 주로 간질[51]에 영향을 주는 기타 호흡기 질환
J85~J86 하기도의 화농성 및 괴사성 병태
  • 개설 항목 없음
J90~J94 흉막의 기타 질환
J95~J99 호흡계통의 기타 질환

1.11. XI. 소화계 질환 + 치과질환

K00~K93 소화계통의 질환
소화기내과, 일반외과, 치과에서 보통 진료한다.
코드 질병
K00~K14 구강, 침샘 및 턱의 질환
K20~K31 식도, 위 및 십이지장의 질환
K35~K38 충수의 질환
K40~K46 탈장
K50~K52 비감염성 장염 및 결장염
K55~K64 장의 기타 질환
K65~K67 복막의 질환
K70~K77 간의 질환
K80~K87 담낭, 담도 및 췌장의 장애
K90~K93 소화계통의 기타 질환

1.12. XII. 피부 및 피하조직 질환

L00~L99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피부과에서 주로 진료한다.
코드 질병
L00~L08 피부 및 피하조직의 감염
L10~L14 수포성 장애
  • 개설 항목 없음
L20~L30 피부염 및 습진 : 습진 항목 참조.
L40~L45 구진비늘 장애
L50~L54 두드러기 및 홍반
L55~L59 피부 및 피하조직의 방사선관련장애
L60~L75 피부 부속물의 장애
L80~L99 피부 및 피하조직의 기타 장애
  • 궤양 : 궤양이라는 표현은 피부에 국한된 표현이 아니다. 상피로 덮여 있는 조직은 어디든 궤양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면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등.
  • 무좀 : 진균에 의한 병으로, A 코드로 되어 있다.

1.13. XIII. 근육계, 골격계, 결합조직 질환

M00~M99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질환
류마티스내과,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마취통증의학과, 가정의학과 등에서 주로 진료한다.
코드 질병
M00~M03 감염성 관절병증 : 관절염 참조.
  • 개설 항목 없음
M05~M14 염증성 다발관절병증 : 관절염 참조.
M15~M19 관절증 : 관절염 참조.
  • 개설 항목 없음
M20~M25 기타 관절 장애 : 관절염 참조.
M30~M36 전신결합조직장애
M40~M43 변형성 등병증
M45~M49 척추병증
M50~M54 기타 등병증
M60~M63 근육 장애
M65~M68 윤활막 및 힘줄 장애
M70~M79 기타 연조직 장애
M80~M94 뼈 밀도와 구조 장애 및 연골병증
M95~M99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의 기타 장애
  • 개설 항목 없음

1.14. XIV. 배설계, 생식계 질환

N00~N99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신장내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등에서 주료 진료한다.
코드 질병
N00~N08 사구체 질환
  • 개설 항목 없음
N10~N16 세뇨관-간질 질환
  • 개설 항목 없음
N17~N19 신부전
N20~N23 요로결석증
N25~N29 신장 및 요관의 기타 장애
N30~N39 비뇨계통의 기타 질환
N40~N51 남성 생식기관의 질환
N60~N64 유방의 장애
N70~N77 여성 골반내 기관의 염증성 질환
N80~N98 여성생식관의 비염증성 장애

1.15. XV. 임신, 출산, 산후 질환

O00~O99 임신, 출산 및 산후기
주로 산부인과에서 진료한다. 산후 합병증 및 산후조리에 관해서는 내과, 가정의학과, 소아과, 한의과에서 치료하기도 한다.
코드 질병
O00~O08 유산된 임신
O10~O16 임신, 출산 및 산후기의 부종, 단백뇨 및 고혈압성 장애
O20~O29 주로 임신과 관련된 기타 모성 장애
O30~O48 태아와 양막강 및 가능한 분만 문제와 관련된 산모 관리
O60~O75 진통 및 분만의 합병증
  • 개설 항목 없음
O80~O84 분만[65]
O85~O92 주로 산후기에 관련된 합병증
O94~O99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산과적 병태
  • 개설 항목 없음

1.16. XVI.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질환

P00~P96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특정 병태[66]
소아청소년과에서 주로 진료한다.
코드 질병
P00~P04 모성 요인과 임신, 진통 및 분만의 합병증에 의해 영향을 받은 태아 및 신생아
  • 개설 항목 없음
P05~P08 임신 기간 및 태아 발육과 관련된 장애
  • 개설 항목 없음
P10~P15 출산 외상
  • 개설 항목 없음
P20~P29 출생전후기에 특이한 호흡기 및 심혈관 장애
  • 출생전후기 기원 기흉(P25.1)
P35~P39 출생전후기에 특이한 감염
P50~P61 태아 및 신생아의 출혈성 및 혈액학적 장애
  • 개설 항목 없음
P70~P74 태아 또는 신생아에 특이한 일과성 내분비 및 대사 장애
  • 개설 항목 없음
P75~P78 태아 및 신생아의 소화계통 장애
  • 개설 항목 없음
P80~P83 태아 및 신생아의 외피 및 체온조절에 관련되는 병태
  • 개설 항목 없음
P90~P96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기타 장애
  • 개설 항목 없음

1.17. XVII. 기형, 선천적이상, 유전병

Q00~Q99 선천 기형, 변형 및 염색체이상
소아청소년과에서 주로 진료한다.
코드 질병
Q00~Q07 신경계통의 선천 기형
Q10~Q18 눈, 귀, 얼굴 및 목의 선천기형
Q20~Q28 순환계통의 선천기형
  • 개설 항목 없음
Q30~Q34 호흡계통의 기타 선천기형
  • 개설 항목 없음
Q35~Q37 구순 및 구개열
Q38~Q45 소화계통의 기타 선천기형
Q50~Q56 생식기관의 선천기형
Q60~Q64 비뇨계통의 선천기형
  • 개설 항목 없음
Q65~Q79 근골격계통의 선천기형 및 변형
Q80~Q89 기타 선천기형
Q90~Q9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염색체이상

1.18. XVIII. 그 외, 이상소견, 달리 분류되지 않음

R00~R99 달리 분류되지 않은 증상, 징후와 임상 및 검사의 이상소견
코드 질병
R00~R09 순환계통 및 호흡계통을 침범한 증상 및 징후
  • 개설 항목 없음
R10~R19 소화계통 및 복부를 침범한 증상 및 징후
  • 개설 항목 없음
R20~R23 피부 및 피하조직을 침범하는 증상 및 징후
R25~R29 신경계통 및 근골격계통을 침범하는 증상 및 징후
R30~R39 비뇨계통을 침습한 증상 및 징후
  • 개설 항목 없음
R40~R46 인지, 지각, 정서상태 및 행위에 관한 증상 및 징후
R47~R49 말하기 및 음성에 관한 증상 및 징후
  • 개설 항목 없음
R50~R69 전신 증상 및 징후
R70~R79 진단명 없는 혈액검사상 이상 소견
  • 개설 항목 없음
R80~R82 진단명 없는 요 검사상의 이상 소견
  • 개설 항목 없음
R83~R89 진단명 없는 기타 몸의 체액, 물질 및 조직의 검사상의 이상소견
  • 개설 항목 없음
R95~R99 불명확하고 미상의 사인

1.19. XIX. 손상, 중독 등 외인

S00~T98 손상, 중독 및 외인에 의한 특정 기타 결과
외상(의학) 문서 참조.
코드 질병
S00~S09 머리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10~S19 목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20~S29 흉곽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30~S39 복부, 아래등, 요추 및 골반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40~S49 어깨 및 위팔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50~S59 팔꿈치 및 아래팔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60~S69 손목 및 손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70~S79 둔부 및 대퇴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80~S89 무릎 및 아래다리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S90~S99 발목 및 발의 손상
T00~T07 여러 신체 부위를 포함하는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T08~T14 몸통, 사지 또는 신체 부위의 상세불명 부분의 손상
  • 개설 항목 없음
T15~T19 자연개구를 통해 들어간 이물의 영향
T20~T32 화상 및 부식
T33~T35 동상
T36~T50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
  • 개설 항목 없음
T51~T65 기원이 주로 비의약용 물질인 독작용
T66~T78 외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영향
T79 외상에 의한 특정 조기 합병증
T80~T88 달리 분류되지 않은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의 합병증
  • 개설 항목 없음
T90~T98 손상, 중독 및 외인의 기타 결과의 후유증
  • 개설 항목 없음

1.20. XX. 그 외 외인

V01~Y98 질병이환 및 사망의 외인
일부 항목은 '질병/목록'이라는 주제와 맞지 않아서 압축시켰다. 이 항목의 세부항목은 질병의 양상의 세분이 아니라 어떤 외부 요인에 의한 것이었나를 대개 다루고있다.
사고 항목 참조.
코드 질병
V01~V99 교통사고
  • 지상 운수 사고(V01~V89)
  • 수상 운수 사고(V90~V94)
  • 항공 및 우주 운수 사고(V95~V97)
  • 기타 및 상세 불명의 운수사고(V98~V99)
W00~W19 낙상
  • 개설 항목 없음
W20~W64 기계적 힘에 노출
  • 무생물성 기계적 힘에 노출(W20~W49)
  • 생물성 기계적 힘에 노출(W50~W64)
W65~W74 우발적 익사 및 익수
W75~W84 기타 호흡과 관련된 불의의 위협
W85~W99 전류, 방사선 및 극단적 기온 및 기압에의 노출
X00~X09 연기, 불 및 불꽃에 노출
  • 개설 항목 없음[76]
X10~X19 열 및 가열된 물질과의 접촉
  • 개설 항목 없음
X30~X39 자연의 힘에 노출
  • 지진에 의한 피해(X34)
  • 화산폭발에 의한 피해(X35)
  • 홍수에 의한 피해(X38)
X40~X49 유독성 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 개설 항목 없음
X50~X57 과로, 여행 및 결핍
X58~X59 기타 및 상세불명의 요인에 불의의 노출
  • 개설 항목 없음
X60~X84 고의적 자해
X85~Y09 가해
Y10~Y34 의도 미확인 사건
Y35~Y36 법적개입 및 전쟁행위
Y40~Y59 치료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약물, 약제 및 생물학 물질
Y60~Y69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환자의 재난
Y70~Y82 진단 및 치료에 이용되는 의료장치에 의한 유해효과
Y83~Y84 처치 당시에는 재난의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에게 이상반응이나 후에 합병증을 일으키게 한 외과적 및 기타 내과적 처치
Y85~Y89 질병이환과 사망의 외인의 후유증
Y90~Y98 달리 분류된 질병이환및 사망원인과 관련된 보조요인

1.21. XXI. 그 외 보건서비스

Z00~Z99 건강상태 및 보건서비스 접촉에 영향을 주는 요인
코드 질병
Z00~Z13 검사 및 조사를 위해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20~Z29 전염성 질환과 관련되어 잠재적인 건강의 위험이 있는 사람
  • 개설 항목 없음
Z30~Z39 생식과 관련된 상황에서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 개설 항목 없음
Z40~Z54 특수 처치 및 건강보호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55~Z65 사회경제적 및 정신사회적 상황에 관련된 잠재적 보건위험이 있는 사람
  • 개설 항목 없음
Z70~Z76 기타 상황에서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Z80~Z99 가족 및 개인 기왕력과 건강 상태에서 영향을 주는 특정 병태에 관련된 잠재적 건강 위험을 가진 사람
  • 개설 항목 없음

1.22. XXII. 특수목적

U00~U99 특수목적 코드[81]
한방과 관련된 내용은 한의병리학문서 참조.
참고로 알파벳은 U는 Z보다 앞이지만 순서는 마지막인 XXII.를 배정받는다.
코드 질병
U00~U19 불확실한 병인의 신종질환의 잠정적 지정
U20~U33 한의병명
  • 정신 및 행동장애(U22)
  • 소화계통의 질환(U28)
U50~U79 한의병증
U80~U89 항생제에 내성이 있는 세균감염체
U95~U98 사상체질병증
U99 재발한 악성 신생물

2. 동물의 질병

가나다 - ABC - 123 순서대로 적을 것.

※ 뒤의 '★' 표시는 인수공통질병

3. 식물의 질병

4. 증후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증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이름만 병인 것들

6. 관련 문서


[1] 주로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이라고 불리며, O157이 장출혈성대장균에 포함된다.[2] 광우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말 때문에 한참 떠들썩했던 그녀석이다. 참고로 CJD가 감염성질환인것은 맞는데, 균, 진균, 바이러스, 기생충 및 원충류 같은 게 아니라 프리온이다.이는 프리온문서 참조.[3] 이 병도 위 병과 같이 프리온이다.[4] 개의 병으로 알고 있는 사람도 있지만 사람한테 옮을 수 있다. Rabies virus.[5] 광견병은 다람쥐,청설모등 개와 사람과 다른 동물들도 걸린다[6] 참고로 '작은소참진드기'로 리다이렉트 되는데 이 진드기는 숙주일 뿐 해당 질병을 일으키는 직접적인 개체가 아니다. 직접적인 개체는 바이러스.[7] Hemorrhagic Fever with Renal Syndrome. 유행성출혈열로 이동하는데, 이게 유행성 출혈열의 전부인 것은 아니다.[8] A, B, C...형 간염 등이 여기에 속함.[9] 바이러스 이름은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이고, 이 균에 의해 발생하는 병은 후천성면역결핍증후군(AIDS)이다. 헷갈리지 말 것.[10] 이전에 신경계질환에 있었는데 감염질환이다.[11] 예를 들어 궤양성 대장염은 면역계 질환이다.[12] 코드 개편으로 A92.5로 개편 더이상 U코드로 분류되지않음[13] 신생물이라 함은 암 뿐만 아니라 양성종양도 포함한다. 다만 양성 종양은 개설된 문서가 거의 없는지라...[14] 단순히 '구강' 암이라고 하면 어딜 지칭하는지 좀 애매한 표현이다.[15] 생긴 부위에 따라 구분된다.[16] 직장결장암으로 직장암과 묶기도 하나, 치료법이나 예후등을 고려하면 직장암과 결장암은 나눠 보는 게 더 맞다.[17] 실제로는 빈혈 항목이 여러개로 분리될 필요가 있으며, 면역관련질환과 응고인자 관련 질환은 대부분 너무 어려워서 문서가 개설되지 않았다.[18] 갑상샘이라고도 한다.[19] 항목명이 포피리아인데, 영어를 그냥 읽은거라 한국어로 작성 시 포르피린증이 더 적합하다.[20] 간혹 Z코드가 기재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Z코드는 약을 처방받을 수 없고 재진을 받을 수가 없다.[21] F10부터 F19까지는 "(F1x.0)급성중독, (F1x.1)남용, (F1x.2)의존증후군 (F1x.3)금단증후군 (F1x.4)섬망을 동반하는 금단증후군 (F1x.5)정신장애 (F1x.6)기억상실 증후군 (F1x.7)잔류 및 만기발병 정신장애 (F1x.8)기타 정신 및 행동 장애 (F1x.9)상세불명의 정신 및 행동 장애"라는 기준에 따라 분류된다. 출처[22] 흔히 알코올 중독으로 알고 있지만 학술적으로는 알코올 '의존'(Dependence)이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알코올 중독이다. 학술적으로 알코올 중독이라고 쓰면 Alcohol intoxication으로 번역되며, intoxication은 뱀독, 복어독 중독같이 독극물에 의해 신체가 제 역할을 할 수 없게 된 상태를 말한다. '술을 끊지 못한다'는 것은 의존(dependence)이 맞다. 다만 한국어의 중독이라는 단어 자체는 poisoning 과 addiction의 의미를 모두 가지고 있다.[23] 장애와는 달리 한 기간(Episode) 동안의 증세를 의미한다. 여기서 Episode는 증상, 상태, 발현 등으로도 번역될 수 있으며, 원어 그대로 에피소드라고 번역되는 경우도 있다.[24] 삽화(Episode)는 장애와는 달리 한 기간 동안의 증세를 의미한다. 삽화의 빈번도나 양상 등을 기준으로 장애의 분류가 성립되는 것이다. 여기서 Episode는 증상, 증세, 상태, 발현 등으로도 번역될 수 있으며, 원어 그대로 에피소드라고 번역되는 경우도 있다.[25] 기질적(정신이 아닌 신체적 원인이 있는) 수면장애는 정신과 질환이 아니다.[26] 들어가보면 항목명이 전부 '성격장애'로 되어 있는데, '인격장애'가 맞다.[27] 참고로 분열형(Schizotypal) 인격장애는 F21이다.[28] F60.8의 단독항목이름은 '기타 명시된 인격장애'이다.[29] 페티시즘.[30] 쉽게 말하면 SM. BDSM항목으로 링크되지만 BD는 상관없고 S, M만 관계 있다. 정확히는 BD(디스프린도 뜻하긴 하나 역시 상관 없다.)는 상관이 없고 S는 새디스트서브미시브를 동시에 뜻하므로 새디스트만 상관이 있다. M은 그대로 마조히스트이므로 상관있다.[31] 흔히 정신지체라고 하는 그것.[32] 말/언어의 특정발달장애, 학습 숙련의 특정발달장애, 운동기능의 특정발달장애로 나눈다.[33] 참고로 항목이 리다이렉트가 막혀 있다. 자폐증항목 참조.[34] 행실장애=품행장애이다. 행동장애와는 다름을 주의한다.[35] ADHD-PI, 보통의 ADHD는 'H(yperactivity, 과잉행동)'이 있지만 이 코드에는 그런 과잉행동이 없이 주의력만이 결핍된 경우가 해당된다.[36] 참고로 항목은 정신병으로 리다이렉트.[37] 병적이라는 게 아니라, 그냥 개개인의 정상 범주 내의 차이로 인해.[38] 파킨슨병이라는 표현은 일차성 파킨슨병을 말하며, 이차성 파킨슨증 및 기타 파킨슨증은 G21, G22로 분류된다.[39] 오해하면 안 되는 것이, '알츠하이머병'은 신경계 질환이고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치매'는 정신과 질환이다(...) 단순히 알츠하이머병이라고 하면 뇌에 알츠하이머 병에 특이적인 단백질 구조가 침착되는 병을 말하고 치매는 그로 인해 기억 상실이 유발된걸 말한다.[40] 엄밀히 말하면 단순히 '두통'은 진단명이라기보다는 증상이다. 가령 뇌종양이 생겨서 생긴 두통은 두통이 중요한 게 아니라 뇌종양이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진단명은 그냥 뇌종양이 된다. 여기서의 두통은 편두통등을 포함하는, '두통증후군'정도 된다. 다만 여타 두통증후군에 해당하는 항목이 개설될 확률이 몹시 낮아서... 낮설겠지만 군발두통, 긴장성두통 등이 있다.[41] 기질적 원인이 없으면 정신과 질환으로 분류되기도 한다.[42] B30.3으로 분류되기도 한다.[43] 여기서는 Presbyopia만을 뜻하지만, 대중적으로는 그냥 나이 들어서 눈 나빠지는걸 통칭한다.[44] 조절성 안정피로에만 해당하는 코드.[45] 2번항목.[46] 안구진탕증은 눈의 이상이 아닐 수도 있다. 반고리관이나 뇌의 이상일 수도 있다.[47] 1번 항목.[48] 사전적으로는 류머티스가 맞지만, 국내 ICD-10 분류에서는 '류마티스'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49] 아래 두 항목 모두 뇌졸중으로 리다이렉트.[50] Atherosclerosis, Arteriosclerosis 양쪽 다 해당하는 항목.[51] 뇌전증을 뜻하는 간질이 아니라 해당 장기의 주요 세포인 '실질'에 반대되는 '사이질'(Interstitium, 간질)이라는 뜻의 간질이다.[52] 요즘 폐수종이란 말은 거의 안쓴다. 대개 폐부종을 쓴다.[53] 역류 현상이 있는 것(위식도역류질환, GERD), 식도염이 있는 것, 역류 현상으로 식도염이 있는것 전부 다른 항목으로 분류된다. 순서대로 K21, K20, K21.0.[54] 줄여서 소화불량이라고 찍히는 경우도 있으나, K30은 그 중에서 기능성에 해당할 때 적용된다.[55] 이전에 순환계 질환에 있었는데 소화계 질환이다.[56] I84에서 K64로 변경[57]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간염은 A 코드를 받는다.[58] 포도상구균 문서 참조.[59] 전신홍반루푸스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피부 병변만을 뜻한다.[60] 사전적으로는 류머티스가 맞다고 되어 있으나, ICD-10에서는 류마티스라고 쓴다. 항목은 류머티즘 질환으로 리다이렉트.[61] 선천성인 경우 Q 코드.[62] 여성불임은 N97[63] 남성불임은 N46[64] 2번 항목.[65] 분만은 분명 질병은 아니다. 다만 ICD-10은 행정 목적으로도 사용한다.[66] 대부분 일반인은 잘 모르거나, '성인의 병을 신생아가 걸렸을 때'로 정의되어 있어서 따로 항목이 개설되지 않은 것이 더 많다.[67] 정식명칭은 구순구개열이고, 언청이는 비하적 표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쓰지 않는 것이 좋다.[68] 후천성인 경우 M 코드.[69] Q75.4 항목이름은 Mandibulofacial dysostosis.[70] ICD-10 분류에 초여성증후군이나 triple X syndrome으로 되어 있지 않고, Karyotype 47,XXX라고만 되어 있다.[71] ICD-10 분류에 초남성증후군이나 Jacob syndrome으로 되어 있지 않고, Karyotype 47,XYY라고만 되어 있다.[72] '식품 섭취에 의한 것'이라는 개념이며 균이 동정되면 A 코드를 받는다.[73] 정확히는 '방사선의 상세불명의 영향'[74] Altitude sickness.[75] Decompression sickness.[76] 이 항목은 연기, 불 및 불꽃에 '노출'된 것만을 지칭한다. 따라서 화상은 이 항목이 아니다.[77] 과로 및 기근에 걸릴 확률이 높아 '합병증' 이 있어 인정하는 것 같다.[78] 엄밀하게는 세부분류가 필요하다.[79] 물론 꾀병이 병은 아니지만 ICD-10은 행정목적으로도 사용한다.[80]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꾀병을 가장한 경우만 해당한다. 환자 스스로가 실제로 병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우 정신과 질환일 수 있다.[81] U20 이하 분류는 국내에서만 사용된다. 국제 ICD-10에서는 비워져 있다.[82] WHO 사이트에는 virus not identified라고 되어있다.[83] 너구리와 박쥐를 제외한 모든 동물이 발병시 100% 사망한다.[84] 오래 전에 나온 어병학 교재에서는 '에도와도 병'으로 표기되어 있다.[85] 이 병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바이러스의 존재가 알려지게 된다.[86] 꾀병의 경우는 Z76.5로 분류가 되어 있긴 하다. 문서 참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