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16:51:54

아이슬란드 요리


<nopa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동아시아 · 북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 요리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요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요리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요리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요리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요리
파일:마카오 국기.svg
마카오 요리
파일:오키나와현 현기.svg
오키나와 요리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투바·알타이·하카스 요리
파일:에벤키 깃발.svg
퉁구스 요리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요리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요리
동남아시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요리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요리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요리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요리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요리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요리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요리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요리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요리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요리
남아시아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요리
파일:드라비다인 깃발.svg
남인도 요리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요리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요리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요리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요리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요리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요리
파일:티베트 국기.svg
티베트 요리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요리
파일:발루치족 깃발.svg
발루치 요리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요리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요리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요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카자흐·키르기스 요리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위구르 요리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요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요리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요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요리
파일:아시리아인 깃발.svg
아시리아 요리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드 요리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 요리
파일:베르베르기.svg
베르베르 요리
서유럽 · 중부유럽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요리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요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요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요리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요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요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요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요리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요리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요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요리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요리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요리
남유럽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요리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요리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요리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그리스 요리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요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루마니아·몰도바 요리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요리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요리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요리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요리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알바니아·코소보 요리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요리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요리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요리
북유럽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요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요리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요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요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요리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요리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요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요리
동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요리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요리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요리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요리
파일:체첸 공화국 국기.svg 파일:인구셰티야 공화국 국기.svg
체첸·인구시 요리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스 요리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요리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요리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요리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요리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요리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요리
파일:온두라스 국기.svg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온두라스·엘살바도르 요리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파일:파나마 국기.svg
콜롬비아·파나마 요리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요리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요리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 요리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요리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요리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요리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파라과이 요리
파일:앵귈라 기.svg
앵귈라 요리
동아프리카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티오피아·에리트레아 요리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요리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요리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소말리아·지부티 요리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요리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요리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요리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케냐·탄자니아 요리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르완다·부룬디 요리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요리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요리
서아프리카 · 중앙아프리카 · 남아프리카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세네갈 · 감비아 요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요리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요리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요리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 요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요리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요리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요리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요리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토고 · 베냉 요리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요리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요리
파일: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svg
중아공 요리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 요리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 요리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요리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요리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요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요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공 요리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요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요리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요리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요리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요리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요리
파일:하와이 주기.svg
하와이 요리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요리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괌 기.svg
마리아나 제도 요리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요리
파일:키리바시 국기.svg
키리바시 요리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 요리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요리
지역별
동아시아 요리 동남아시아 요리 중동 요리 지중해 요리 오세아니아 요리
서양 요리 아프리카 요리 라틴아메리카 요리 남아시아 요리 중앙아시아 요리
소련 요리 퓨전 요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c1e35> 상징 <colcolor=#000,#fff>아이슬란드 국가 · 아이슬란드 국기 · 국호 · 국장
정치 정치 전반 · 의회 · 대통령 · 총리
역사 역사 전반 · 바이킹 · 칼마르 동맹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 아이슬란드 왕국
외교 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북극이사회 · JUSCANZ · 아이슬란드 여권
지리 아이슬란드 섬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아이슬란드 크로나
문화 북유럽 신화 · 사가 · 냘의 사가 · 에다 · 아이슬란드 요리 · 관광 · 아이슬란드 영화 · 루터교회(아이슬란드 복음주의 루터교회)
스포츠 아이슬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 아이슬란드 축구 협회 · 베스타데일드
교통 아이슬란드 1번 국도 · 아이슬란드 77번 국도
언어 고대 노르드어 · 아이슬란드어 · 바스크-아이슬란드 피진
민족 노르드인 · 아이슬란드인 · 아이슬란드계 미국인
국방 아이슬란드군 · 아이슬란드 해안경비대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치안·사법 아이슬란드 국가경찰
}}}}}}}}} ||
아이슬란드어: Íslensk matargerð
영어: Icelandic cuisine

1. 개요2. 역사
2.1. 중세시대
2.1.1. 보존2.1.2. 치즈2.1.3. 요리와 식사
2.2. 근세 시대
2.2.1. 무역2.2.2. 빵
3. 상세4. 종류5. 관련 문서

1. 개요

아이슬란드의 전통 요리.

전통적인 아이슬란드 요리는 양고기, 유제품, 대서양물고기 등을 기반을 한다.

2. 역사

아이슬란드 요리의 뿌리는 스칸디나비아 요리의 전통에서 시작되었다. 9세기경 바이킹이 아이슬란드에 정착하면서 아이슬란드의 역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아이슬란드는 다른 국가들과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자급자족 농업에 기반한 전통적인 경제 구조를 가진 독특한 문화가 생기게 되었다.

아이슬란드 요리는 역사적 사건에 따라 변화하기 시작했다. 1000년 북유럽 신화가 아닌 기독교를 믿게 되면서 교리에 따라 금식의 전통이 생겨났고 말고기 섭취가 금지되었다. 농업과 식량 공급 측면에서 더욱 중요한 사건이 발생하게 되는데 바로 14세기에 시작된 소빙하기였다. 농부들은 더 이상 보리를 재배할 수 없었고, 모든 종류의 곡물을 수입에 의존해야 했다. 기후 변화로 인해 주택과 난방에도 중요한 변화가 일어게 되었다. 일반적인 거주 형태였던 초기 정착민의 롱하우스는 제대로 된 부엌을 포함한 여러 개의 작은 방이 있는 아이슬란드의 잔디밭 주택으로 바뀌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역사학자들은 1517년에 시작된 종교 개혁을 아이슬란드 역사에서 중세와 근대 초기 사이의 전환기로 본다. 아이슬란드의 농업은 14세기부터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개혁이 이루어진 18세기 후반까지 전통적인 방법으로 지었으나 1602년 덴마크 왕이 제정한 무역 독점 명령이 아이슬란드의 요리와 농업제도가 덴마크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덴마크 요리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시기는 덴마크와 아이슬란드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한 19세기와 20세기 초였다. 20세기 초, 상업적 어업과 가공업을 기반으로 한 경제 호황으로 인해 전통적인 유제품과 육류 기반 식품에서 생선과 뿌리채소 소비로 천천히 전환되었다. 보존 식품은 신선한 재료에 더 중점을 두고 대체되기 시작하면서 오늘날의 요리 형태를 띄게 되었다.

2.1. 중세시대

아이슬란드 요리의 시작은 스칸디나비아와 영국 제도의 바이킹 식민지에서 온 이주민들이 아이슬란드에 정착했을 때로, 그들은 북유럽의 농업 방식과 음식 전통을 가져왔다. 연구에 따르면 중세 시대 아이슬란드의 기후는 지금보다 훨씬 온화했으며 보리귀리를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곡물들은 대부분 포리지처럼 먹거나 맥주를 만드는 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가 주요 가축이었지만 농장에서는 가금류, 돼지, 염소, , 들도 사육했다. 아이슬란드에 처음 유입된 가축들은 현대의 품종 개량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고립된 채 진화해 왔으며 이들을 바이킹 품종(Viking breed)이라고 부른다.

2.1.1. 보존

중세시대 당시 아이슬란드인들은 생선염장해서 보관했고 흑사병 이전에는 노르웨이 베르겐의 어시장으로 건어물을 수출해서 생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아이슬란드에는 노르웨이보다 소금이 부족했고 주로 바닷물을 끓이거나 해초를 태워 소금을 만들던 방식은 14세기에 아이슬란드 대부분 지역에서 과도한 벌목으로 인해 땔감이 부족해지면서 점차 사라졌다.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소금으로 고기를 절이는 대신 발효된 유청에 고기를 보존하기 시작했다. 이 방법은 노르웨이에서도 알려져 있었지만 소금이 많이 있었던 노르웨이에서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 않았다.

고고학자들이 중세 농장을 발굴하면서 저장실에 젖산이 담긴 통이 보관되었던 크고 둥근 구멍이 발견하면서 중세 아이슬란드인들은 생선과 고기를 모두 발효시켜 보존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음식의 맛을 크게 변화시켜 매우 강한 치즈나 삭힌 홍어와 비슷한 맛과 향을 만들었다. 특히 그들은 상어를 말리는 음식인 하우카르틀, 홍어, 청어를 팔았고 이 음식들은 지역 특산품이 되었지만 요즘은 찾아보기 어렵게 되었다. 고기와 생선을 훈제하고 말리는 요리법도 있었지만 고기를 말리는 것은 더이상 유청이나 소금이 없어 보존식품을 만들 수 없을 때 만드는 최후의 수단으로 여겨졌다.

2.1.2. 치즈

치즈는 염소젖과 양젖, 그리고 소젖으로 만들었다. 숟가락으로 먹는 부드러운 요거트 같은 치즈인 스키르(Skyr)는 노르웨이에서 아이슬란드로 전해진 치즈로 현재는 아이슬란드에서만 남아 있다. 스키르를 만들 때 남은 유청은 신맛이 나도록 만들어 고기를 저장하는 데 사용했다. 아이슬란드 요리에서 스키르가 주요한 역할을 하면서 근대에 이르러 다른 치즈 제조 전통이 사라졌고 20세기 전반에 들어서서야 산업적 치즈 제조가 시작되었다.

치즈는 늦봄에 고지대의 산장에서 생활하는 농부들이 이동 목축을 하는 셀랴부스카푸르(seljabúskapur) 방식으로 만들었는데 농부들은 어린 양을 어미에게서 떼어내 성체를 저지대에서 고지대로 옮겨 새로운 풀을 뜯어먹게 하고 젖을 짜 독특한 풍미를 가진 치즈를 만들었다.

2.1.3. 요리와 식사

초기 정착민들의 롱하우스는 대개 집 중앙에 긴 불을 피워 따뜻하게 데우는 형태였다. 그 주변에는 바닥에 구멍을 파고 빵을 굽고 고기를 요리하는 화덕으로 사용했으며 여자들은 반죽이나 고기를 불에서 나온 뜨거운 잉걸불[1]과 함께 파둔 구멍에 넣고 뚜껑을 단단히 닫아 요리를 했다. 나무로 만든 통나무 우유통[2]에 뜨거운 돌을 직접 넣어 액체를 끓였다. 불 주변에는 낮은 돌 화덕이 있었지만, 요리는 대부분 바닥에서 했다.

14세기에 아이슬란드에서 잔디 집이 생겨나면서 롱하우스는 점차 대체되었다. 그들은 흘로디르(hlóðir)라고 불리는 높은 돌 화덕이 있는 부엌을 사용했다. 소빙하기(Little Ice Age) 동안 기후가 추워지면서 보리를 재배할 수 없게 되었고, 양이 값비싼 소를 대신하여 주요 가축이 되었으며 모든 곡물을 수입에 의존하게 되었다. 장작이 부족해지자 사람들은 이탄, 분뇨, 말린 헤더[3]를 연료로 사용했다.
파일:800px-Kbh_Mus_Trinkhoerner_1.jpg
덴마크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있는 1600년대의 아이슬란드 술잔

중세 아이슬란드 사람들은 오늘날 사람들과 다르게 하루에 두 끼를 먹었다. 정오에 먹는 점심인 다그베르두르(dagverður)와 하루를 끝내고 나서 먹는 저녁인 나트베르두르(náttverður)였다. 음식은 그릇에 담아 먹었고 물은 뚜껑이 달린 탱커드[4]와 유사한 나무 통에 따라 마셨다. 나중에 이 통은 음식을 담아 담는 데 사용되는 불룩한 통인 아스카(askar)로 발전했다. 상류층은 특별한 날에 정교하게 조각된 술잔을 사용했다. 숟가락은 뿔이나 뼈로 만들었으며 종종 조각으로 장식된 경우도 있었다. 식탁을 차리는 잔치를 제외하고는 사람들은 집 외벽에 늘어선 침대에 앉아 음식을 먹었다. 식재료를 가공하고 요리하는 것 외에도 농부의 아내는 가족과 친구들에게 음식을 나누어 주는 일을 했으며 부유한 가정에서는 이 역할을 브리티(bryti)라는 집사에게 맡겼다.

2.2. 근세 시대

중세부터 20세기까지 아이슬란드의 자급자족 농업은 긴 한파에 비해 짧은 여름 때문에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가끔씩 사냥감을 잡는 것을 제외하면 여름 3개월 동안 생산된 식량만으로 9개월의 겨울을 견뎌야 했다. 수 세기 동안 농경 방식은 거의 변하지 않았으며, 어업은 건장한 남자들이 유목[5]으로 만든 낚싯배와 낚싯대를 이용하면서 물고기를 낚았다. 농부들은 배를 소유했지만 본업은 농업이기 때문에 어업은 농장 일손이 필요하지 않은 시기에만 했다.

물고기는 단순한 식량이 아니라 교역품이었으며, 외국 상선이 가져온 상품과 교환했다. 사람들은 덴마크 상인들이 아이슬란드로 운반한 호밀과 귀리 같은 곡물을 구입했다. 19세기까지 아이슬란드 농부의 대다수는 아이슬란드 지주, 가톨릭 교회, 또는 덴마크 국왕이 소유한 토지에서 소작농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소작농들은 잉여 생선이나 양초용 기름, 버터로 세금을 납부했다.

자급자족 농업은 사람들이 바다 근처에 살느냐 내륙에 살느냐에 따라 지역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북부 지역에서는 주요 어업 기간이 가을 건초 만드는 기간과 겹쳤고 건초 만드는 데 노동력이 집중되었기 때문에 어업이 발달하지 못했다. 반면 남부 지역에서는 주요 어업 기간이 2월부터 7월까지였기 때문에 어업이 크게 발달했다. 허나아이슬란드 사회는 매우 보수적인 농업 사회였기 때문에 짧은 여름철에 농장 일손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자 소작농과 지주들은 어촌 형성에 반대했고 알팅기 의회는 토지가 없는 소작인이 해안 마을에 살면서 어업을 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금지하는 많은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2.2.1. 무역

아이슬란드는 자급자족 농업이 지배적이었기에 농장 간의 전문화와 상업이 부족했다. 일부 아이슬란드 기록에서도 정착 시대부터 국내 무역과 상업활동은 고리대금업으로 취급받으면서 사람들은 상인들을 업신여겼다. 그러나 외국 상선과의 무역은 활발했고 경제가 제대로 돌아갈려면 무역은 필수적이었기 때문에 해외 무역은 활발히했고 특히 곡물과 꿀, 술, 그리고 담배를 자주 구매했다. 유럽 해안 지역의 어선들은 아이슬란드 항구에 정박하여 식량을 구하고 지역 주민들과 거래했다. 그들은 탁한 맥주, 소금에 절인 돼지고기, 비스킷, 씹는 담배 등을 거래했으며 아이슬란드인들은 뜨개질한 모직 장갑, 담요 등으로 거래를 하였다. 상선들은 네덜란드, 독일, 영국,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프랑스, 스페인에서 가끔씩 입항하여 주로 건어물을 판매했다.

1602년, 덴마크 왕은 자신들의 영해라고 여겼던 곳에서 영국과 독일 선박의 활동을 보고 우려하여 아이슬란드에 무역 독점권을 제정하여 다른 국가의 상인들의 무역 활동을 제한했다. 덴마크 상인들은 아이슬란드에 필요한 무역 상품을 실은 상선을 정기적으로 파견했지만 17세기에는 불법 무역이 성행하게 되었다. 1685년부터 정부는 독점을 강화하기 위해 더욱 엄격한 조치를 취했고 독점법은 1787년까지 지속되었다. 그 결과, 아이슬란드 농부들은 덴마크에서 주로 재배되는 호밀 품종을 재배하게 되었고, 호밀로 만든 아쿠아비트을 만들게 되었고 이는 맥주를 대체하게 되었다.

2.2.2.

다양한 종류의 빵은 그리 흔한 편도 아니고 만들 재료도 별로 없어서 서민들에게 사치품으로 여겨졌다. 상인에게서 구입한 옥수수는 크바르나르슈타인(kvarnarsteinn)라는 맷돌을 사용하여 갈아 말린 덜스(해초)와 이끼를 곁들였습니다. 때로는 우유에 끓여 묽은 죽처럼 먹기도 했습니다. 이 죽은 스키르(skyr)와 섞어 스키르레링귀르(skyrhræringur)를 만들기도 했습니다. 가장 흔한 빵은 루그브라우드(rúgbrauð)라고 불리는 도마 빵으로, 독일의 펌퍼니켈(pumpernickel)과 덴마크의 루그브뢰드(rugbrød)를 연상시키는 검고 진한 호밀빵이지만, 더 촉촉했습니다. 이 빵은 온천 근처 땅속 특수 나무통에 반죽을 묻어 다음 날 꺼내서 구울 수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구운 빵은 약간 유황 냄새가 났습니다. 버터를 바른 말린 생선은 하루 종일 식사와 함께 제공되었는데, 이는 유럽에서 "일용할 빵"과 같은 역할을 했습니다.

3. 상세

북극권에 가까운 혹독한 기후에 정착한 역사 때문에 육류, 유제품, 생선 같은 동물성 식품이 아이슬란드 요리를 지배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 아이슬란드인의 대중적인 취향은 다른 유럽 국가들의 규범에 더 가까워지기 위해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몇 십 년 동안 채소 소비는 크게 증가하여 그에 따라 생선 소비는 감소했지만, 여전히 평균의 약 4배 수준으로 다른 선진국에 비해 훨씬 높다.

4. 종류

4.1.

4.2. 수산물

5. 관련 문서


[1] 장작불이 다 타고 연기가 나지 않는 숯불, 알불이라고도 한다.[2] 오크통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3] 진달래과속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4] tankard, 손잡이가 하나 달리고 몸체는 원기둥 형태인 커다란 잔. 은, 백랍, 유리, 목재, 도자기, 가죽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다.[5] 가축을 거느리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먹이가 될 풀밭을 찾으며 가축을 기르는 생활 활동을 뜻하는 유목(遊牧)이 아닌 물에 떠다니거나 강가나 바닷가에 떠내려온 나무를 뜻하는 유목(流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