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1 17:13:46

브래드 엘드레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0000> 파일:히로시마 도요 카프 엠블럼.svg히로시마 도요 카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30000><colcolor=#ffffff> 일반 문서
모기업 관련 정보 모기업 파일:마쓰다 로고.svg 마츠다
일본시리즈 우승
★★★
1979 · 1980 · 1984
리그 우승
(9회)
1975 · 1979 · 1980 · 1984 · 1986 · 1991 · 2016 · 2017 · 2018
클라이맥스 시리즈 2013 · 2014 · 2016 · 2017 · 2018 · 2023
시즌별 요약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월별문서 · 2023월별문서 · 2024월별문서 · 2025
현역 선수 경력 야수 | 키쿠치 료스케/선수 경력 · 아키야마 쇼고/선수 경력 · 사카쿠라 쇼고/선수 경력
투수 | 모리시타 마사토/선수 경력 · 쿠리바야시 료지/선수 경력
경기장 1군 마쓰다 줌줌 스타디움 히로시마 · 2군 히로시마 도요 카프 유우 연습장 · 지방 홈구장 미요시 킨사이 스타디움
과거 히로시마 시민구장
홈 중계 채널 파일:J SPORTS 1 로고.svg
주요 인물 구단주 마츠다 하지메 · 감독 아라이 타카히로 · 선수회장 오세라 다이치 · 주장 공석 · 어드바이저 쿠로다 히로키
스카우트 브래드 엘드레드
구단 상세 정보 역사 · 선수단 및 등번호 · 역대 선수 · 응원가 · 유니폼 · 카프죠시 · 2022년 센트럴 리그 3위
틀 문서
코칭스태프투수포수내야수외야수육성 선수역대 감독영구 결번 |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역대 개막전 선발 투수 | 마츠다 산하 구단
}}}}}}}}} ||
브래드 엘드레드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53 1954 1955 1956 1957
미노하라 히로시
난카이 / 외야수
오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츠 / 외야수
토가와 이치로
난카이 / 투수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미야모토 토시오
요미우리 / 외야수
1958 1959 1960 1961 1962
후지타 모토시
요미우리 / 투수
츠치야 마사타카
요미우리 / 내야수
타미야 켄지로
마이니치 / 외야수
조 스탠카
난카이 / 투수
요시다 요시오
한신 / 내야수
1963 1964 1965 1966 1967
이나오 카즈히사
니시테츠 / 투수
야마우치 카즈히로
마이니치 / 외야수
모리시타 노부야스
난카이 / 내야수
와타나베 타이스케
난카이 / 투수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1968 1969 1970 1971 1972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내야수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내야수
이이시 레이지
롯데 / 외야수
야마다 히사시
한큐 / 투수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1973 1974 1975 1976 1977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포수
타카기 모리미치
주니치 / 내야수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외야수
시바타 이사오
요미우리 / 외야수
코우노 카즈마사
롯데 / 내애수
1978 1979 1980 1981 1982
아다치 미츠히로
한큐 / 투수
이모토 타카시
킨테츠 / 투수
오가와 토오루
킨테츠 / 외야수
이노우에 히로아키
닛폰햄 / 내야수
카와카미 세이지
주니치 / 내야수
1983 1984 1985 1986 1987
니시모토 타카시
요미우리 / 투수
야마오키 유키히로
오릭스 / 투수
이시게 히로미치
세이부 / 내야수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포수
시노즈카 카즈노리
요미우리 / 내야수
1988 1989 1990 1991 1992
우노 마사루
주니치 / 내야수
아라이 히로마사
킨테츠 / 외야수
오카자키 카오루
요미우리 / 내야수
카와구치 카즈히사
히로시마 / 투수
오카모토 요이치
요미우리 / 투수
1993 1994 1995 1996 1997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키요하라 카즈히로
세이부 / 내야수
코바야시 히로시
킨테츠 / 투수
니시 토시히사
요미우리 / 내야수
마츠이 카즈오
세이부 / 내야수
1998 1999 2000 2001 2002
오오츠카 코지
세이부 / 외야수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죠지마 켄지
다이에 / 포수
터피 로즈
킨테츠 / 외야수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내야수
2003 2004 2005 2006 2007
카네모토 토모아키
한신 / 외야수
이노우에 카즈키
주니치 / 외야수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포수
카와카미 켄신
주니치 / 투수
다르빗슈 유
닛폰햄 / 투수
2008 2009 2010 2011 2012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외야수
타카하시 신지
닛폰햄 / 포수
와다 카즈히로
주니치 / 외야수
요시미 카즈키
주니치 / 투수
이나바 아츠노리
닛폰햄 / 외야수
2013 2014 2015 2016 2017
쵸노 히사요시
요미우리 / 외야수
랜디 메신저
한신 / 투수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내야수
[[브래드 엘드레드|브래드]]
히로시마 / 내야수
미야자키 토시로
DeNA / 내야수
2018 2019 2020 2021 2022
스즈키 세이야
히로시마 / 외야수
카메이 요시유키
요미우리 / 외야수
토고 쇼세이
요미우리 / 투수
야마모토 요시노부
오릭스 / 투수
호세 오수나
야쿠르트 / 내야수
2023 2024 2025 2026 2027
쿠레바야시 코타로
오릭스 / 내야수
이마미야 켄타
소프트뱅크 / 내야수
사토 테루아키
한신 / 내야수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파일:NPB 로고.svg일본프로야구
역대 최다홈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tablewidth=100%> 1936년 ~ 1949년
<rowcolor=#ffffff> 1936秋 1937春 1937秋 1938春 1938秋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개
야마시타 미노루
한큐군 / 2개
후루야 쿠라노스케
나고야킨코군 / 2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4개
마츠키 켄지로
오사카 / 4개
타카하시 요시오
고라쿠엔 / 6개
버키 해리스
고라쿠엔 / 6개
나카지마 하루야스
도쿄쿄진군 / 10개
<rowcolor=#ffffff> 1939 1940 1941 1942 1943
츠루오카 카즈토
난카이군 / 10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도쿄쿄진군 / 9개
핫토리 츠구히로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나고야군 / 8개
후루카와 세이조
이와모토 아키라
카토 쇼지
나고야군 / 4개
<rowcolor=#ffffff> 1944 1946 1947 1948 1949
카나야마 지로
산교군 / 3개
오시타 히로시
세네터스 / 20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17개
카와카미 테츠하루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25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46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센트럴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코즈루 마코토
쇼치쿠 / 51개
아오타 노보루
요미우리 / 32개
스기야마 사토시
나고야 / 27개
후지무라 후미오
오사카 / 27개
아오타 노보루
요쇼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마치다 유키히코
코쿠테츠 / 31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5개
아오타 노보루
타이요 / 22개
사토 타카오
코쿠테츠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9개
쿠와타 타케시
타이요 / 31개
모리 토오루
주니치 / 31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후지모토 카츠미
오사카 / 22개
나가시마 시게오
요미우리 / 2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0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5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2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4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7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3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8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1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타부치 코이치
한신 / 43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49개
오 사다하루
요미우리 / 50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48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4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43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5개
야마모토 코지
히로시마 / 36개
오오시마 야스노리
주니치 / 36개
카케후 마사유키
한신 / 37개
우노 마사루
주니치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랜디 바스
한신 / 54개
랜디 바스
한신 / 47개
릭 란셀로티
히로시마 / 39개
카를로스 폰세
타이요 / 33개
래리 패리시
야쿠르트 / 42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주니치 / 37개
잭 하웰
야쿠르트 / 38개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4개
타이호 야스아키
주니치 / 38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에토 아키라
히로시마 / 39개
야마사키 타케시
주니치 / 39개
드웨인 호지
야쿠르트 / 38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34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44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42개
로베르토 페타지니
야쿠르트 / 39개
마츠이 히데키
요미우리 / 50개
알렉스 라미레스
야쿠르트 / 40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0개
터피 로즈
요미우리 / 45개
타이론 우즈
요코하마 / 45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아라이 타카히로
히로시마 / 43개
타이론 우즈
주니치 / 47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36개
무라타 슈이치
요코하마 / 46개
토니 블랑코
주니치 / 39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알렉스 라미레스
요미우리 / 49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31개
블라디미르 발렌틴
야쿠르트 / 60개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 / 37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야마다 테츠토
야쿠르트 / 38개
츠츠고 요시토모
DeNA / 44개
알렉스 게레로
주니치 / 49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1개
네프탈리 소토
DeNA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1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9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56개
오카모토 카즈마
요미우리 / 41개
무라카미 무네타카
야쿠르트 / 33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사토 테루아키
한신 / 4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파일:퍼시픽 리그 로고.svg
<rowcolor=#ffffff> 1950 1951 1952 1953 1954
벳토 카오루
마이니치 / 43개
오시타 히로시
토큐 / 26개
후카미 야스히로
니시테츠토큐 / 2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6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1개
<rowcolor=#ffffff> 1955 1956 1957 1958 1959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35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0개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츠 / 23개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25개
<rowcolor=#ffffff> 1960 1961 1962 1963 1964
야마우치 카즈히로
다이마이 / 3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29개
나카타 요시히로
한큐 / 29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5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1개
<rowcolor=#ffffff> 1965 1966 1967 1968 1969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42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4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5개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38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rowcolor=#ffffff> 1970 1971 1972 1973 1974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4개
오오스기 카츠오
토에이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1개
나가이케 아츠시
한큐 / 43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8개
<rowcolor=#ffffff> 1975 1976 1977 1978 1979
도이 마사히로
타이헤이요클럽 / 34개
클라렌스 존스
킨테츠 / 36개
레론 리
롯데 / 34개
바비 미첼
닛폰햄 / 36개
찰리 매뉴얼
킨테츠 / 37개
<rowcolor=#ffffff> 1980 1981 1982 1983 1984
찰리 매뉴얼
킨테츠 / 48개
토니 솔레이타
닛폰햄 / 44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32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0개
부머 웰즈
한큐 / 37개
<rowcolor=#ffffff> 1985 1986 1987 1988 1989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2개
오치아이 히로미츠
롯데 / 50개
아키야마 코지
세이부 / 43개
카도타 히로미츠
난카이 / 44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9개
<rowcolor=#ffffff> 1990 1991 1992 1993 1994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2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39개
오레스테스 데스트라데
세이부 / 41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42개
랄프 브라이언트
킨테츠 / 35개
<rowcolor=#ffffff> 1995 1996 1997 1998 1999
코쿠보 히로키
다이에 / 28개
트로이 닐
오릭스 / 32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7개
나이젤 윌슨
닛폰햄 / 33개
터피 로즈
킨테츠 / 40개
<rowcolor=#ffffff> 2000 2001 2002 2003 2004
나카무라 노리히로
킨테츠 / 39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5개
알렉스 카브레라
세이부 / 55개
터피 로즈
킨테츠 / 51개
마츠나카 노부히코
다이에 / 44개
페르난도 세기놀
닛폰햄 / 44개
<rowcolor=#ffffff> 2005 2006 2007 2008 2009
마츠나카 노부히코
소프트뱅크 / 46개
오가사와라 미치히로
닛폰햄 / 32개
야마사키 타케시
라쿠텐 / 4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6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rowcolor=#ffffff> 2010 2011 2012 2013 2014
T-오카다
오릭스 / 33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48개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27개
미첼 아브레우
닛폰햄 / 31개
나카무라 타케야
에르네스토 메히아
세이부 / 34개
<rowcolor=#ffffff> 2015 2016 2017 2018 2019
나카무라 타케야
세이부 / 37개
브랜든 레어드
닛폰햄 / 39개
알프레도 데스파이네
소프트뱅크 / 35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7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3개
<rowcolor=#ffffff> 2020 2021 2022 2023 2024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32개
스기모토 유타로
오릭스 / 32개
야마카와 호타카
세이부 / 41개
아사무라 히데토
라쿠텐 / 26개
그레고리 폴랑코
롯데 / 26개
콘도 켄스케
소프트뱅크 / 26개
야마카와 호타카
소프트뱅크 / 34개
<rowcolor=#ffffff> 2025 2026 2027 2028 2029
프란밀 레예스
닛폰햄 / 32개
}}}}}}}}}}}}}}} ||
}}}}}}}}}}}} ||

{{{#ffffff [[피츠버그 파이리츠|피츠버그 파이리츠]] 등번호 35번}}}
넬슨 피게로아
(2004)
브래드 엘드레드
(2005-2007)
맷 모리스
(2007-2008)
{{{#ffffff [[콜로라도 로키스|콜로라도 로키스]] 등번호 26번}}}
브라이언 푸엔테스
(2003-2008)
브래드 엘드레드
(2010)
케빈 밀우드
(2011)
{{{#ffffff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디트로이트 타이거스]] 등번호 34번}}}
데이비드 파울리
(2011)
브래드 엘드레드
(2012)
에르난 페레스
(2012)
{{{#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히로시마 도요 카프]] 등번호 55번}}}
시마 시게노부
(2004-2012)
브래드 엘드레드
(2012-2018)
마츠야마 류헤이
(2019~)
}}} ||
파일:브래드 엘드레드.jpg
<colbgcolor=#ff0000><colcolor=#ffffff> 히로시마 도요 카프 주미 스카우터
브래들리 로스 엘드레드
Bradley Ross Eldred
출생 1980년 7월 12일 ([age(1980-07-12)]세)
플로리다주 포트로더데일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플로리다 인터내셔널 대학교
신체 196cm / 126kg
투타 우투우타
포지션 1루수, 좌익수
프로입단 2002년 MLB 드래프트 6라운드 전체 163위 (PIT)
소속팀 피츠버그 파이리츠 (2005, 2007)
콜로라도 로키스 (2010)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2)
히로시마 도요 카프 (2012-2018)
프런트 히로시마 도요 카프 주미 스카우터 (2019~)
등장곡 恋するフォーチュンクッキー」 (AKB48, 2013)
「Radioactive」 (Imagine Dragons, 2014-2018)
응원가 エルドレッド 応援歌 [1]

1. 개요2. 선수 경력3.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절
3.1. 2012-20133.2. 2014년3.3. 2015년3.4. 2016년3.5. 2017년3.6. 2018년
4. 은퇴 이후5. 플레이 스타일6. 기타7. 연도별 성적

1. 개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일본프로야구 선수. 히로시마 도요 카프 사상 최장기간 재적 용병이다.

왼손 에이스 크리스 존슨과 함께 투타에서 2010년대 중반 카프 중흥기를 이끈 외국인 거포.

2. 선수 경력

2.1. MLB 시절

2.1.1. 피츠버그 파이리츠

2002년 피츠버그 파이리츠에 6라운드 전체 143위에 지명되었고, 2005년에 데뷔전을 치렀다. 2005년에는 55경기에 출장해서 .221의 타율과 .279의 출루율에 불과했지만 42개의 안타 중 9개의 2루타와 12개의 홈런으로 절반이 장타였으며 장타율 역시 .458로 준수했다. 하지만, 55경기동안 13개의 볼넷을 얻는 동안 무려 77개(...)의 삼진을 당했다. 2006년에는 개막 때 부상을 입어 출장이 없었고, 2007년에도 19경기 47타석 5안타 1볼넷 16삼진 타율 .109으로 폭망하면서 지명할당되었다.

2.1.2. 콜로라도 로키스

2008년과 2009년에는 시카고 화이트삭스워싱턴 내셔널스 산하 트리플A에 머무르다가 2010년 개막을 앞둔 3월에 콜로라도 로키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고, 7월에 토드 헬튼의 부상으로 3년만의 메이저 무대에 복귀했다. 하지만, 11경기 출장에 그쳤고 시즌 종료 후 FA자격을 취득했다.

2.1.3. 디트로이트 타이거스

2011년에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산하 트리플A에서 112경기 타율 .278에 23홈런 57타점 9도루로 활약하면서, 2012년에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었다. 타이거스의 프랜차이즈 선수 브랜든 인지(Brandon Inge)가 방출당하면서 콜업되었지만, 부상으로 DL에 이름을 올리면서 5경기 출장에 그쳤고 시즌 중인 6월 19일에 방출되었다.

3. 히로시마 도요 카프 시절

3.1. 2012-2013

디트로이트에서 방출된지 이틀 후인 21일에 카프와 계약을 체결했음이 발표되었고 곧바로 경기를 치렀다. 적응기도 없이 시즌 도중에 들어와 65경기에 출장, 팀내 2위인 11홈런을 기록했다.

2013년 4월 20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전에서 스가노 토모유키의 투구에 오른손을 맞고 골절을 입어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6월 5일에 복귀했지만, 부상의 여파인지 부진하면서 7월 초에 다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8월 31일에 다시 승격된 이후에는 9월 7일 요코하마전 연타석 홈런을 시작으로 배트에서 불을 뿜으며 팀 타선을 이끌었다. 구단의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이 걸린 9월 25일 주니치전에서 8회초 결승 투런을 작렬시키면서 승리를 안겨다주었다.

3.2. 2014년

4월까지 27경기에서 타율 .373에 8홈런 23타점으로 팀을 하드캐리하며 3·4월 월간 MVP에 선정되었다. 교류전 기간인 6월 15일 치바 롯데 마린즈전에 9연패를 끊는 역전 만루홈런을 터뜨리는 등 전반기의 타선을 이끈 활약으로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1차전에는 선발 외야수로 출전하여 3안타(1홈런) 4타점으로 멱살잡고 캐리하며 MVP에 선정되었다.

전반기는 .290 29홈런 80타점의 좋은 성적으로 마무리했지만, 전반기 말부터 타격 부진에 빠지면서 스탯을 깎아먹고 있었다. 특히, 7월 14일 요코하마전에서 연장 12회말 7타석을 소화하면서 1경기 6삼진(...)으로 일본프로야구 신기록을 세우는 불명예스러운 일도 있었다. 8월 8일 한신전을 시작으로 24경기 연속 삼진으로 구단 신기록을 세운 데 이어서 무려 28경기까지 기록을 늘리는 등 후반전에도 부진을 이어나갔고, 결국 구단 타이 기록인 시즌 150삼진을 넘어 무려 169개의 삼진을 당했다.

게다가 9월 24일 야쿠르트전에서는 구심의 판정에 불복해 폭언을 내뱉었다가 퇴장당하는 등 좋지 않은 방향으로 나아갔고, 부진이 계속되자 시즌 초반에 뒤처졌던 블라디미르 발렌틴에게 홈런왕 타이틀까지 뺏기는 것이 아닌가하는 예상도 나왔다. 부진 끝에 최다 타점 타이틀은 5점차로 마우로 고메스에게 빼앗겼지만, 발렌틴이 아킬레스건 수술로 아웃되면서 37홈런으로 최다 홈런 타이틀은 무사히 획득했다. 구단 용병의 최다 홈런 타이틀은 1987년 리처드 랜스 이후 27년만.

3.3. 2015년

3월 오른쪽 무릎 반월판 수술로 79경기 출장에 그쳤지만, 9월 이후 8홈런 20타점으로 물타선에 힘을 보탰다. 2016년에도 함께하는 5년차 계약을 맺으며, 짐 라이틀 이후 두 번째로 5년 이상 팀에 머문 선수가 되었다.

3.4. 2016년

개막전에는 좌익수로 출장하면서 4월까지 타율은 .358, 9홈런 18타점으로 활약했고, 5월에도 3~4월에 비하면 주춤했지만 3할 타율을 유지했다. 절호조의 타격감을 유지하다가 6월 15일 부상으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8월 14일, 부진하던 엑토르 루나를 말소시키고 엘드레드가 다시 콜업되었고, 9월 29일 쿄진전에서는 일본프로야구 100홈런을 달성했다. 또한, 용병으로서는 유일하게 OPS 9할을 넘기면서 25년만의 리그 우승에 공헌했다. 일본시리즈에서는 1985년랜디 바스 이후 처음으로 용병으로서 3경기 연속 홈런을 터뜨리는 등 맹활약했지만, 오가타 감독의 이해할 수 없는 용병술과 시즌 MVP 아라이의 삽질로 일본시리즈 MVP 대신 감투상에 만족해야만 했다. 오프시즌에는 2년 연장 계약을 맺으면서 짐 라이틀을 넘어 구단 사상 최장 재적 용병이 되었다.

3.5. 2017년

한신과의 개막전에서 무려 6점차 뒤진 6회 무사 1,3루에서 적시 내야안타를 쳤지만 팀은 패배. 7월 1일 주니치전에는 3연타석 홈런도 기록했다. 규정타석은 채우지 못했지만 116경기 27홈런 78타점을 기록했고 팀의 리그 2연패에도 한몫했다.

3.6. 2018년

개막전에는 3타수 2안타 1홈런으로 활약했지만 4월과 5월까지 고작 14안타 5홈런에 그치면서 2할도 간당간당한 멘도사 라인을 기록하고 있었다. 6월에 강등되어 2군에서는 .323 5홈런 OPS .896로 좋았지만 1군에서는 38경기 출장에 그쳤고, 카프가 재계약을 하지 않기로 하면서 자유계약의 몸이 되었다. 그래도, 카프에서의 7년은 짐 라이틀을 넘는 용병 최장 기간 재적이며 133홈런은 라이틀에 이은 구단 용병 2위의 기록이다.

2019년에 현역 연장의 의지를 표명했지만, 8월까지 어느 구단의 컨택을 받지 못하면서 9월 4일 카프를 통해서 은퇴를 발표했다. 용병 선수가 은퇴식을 치르는 것도 상당히 드물지만, NPB 용병이 무소속 상태에서 은퇴식을 치러준 것은 더더욱 드문 일인데 카프에서의 활약덕분에 15일 야쿠르트전 홈경기에서 성대한 은퇴식을 치르고 그라운드를 떠났다.

4. 은퇴 이후

은퇴했지만 카프와의 인연은 끝나지 않고, 구단의 아메리카 스카우터에 취임하면서 외국인 야수 스카우트를 담당하는 한편, eBASEBALL 프로리그 팀도 담당하게 되었다.

5. 플레이 스타일

컨택에 기복이 심하긴 하지만 장타력 기반의 파워히터. 다만, 상황에 따른 타격을 염두에 두고 전력질주와 수비에서도 전력을 다하는 등 자신보단 팀을 위한다는 워크 에식이 좋은 선수.

6. 기타

  • 실력도 물론니거니와 워크 에씩이 매우 뛰어난 선수였는데, 수비에서도 주루에서도 항상 전력을 다했고 한신과의 2013년 센트럴 리그 클라이맥스 시리즈 퍼스트 스테이지 경기에서 내야수인 엘드레드가 맡은 적도 없는 좌익수로 출장하게 되었을 때도 불만 하나 없었고, 2회에는 후지이 아키히토의 타구를 다이빙 캐치로 잡아내는 수비에 안타인 줄 알고 달리던 1루 주자까지 병살로 잡아내는 등 호수비로 팀을 도왔다. 부진으로 2군에 내려갔을 때도 불평불만 없이 훈련에 매진하여 1군에 올라와서 활약하곤 했다.
  • 이러한 야구에 대한 성실함뿐만 아니라, 적응하려는 의지가 대단해서 통역없이 일본어로 대화하는 수준까지 되었다고 한다. 외야 포지셔닝 확인 때에도 그냥 일본어로 했다고 하며, 통역사도 역대 용병 중 성실함으로는 최고일지도 모른다고 평가했을 정도.
  • 입단 당시에 감독을 맡고 있던 노무라 켄지로를 매우 존경하며 그를 '케니(Kenny)'라고 불렀다. 2013년 이후 방출이 유력했지만 노무라를 찾아가 강하게 어필하며 잔류하게 되었고, 2014년부터 활약을 이어나갔다. 엘드레드는 이를 전부 "케니의 어드바이스 덕분이다."라고 노무라에 공을 돌렸는데, 노무라는 영어로 직접 "니 스스로 너무 생각이 많다. 상대는 널 무서워한다."라고 하는 등 자신감을 복돋아주었다고 한다.[2] 엘드레드는 통역도 없이 직접 조언해주는 것에 대해 감동했다면서 노무라에게 무한 신뢰를 보냈다. 심지어 노무라는 식사도 챙겨주기도 하고 엘드레드의 배우자 생일 때 케이크까지 사준 적 있는 등 그라운드 안팎으로 많이 챙겨주었다.
  • 미국에 있던 시절, 자연이 아름다운 플로리다주 출신이라 '빅 컨트리(Big Country)'라는 별명으로 불렸었는데 일본에서는 컨트리를 축약한 '칸짱(カンちゃん)'이라 주로 불렸다.
  • 취미는 낚시. 미국에서는 낚시를 위해 배도 소유하고 있었지만, 히로시마 이적 초반에는 일본야구에 빨리 적응하기 위해 야구에만 집중했다. 어느 정도 익숙해진 3년차인 2014년부터는 히로시마현 내에서 낚시를 하러 다녔다.
  • 2015년 8월 23일, 구단의 기획으로 엘드레드의 어머니가 일일 홈런걸이 되었는데 1회부터 마루 요시히로가 리드오프 홈런을 치면서 마스코트 인형을 건네게 되었다.
  • 히로시마시 시내를 돌아다닐 때는 자전거를 애용해서 히로시마 시민들에게도 종종 목격되기도 했다. 심지어 비오는 날에도 우비를 입고 타고 다녔다고... 은퇴식 때도 자전거 타고 장내를 한 바퀴 돌았다.
  • 자서전도 저술했는데, 제목은 '브래드 엘드레드, 히로시마를 사랑하고 히로시마에게 사랑받는 남자'

7. 연도별 성적

파일:MLB 로고.svg MLB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점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colbgcolor=#dcdcdc> 2005 PIT 55 208 27 23 42 9 0 12 1 13 77 .221 .279 .458 .737
2007 19 47 3 3 5 1 0 2 0 1 16 .109 .128 .261 .389
2010 COL 11 27 3 4 6 1 0 1 0 2 10 .250 .333 .417 .750
2012 DET 5 17 1 1 3 1 1 0 0 1 6 .188 .235 .375 .610
MLB 통산
(4시즌)
90 299 34 31 56 12 1 15 1 17 109 .203 .258 .417 .674
파일:NPB 로고.svg NPB 통산 기록
<rowcolor=#ffffff> 연도 소속 경기 타석 타점 득점 안타 2루타 3루타 홈런 도루 볼넷 삼진 타율 출루율 장타율 OPS
2012 広島 65 251 35 22 59 10 0 11 0 20 67 .262 .327 .453 .780
2013 66 260 32 24 58 11 0 13 3 20 73 .247 .315 .460 .775
2014 118 505 104 71 118 18 0 37 2 41 169 .260 .329 .544 .873
2015 79 300 54 32 60 6 0 19 1 31 91 .227 .307 .466 .781
2016 95 354 53 42 93 14 0 21 1 31 86 .294 .362 .538 .900
2017 116 405 78 40 91 11 0 27 0 50 111 .265 .368 .532 .900
2018 38 94 14 8 17 9 0 5 0 11 19 .213 .330 .513 .842
NPB 통산
(7시즌)
577 2169 370 239 496 79 0 133 7 204 616 .259 .337 .508 .844
  • 볼드체는 리그 1위.

[1] エルドレッド エルドレッド ホームラン
에루도렛도 에루도렛도 호무라은
엘드레드 엘드레드 홈런
エルドレッド エルドレッド 無限のパワー
에루도렛도 에루도렛도 무겐노 파와아
엘드레드 엘드레드 무한의 파워
[2] 대표적으로 2014년 5월 14일 요미우리전 경기가 있는데, 첫 타석에서 크리스 세든을 상대로 범타로 물러나고 벤치에 돌아왔을 때 노무라가 힘이 너무 많이 들어갔다며 조언을 해주었고, 그 다음 타석에서 바로 세든을 떡실신시키는 투런포를, 그 다음 타석에서는 생애 첫 만루홈런을 쳤다! 그 경기에서 엘드레드는 5타수 3안타 6타점으로 맹활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