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8 19:39:14

홍콩 요리

세계의 요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북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요리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요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요리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요리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요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요리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 요리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요리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투바·알타이·하카스 요리
파일:청나라 국기.svg
퉁구스 요리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요리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요리
동남아시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요리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요리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요리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요리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요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요리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요리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요리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요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요리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요리
파일:드라비다인 깃발.svg
남인도 요리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요리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요리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요리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요리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요리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요리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요리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요리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 요리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요리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요리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요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카자흐·키르기스 요리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요리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요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요리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요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요리
파일:아시리아인 깃발.svg
아시리아 요리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요리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 요리
파일:베르베르기.svg
베르베르 요리
서유럽 · 중부유럽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요리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요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프랑스 요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요리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요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요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요리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스위스 요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요리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요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요리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요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요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바티칸 국기.svg
이탈리아 요리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스페인 요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요리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그리스 요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요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루마니아·몰도바 요리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요리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요리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요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요리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알바니아·코소보 요리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요리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요리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요리
북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요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요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요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요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요리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요리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요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요리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요리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요리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요리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요리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 파일:인구셰티야 공화국 국기.svg
체첸·인구시 요리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스 요리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요리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요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요리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요리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요리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요리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온두라스·엘살바도르 요리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파나마 국기.svg
콜롬비아·파나마 요리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요리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요리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요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요리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요리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요리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요리
동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요리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요리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요리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소말리아·지부티 요리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요리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요리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요리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케냐·탄자니아 요리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르완다·부룬디 요리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요리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요리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세네갈 · 감비아 요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요리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요리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요리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요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요리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요리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요리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요리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토고 · 베냉 요리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요리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요리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아공 요리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 요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요리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요리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요리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요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요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요리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요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요리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요리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요리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요리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요리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요리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요리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괌 기.svg
마리아나 제도 요리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요리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요리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요리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요리
지역별
동아시아 요리 동남아시아 요리 중동 요리 지중해 요리 오세아니아 요리
서양 요리 아프리카 요리 라틴아메리카 요리 남아시아 요리 중앙아시아 요리
소련 요리 퓨전 요리
}}}}}}}}}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 요리의 지역 계통별 분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1c25><colcolor=#fff> 4대 요리 광동 · 산동 · 사천 · 강소
8대 요리 안휘 · 복건 · 절강 · 호남
기타 북경 · 상해 · 호북 · 운남 · 귀주 · 대만 · 청진 · 동북·만주 · 섬서 · 홍콩 · 마카오
해외 한국식 · 미국식 · 일본식 · 러시아식 · 말레이시아식 · 인도식 · 페루식 · 호주식
중국 요리 · 중화 요리의 계통별 분류 · 한국식 중화 요리 · 일본식 중화 요리 · 미국식 중화 요리
}}}}}}}}} ||

중국어, 광동어: 香港菜
영어: Hong Kong cuisine
1. 개요2. 특징
2.1. 현지 프랜차이즈 일람
3. 관련 문서

1. 개요

홍콩에서 먹는 전통 음식 및 요리들의 특징을 다루는 문서이다.

2. 특징

세계적으로 미식을 경험하기 좋은 곳으로 손꼽힌다. 특히 영국령 홍콩으로서 영국의 식민통치를 오랜 기간 받아온 영향으로 서양의 음식이 일찍이 유입되었고 중국 전역은 물론 태국, 말레이시아, 필리핀동남아시아 일대에서 몰린 이주민들의 영향으로 타 지역의 요리도 상당수 유입되어 동서양이 결합된 다채로운 식문화를 이뤄낼 수 있었다.

광동성에서 떨어져나간 광동 지방답게 광동 요리 위주인데 그 중 한국인들에겐 완탕딤섬이 가장 친숙할 것이다. 홍콩 요리는 홍콩 문화에 끼친 영향도 적지 않아 드라마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건 물론이고 정치인들을 중심으로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영국 영향을 받아서 밀크티 티타임 문화가 정착되어 있다. 티타임이 사라져가는 영국 본토보다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다. 한편 영국 고유의 티타임 문화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지만 상당히 현지화가 이루어진 모습 또한 존재한다. 밀크티만 해도 영국식 밀크티와는 달리 홍콩식 밀크티는 홍콩에서만 쓰이는 특이한 거름망에 홍차를 우려내며, 우유를 넣는 영국식 밀크티와는 달리 홍콩식 밀크티는 진한 연유를 넣는다. 이는 홍콩이 익히 알려져있다시피 날씨가 따뜻한 환경이기에 우유가 상하기 쉬워서 대용으로 보존성이 좋은 연유를 쓰기 때문이다. 정확히 말하면 무가당연유 (evaporated milk)를 쓴다. 사실 홍콩 밀크티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잉글리쉬 블렉퍼스트 홍차를 뜨거운 물에 우려내는 방식이 아닌 물에 넣고 같이 끓이는 방식으로 진하게 우려내서 무가당 연유와 섞으면 거의 홍콩식 밀크티와 아주 흡사한 맛을 가정에서 재현할 수 있다.

디저트 문화도 상당히 발전한 축에 속하며 이 역시 상당한 현지화가 이루어졌다. 대표적으로 홍콩식 프렌치 토스트가 있다. 빵 사이에 땅콩버터를 바르고 계란물을 입혀 기름에 튀긴 다음 그 위에 연유를 뿌려준다. 에그타르트 역시 유명하다. 원래 포르투갈에서 먹던 간식거리지만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마카오를 통해 들어왔고, 광저우시를 거쳐 홍콩에 들어온 후 한번 더 현지화가 이루어졌다. 그 뿐만 아니라 팬케이크의 경우 빤켁이라는 요리로 재탄생 했다. 서양과 다르게 팬케이크 속을 생크림, 과일 등으로 채운 뒤 반으로 잘라 먹는다.

밀크티 말고도 유명한 음료가 여럿 존재한다. 망고를 디저트로도 먹고 죽에다 넣어 먹는 동네답게 망고 주스도 유명한데 한국 관광객들이라면 익히 알고있을 허이라우샨(허유산, 許留山)이 대표적이었다. 취소선 드립이 있었는데 허이라우샨은 2020년 판데믹을 못 버티고 망해 사라졌다. 또한 콜라레몬을 넣어 먹는 문화 역시 홍콩이 처음이고 한술 더 떠 레몬콜라생강차(檸樂煲薑)는 홍콩의 대표적인 감기 치료용 민간요법으로 꼽힌다.

홍콩에서만 볼 수 있는 차찬텡(茶餐廳)이라는 대중음식점이 있다. 한국으로 치면 김밥천국이나 분식집, 기사식당 등에 해당하는 서민음식점으로 간단한 디저트와 차부터 값싸고 다양한 요리까지 판다. 패밀리 레스토랑 등 체인점보다 값싸고 푸짐한 양에 먹부림을 누릴 수 있다. 2차대전 이후로 영국 그리고 미국의 문화가 전파되는 과정에 찻집들이 여태까지만 해도 상류층의 전유물로만 여겨지던 스테이크파스타 등 서양 음식들을 현지화한 후 서민들을 대상으로 팔기 시작한데서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원래 양식과 현지식이 섞인 포장마차 개념으로 시작했다. 시작은 식민지 초창기 영국인들이 한족들과 만남과 소통을 갖기 원해서 식사를 같이 할 공간을 찾다가 포장마차 개념으로 양식과 중식, 인도 음식을 모두 파는 식당을 만든 것이 시초다. 거기에 1949년 중국 대륙이 공산화되어 수많은 요리사 등이 홍콩으로 이주함에 따라 이들에 의해 중국 각 지역의 고급요리들까지 저렴하게 양산형으로 보급되었다. 현재의 차찬텡 역시 서민 대상으로 영업하는 저렴한 음식점들이다.

그리고 본격적인 차찬텡이라는 개념이 나온 1950년대 부터 지금까지 운영하는 노포들이 굉장히 많아서 대개 비좁고 낡은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사람이 몰리는 유명한 업소의 경우 합석은 거진 필수다. 대표적으로 야우마테이역에 있는 미도 카페나 차찬텡의 효시로 꼽히는 홍콩섬의 오래된 차찬텡 란퐁윈이 있다. 미도 카페는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중국 관광객이 끊겨버려서 결국 망해서 사라졌다가 2023년 정부 보조금 지급과 중국의 제로 코로나 철회 이후 관광객 증가로 부활했으며[1] 란퐁윈은 건재하다.

대규모 프랜차이즈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은 홍콩식 패스트푸드점 및 패밀리 레스토랑 역시 차찬텡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았다. 그래서 비슷한 메뉴가 꽤 있다. 다만 차찬텡에 비해 메뉴가 훨씬 많은 편이고 기업체에서 운영하는 만큼 매장이 보다 깨끗하고 규모가 큰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인지 한국 관광객들 사이에선 할인점 푸드코트와 비슷하다는 의견이 많은 편. 가성비가 상당히 좋은 편이지만 일본의 패밀리 레스토랑과 비슷하게 이쪽도 가격을 맞추기 위해 냉동, 레토르트의 비중이 비교적 높아 맛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일찍이 일본과의 교류가 많이 있었던 지역인지라 일본 요리가 상당히 보편적이다. 요시노야, 모스버거, 사이제리야[2] 같은 대규모 프랜차이즈들은 점포만 수십 개씩 있으며 나고야 로컬 체인인 세계의 야마짱(世界の山ちゃん)[3]같은 일본에도 몇 없는 프랜차이즈의 지점까지 있을 정도. 단순히 일본 업체가 많이 진출한 것을 넘어서 일상 생활 속에 깊숙히 침투한지 오래다. 홍콩계 프랜차이즈에서도 일본 요리를 취급하는 건 예사고, 차찬텡에서 취급하는 라면 으로 중국, 대만 브랜드도 아닌 닛신식품의 데마에잇쵸(出前一丁)를 주로 사용한다. 그리고 홍콩인들이 차린 초밥 전문점이 동네마다 심심치 않게 있는 수준이다.

그리고 홍콩에 인도인 인구가 워낙 많아 인도 요리도 보편화되어 있다. 19세기 영국군을 따라 온 북인도 출신들이 처음 인도 레스토랑을 오픈했으며, 치킨 마크니탄두리 치킨 같은 북인도 요리가 주를 이룬다. 이들은 모두 할랄 푸드를 취급하는 지라 홍콩에 이주한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인도네시아 등 이슬람 국가 출신 노동자들이 자주 찾는다. 그리고 논베지가 대부분이다.

전체적으로 홍콩요리는 간이 슴슴하고 순한 편인데 이는 홍콩이 광동 요리 문화권으로 속해서 그렇다. 광동요리가 다른 지역에 비해 맛이 대체적으로 담백하고 식감도 대체적으로 부드럽다. 소스도 향신료의 향이 강하지 않고 그렇게 짜지도 시지도 달지도 맵지도 않은 무엇보다 재료 본연의 향과 맛을 해치지 않는 수준에서 조리되는데 이는 조화로움을 중요시 하는 광동요리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는 어패류 및 동물의 지방, 채소, 곡식에서 나오는 특유의 고소함, 유제품의 크리미함, 그리고 식재료 특유의 식감을 즐기는 홍콩사람들이 입맛에서 비롯되는데, 만약 간이나 향이 강하면 쉽게 묻힐수 있는 맛들이기에 이를 최대한 보존하고 극대화 사키는 스타일의 요리로 발전된 형태다. 하지만 짜고 맵고 달고 신 음식을 좋아하는 한국인의 입맛과는 매우 달라 처음 접할 시에 조금 느끼하다고 느낄 수 있다.

2.1. 현지 프랜차이즈 일람

  • 카페 데 코랄(大家樂(대가락)/따이까록/따자뤄)
    1984년에 장국영을 기용한 CF를 찍은 적도 있으며 ##[4] 근래에는 한국식 퓨전 메뉴[5]를 내놓을 때 강남스타일을 활용한 광고도 낸 적이 있다. # 이것과 별개로 같은 폰트에 마지막 한 글자가 다른 따이가섹(大家食, 대가식/따자스)(...)이라는 브랜드도 존재한다. 세트 메뉴가 N2, N3 등으로 주문하기 편리하다.
  • 맥심(美心(미심)/마이쌈/메이신)
    차찬텡 브랜드로만 한정하면 '美心MX'이며, 메이섬 식품 유한 공사(Maxim's Catering)[6]라는 요식업 그룹의 일원이다. 대가락이 한류 메뉴를 내놓자 이쪽도 역시 한류 메뉴를 내놓은 바가 있다. (광고)
  • 페어우드(大快活(대쾌활)/따이파이웃/따콰이훠)
    주성치 주연의 식신에서는 따이파이웃(대쾌활)과 따이까록(대가락)이 융합한 따이파이록(大快樂(대쾌락))(...)이라는 차찬텡 브랜드를 만들어냈다.

3. 관련 문서



[1] 실제로 가게 내에 터줏대감으로 자리잡은 고양이가 마스코트다.[2] 일본의 이탈리안 전문 패밀리 레스토랑 프랜차이즈.[3] 나고야의 명물 테바사키(닭날개 튀김)를 전문으로 하는 프랜차이즈.[4] 그 전에는 대만의 여배우 장아이지아(張艾嘉, 장애가)를 기용한 CF도 있었다.[5] 이후 한국 메뉴를 또 냈는데 그게 밥에다 양념치킨 다리를 올려놓은(...) 것도 나왔다.[6] 제빵사업(美心西餠)에도 진출하거나 홍콩 내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등 사업 영역이 넓은 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