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7:25:43

후쿠도메 코스케

후쿠도메 코스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c2f42><tablebgcolor=#0c2f42> 파일:킨테츠 버팔로즈 화이트 심볼.svg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쇼와 시대 ]
{{{#555555,#aaa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타바타 켄지로(2)
(田端謙二郎)
카토 에이지
(加藤英治)
카도노 토시지
(門野利治)
미와타 카츠토시(4)
(三輪田勝利)
미즈타니 히로시
(水谷宏)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오오타 코지
(太田幸司)
이치하시 히데히코
(市橋秀彦)
사사키 쿄스케
(佐々木恭介)
나카네 마사히로
(仲根正広)
우카이 카츠오
(鵜飼克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후쿠이 야스오
(福井保夫)
나카노 히데아키
(中野英明)
쿠보 야스오
(久保康生)
카네미츠 코지(4)
(金光興二)
토우키 켄야(1)
(登記欣也)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후지하라 야스유키(1)
(藤原保行)
이시모토 요시아키(1)
(石本貴昭)
카네시로 노부오(2)
(金城信夫)
카토 테츠로
(加藤哲郎)
오노 카즈요시(2)
(小野和義)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사사키 오사무(2)
(佐々木修)
히야마 야스히로(1)
(桧山泰浩)
아와노 히데유키(2)
(阿波野秀幸)
타카야나기 이즈미(1)
(高柳出己)
요네자키 쿤지
(米崎薫臣)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555555,#aaaaaa
1989년 ~ 201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노모 히데오(2)
(野茂英雄)
테라마에 마사오(1)
(寺前正雄)
타카무라 히로시
(髙村祐)
코이케 히데오
(小池秀郎)
사카이 히로키(3)
(酒井弘樹)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타나카 히로카즈(1)
(田中宏和)
후쿠도메 코스케(2)(4)
(福留孝介)
마에카와 카츠히코
(前川勝彦)
마키 마사키(1)(3)
(真木将樹)
우다카 신지(3)
(宇高伸次)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미야모토 다이스케(1)
(宮本大輔)
야마모토 쇼고(3)
(山本省吾)
아사이 히데키
(朝井秀樹)
사카구치 토모타카(1)
(坂口智隆)
카츠키 료타(3)
(香月良太)
2004 시즌 이후 오릭스 블루웨이브에 흡수 합병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중복 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지명 후 미입단,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bordercolor=#003595> 파일:주니치 드래곤즈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쇼와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
1965년 ~ 1988년
<rowcolor=#20272c,#d3dade> 1965년 1966년 1차 1966년 2차 1967년 1968년
토요나가 류세이
(豊永隆盛)
오오바 타카히로
(大場隆広)
이구마 히로카즈
(伊熊博一)
츠치야 히로시
(土屋紘)
호시노 센이치
(星野仙一)
<rowcolor=#20272c,#d3dade>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3년
야자와 켄이치
(谷沢健一)
우지이에 마사유키
(氏家雅行)
후지사와 테츠야
(藤沢哲也)
스즈키 타카마사
(鈴木孝政)
후지나미 유키오
(藤波行雄)
<rowcolor=#20272c,#d3dade>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978년
츠치야 마사카츠
(土屋正勝)
타오 야스시
(田尾安志)
미야코 유지로
(都裕次郎)
후지사와 키미야
(藤沢公也)
타카하시 미치타케(1)
(高橋三千丈)
<rowcolor=#20272c,#d3dade>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1983년
우시지마 카즈히코
(牛島和彦)
나카오 타카요시
(中尾孝義)
오노우에 아키라
(尾上旭)
카시마 타다시(1)
(鹿島忠)
후지오 야스하루
(藤王康晴)
<rowcolor=#20272c,#d3dade>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1988년
나카무라 타케시(1)
(中村武志)
사이토 마나부(1)
(斉藤学)
콘도 신이치(2)
(近藤真市)
타츠나미 카즈요시(2)
(立浪和義)
이마나카 신지
(今中慎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헤이세이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989년 ~ 2018년
<rowcolor=#20272c,#d3dade>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1993년
요다 츠요시
(与田剛)
코지마 히로무(1)
(小島弘務)
오치아이 에이지(1)
(落合英二)
사토 히데키(1)
(佐藤秀樹)
히라타 히로시(3)
(平田洋)
<rowcolor=#20272c,#d3dade>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1998년
카나모리 타카히로(1)
(金森隆浩)
아라키 마사히로(1)
(荒木雅博)
코야마 신이치로
(小山伸一郎)
카와카미 켄신(3)
(川上憲伸)
후쿠도메 코스케(3)
(福留孝介)
<rowcolor=#20272c,#d3dade>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아사쿠라 켄타(1)
(朝倉健太)
나카자토 아츠시
(中里篤史)
마에다 아키히로(1)
(前田章宏)
모리오카 료스케
(森岡良介)
나카가와 히로키
(中川裕貴)
<rowcolor=#20272c,#d3dade>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히구치 타츠미(3)
(樋口龍美)
히라타 료스케(4)
(平田良介)
도노우에 나오미치(2)(4) 아카사카 카즈유키(1)(4)
(赤坂和幸)
노모토 케이(2)
(野本圭)
요시미 카즈키(3)(5)
(吉見一起)
타나카 다이스케(3)(5)
(田中大輔)
야마우치 소마(1)(5)
(山内壮馬)
<rowcolor=#20272c,#d3dade>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오카다 토시야(1)
(岡田俊哉)
오노 유다이
(大野雄大)
타카하시 슈헤이(2)
(高橋周平)
후쿠타니 코지
(福谷浩司)
스즈키 쇼타(1)
(鈴木翔太)
<rowcolor=#20272c,#d3dade>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노무라 료스케
(野村亮介)
오가사와라 신노스케(1)
(小笠原慎之介)
야나기 유야(2)
(柳裕也)
스즈키 히로시(1)
(鈴木博志)
네오 아키라(2)
(根尾昂)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레이와 시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2019년 ~
<rowcolor=#20272c,#d3dade>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이시카와 타카야(2)
(石川昂弥)
타카하시 히로토
(髙橋宏斗)
브라이트 켄타
(ブライト健太)
나카치 레이아
(仲地礼亜)
쿠사카 쇼(1)(2)
(草加勝)
<rowcolor=#20272c,#d3dade>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2028년
카네마루 유메토 (2)
(金丸夢斗)
}}}}}}}}} ||
(1) 하즈레 1라운더: 첫 지명에서 중복 지명된 선수의 교섭권 획득에 실패했을 때 차순위로 선택한 선수.
(2) 복수지명 추첨 성공
(3) 역지명, 희망 입단 범위: 1993년부터 2006년까지 존재한 제도로, 선수를 확정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4) 고교생 드래프트, (5) 대학생, 사회인 드래프트: 2005년~2007년의 3년간은 고교 선수와, 대학&사회인 야구에서 뛰었던 선수의 지명이 분리되어 있었다.
(6) 지명 후 미입단
}}}}}}}}} ||

파일:07주니치.pn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07[1]

파일:2006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파일:2009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로고.svg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c7bc69 우승반지}}}
2006 2009


파일:1996 애틀랜타 올림픽 로고.svg
1996 애틀랜타 올림픽
{{{#8c8c8c 은메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f8f2d>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센트럴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외야수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투수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투수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외야수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투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투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외야수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외야수
에나츠 유타카
히로시마 / 투수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외야수
에나츠 유타카
요미우리 / 투수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포수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내야수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내야수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투수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포수
카쿠 켄지
주니치 / 투수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외야수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투수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투수
잭 하월
야쿠르트 / 내야수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쿠와타 마쓰미
요미우리 / 투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 내야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 투수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투수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외야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이가와 케이
한신 / 투수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외야수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외야수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 내야수
알렉스 라미레즈
요미우리 / 외야수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외야수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투수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포수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외야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내야수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내야수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외야수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내야수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한신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사카자키 카즈히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오와다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모리 토오루
주니치
나카 토시오
주니치
나미키 테루오
오사카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나미키 테루오
한신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후지이 에이지
한신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게마츠 쇼조
타이요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토 신이치
주니치
데이브 로버츠
산케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히로시마
데이브 로버츠
아톰즈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니카 아키오
주니치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스에츠구 토시마츠
요미우리
진 마틴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이노우에 히로아키
주니치
로저 레포즈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찰리 매뉴얼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마이크 라인백
한신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나가사키 케이지
타이요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마츠모토 타다시
타이요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짐 파초렉
타이요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초렉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로버트 제임스 레이놀즈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래리 시츠
타이요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글렌 브렉스
요코하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알론조 파웰
주니치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세키카와 코이치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이나바 아츠노리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시미즈 타카유키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터피 로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맷 머튼
한신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맷 머튼
한신
유헤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츠츠고 요시토모
DeNA
후쿠도메 코스케
한신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시오미 야스타카
야쿠르트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치카모토 코지
한신
사노 케이타
DeNA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니시카와 료마
히로시마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호리이 카즈오
난카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츠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오오시타 히로시
세이부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세키구치 세이지
세이부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요시다 카츠토요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호리고메 모토아키
난카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조지 알트맨
오리온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나가부치 요죠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돈 뷰폴드
타이헤이요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로타 스미오
롯데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백인천
타이헤이요
히로타 스미오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미노다 코지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카나모리 에이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토니 브루워
닛폰햄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타카하시 사토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케빈 라이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다린 잭슨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타구치 소
오릭스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터피 로즈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오오무라 나오유키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셔먼 오반도
닛폰햄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이소베 코이치
킨테츠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SHINJO
닛폰햄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맷 프랑코
롯데
미야지 카츠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오오무라 나오유키
소프트뱅크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릭 쇼트
라쿠텐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텟페이
라쿠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타무라 히토시
소프트뱅크
T-오카다
오릭스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나카타 쇼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나카타 쇼
닛폰햄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키요타 이쿠히로
롯데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오기노 타카시
롯데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마츠모토 고
닛폰햄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2002, 2003, 2005, 2006, 2015년 일본프로야구 센트럴 리그 외야수 부문 골든글러브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수위타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나카네 스스무
나고야군 / .376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338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33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45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61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38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321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10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286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300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오쿠무라 토시아키
킨키닛폰 / .369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 .347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15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06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 .36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362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77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353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47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61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38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38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43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 .320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53
모리나가 카츠야
히로시마 / .307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1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23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36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4
나카 토시오
주니치 / .343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45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5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20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2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55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32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19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55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58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 .348
펠릭스 미얀
타이요 / .346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69
후지타 타이라
한신 / .358
나가사키 케이이치
타이요 / .351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 .353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4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350
랜디 바스
한신 / .389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0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378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치오렉
타이요 / .326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340
잭 하웰
야쿠르트 / .331
토마스 오말리
한신 / .329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24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55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40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5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7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369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346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33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43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340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 .337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4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5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6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378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322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58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316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340
토니 블랑코
DeNA / .333
맷 머튼
한신 / .338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336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344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3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34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35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 .32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17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18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6
타일러 오스틴
DeNA / .316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39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83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 .336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318
래리 레인즈
한큐 / .337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32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325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331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4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323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34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74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35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66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20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35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3
나가부치 요조
킨테츠 / .333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83
에토 신이치
롯데 / .337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58
카토 히데지
한큐 / .337
하리모토 이사오
닛폰햄 / .340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백인천
타이헤이요클럽 / .319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클럽 / .309
아리토 미치요
롯데 / .329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54
카토 히데지
한큐 / .364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레론 리
롯데 / .358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6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5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32
부머 웰즈
한큐 / .355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7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0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366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 .327
부머 웰즈
한큐 / .322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38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 .314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322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19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5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2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6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5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8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3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7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346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40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60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358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322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324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334
릭 쇼트
라쿠텐 / .332
츠치야 텟페이
라쿠텐 / .327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46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338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12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 .341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331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63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3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322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52
모리 토모야
세이부 / .329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50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39
마츠모토 고
닛폰햄 / .347
톤구 유마
오릭스 / .307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314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출루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5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63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6출루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9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80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94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3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57출루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7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20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40출루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43출루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32출루
타오 야스시
주니치 / 232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34출루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231출루
랜디 바스
한신 / .428
랜디 바스
한신 / .481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35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8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449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6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73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60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7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431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44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1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9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38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6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61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01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425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0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8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34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416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00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437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395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429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55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416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433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98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46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53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27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33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58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403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39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2 1963 1964 1965 196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0
잭 블룸필드
킨테츠 / .39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6
대릴 스펜서
한큐 / .423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439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7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67
에토 신이치
롯데 / .408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3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8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52
대릴 스펜서
킨테츠 / .394
카토 히데지
한큐 / .376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카토 히데지
한큐 / .401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98
카토 히데지
한큐 / .437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 .412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31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28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19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43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1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7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8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9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431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54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428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02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95
이치로
오릭스 / .445
이치로
오릭스 / .432
이치로
오릭스 / .422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스즈키 켄
세이부 / .431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435
이치로
오릭스 / .412
이치로
오릭스 / .460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434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467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473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64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12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53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터피 로즈
오릭스 / .403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410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398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428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11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04
에스테반 헤르만
세이부 / .418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4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6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46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26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22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65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29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57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9
}}}}}}}}}}}}}}} ||
1962년부터 퍼시픽리그에서 최고출루율 시상을 시작했으나 1984년까진 출루율이 공식 기록이 아닌 퍼시픽리그에서만 쓰이는 지표였으며 당시 계산법엔 희생플라이가 반영되지 않았다. 센트럴리그는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최고출루율이 아닌 안타+사사구 갯수를 합친 최다출루수 타이틀을 시상했다. 이후 1985년부터 출루율일본프로야구 공식 지표로 반영되며 계산법에 희생플라이가 분모로 들어감과 동시에 양대리그 모두 최고출루율 타이틀을 시상했다. 이 때문에 1984년까지의 출루율 기록은 현행 계산법보다 높게 나오며 시즌 출루율 기록도 1985년 이후부터의 기록만 반영한다.
}}}}}}}}}}}} ||

{{{#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1번}}}
타네다 히토시
(1992~1997)
후쿠도메 코스케
(1999~2007)
도노우에 나오미치
(2008~2014)
시카고 컵스 등번호 1번
토니 워맥
(2006)
후쿠도메 코스케
(2008~2011)
토니 캄파나
(201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1번
루이스 발부에나
(2009~2011)
후쿠도메 코스케
(2011)
브렌트 릴리브리지
(2012)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1번
후안 피에르
(2010~2011)
후쿠도메 코스케
(2012)
타일러 그린
(2013)
한신 타이거스 등번호 8번
아사이 료
(2007~2012)
후쿠도메 코스케
(2013~2020)
사토 테루아키
(2021~)
{{{#fff [[주니치 드래곤즈|주니치 드래곤즈]] 등번호 9번}}}
이시카와 슌
(2015~2020)
후쿠도메 코스케
(2021~2022)
아리스티데스 아퀴노
(2023)
}}} ||
파일:230615 후쿠도메 코스케.jpg
후쿠도메 코스케
福留孝介 | Kosuke Fukudome
생년월일 1977년 4월 26일 ([age(1977-04-26)]세)
국적
[[일본|]][[틀:국기|]][[틀:국기|]]
출신지 가고시마현 소오군 오사키초
학력 PL학원고등학교 (오사카)
신체 182 cm, 90 kg
포지션 외야수, 3루수, 유격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입단 1995년 드래프트 1라운드 (킨테츠)[2]
1998년 드래프트 1라운드 (주니치)[역지명]
소속팀 주니치 드래곤즈 (1999~2007)
시카고 컵스 (2008~2011)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11)
시카고 화이트삭스 (2012)
한신 타이거스 (2013~2020)
주니치 드래곤즈 (2021~2022)
응원가 [주니치시절1][한신시절][주니치시절2]

1. 개요2. 일본 시절 1기3. 미국 시절4. 일본 복귀5. 플레이 스타일6. 연도별 성적7.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의 야구선수. 주니치 드래곤즈의 레전드이자 한신 타이거즈의 스타였던 선수.

한국에서 일본프로야구 팬에게는선동열, 이종범, 이상훈, 이병규, 메이저리그 팬은 추신수, 오승환 동료로 유명하다. 메이저리그 진출 이력도 있는 교타자이며, 45세인 2022년까지 일본 프로야구 1군 친정팀 주니치 드래곤즈에서 현역으로 뛰었다.

2. 일본 시절 1기

파일:후쿠도메전성기.jpg
주니치 드래곤즈 1기 시절
1977년생으로, 오사카 지역의 야구명문교인 PL학원고등학교를 졸업하고[7] 1995년도에 개최된 드래프트 회의에서 5툴 플레이어로 주목받으며 지명 순위 1순위로 무려 7개 팀[8]이 경합한 끝에 킨테츠 버팔로즈가 교섭 우선권을 따냈다. 하지만 후쿠도메는 주니치나 요미우리가 아니면 프로에 가지 않겠다라며 지명을 거부하고 사회인야구팀 일본생명에서 1996~1998년까지 3년간 뛰다가 1998년 드래프트 회의에서 주니치 드래곤즈의 1순위 지명을 받아 입단하게 되었다.[9] 이 와중에 애틀랜타 올림픽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 은메달 획득에 기여하기도 했다.[10]

1999년 데뷔 시즌부터 주전 유격수로 뛰며 신인으로서 좋은 활약을 보였지만, 121삼진으로 최다 삼진 및 1년차 선수 삼진 1위[11] 기록을 찍는 등 선풍기도 아낌없이 돌렸다. 흔히 이종범이 후쿠도메에게 유격수 자리를 뺏겼다고 하는데 이는 엄밀히 말하면 사실이 아니다. 애초에 호시노는 이종범을 시즌 시작 전부터 외야수로 쓸 계획을 가지고 있었고, 그럼에도 유격수 자리를 지켰던 이종범은 부상당하기 전부터 많은 실책 수로 인해 호시노 센이치 감독에게 유격수의 기본이 안 되어있는 선수라는 혹평까지 들었기에 부상을 당한 이후 3루수를 거쳐 외야수로 전향하게 되었다.[12] 즉, 1998년 후반기에 이미 이종범은 외야로 옮겼기에 후쿠도메는 이종범 자리를 뺏은 것이 아니라 무혈입성한 셈이다.[13] 참고로 이종범 본인도 허구연과의 유튜브 인터뷰에서 후쿠도메의 입단이 확정된 후 구단에서 후쿠도메를 유격수로 쓰기 위해 외야수로 포지션 변경을 시켰다고 언급한 것으로 보아 구단의 입김 역시 어느정도 작용한 부분도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차세대 주니치 드래곤즈의 유격수로 생각되던 후쿠도메 역시 수비력에서 꽤나 문제를 보였다. 수비에 혹평을 받았던 이종범 못지않은 많은 에러 뿐 아니라, 세이버 매트릭스의 관점에서도 99시즌 Def -0.7 rRng 0.1 FS-3.9를 기록하며 안정성이나 범위면에서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좋지 못한 수비를 보였고, 시즌 내내 패배로 직결되는 에러를 수도 없이 저질렀다. 결국 후쿠도메도 이종범의 테크를 그대로 밟아 호시노 감독에게 쓴소리를 들으며 2000년 3루수 겸업을 거쳐 외야수로 전향하게 되었다. 결국 주니치 드래곤즈의 주전 유격수 문제는 2001년 이후 이바타 히로카즈가 자리잡고 나서야 겨우 해결되었다.[14]

그러나 외야수로 전향한 후, 수비에 대한 부담이 줄어들자 2002년부터 타격이 일취월장하여[15] 골든글러브급 수비와 함께 센트럴리그를 대표하는 강타자로 활약하며 MVP 1회, 타격왕 2회, 베스트나인 3회, 골든글러브 4회 수상에 빛났다. 특히 MVP와 타격왕을 차지한 2006년에는 붙박이 우익수 및 3번타자로 .351/.438/.653 OPS 1.091의 리그 최고 비율스탯과 31홈런 104타점 117득점을 기록하며 홈런왕-타점왕 2관왕을 차지한 타이론 우즈와 함께 공포의 중심타선을 꾸렸다.

2006년, 2009년 두 번의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하였는데, 특히 2006년 대회 준결승 한국전에서 김병현에게 결승 2점 홈런을 쳐 낸 바가 있다. 이 대회 결승전에서도 9회 대타로 나와 유네스키 마야를 상대로 일본의 승리에 쐐기를 박는 2타점 적시타를 때리며 우승에 기여했다.

3. 미국 시절

2007 시즌 종료 후 FA자격을 얻으며 시카고 컵스4년간 4,800만달러의 대형 계약을 맺으며 메이저리거가 되었다.[16] 이때만 해도 마쓰이 히데키의 활약을 통해 일본의 정상급 타자들도 미국에서 통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던지라 후쿠도메를 영입하기 위해 미국에서도 경쟁이 있었고, 컵스가 최종 승자가 되었다.
파일:external/mlblogsredstatebluestate.files.wordpress.com/si_fukudome1.jpg
시카고 컵스 시절
염소의 저주를 끝낼 수 있을 거라는 설레발이 적혀있다.


2008 시즌, 시카고 홈 리글리 필드에서 열린 밀워키 브루어스와의 시즌 개막전이자 본인 데뷔전에서 첫 타석 2루타에 이어 0대3으로 지고 있던 9회에서 사이영상 마무리 에릭 가니에를 상대로 만화같은 동점 쓰리런을 기록하며 컵스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리고 시즌 중반까지 적절히 활약하며 내셔널리그 올스타에 뽑히는 등 성공적인 미국 데뷔를 하는 듯 했다.

그러나 후반기에 들어 대 삽질을 하며 3할을 훌쩍 넘던 타율은 온데간데없고 2할 5푼대의 최종 성적을 찍고 말았다. 신인왕 투표에서도 6위를 차지했으나 팀이 진출한 플레이오프에서는 별다른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다.

2009 시즌도 역시 시즌 초반에는 타율 3할대를 기록하며 잘 나가다가 5월 이후 또다시 삽을 푸며 역시 2할 5푼대로 시즌 종료. 특히 좌완투수 상대 타율이 1할 6푼대라는 처참한 좌상바 기질을 보이며 좌투수가 선발로 등판하는 날에는 선발 라인업에서 빠지기 일쑤였다.

2010시즌 역시 좌투수가 선발로 나올 경우 선발 라인업에서 빠지는 경우가 다반사.. 그 와중에 6월 18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의 인터리그 경기에서 9회말 끝내기 안타를 치며 나름대로 살아있음(!)을 과시했으나, 여전히 타율은 2할 6푼대. 8월 10일에는 팀 린스컴을 상대로 아시아선수 최초로 샌프란시스코 홈구장을 넘기는 스플래시 히트[17]를 쳤다.

2011시즌부터는 더이상 봄쿠도메가 아니었다! 다만 처음부터 평범한 성적을 냈을 뿐. 이쯤 되면 먹튀 확정. 시카고 컵스 팬들 사이에서도 평가가 좋지 못하다고 하니 지못미

7월 29일, 클리블랜드 인디언스가 부족한 외야진을 보충하기 위해 영입했다. 추신수그래디 사이즈모어의 빈자리를 메꾸기 위한 트레이드가 성립된 것. 클리블랜드에 대해 트레이드 거부권이 있었지만 클리블랜드가 플레이오프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 쓰지 않았다고... 컵스 팬들은 드디어 꼴보기 싫은 선수 들어냈다고 환호한 반면 인디언스 팬들은 돈은 없는데 선수보강할 자신 없으니까 전력보강 시늉만 했다며 단장을 깠다. 아니나 다를까 추신수가 복귀하자마자 바로 백업으로 밀려났다.

영어로 표기,발음하기 애매한 이름(Fukudome = F*ck You Do Me)을 가지고 있어 부진할 경우 컵스 팬들로부터 이름과 비슷한 욕을 듣기도.

2012년 2월에는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1년 100만 달러에 계약을 맺었지만 6월에 방출되었고 7월 뉴욕 양키스와 마이너리그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한번도 콜업되지 못하고 웨이버 신세. 이적시장에서도 오퍼가 없어서 일본 복귀가 확정되었다.

여담으로 국내 팬들에게는 에만 잘한다고 봄쿠도메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 일본야구를 좋아하는 팬들에게는 한때 같은 외야수인 닉 마카키스와 더불어 추신수와 비교할만한 선수로 거론되던 시절이 있었으나, 결국은 '5월까지의 후쿠도메'와 '5월까지의 추신수' 성적만 비교되는 신세.

결과적으로 MLB에서 내리막을 탄 마지막 해를 제외하면 4년간 2할 6푼대의 애버리지에 10개 좀 넘는 홈런으로 100을 좀 넘기는 wrc+인, 나쁘지는 않지만 좋지도 않은 그럭저럭 평범한 성적을 기록했다. 볼삼비 역시 0.76개로 선구안도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고, 수비력도 쓸만했으며 올스타도 한 번 나간 건 덤. 다만 당시에도 점차 빨라지기 시작하던 메이저리거들의 패스트볼에 마지막 해까지 적응을 못 하는 모습을 보였고, 받는 돈이 연 1000만불을 넘는 대형 계약이어서 그렇지... 5년간 fwar 4.2, 최고 커리어 하이 시즌은 2.4까지도 찍은 평균~평균 이하급 외야수 정도였다. 물론 이 선수가 2008~2012년까지 5년간 4850만불을 먹은 것을 생각하면 확실한 먹튀는 맞다. 연 평균 1000만불에 가까운 연봉을 받은 선수가 평균 WAR이 0.9도 못 되는 건 2020년대 기준으로도 전혀 돈값을 못 하는 것이다.

4. 일본 복귀

파일:한신 福留 2020.jpg
한신 타이거스 시절

2012년 12월 25일 한신 타이거스와 3년 6억엔에 계약을 맺고 국내로 복귀하였다. 타율이 2할을 밑도는 부진에 허덕이고 있다가 5월 들어서는 부상으로 출장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왼쪽 무릎수술이 확정되면서 사실상 시즌 아웃.

게다가 2014년에는 개막한 지 얼마 되지도 않아 니시오카 츠요시와 수비 도중 충돌하며 니시오카가 전반기를 날려먹게 하는 원인을 제공하였다. 본인도 타율 2할대를 밑도는 부진한 모습을 보이며 한신의 대형 먹튀 계보를 이어갈 기세. 결국 6월 초순경 타율 1할대를 뚫고 들어가는 부진끝에 2군으로 강등되었다.

이처럼 정규시즌에 죽을 쑤며 한신팬들에게 엄청난 비난을 받았지만, 한신 타이거스가 센트럴리그 2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이후 타선에서 맹활약을 하며 한신의 2014년 일본시리즈 진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비록 MVP는 오승환이 받았지만 후쿠도메 역시 마우로 고메즈와 함께 타선에서 해결사 노릇을 톡톡히 해냈다.

계약 마지막 해인 2015년에는 반등에 성공, 140경기 0.281, 20홈런, 76타점이라는 괜찮은 성적을 거두고 시즌 후에 구단과 1년 2억엔에 재계약에 성공했다. 특이사항으로 외야수로서 무실책 시즌을 보내며 주니치 시절이던 2006년 이후 9년만에 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2016년 6월 20일 오릭스전에서 일본통산 1500안타를 쳤고, 며칠 후인 25일 히로시마전에서는 일미통산 2000안타를 기록했다. 2016년 7월 30일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홈경기에서는 4번타자 우익수로 선발출장, 4타수 4안타 1홈런 5타점 3득점으로 맹활약하며 개인 통산 두번째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하였다. 이날 후쿠도메는 만 39세 3개월 3일로, 1983년 4월 30일 한신전에서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한 야마모토 코지의 만 36세 6개월을 훌쩍 뛰어넘어 일본프로야구 최고령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하였다. 일본어 기사

2017년에는 40세의 나이를 숨길 순 없는건지 비율스탯이 전년에 비해 다소 감소했으나, 장타는 살아있어 팀내 2위인 17개의 홈런을 기록했다. 입단 초기인 2013, 2014년엔 안좋았지만 2015년부터 3시즌동안 OPS 8할 이상을 꾸준히 찍는 등 준수한 활약을 보이고 있다. 심지어 전임 40대 좌익수이자 현 감독와는 달리 좌익수 수비 지표도 약간의 +를 찍고 있다. 타고난 운동능력은 아직 죽지 않은 모양.

2018년에는 41세의 나이로 5번타자, OPS 8할 후반대를 찍는 저력을 보여주고 있다. 최종 성적은 14홈런 72타점 .280 .389 .454

2019년에도 한신의 외야를 지켰다. 결장도 늘어나고 스탯도 많이 깎였지만, 이젠 정말 언제 은퇴해도 이상하지 않을 나이를 고려해보면 상당히 분전하고 있는 중. 특히 시즌 막판 꾸준히 안타를 쳐주며 팀의 역전 CS행에 크게 공헌했다. 9월 24일에는 10호 홈런을 치며 5년연속 2자릿수 홈런 시즌을 만들었다. 최종 기록은 103경기 출장에 10홈런 47타점, 타율 0.258 출루율 0.348 장타율 0.397.로 한신의 물타선에서 오오야마, 마르테와 함께 두 자릿수 홈런을 쳐낸 타자가 되었다. 다시 말하지만 이 선수는 나이가 마흔 두 살이다.

클라이막스 시리즈에서도 활약. 퍼스트 스테이지에서는 2차전에서 리드를 굳히는 적시타, 이후 다시 점수가 뒤집힌 9회에는 동점을 만드는 솔로홈런을 때려내는 등 40대의 나이가 무색하게 중심타자로 활약하였다. 파이널 스테이지에서도 분전하였으나 팀은 4-1로 교진에게 패하여 탈락.

2020시즌에는 43세로, NPB 전체 최고령 선수가 되었다. 나이로 인해 시즌초반엔 1할대 타율로 고전중이고 좌타대타가 없는 팀 특성때문에 1군에 어쩔 수 없이 남아있었지만 7월 16일 야쿠르트전에서 동점 적시타에 결승홈런까지 때려내며 모처럼 맹활약했다. 6년만에 중견수 수비에 들어갔는데, 43세로 중견수 수비를 한 건 1956년의 이와모토 요시유키에 이어 두번째라고 한다. 16일의 활약과 기존 주전 치카모토 코지의 부진이 겹쳐 7월 20일부터는 한동안 스타팅으로 출장했었다. 43세가 중견수로 선발출장하는 정말 어메이징한 팀이다

이후 체력과 나이문제로 좌타 대타로 출장하고 있지만 성적은 예전같지 않다. 7월에는 잠깐 반등하는 듯 했으나 8월부터 다시 성적이 급락하고, 9월에는 규정을 어긴 회식으로 팀내 코로나 바이러스 집단 감염사태의 주범으로 지목되었다. 당시 후쿠도메 외에도 주장이던 이토하라 켄토, 유망주 투수 바바 코스케 등 선수 5명에 구단 직원 2명이 집단 감염되었고 덕분에 한신은 2군 선수들을 콜업해 시즌을 치러야 했다. 나이값을 못한다며 맹비난을 받는 건 물론이고 제재금을 물게 되면서 팀내 입지도 굉장히 좁아지게 되었다. 한신과 결별하는 건 거의 기정사실화된 상황. 결국 구단으로부터 전력외통고를 받아 이번 시즌을 끝으로 구단과는 결별이 확정되었다. 선수 본인은 현역 속행을 원한다고 하나, 나이가 43세인데다 성적이 좋지 않아 전망은 어둡다.

그러나 그의 친정팀인 주니치 드래곤즈가 영입을 발표하며 13년만에 친정팀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친정팀에서 2021 시즌을 맞게 되었고 주로 대타와 백업을 오가며 출장하고 있는데, 7월10일 5번타자로 출전하여 3안타 1홈런으로 대폭발 하여 2할5푼에 2홈런의 성적을 내고 있다. 2021년 8월 31일 한신 타이거스를 상대로 5번타순으로 선발출전해 5터수3안타 3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를 결정지었다. 2021년 9월 5일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를 상대로 8회말 투수타석에 대타 출전하여 승리를 결정짓는 2루타를 쳐내며 팀의 2:0승리에 큰 역할을 하였고 최근 3경기 멀티히트를 기록중이다. 2021년 9월 12일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를 상대로 7회말 원아웃 1루 상황에 투런 홈런을 때리며 팀을 역전시켰다. 이타점은 결승타가 되며 승리하였다. 2021년 9월 23일 한신 타이거스를 상대로 9회말 최강 마무리 수아레즈를 상대로 극적인 2루타를 쳐내며 패배를 면하였다.

10월 기준 백업과 선발을 오가며 시즌 200타석 정도에 2할 1푼대에 4홈런을 기록하고 있다. 출루율은 3할을 넘겨 눈은 보이는데 몸이 말을 안듣는 전형적인 노장의 스탯을 기록하는 중. 부진한 성적이지만 1할 5푼이었던 작년에 비해서는 나아진 스탯으로, 44살이 1군에서 2할을 넘게 친다는 건 어찌보면 대단하다고도 할 수 있다.[18] 이 선수는 20세기에 데뷔한 선수로 선동열이나 이종범과 같이 현역 시절을 보내기도 했고, 박용택보다 2살 많고, 한때 한신에서의 팀 동료였던 오승환 및 일본시리즈에서 맞상대했던 이대호보다도 5살이 많은 NPB 전체 최고령 선수다. 여튼 작년보다는 나아진 성적으로 선수생활 말년에 여러 물의로 무너진 자존심을 약간이나마 되찾았다. 10월 10일 경기 출장으로 NPB 통산 2000경기 출장기록을 달성, 기념행사를 가졌다.

여담으로 이날 모자를 벗어 인사를 했는데 정수리 탈모가 심하게 진행된 모양을 보여 안타까움을 샀다.

2021년 11월 20일 친정팀 주니치 드래곤즈와 연봉 총액 330만엔이 인상된 연봉으로 재계약 하여 45살의 나이에도 현역으로 뛰게 되었다.

2022년 3월 25일 요미우리 자이언츠과의 개막전에 3번 좌익수로 선발 출전했다. 44세 10개월의 개막 스타팅 멤버는 98년 니혼햄의 오치아이 히로미츠의 44세 4개월을 제치고 최고령 기록이 되었다. 심지어 3월 31일엔 4번 타자로 출전하기까지 했다.

이후로는 작년에도 그랬듯이 대타 롤을 수행중이다. 그러나 1달동안 안타를 하나도 치지 못하며 1개월간 13경기 17타수 무안타 타율 .000를 기록하며 천하의 후쿠도메도 이제 떠날 때가 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시즌 첫 안타와 타점은 5월 26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교류전 홈경기에서야 나왔다. 그리고 교류전이 끝날 때 쯤 2군으로 내려갔으나, 1군 재승격 이야기가 잊을 만 하면 나왔다. 그러다가 결국 9월 8일자로 현역 은퇴의 뜻을 밝히며 길었던 현역 생활에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기사 네이버 스포츠 기사[19]

2022년 9월 23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홈 경기에서 투수 다니모토와 교체되어 9번 우익수로 출전하여 인생 마지막 수비를 마친 후 9회말 선두타자 이후 두번째 타자로 출전해서 현역 마지막 은퇴경기 타석에서 하타케를 상대로 1구 볼 2구 타격하여 짧은 중견수 플라이로 아웃되며 선수인생 마지막 타석을 끝마쳤다. 타츠나미 카즈요시 감독과 후쿠도메 모두 눈물을 보이며 후쿠도메 본인이 평생 40년가까이 해온 후쿠도메 야구 인생의 마지막을 장식했다. 팬들도 모두 박수치며 보내주었다.

5. 플레이 스타일

파일:2006후쿠도메.gif 파일:2006후쿠도메-2.gif
최전성기였던 2006년의 타격폼.
일본 시절 1기의 후쿠도메는 그야말로 센트럴리그 최강의 타자중 한 명. 타격 능력-출루 능력-장타력 등 모든 면에서 리그 최고급 활약을 펼쳤다. 2000년대 주니치는 넓디 넓은 나고야 돔을 위시한 강력한 투수력을 바탕으로 수비 중심의 팀 컬러를 펼쳐나갔는데, 이 와중에도 붙박이 3번 타자-우익수로 자리 잡으며 4번 타순의 타이론 우즈와 함께 막강한 클린업 듀오를 만들어냈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타격 능력은 정평이 나있었다. 1학년 여름부터 5번 타자, 가을에는 4번 타자를 따내는 등 타격에 있어서 천재적인 감각을 보여주었다. 고등학교 3학년이 된 후에는 파워까지 초고교급으로 성장하며 프로 구단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2001~2002년 즈음에는 그립을 얼굴 정면에 놓고 임팩트 순간 방망이 헤드가 투수를 향하는 약간의 오픈 스탠스 타격폼을 사용했는데, 이 폼으로 몸통의 회전력과 방망이의 원심력이 극대화되어 3~40개의 2루타, 2~30개의 홈런을 기록하는 등 장타력이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2003년까지 이 폼을 유지했으나 2004년의 왼손 엄지 손가락 부상 이후 타율이 .277까지 떨어지자 입단 초기에 사용한 일반적인 스퀘어 스탠스 타격폼으로 타격폼 변화를 시도, 대성공을 거두며 2005~2007 기간 동안 엄청난 타격 스탯을 기록한다. 최전성기의 타격폼을 보면 방망이를 왼쪽 어깨 위에 세워놓고 등쪽으로 조금 눕히며 준비자세에서 손목에 드는 힘을 최소화했다. 불필요한 힘의 소모 없이 테이크백-스윙에서 모든 손목 힘을 사용하며 장타력이 자연스럽게 향상된 것. 이후 테이크백 과정에서 남은 손목 힘을 활용해 배트를 컨트롤하여 여러 코스의 공을 대처 할 수 있게 되고, 거기다가 본래 가지고 있던 천부적인 컨택 능력 + 배트 스피드가 더해지니 상대하는 투수로서는 도저히 답이 안 나오는 타자.

한신 시절부터는 왼손 엄지의 사정이 나아지며, 다시 초기의 폼으로 돌아왔다. 복귀 시점에 이미 만 36세였던 만큼 떨어진 장타력을 보완하기 위한 선택으로 보였는데, 극악의 부진 + 부상이 겹치며 2군으로 강등당하는 수모까지 당했다. 2군에서 스윙을 또 다시[20] 컴팩트한 스윙으로 바꾼 것이 효과를 보며 2019년까지 나이를 잊은 듯한 활약을 보였다.[21]

수비를 살펴보면 유격수 수비를 보던 시기에는 빈말로도 잘 한다고 하기는 힘들었다. 딱 유격수 평균만큼 하는 수준. 3년 통산 수비율 .968[22]을 기록하며 결국에는 외야로 컨버전. 허나 외야수로서는 골든글러브 5회 수상이 증명해 주듯 리그 수위급을 다투는 수비력을 갖췄었으며 2000년대 NPB 한 손에 꼽을 수 있는 강견의 소유자로도 유명했다. 2002년부터 2005년까지 4년 연속으로 10개 이상의 보살을 기록했으며, 2005년에는 141경기 무실책 12보살을 기록하며 수비율 1.000을 달성하기도 했다.

6.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NPB)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23]
1999 주니치 132 526 131 25 2 16 76 52 4 50 121 .284 .359 .451 .810 3.2
2000 97 368 80 18 2 13 50 42 8 45 79 .253 .350 .446 .796 2.6
2001 120 442 94 22 2 15 51 56 8 56 90 .251 .352 .440 .792 2.5
2002 140 608 186 42 3 19 85 65 4 56 96 .343 .406 .537 .943 8.3
2003 140 617 165 30 11 34 107 96 10 78 118 .313 .401 .604 1.005 8.3
2004 92 404 97 19 7 23 61 81 8 48 93 .277 .367 .569 .936 4.1
2005 142 612 169 39 6 28 102 103 13 93 128 .328 .430 .590 1.020 8.1
2006 130 578 174 47 5 31 117 104 11 76 94 .351 .438 .653 1.091 10.5
2007 81 348 79 22 0 13 64 48 5 69 66 .294 .443 .520 .963 5.1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24]
2013 한신 63 241 42 11 0 6 18 31 0 28 43 .198 .295 .335 .630 0.7
2014 104 367 79 8 0 9 20 34 1 47 48 .253 .349 .365 .714 1.3
2015 140 569 139 24 3 20 53 76 1 65 75 .281 .361 .463 .824 4.8
2016 131 523 141 25 3 11 52 59 0 61 78 .311 .392 .453 .845 3.5
2017 127 526 116 20 3 18 68 79 1 77 92 .263 .373 .444 .817 2.7
2018 123 499 116 26 2 14 57 72 2 73 90 .280 .389 .454 .843 1.7
2019 104 403 89 16 1 10 39 47 0 49 85 .256 .347 .394 .740 -0.1
2020 43 92 12 2 0 1 3 12 0 11 31 .154 .250 .218 .468 -0.6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WAR
2021 주니치 91 216 42 12 0 4 17 18 0 23 56 .218 .301 .342 .643 -0.2
NPB 통산
(17시즌)
2000 7939 1951 408 50 285 1040 1075 76 1005 1483 .287 .380 .487 .867 66.5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08 CHC 150 590 129 25 3 10 79 58 12 81 104 .257 .359 .379 .738 1.4
2009 146 603 129 38 5 11 79 54 6 93 112 .259 .375 .421 .796 2.4
2010 130 429 94 20 1 13 45 44 7 64 67 .263 .371 .439 .809 1.2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1 CHC/CLE 146 603 139 27 3 8 59 35 4 61 110 .262 .342 .370 .712 -0.5
연도 소속팀 경기 타석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득점 타점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fWAR
2012 CHW 24 51 7 1 0 0 2 4 0 8 9 .171 .294 .195 .489 -0.2
MLB 통산
(5시즌)
596 2276 498 111 13 42 264 195 29 307 402 .258 .359 .395 .754 4.2

7. 관련 문서




[1] 부상으로 실제 경기에 뛰지는 못했지만, 일본시리즈 40인 엔트리에 포함되었다.[2] 입단 거부 후 사회인야구팀 일본생명 입단.[역지명] [주니치시절1] 彼方の空を見据え挑め夢のステージ飛び出せ全て捧げて扉の向こうえ 저편의 하늘을 바라보며 도전해라 꿈의 스테이지 뛰어들어라 모두 바쳐서 문의 저편으로[한신시절] 唸るスインーグ斬り裂くアーチ吠えろ孝介勝負を決めろ 울부짖는 스윙 가르는 아치 포효하라 코스케 승부를 결정해라[주니치시절2] 幾千と光る栄光の軌跡再びこの地でいざ舞い上がれ 수천 번이고 빛나는 영광의 궤적 다시 한 번 이 땅에서 자 날아올라라[7] 수많은 일본프로야구 선수들을 배출했다. 대표적으로 키요하라 카즈히로, 타츠나미 카즈요시, 쿠와타 마스미, 마츠이 카즈오, 마에다 켄타, 이마에 토시아키.[8] 킨테츠, 주니치, 닛폰햄, 요미우리, 롯데, 오릭스, 야쿠르트[9] 당시에는 역지명제도가 있어 대학야구 선수와 사회인야구 선수는 본인이 원하는 팀으로 갈 수 있었다.[10] 당시 한국 대표팀과의 경기에서도 맹활약해 14:4 콜드게임 승을 이끌어 냈다.[11] 2021년 사토 테루아키가 경신했다.[12] 다만 98년의 이종범의 유격수 수비는 세이버 매트릭스의 관점에서 보면 Def 5.0, RF4.57, rRng3.1, rErr-0.4, rDP-1.4, FS1.3을 기록하면서 혹평을 받은 것에 비해서는 나쁘지 않은 성적을 기록했는데, 이러한 세이버 스탯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지 않았던 당시 일본프로야구에서 에러가 많았던 이종범의 수비는 혹평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 여기에다가 호시노 본인이 현역 시절 우노 마사루의 예능수비에 학을 뗀 나머지 유격수 수비에서 안정성과 기본기를 상당히 중요시 여겼다는 이야기도 있다.[13] 참고로 이종범과 후쿠도메가 유격 수비에서 부진하자 이 둘을 대신해 유격수를 보던 쿠지 테루요시골든글러브 수상 경력이 있기는 했지만 타격은 한신 타이거스 시절 1992~1997년 6년간의 풀타임 기간동안 평균 .250대의 평범한 타율과 한시즌 최다 홈런이 3개에 통산은 겨우 6개일 정도로 공격력이 좋지 않은 선수였다. 그래서 주니치 이적 첫 해인 1998년 이후로는 주전에서 밀려나 준주전~백업으로 뛰다 2003년 한신으로 다시 이적하여 2005년 은퇴했다.[14] 이후 유격수 이바타와 비슷한 시기에 2루수로 자리잡은 아라키 마사히로는 아라이바 콤비를 결성해 역대 최고의 키스톤 콤비로써 주니치의 2000년대 황금 시대를 이끌었다. 다만 이바타가 요미우리로 간 2014년부터 이바타의 공백을 메꾸지 못하며 또 다시 주전 유격수 자리가 비어졌고, 2017년 쿄다 요타가 나타나 신인왕까지 수상하며 그대로 주전 자리를 확보했으나 공격 면에선 성장하지 못한 채 전형적인 수비형 유격수의 길을 걷다가 2022년에 타츠나미 카즈요시 신임 감독에게 찍혀서 주전에서 밀려나 이듬해 요코하마로 트레이드되었다. 결국 신인 츠치다 류쿠가 2022년 중후반부터 주전을 꿰찼으나 이쪽 역시 기대에 못 미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15] 이 해에 고등학교 시절 자신을 1순위로 지명했던 킨테츠 사사키 쿄스케 前 감독이 주니치 타격코치로 오게 되었는데, 이 시기 타격부진에 빠진 후쿠도메를 "2년 안에 연봉 2억엔을 받을 수 있는 선수로 만들어 주겠다"는 약속과 함께 필사적으로 가르치며 강타자로 각성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사사키는 이듬해인 2003년에 성적 부진으로 중도해임된 야마다 히사시의 감독대행을 맡아 팀을 A클래스로 올려놨으나 시즌 종료 후 오치아이 히로미츠가 후임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팀을 떠났다.[16] 후쿠도메는 이미 FA를 얻으면 메이저리그에 진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고, 중견수를 보던 외국인 선수 알렉스 오초아히로시마 도요 카프로 이적하며 주니치는 외야 공백의 대안으로 이병규를 영입한다. 하지만 이병규는 2007년 일본시리즈에서 팀내 최다타점 기록한 걸 제외하고 기대 이하의 성적을 올렸고, 결국 중심타선 + 외야 한 자리의 공백은 세이부 라이온즈의 강타자 와다 가즈히로를 FA 영입하는 것으로 메웠다.[17] 우측 담장을 넘기는 장외홈런을 말하는 것으로 오라클 파크는 우측 담장 바로 뒤에 맥코비만이 있어 오른쪽 장외홈런을 치면 공이 바다에 빠지는 진풍경을 연출하게 되는데, 이것을 스플래시 히트라고 부른다.[18] 반대로 생각을 조금 비틀어서 해 보면 이 정도의 스탯을 기록하는 노장 선수 하나를 넘는 선수가 없어서 전전긍긍하는 주니치의 코너외야 뎁스가 얼마나 한심하기 짝이 없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도 볼 수 있다. 뭐 주니치 팀 컬러가 세대교체가 빠르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아라키 마사히로야마모토 마사처럼 40이 넘어도(야마모토 마사는 50세까지도 1군에 있었다) 1군 레귤러인 선수가 많던 팀이 주니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4456555. 그나마 시즌 도중 고졸 2년차 오카바야시 유키가 스타팅으로 자주 모습을 보인 덕에 본래의 목적인 전문 대타로 다시 뛸 수 있었다.[19] 공교롭게도 1주일 뒤에 한신 시절 팀 후배였던 이토이 요시오도 은퇴 선언을 하게 된다.[20] 주니치 시절부터 부진할 때마다 팬들의 눈에 보일 정도로 큰 폭의 타격폼 변화를 가져가는 것으로 유명했다.[21] 2018년 즈음부터는 방망이를 홈플레이트 쪽으로 눕혔다. 은퇴까지 이 타격폼을 유지하는 중.[22] 197경기 24실책[23] 2013년까지는 http://blog.naver.com/ever_17의 자료, 2014년부턴 http://1point02.jp/op/gnav/leaders/pl/pbs_dashboard.aspx?sn=2015&lg=0&tm=0&ps=0&sl=1&sr=0&pn=-1 이용[24] 2013년까지는 http://blog.naver.com/ever_17의 자료, 2014년부턴 http://1point02.jp/op/gnav/leaders/pl/pbs_dashboard.aspx?sn=2015&lg=0&tm=0&ps=0&sl=1&sr=0&pn=-1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