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4 08:22:15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의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경제5단체
파일:한국경제인협회 CI.svg 파일:대한상공회의소 로고.svg 파일:한국무역협회 로고.svg 파일:중소기업중앙회 로고.svg 파일:한국경영자총협회 CI.svg
대한상공회의소
大韓商工會議所 |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 Industry
파일:대한상공회의소 로고.svg
<colbgcolor=#00ADEF,#2E3192><colcolor=#2E3192,#fff> 설립 1884년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39 (남대문로4가 45)
회장 최태원
기업 분류 특수법인
직원 수
웹사이트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
대한상공회의소 자격평가사업단 홈페이지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원 HRD 포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공식 유튜브
파일:소통플랫폼 로고.png 소플

1. 개요2. 역사3. 특징4. 역대 회장5. 자격증
5.1. 국가기술자격5.2. 국가전문자격5.3. 국가공인자격5.4. 등록민간자격
6. 유의사항
6.1. 지각 유의사항6.2. 신분증 유의사항
7. 사건 사고8. 소플(So:ple)
8.1. 소플(So:ple) 앱8.2. 메뉴소개
8.2.1. 얘기해요8.2.2. 투표해요8.2.3. 소플Pick8.2.4. 칼럼8.2.5. 소플Today8.2.6. 커뮤니티
8.3. 소플 소셜채널
9. 네모 스튜디오10. 대한상공회의소 공식 소셜채널
10.1. 유튜브
10.1.1. 브랜드 인사이트10.1.2. B.T.S(Behind the Scene)10.1.3. 경.기.톡10.1.4. 1's message
10.2. 블로그
11. 국가발전 프로젝트 공모전
11.1. 최종 순위
12. 관련 문서

1. 개요

상공회의소법
제2조(법인격) 이 법에 따라 설립하는 상공회의소 및 대한상공회의소는 각각 법인으로 한다.

제33조(설립 목적) 대한상공회의소는 회원의 공동이익을 꾀하고 상공업에 관한 회원의 의견과 건의 등을 종합·조정하여 정부지방자치단체 등에 이를 건의함으로써 상공업의 경쟁력 강화와 진흥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34조(설립)상공회의소는 공동으로 대한상공회의소를 설립한다.
②대한상공회의소는 5개 이상의 상공회의소가 발기하고, 10개 이상의 상공회의소의 동의를 받아 창립총회에서 정관을 작성한 후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설립된다.

제52조(유사 명칭의 사용 금지) 이 법에 따라 설립된 상공회의소 또는 대한상공회의소가 아니면 "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승인을 받은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1]

제56조(「민법」의 준용) 상공회의소와 대한상공회의소에 관하여 이 법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파일:4JID53T.jpg
파일:12525507_1713876668859369_4581663758069397014_o.jpg
[[숭례문|{{{#FFFFFF 숭례문}}}]] 부근 [[세종대로|{{{#FFFFFF 세종대로}}}]]에 위치한 상공회의소 본사([[1984년|{{{#FFFFFF 1984년}}}]] 완공, [[2005년|{{{#FFFFFF 2005년}}}]] [[리모델링|{{{#FFFFFF 리모델링}}}]])[2][3]
대한민국상공회의소. 약칭은 대한상의 또는 상의(商議), 코참, KCCI 등으로 불린다. 1884년 설립되어 대한민국 경제 단체 중 가장 긴 역사를 갖고 있는 최고의 경제 단체다.

법정 경제 단체로, 한국무역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경제인협회, 중소기업중앙회까지 이른바 경제5단체[4] 중 다른 경제 단체가 민간 단체인 것과 비교된다. 이로 인해 민간 기업에 대한 대표성은 상대적으로 떨어지나, 존재의 당위성은 보장된다. 법적으로는 공공법인으로서 특수공익법인으로 분류된다.

정부와 경제계간의 가교 역할을 하는 중추적인 기관이다. 사실 과거엔 대기업 중심의 한경협(당시 전경련)이 경제계 맏형 역할을 해 왔으나 2016년 가을 전경련이 최순실 국정 사태박근혜 탄핵 사태에 휘말리며 기존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게 되면서[5] 문재인 정부 이후로는 대한상공회의소가 경제계 대표 역할을 맡고 있다.[6]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39(남대문로4가 45)에 위치해 있다. 세종대로 본사에 대한상의와 서울상의가 같이 입주해[7] 있다.

2. 역사

본 단체의 역사는 한국 자본주의 역사와 맥을 같이 한다. 1876년 조선과 일본 간에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후 개항장이 생겨 서양의 문물과 신식 상업방식이 도입되고, 조선에 들어온 일본인 상인들이 상업회의소 제도를 도입하자 조선 상인들은 일본 상인들의 상권 팽창을 견제, 대항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결성하여 1882년에 첫 민족계 조직 '원산상의소'를 세웠고, 2년 후 '한성상업회의소'를 세웠다. 현 대한상의의 뿌리는 한성상업회의소에 뿌리를 두고 있다.(원상상의는 현존하지 않아, 상공회의소의 효시는 한성(서울)상업회의소로 본다) 1895년 갑오개혁으로 육의전 같은 기존의 특권층 상인이 쇠퇴하고 근대적 경영방식을 지닌 '기업'이 등장하는 시대적 변화가 생기자, 조정은 '상무회의소규례'를 제정해서 법적 근거가 생기기 시작했다.

그러나 1897년 대한제국 출범 후 친러파 내각이 들어서자 '상무회의소규례'는 사라지고, 보부상단 중심의 '상무사장정'이 제정되자 한성상무회의소가 사라졌다. 상공회의소 조직이 살아난 건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 제국이 고문정치로 대한제국의 내정에 점차 간섭해가며 '화폐개혁'을 실시해서 금융공황 사태가 벌어졌고, 이에 위기의식을 느낀 한성의 운종가 상인들이 '경성상업회의소'를 창설했다. 이를 전후해 각 도청 소재지와 개항장에 상업회의소, 상의소, 민의소, 객주회 등지의 명칭 하에 17개소를 더 세웠다. 1910년 한일합병 후 1915년 조선총독부가 '조선상업회의소령'을 제정하여 경성상의 등 민족계 조직들을 일본인 상공회의소에 통합시켰고, 1930년 조선상업회의소령을 '조선상공회의소령'으로 고쳐 기존 조직을 일본인 우위로 해서 민족계 상공인 조직들을 억압했다. 1944년에는 '조선상공경제회'로 바꿔 전시동원에도 써먹었다.

1945년 8.15 광복미군정 체제 하에 민족계 상공인들은 구 상공회의소 조직을 기반으로 임의단체 '조선상공회의소' 및 22개 지방상공회의소를 재건했고, 1948년에 현 명칭으로 개칭했다. 1949년부터 이 조직의 법제화를 추구하여 1952년 '상공회의소법' 제정으로 결실을 보았다. 1974년부터 '상공의 날' 행사를 개최하고 1984년 서울 남대문로4가에 새 상공회의소 회관 건물을 세웠다. 1988년 EAN 가입 후 유통표준코드를 도입했고, 1994년 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의 8개 직업훈련원을 인수해서 직업훈련 사업에도 진출했다. 2005년에는 지속가능경영원을 세우고 기존 건물을 증축한 새 회관을 열었으며, 2018년 SGI를 세웠다.

3. 특징

각 지방 상공회의소들의 정책을 조정하는 단체이며, 근거법률은 상공회의소법이다. 다른 경제 단체와 달리 직접적으로 정부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관이다. 국가기술자격검정이나 기타 자격증 업무도 여기서 하는 것들이 있는데다 금융위원회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상임위원을 추천할 수 있는 등의 능력이 있다.[8]

2025년 기준으로 74개 지방 상공회의소가 있으며, 지방 상공회의소는 법률상 당연히 대한상의의 정회원이 된다.(상공회의소법 제37조 제1항) 특별시광역시는 지방 상공회의소 1개가 전부 통합해서 관리하나(단 서울의 경우 서울상공회의소 산하에 구(區)단위의 하부기관인 상공회가 있다. 중구상공회, 영등포구 상공회 등등) 의 경우는 좀 달라서 도 상공회의소가 있다가 각 기초자치단체별로 쪼개지기도 한다. 경기도가 특히 심해서 여기는 경기북부(의정부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 경기동부(구리시+남양주시+가평군) 상공회의소 정도를 제외하면 아예 각 기초자치단체 별로 상공회의소가 다 쪼개져버렸다.

(지방)상공회의소의 경우와 유사하게도, 상공업과 관련된 업무를 하는 비영리법인 및 단체의 중앙회 또는 이에 준하는 기관과 업종별 사업자단체는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대한상공회의소의 특별회원이 될 수 있다.(같은 조 제2항)

대한상공회의소의 사업도 (지방)상공회의소와 같다(같은 법 제3조).

각 지방 상공회의소가 창립되면 서울상공회의소 앞 벽면에 새로운 상공회의소 명판이 추가된다. 2025년 현재 가장 최신 상공회의소는 2025년 3월 인가된 김제상공회의소. #

4. 역대 회장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대한상공회의소 심볼.svg대한상공회의소
회장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이중재
제1-2대
이세현
제3대
송대순
제3대
전용순
제4대
전택보
제4-5대
송대순
제6-8대
박두병
제9대
태완선
제10대
김영선
제10-12대
정수창
제13-16대
김상하
제17-18대
박용성
제18-21대
손경식
제21-23대
박용만
제24대
최태원
}}}}}}}}} ||

서울상공회의소장 당선자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겸임하는 불문율이 있다.

5. 자격증

국가전문자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법률 / 경제 변호사법무부 | 법무사법원행정처 | 변리사특허청 | 공인노무사고용노동부 | 행정사행정안전부
공인회계사금융위원회 | 세무사기획재정부 | 보험계리사, 보험중개사, 손해사정사금융감독원 | 관세사, 보세사관세청
가맹거래사공정거래위원회 | 유통관리사산업통상자원부 | 경영지도사중소벤처기업부 |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 물류관리사, 주택관리사국토교통부 |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 / 복지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보건교육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보조공학사, 사회복지사, 안경사, 안마사, 약사, 언어재활사, 영양사, 요양보호사, 위생사, 응급구조사, 의사, 의지보조기기사, 임상병리사, 작업치료사, 장례지도사, 장애인재활상담사, 정신건강간호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조산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치과의사, 한약사, 한약조제사, 한의사보건복지부, 의료관리자해양수산부
교육 보건교사, 사서교사, 실기교사, 영양교사, 전문상담교사, 정교사 · 준교사, 평생교육사, 보육교사교육부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여성가족부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고용노동부
스포츠지도사, 건강운동관리사, 문화예술교육사, 한국어교원, 한국수어교원문화체육관광부 | 환경교육사환경부
문화 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사, 준학예사, 호텔경영사, 호텔관리사, 호텔서비스사, 경주선수, 경주심판, 사서, 무대예술전문인문화체육관광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행정안전부 | 국가유산수리기술자국가유산청
운전 자동차운전기능검정원, 자동차운전면허, 자동차운전전문강사경찰청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해양경찰청
택시운전자, 버스운전자, 화물운송종사자, 철도차량 운전면허,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조종사(사업용/운송용/자가용), 경량항공기 조종사,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 항공교통관제사, 운항관리사, 항공정비사, 항공기관사, 항법사국토교통부
고속구조정조종사, 구명정조종사, 기관사, 선박조리사, 도선사, 소형선박조종사, 수면비행선박조종사, 운항사, 통신사, 항해사해양수산부
안전 / 환경 국방무인기조작사, 국방보안관리사, 국방사업관리사, 낙하산전문포장사, 수중무인기조종사, 수중발파사, 심해잠수사, 영상판독사, 폭발물처리사, 함정손상통제사, 항공장구관리사, 헬기정비사국방부
(일반/기계/특수)경비지도사경찰청 | 교통안전관리자국토교통부 | 소방안전관리자, 소방시설관리사, 소방안전교육사소방청 | 수상구조사해양경찰청
방사선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 원자로조종면허(감독자/취급자), 핵연료물질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원자력안전위원회 | 기술지도사중소벤처기업부
산업보건지도사, 산업안전지도사고용노동부 | 환경영향평가사, 환경측정분석사환경부 | 방재전문인력, 기업재난관리사, 공인재난관리사행정안전부
무선통신사, 아마추어무선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건축물에너지평가사, 건축사국토교통부
농업 / 식품 경매사, 농산물품질관리사, 도시농업관리사, 손해평가사, 가축인공수정사, 농산물검사원, 말조련사, 수의사, 장제사, 재활승마지도사농림축산식품부
나무의사, 목구조관리기술자, 목구조시공관리자, 목재교육전문가, 산림기술자, 산림교육전문가, 산림치료기술자, 수목치료기술자산림청
수산질병관리사, 감정사, 검량사, 검수사, 수산물품질관리사해양수산부 | 정수시설운영관리사환경부
}}}}}}}}} ||

서비스분야 국가기술자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
경영/회계/사무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사회조사분석사 · 소비자전문상담사 · 컨벤션기획사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전산회계운용사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비서 · 워드프로세서 · 컴퓨터활용능력(1·2급) · 한글속기 · 경영정보시각화능력
교육/자연/사회
이러닝운영관리사
보건/의료
임상심리사 · 국제의료관광코디네이터
사회복지/종교
직업상담사
영업/판매
전자상거래관리사/운용사 · 텔레마케팅관리사
이용/숙박/여행/오락/체육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 스포츠경영관리사
정보통신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right: 10px; padding: 4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0.95em"게임국가기술자격(게임기획전문가 · 게임그래픽전문가 · 게임프로그래밍전문가) ·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 ||
국가기술자격 상시검정 시행 종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한상공회의소 시행 (4종)
<colbgcolor=lightgray> 사무 컴퓨터활용능력(1·2급), 워드프로세서, 비서(1·2·3급)
회계 전산회계운용사(2·3급)
한국산업인력공단 시행 (14종)
운전 굴착기운전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식품가공 제과기능사, 제빵기능사
조리 한식조리기능사, 양식조리기능사, 중식조리기능사, 일식조리기능사
미용 미용사(일반, 피부, 네일, 메이크업)
건축 건축도장기능사, 방수기능사
정보기술 정보처리기능사 20년 정기 전환, 정보기기운용기능사 20년 정기 전환
}}}}}}}}} ||

국가공인민간자격 목록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RA전문가(2급)
금융위원회 신용관리사 · 신용위험분석사 · 신용분석사 · 여신심사역 · 자산관리사 · 재경관리사(회계관리) · AT 자격시험(TAT/FAT) · (개인/기업)보험심사역 · 신용상담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영상정보관리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역 · 외환전문역(1종/2종) · TESAT/J-TESAT · 매경TEST/틴매경TEST · 세무회계 · 원가분석사
교육부 한자능력검정시험(한국어문회, 대한검정회(大韓檢定會), 한자교육진흥회, 한국평생교육평가원,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정보관리협회) · TEPS · 브레인트레이너 · FLEX(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스페인어, 프랑스어, 영어, 러시아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e-Test · PC활용능력평가시험 · 리눅스마스터 · DIAT · 네트워크관리사(2급) · PC정비사 · 지능형홈관리사 · PC Master(정비사) · ITQ · IEQ(지도사) · ERP정보관리사(물류/생산/인사/회계) · IT-PMP · RFID GL/SL · 데이터분석(전문가/준전문가) · SQL(전문가/개발자) · 데이터아키텍쳐(전문가) · CSTS · AICE
법무부 디지털포렌식전문가(2급)
행정안전부 옥외광고사 · 행정관리사 · 정보시스템감리사
문화체육관광부 실천예절지도사 · 종이접기 · 한국실용글쓰기검정 · KBS한국어능력시험 · 소프트웨어자산관리사
농림축산식품부 농어촌개발컨설턴트 · 반려견스타일리스트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영어 · 샵마스터 · 지역난방설비관리사 · 시스템에어컨설계시공관리사 · 냉매취급관리사 · CS리더스 · GTQ/GTQi · SMAT · 산업보안관리사
보건복지부 병원행정사 · 보행지도사 · 점역교정사 · 수화통역사
고용노동부 전산세무회계
국토교통부 자동차진단평가사 · 주거복지사 · 실내디자이너 · 보상관리사
해양수산부 스마트해상물류관리사
관세청 원산지관리사
경찰청 열쇠관리사 · 도로교통사고감정사 · 신변보호사
산림청 분재관리사 · 조경수조성관리사
특허청 지식재산능력시험 }}}}}}}}}

파일:漢_White.svg 국가공인 한자검정시험 주관 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사단법인한국어문회 로고.png 파일:대한검정회.jpg 파일:한자교육진흥회.jpg 파일:대한상공회의소 심볼.svg 파일:한국평생교육평가원.jpg 파일:한국정보관리협회.jpg
<rowcolor=#000000> 한국어문회 대한검정회 한국한자실력평가원 대한상공회의소 한국평생교육평가원 한국정보관리협회
<rowcolor=#FFFFFF> 한자능력급수 한자급수자격검정 한자실력급수 상공회의소한자 한국한자검정 한자어능력 }}}}}}}}}
파일:36226_41601_435.jpg
[[세종특별자치시|{{{#FFFFFF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FFFFFF 행정중심복합도시}}}]] 세종상공회의소 상설시험장.[11] 수험생들이 필기[12] 시험에 응시하고 있다.[13]
윗 문단에서도 언급했듯이, 서비스분야 국가기술자격의 검정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그 외에도 몇몇 국가공인자격증을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다. 특히 국민 자격증이라 불리는 워드프로세서컴퓨터활용능력이 이곳에서 주관하고 있어서 일반인들에게는 본래 목적인 경제 관련보다는 이쪽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는 편.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등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협의의 공공기관에는 속하지는 않지만,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공법인이므로 다른 공공기관들과 같이 공적인 목적을 위해 자격검정, 무역인증 등의 국가위탁사무를 수행한다. 지방에서는 한국외대 위탁으로 FLEX를 실시하며 일본 대사관의 위탁을 받아 JLPT를 실시하기도 한다.[14]

코로나19로 인해 3~5월 검정이 취소되었다가 재개된 상황이기 때문에 응시 인원 적체가 심각하며, 고사장 내 거리 두기를 준수해야 하기 때문에 고사장 당 수용 가능 인원을 많이 줄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한다. 그래서 서울 같은 인기 고사장은 시험 일정이 떴다 하면 대학교 수강신청처럼 접수를 시작하기가 무섭게 거의 바로 마감되는 게 부지기수이고, 급한 경우 지방의 비인기 고사장까지 원정가서 보는 경우도 허다하다.

접수는 2014년 3월까지 패스온이라는 사이트에서 대행했으나, 2014년 4월부터 자격평가사업단 홈페이지에서 직접 접수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다만, 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는 패스온 운영사와 같은 회사에서 진행하고 있다.

2019년 7월 1일부터 코참패스 앱 수험표도 정식 수험표로 사용할 수 있다.[15][16]

인력개발사업단 주도 사업이지만 Teenup 직업기초능력평가도 여기서 시행하고 있다. 시험 자체는 국가기술자격검정 상설검정과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5.1. 국가기술자격

<rowcolor=#FFFFFF> 종목명 등급
<colbgcolor=#00ADEF,#010101> 경영정보시각화능력 단일 등급
비서 1~3급
워드프로세서 단일 등급[17]
전산회계운용사 1~3급[18]
전자상거래관리사 1~2급
전자상거래운용사 단일 등급
컴퓨터활용능력 1~2급[19]
한글속기 1~3급

모두 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에 속한다.

5.2. 국가전문자격

<rowcolor=#FFFFFF> 종목명 등급
<colbgcolor=#00ADEF,#010101> 유통관리사 1~3급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단일등급

5.3. 국가공인자격

<rowcolor=#FFFFFF> 종목명 등급
<colbgcolor=#00ADEF,#010101> IT+정보활용능력인증 레벨 1~5[20]
무역영어 1~3급
상공회의소한자 1~3급[21]

5.4. 등록민간자격

<rowcolor=#FFFFFF> 종목명 등급
<colbgcolor=#00ADEF,#010101> FLEX(쓰기/말하기) 각 250점 만점[22]
상공회의소한자 4~9급

6. 유의사항

6.1. 지각 유의사항

국가기술자격 검정시험은 매우 까다롭기 때문에 시험 시작 후에는 감독관이 바로 문을 닫아버리므로 시험 당일에 지각한 수험생은 시험장에 입실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수험생은 시험 당일 시험 시작 전에 미리 도착해야 한다.

6.2. 신분증 유의사항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10개 시행 기관에서 인정한 신분증이 아니면 시험에 응시가 불가능하다. 아래는 신분증 인정 범위.[23]
신분증 인정범위

* 신분증 미지참자 시험 응시 불가[24]

1.기본증명: 주민등록증(주민등록증발급신청확인서 포함), 운전면허증(경찰청 발행)[25], 여권[26], 공무원증(장교,부사관,군무원 신분증), 장애인 복지카드, 국가유공자증, 국가기술자격[27], 건설기계조종사면허증,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증(해양경찰청 발행), 대한상공회의소 자격증(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제외), 국가보훈등록증

2.초·중·고등학생: 학생증(사진·생년월일·성명·학교장 직인날인 포함), 청소년증(청소년증발급신청확인서 포함)[28], NEIS 재학증명서(컬러사진, 생년월일, 성명, 학교장 직인날인 및 발급일로부터 1년 이내인 것)
초등학교 졸업 후, 중학교 학생증을 발급받기 전인 수험자의 경우에는 국가기술자격증, 여권, 청소년증(청소년증발급신청확인서 포함) 인정

3. 미취학 아동: 주민등록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 건강보험증 인정

4. 군복 착용 군인: 휴가증 및 그에 준하는 서류 인정
※ 군복 미착용시: 자격검정용 신분확인 증명서

5. 외국인: 여권, 외국인등록증, 외국국적동포국내거소신고증, 영주증
※ 체류자격 변경으로 인해 외국인등록증을 출입국관리사무소에 제출한 경우에는 외국인등록사실증명서와 체류허가신청확인서를 함께 지참시 인정

6. 모바일 신분증
- 코참패스앱의 대한상공회의소 자격증(FLEX 제외) *개인정보는 신분증 불인정
- 네이버앱의 모바일 국가기술자격증
- PASS앱의 모바일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 삼성월렛, 네이버, 토스, KB국민은행, NH농협은행, 카카오뱅크 앱의 모바일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국가보훈등록증·외국인등록증
- 정부24앱의 모바일 국가기술자격증·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재학증명서
- 정부 발행 모바일공무원증
※ 모바일 신분증은 직접 앱에서 생성된 화면만 유효, 수험자 본인이 직접 제시 원칙
※ 해당 모바일 앱이 작동하지 않아 신분증을 제시할 수 없고, 다른 신분증도 없을 경우 시험 응시 불가
※ 정부24앱 재학증명서는 초중고등학생에 대하여 전자문서지갑에서 발급되고 컬러사진·생년월일·성명·학교장 직인날인 및 발급일로부터 1년 이내인 것만 인정(대학생은 불인정)

▶ 불인정 신분증
- 사진없는 신분증(미취학 제외)
- 주민등록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 건강보험증 등(미취학 제외)
- 사진없는 자격증, 공인·등록민간자격증
- 사진촬영 신분증, 신분증 복사본, 캡쳐본
- 대학교 학생증, 학생증에 사진 또는 생년월일이 없는 경우
- 모바일 앱 내 '개인정보 관리' 화면
- 인정대상 모바일 신분증을 제외한 모바일 신분확인수단
- 발행기관이 정한 유효기간이 지난 경우
- 1~6에 기재된 인정 신분증에 해당하지 않는 기타 신분증

7. 사건 사고

  • 국가기술자격인 한글속기 시험에서 속기 키보드가 아닌 일반 키보드를 이용해 시험에 합격하여 해당 자격을 취득하였으나, 속기사 키보드 응시자들의 고발로 인해 자격이 취소된 사례가 발생하였다. 응시자는 전용 키보드만을 사용하도록 한 규정이 부당하다고 주장하지만, 시험을 주관하는 대한상공회의소는 중대한 부정 행위이자[29] 명백한 규정 위반이며 자격증을 빠른 시일 내에 반납해야 한다는 유권 해석을 내놓았다.#
  • 수도권 지역에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가 발령된 상황에서 "평가가 필요할 경우 학생들을 등교시킬 수 있다"는 규정을 통해 2021학년도 직업기초능력평가를 강행하였다. 그래서 대한상공회의소 인력개발사업단, 자격평가사업단과 교육부가 엄청난 비판을 받았다.

8. 소플(So:ple)

소플(https://sople.me)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운영하는 경제계 최초·최대의 온라인 국민 소통플랫폼이다. 소플에서는 경제 ·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의견을 누구나 개진할 수 있다. 공감, 투표, 토론 등 다양한 방식을 활용해 다른 사람의 목소리를 듣고, 때로는 내 목소리를 내며 여론의 스노우볼(Snow ball)을 키우는 소통의 장이다. 투명한 공론화 과정을 통해 관심도·중요도가 높은 사안에 대해서는 실질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대한상의가 지원에 나선다.

소플은 소통플랫폼의 준말이자 Sound of People, 소리가 모이는 플랫폼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지난 2023년 9월 진행한 네이밍 공모전을 통해 최종 결정됐다.

파일:소통플랫폼 로고.png

8.1. 소플(So:ple) 앱

iOS, Android 앱을 통해서 편리하게 소플을 이용할 수 있다. 소플은 '23년 12월 기준 iOS 한국 앱스토어 소셜네트워크 부문 인기 앱 7위에 오르는 한편, Google Play스토어에서는 1만+건의 다운로드 수를 자랑하고 있다.
  • iOS 앱 다운로드 : 바로가기 #
  • Android 앱 다운로드 : 바로가기 #

8.2. 메뉴소개

8.2.1. 얘기해요

얘기해요는 경제·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의견을 자유롭게 작성할 수 있는 메뉴이다. 다른 사람이 남긴 글이 내 생각과 비슷하다면 ❤️로 공감을 표시할 수 있다.
이미지, 뉴스기사, 영상 등 다양한 참고자료도 함께 첨부해서 올릴 수 있다. 뉴스기사나 영상은 참고자료 탭에서 링크만 첨부하면 된다.

8.2.2. 투표해요

OX투표는 궁금한 주제에 대해 O, △, X로 물을 수 있는 투표다. 단 3개의 조합으로 경제·사회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생각을 쉽고 재미있게 묻고, 다른 사람들의 질문에도 손 쉽게 응답할 수 있다. 다지선다형 투표도 가능하다. 투표 등록 시 선택지 작성에서 보기형을 고르기만 하면 된다.

8.2.3. 소플Pick

소플이 국민과 기업인들에게 묻고 싶은 주제들을 엄선해서 준비한 콘텐츠 모음이다. 카드뉴스, 영상 등을 통해서 경제 이슈를 정리하고 투표와 댓글로 회원들에게 묻는다.

8.2.4. 칼럼

각 분야별 전문가의 기고를 싣는 메뉴다. 기업인, 정치인, 교수 등 우리사회 Opinion Leader들이 제공하는 인사이트를 무료로 구독 가능하다. 각 칼럼에 투표와 댓글로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보탤 수 있다.

8.2.5. 소플Today

각 경제·사회 이슈를 쉽고 간단하게 제공하는 메뉴다. 매일 1개 씩의 콘텐츠가 제공되고 있다.

8.2.6. 커뮤니티

같은 관심사를 가진 다른 회원들과 커뮤니티에서 함께 대화가 가능하다. 서로의 생각을 나누고 물으며 관점을 넓힐 수 있다. 주제 제한은 없으며, 경제·사회 이슈에 대해 자유롭게 이야기할 수 있다.

8.3. 소플 소셜채널

소플은 인스타그램,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 인스타그램 : 바로가기 #
  • 유튜브 : 바로가기 #

9. 네모 스튜디오

네모 스튜디오는 대한상공회의소 건물 1층에 위치한 오픈 스튜디오다.
대한상공회의소 유튜브 채널의 영상 등 대한상공회의소 관련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튜디오다.네모(NEMO)는 쥘 베른 소설 ‘해저 2만리’네모 선장의 이름을 따 온 것인데, 네모 선장이 전세계의 바다를 탐험한 것처럼 네모 스튜디오를 통해 새롭고 신비한 것들을 발굴하겠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네모 스튜디오는 경제계를 대표하는 소통 공간으로서 국민, 회원사, 지역상의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한 데 모일 수 있도록 발전해나갈 예정이다. 소통형 방송을 지향하는 스튜디오답게 통유리로 제작하여 개방감을 강조하였고 남대문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민들 누구나 영상제작 과정을 바라볼 수 있다.

10. 대한상공회의소 공식 소셜채널

10.1. 유튜브

https://www.youtube.com/@korchamtv

대한상의는 기업과 기업인에 대한 이미지 제고, 국민 소통 확대, 원활한 기업-사회 연결을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공식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였다. 스마트폰과 유튜브의 영향력이 커진 미디어 환경과 MZ세대 감성에 맞는 짧고 재미있는 영상 컨텐츠를 기획하여 업로드 중이다. 기업의 다양한 역할을 홍보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자체 컨텐츠로 ‘브랜드 인사이트’, ‘B.T.S(Behind the Scene)’, ‘보.톡.스(보도자료 토크박스)’ 등을 제작했다. 그 외에도 유튜브 채널에는 대한상공회의소 국가자격증, 스타트업 IR, ERT(신기업가정신협의회) 관련 영상들이 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유튜브 채널과 관련하여 젊은 세대의 에너지와 아이디어 등 도움을 받기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서포터즈 1~3기를 모집하였다. 3기 서포터즈는 대한상공회의소를 국내외로 알리기 위한 청년세대로 외국인 50명, 한국인 70명으로 선발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서포터즈의 아이디어를 적극 반영하여 밝고 통통튀는 느낌의 콘텐츠를 제작하여 2030(MZ세대)와 소통을 확대했다.
대한상공회의소 서포터즈는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은 물론 해외 SNS에 유행하는 Meme을 활용해 대한상공회의소를 홍보하고, 최태원 회장과 함께 전통시장을 방문하여 외국인 관광객을 직접 찾아가는 게릴라 홍보를 진행하기도 했다.

10.1.1. 브랜드 인사이트

'곰표'와 '컬리' 등 유명 브랜드 제품과 서비스 개발과정 소개한 콘텐츠이다. 브랜드의 탄생 및 혁신을 위한 기업인의 노력을 보여주며 기업에 대한 호감도를 증대시켰다. <1편 : 삼립 포켓몬빵>은 조회수 1.9만 회를 기록하기도 했다.

10.1.2. B.T.S(Behind the Scene)

대한상의 주요 행사 스케치 영상이다. 대한상의 행사들의 준비 과정 및 행사 이면을 보여주는 콘텐츠이다.

10.1.3. 경.기.톡

엘베브리핑, 전화브리핑, 경기전망예보 등 '경'제와 '기'업을 주제로 TALK를 담은 콘텐츠이다.
경.기.톡 콘텐츠 중에서 보톡스(보도자료 토크박스)는 대한상공회의소의 보도자료를 영상으로 쉽고 재미있게 표현한 콘텐츠이다. 딱딱한 보도자료를 ‘ 미션 임파서블 ’, ‘ 밸런스게임 ’, ‘ 모의고사 ’ 등 MZ세대가 익숙한 방식으로 소통을 늘려 가고 있다. 보도자료 토크박스 주요 콘텐츠로는 ‘ 핸드폰은 2 분내 폭발 ’, ‘ 탄소중립 모의고사 ’, ‘ESG 밸런스 게임 ’ 등의 영상이 있다.

10.1.4. 1's message

대한상공회의소 최태원 회장의 메시지를 다룬 영상들의 재생목록이다. 최태원 회장의 기조 연설, 개회사, 폐회사 등 여러 공식 석상에서의 메시지를 볼 수 있다.

10.2. 블로그

https://blog.naver.com/kccinews
대한상의는 기업과 기업인에 대한 이미지 제고, 국민 소통 확대, 원활한 기업-사회 연결을 위해 '대한상공회의소 공식 블로그 채널'을 개설하였다. 대한상공회의소의 주요 활동을 소개하는 컨텐츠를 기획하여 업로드 중이다. 2024년 신설된 국가기술자격증 '경영정보시각화능력'에 대한 소개글 등 대한상공회의소와 관련된 글이 업로드 중이다.

11. 국가발전 프로젝트 공모전

국가발전 프로젝트 공모전은 국가적 의제에 대해 국민들의 아이디어를 모아 민간 주도로 해결하자는 프로젝트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00일간의 국가발전 프로젝트 응모 기간에 약 2천건이 접수될 것으로 예상했지만,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에 힘입어 전체 응모 건수가 4천700건(총 7000여명)을 넘었다고 전했다. # 최태원 회장의 주도로 상위 20개 팀은 SBS프로그램인 아이디어리그에 출전하여 심사위원들의 평가를 받는다. 1등은 상금 1억원과 해당 프로젝트 실행시 초기 지분도 받을 수 있다.

11.1. 최종 순위

대한상의는 사업화를 원하는 기업이나 개인은 국가발전 프로젝트의 우수작 '톱 10'을 살펴보고, 구체화된 사업계획(아이디어 구체화, 자금계획 등)을 사무국으로 보내면 된다. 심사위원회는 국가발전기여도, 지속가능성 등을 심사해 아이디어를 사업화할 CEO를 뽑는다고 밝혔다.#
<rowcolor=#FFFFFF> 순위 팀명(득표수) 수상자
<colbgcolor=#00ADEF,#010101><colcolor=#2E3192,#00ADEF> 1위 사소한통화(212) 이봉주(직장인)
2위 코리아게임(203) 윤서영(중학생)
3위 우리 동네병원(200) 김진현(정신과 의사)
3위 폐업도 창업(200) 백명기(청년쉐프)
5위 코스싹(195) 김현재(직장인)
6위 내 귀에 캔디(188) 양명진(국민건강보험공단)
입선 외상값 하이패스 양명진(신한은행)
입선 K-CSR 박용삼(직장인)
입선 안전사고 끝 양용철(자영업)
입선 배양육 강민준(서울대학교)

12. 관련 문서


[1] 이를 위반한 자는 과태료제재를 받는다(상공회의소법 제57조).[2] 건물 안에 국가기술자격증 시험장(서울상공회의소 남대문)도 설치되어 있고, 한국정보통신이 위치해 있으며 사옥 옆에는 신한금융지주신한은행의 본사가 있다.[3] 서울역 3번 출구와 시청역 9번 출구에서 도보 이동이 가능하며, 실제로 걸어보면 시청역 9번 출구가 더 가깝다. 1호선을 이용할 경우 서울역, 2호선을 이용할 경우 시청역을 통해 찾아가는 게 낫다.[4] 여기에 한국중견기업연합회까지 6단체로 지칭하기도 한다.[5] 삼성, LG 등을 비롯한 대기업들이 줄줄이 탈퇴했다. 한경협으로 명칭을 바꾼 것도 이런 여파로 인한 쇄신의 일환이었다.[6] 대통령 해외 방문시 수행하는 경제인단 구성을 상공회의소 중심으로 하는 등 기존 전경련이 주로 맡던 일을 상공회의소가 맡게 된다. 다만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로 한국경제인협회가 다시 위상을 어느정도 회복했지만 과거만큼은 아니며, 특히 민주당과는 2025년 들어서야 10년만에 공식적으로 지도부가 만날 정도였다.#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에도 일정 조율 등에서 대한상공회의소가 먼저 키를 잡은 것으로 보인다.#[7] 위의 상공회의소법에도 나와 있지만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 73개 상공회의소의 연합체를 일컫는 말로 그 실체가 없다. 그래서 서울상의가 대한상의의 사무국 역할을 하고 있다. 즉 우리가 알고 있는 '대한상의'는 사실 '서울상의'이고, 세종대로 본사 건물도 서울상의 건물이다. 하지만 법적 주체, 정부-국회의 정책 파트너 측면에서 '대한상의'는 존재한다.[8] 물론 실상은 기획재정부 거수기 역할만 해왔다는 의견도 있다.[9] 이로써 3부자가 같은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되었다. 두산 회장 출신 상공회의소 회장은 전문경영인 출신 회장 정수창까지 포함해 총 4명이다.[10] 소위 4대그룹 총수 중 첫 대한상의 회장이다. 2010년대 후반 이후 대한상공회의소의 위상이 달라진 점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11]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003, 5층(소담동, 펠리체타워3). 원래 대한상공회의소 상설 시험장은 비공개가 원칙인데 세종상의에서 지역 신문사에 보도자료를 제공했다.[12] 과거 필기 시험은 OMR 방식이였으며 2018년 8월 30일부터는 수험생들이 모니터로 필기 시험에 응시할 수 있게 되었다.[13] 참고로, 모니터의 빨간 배너는 시험 전 신분 확인 화면에서 표시되는 부정 행위 경고문으로 이를 통해 노쇼 여부를 알아낼 수 있다.[14] FLEX의 경우, 한국외대에서 위탁해도 자격증은 대한상공회의소 명의로도 나오지만, JLPT의 경우엔 다르기 때문에 대한상공회의소 명의가 아니라 일본 정부의 명의로 나온다.[15] 단, 수험표 화면 캡처본은 불인정. 시험 당일에만 나타나는 위조 방지용 표시(대한상공회의소 로고)가 깜빡여야 인정된다. 코참패스 앱 수험표를 대리시험에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차원이다.[16] 다만 현재는 수험표를 지참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17] 2012년부터 2~3급이 폐지되었다.[18] 단, 과정평가형 자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관할한다.[19] 2012년부터 3급이 폐지되었다.[20] 2025년부터 폐지될 예정이다.[21] 4~9급은 등록민간자격이다.[22] 2025년 1월 1일 부터 한국외대로 이관되었다.[23] 상설 검정장에 처음 간다면 반드시 알고 가야한다. 본인은 신분증이라고 생각했는데 신분증이 아닌 경우가 있기 때문.[24] 간혹 코참패스 모바일의 수험표를 신분증으로 인지하는 경우가 있는데, 수험표는 그냥 수험표다. 기존에는 종이로 인쇄한 수험표, 신분증 둘 다 챙겨야 응시가 가능했는데, 19년 7월부터 수험표는 어플로도 인정되다가 언젠가부터 아예 보지 않는다. 대신 코참패스 앱에서 기존에 취득한 자격증 목록을 보여주는 것은 인정된다.[25] 1종 운전면허 소지자와 70세 이상인 2종 운전면허 소지자의 경우 앞면의 정기적성검사기간 내에 적성검사를 받지 않고 1년이 경과되면 운전면허가 취소되어 신분증으로 인정 불가, 2종 운전면허 소지자는 갱신기간에 상관없이 신분증 인정[26] 유효기간 내[27] 한국산업인력공단(구 한국기술자격검정원 포함), 대한상공회의소, 한국콘텐츠진흥원, 영화진흥위원회,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구 한국인터넷진흥원 포함),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디자인진흥원에서 발급한 서비스 분야 국가기술자격,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자격증만 인정된다. 모바일 자격증도 사용할 수 있으나, 대한상공회의소 이외의 기관에서 발급한 국가공인자격, 등록민간자격은 인정되지 않는다.[28] 사실 중·고등학생은 이게 제일 안전빵이다. 다른 증명서들은 경험이 없으면 준비하기 약간 까다롭다. 특히 관계자들이 눈치주면서 다음엔 청소년증을 가져오라 한다. 그 이유가, 청소년증은 대충 스윽 보고 넘기면 되지만 학생증은 애당초 생년월일을 적는 경우가 드물고, 재학증명서는 수험자가 만약 이미 해당 학교를 졸업했다면 사기죄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그래서 중고등학생이라도 웬만하면 청소년증을 발급해서 가지고 오는 게 좋다.[29] 적발 시 시험 시행 기관과 관계 없이 국가기술자격검정 응시가 3년간 금지되고, 경우에 따라 민·형사상 불이익을 받을 수 있는 부정행위를 의미한다.[30] 최태원회장이 방문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