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미르 발렌틴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20 |
| 보유 기록(NPB) | |
| 단일시즌 최다 홈런 | 60홈런 (2013.10.04)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F8F2D> | 센트럴 리그 역대 최우수선수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외야수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 오토모 타쿠미 요미우리 / 투수 | 스기시타 시게루 주니치 / 투수 |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 카와카미 테츠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벳쇼 타케히코 요미우리 / 투수 | 요나미네 카나메 요미우리 / 외야수 |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 아키야마 노보루 타이요 / 투수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 무라야마 미노루 한신 / 투수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내야수 | 호리우치 츠네오 요미우리 / 투수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외야수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내야수 | 와카마츠 츠토무 야쿠르트 / 외야수 | 에나츠 유타카 히로시마 / 투수 |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외야수 | 에나츠 유타카 요미우리 / 투수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포수 | 하라 타츠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 키누가사 사치오 히로시마 / 내야수 |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 랜디 바스 한신 / 내야수 | 키타벳푸 마나부 히로시마 / 투수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포수 | 카쿠 켄지 주니치 / 투수 |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외야수 |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 사이토 마사키 요미우리 / 투수 | 사사오카 신지 히로시마 / 투수 | 잭 하월 야쿠르트 / 내야수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 쿠와타 마스미 요미우리 / 투수 |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토마스 오말리 야쿠르트 / 내야수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포수 | 사사키 카즈히로 요코하마 / 투수 | 노구치 시게키 주니치 / 투수 |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외야수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외야수 | 이가와 케이 한신 / 투수 |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외야수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외야수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요미우리 / 내야수 | 알렉스 라미레즈 요미우리 / 외야수 |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외야수 | 아사오 타쿠야 주니치 / 투수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포수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외야수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내야수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내야수 |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외야수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내야수 |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내야수 | 무라카미 쇼키 한신 / 투수 | 스가노 토모유키 요미우리 / 투수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외야수 베스트나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 키토 카즈오 라이온군 야마다 덴 한큐군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교진군 |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벳토 카오루 오사카 츠보우치 미치노리 킨세이 | 코즈루 마코토 다이에이 카네다 마사야스 오사카 오오시타 히로시 토큐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홈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 ||||
| <rowcolor=#ffffff> 1936秋 | 1937春 | 1937秋 | 1938春 | 1938秋 | ||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개 야마시타 미노루 한큐군 / 2개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개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4개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4개 | 타카하시 요시오 고라쿠엔 / 6개 | 버키 해리스 고라쿠엔 / 6개 |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10개 | ||
| <rowcolor=#ffffff> 1939 | 1940 | 1941 | 1942 | 1943 | ||
| 츠루오카 카즈토 난카이군 / 10개 |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9개 | 핫토리 츠구히로 나고야군 / 8개 | 후루카와 세이조 나고야군 / 8개 | 후루카와 세이조 이와모토 아키라 카토 쇼지 나고야군 / 4개 | ||
| <rowcolor=#ffffff> 1944 | 1946 | 1947 | 1948 | 1949 | ||
| 카나야마 지로 산교군 / 3개 | 오시타 히로시 세네터스 / 20개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17개 | 카와카미 테츠하루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25개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46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51개 |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2개 | 스기야마 사토시 나고야 / 27개 |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7개 | 아오타 노보루 요쇼 / 31개 |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 31개 |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5개 |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2개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22개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9개 |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31개 모리 토오루 주니치 / 31개 |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22개 |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8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8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0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5개 |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2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4개 |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9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1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43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0개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48개 |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3개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5개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6개 오오시마 야스노리 주니치 / 36개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7개 우노 마사루 주니치 / 37개 |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 랜디 바스 한신 / 54개 | 랜디 바스 한신 / 47개 | 릭 란셀로티 히로시마 / 39개 |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33개 | 래리 패리시 야쿠르트 / 42개 |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4개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7개 | 잭 하웰 야쿠르트 / 38개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4개 |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38개 |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9개 |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 39개 |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 38개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4개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4개 |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개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39개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50개 |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40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0개 | 터피 로즈 요미우리 / 45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5개 |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43개 | 타이론 우즈 주니치 / 47개 |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36개 |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46개 | 토니 블랑코 주니치 / 39개 |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49개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60개 |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 / 37개 |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8개 |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44개 | 알렉스 게레로 주니치 / 49개 | 네프탈리 소토 DeNA / 41개 | 네프탈리 소토 DeNA / 43개 |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1개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9개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56개 |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41개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3개 |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사토 테루아키 한신 / 40개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43개 | 오시타 히로시 토큐 / 26개 | 후카미 야스히로 니시테츠 → 토큐 / 25개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6개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개 |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5개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9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0개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3개 |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25개 |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32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29개 나카타 요시히로 한큐 / 29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4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52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1개 |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2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4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5개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8개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4개 |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1개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3개 |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8개 |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 도이 마사히로 타이헤이요클럽 / 34개 |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6개 | 레론 리 롯데 / 34개 | 바비 미첼 닛폰햄 / 36개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37개 |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 찰리 매뉴얼 킨테츠 / 48개 |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44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개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0개 | 부머 웰즈 한큐 / 37개 |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2개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0개 |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43개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9개 |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2개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39개 |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1개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2개 |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35개 |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28개 | 트로이 닐 오릭스 / 32개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7개 |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3개 | 터피 로즈 킨테츠 / 40개 |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39개 | 터피 로즈 킨테츠 / 55개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55개 | 터피 로즈 킨테츠 / 51개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4개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44개 |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6개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2개 |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43개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6개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T-오카다 오릭스 / 33개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27개 | 미첼 아브레우 닛폰햄 / 31개 | 나카무라 타케야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34개 |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37개 |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39개 |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35개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7개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3개 |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32개 |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32개 |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1개 |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26개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26개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26개 |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34개 |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프란밀 레예스 닛폰햄 / 32개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최고출루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 <rowcolor=#ffffff>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6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5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63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6출루 |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9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80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94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36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57출루 |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72출루 |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247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20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40출루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43출루 |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232출루 타오 야스시 주니치 / 232출루 |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234출루 | 야자와 켄이치 주니치 / 231출루 | 랜디 바스 한신 / .428 | 랜디 바스 한신 / .481 |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35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8 | 워렌 크로마티 요미우리 / .449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16 |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473 |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60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7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 토마스 오말리 한신 / .429 |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431 |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 로버트 로즈 요코하마 / .444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1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9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38 |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66 |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61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01 | 그렉 라로카 히로시마 / .425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0 | 후쿠도메 코스케 주니치 / .438 |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34 | 우치카와 세이이치 요코하마 / .416 | 아오키 노리치카 야쿠르트 / .400 |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437 | 토리타니 타카시 한신 / .395 |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429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55 |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419 |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416 | 사카모토 하야토 요미우리 / .433 |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타나카 코스케 히로시마 / .398 | 마루 요시히로 히로시마 / .468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53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27 |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433 |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458 | 오오야마 유스케 한신 / .403 | 도밍고 산타나 야쿠르트 / .399 | 코조노 카이토 히로시마 / .365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 <rowcolor=#ffffff> 1962 | 1963 | 1964 | 1965 | 1966 |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0 | 잭 블룸필드 킨테츠 / .396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6 | 대릴 스펜서 한큐 / .423 | 에노모토 키하치 도쿄 오리온즈 / .439 | |
| <rowcolor=#ffffff> 1967 | 1968 | 1969 | 1970 | 1971 |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9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37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21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67 | 에토 신이치 롯데 / .408 |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3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48 | 하리모토 이사오 토에이 / .452 | 대릴 스펜서 킨테츠 / .394 | 카토 히데지 한큐 / .376 |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 카토 히데지 한큐 / .401 | 사사키 쿄스케 킨테츠 / .398 | 카토 히데지 한큐 / .437 | 쿠리하시 시게루 킨테츠 / .412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31 |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28 |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19 | 스티브 온티베로스 세이부 / .443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1 |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487 |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8 |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29 | 마츠나가 히로미 오릭스 / .431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54 | 시라이 카즈유키 닛폰햄 / .428 |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402 | 츠지 하츠히코 세이부 / .395 | 이치로 오릭스 / .445 | 이치로 오릭스 / .432 | 이치로 오릭스 / .422 |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 스즈키 켄 세이부 / .431 | 카타오카 아츠시 닛폰햄 / .435 | 이치로 오릭스 / .412 | 이치로 오릭스 / .460 |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434 |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467 |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473 |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64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12 |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53 |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터피 로즈 오릭스 / .403 |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410 | 나카지마 히로유키 세이부 / .398 | 알렉스 카브레라 오릭스 / .428 |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11 |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 이토이 요시오 닛폰햄 / .404 | 에스테반 헤르만 세이부 / .418 | 이토이 요시오 오릭스 / .424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69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46 |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26 | 야나기타 유키 소프트뱅크 / .431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22 | 콘도 켄스케 닛폰햄 / .465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29 |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 요시다 마사타카 오릭스 / .457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1 |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439 | 야나기마치 타츠루 소프트뱅크 / .382 | ||
| 1962년부터 퍼시픽리그에서 최고출루율 시상을 시작했으나 1984년까진 출루율이 공식 기록이 아닌 퍼시픽리그에서만 쓰이는 지표였으며 당시 계산법엔 희생플라이가 반영되지 않았다. 센트럴리그에선 1967년부터 1984년까지 최고출루율이 아닌 안타+사사구 갯수를 합친 최다출루수 타이틀을 별도로 시상하다 1985년부터 출루율이 일본프로야구 공식 지표로 반영되면서 계산법에 희생플라이가 분모로 들어감과 동시에 양대리그 모두 최고출루율을 타이틀 시상 대상으로 반영했다. 이 때문에 1984년까지의 출루율 기록은 현행 계산법보다 높게 나오며 시즌 출루율 기록도 1985년 이후부터의 기록만 반영한다. |
| 2011, 2013, 2014 센트럴 리그 최우수 장타율 |
| 2017 WBC ALL-WORLD TEAM AWARD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 | | ||||||||
| | | | |||||||
| | | | | ||||||
}}} ||
| | |
| 블라디미르 발렌틴 Wladimir Balentien | |
| 본명 | 블라디미르 라몬 발렌틴[1] Wladimir Ramon Balentien |
| 출생 | 1984년 7월 2일 ([age(1984-07-02)]세) |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빌럼스타트[2] | |
| 국적 | | [[퀴라소| |
| 신체 | 185cm, 100kg |
| 포지션 | 우익수[3] → 좌익수[4] → 지명타자[5] |
| 투타 |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 2000년 국제 아마추어 자유계약 (SEA) |
| 소속팀 | 시애틀 매리너스 (2007~2008) 신시내티 레즈 (2009)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2011~2019)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0~2021) 사라페로스 데 살티요 (2022) |
| 카르데날레스 데 라라 (2006/07~2007/08) 나베간테스 델 마가야네스 (2009/10) 히간테스 델 시바오 (2022/23) 카녜로스 데 로스 모치스 (2023/24) | |
| 지도자 | 산타 마리아 파이리츠 감독 (2024~) |
| SNS | |
1. 개요
네덜란드의 前 야구 선수. 일본프로야구 및 아시아 리그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기록(2013년,60홈런) 보유자.[6]2. 선수 경력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라디미르 발렌틴/선수 경력#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블라디미르 발렌틴/선수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플레이 스타일
우투우타로 뭐니뭐니해도 3년 연속 홈런왕에 아시아 홈런 신기록을 세웠을 만큼 대단한 장타력이 가장 큰 무기다. 이 파워를 바탕으로 좌중우 어느 방향으로나 고르게 홈런을 뽑아내는 스프레이 히터. 미국 레벨에서는 컨택이 좋지 않아 결국 메이저리그에서 대성하지는 못했고 사실 일본에서도 선구안과 컨택이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나, 본인이 일본에 오면서 투수들의 구종을 꾸준히 공부했다고 하는 영향인지 몰라도 전성기 2~3년간은 일본 레벨에서는 평균 이상 가는 컨택을 보여주었다.[7] 컨택이 평균이상 받쳐주자 파워에서 비롯된 비상식적인 갯수의 볼넷과 고의사구가 더해져, 전성기땐 최고출루율 타이틀홀더가 되기까지 했다. 이 전성기 몇 년간은 약점이 없는 완벽한 선수였다. 2~3년간의 전성기엔 다들 아는 60호 홈런, 최고출루율, 최고장타율, 최고 OPS로 그야말로 NPB를 박살내버리는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그러나 전성기가 좀 짧았던 편으로 2015년 아킬레스건 부상 이후 돌아오는 과정에서 선구안이 하락하고, 노쇠화가 겹치며 이후로는 공갈포 스탯을 보여주고 있다. 볼넷도 많고, 삼진도 많은 전형적인 슬러거로 타율은 2할 5푼 전후로 높지 않고, 100삼진을 넘길 정도로 삼진도 많으나 저 타율에도 불구하고 매년 30홈런과 5할 장타율이 나오는 무식한 파워로 인해 OPS가 8할 중반은 나오는 OPS형 강타자이다. 선구안은 별로이지만 저 무식한 똥파워로 인해 피해가는 피칭을 하는 투수들이 많아 볼넷이 많은 관계로 출루율도 타율에 비해 1할 정도는 높게 나오는 편.
결과적으로 복귀 이후로는 낮은 타율이지만 타율에 비해 높은 출루율과 빼어난 장타율로 승부하는 한 방이 있는 공갈포, 좋게 말하면 OPS형 강타자에 가까운 스타일이 되었고, 사실 이 쪽이 발렌틴의 본 모습에 가깝다. 덕분에 WAR은 그냥저냥한 2.0 전후. 또한 완만히 노쇠화가 오고 있어 스탯이 조금씩 하락하고 있다. 그러나 장타자가 부족한 일본프로야구에서 30홈런 타자는 흔치 않고 또한 야쿠르트 스왈로즈에선 야마다와 더불어 독보적인 홈런 타자이기에 팀의 주포를 맡고 있고, 또한 스탯이 점점 하락세라고 하더라도 앞으로 2~3년간은 주전으로서 충분한 활약을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어찌저찌 등록년수 8년을 채웠으므로 외국인 슬롯을 먹지 않기에, 앞으로는 파리그로 옮겨 지명타자로 선수생활을 연장하거나, 야쿠르트에 남아 대타 롤을 수행하는 등 식으로 무난히 일본에서 은퇴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의외로 주력도 그리 느리지도 않아 외야 3포지션을 소화할 수 있었지만, 말 그대로 소화할 수 있는 정도이지 수비력이 우수한 편은 아니었다. 발이 그렇게까지 빠르지는 않고 어깨가 강해[8] 우익수로 주로 나오는 편이었는데, 아킬레스건 부상 이후로는 발도 많이 느려져서 중견수는 불가능해졌고 사실상 좌익수로 고정되었다. 수비 툴이 나이가 들며 빠르게 하락해 16년 이후로는 좌익수비도 힘들어져, 이제는 수비는 폐급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고, 이것이 이 장타력에도 불구하고 매년 재계약을 하네마네 하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 저 정도 수비면 지명타자를 해야 하는데, 세리그는 지명타자가 없다.
장타력은 빼어나지만 컨택트에 약점이 있고, 매년 조금씩 성적이 떨어지고 있으며, 은근히 잔부상이 잦아 매년 한두번은 2군을 다녀오고 수비가 폐급인 점이 발목을 붙잡는 등 장단점이 뚜렷해 매년 재계약을 하네마네 하는 소리가 오가는 선수. 왕년에는 대단했지만 최근 몇 년간은 참 애매한 선수라 팀으로서도 고민이 많은 선수다.
결국 2020년부터는 파리그의 소프트뱅크 호크스와 계약을 하며 지명타자로 전업하게 되었다. 쿠바 출신으로 플레이 스타일이 발렌틴과 판박이인 알프레도 데스파이네와 지명타자 자리를 둔 경쟁에서 이길 수 있을지가 관건이다. 근데 가자마자 데스파이네는 부상, 발렌틴은 부진으로 둘 다 좌익 경쟁에서 낙마했고 발렌틴은 노쇠화를 직격으로 맞아 형편없는 성적을 찍고 은퇴를 앞두게 되었다.
4. 여담
- 팀에선 애칭인 코코(ココ)로 불린다고 한다. 어렸을 때 가족들이 자신에게 불러주던 애칭이라고.
- 응원가는 동향 네덜란드 안틸레스 출신인 헨슬리 뮬렌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뮬렌과는 고향 이웃으로서 일찍이 면식이 있었다고. 헨슬리 뮬렌은 2010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팀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의 타격코치로 부임했으며 201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네덜란드 감독을 맡았다.[9]
- 변화구를 상대적으로 많이 구사하는 일본인 투수들의 볼배합을 열심히 공부한다고 한다.
- 프라이드 치킨을 무척 좋아한다고 한다. 구단 수뇌진으로부터 시합중 플레이에 대해 설교를 듣고 있는 한창에도 치킨을 먹고 있어, 구단 내부에선 프라이드 치킨 금지령을 검토한 적이 있었다고.
- 삼성 라이온즈가 2011 시즌을 앞두고 타자 외인을 뽑기로 했는데 발렌틴과 다른 한 명의 선수가 후보였다. 보고 과정에서 야쿠르트와 발렌틴이 접촉해서 결국 포기했다고 하며, 삼성은 발렌틴 대신 또 한 명의 후보를 영입하는데 이름은 바로 라이언 가코였다.
- 2013년 홈런 기록경신을 앞두고 일본 야구계의 반응이 참으로 재미있었다. 특히 노무라 카츠야 전 라쿠텐 감독은 "일본의 수치다"라며 과격하게 반응하였으며, 발렌틴에 대해 "메이저리그에서 용도폐기된 선수"라는 발언을 하는 등 도가 지나친 발언을 하기도 했다. 비슷한 시기에 발렌틴에게 고의사구를 주거나 바깥쪽으로만 던지는 투수들이 많아서 일본 야구팬들에게 비난 아닌 비난을 들었는데, 그에 대해 모 구단 투수코치가 "우리 투수들이 승부를 일부러 피하는 게 아닙니다. 기록을 빼고 생각해도 어지간히 구위에 자신있는 투수 아닌 이상 타율이 .340에 OPS가 1.200을 넘는 타자한테 몸쪽 승부가 될거라고 생각하십니까?" 이라는 너무도 상식적인 말을 남겼다. 타격 성적 자체가 두려운 거지 기록 경신 여부가 두려운 게 아니라는 말이다.
- 2014년 1월 14일 아내를 감금, 폭행한 혐의로 구속되었다. # 아내와 이혼 소송 중인데 아내의 집에 무단으로 침입해 구타했다고 한다.
- 2022년 무시무시한 홈런 페이스를 보여주던 무라카미 무네타카에게 60홈런 타자로서 격려의 메세지를 보냈으나 무라카미는 이후 홈런 페이스가 떨어지며 56홈런으로 시즌을 마무리하며 오 사다하루의 기록을 뛰어넘는 것에 그쳤다.
5. 관련 문서
[1] /ˈvladimir balənˈtin/. 발렌타인, 발렌티엔 등은 틀린 표기이다.[2] 現 퀴라소 빌럼스타트[3] 2011~2013[4] 2014~2019[5] 2020~2021[6] 다만 블라디미르 발렌틴은 비 아시아인으로, 아시아인 최다 홈런은 이승엽과 무라카미 무네타카가 가지고 있다. 기록은 각각 56홈런.[7] 이 점이 아시아 리그의 난이도가 MLB에 비해 쉬운 부분이기도 한데, 구단이 30개나 되고 정신없이 콜업과 강등을 반복하고 트레이드도 잦아서 매번 새로운 얼굴들이 끊임없이 등장하는 MLB와 달리 10개뿐인 KBO, 12개에 리그가 2개에 교류전 숫자도 적어서 사실상 6개 구단이나 다름없는 NPB는 맨날 보는 놈 또 보는 고인물리그라 어느 정도 선수 개개인의 스타일 파악이나 리그 경험치가 성적에 주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 단순히 공 속도나 위력뿐만 아니라 이런 점에서도 MLB가 한 단계 더 어려운 리그인 것[8] 막 콜업된 유망주 시절에는 매리너즈 팀 내에서 스즈키 이치로 다음가는 강견이란 평가를 받았다.[9] 헨슬리 뮬렌은 2000년 SK 와이번스에서 외국인 선수로도 뛴 적이 있다. 쌍방울 레이더스 시절 계약해서 와이번스 선수로 출장. 몇 경기 못 뛰고 퇴출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