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561> | KBO 퓨처스리그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북부리그 | ||||
| | | | | |
남부리그 | |||||
| | | | | |
상무 피닉스 야구단 | |||||
| |||||
번외 구단 | |||||
|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 | |||||
* KBO 퓨처스리그는 한국야구위원회에 가입한 구단만이 참여할 수 있는 리그로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3군을 비롯한 번외 구단과의 경기는 공식 기록에 반영하지 않는다. | |||||
과거 참가 구단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e0e2d><tablebgcolor=#ce0e2d> | SSG 랜더스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fb81c,#e5e5e5 | 일반 문서 | ||
핵심 인물 | 구단주 정용진|대표이사 김재섭|단장 김재현|감독 이숭용|2군 감독 박정권|주장 김광현 | ||
구단 세부정보 | SK 와이번스(2000~2021)|SSG 랜더스(2021~) | ||
경기장 | 1군 인천 SSG 랜더스필드|2군 강화 SSG 퓨처스필드 이전 경기장 숭의야구장|SK 드림파크|송도LNG야구장 건설 예정 경기장 청라 돔 야구장(건설 과정)(가칭) | ||
주요 문서 | 신세계그룹 |역사|선수단|등번호|유니폼|응원가|2군|사건·사고|관련 기록/SK|관련 기록/SSG|가을쓱|흥참동|스타 플레이어|쓱나쌩 · 쓱상바 클럽|벌떼야구|불타는 그라운드 웨시퍼|서태훈|최신맥주|후니하니|노이조|응원단|쓱튜브|SSG 랜더스 갤러리|상대 전적 | ||
라이벌전 | 두산전|항구 시리즈|수인선 시리즈 | ||
우승 | 2007년 한국시리즈(V1)|2008년 한국시리즈(V2)|2010년 한국시리즈(V3)|2018년 한국시리즈(V4)|2022년 한국시리즈(V5) | ||
2026 시즌 | 2026년|스토브리그|시범경기|3~4월|5월|6월|7월|8월|9월 | ||
틀 문서 | |||
역대 시즌|단장|감독|주장|응원단장|장내 아나운서|프런트|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 | }}}}}}}}}}}} |
| |||||||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SSG 랜더스 | |||||||
SSG Landers | |||||||
창단 | 2000년([age(2000-01-01)]주년) | ||||||
법인 설립 | 2000년 3월 22일([age(2000-03-22)]주년) | ||||||
법인명 | ㈜신세계야구단 | ||||||
업종명 | 스포츠 클럽 운영업 | ||||||
상장 유무 | 비상장 기업 | ||||||
기업 규모 | 대기업 | ||||||
구단명 변천 | SK 와이번스 2군 (2000~2020) SSG 랜더스 2군 (2021~) | ||||||
모기업 | 이마트 | ||||||
연고지 변천 | 인천광역시 | ||||||
중구 (2000, 2007~2008) 남구 (2001~2006) 연수구 (2009~2014) 강화군 (2015~ ) 영종구 (미정) | |||||||
구단주 | 정용진 | ||||||
사장 | 민경삼 | ||||||
단장 | 김재현 | ||||||
감독[1] | 박정권 | ||||||
소속 리그 변천 | 북부리그 (2000~2014, 2016~ ) 중부리그 (2015)[2] | ||||||
홈구장 변천 | 숭의야구장 (2000) SK 드림파크 (2001~2006) 숭의야구장 (2007~2008)[3] 송도LNG야구장 (2009~2014) 강화 SSG 퓨처스필드 (2015~ ) | ||||||
1군 | SSG 랜더스 | ||||||
워드 마크 | | ||||||
퓨처스리그 우승 (1회) | |||||||
북부리그 | 2003년 | ||||||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e0e2d><colcolor=#ffffff> 최고 승률 | <colcolor=#1f2023,#ffffff> 0.639 2003년 66경기 39승 5무 22패 | |||||
최저 승률 | 0.315 2009년 89경기 28승 12무 49패 | ||||||
최다 승 | 51승 2024년 103경기 51승 0무 52패 | ||||||
최다 패 | 54패 2022년 98경기 39승 5무 54패 | }}}}}}}}} |
1. 개요
SSG 랜더스의 2군.2. 역사
2015년부터 퓨처스리그가 3대리그로 개편됨에 따라 중부리그 소속이었다가 2016년 다시 양대리그로 회귀하면서 북부리그 소속이 되었다.
2021년부터 신세계의 SK 와이번스 인수로 SSG 랜더스 2군이라는 명칭으로 퓨처스리그에 참가하고 있다.
3. 홈구장
3.1. 강화 SSG 퓨처스필드
| |
SSG 랜더스 | |
강화 SSG 퓨처스필드 (Ganghwa SSG Futures Field) | |
<colbgcolor=#ce0e2d><colcolor=#fff> 기공 | 2013년 4월 8일 |
개장 | 2015년 4월 1일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길상면 길상로 242-30 |
홈 구단 | SSG 랜더스 2군 |
면적 | 11만 5386㎡ |
크기 | 좌우 98m, 중앙 120m[10] |
건설 비용 | 450억 원[11] |
|
참고하십시오. |
3.2. 2군 연습구장 이전 : 강화도 → 운염도
랜더스 구단의 모기업인 신세계그룹은 2027년 준공 예정인 청라 돔 야구장과의 접근성을 고려해 청라국제도시 쪽에 2군 야구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 중인 상황이다. 현재 대상 부지를 찾고 있는 중으로, 연내 건축 변경 인허가 등 청라 돔구장 건립에 대한 행정 절차를 마무리한 후 2군 야구장 구상을 구체화할 전망이다.스포츠조선 나유리 기자는 구단에서 강화 2군 구장이 너무 고립된 위치에 있는지라[12] 마이너스 효과를 낳았으며 그동안 여러 사건사고가 터지는 등 내부적으로 곪았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정세영 SSG 랜더스 전담 기자는 류선규 단장 시절부터 그룹 차원에서 구장 이전에 대해 논의했으며 당시에는 영종도로 생각했다고 한다. 정황상 SK 시절이던 2020년 2군 음주운전 및 기합 사건 이후부터 논의를 한 것으로 추측되며 구단이 신세계그룹으로 넘어간 이후인 2023년에도 2군 선수단 내 폭행 및 가혹 행위 논란이 발생하면서 아예 2군 구장을 이전하는 쪽으로 결정지은 것으로 보인다.
만약 청라국제도시 내부 또는 청라에서 멀지 않은 인천 서구에 2군 야구장이 지어질 경우 2006년 용현동 드림파크 폐쇄 이후 20여년 만에 2군 야구장이 인천 본토 지역으로 회귀하게 된다. SSG 측이 2군 경기장을 옮기겠다고 나서자 인천광역시 측이 문학경기장을 2군 경기장으로 써달라는 요구를 했지만 SSG 측이 이를 거절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보도 이후 1년여가 지난 2025년 2군 연습구장의 이전 예정지가 공개됐는데 당초 언급됐던 청라가 아니라 영종대교 중간에 있는 작은 섬 운염도로 결정됐다. 이마트가 운염도 내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부지 중 일부인 8만1087㎡를 2025년 6월 367억1000만원에 낙찰받았고 이 자리에 퓨처스필드를 새로 짓겠다고 선언했다. 새로 이전되는 퓨처스필드 부지에서 1군 신규 홈구장인 청라 돔 야구장까지의 거리는 불과 10㎞이며 자동차로 10분만 이동하면 된다. 청라~강화 간 약 40㎞의 길을 40여분간 달려야 하는 것과 비교하면 확실히 가까워지는 것이다. 다만 2006년 인천 본토를 떠났던 2군 야구장의 본토 회귀는 무산됐다. 아울러 과거 송도LNG야구장 시절부터 섬에 있는 경기장을 홈으로 쓰는 기막힌 우연을 갖게 됐다.
2군 연습구장을 강화에서 영종으로 이전할 경우의 장점으로는 1군과 2군 선수단 모두에게 긴장감을 주고 각각의 경기장을 유동적으로 활용하는데 이점을 가질 수 있다. 1군은 홈구장 잔디 회복기에[13] 2군 야구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유망주로 구성된 2군 선수단에게는 1군과 함께 연습할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점이 거론된다.
다만 농촌 지역인 강화에서 사실상의 도시 한복판인 영종에 2군 야구장을 두면 혈기왕성한 어린 유망주들이 야구에 오롯이 집중하기 어렵다는[14] 점은 새 2군 경기장의 단점으로 볼만하다. 다행히 운염도에서 가까운 청라는 인천의 다른 신도시보다 유흥시설이 적은 편에 속하지만 청라에서 택시를 타고 15분 정도만 가면 서구청역 또는 석남역 인근 유흥가 접근이 가능하고[15] 30분 정도만 나가면 계양구청 인근 유흥가나[16] 부평역 인근 유흥가로[17]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2019년부터 창원시내 한복판에 있는 마산 야구장을 홈으로 두고 대부분의 2군 선수들이 창원시내에 거주하면서도 큰 사건사고 없이 2군을 운영하고 있는 NC 다이노스 2군, 서울과 가까운 고양시에 홈구장을 두고도 선수단의 일탈 관련 사건사고 없이 팀이 운영되는 고양 히어로즈[18]의 사례를 볼 때 2군 야구장의 위치보다 구단의 선수단 관리 여부가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운염도가 자가용이 아니고서는 출입이 어려운 섬이고 인천시내로 놀러 나가기가 쉽지 않은 섬이라는 점이다. 당초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 개발 과정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세계한상역이 세워질 계획이 있었지만 경제성 부족으로 역 신설 계획이 아예 사라지는 바람에 구단 버스나 택시, 자가용이 아니면 청라 등 인천 본토나 영종으로 갈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추후 운염도로 시내버스가 들어올 가능성도 있지만 확실하지는 않다.
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ce0e2d> | SSG 랜더스 2군 역대 감독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초대 | 2대 | 3대 | 4대 | 5대 |
김충 (2000) | 김종윤 (2001~2002) | 조창수 (2002) | 박종훈 (2003) | 김대진 (2003~2004) | |
<rowcolor=#fff>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
김동재 (2005) | 권두조 (2005) | 김대진 (2006) | 계형철 (2007~2010) | 이만수 (2010) | |
<rowcolor=#fff>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
계형철 (2010) | 이만수 (2011) | 김용희 (2011~2013) | 박경완 (2014) | 세이케 (2015) | |
<rowcolor=#fff>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
김경기 (2016) | 김무관 (2017~2018) | 이종운 (2019~2020) | 조원우 (2021) | 김석연 (2021) | |
<rowcolor=#fff> 21대 | 22대 | 23대 | 24대 | | |
플레처 (2022) | 이대수 (2023) | 손시헌 (2024) | 박정권 (2025~) | ||
20대부터 22대까지는 총괄코치 직함 사용. | }}}}}}}}} |
5. 역대 성적
년도 | 소속 리그 | 팀명 | 순위 | 경기수 | 승 | 무 | 패 | 승률 | 비고 |
<colbgcolor=#000000> 2000년 | <colbgcolor=#055099> 북부리그 | SK 와이번스 2군 | 4위/4팀 | 60 | 27 | 2 | 31 | 0.466 | |
2001년 | 2위/5팀 | 60 | 26 | 9 | 25 | 0.510 | |||
2002년 | 2위/5팀 | 60 | 30 | 5 | 25 | 0.545 | |||
2003년 | 1위/5팀 | 66 | 39 | 5 | 22 | 0.639 | |||
2004년 | 3위/5팀 | 72 | 26 | 10 | 36 | 0.419 | |||
2005년 | 2위/5팀 | 76 | 37 | 9 | 30 | 0.552 | |||
2006년 | 6위/6팀 | 76 | 26 | 6 | 44 | 0.371 | |||
2007년 | 2위/6팀 | 84 | 44 | 7 | 33 | 0.571 | |||
2008년 | 4위/6팀 | 84 | 40 | 6 | 38 | 0.513 | |||
2009년 | 6위/6팀 | 89 | 28 | 12 | 49 | 0.315 | |||
2010년 | 4위/5팀 | 102 | 46 | 6 | 50 | 0.451 | |||
2011년 | 4위/5팀 | 102 | 43 | 12 | 47 | 0.478 | |||
2012년 | 4위/5팀 | 92 | 36 | 10 | 46 | 0.439 | |||
2013년 | 2위/5팀 | 92 | 47 | 6 | 39 | 0.547 | |||
2014년 | 4위/6팀 | 89 | 37 | 13 | 39 | 0.487 | |||
2015년 | 중부리그 | 3위/4팀 | 102 | 41 | 8 | 53 | 0.436 | ||
2016년 | 북부리그 | 4위/6팀 | 96 | 44 | 8 | 44 | 0.500 | ||
2017년 | 2위/6팀 | 91 | 46 | 7 | 38 | 0.548 | |||
2018년 | 4위/6팀 | 96 | 44 | 4 | 46 | 0.455 | |||
2019년 | 5위/5팀 | 90 | 38 | 7 | 45 | 0.458 | |||
2020년 | 5위/5팀 | 74 | 24 | 5 | 45 | 0.348 | |||
2021년 | SSG 랜더스 2군 | 4위/5팀 | 83 | 31 | 5 | 47 | 0.397 | ||
2022년 | 4위/5팀 | 98 | 39 | 5 | 54 | 0.419 | |||
2023년 | 4위/5팀 | 92 | 42 | 1 | 49 | 0.462 | |||
2024년 | 2위/5팀 | 103 | 51 | 0 | 52 | 0.495 | |||
2025년 | 3위/5팀 | 94 | 43 | 0 | 51 | 0.457 |
6. 역대 KBO 퓨처스리그 타이틀홀더 명단
역대 KBO 퓨처스리그 타이틀홀더 | |||||
<rowcolor=#000> 연도 | 리그 | 부문 | 수상자 | 기록 | 비고 |
<colbgcolor=#c0c0c0,#696969> 2002 | 북부 | 평균자책점 | 김기덕 | 2.17 | |
타율 | 김재구 | .354 | |||
타점 | 43타점 | ||||
2003 | 북부 | 다승 | 오승준 | 9승 | |
2004 | 북부 | 평균자책점 | 김경태 | 2.33 | |
타율 | 박정권 | .361 | |||
2005 | 북부 | 평균자책점 | 김선규 | 1.61 | |
타율 | 박정권 | .369 | [상무] | ||
홈런 | 김재구 | 13홈런 | |||
타점 | 55타점 | ||||
2012 | 북부 | 타점 | 이재원 | 76타점 | [상무] |
2013 | 남부 | 다승 | 박종훈 | 13승 | [상무] |
2015 | 통합 | 홈런 | 한동민 | 21홈런 | [상무] |
2016 | 남부 | 홈런 | 22홈런 | ||
타점 | 94타점 | ||||
2020 | 북부 | 다승 | 최민준 | 7승 | [상무] |
2022 | 남부 | 다승 | 이원준 | 10승 | [상무] |
타점 | 최준우 | 83타점 |
7. 역대 KBO 퓨처스 올스타전 출전 선수 명단
역대 KBO 퓨처스 올스타전 출전 선수 | |||||
<rowcolor=#000> 연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지명타자 |
<colbgcolor=#c0c0c0,#696969> 2007 | 김광현 강승훈 | 김형철 | 박윤 | ||
2008 | 오민철 | 김용섭 | 이명기 김재현 | 윤상균 | |
2009 | 여건욱 김상록 | 권영진 | 이명기 | ||
2010 | 박종훈 윤석주[25] | 하지호 | 안준형 | ||
2011 | 박종훈 여건욱 최원재 | 박계현 | 박정환 | ||
2012[우천취소] | 백인식 | 모창민 박승욱 | 김도현 정진기 | ||
2013 | 임치영 | 김민식 | 박계현 박승욱 | 정진기 | |
2014 | 이상백 이승진[27] 정영일 | 박인성 | 김도현 | ||
2015 | 문승원 김정빈 박규민 정영일 | 임재현 | 조용호 | ||
2016 | 이건욱 이승진 조영우 | 노관현 최정용 | 한동민 이진석[28] | ||
2017 | 정동윤 | 최정용 | 류효용 최민재 | ||
2018 | 이원준 조한욱 | 이현석 | 안상현 임석진 | 조용호 | |
2019[우천취소] | 이원준 | 전경원 | 최준우 | 채현우 | |
2022 | 신헌민 유호식 | 조형우 | 석정우 최준우 | 임근우 | |
2023 | 서상준 | 김건이[30] | 류효승 전진우[31] | 김정민 | |
2024 | 최현석 | 조형우 | 허진 | 정현승 | 이승민 |
2025 | 한지헌 | 이율예 | 최윤석 | 박정빈 이승민 | |
* 당시 상무 혹은 경찰 소속이었던 경우 이태릭체. |
[1] 2022년 20대 김석연부터 2023년 22대 이대수까지 총괄 코치 명칭을 사용했다.[2] KBO가 2015 시즌 퓨처스리그의 각 리그 이름을 블루리그(북부), 레드리그(중부, 신설), 옐로우리그(남부)로 정했는데 정작 시즌 들어가면서 해당 명칭은 사라지고 북부/중부/남부리그로 불리게 되었다. 중부리그는 2015년에만 운영되었다.[3] 2008년 중 철거해서 후반기엔 홈구장이 없는 상태였다.[4] 통산 2933경기 .286/.339/.480/.819 fWAR 83.8 bWAR 93.5.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입성, 텍사스 레인저스 명예의 전당 입성, 텍사스 레인저스 영구결번,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4회, 아메리칸 리그 3루수 골드 글러브 5회, 내셔널 리그 3루수 실버 슬러거, 아메리칸 리그 3루수 실버 슬러거 3회, 아메리칸 리그 3루수 플래티넘 글러브 2회, 필딩 바이블 3루수 3회, 내셔널 리그 홈런왕 1회, 아메리칸 리그 타격왕 1회, 사이클링 히트 3회.[5] 통산 423경기 2698이닝 163승 122패 ERA 3.43, fWAR 51.6 bWAR 58.3, 월드 시리즈 우승 1회, 월드 시리즈 MVP 1회, 챔피언십 시리즈 MVP 1회, 베이브 루스 상 1회,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 4회.[6] 창단 직후부터 용현동 드림파크 경기장이 지어지기 전까지는 숭의야구장을 1군과 같이 썼다. 물론 2군 홈경기는 1군이 이 구장을 안 쓰는 날에 치렀다.[7] SK 드림파크의 철거로 갈 곳이 없어지자 숭의야구장으로 돌아갔지만 숭의야구장도 인천축구전용경기장 신축 관계로 철거되면서 송도LNG야구장으로 경기장을 옮겨야 했다.[8] SK에너지 인천저유소 내 부지 일부에 조성됐던 SK 와이번스 구단 역사상 최초의 연습구장. 바로 옆에는 부천 SK 축구단 숙소와 연습구장도 있었다. 이 경기장이 완성되면서 와이번스의 2군 선수 육성 시스템도 서서히 체계화됐는데 2000년대 초 SK에 입단해 드림파크에서 자라났던 신인이 훗날 SK 왕조 시절의 주역으로 성장하는 김강민, 박재상, 조동화 등이다. 그러나 SK에너지가 인천저유소를 없애고 이 자리에 SK건설이 SK뷰 아파트를 건립하기로 함과 함께 옆집 부천 축구단은 제주로의 연고지 이전을 결정하면서 드림파크는 철거됐다. 이후부터 한동안 SK 와이번스는 2군 클럽하우스와 전용 연습구장이 없는 채로 구단을 운영해야 했다. 훗날 이 자리에는 인천 SK 스카이뷰 아파트가 들어섰다.[9] 인근에 위치한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시설로 인해 악취가 심한 경기장이었다. 실제로 악취로 인해 경기 도중 콜드게임이 선언된 적도 있었다.#[10] 좌우길이가 95m인 문학보다도 길다.[11] 토지 구입비 250억 원+공사비 200억 원[12] 원래 경기도 산하 행정구역이었던 강화군은 1995년 3월 1일을 기해 인천광역시 산하 행정구역으로 편입돼서 인천의 일원이 됐고 30여년간 인천의 행정구역 중 일부로 분류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인천과 강화는 별도의 생활권으로 취급된다. 본토 거주 인천시민들은 "강화가 왜 인천인가?"라고 하고 강화군민들은 "왜 우리가 인천시민인가?"라고 물어볼 정도로 도시 정체성부터 다른 지역이다. 게다가 서해남북평화도로가 개통되지 않는 이상 인천 본토에서 강화를 가려면 어떻게든 김포시를 거쳐서 가야 하고 이마저도 물리적 거리의 문제, 교통 체증의 문제로 인한 불편이 크다. 실제로 강화군청에서도 강화 출신 대학생들을 위한 향토학사를 서울에 낼 정도로 위치가 매우 안 좋다.[13] 청라 돔구장은 인조잔디 그라운드이기 때문에 천연잔디 그라운드보다 잔디 회복 속도가 느린 편이다. 목동 야구장의 인조잔디가 악평을 받았던 것은 프로야구와 아마야구가 쉴틈없이 그라운드를 쓰는 바람에 잔디가 회복될 일이 없었기 때문이다.[14] NC 2군(경남 창원)과 키움 2군(경기 고양)을 제외한 나머지 8개 구단의 2군 야구장은 전부 1군 연고지에서 다소 거리가 먼 한적한 농촌 지역에 있다. 각 팀들이 너나 할 것 없이 한적한 농촌 지역에 2군 야구장을 짓게 된 이유는 과거 LG 트윈스가 썼던 구리 야구장의 악명 때문으로 알려졌다.[15] 인천 서구에서 유흥업소가 가장 많은 곳이 심곡동과 석남동 쪽이다.[16] 인천에서 제일 유명한 나이트클럽인 '아라비안나이트'가 있는 곳이다.[17] 구월동 로데오거리와 더불어 인천에서 가장 번화한 유흥가다.[18] 다만 고양 히어로즈는 코치, 트레이너, 영양사 등의 지원 부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상무] [상무] [상무] [상무] [상무] [상무] [25] 박희수의 대체 선수[우천취소] [27] 허건엽의 대체 선수로 발탁.[28] 김동엽의 대체 선수[우천취소] [30] 김건웅의 대체 선수[31] 최유빈의 대체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