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5 15:14:26

아쿠아비트

1.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d0e2f2,#0d1e2f> 양조주 <colbgcolor=#D4F4FA,#2d2f34> 과일 사과주 · 포도주 · 야자술
곡물 단행복발효 맥주 · 크바스 · 치차
병행복발효 청주 (약주) · 탁주 (막걸리) · 사케 · 황주
기타 벌꿀술 · 아이락 · 풀케 · 킬유
혼성 과하주 · 강화 포도주 · 합주
증류주 과일 라키아 · 람바녹 · 키르슈바서 · 팔린카 · 애플 브랜디 (칼바도스 · 애플잭)
포도 브랜디 (코냑 · 아르마냑 · 피스코) · 포메이스 브랜디 (그라파 · 마르)
곡물 단행복발효 보드카 · 위스키 · 코른 · 포틴
병행복발효 증류식 소주 · 백주 · 쇼츄 · 아와모리
기타 (카샤사) · 데킬라 · 아드보카트 · 희석식 소주
혼성 리큐르 (담금주 · 리큐르 소주 · 비터스 · 큐라소) · 라크
아락 · 아쿠아비트 · 압생트 (파스티스) · 약소주 · 우조 ·
그 외 소주 · 양주 (대중 양주) · 칵테일 (폭탄주 · 소맥) · RTD 주류
맛술 (미림) · 술지게미 · 주정
}}}}}}}}} ||
Akvavit

주로 스칸디나비아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증류주로, "아콰비트" 라고도 불린다. 이름은 '생명의 물'을 뜻하는 라틴어 aqua vitae에서 유래했다.

감자나 기타 곡물[1]을 당화시켜 발효하고 증류해 알코올 도수를 높이고, 허브, 향신료 또는 과일기름을 이용해 향을 낸다. 레시피와 향은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캐러웨이로 향을 내는 것이 대표적이다.

알코올 도수는 40~45도이며, EU에서는 37.5도를 넘어야 아쿠아비트라는 이름을 붙일 수 있는 것으로 규정하였다.

스웨덴에서는 미드솜마르(미드소마) 축제 때 이 술을 마신다.

2. 마동왕 그랑조트에 등장하는 세 번째 마동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쿠아비트(마동왕 그랑조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쿠아비트(마동왕 그랑조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쿠아비트(마동왕 그랑조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아머드 코어 시리즈에 등장하는 기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쿠아비트(아머드 코어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쿠아비트(아머드 코어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쿠아비트(아머드 코어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명탐정 코난의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검은 조직/조직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검은 조직/조직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검은 조직/조직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스웨덴덴마크에서는 주로 곡물을 이용하며, 노르웨이에서는 전통적으로 감자로 만들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