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27 00:08:08

니시무라 노리후미

니시무라 노리후미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엠블럼.svg치바 롯데 마린즈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49년 ~ 현재
초대
유아사 요시오
(1950~1952)
2대
와카바야시 타다시
(1953)
3대
벳토 카오루
(1954~1959)
4대
니시모토 유키오
(1960)
5대
우노 미츠오
(1961~1962)
6대
혼도 야스지
(1963~1965)
7대
타마루 히토시
(1966)
8대
토쿠라 카츠키
(1967)
9대
노닌 와타루
(1967~1971)
10대
오사와 케이지
(1971~1972)
11대
카네다 마사이치
(1973~1978)
12대
야마우치 카즈히로
(1979~1981)
13대
야마모토 카즈요시
(1982~1983)
14대
이나오 카즈히사
(1984~1986)
15대
아리토 미치요
(1987~1989)
16대
카네다 마사이치
(1990~1991)
17대
야기사와 소로쿠
(1992~1994)
18대
바비 발렌타인
(1995)
19대
에지리 아키라
(1996)
20대
콘도 아키히토
(1997~1998)
21대
야마모토 코지
(1999~2003)
22대
바비 발렌타인
(2004~2009)
23대
니시무라 노리후미
(2010~2012)
24대
이토 츠토무
(2013~2017)
25대
이구치 타다히토
(2018~2022)
26대
요시이 마사토
(2023~2025 )
27대
오오무라 사부로
(2026~ )
28대 29대 30대
: 일본시리즈 우승 / : 퍼시픽리그 우승
21대 감독 야마모토 코지는 히로시마 도요 카프에서 뛴 야마모토 코지와는 이름 한자가 다른 동명이인이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19><tablebgcolor=#000019> 파일:오릭스 버팔로즈 엠블럼.svg오릭스 버팔로즈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36년 ~ 현재
초대
미야케 다이스케
(1936~1937)
2대
무라카미 미노루
(1937)
3대
야마시타 미노루
(1938~1939)
4대
무라카미 미노루
(1939)
5대
야마시타 미노루
(1940)
6대
이노카와 토시하루
(1940~1942)
7대
니시무라 마사오
(1943~1947)
8대
하마자키 신지
(1947~1953)
9대
니시무라 마사오
(1954~1956)
10대
후지모토 사다요시
(1957~1959)
11대
토쿠라 카츠키
(1959~1962)
12대
니시모토 유키오
(1963~1973)
13대
우에다 토시하루
(1974~1978)
14대
카지모토 타카오
(1979~1980)
15대
우에다 토시하루
(1981~1990)
16대
도이 쇼조
(1991~1993)
17대
오기 아키라
(1994~2001)
18대
이시게 히로미치
(2002~2003)
19대
레온 리
(2003)
20대
이하라 하루키
(2004)
21대
오기 아키라
(2005)
22대
나카무라 카츠히로
(2006)
23대
테리 콜린스
(2007~2008)
24대
오오이시 다이지로
(2008~2009)
25대
오카다 아키노부
(2010~2012)
26대
모리와키 히로시
(2013~2015)
27대
후쿠라 준이치
(2016~2018)
28대
니시무라 노리후미
(2019~2020)
29대
나카지마 사토시
(2021~2024)
30대
키시다 마모루
(2025~)
:일본시리즈 우승 / : 퍼시픽리그 우승
}}}}}}}}}}}}}}} ||

파일:치바 롯데 마린즈 우승 엠블럼 V4.svg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2010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도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카리타 히사노리
도쿄 세네터스 / 16개
야마구치 마사노부
오사카 / 29개
시마 히데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2개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22개
에구치 유키오
나고야킨코군 / 14개
사사키 츠네스케
나고야킨코군 / 20개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야마다 덴
한큐군 / 30개
고미 요시오
나고야킨코군 / 30개
이시다 마사요시
나고야군 / 32개
츠보우치 미치노리
아사히군 / 26개
츠보우치 미치노리
아사히군 / 44개
야마다 덴
한큐군 / 56개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이시이 마사유키
한신군 / 19개
하기하라 히로시
도쿄쿄진군 / 19개
카와니시 토시오
킨키그레이트링 / 39개
카와니시 토시오
난카이 / 53개
카와니시 토시오
난카이 / 66개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9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 74개
츠치야 마사타카
코쿠테츠 / 52개
카나야마 지로
쇼치쿠 / 63개
카나야마 지로
히로시마 / 58개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5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혼다 이츠로
주니치 / 42개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50개
이이다 토쿠지
코쿠테츠 / 40개
오카지마 히로지
주니치 / 47개
오카지마 히로지
주니치 / 41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카 토시오
주니치 / 50개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 35개
코노 아키테루
주니치 / 26개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50개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 57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44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46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70개
코바 타케시
히로시마 / 39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5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토죠 후미히로
야쿠르트 / 28개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 38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45개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28개
나카츠카 마사유키
타이요 / 28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오시타 츠요시
히로시마 / 44개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31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4개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34개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55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38개
아오키 미노루
야쿠르트 / 34개
마츠모토 타다시
요미우리 / 61개
마츠모토 타다시
요미우리 / 76개
타카기 유타카
타이요 / 56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타카하시 요시히코
히로시마 / 73개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48개
히라노 켄
주니치 / 48개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48개
야시키 카나메
타이요 / 33개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가타 코이치
요미우리 / 33개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3개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1개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 33개
오가타 코이치
요미우리 / 24개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24개
노무라 켄지로
히로시마 / 37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47개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50개
오가타 코이치
히로시마 / 49개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9개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9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시이 타쿠로
요코하마 / 35개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39개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26개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1개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4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 60개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1개
아라키 마사히로
주니치 / 31개
후쿠치 카즈키
야쿠르트 / 42개
후쿠치 카즈키
야쿠르트 / 42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소요기 에이신
히로시마 / 43개
후지무라 다이스케
요미우리 / 28개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 32개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29개
카지타니 타카유키
DeNA / 39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4개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0개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5개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3개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6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1개
나카노 타쿠무
한신 / 30개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0개
치카모토 코지
한신 / 28개
치카모토 코지
한신 / 19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치카모토 코지
한신 / 32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78개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5개
키즈카 타다스케
난카이 / 55개
래리 레인즈
한큐 / 61개
스즈키 타케시
킨테츠 / 7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 59개
코노 아키테루
한큐 / 85개
코노 아키테루
한큐 / 56개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8개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8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로베르토 바르본
한큐 / 32개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42개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50개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45개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72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9개
야마모토 코시
한큐 / 32개
니시다 타카유키
도쿄 오리온즈 / 32개
야스이 토시노리
킨테츠 / 54개
사카모토 토시조
한큐 / 47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75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7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106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95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94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3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2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1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70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60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54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60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46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마츠나가 히로미
한큐 / 38개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6개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41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41개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55개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42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51개
오노 히사시
다이에 / 42개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40개
오오이시 다이지로
킨테츠 / 31개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 37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49개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 58개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62개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43개
코사카 마코토
롯데 / 43개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32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코사카 마코토
롯데 / 33개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44개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 41개
이구치 타다히토
다이에 / 42개
카와사키 무네노리
다이에 / 42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41개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3개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38개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0개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1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카타오카 야스유키
세이부 / 59개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59개
혼다 유이치
소프트뱅크 / 60개
히지리사와 료
라쿠텐 / 54개
양다이강
닛폰햄 / 47개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43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시마 타쿠야
닛폰햄 / 34개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53개
카네코 유지
세이부 / 53개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39개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44개
카네코 유지
세이부 / 41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50개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 24개
겐다 소스케
세이부 / 24개
오기노 타카시
롯데 / 24개
와다 코시로
롯데 / 24개
타카베 아키토
롯데 / 44개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36개
코부카타 히로토
라쿠텐 / 36개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41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 35개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수위타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나카네 스스무
나고야군 / .376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338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33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45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61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38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 .321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310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286
이시이 마사유키
도쿄쿄진군 / .300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오쿠무라 토시아키
킨키닛폰 / .369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 .347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15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06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 .361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362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77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353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47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61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338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38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343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 .320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3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53
모리나가 카츠야
히로시마 / .307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1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23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 .336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44
나카 토시오
주니치 / .343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45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25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320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2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55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32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19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55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358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 .348
펠릭스 미얀
타이요 / .346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369
후지타 타이라
한신 / .358
나가사키 케이이치
타이요 / .351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 .353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4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350
랜디 바스
한신 / .389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33
쇼다 코우조
히로시마 / .340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378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치오렉
타이요 / .326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340
잭 하웰
야쿠르트 / .331
토마스 오말리
한신 / .329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24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55
알론조 파웰
주니치 / .340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5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337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369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킨죠 타츠히코
요코하마 / .346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33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43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340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 .337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4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35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46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378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322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358
초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316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340
토니 블랑코
DeNA / .333
맷 머튼
한신 / .338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카와바타 신고
야쿠르트 / .336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344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3
다얀 비시에도
주니치 / .34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35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 .32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317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18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326
타일러 오스틴
DeNA / .316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30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39
오시타 히로시
토큐 / .383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 .336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318
래리 레인즈
한큐 / .337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32
토요다 야스미츠
니시테츠 / .325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331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4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 .323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에노모토 키하치
다이마이 / .34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74
잭 브룸필드
킨테츠 / .335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 .366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20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35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33
나가부치 요조
킨테츠 / .333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83
에토 신이치
롯데 / .337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358
카토 히데지
한큐 / .337
하리모토 이사오
닛폰햄 / .340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백인천
타이헤이요클럽 / .319
요시오카 사토루
타이헤이요클럽 / .309
아리토 미치요
롯데 / .329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54
카토 히데지
한큐 / .364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레론 리
롯데 / .358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6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5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32
부머 웰즈
한큐 / .355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7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60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366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 .327
부머 웰즈
한큐 / .322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 .338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 .314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 .322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19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5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2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6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5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58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43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스즈키 이치로
오릭스 / .387
후쿠우라 카즈야
롯데 / .346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40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60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358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 .322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324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334
릭 쇼트
라쿠텐 / .332
츠치야 텟페이
라쿠텐 / .327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니시오카 츠요시
롯데 / .346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338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12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 .341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331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63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 .33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 .322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352
모리 토모야
세이부 / .329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50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339
마츠모토 고
닛폰햄 / .347
톤구 유마
오릭스 / .307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314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마키하라 타이세이
소프트뱅크 / .304
}}}}}}}}}}}}}}} ||
}}}}}}}}}}}} ||

}}} ||
파일:이미지_2024-04-19_011324012.png
니시무라 노리후미
西村徳文 / Norifumi Nishimura
생년월일 1960년 1월 9일 ([age(1960-01-09)]세)
미야자키쿠시마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미야자키현립 후쿠시마 고등학교
포지션 외야수, 2루수, 3루수
투타 우투양타
프로입단 1981년 드래프트 5위
소속팀 롯데 오리온즈-치바 롯데 마린즈 (1982~1997)
지도자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내야수비·주루코치 (1998)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외야수비·주루코치 (1999)
치바 롯데 마린즈 2군 외야수비·주루코치 (2000)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외야수비·주루코치 (2001)
치바 롯데 마린즈 2군 외야수비·주루코치 (2002~2003)
치바 롯데 마린즈 1군 수석·외야수비·주루코치 (2004~2009)
치바 롯데 마린즈 감독 (2010~2012)
오릭스 버팔로즈 1군 수석코치 (2016~2018)
오릭스 버팔로즈 감독 (2019~2020[1])

1. 개요2. 프로 데뷔 이전3. 현역 시절4. 치바 롯데 마린즈 코치/감독 시절5. 오릭스 버팔로즈 코치/감독 시절6. 기타7. 관련 문서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선수, 코치, 해설자이자 前 오릭스 버팔로즈 감독. 애칭은 '달리는 쇼군(走る将軍)'

현역 시절엔 4번의 도루왕과 1번의 수위타자를 차지한 롯데 오리온즈/치바 롯데 마린즈프랜차이즈 스타 리드 오프였으며, 은퇴 후에도 치바 롯데 마린즈에서 코치, 감독을 역임하며 2번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다. 이후 2016년부터는 오릭스 버팔로즈의 코치로 부임하였으며 2018년 시즌부터 후쿠라 준이치의 후임으로 오릭스 버팔로즈 감독을 맡게 되었으나 2020년 시즌 도중 자진 사퇴.해임

2. 프로 데뷔 이전

중학교 때부터 본격적으로 야구를 시작하여 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지만, 고등학교 1학년 때 오토바이에 눈이 간 것과 엄격한 연습에 지친 것 때문에 잠시 야구부를 나가기도 했다. 하지만 얼마안가 다시 돌아와 2학년 때 학교를 처음으로 하계 코시엔에 진출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다만 코시엔 대회에선 2회에서 타카다 상고에게 난타전 끝에 패배했다.

고등학교 졸업 후 일본국유철도 가고시마 철도 관리국[2]사회인야구부로 들어가 활동하다가 1981년 롯데 오리온즈, 야쿠르트 스왈로즈, 난카이 호크스에 드래프트 5위로 지명받아, 경합 끝에 롯데 오리온즈에 입단하면서 프로 데뷔를 이룬다.

3. 현역 시절

파일:nishimuralotte.jpg
입단 첫 해에 당시 감독이었던 야마모토 카즈요시 등의 권유를 받아 스위치 히터로 전향 후, 2년차부터 출장 기회를 늘려 3년차인 1985년에 2루수 부문 베스트나인,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며 이해부터 주전 2루수로 정착하게 되었다.

이후 롯데 타선의 주축 리드 오프로써 도루 위주의 스피드를 주무기로 한 플레이를 선보이며 1986~1989년 4년 연속으로 도루왕을 차지하였다. 하지만 여러 차례의 부상으로 인해 기량이 감퇴하며 1990년부턴 외야수로 전향했다. 그리고 외야수로 전향한 1990년에도 다시 부상을 당하며 도루 수가 현저히 줄어드는 등의 타격을 입었지만, 타법 개조 등의 노력을 가한 것이 효과를 보아 그해 타율 .338퍼시픽리그 사상 첫 스위치 히터 수위타자가 되는 영예를 안게 되었고, 외야수 부문 베스트나인골든글러브를 수상했다.

그러나 치바 롯데 마린즈 체제에 들어서면서 부상과 기량 감퇴 등으로 인해 후배들에게 밀리며 출장기회가 서서히 감소해갔고, 결국 1997년 시즌 종료 후 은퇴하였다.

통산 기록은 1298안타 33홈런 326타점 363도루, 타율 .272이며 통산 363도루는 치바 롯데 마린즈 구단 사상 최다 도루 기록이다.

4. 치바 롯데 마린즈 코치/감독 시절

파일:nishimuralottemanager.png

은퇴 이후 곧바로 치바 롯데 마린즈의 코치로 취임해 주로 수비주루 코치를 맡았고, 바비 발렌타인이 감독으로 복귀한 2004년부턴 수석 코치를 맡아 발렌타인을 보좌하여 2005년, 팀이 31년만의 퍼시픽리그 우승과 일본시리즈 우승을 이루는 데 큰 공헌을 했다. 그 후 2009년, 발렌타인이 구단 프런트와의 불화로 감독직에서 물러나면서 후임 감독으로 부임한다.

부임 첫 해엔 전해 발렌타인과 구단 프런트와의 다툼으로 팀 분위기 등이 망가진 것 등 때문에 최하위를 예상하는 목소리도 많았으나, 그 예상을 깨고 치열한 순위경쟁 끝에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를 불과 반게임차로 밀어내고 리그 3위로 이끌며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에 성공한다. 하지만 그것이 끝이 아니었으니...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에서 2위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를 2전 전승으로 밀어낸 데 이어, 파이널 스테이지에선 무려 리그 우승팀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를 부전패 포함, 1승 3패의 열세 상황에서 3연승의 리버스 스윕으로 밀어내며 클라이맥스 시리즈 도입 이래 사상 초유의, 리그 3위 팀의 일본시리즈 진출을 이끌어내는 하극상을 실현시켰다! 그것도 리그 우승팀을 상대로 부전패 등의 열세 상황에서 이끌어낸 것이기에 당연히 야구 팬들의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후 일본시리즈에서도 주니치 드래곤즈를 상대로 7차전까지 간 끝에 5년 만의 일본시리즈 우승을 이끌었고, 이해 포스트시즌에서의 하극상으로 일컬어질 정도의 엄청난 선전으로 쇼리키 마쓰타로상까지 수상한다.

파일:2010lottevictory.jpg
2010년 일본시리즈 우승 결정 후 헹가래를 받는 니시무라.

하지만 이후 2011년엔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와 저반발력 공인구 도입으로 인한 타격력 급감[3]으로 리그 최하위로 굴러떨어지고 말았고, 이듬해인 2012년에도 전반기까진 리그 1위를 차지하다가 후반기에 DTD를 시전해 리그 5위로 추락하며 결국 성적 부진의 책임을 지고 그해 시즌 종료 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5. 오릭스 버팔로즈 코치/감독 시절

이후 폭스 스포츠 등에서 해설가로 일하다가 2016년 같은 미야자키 현 출생이자 현역 시절부터 친했던 후쿠라 준이치가 감독으로 부임한 오릭스 버팔로즈의 수석 코치로 부임했고, 2018시즌 종료 후 후쿠라가 성적부진 책임을 지고 용퇴하자 감독으로 승격되었다.

하지만 오릭스 감독으로써의 첫 해인 2019년은 시작부터 최하위로 처지면서 퍼시픽리그가 1~5위부터 치열한 순위 다툼을 벌이는 것과는 상관없이 나머지 5팀과 승차가 꽤 벌어진 채로 현상 유지(...) 어째 전임 감독이 정식 감독으로 치렀던 첫 시즌이랑 비슷하기 짝이 없다. 그 뒤 8월 15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20-8로 20득점을 하며 9월 초 5위로 올라가는가 싶더니 9연패 후 다시 6위로 원상복귀. 2019년 최종 순위 6위.

일본 야구 팬들 사이에서는 西なんとか(니시 난토카)로 불린다. 그 이유는 니시무라 감독의 지명도와 이미지가 옅은 것과 함께, 경기 후 인터뷰에서 거의 매번 「なんとかしないと」(어떻게든 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말을 하기 때문.

왜인지 2020년에도 감독을 맡고 있다.[4]

2020 NPB 프로야구 개막(6/19) 이후 오릭스는 2승 10패. 2연패 후 1승, 7연패 후 1승. (선발투수 자책점 제로, 그뒤에 역전 끝내기 패배 등 패배방법이 다양하다)
아이러니하게도 니시무라 본인이 감독/코치로 있었던 치바 롯데 마린즈에게 6연패. 롯데 6연전 마지막 날에는 팀 에이스인 야마모토 요시노부(山本由伸)를 선발투수로 내고도 졌다.

이후 7월 2일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오릭스는 6-0으로 7연패를 끝내고 선발투수 스즈키 유(鈴木優) 프로그래머 아니다가 프로 입단 후 첫 승리를 하게 된다. 또한 팀 에이스 요시다 마사타카(吉田正尚)가 2020시즌 제 1호 홈런을 날렸다.

하지만 팀은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최하위를 전전하고 있으며 퍼시픽 리그의 5팀들이 상위권 경쟁에 뛰어드는 와중에도 오릭스만 압도적인 최하위에 머물렀다. 결국 2020년 8월 20일자로 성적부진에 따른 책임을 지고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공석이 된 감독자리에는 나카지마 사토시(中嶋聡) 2군 감독을 1군에 올려서 대행 체제로 잔여 시즌을 치른다.

하지만 말이 자진사퇴지 사실상 해임이라고 보는게 맞다. 나카지마 대행만 1군에 올라온것이 아니라 1, 2군 일부 코치진들의 이동도 이루어졌고, 오릭스 프론트 측에서 니시무라에게 자진사퇴 요청을 했고 니시무라 감독이 그 요청을 받아들인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6. 기타

  • 애칭 '달리는 쇼군'은 1970년대 미토 고몬 전문 배우 중 하나였던 니시무라 아키라와 이름이 비슷한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 4번이나 도루왕을 차지한 플레이 스타일과는 어울리지 않게, 의외로 중학교 때까지 그렇게까지 발이 빠르진 않았다고 한다. 다만 이때도 멀리뛰기는 6m 이상 기록했다고 한다. 이걸로 봐선 중학교 때도 어느 정도 재능은 갖췄다고 봐도 될듯.
  • 지바 롯데 감독 시절, 감독으로는 드물게 응원가[5]가 있었고, 경기에서 승리하면 외야의 울트라스들이 MR에 맞춰 춤을 추는, 일명 '니시무라 댄스' 타임이 있었다.
  • 일본의 전통 증류주인 쇼츄(焼酎)를 엄청 좋아한다. 치바 롯데 감독 시절엔 감독실에 쇼츄 병이 여러 개 보였다고.

7. 관련 문서


[1] 8월 20일 자진사퇴[2]JR 큐슈 경식 야구부[3] 이해 팀 홈런수가 고작 46개였다. 그것도 이해 홈런나카무라 타케야(48개)에게도 밀렸을 정도니..[4] 2020년 8월 20일 경기종료 후 사임.[5] 팝송 'Poetry in Motion'을 개사. 선수시절 응원가와 같은 곡이지만 가사를 바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