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다 코우조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
2017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수위타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나카네 스스무 나고야군 / .376 |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338 |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33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45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61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38 |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321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10 |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286 |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300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오쿠무라 토시아키 킨키닛폰 / .369 |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 .347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15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06 |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 .36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362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77 |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353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47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61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38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38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43 |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 .320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53 | 모리나가 카츠야 히로시마 / .307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1 |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23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36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4 | 나카 토시오 주니치 / .343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6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45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5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20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29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55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32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19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55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58 |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 .348 | 펠릭스 미얀 타이요 / .346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69 | 후지타 타이라 한신 / .358 | 나가사키 케이이치 타이요 / .351 |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 .353 |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4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랜디 바스 한신 / .350 | 랜디 바스 한신 / .389 |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33 |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0 |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378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짐 파치오렉 타이요 / .326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340 | 잭 하웰 야쿠르트 / .331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329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24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55 |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40 |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5 |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7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369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346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33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43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340 |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 .337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4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51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6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378 |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322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58 |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316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340 | 토니 블랑코 DeNA / .333 | 맷 머튼 한신 / .338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336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344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3 |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34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35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사노 케이타 DeNA / .32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17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18 |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6 | 타일러 오스틴 DeNA / .316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309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39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83 |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 .336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318 | 래리 레인즈 한큐 / .337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32 |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325 |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331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4 |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323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344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74 |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35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66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20 |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351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3 나가부치 요조 킨테츠 / .333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83 | 에토 신이치 롯데 / .337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58 | 카토 히데지 한큐 / .337 | 하리모토 이사오 닛폰햄 / .340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백인천 타이헤이요클럽 / .319 |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클럽 / .309 | 아리토 미치요 롯데 / .329 |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54 | 카토 히데지 한큐 / .364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레론 리 롯데 / .358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6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5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32 | 부머 웰즈 한큐 / .355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7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0 |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366 |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 .327 | 부머 웰즈 한큐 / .322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38 |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 .314 |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322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19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5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2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6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5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8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3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7 |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346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40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60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358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322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324 |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334 | 릭 쇼트 라쿠텐 / .332 | 츠치야 텟페이 라쿠텐 / .327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46 |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338 |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12 |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 .341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331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63 |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39 |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322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52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329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50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39 | 마츠모토 고 닛폰햄 / .347 | 톤구 유마 오릭스 / .307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314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마키하라 타이세이 소프트뱅크 / .304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2루수 골든글러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존 시핀 타이요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오오시타 츠요시 히로시마 | 데이비 존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도이 쇼조 요미우리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모토이 미츠오 타이요 |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와다 유타카 한신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 히라노 케이이치 한신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타나카 히로야스 야쿠르트 |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나카노 타쿠무 한신 | 요시카와 나오키 요미우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오오시타 츠요시 토에이 | 사쿠라이 테루히데 난카이 | 바비 마르카노 한큐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 바비 마르카노 한큐 | 야마자키 히로유키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타카기 히로유키 세이부 |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후지타 카즈야 라쿠텐 | 루이스 크루즈 롯데 | 후지타 카즈야 라쿠텐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스즈키 다이치 롯데 | 나카무라 쇼고 롯데 |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토노사키 슈타 세이부 | 나카무라 쇼고 롯데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토노사키 슈타 세이부 | 나카무라 쇼고 롯데 | 코부카타 히로토 라쿠텐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2루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카리타 히사노리 츠바사군 | 치바 시게루 요미우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치바 시게루 요미우리 | 하코다 히로시 코쿠테츠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이노우에 노보루 주니치 | 츠치야 마사타카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이노우에 노보루 주니치 | 츠치야 마사타카 요미우리 | 코사카 요시타카 히로시마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도이 쇼조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안도 모토오 한신 | 쿠나사다 야스히로 히로시마 | 존 시핀 타이요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오오시타 츠요시 히로시마 | 데이비 존슨 요미우리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데이브 힐튼 야쿠르트 | 펠릭스 미얀 타이요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모토이 미츠오 타이요 |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오카다 아키노부 한신 | 시노즈카 토시오 요미우리 |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 와다 유타카 한신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와다 유타카 한신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타츠나미 카즈요시 주니치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에디 디아스 히로시마 |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 타나카 히로야스 야쿠르트 | 히가시데 아키히로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히라노 케이이치 한신 | 타나카 히로야스 야쿠르트 | 니시오카 츠요시 한신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키쿠치 료스케 히로시마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마키 슈고 DeNA | 요시카와 나오키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혼도 야스시 마이니치 |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모리시타 마사오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사사키 신야 타카하시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오기 아키라 니시테츠 |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 잭 블룸필드 킨테츠 | 다릴 스펜서 한큐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다릴 스펜서 한큐 | 쿠나사다 야스히로 난카이 | 돈 블레이싱게임 난카이 |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 모토이 미츠오 니시테츠 | 사쿠라이 테루히데 난카이 |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바비 마르카노 한큐 |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 | 바비 마르카노 한큐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야마자키 히로유키 롯데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후쿠라 준이치 한큐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후쿠라 준이치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훌리오 프랑코 롯데 | 카네코 마코토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오오시마 코이치 오릭스 |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타카기 히로유키 세이부 |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호리 코이치 롯데 |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 후지타 카즈야 라쿠텐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타나카 켄스케 닛폰햄 |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나카무라 쇼고 롯데 |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코부카타 히로토 라쿠텐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도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카리타 히사노리 도쿄 세네터스 / 16개 | 야마구치 마사노부 오사카 / 29개 | 시마 히데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2개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22개 | 에구치 유키오 나고야킨코군 / 14개 | 사사키 츠네스케 나고야킨코군 / 20개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야마다 덴 한큐군 / 30개 고미 요시오 나고야킨코군 / 30개 | 이시다 마사요시 나고야군 / 32개 | 츠보우치 미치노리 아사히군 / 26개 | 츠보우치 미치노리 아사히군 / 44개 | 야마다 덴 한큐군 / 56개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이시이 마사유키 한신군 / 19개 하기하라 히로시 도쿄쿄진군 / 19개 | 카와니시 토시오 킨키그레이트링 / 39개 | 카와니시 토시오 난카이 / 53개 | 카와니시 토시오 난카이 / 66개 |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9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 74개 | 츠치야 마사타카 코쿠테츠 / 52개 |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 63개 | 카나야마 지로 히로시마 / 58개 |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51개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혼다 이츠로 주니치 / 42개 |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50개 | 이이다 토쿠지 코쿠테츠 / 40개 | 오카지마 히로지 주니치 / 47개 | 오카지마 히로지 주니치 / 41개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나카 토시오 주니치 / 50개 |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 35개 | 코노 아키테루 주니치 / 26개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50개 |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 57개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44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46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70개 |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 39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5개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토죠 후미히로 야쿠르트 / 28개 |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38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45개 |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28개 | 나카츠카 마사유키 타이요 / 28개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오오시타 츠요시 히로시마 / 44개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31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4개 |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4개 |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55개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38개 | 아오키 미노루 야쿠르트 / 34개 | 마츠모토 타다시 요미우리 / 61개 | 마츠모토 타다시 요미우리 / 76개 |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 56개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73개 |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48개 히라노 켄 주니치 / 48개 |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48개 |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33개 |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개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오가타 코이치 요미우리 / 33개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3개 |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1개 |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 33개 | 오가타 코이치 요미우리 / 24개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24개 |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7개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47개 |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50개 |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49개 |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9개 |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9개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5개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39개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26개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1개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4개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0개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1개 |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 31개 | 후쿠치 카즈키 야쿠르트 / 42개 | 후쿠치 카즈키 야쿠르트 / 42개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 43개 | 후지무라 다이스케 요미우리 / 28개 |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 32개 |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29개 | 카지타니 타카유키 DeNA / 39개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4개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0개 |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5개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3개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6개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1개 | 나카노 타쿠무 한신 / 30개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0개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28개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19개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2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78개 |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5개 |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5개 | 래리 레인즈 한큐 / 61개 | 스즈키 타케시 킨테츠 / 71개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 59개 | 코노 아키테루 한큐 / 85개 | 코노 아키테루 한큐 / 56개 |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8개 |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8개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2개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42개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50개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45개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72개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9개 | 야마모토 코시 한큐 / 32개 | 니시다 타카유키 도쿄 오리온즈 / 32개 | 야스이 토시노리 킨테츠 / 54개 | 사카모토 토시조 한큐 / 47개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75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7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106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95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94개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3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2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1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70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0개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60개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46개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 38개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6개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41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41개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55개 |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42개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51개 | 오노 히사시 다이에 / 42개 |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40개 |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31개 |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 37개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이치로 오릭스 / 49개 |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 58개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62개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43개 코사카 마코토 롯데 / 43개 |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32개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코사카 마코토 롯데 / 33개 |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44개 |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 41개 |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42개 | 카와사키 무네노리 다이에 / 42개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41개 |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3개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38개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0개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1개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9개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59개 |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60개 | 히지리사와 료 라쿠텐 / 54개 | 양다이강 닛폰햄 / 47개 |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43개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시마 타쿠야 닛폰햄 / 34개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53개 카네코 유지 세이부 / 53개 |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39개 |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44개 | 카네코 유지 세이부 / 41개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50개 |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24개 겐다 소스케 세이부 / 24개 오기노 타카시 롯데 / 24개 와다 코시로 롯데 / 24개 | 타카베 아키토 롯데 / 44개 |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36개 코부카타 히로토 라쿠텐 / 36개 |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41개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35개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rowcolor=#fff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나카하타 키요시 1985~1989 | 하라 타츠노리 1989~1992 | 오카다 아키노부 1992~1995 | 쇼다 코우조 1995~1998 | 후루타 아츠야 1998~2005 | |
<rowcolor=#ffffff>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미야모토 신야 2005~2008 | 아라이 타카히로 2008~2012 | 시마 모토히로 2012~2017 | 스미타니 긴지로 2017~2021 | 아이자와 츠바사 2021~ |
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4번 | ||||
팀 아일랜드 (1983-1984) | → | 쇼다 코우조 (1985-1998) | → | 효도 히데하루 (1999-2002) |
SK 와이번스 등번호 88번 | ||||
반재륭 (2008) | → | 쇼다 (2009) | → | 세키가와 (2010) |
한화 이글스 등번호 81번 | ||||
이선희 (2013~2014) | → | 쇼다 (2015~2016) | → | 나카시마 (2017) |
KIA 타이거즈 등번호 87번 | ||||
조경환 (2015~2016) | → | 코우조 (2017~2019) | → | 나성용 (2020) |
| |
쇼다 코우조 [ruby(正田, ruby=しょうだ)] [ruby(耕三, ruby=こうぞう)] | Kozo Shoda[1] | |
출생 | 1962년 1월 2일 ([age(1962-01-02)]세) |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 |
국적 |
|
학력 | 와카야마 상업고등학교 |
포지션 | 2루수 |
투타 | 우투양타 |
프로 입단 | 1984년 드래프트 2라운드 (히로시마) |
소속팀 | 신일본제철 히로하타 경식 야구부 (1980~1984) 히로시마 도요 카프 (1985~1998) |
지도자 | 히로시마 도요 카프 1군 수비·주루코치 (1999)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군 수비코치 (2000~2004) 한신 타이거즈 1군 타격코치 (2005~2007) SK 와이번스 2군 타격코치 (2009)[2] SK 와이번스 1군 타격코치 (2009)[3] 오릭스 버팔로즈 1군 타격코치 (2010~2011)[4] 한화 이글스 1군 타격코치 (2015) 한화 이글스 육성군 수비코치 (2016) KIA 타이거즈 1군 타격코치 (2017~2019)[5] KIA 타이거즈 2군 타격코치 (2019)[6] 교토 세이쇼 고등학교 어드바이저 코치 (2021~) |
프런트 | 오릭스 버팔로즈 본부장보 (2011) |
해설위원 | 데일리 스포츠·선 TV 야구 해설위원 (2008) |
응원가 | 듣기[7][8] |
1. 개요
일본 국적의 前 야구선수. 현역 시절엔 히로시마 붉은 헬멧군단(아카헬 군단)의 핵심 멤버였다.KIA 타이거즈 1군 타격코치로 활동했고, 김성근 감독이 팀을 이끌었던 SK 와이번스, 한화 이글스에서도 코치로 활동했다 보니 한국에서도 어느 정도 인지도가 있는 일본 야구계 인물 중 하나다. 그 외 짧게나마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던 적도 있다.
2. 선수 경력
선수 시절에는 데뷔부터 은퇴까지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2루를 지킨 레전드이자 프랜차이즈 선수였다.
NPB 역대 최고의 강타선을 논할 때 빠짐없이 언급되곤 하는 90년대 히로시마의 붉은 헬멧 군단, 이른바 아카헬 타선[9]의 일원으로 아카헬의 주전 2루수이자 2번 타자였다. 유망주였던 대타자 가네모토 도모아키가 하위타선으로 많이 나올 정도로 장타력이 빵빵했던 팀에서[10] 주루력과 작전 수행 능력, 교타력을 보태며 감초같은 역할을 했던 타자이다. 여담으로 비교적 성공적인 NPB 커리어를 쌓았던 선동열 국가대표 감독도 일본에서 선수 시절 이 히로시마 아카헬 타선만 만나면 맥을 못 추곤 했었다. 아웃카운트 1개를 잡는 동안 7실점을 하는 등 일본생활 흑역사의 대부분은 아카헬 타선 때문이라고 말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고교 졸업 후 일본의 사회인야구 팀인 신일본제철 히로하타 경식야구부(現 일본제철 히로하타 경식야구부)에서 뛰며 1984 로스엔젤레스 올림픽 일본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출되었고, 팀의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11] 1984년 드래프트 2위로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 입단한 후 곧바로 주전 2루수를 차지하여 프로 3년차인 1987년에는 타율 .333을 기록하며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시노즈카 토시오와 공동으로 수위타자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런데, 정작 타율 1위를 기록할 동안 홈런은 단 1개도 치지 못했다! 이는 일본프로야구가 양대리그 체제로 들어선 이후 유일한 무홈런 수위타자 기록이다.[12] 당시 카프의 홈구장인 히로시마 시민구장의 작은 크기[13]를 생각하면 놀라운 일이며, 컨택과 빠른 발을 앞세운 그의 플레이스타일을 짐작할 수 있는 기록이다.
이듬해인 1988년에도 타율 .340으로 2년 연속 타격왕 타이틀을 차지했고, 1989년엔 34개의 도루를 기록하여 데뷔 후 처음으로 도루왕에 등극했다. 이 해의 도루왕 수상에 비하인드 스토리가 있는데, 당시 시즌 최종전 직전까지도 쇼다는 도루 1위였던 야쿠르트 스왈로즈의 토마시노 켄지(32도루)에게 4개 차로 밀렸었으나 주니치 드래곤즈와의 최종전에서 일본프로야구 1경기 최다인 6도루를 기록하여 극적으로 토마시노를 제치며 2개 차이로 도루 1위에 올랐고, 현재까지도 이 기록은 깨지지 않고 있다.[14][15]
이외에도 1988년과 1989년에 2년 연속 베스트 나인에 선정, 1987년부터 1991년에는 5년 연속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등 아카헬 타선을 대표하는 2루수로써 활약했다. 이후 점차 기량이 하락하는 와중에도 꾸준히 뛰어오다 1998년 시즌을 끝으로 통산 1546안타, 146도루, 타율 .287, 44홈런의 기록을 남기고 현역에서 은퇴했다.
1995년 12월부터 은퇴할 때까지 일본프로야구 선수회의 제4대 회장을 역임한 적이 있다.
3. 연도별 성적
통산 기록 | |||||||||||||||
<rowcolor=#ffffff> 연도 | 소속팀 | 경기 | 타수 | 타율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타점 | 득점 | 도루 | 볼넷 | 출루율 | 장타율 | OPS |
1985 | 広 島 | 57 | 50 | .180 | 9 | 1 | 0 | 0 | 0 | 8 | 5 | 11 | .339 | .200 | .539 |
1986 | 90 | 219 | .288 | 63 | 8 | 1 | 1 | 11 | 28 | 10 | 14 | .339 | .347 | .686 | |
1987 | 123 | 393 | .333 | 131 | 20 | 4 | 0 | 26 | 55 | 30 | 24 | .387 | .405 | .792 | |
1988 | 104 | 394 | .340 | 134 | 8 | 7 | 3 | 23 | 49 | 16 | 29 | .389 | .419 | .808 | |
1989 | 128 | 498 | .323 | 161 | 19 | 7 | 1 | 25 | 74 | 34 | 50 | .387 | .396 | .783 | |
1990 | 124 | 462 | .301 | 139 | 18 | 6 | 3 | 39 | 48 | 9 | 36 | .354 | .385 | .740 | |
1991 | 132 | 481 | .291 | 140 | 17 | 5 | 8 | 52 | 66 | 9 | 45 | .350 | .397 | .747 | |
1992 | 89 | 359 | .301 | 108 | 21 | 1 | 4 | 68 | 49 | 15 | 37 | .366 | .398 | .764 | |
1993 | 121 | 443 | .257 | 114 | 13 | 0 | 7 | 24 | 60 | 4 | 36 | .315 | .334 | .649 | |
1994 | 122 | 464 | .280 | 130 | 6 | 0 | 5 | 34 | 55 | 3 | 35 | .331 | .325 | .656 | |
1995 | 124 | 449 | .274 | 123 | 17 | 2 | 3 | 38 | 62 | 7 | 54 | .352 | .341 | .693 | |
1996 | 124 | 480 | .235 | 113 | 13 | 0 | 2 | 35 | 50 | 4 | 30 | .283 | .275 | .558 | |
1997 | 117 | 324 | .241 | 78 | 11 | 2 | 6 | 34 | 34 | 0 | 19 | .282 | .343 | .625 | |
1998 | 110 | 376 | .274 | 103 | 9 | 0 | 1 | 17 | 44 | 0 | 31 | .330 | .306 | .636 | |
NPB 통산 (14시즌) | 1565 | 5392 | .287 | 1546 | 181 | 35 | 44 | 391 | 682 | 146 | 451 | .345 | .358 | .702 |
4. 지도자 생활
4.1. NPB 시절
은퇴 후 이듬해인 1999년부터 친정팀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수비코치로 선임되었지만 1년 만에 그만두었다. 이후 2000년부터 오사카 긴테츠 버팔로즈의 수비코치로 자리를 옮겼고, 2004년 말 킨테츠가 오릭스에 합병되는 과정에서 팀을 떠났다. 이후 2005년부터 한신 타이거즈의 타격코치로 자리를 옮겨 2007년까지 재직하는 등 현역 은퇴 후 여러 팀에서 코칭스태프로 활동했다.2008년에는 1년 동안 선TV의 야구 해설위원으로 활동했다.
4.2. SK 와이번스 시절
그러다가 2009년부터 SK 와이번스의 2군 타격코치로 부임하면서 한국과 인연을 맺기 시작했다. 이후 시즌 중이던 7월 16일, 1군 타격코치로 승격되었다.
SK에서는 1년만 있었고 1군 선수단을 지도한 건 시즌 절반에 불과하지만 SK 특유의 끈질긴 타선을 만들어낸 데다 팀 타선이 역대급으로 강력했다 보니 평가가 무척 좋았다. 시즌 후 SK와 재계약하지 않고 오릭스 타격코치로 옮겨 일본으로 돌아간다고 하자 이에 아쉬워하는 팬들도 있었을 정도.
4.3. 오릭스 버팔로스 시절
[16]
2009년 시즌 종료 후 오카다 아키노부 감독이 이끄는[17] 오릭스 버팔로스의 타격코치로 자리를 옮기며 일본으로 되돌아왔다. 1군 타격코치를 맡은 2010년 오릭스는 퍼시픽리그 5위에 그쳤으나 팀 타율은 0.271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
2011년부터 이승엽이 오릭스에서 뛰는 게 확정되면서 다시 한국 선수와 인연을 이어나가게 됐다.
그러나 2011년 8월 26일에 팀의 타격 침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임하였고, 남은 시즌 동안 본부장보를 맡았다.
4.4. 한화 이글스 시절
2014년 11월에 SK 시절의 인연으로 김성근 감독의 부름을 받고 한화 이글스의 코치로 합류하면서 5년 만에 한국으로 되돌아왔다. 보직은 김재현과 함께 1군 타격코치를 맡는다. 과거 SK 타격코치 시절 평가가 좋았다 보니 한화 팬들은 대부분 환영하는 편.2015년 8월 한화 타선이 극도로 식물화되자 어느 정도 비판받은 건 있으나, 한화로 부임한 이후 팀의 타격 성적을 보면 확실히 나아졌다. 특히 팀 사사구 갯수가 리그 독보적인 1위로 뛰어올랐는데, 여태까지의 한화 타선에서는 볼 수 없었던 타자들의 인내심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는 얘기. 덕분에 낮은 팀 타율과 적은 홈런 갯수에도 불구하고 팀 OPS는 시즌 초부터 꾸준히 중위권을 유지중이다.
이같은 성과 때문인지 시즌 후 니시모토 다카시 투수코치, 후루쿠보 겐지 배터리코치 등 대다수의 일본인 코치들이 해임되는 와중에도 한화에 남아 2016년에도 코치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1군 타격코치가 아닌 육성군 수비코치라는 다소 의아한 보직을 맡았다.
그런데 총액 130만 달러에 영입한 외국인 타자 윌린 로사리오가 극도로 부진한 모습을 보이자, 육성군 코치였던 쇼다 코치를 1군으로 불러 곁에 붙여줬다.# 그리고 5월 들어 로사리오가 약점으로 지적받던 변화구에 대한 대처능력이 나아지는 기미를 보이더니, 6월 이후 타격이 대폭발하면서 한화 이글스에서 6년 만에 나온 30홈런 타자이자, 송지만 이후 14년 만에 나온 30홈런 100타점 타자라는 기록을 남겼다. 이후에도 보직은 육성군 코치지만 여전히 1군 선수단과 동행하면서 타격 지도를 하고 있다.
사진은 화제를 불렀던 빨간 의자 노란 밴드 훈련.
시즌 후반기부터 김성근 감독이 살려조 문제와 성적 부진으로 거센 비판을 받는 가운데, 콘무원이라 불리는 김성근 사단 코치들 중 쇼다 코치는 비교적 좋은 평을 받았다. 그런데 2016 시즌이 끝난 뒤 재계약하지 않고 바바 토시후미, 오키 야스시 코치와 함께 팀을 떠났다. 단순히 코치 한둘의 이탈이 아닌 김성근 사단이라 불리는 이들이 일제히 사의를 표하면서, 시즌 내내 불거진 김성근 감독의 독단적인 팀 운영에 회의를 느끼고 떠났다는 기사가 떴다.# 당연히 한화 팬덤은 발칵 뒤집어졌다.
4.5. KIA 타이거즈 시절
2016년 10월 26일, KIA 타이거즈의 코치로 영입됐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2016 시즌을 마치고 쇼다 코치가 한화와 재계약하지 않는다고 하자, 곧바로 김기태 감독이 코칭스태프 보강을 위해 구단에 쇼다 타격코치를 영입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한다. 보직은 1군 타격코치로, 기존 박흥식 코치와 함께 2인 타격코치 체제로 간다고 한다. KIA 팬들은 능력있는 코치를 잘 영입해왔다며 쇼다 코치 영입에 대해 대환영을 했다.2016년 11월 19일에는 이런 기사도 떴다. 쇼다 코치, "선수들 생기발랄, KIA 미래 밝다"
KIA로 와서는 등록명이 '쇼다'가 아닌 '코우조'로 변경되었다. 같은 일본인 코치인 나카무라 타케시의 등록명이 '타케시'인 것과 관련이 있는 듯.
KIA로 와서는 공동 타격코치인 박흥식 코치와의 시너지 효과가 합쳐지면서 KIA의 공격력 상승에 큰 공을 세우고 있다는 평을 받는다. 김기태와 박흥식, 쇼다 코치는 모두 하체와 손목을 강조하며 같은 이론을 가지고 선수들을 가르치니 불협화음이 없어졌다는 것. 기사 5월까지 타율 2할대에서 헤메던 로저 버나디나를 살려내고 2016년 SK 타선을 말아먹었다는 평가를 들었던 이명기를 타이거즈의 선두타자로 부활시키는 데도 한몫하였다. 그리고 박흥식 코치와 함께 팀타율 .302, 규정타석 3할타자 7명 등, 팀의 타선을 강화하는 데 큰 공을 세우며 한국시리즈 우승에 기여했다.
타격연습에서 효율성을 강조하는 편이다. 2018년 스프링캠프 중 가진 일본의 데일리스포츠와의 인터뷰에서 "100번의 연습타격을 대충 하는 것보다 10번의 연습타격을 집중하면서 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견해를 표하기도 하였다.[18] 기사 또한 스포츠호치와의 인터뷰에서도 선수의 자율성을 강조하면서 '코치가 만족해서는 안 된다'라는 생각을 남겼다. 기사
2018 시즌부터는 코치진 개편에 따라, 박흥식 코치가 2군 감독으로 자리를 옮기고, 코우조 코치가 단독으로 타격코치를 맡게 되었다. 동시에 타격 보조코치로는 2군에 있던 홍세완 코치가 올라오게 되었다. 기사
2018 시즌은 팀타율 .295, 타점 2위, 중요상황 OPS 1위[19]로 2년 연속 최상위권 급의 타선을 만들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전년도에 비해 병살이 상당히 증가했다. 그래도 팬들의 반응은 만족하는 분위기.
2019 시즌, 주전들의 부진과 줄부상으로 나지완, 해즐베이커, 황윤호, 김선빈(허벅지), 김주찬(허리)을 2군으로 내렸다. 2군에서 홍재호, 박찬호, 신범수, 유재신, 임기준(투수)이 올라왔다. 기존 최원준, 류승현, 이창진, 박준태 등 젊은 타자들과 2군에서 올라온 타자들을 이끌고 공격을 이끌어야 하는 숙제가 생겼다.
그러나 5월 들어 KIA 타선의 몰락에 따른 책임이 불거졌고, 5월 17일 김기태 감독이 퇴진하자마자 동시에 코칭스태프 개편이 이뤄졌고 이에 코우조 코치 역시 2군 타격코치로 내려가게 되었다. 반대로 정성훈 2군 타격코치가 1군으로 올라왔다.
2019 시즌 종료 후 맷 윌리엄스 감독 체제가 들어서며 KIA와 재계약에 실패했고, 3년 만에 팀을 떠나게 되었다.
KIA 코치를 그만둔 2020년 현재 팬들에게 갑자기 소환돼서 까이는 중인데 이유는 20시즌에 신들린 타격을 보여주는 최원준에게 타격폼 수정을 제안했다가 18~19시즌 극심한 부진에 빠지게 만든 원흉으로 지목되었기 때문. 안 그래도 전임 감독인 김기태가 최원준을 수비가 애매하단 이유로 내외야 가리지 않고 마구잡이로 기용했는데 타격폼까지 본인에 안 맞는 것으로 수정했으니 부진할 수 밖에 없었다.
4.6. 이후
KIA 코치를 그만둔 이후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고, 2020 도쿄 올림픽을 대비해 대한민국 대표팀에 대한 전력분석에 나섰다. 2019 프리미어 12 대회에서 호투한 두산 베어스의 이영하에 대해서는 '향후 일본 킬러가 될 수 있다' 고 평가하기도 했다.대다수 일본 매체들이 병역특례 혜택이 걸린 대한민국 대표팀이 올림픽 메달에 더욱 사활을 걸 거라고 예상하자, 병역특례는 동기부여가 되지 않을 것이라며 이러한 의견에 대해 고개를 저었다. 또한 한국에서는 대표팀이 성적을 내지 못하면 역적이나 매국노로 취급한다며 이에 대해 지적하기도 했다.
KIA 코치를 그만두고 일본으로 돌아간 뒤에는 야구와 떨어진 곳에서 일하고 싶다고 밝히며 야구와 잠시 거리를 두고 회사 일을 시작했다.[20] 그후 아마존 재팬에서 파견 직원으로 근무 중이다가, 2021년 2월 아마추어 야구 지도 자격을 다시 취득하여 교토 세이소 고등학교에서 어드바이저 코치로 일하고 있다. 다만 아마존 일을 그만둔건 아니고 4일은 아마존, 3일은 학교의 그라운드에서 일하는 사이클로 활동하고 있다.
5. 기타
- 노안이다. 과거 김성근과 같이 있으면 비슷한 또래로 보였지만 둘의 나이 차이는 20년으로 거의 부자 뻘이다. 조계현 단장보다 겨우 2살 위고 박흥식 코치는 빠른 생일이라 쇼다 코치가 한 살 어리다. 이 얼굴은 현역시절에도 유명했던 모양.
- 일본인이다보니 통역이 선수들에게 그의 말을 전하게 된다. 통역[21]이 기아 선수들보다 나이가 어리기에 그의 말을 직설적으로 전하면, 선수들이 "미안한데, 이건 아닌 것 같다" 라고 한 적이 있었다. 그래서 통역이 쇼다 코우조 코치 말에 존댓말을 붙여서 전했더니 코우조 코치가 "그것도 이상하다"라고 하였다. 이에 쇼다 코우조 코치가 기아 선수들을 모아놓고 말하기를, "통역은 나의 분신이니까 반말을 해도 이해해라"라고 해서 받아들여졌다고 한다. 기사
- 선수 시절 등번호는 4번이었는데, 본인의 주 포지션이었던 2루수의 포지션 번호 또한 4번이다.
6. 관련 문서
[1] KBO 등록명은 '코우조'. 다만 SK와 한화 코치 시절에는 '쇼다' 라는 등록명을 썼다.[2] ~7월 15일[3] 7월 16일~[4] ~8월 26일[5] ~5월 17일[6] 5월 18일~[7] 土にまみれて 戦え勇ましく 走れ風のように 進めいざ進め 。(흙 투성이가 되어 싸워라 용맹하게 달려라 바람처럼 나가자, 자 나가자!)[8] 멜로디도 좋고, 가사도 좋아서 히로시마 팬들 사이에서 인기가 상당히 많았던 응원가이다.[9] 赤ヘル打線. 아카헬은 일본어로 붉은색인 아카(赤)와 헬멧(ヘルメット)의 가타카나 표기 중 헬 발음인 ヘル를 합친 조어이다. 연고지인 히로시마시에서 카프의 애칭 중 하나가 아카헬이기도 하다.[10] 1996년 기준 오가타 고이치 - 쇼다 코우조 - 노무라 켄지로 - 에토 아키라 - 마에다 토모노리 - 루이스 로페즈 - 가네모토 도모아키 - 니시야마 슈지 - 투수라는 후덜덜한 라인업. 이중 오가타와 노무라는 카프, 가네모토는 한신 감독이 되었다.[11] 미국이 은메달, 대만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준결승전에서 미국에 2-5로 패했고, 동메달 결정전에선 대만에게 연장 14회 초에 3실점 하는 바람에 0-3으로 패했다.[12] 단일리그 시절의 원년 시즌인 1936년 추계리그의 나카네 스스무(나고야군, 타율 .376)와 1944년 시즌의 오카무라 토시아키(킨키닛폰군, 타율 .369)와 더불어 단 3명밖에 가지고 있지 않은 희대의 진기록이다. 더군다나 앞의 2명이 수위타자를 탔을 땐 리그 경기수가 40경기도 안 되던 때(이중 1944년은 한창 전황이 악화되던 상태라 경기수가 적었고 결국 시즌 도중에 아예 프로야구 리그가 중단)였다.[13] 물론 1980년대 코라쿠엔 구장, 메이지진구 야구장, 나고야 구장, 후지이데라 구장 등 대다수 프로야구 홈구장들의 크기는 지금보다 더욱 작았으나 당시에도 히로시마 시민 구장은 크기가 작은 데다 펜스까지 낮은 극 타자친화적 구장으로 소문났었다.[14] 여담으로 당시 쇼다에게 혼자 5도루(마지막 6번째 도루는 교체 출장한 나카무라 타케시가 허용했다.)를 허용한 포수가 당시 막 1군에 올라온 신인 시절의 야마사키 타케시로, 이 경기에서의 자동문 수비(...) 때문에 수뇌진에게 포수로썬 못 써먹겠다고 찍혀서 이후 1루수, 외야수에 전념하게 되었다.[15] 쇼다에게 도루왕을 빼앗긴 토마시노 켄지는 이해 센트럴리그 신인왕을 수상했지만 이후엔 신인 시즌만큼의 활약을 보여주지 못하고 준주전, 백업 정도로만 머무르다 1998년 히로시마로 이적하여 쇼다와 같은 팀에서 뛰게 되었고, 여기서도 백업에 머물다 다음 해에 은퇴했다.[16] 여담이지만 타격 지도를 받는 선수가 이승엽이다. 사진 왼쪽의 3번 선수가 이승엽.[17] 오카다는 쇼다의 선수협 회장 전임자이기도 하다.[18] 예전 김기태 감독과 같이 있던 전설적인 타자 훌리오 프랑코의 지론과 일맥상통한다.[19] 0.970, 2위 두산 0.896[20] 이런 이유로 2020년 9월경 KBO 모 구단에서 타격코치로 영입 제의가 있었지만 거절했다고 한다.[21] 이진우. 통역을 하기 전에는 팀 내 불펜 포수였으며, 전역을 한 뒤 다시 팀에 합류하여 통역을 소화 중. 어린 시절 일본에서 자라서 일본어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고 한다. 이진우의 친형도 2군에서 일본어 통역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