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3 13:26:03

스포츠지도사


국가전문자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fff> 법률 / 경제 변호사법무부 | 법무사법원행정처 | 변리사지식재산처 | 공인노무사고용노동부 | 행정사행정안전부
공인회계사금융위원회 | 세무사기획재정부 | 보험계리사, 보험중개사, 손해사정사금융감독원 | 관세사, 보세사관세청
가맹거래사공정거래위원회 | 유통관리사산업통상부 | 경영지도사중소벤처기업부 |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 물류관리사, 주택관리사국토교통부 |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 / 복지 간호사, 간호조무사, 물리치료사, 방사선사, 보건교육사, 보건의료정보관리사, 보조공학사, 사회복지사, 안경사, 안마사, 약사, 언어재활사, 영양사, 요양보호사, 위생사, 응급구조사, 의사, 의지보조기기사, 임상병리사, 작업치료사, 장례지도사, 장애인재활상담사, 정신건강간호사,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정신건강임상심리사, 조산사, 치과기공사, 치과위생사, 치과의사, 한약사, 한약조제사, 한의사보건복지부, 의료관리자해양수산부
교육 보건교사, 사서교사, 실기교사, 영양교사, 전문상담교사, 정교사 · 준교사, 평생교육사, 보육교사교육부
청소년상담사, 청소년지도사성평등가족부 |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고용노동부
스포츠지도사, 건강운동관리사, 문화예술교육사, 한국어교원, 한국수어교원문화체육관광부 | 환경교육사기후에너지환경부
문화 관광통역안내사, 국내여행안내사, 준학예사, 호텔경영사, 호텔관리사, 호텔서비스사, 경주선수, 경주심판, 사서, 무대예술전문인문화체육관광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행정안전부 | 국가유산수리기술자국가유산청
운전 자동차운전기능검정원, 자동차운전면허, 자동차운전전문강사경찰청 |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해양경찰청
택시운전자, 버스운전자, 화물운송종사자, 철도차량 운전면허,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조종사(사업용/운송용/자가용), 경량항공기 조종사, 초경량비행장치조종자, 항공교통관제사, 운항관리사, 항공정비사, 항공기관사, 항법사국토교통부
고속구조정조종사, 구명정조종사, 기관사, 선박조리사, 도선사, 소형선박조종사, 수면비행선박조종사, 운항사, 통신사, 항해사해양수산부
안전 / 환경 국방무인기조작사, 국방보안관리사, 국방사업관리사, 낙하산전문포장사, 수중무인기조종사, 수중발파사, 심해잠수사, 영상판독사, 폭발물처리사, 함정손상통제사, 항공장구관리사, 헬기정비사국방부
(일반/기계/특수)경비지도사경찰청 | 교통안전관리자국토교통부 | 소방안전관리자, 소방시설관리사, 소방안전교육사소방청 | 수상구조사해양경찰청
방사선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 원자로조종면허(감독자/취급자), 핵연료물질취급면허(감독자/취급자)원자력안전위원회 | 기술지도사중소벤처기업부
산업보건지도사, 산업안전지도사고용노동부 | 환경영향평가사, 환경측정분석사환경부 | 방재전문인력, 기업재난관리사, 공인재난관리사행정안전부
무선통신사, 아마추어무선기사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건축물에너지평가사, 건축사국토교통부
농업 / 식품 경매사, 농산물품질관리사, 도시농업관리사, 손해평가사, 가축인공수정사, 농산물검사원, 말조련사, 수의사, 장제사, 재활승마지도사농림축산식품부
나무의사, 목구조관리기술자, 목구조시공관리자, 목재교육전문가, 산림기술자, 산림교육전문가, 산림치료기술자, 수목치료기술자산림청
수산질병관리사, 감정사, 검량사, 검수사, 수산물품질관리사해양수산부 | 정수시설운영관리사기후에너지환경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8200, #af0399)"
보디빌딩
Bodybuilding

{{{#!wiki style="margin: -0px 2px -5px; min-height: 28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 -6px -1px -7px"
<tablewidth=100%><colbgcolor=#ddd,#555> 연관 학문
인물
기반
종목
IFBB미스터 올림피아미스터코리아 • 미스터 서울 • AGP • NPC • 머슬 매니아 • YMCA • NABBA • UNF • 뉴욕 프로 • 템파 프로 • 아놀드 클래식 • 김준호 클래식 • 이승철 클래식 • 전국체전
이론
머슬 메모리무분할 운동점진적 과부하근수축 및 이완(등장성 • 등척성 • 등속성) • 애프터번강제반복고립운동 • 스트렝스 트레이닝 • 벌크업 • 린매스업 • 반사이론 • 수직 계측형 이론 • FFMI글리코젠 로딩오버트레이닝베르그만의 법칙볼프의 법칙
운동
핵심 구성
부위
어깨(쇄골 길이, 견봉 길이) • 근육골격근 • 골격근 성장 속도 • 단백질 보충제윙스팬(리치) • 뼈 굵기 • 얼굴 크기 • 어깨세모근넓은등근큰가슴근등세모근(상부 승모근 하부 승모근) • 삼두근이두근 • 복직근 • 전거근
포징 규정포즈(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 프론트 랫 스프레드 • 사이드 체스트 • 백 더블 바이셉스 • 사이드 트라이셉스 • 앱도미널 & 타이), 라인업, 아놀드 포즈, 베큠, 문포즈, 쿼터턴
자격증
}}}}}}}}}}}} ||


1. 개요2. 과정3. 종목4. 종류
4.1. 1급 전문4.2. 1급 생활4.3. 2급 전문4.4. 2급 생활4.5. 1급 장애인 스포츠지도사4.6. 2급 장애인 스포츠지도사4.7. 노인 스포츠지도사4.8. 유소년 스포츠지도사
5. 역사6. 취득률 및 응시7. 일정


공식 사이트: #

1. 개요

"스포츠지도사"란 학교ㆍ직장ㆍ지역사회 또는 체육단체 등에서 체육을 지도할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에 따라 해당 자격을 취득한 사람을 말한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국민체육진흥공단 '자격정의 및 관련근거' 中

2. 과정

스포츠지도사를 취득하기 위해선 우선 전문이냐, 생활이냐로 나뉘는데 전문 스포츠지도사의 경우, 선수 경력이 있어야 한다. 전문, 생활 상관 없이 1급을 취득하기 위해선 공통적으로 2급이 우선 취득되어야 한다. 자세한 건 각 문서를 참고하자.

대략적인 공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필기 → 실기(구술) → 연수 → 최종합격 순이다.

3. 종목

대표적인 종목은 다음과 같다. 볼드체 표시는 응시 및 합격자 수가 많은 종목이다.

4. 종류

4.1. 1급 전문

4.2. 1급 생활

4.3. 2급 전문

4.4. 2급 생활

4.5. 1급 장애인 스포츠지도사

4.6. 2급 장애인 스포츠지도사

4.7. 노인 스포츠지도사

4.8. 유소년 스포츠지도사

5. 역사

스포츠지도자 자격제도는 1974년 2급 경기지도자 → 1975년 1급 경기지도자 → 1989년 사회체육지도자(1급, 2급, 3급) → 1994년 생활체육지도자(사회체육→생활체육)가 시작되어 40년 이상 유지되어 오다가 2015년부터 현재까지 6종(전문, 생활, 유소년, 노인, 장애인, 건강운동관리사) 체계로 개편 됐다.

현재 전문 57개 종목, 생활 66개 종목, 유소년 62개 종목, 노인 60개 종목, 장애인 36개 종목이 운영 중이며, 2015년 제도 개편 이후 10만여 명의 지도자를 배출했다.

6. 취득률 및 응시

년도 별 취득자 수는 여기서 확인하면 된다. #

가장 많이 응시한 종목은 보디빌딩이 압도적으로 많다.

7. 일정

연마다 다르지만 체육지도자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