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22:54:30

톰 플라츠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top: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38200, #af0399)"
보디빌딩
Bodybuilding

{{{#!wiki style="margin: -0px 2px -5px; min-height: 28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 -6px -1px -7px"
<tablewidth=100%><colbgcolor=#ddd,#555> 연관 학문
인물
기반
종목
IFBB(맨즈 피지크 • 클래식 피지크 • 피규어 • 비키니) • 미스터 올림피아미스터코리아 • 미스터 서울 • AGP • NPC • 머슬 매니아 • YMCA • 보디빌딩 • NABBA • UNF • 뉴욕 프로 • 템파 프로 • 아놀드 클래식 • 김준호 클래식 • 이승철 클래식 • 전국체전
이론
머슬 메모리무분할 운동점진적 과부하근수축 및 이완(등장성 • 등척성 • 등속성) • 애프터번강제반복고립운동 • 스트렝스 트레이닝 • 벌크업 • 린매스업 • 반사이론 • 수직 계측형 이론 • FFMI글리코겐 로딩오버트레이닝베르그만의 법칙볼프의 법칙
운동
핵심 구성
부위
어깨(쇄골 길이, 견봉 길이) • 평균 어깨너비근육골격근 • 골격근 성장 속도 • 단백질 보충제윙스팬(리치) • 뼈 굵기 • 얼굴 크기 • 어깨세모근넓은등근큰가슴근등세모근(상부 승모근 하부 승모근) • 삼두근이두근 • 복직근 • 전거근
포징 규정포즈(라인업 • 프론트 더블 바이셉스 • 프론트 랫 스프레드 • 사이드 체스트 • 백 더블 바이셉스 • 트라이셉스 • 앱도미널 & 타이), 아놀드 포즈, 베큠, 문포즈, 쿼터턴
자격증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톰 플라츠
Tom Platz
파일:톰발리.jpg
이름 토마스 스티븐 플라츠
(Thomas Steven Platz)
출생 1955년 6월 26일 (69세)
오클라호마 주 로턴 포트 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3.9cm / 102~106kg[1]
직업 보디빌더
1. 개요2. 상세
2.1. 고통의 영역
3. 여담

1. 개요

미국의 보디빌더. 하체의 아버지라고 불릴 만큼 엄청난 하체 사이즈로 유명하다.

2. 상세

1973년부터 1987년까지 활동했다.

1981년 IFBB 미스터 올림피아에서 3위를 차지했다.

70년대에 활동한 보디빌더라고 믿기지 않을 만큼 매우 큰 하체 사이즈를 지녔다.[2]

그의 기행에 가까운 훈련은 보는사람들도 고통스러울 정도. 실패지점까지 가도 꾸역꾸역 5개를 더 채워버린다.

2.1. 고통의 영역

내가 세트를 마치면, 누가 내 다리를 칼로 찌르는 느낌이었어. 타올을 얼굴에 두고 누워있었지. 다른 사람이 보기에 내가 죽어가는 것처럼 보이니깐 내 파트너가 '얘 괜찮아요'라고 말해줬지. 그리고 10분 뒤에.... "One more set!"
David Hoffmann과의 콜라보 영상에서
톰 플라츠가 창시한 훈련법
  • 1. 운동 한 세트당 실패지점까지 반복한 다음 중량을 낮춘다.
  • 2. 이를 실패지점까지 계속 반복한다면 완전한 실패지점에 도달한다고 한다. 이를 한세트당 계속 반복해야 한다.

3. 여담

  • 특이하게도 훈련을 하기전 최면술사를 불러 최면을 건다.
  • 이웃집에 스타벅스의 창립자 하워드 슐츠가 살고 있었어서 창업 당시 투자하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았지만 깠다고 한다. 마찬가지로 골즈 짐의 초창기 시절 50%의 지분을 사지 않겠냐는 제안을 받았지만 차를 사야한다고 깠다고 한다(...)
  • 미친듯이 스쿼트를 수행했지만 정작 데드리프트는 허리에 가해지는 리스크가 너무 크다고 여기며 전혀 하지 않았다고 한다.


[1] 전성기 기준[2] 30인치가 넘는다(76cm 이상).[3] 때문에 아놀드 슈워제네거가 자신의 상체와 톰 프라츠의 하체를 결합하면 완벽하다는 말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