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00:22:30

터피 로즈

터피 로즈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53 1954 1955 1956 1957
미노하라 히로시
난카이 / 외야수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토가와 이치로
난카이 / 투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외야수
1958 1959 1960 1961 1962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츠치야 마사타카
요미우리 / 내야수
타미야 켄지로
마이니치 / 외야수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요시다 요시오
한신 / 내야수
1963 1964 1965 1966 196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외야수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 내야수
와타나베 타이스케
난카이 / 투수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1968 1969 1970 1971 1972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내야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내야수
이이시 레이지
롯데 / 외야수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1973 1974 1975 1976 1977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내야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외야수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외야수
코우노 카즈마사
롯데 / 내애수
1978 1979 1980 1981 1982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이모토 타카시
킨테츠 / 투수
오가와 토오루
킨테츠 / 외야수
이노우에 히로아키
닛폰햄 / 내야수
카와카미 세이지
주니치 / 내야수
1983 1984 1985 1986 1987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 투수
야마오키 유키히로
오릭스 / 투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포수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1988 1989 1990 1991 1992
우노 마사루
주니치 / 내야수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외야수
오카자키 카오루
요미우리 / 내야수
카와구치 카즈히사
히로시마 / 투수
오카모토 요이치
요미우리 / 투수
1993 1994 1995 1996 1997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코바야시 히로시
킨테츠 / 투수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 내야수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1998 1999 2000 2001 2002
오오츠카 코지
세이부 / 외야수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죠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2003 2004 2005 2006 2007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외야수
이노우에 카즈키
주니치 / 외야수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포수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2008 2009 2010 2011 2012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외야수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 포수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외야수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투수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외야수
2013 2014 2015 2016 2017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외야수
랜디 메신저
한신 / 투수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내야수
[[브래드 엘드레드|브래드]]
히로시마 / 내야수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내야수
2018 2019 2020 2021 2022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외야수
카메이 요시유키
요미우리 / 외야수
토고 쇼세이
요미우리 / 투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호세 오수나
야쿠르트 / 내야수
2023 2024 2025 2026 2027
쿠레바야시 코타로
오릭스 / 내야수
이마미야 켄타
소프트뱅크 / 내야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내야수
유키 스스무
난카이 / 투수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내야수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외야수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투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장훈
토에이 / 외야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요네다 테츠야
한큐 / 투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투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외야수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내야수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투수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부머 웰즈
한큐 / 내야수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외야수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궈타이위안
세이부 / 투수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투수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조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투수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내야수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투수
다르빗슈 유
소프닛폰햄 / 투수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투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외야수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40 1947 1948 1949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이와모토 요시유키
쇼치쿠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미나미무라 후카시
요미우리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한신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타미야 켄지로
오사카
사카자키 카즈히코
요미우리
모리 토오루
주니치
오와다 아키라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모리 토오루
주니치
나카 토시오
주니치
나미키 테루오
오사카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나미키 테루오
한신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모리나가 카츠하루
히로시마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후지이 에이지
한신
에토 신이치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게마츠 쇼조
타이요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에토 신이치
주니치
나카 아키오
주니치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나카 아키오
주니치
콘도 카즈히코
타이요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토 신이치
주니치
데이브 로버츠
산케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히로시마
데이브 로버츠
아톰즈
야마모토 카즈요시
히로시마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니카 아키오
주니치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미즈타니 지츠오
히로시마
타카다 시게루
요미우리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에지리 아키라
타이요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스에츠구 토시마츠
요미우리
진 마틴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이노우에 히로아키
주니치
로저 레포즈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하리모토 이사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찰리 매뉴얼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마이크 라인백
한신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짐 라이틀
히로시마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나가사키 케이지
타이요
타오 야스시
주니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마츠모토 타다시
타이요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스기우라 토오루
야쿠르트
야마사키 류조
히로시마
마유미 아키노부
한신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요시무라 사다아키
요미우리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짐 파초렉
타이요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히코노 토시카츠
주니치
야마자키 켄이치
타이요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짐 파초렉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로버트 제임스 레이놀즈
타이요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래리 시츠
타이요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이이다 테츠야
야쿠르트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알론조 파웰
주니치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글렌 브렉스
요코하마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알론조 파웰
주니치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알론조 파웰
주니치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스즈키 타카노리
요코하마
마에다 토모노리
히로시마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세키카와 코이치
주니치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신조 츠요시
한신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히로시마
이나바 아츠노리
야쿠르트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시미즈 타카유키
요미우리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시마 시게노부
히로시마
터피 로즈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카호시 노리히로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타카하시 요시노부
요미우리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맷 머튼
한신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오오시마 요헤이
주니치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맷 머튼
한신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맷 머튼
한신
유헤이
야쿠르트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츠츠고 요시토모
DeNA
후쿠도메 코스케
한신
히라타 료스케
주니치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츠츠고 요시토모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네프탈리 소토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사노 케이타
DeNA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마루 요시히로
요미우리
시오미 야스타카
야쿠르트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치카모토 코지
한신
치카모토 코지
한신
사노 케이타
DeNA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니시카와 료마
히로시마
오카바야시 유키
주니치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호소카와 세이야
주니치
치카모토 코지
한신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이이지마 시게야
다이에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호리이 카즈오
난카이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세키구치 세이지
니시테츠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토쿠라 카츠키
한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오오시타 히로시
세이부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세키구치 세이지
세이부
스기야마 코헤이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타미야 켄지로
다이마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요시다 카츠토요
토에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히로세 요시노리
난카이
호리고메 모토아키
난카이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부스지마 쇼이치
토에이
타카쿠라 테루유키
니시테츠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도이 마사히로
킨테츠
조지 알트맨
오리온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나가부치 요죠
킨테츠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조지 알트맨
오리온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나가이케 토쿠지
한큐
하리모토 이사오
닛타쿠홈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돈 뷰폴드
타이헤이요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히로타 스미오
롯데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백인천
타이헤이요
히로타 스미오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미노다 코지
한큐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레론 리
롯데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테리 윗필드
세이부
미노다 코지
한큐
시마다 마코토
닛폰햄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쿠마노 테루미츠
한큐
카나모리 에이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요코타 마사유키
롯데
아라이 히로마사
난카이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토니 브루워
닛폰햄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히라노 켄
세이부
타카자와 히데아키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니시무라 노리후미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히라이 미츠치카
롯데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타카하시 사토시
오릭스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사사키 마코토
다이에
후지이 야스오
오릭스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케빈 라이머
다이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다린 잭슨
세이부
이치로
오릭스
타구치 소
오릭스
무라마츠 아리히토
다이에
이치로
오릭스
사사키 마코토
세이부
터피 로즈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오오무라 나오유키
킨테츠
이치로
오릭스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이치로
오릭스
시바하라 히로시
다이에
셔먼 오반도
닛폰햄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이소베 코이치
킨테츠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오제키 타츠야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터피 로즈
킨테츠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타니 요시토모
오릭스
SHINJO
닛폰햄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맷 프랑코
롯데
미야지 카츠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와다 카즈히로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모리모토 히초리
닛폰햄
오오무라 나오유키
소프트뱅크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릭 쇼트
라쿠텐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텟페이
라쿠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타무라 히토시
소프트뱅크
T-오카다
오릭스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쿠리야마 타쿠미
세이부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카쿠나카 카츠야
롯데
나카타 쇼
닛폰햄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하세가와 유야
소프트뱅크
나카타 쇼
닛폰햄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키요타 이쿠히로
롯데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니시카와 하루키
닛폰햄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아키야마 쇼고
세이부
오기노 타카시
롯데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콘도 켄스케
닛폰햄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마츠모토 고
닛폰햄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야나기타 유우키
소프트뱅크
만나미 츄세이
닛폰햄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타츠미 료스케
라쿠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슈토 우쿄
소프트뱅크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3fb1e5>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퍼시픽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외야수
야마모토 카즈토
난카이 / 내야수
유키 스스무
난카이 / 투수
오카모토 이사미
난카이 / 내야수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외야수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내야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스기우라 타다시
난카이 / 외야수
<rowcolor=#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투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장훈
토에이 / 외야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rowcolor=#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요네다 테츠야
한큐 / 투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rowcolor=#fff> 1970 1971 1972 1973 1974
키타루 마사아키
롯데 / 투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외야수
후쿠모토 유타카
한큐 / 외야수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카네다 토메히로
롯데 / 외야수
<rowcolor=#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내야수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찰리 매뉴얼
킨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80 1981 1982 1983 1984
키다 이사무
닛폰햄 / 투수
에나츠 유타카
닛폰햄 / 투수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부머 웰즈
한큐 / 내야수
<rowcolor=#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내야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히가시오 오사무
세이부 / 투수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외야수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외야수
<rowcolor=#fff> 1990 1991 1992 1993 1994
노모 히데오
킨테츠 / 투수
궈타이위안
세이부 / 투수
이시이 타케히로
세이부 / 투수
쿠도 키미야스
세이부 / 투수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rowcolor=#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외야수
니시구치 후미야
세이부 / 투수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쿠도 키미야스
다이에 / 투수
<rowcolor=#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조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외야수
<rowcolor=#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스기우치 토시야
소프트뱅크 / 투수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내야수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이와쿠마 히사시
라쿠텐 / 투수
다르빗슈 유
소프닛폰햄 / 투수
<rowcolor=#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와다 츠요시
소프트뱅크 / 투수
우치카와 세이이치
소프트뱅크 / 외야수
요시카와 미츠오
닛폰햄 / 투수
다나카 마사히로
라쿠텐 / 투수
카네코 치히로
오릭스 / 투수
<rowcolor=#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오타니 쇼헤이
닛폰햄 / 투수, 외야수
데니스 사파테
소프트뱅크 / 투수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내야수
모리 토모야
세이부 / 포수
<rowcolor=#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외야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외야수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홈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개
야마시타 미노루
한큐군 / 2개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4개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4개
타카하시 요시오
고라쿠엔 / 6개
버키 해리스
고라쿠엔 / 6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10개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츠루오카 카즈토
난카이군 / 10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9개
핫토리 츠구히로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이와모토 아키라
카토 쇼지
나고야군 / 4개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카나야마 지로
산교군 / 3개
오시타 히로시
세네터스 / 20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17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25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46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51개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2개
스기야마 사토시
나고야 / 27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7개
아오타 노보루
요쇼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 31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5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2개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9개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31개
모리 토오루
주니치 / 31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0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5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2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4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1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타부치 코이치
한신 / 43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0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48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3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5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6개
오오시마 야스노리
주니치 / 36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7개
우노 마사루
주니치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54개
랜디 바스
한신 / 47개
릭 란셀로티
히로시마 / 39개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33개
래리 패리시
야쿠르트 / 42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7개
잭 하웰
야쿠르트 / 38개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4개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38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9개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 39개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 38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4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4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39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50개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40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0개
터피 로즈
요미우리 / 45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5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43개
타이론 우즈
주니치 / 47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36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46개
토니 블랑코
주니치 / 39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49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60개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 / 37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8개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44개
알렉스 게레로
주니치 / 49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1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1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56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41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3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사토 테루아키
한신 / 4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43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26개
후카미 야스히로
니시테츠토큐 / 2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6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0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3개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25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3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29개
나카타 요시히로
한큐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5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1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5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8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4개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3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8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도이 마사히로
타이헤이요클럽 / 34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6개
레론 리
롯데 / 34개
바비 미첼
닛폰햄 / 36개
찰리 매뉴얼
킨테츠 / 37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48개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44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0개
부머 웰즈
한큐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2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0개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43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9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2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39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1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2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35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28개
트로이 닐
오릭스 / 32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7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3개
터피 로즈
킨테츠 / 40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39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5개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55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1개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4개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44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6개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2개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4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6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T-오카다
오릭스 / 3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27개
미첼 아브레우
닛폰햄 / 31개
나카무라 타케야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34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37개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39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35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7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32개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32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1개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26개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26개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26개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34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프란밀 레예스
닛폰햄 / 32개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타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3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4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7점
카게우라 마사루
오사카 / 31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38점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75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7점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57점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60점
아오타 노보루
도쿄쿄진군 / 42점
노구치 아키라
세이테츠군 / 42점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5점
츠루오카 카즈토
그레이트링 / 95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71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0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142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161점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105점
니시자와 미치오
나고야 / 98점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98점
스기야마 사토시
주니치 / 91점
와타나베 히로유키
오사카 / 91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7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69점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78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92점
모리 토오루
주니치 / 87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76점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9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8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2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9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25점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15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105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1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0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07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96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3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24점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118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3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12점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103점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95점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103점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102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134점
랜디 바스
한신 / 109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98점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102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16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102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9점
래리 시츠
타이요 / 100점
히로사와 카츠미
야쿠르트 / 94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94점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107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106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09점
루이스 로페스
히로시마 / 112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0점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153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8점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127점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107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4점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113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이마오카 마코토
한신 / 147점
타이론 우즈
주니치 / 144점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122점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5점
토니 블랑코
주니치 / 110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129점
아라이 타카히로
한신 / 93점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104점
토니 블랑코
DeNA / 136점
마우로 고메스
한신 / 109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하타케야마 카즈히로
야쿠르트 / 105점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110점
호세 로페스
DeNA / 105점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131점
네프탈리 소토
DeNA / 108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97점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11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134점
마키 슈고
DeNA / 103점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86점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사토 테루아키
한신 / 102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105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7점
이이다 토쿠지
난카이 / 86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86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7점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99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95점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100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85점
카츠라기 타카오
다이마이 / 95점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03점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112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4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35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5점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1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97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0점
조지 알트만
도쿄 오리온즈 / 100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1점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2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0점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101점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101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109점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96점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카토 히데지
한큐 / 97점
카토 히데지
한큐 / 82점
레론 리
롯데 / 109점
바비 마르카노
한큐 / 94점
카토 히데지
한큐 / 104점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129점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108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99점
미즈타니 지츠오
한큐 / 114점
부머 웰즈
한큐 / 130점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46점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116점
부머 웰즈
한큐 / 119점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125점
부머 웰즈
한큐 / 124점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106점
이시미네 카즈히코
오릭스 / 106점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92점
짐 트라버
킨테츠 / 92점
부머 웰즈
다이에 / 97점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107점
이시이 히로오
킨테츠 / 111점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이치로
오릭스 / 80점
타나카 유키오
닛폰햄 / 80점
하츠시바 키요시
롯데 / 80점
트로이 닐
오릭스 / 111점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114점
나이젤 윌슨
닛폰햄 / 124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01점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10점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132점
터피 로즈
킨테츠 / 117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3점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120점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121점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100점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100점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108점
터피 로즈
오릭스 / 118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2점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코야노 에이이치
닛폰햄 / 109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16점
이대호
오릭스 / 91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10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00점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4점
나카타 쇼
닛폰햄 / 110점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103점
아사무라 히데토
세이부 / 127점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123점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나카타 쇼
닛폰햄 / 108점
시마우치 히로아키
라쿠텐 / 96점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90점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87점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99점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프란밀 레예스
닛폰햄 / 90점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출루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5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63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6출루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9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80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94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36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57출루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7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20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40출루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43출루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32출루
타오 야스시
주니치 / 232출루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34출루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231출루
랜디 바스
한신 / .428
랜디 바스
한신 / .481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35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8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449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6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73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60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7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431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44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1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9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38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6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61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01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425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0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8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34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416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00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437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395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429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55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416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433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98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468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53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27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33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58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403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399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365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62 1963 1964 1965 196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0
잭 블룸필드
킨테츠 / .39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6
대릴 스펜서
한큐 / .423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439
<rowcolor=#ffffff> 1967 1968 1969 1970 197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9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7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1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67
에토 신이치
롯데 / .408
<rowcolor=#ffffff> 1972 1973 1974 1975 1976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3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8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52
대릴 스펜서
킨테츠 / .394
카토 히데지
한큐 / .376
<rowcolor=#ffffff> 1977 1978 1979 1980 1981
카토 히데지
한큐 / .401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98
카토 히데지
한큐 / .437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 .412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31
<rowcolor=#ffffff> 1982 1983 1984 1985 1986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28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19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43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1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7
<rowcolor=#fff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8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9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431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54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428
<rowcolor=#ffffff> 1992 1993 1994 1995 1996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02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95
이치로
오릭스 / .445
이치로
오릭스 / .432
이치로
오릭스 / .422
<rowcolor=#fff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스즈키 켄
세이부 / .431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435
이치로
오릭스 / .412
이치로
오릭스 / .460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434
<rowcolor=#fff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467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473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64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12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53
<rowcolor=#ffffff> 2007 2008 2009 2010 2011
터피 로즈
오릭스 / .403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410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398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428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11
<rowcolor=#fff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04
에스테반 헤르만
세이부 / .418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424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69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46
<rowcolor=#fff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26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22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65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29
<rowcolor=#ffffff> 2022 2023 2024 2025 2026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57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1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9
야나기마치 타츠루
소프트뱅크 / .382
}}}}}}}}}}}}}}} ||
1962년부터 퍼시픽리그에서 최고출루율 시상을 시작했으나 1984년까진 출루율이 공식 기록이 아닌 퍼시픽리그에서만 쓰이는 지표였으며 당시 계산법엔 희생플라이가 반영되지 않았다. 센트럴리그는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최고출루율이 아닌 안타+사사구 갯수를 합친 최다출루수 타이틀을 시상했다. 이후 1985년부터 출루율일본프로야구 공식 지표로 반영되며 계산법에 희생플라이가 분모로 들어감과 동시에 양대리그 모두 최고출루율 타이틀을 시상했다. 이 때문에 1984년까지의 출루율 기록은 현행 계산법보다 높게 나오며 시즌 출루율 기록도 1985년 이후부터의 기록만 반영한다.
}}}}}}}}}}}} ||

보유 기록(NPB)
역대 최다 퇴장 14회
외국인 선수 통산 최다 홈런 464개
외국인 선수 통산 최다 득점 1,100점
외국인 선수 통산 최다 루타수 3,509루타
외국인 선수 통산 최다 볼넷 958개
외국인 선수 통산 최다 삼진 1,655개
최연장 타점왕 40세
양대 리그 홈런왕 퍼시픽리그 1999년, 센트럴리그 2004년

휴스턴 애스트로스 등번호 4번
스티브 롬바르도지
(1989~1990)
터피 로즈
(1990~1993)
마이크 브럼리
(1993)
시카고 컵스 등번호 25번
칸디 말도나도
(1993)
터피 로즈
(1993~1995)
루이스 곤잘레스
(1995~1996)
{{{#FFFFFF [[보스턴 레드삭스|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29번}}}
스콧 뱅크헤드
(1993~1994)
터피 로즈
(1995)
후안 벨
(1995)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등번호 20번
타카야나기 이즈미
(1988~1995)
터피 로즈
(1996~2003)
해체[1]
{{{#fe5a1d [[요미우리 자이언츠|요미우리 자이언츠]] 등번호 20번}}}
이리키 유사쿠
(1997~2003)
터피 로즈
(2004~2005)
토요다 키요시
(2006~2010)
{{{#ffffff [[오릭스 버팔로즈|오릭스 버팔로즈]] 등번호 8번}}}
나카무라 노리히로
(2006)
터피 로즈
(2007~2009)
고토 슌타
(2011~2022)
}}} ||
파일:230615 터피 로즈.jpg
칼 데릭 "터피" 로즈
Karl Derrick "Tuffy" Rhodes
[2]
생년월일 1968년 8월 21일 ([age(1968-08-21)]세)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출신지 오하이오 신시내티
학력 웨스턴 힐스 고등학교 (오하이오)
신체 182cm, 100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1986년 드래프트 3라운드 (전체 68번, HOU)
소속팀 휴스턴 애스트로스 (1990~1993)
시카고 컵스 (1993~1995)
보스턴 레드삭스 (1995)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 (1996~2003)
요미우리 자이언츠 (2004~2005)
오릭스 버팔로즈 (2007~2009)
도야마 GRN 선더버즈[3] (2015~2016)
지도자 도야마 GRN 선더버즈 야수 코치 (2015~2016)

1. 개요2. 선수 경력3. 연도별 기록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일본프로야구 선수. 일본프로야구 13년간 464홈런을 때려 외국인 선수로서는 통산 최다 홈런 기록을 가지고 있다.

화끈한 성격의 소유자로 NPB 최다 퇴장기록 역시 보유하고 있다(총 14회).

2. 선수 경력

1986년 드래프트에서 휴스턴 애스트로스에 지명받고 1990년에 처음으로 MLB 무대를 밟게 된다. 마이너리그에서는 호타준족형 타자로 주목받았으며, 싱글 A 시절에는 전혀 그럴 것 같지 않은 이미지[4]와는 다르게 65도루를 기록한 적도 있다. 1994년 시카고 컵스 소속일 때는 개막전에 선발 출장하여 드와이트 구든을 상대로 4타수 4안타, 3홈런을 치는 인상깊은 장면을 만들기도 했다.영상 그러나 이후에는 메이저에서 부진한 성적을 거뒀고, 로즈를 리드오프로 키우려 한 팀 수뇌부와 슬러거가 되고 싶어한 본인 사이에 갈등이 생기면서 1996년 일본으로의 이적을 결심하게 된다.


2001년 9월 24일 세이부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마츠자카 다이스케를 상대로 당시 프로야구 타이기록이었던 시즌 55호 홈런을 때려내는 장면.[5] 이 해는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의 구단 사상 마지막 리그 우승 시즌이었다.[6]

1980년대 말부터 주포 역할을 해온 랄프 브라이언트가 부상으로 이탈한 오사카 킨테츠 버팔로즈로 이적한 로즈는 괴력의 파워를 자랑하며 일본프로야구를 대표하는 슬러거로 자리잡았다. 1999년 40홈런을 치며 첫 홈런왕 타이틀을 획득했고, 2001년부터 2003년까지는 당시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소속이었던 베네수엘라 출신 슬러거 알렉스 카브레라[7]와 함께 퍼시픽리그 홈런왕 경쟁을 펼치게 된다. 2001년에는 괴물같은 홈런 페이스로 당시 오 사다하루가 보유했던 한 시즌 55홈런 갱신을 눈 앞에 뒀으나, 전설적인 오 사다하루의 시즌 홈런 기록이 외국인에 의해 깨지는 걸 그냥 보고만 있을 수 없던 일본 야구계의 엄청난 견제로 인해 결국 타이기록에 그치며 신기록 달성에 실패하고 말았다.

당시 킨테츠의 우승 경쟁 대상이었던 후쿠오카 다이에 호크스의 감독을 역임 중이던 오 사다하루는 로즈에게 "기록을 깼으면 한다"라는 말을 건넸지만, 정작 다이에를 포함한 상대팀 투수들은 타석에서 로즈를 맞이하는 족족 피해가는 공만 연달아 던졌고, 결국 55호를 친 이후의 경기에선 홈런을 단 1개도 치지 못하며 타이기록에 그치고 말았다. 이러한 견제에 격분한 로즈는 상대팀 선수들이나 기자들한테 "당신들에게 난 그저 외국인 선수일 뿐이다"란 자조적 표현이 낀 디스를 남기기도. 1년 후 55홈런 고지에 오른 라이벌 알렉스 카브레라 역시 똑같은 상황을 겪게 된다.[8]

그래도 2001년 타율.327/OPS 1.083[9], 55홈런 131타점의 괴물같은 성적을 올리며, 타율 .320/OPS 1.064[10], 46홈런 132타점으로 타점왕, 출루율 1위를 차지한 4번 타자 나카무라 노리히로와 함께 강타자들이 즐비했던 '이테마에 타선(いてまえ打線)'의 클린업 듀오로 활약하며 상대 투수들을 공포에 떨게 만들고 킨테츠의 리그 우승을 이끌어낸 공로로 MVP를 수상하는 최고의 한 해를 보냈다. 2001년 이후에도 꾸준히 40홈런-100타점-OPS 9할을 기록하며 킨테츠와 퍼시픽리그를 대표하는 강타자로 활약했다. 그러나 2003년 시즌 종료 후 다년 계약을 원하던 로즈와 단년 계약을 제시한 킨테츠와의 의견 차이로 재계약 협상이 결렬되면서[11] 8년간 뛰어왔던 킨테츠를 떠나게 된다.

킨테츠를 떠난 후 2004년 연봉 5억 5천엔의 2년 계약에 요미우리 자이언츠로 이적하게 되었는데, 입단회견 당시 기자들 앞에서 "추가 조건까지 합치면 연봉 총액이 10억엔을 넘는다"라는 폭탄발언을 하는 바람에 당황한 통역이 허겁지겁 이를 부정하는 해프닝이 터지기도 했다. 요미우리 이전 첫 해인 2004년에 역대 최다인 259홈런을 기록하여 역사상 최강타선으로 일컬어지기까지 한 요미우리 강타선의 주포로 맹활약하며 타율 .287/OPS .955 45홈런 99타점을 기록, 오치아이 히로미츠 이래 사상 2번째 양대리그 홈런왕을 달성하며 센트럴리그에서도 명불허전의 장타력을 충분히 발휘했다. 로즈 자신도 이때까진 순조로운 모습을 보여주며 요미우리에서 은퇴하고 싶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2005년엔 팀이 개막 4연패를 찍으며 일찌감찌 하위권으로 처지는 등 극도의 부진을 보였고 로즈 자신도 작년보다 만족스럽지 못한 성적을 기록하고 있었는데, 4월 26일 후쿠오카 돔에서 열린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의 경기에서 알렉스 라미레스가 친 큼지막한 타구를 적극적으로 쫓지 않는 바람에 결승점을 헌납하여 이날 경기를 지는 가장 큰 원인이 되었고 당시 수비주루 코치였던 히로타 스미오[12] 로즈의 이 수비에 대해 태만한 수비라고 질책하자 격분하여 히로타의 멱살을 잡고 밀치는 등 격하게 소동을 부리는 사건이 있었다. 거기에다 경기 후 로즈는 화가 풀리지 않은 나머지 만류하는 통역까지 막으며 기자들에게 일본어로 직접
"이거 기사로 내라. 오늘 경기 진게 내 탓이라고 히로타 씨가 그랬다.
투수들이 모두 얻어터지는데 저렇게 얻어터진 게 내 탓인가? 아베도 송구를 똑바로 던지지 않았고 키요하라도 전력으로 뛰지 않았는데 왜 내 탓만 하는 건가?
투수도 나쁘고 죄다 나쁜 놈들이다! 자이언츠 씨X 같은 놈들! 존나 싫다![13] 나 도쿄로 돌아갈꺼다!
일본에서 10년이나 뛰었는데도 선수에 대한 존중이 없다! 이건 차별이다!"
라고 격한 욕설까지 써가며 구단 수뇌부, 선수단을 싸잡아 디스하는 폭언을 연발하는 대형사고를 쳐버렸다.

결국 이 사건 때문에 로즈는 벌금을 내게 되었고 컨택과 수비에서 난조를 보인 것과 더불어 시즌 후반에 리빌딩을 위해 신인 선수들을 밀어주려는 구단 방침으로 인해 주전에서 밀려나면서 데뷔 후 처음으로 규정타석에 미달하는 등의 성적 부진(타율.240/OPS .815 27홈런 70타점[14])으로 인해 이 해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에서 방출당하게 된다. 그리고, 이 사건으로 히로타 스미오는 2005년 시즌 종료 후 요미우리 코치에서 물러나야만 했다.

여기에다가 이 사건 때문에 요미우리는 구단 자체적으로 외국인 선수들이 일본어를 잘해도 로즈와 같은 불상사가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절대 일본어로 인터뷰를 못하게 했으며, 인터뷰 시 반드시 통역이 붙게 했다. 덕분에 이승엽알렉스 라미레스는 일본어 실력이 출중하고 둘 다 인성이 훌륭함에도 요미우리시절 내내 일본어로 인터뷰를 하지 못했다. 이 정도로 대형사고를 쳤으니 당연하다면 당연한 조치긴 하다.[15]

다만, 이승엽의 경우 우승 축승회[16]에서 기자에게 직접 일본어로 소감을 말하는 장면이 전파를 탔다. 많은 일본 팬들이 "이승엽이 저렇게 일본어를 잘 했어?", "통역보다 더 잘하는 듯" 이라며 깜짝 놀랐을 정도였다.

이외에도 요미우리 시절엔 팀 동료들과의 관계도 좋지 않았던 모양인데, 자신이 자주 소외당했다고 주장할 정도. 사실 당시 요미우리는 워낙 타 팀의 강타자들만 포지션 가리지 않고 수집하다 보니 수비, 주루 등이 영 좋지 않았고[17] 팀의 짜임새에도 문제가 많았다. 로즈를 타카하시 요시노부 등과 동시에 기용하기 위해 킨테츠에서 줄곧 코너 외야만 소화했고 이미 30대 후반의 나이에 접어든 로즈를 중견수로 옮기기도 했으니 수비에 문제가 생기는 건 당연지사.

파일:external/687b99a2e4006feb1899370ff6035aa01b0e8d6f750530d7159c2067b550d500.jpg
2006년 신시내티 레즈와 마이너 계약을 맺으며 MLB 시범경기에 출장했으나, 부진을 보이며 마이너행을 통보받고 3월 21일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만, 오사카 긴테쓰 버팔로즈를 흡수합병한 오릭스 버팔로즈 구단 관계자에게 "어깨 다 나았는데 일본에서 야구 하고싶다." 라고 전화를 걸었고, 2007년 일본프로야구에 다시 복귀하게 되었다. 일본 복귀 후 팀의 주전 지명타자로 뛰며 2년 연속 40홈런을 때렸는데, 2007년에는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야마사키 타케시[18]와 40대끼리 홈런왕 경쟁을 펼치다 좌측 무릎 관절 통증으로 인해 경기 출전을 포기, 3년만의 홈런왕 타이틀 획득을 아깝게 놓치고 말았다. 나이를 잊은 듯한 꾸준한 활약과 버팔로즈 프랜차이즈를 대표하는 선수라는 상징성에 팀 내에서는 사실상 프랜차이즈 스타, 미스터 버팔로즈 대접을 받았다. 그러나, 감독인 테리 콜린스가 워낙 막장이라 시범경기에서 2홈런을 친 팀 동료를 2군으로 내리는 바람에 빡친 로즈가 항의하기도 했다.

2009년에는 부상으로 인해 84경기밖에 출장하지 못했는데, 그 와중에도 22홈런을 때려냈다. 그러나 오릭스 구단의 리빌딩 방침에 의해 로즈는 2009시즌을 끝으로 재계약을 하지 못하며 일본 리그를 떠나게 되었다. 은퇴 뒤에는 농구선수인 아들 뒷바라지에 전념하고 있다가 2015년 긴테쓰 시절의 팀동료였던 요시오카 유지[19]가 감독으로 있는 일본의 독립리그 BC리그의 팀인 도야마 GRN 선더버즈(富山GRNサンダーバーズ)에 입단하여 선수 겸 코치로 활동하게 되었다. 5년만의 현역복귀.

팔을 위쪽으로 쭉 뻗어 배트를 치켜들고 흔드는 독특한 타격폼으로도 유명했다. 긴테쓰 시절 함께 클린업을 이뤘던 우타자 나카무라 노리히로 못지 않게 특이한 타격폼.

3. 연도별 기록

파일:MLB 로고.svg 터피 로즈의 역대 MLB 기록
<rowcolor=#d2c295>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1990 HOU 38 101 21 6 1 1 12 3 4 13 12 .244 .340 .372 .712 0.1
1991 44 152 29 3 1 1 7 12 2 14 26 .213 .289 .272 .562 -0.6
1992 5 4 0 0 0 0 0 0 0 0 2 .000 .000 .000 .000 -0.1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1993 HOU
CHC
20 65 15 2 1 3 12 7 2 11 9 .278 .400 .519 .919 0.5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1994 CHC 95 308 63 17 0 8 39 19 6 33 64 .234 .318 .387 .705 0.4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fWAR
1995 CHC
BOS
23 45 4 1 0 0 4 3 0 3 8 .098 .156 .122 .278 -0.5
MLB 통산
(6시즌)
225 675 132 29 3 13 74 44 14 74 121 .224 .310 .349 .660 -0.1
파일:NPB 로고.svg 터피 로즈의 역대 NPB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WAR
1996 긴테쓰 130 564 147 29 1 27 80 97 11 57 122 .293 .363 .517 .880 4.1
1997 135 607 157 37 0 22 88 102 22 87 109 .307 .409 .509 .917 6
1998 134 579 127 25 0 22 81 70 15 81 120 .257 .359 .441 .801 3
1999 131 565 148 38 1 40 94 101 5 69 115 .301 .388 .627 1.015 6.6
2000 135 589 143 25 2 25 85 89 6 58 134 .272 .345 .470 .815 2.9
2001 140 643 180 19 0 55 137 131 9 83 140 .327 .421 .662 1.083 8.2
2002 138 613 145 31 2 46 94 117 5 71 140 .272 .361 .596 .956 5.7
2003 138 614 140 16 0 51 94 117 7 98 137 .276 .391 .608 .999 6.3
<rowcolor=#fe5a1d>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WAR
2004 요미
우리
134 601 150 17 0 45 95 99 3 72 147 .287 .377 .577 .955 4.5
2005 101 445 91 9 0 27 54 70 2 55 125 .240 .337 .478 .815 2
<rowcolor=#ffffff> 연도 G PA H 2B 3B HR R RBI SB BB SO AVG OBP SLG OPS WAR
2007 오릭스 132 554 135 19 0 42 75 96 0 88 147 .291 .403 .603 1.006 5.9
2008 142 600 138 31 1 40 82 118 2 95 145 .277 .394 .583 .977 5.5
2009 84 346 91 15 0 22 41 62 0 44 74 .308 .402 .583 .985 2.8
NPB 통산
(13시즌)
1674 7319 1792 311 7 464 1100 1269 87 958 1655 .286 .381 .559 .940 63.5

[1] 2004 시즌 종료 이후, 오릭스 블루웨이브와 병합되었다.[2] NPB 등록명은 タフィ・ローズ 이다.[3] 독립리그 야구단. 킨테츠 시절 전 동료였던 요시오카 유지의 요청을 받아 코치 겸 선수로 활동했다.[4] 사실 일본에서도 처음 3시즌 동안 두 자릿수 도루를 기록했고, 2년차인 97년에는 22도루(8도루사)로 호타준족의 모습을 충분히 보여줬다. 또 킨테츠의 마지막 우승연도인 2001년엔 비록 9개긴 하지만 팀내 최다도루를 기록하기도 했는데, 사실 이 해 킨테츠는 리그 최하위의 평균자책점 4.98을 기록한 막장 투수진을 커버한 그 막강한 타선과는 별개로 팀 도루가 고작 35개에 그치며 리그 꼴찌를 기록한 데다 테이블 세터였던 오오무라 나오유키미즈구치 에이지의 도루수 합계가 고작 8개에 그쳤을 정도로 기동력이 좋지 못했다.[5] 이 날 마츠자카는 로즈의 55호 허용에 더해 나카무라 노리히로에게 역전 끝내기 홈런을 맞으며 완투패를 당하는 굴욕을 맛보았다.[6] 리그 우승은 이틀 후인 9월 26일에 같은 곳에서 확정짓게 된다. 그 유명한 3점차로 뒤지고 있는 가운데 터진 대타 역전 끝내기 만루홈런으로.[7] 이후에 오릭스 버팔로즈에서 한솥밥을 먹게 된다.[8] 결국 성역과도 같았던 오 사다하루의 시즌 홈런 기록은 아시아 기록으로서는 2년 뒤인 2003년, 한국프로야구의 이승엽의 56홈런으로 아시아 기록이 깨졌고, 12년 뒤인 2013년,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블라디미르 발렌틴이 60홈런을 때려내며 이승엽의 기록도 경신함으로서 일본프로야구에서의 시즌 최다홈런기록으로 남게된다.[9] 출루율 .421, 장타율 .662[10] 출루율 .434, 장타율 .630[11] 당시 킨테츠는 전해인 2002년 시즌오프 때 FA가 된 거포 프랜차이즈 스타 나카무라 노리히로를 잡아놓기 위해 무리하게 거액을 쓴 데다가 이미 재정상의 문제로 망하기 직전이라 다년 계약을 해줄 돈 자체가 없었고 실제로 로즈가 떠난 2004년 시즌 종료 후 해체되었다. 로즈는 이런 구단 내부 사정을 잘 몰랐던 것. 어찌보면 내부사정에 무지할 수밖에 없는 외국인으로서의 한계가 있었던 것이라 볼 수도.[12] 현역시절 롯데 - 한신에서 선수 생활을 하면서 최다 희생타, 베스트나인을 수상하며 1974년 일본시리즈1985년 일본시리즈의 승리에 큰 공헌을 세운 선수였다.[13] 이 욕설은 과장이 아니며, 당시 로즈는 Fucking, 헤타쿠소(ヘタクソ) 등 격한 욕설을 쓰며 길길이 날뛰었다고 한다.[14] 외견상으론 낮은 타율을 빼곤 그럭저럭 괜찮았지만 당시 일본프로야구가 래빗볼 시대로 일컬어지는 고반발력 공으로 인해 극악의 타고투저 상태였기 때문에 로즈의 성적이 그렇게 돋보이진 못했다. 거기다 당시 기본 연봉만 5억 5천엔을 받던 고액 연봉의 외국인 선수였다는 점까지 감안하면 기대에 못 미친 성적이었던 것은 확실했다.[15] 다만 이승엽오릭스 버팔로즈에 가서도 한국어로 인터뷰를 했으며 후일 한신 타이거스에 진출한 오승환은 당연히 한국어로만 인터뷰했다. 그래도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에서 뛰었던 김무영의 경우는 일본어로 인터뷰를 했고, 오릭스에서도 프란시스코 카라바이요 등 일본어를 할 줄 아는 외국인 선수가(통역이 없는 독립리그에서 8년 넘게 뛰면서 일본어를 공부했다고 한다.) 일본어로 인터뷰를 한 사례가 있는 걸 보면 요미우리만 유독 통역을 거치게 하는 방식을 고수하는 듯하다.[16] 샴페인 파티[17] 2004년 요미우리 자이언츠는 역대 최다 기록인 팀 홈런 259개로 미칠듯한 뻥야구를 했지만 팀 도루는 정반대로 역대 최저 기록인 25개에 그치며 스피드와는 거리가 한참 먼 모습을 보여줬다.[18] 일본 현역 최고령 홈런왕이다. 터피 로즈와 동갑.[19] 킨테츠 해체 후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로 이적해 암울하던 라쿠텐의 첫 시즌에 팀내 수위타자(.282)가 되었다. 물론, 그 시즌 라쿠텐의 승률은 요시오카 본인의 타율보다 1리 낮았다(.2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