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이 문서는 천문학과 관련된 다른 문서를 찾기 쉽도록 분야별로 정리해 놓은 문서다. 이곳에 미처 기재되지 않은 문서를 더 보고 싶다면 천문학 분류를 참고해 보자.2. 기본 정보
- 천체, 천문학, 천문학자,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 우주
- 거리의 사다리(Distance Ladder) - 천문학에서 중요한, 천체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을 사다리 모양으로 나타낸 것.
- 거리 단위
- 공전
- 자전
- 세차운동
3. 우주론
※ 물리학 관련 정보 문서도 참고할 것. |
4. 은하천문학
{{{#!wiki style="margin:-10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0020, #000008, #000000, #000008, #000020)"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lack> | 우리 은하 구조와 내부 천체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우리 은하의 구조 | |||||||||
팽대부 | 원반 | 헤일로 | ||||||||
나선팔 | ||||||||||
중앙 분자 지역 | 방패자리-센타우루스자리 팔 | 페르세우스 팔 | 오리온자리-백조자리 팔 | 용골자리-궁수자리 팔 | 직각자자리 팔 | 3kpc 팔 | 내부 헤일로 | 외부 헤일로 | ||
중심 블랙홀 | 스퍼 | 다리 | ||||||||
궁수자리 A* | 돛자리 스퍼 | 직각자자리 스퍼 | 센타우루스자리 스퍼 | - | ||||||
특이 구조 | ||||||||||
합병 은하 | 위성 은하들의 잔해 | 페르미 거품 | 스미스 구름 | |||||||
가이아 엔셀라두스 | 크라켄 은하 | 마젤란 흐름 | 그 외 별 흐름 |
4.1. 우주 거대 구조
※ 은하천문학의 관련 문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
[[국부 시트|거인의 의회
Council of Giants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bgcolor=#e9e9e9,#2c2d30><-7> 질량 순 ||
센타우루스자리 A 우리 은하 안드로메다 은하 마페이 1 보데 은하 조각가자리 은하 남쪽바람개비 은하 시가 은하 컴퍼스자리 은하 NGC 4945 검은 눈 은하 마페이 2 고양이 눈 은하 IC 342 기타 은하 新 거인의 의회 舊 거인의 의회 NGC 300 NGC 2403 M32p 거인의 의회에는 # 논문에서 인용된 국부 시트 은하의 태양질량 로그값이 10 이상인 은하들이 포함된다.
※ NGC 2403/NGC 300의 경우 최근 연구결과에서 항성질량의 로그값이 10을 넘는 수치인 것이 확인되었으며, M32p의 경우 원래 거인의 의회의 일원이었으나, 안드로메다은하와의 상호작용으로 은하의 대부분이 안드로메다은하에 흡수되었다.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국부 시트 · 처녀자리 초은하단
5. 태양계
태양계 천체의 목록은 태양계 문서를 볼 것.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0.8px" | 항성 | ||||
행성 | ||||
<nopad> 지구형 행성 | ||||
<nopad> 목성형 행성 [A] | ||||
소행성체 및 왜행성 [B] | |||||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 ||||
소행성대 | ⚳ 1 세레스 · ⚴ 2 팔라스 · ⚶ 4 베스타 외 다수 | ||||
켄타우로스족 | ⚷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 ||||
카이퍼대 |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 ♇ 134340 명왕성 (카론 등 5개▶) | |||
하우메아족 | 136108 하우메아 (히이아카 · 나마카) | ||||
큐비원족 | 136472 마케마케 (S/2015 (136472) 1) | ||||
산란 분포대 | 136199 에리스 (디스노미아) ·티폰 ·2007 TG422 ·2010 JO179·2013 FY27·2018 VG18 | ||||
세드나족 |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 ||||
성간 천체 |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 ||||
오르트 구름 | |||||
구조 |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 ||||
기타 | |||||
천체 | 제9행성[?] | ||||
각주 | |||||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 |
인류의 수성 탐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white> 이름 | 접근 시기 (최근접) | 운영 주체 | 탐사 방식 |
<colbgcolor=#fff,#000> 매리너 10호 | 1974년1차, 2차 1975년3차 | 미국 항공우주국 | 근접비행 | |
메신저 | 2008년 ~ 2009년중력도움 , 2011년 ~ 2015년궤도 안착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수성 궤도선 | |
베피콜롬보 | 2021년 ~ 2022년중력도움 , 2025년 궤도 진입 예정 | 유럽우주국 / JAXA | 중력도움 + 수성 궤도선 |
♀ 금성의 자연지리
Geography of Venus
Geography of Venus
🌕 달의 위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삭 (합삭, 신월) | 🌒 초승달 (초생달) | 🌓 상현달 | 🌔 상현망 (소망월, 준상현달, 상현망간의 달) |
🌕 보름달 (망, 만월) | 🌖 하현망 (기망월, 준하현달, 하현망간의 달) | 🌗 하현달 | 🌘 그믐달 | |
<rowcolor=#ff0> 일식 (금환일식) 월식 (블러드문, 슈퍼 블루 블러드문)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999,#666><colcolor=#000,#fff>앞면 | 감로주의 바다 · 거품의 바다 · 고요의 바다 · 구름의 바다 · 뱀의 바다 · 비의 바다 · 섬의 바다 · 스미스의 바다 · 습기의 바다 · 연변의 바다 · 위난의 바다 · 인식의 바다 · 증기의 바다 · 추위의 바다 · 파도의 바다 · 평온의 바다 · 폭풍의 대양 · 풍요의 바다 |
중간 | 남쪽의 바다 · 동쪽의 바다 · 홈볼트의 바다 | |
뒷면 | 모스크바의 바다 · 지혜의 바다 |
인류의 목성 탐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름 | 접근 시기 (최근접) | 운영 주체 | 탐사 방식 |
<colbgcolor=#fff,#000> 파이어니어 10호 | 1973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
파이어니어 11호 | 1974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
보이저 1호 | 1979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
보이저 2호 | 1979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
율리시스 | 1992년 1차, 2004년 2차 | 미국 항공우주국 / 유럽우주국 | 중력도움 | |
갈릴레오 | 1995 ~ 2003년 | 미국 항공우주국 | 목성 궤도선 & 목성 대기 진입 탐사선 | |
카시니-하위헌스 | 2000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유럽우주국 | 중력도움 | |
뉴 호라이즌스 | 2007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
주노 | 2016년 ~ | 미국 항공우주국 | 목성 궤도선 |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 2023년 발사 | 미국 항공우주국 | 가니메데 궤도선 | |
유로파 클리퍼 | 2024년 발사 | 미국 항공우주국 | 유로파 궤도선 |
인류의 토성 탐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rowcolor=#fff,#1c1d1f> 이름 | 접근 시기 (최근접) | 운영 주체 | 탐사 방식 |
<colbgcolor=#fff,#1c1d1f> 파이어니어 11호 | 1979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
보이저 1호 | 1980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타이탄 중력도움 | |
보이저 2호 | 1981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
카시니-하위헌스 | <rowcolor=#fff,#1c1d1f> 2004년 ~ 2017년 | NASA / ESA | 토성 궤도선 & 타이탄 착륙선 | |
드래곤플라이 | <rowcolor=#fff,#1c1d1f> 2027년 발사예정 | NASA | 타이탄 착륙선 |
인류의 천왕성 탐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름 | 접근 시기 (최근접) | 운영 주체 | 탐사 방식 |
<colbgcolor=#fff,#000> 보이저 2호 | 1986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도움 |
인류의 해왕성 탐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름 | 접근 시기 (최근접) | 운영 주체 | 탐사 방식 |
<colbgcolor=#fff,#000> 보이저 2호 | 1989년 | 미국 항공우주국 | 중력 도움 + 트리톤 근접 비행 |
6. 행성과학
행성계의 형성 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 원시 성운 | N O N E | ||||||||||||||||||||||
↓ | ||||||||||||||||||||||||
외부 충격에 의해 성운 수축 | ||||||||||||||||||||||||
↓ | ||||||||||||||||||||||||
보크 구상체 | ||||||||||||||||||||||||
↓ | ||||||||||||||||||||||||
행성 ↓ | 항성 ↓ | |||||||||||||||||||||||
미행성 형성 | 원시 항성 형성(프로토스타) | 하 야 시 경 로 | ||||||||||||||||||||||
↓ | ||||||||||||||||||||||||
미행성이 서로 뭉쳐짐 | 황소자리 T형 별 | |||||||||||||||||||||||
↓ | ||||||||||||||||||||||||
↓ | 전주계열성 | 헤 니 경 로 | ||||||||||||||||||||||
행성 형성 | ↓ | |||||||||||||||||||||||
초기 주계열성 | ||||||||||||||||||||||||
↓ | ||||||||||||||||||||||||
주계열성 | N O N E |
7. 항성천문학
항성의 목록은 항성 문서를 볼 것. |
행성계의 형성 과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ext-align: center;" | 원시 성운 | N O N E | ||||||||||||||||||||||
↓ | ||||||||||||||||||||||||
외부 충격에 의해 성운 수축 | ||||||||||||||||||||||||
↓ | ||||||||||||||||||||||||
보크 구상체 | ||||||||||||||||||||||||
↓ | ||||||||||||||||||||||||
행성 ↓ | 항성 ↓ | |||||||||||||||||||||||
미행성 형성 | 원시 항성 형성(프로토스타) | 하 야 시 경 로 | ||||||||||||||||||||||
↓ | ||||||||||||||||||||||||
미행성이 서로 뭉쳐짐 | 황소자리 T형 별 | |||||||||||||||||||||||
↓ | ||||||||||||||||||||||||
↓ | 전주계열성 | 헤 니 경 로 | ||||||||||||||||||||||
행성 형성 | ↓ | |||||||||||||||||||||||
초기 주계열성 | ||||||||||||||||||||||||
↓ | ||||||||||||||||||||||||
주계열성 | N O N E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태양 대비 상대 질량 | 온도에 따른 분류 | 분광형 |
0.004 ~ 0.021배 | 300K ~ 700K | Y형 갈색왜성·Y형 준왜성 | |
0.021 ~ 0.059배 | 700K ~ 1300K | T형 갈색왜성·T형 준왜성 | |
0.059 ~ 0.07배M | 1300K ~ 2400K | L형 갈색왜성·L형 준왜성 | |
0.07 ~ 0.09배M | 2400K ~ 2425K | M형 갈색왜성·M형 준왜성 | |
* M: 금속 함량에 따라 이 범위 내여도 적색왜성일 수 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갈색왜성 단계 | |
핵융합을 중단한 갈색왜성* | ||
↓ | ||
식은 갈색왜성N* | ||
밀집성 단계와 그 후 | ||
흑색왜성N | ||
↓ | ||
철 별N* | ||
↓ | ||
블랙홀 | ||
초대질량 블랙홀로 흡수 | ||
호킹 복사로 소멸 | ||
{{{#!folding [ 각주 ] | * N: 현재 우주에서 관측 및 발견이 불가능한 이론상의 천체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태양 대비 상대 질량 | 온도에 따른 분류 | 분광형 |
<colcolor=#000>0.07 ~ 0.08배M | 1700K ~ 2400K | L형 주계열성·L형 준왜성 | |
0.08 ~ 0.5배 | 2400K ~ 4000K | M형 주계열성·M형 준왜성 | |
0.5 ~ 0.8배 | 4000K ~ 5500K | K형 주계열성·K형 준왜성 | |
0.8 ~ 1.03배 | 5500K ~ 7000k | G형 주계열성·G형 준왜성 | |
1 ~ 1.4배 | 7000K ~ 9000K | F형 주계열성 | |
1.4 ~ 2.1배 | 9000k ~ 15000K | A형 주계열성 | |
2 ~ 16배 | 15000K ~ 20000K | B형 주계열성 | |
15배 ~ 120배 | 20000K ~ | O형 주계열성 | |
* M: 금속 함량에 따라 이 범위 내여도 갈색왜성일 수 있으며, 비확장 분광형에서는 M형으로 간주된다.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세페이드 변광성의 분류 | |||
I형 | II형 | |||
고전적 세페이드 변광성 | 방패자리 델타형 변광성 | 헤르쿨레스자리 BL형 변광성 | 처녀자리 W형 변광성 | |
기타 | ||||
거문고자리 RR형 변광성 | 고속진동 Ap별 | 봉황자리 SX형 변광성 | 다중 모드 세페이드 변광성 | }}}}}}}}} |
세페이드 변광성 · 천문학 관련 정보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 <colbgcolor=#EDEDED,#000> 주계열 단계 | 초기 태양 질량에 따른 구분* | |||||||||||
<rowcolor=#000><nopad> ≤ 0.25 | <nopad> ≤ 0.4 | <nopad> ≤ 2.25 ≤ 7.5 | <nopad> ≤ 9.25 | ≤ 20 | <bgcolor=#97B8FF> ≤ 45 | ≤ 130 | <nopad> ≤ 250 | ≤ 103 | <nopad> 103 ≤ | ||||
주계열성 | 초대질량 항성 (쿼시 별) |
후주계열단계 | 청색왜성 | 준거성 | 볼프-레이에별WL LBV | |||||||
거성色* | 초점근거성 | (LBV) 초거성· 극대거성色* | ||||||||
적색거성 | 헬륨 섬광* (O·B형 준왜성) | |||||||||
수평가지 (적색덩어리거성ㆍ청색고리별) | ||||||||||
점근거성 (OH/IR 별) | ||||||||||
(OH/IR 초·극대거성) | 볼프-레이에별WL | |||||||||
행성상성운·PG 1159 별 | 초신성·극초신성 | 쌍불안정성 초신성 | 극초신성 |
밀집성 단계와 그 후 | 헬륨 백색왜성* | 백색왜성 | 중성자별 (킬로노바·마그네타) | 블랙홀 | 잔해 없음 | 블랙홀 | ||||||||||||||||||||||||||||||||||||||||||
흑색왜성*·Ia형 초신성·헬륨 별* | ||||||||||||||||||||||||||||||||||||||||||||||||
철 별* | ||||||||||||||||||||||||||||||||||||||||||||||||
블랙홀 | ||||||||||||||||||||||||||||||||||||||||||||||||
초대질량 블랙홀로 흡수 | ||||||||||||||||||||||||||||||||||||||||||||||||
호킹 복사로 소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기울임: 현재 우주에서 관측 및 발견이 불가능한 이론상의 천체
| }}}}}}}}} | ||||||||||||||||||||||||||||||||||||||||||||||
}}}}}}}}} |
<colbgcolor=#000> 블랙홀 Black Hole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0><rowcolor=#000,#fff> 구조 | 사건의 지평선 | 빛 구 | 제트 | 중력 특이점 |
용어 | 호킹 복사 | 에르고 영역 | 밀집성 | 티플러 원통 | 에딩턴 광도 | 블랙홀 정보 역설 | |
기타 | 웜홀 | 화이트홀 | 마이크로 블랙홀 | 이중 블랙홀 | |
인물 | 스티븐 호킹 | 킵 손 | 로저 펜로즈 | |
문서가 있는 블랙홀 | 궁수자리 A* | 포웨히 | 백조자리 X-1 | S5 0014+81 | XTE J1650-500 | Tonantzintla 618 | 봉황자리 A | | }}}}}}}}} |
성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 <colbgcolor=Black><colcolor=#fff>기본 개념 | 항성 · 성단 | ||||
주요 성군 | <colbgcolor=Black><colcolor=#fff>계절 성군 | 봄 | 봄의 대삼각형 · 봄의 대곡선 | |||
여름 | 여름의 대삼각형 · 여름의 대사각형 | |||||
가을 | 가을의 대사각형 | |||||
겨울 | 겨울의 대삼각형 · 겨울의 대육각형 | |||||
별자리 기반 성군 | 궁수자리 | 찻주전자 성군 · 티스푼 성군 | ||||
오리온자리 | 오리온의 허리띠 · 오리온의 검 · 오리온의 팔 · 오리온의 방패 | |||||
큰곰자리 | 북두칠성 · 삼태성 | |||||
백조자리 | 북십자성 | |||||
사자자리 | 낫 성군 | |||||
별자리 외 성군 | 십자가 형태 | 가짜 십자가 · 다이아몬드 십자가 | ||||
글자 형태 | X · Y · ? | |||||
곡선 형태 | 독수리 꼬리 · 뱀 그릇 | |||||
기타 형태 | 남두육성 · 황도의 금문 · 다이아몬드 링 | |||||
소규모 성군 | 성단 구조 | 37 성단 · 크리스마스트리 성단 · 트라페지움 · 스타게이트 성단 | ||||
비성단 구조 | 옷걸이 성단 · 켐블의 캐스케이트 · 메시에 73 · NGC 1746 · 뛰어오르는 잉어 성군 | |||||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틀:별자리 |
8. 천체관측
8.1.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Messier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M1 | M2 | M3 | M4 | M5 | M6 | M7 | M8 | M9 | M10 |
M11 | M12 | M13 | M14 | M15 | M16 | M17 | M18 | M19 | M20 | |
M21 | M22 | M23 | M24 | M25 | M26 | M27 | M28 | M29 | M30 | |
M31 | M32 | M33 | M34 | M35 | M36 | M37 | M38 | M39 | M40 | |
M41 | M42 | M43 | M44 | M45 | M46 | M47 | M48 | M49 | M50 | |
M51 | M52 | M53 | M54 | M55 | M56 | M57 | M58 | M59 | M60 | |
M61 | M62 | M63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4 | M65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66 | M67 | M68 | M69 | M70 | |
M71 | M72 | M73 | M74 | M75 | M76 | M77 | <colcolor=#373a3c> M78 | M79 | M80 | |
<rowcolor=#373a3c> M81 | M82 | M83 | M84 | M85 | M86 | M87 | M88 | M89 | M90 | |
<colbgcolor=#87cefa,#44677d> M91 | M92 | M93 | M94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5 | M96 | M97 | <colbgcolor=#87cefa,#44677d> M98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99 | <colcolor=#373a3c><colbgcolor=#87cefa,#44677d> M100 | |
M101 | M102 | M103 | M104 | M105 | M106 | M107 | M108 | M109 | M110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흰색 바탕은 기타 천체. |
콜드웰 천체 목록 Caldwell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1 | C2 | C3 | C4 | C5 | C6 | C7 | C8 | C9 | C10 |
C11 | C12 | C13 | C14 | C15 | C16 | C17 | C18 | C19 | C20 | |
C21 | C22 | C23 | C24 | C25 | C26 | C27 | C28 | C29 | C30 | |
C31 | C32 | C33 | C34 | C35 | C36 | C37 | C38 | C39 | C40 | |
C41 | C42 | C43 | C44 | C45 | C46 | C47 | C48 | C49 | C50 | |
C51 | C52 | C53 | C54 | C55 | C56 | C57 | C58 | C59 | C60 | |
C61 | C62 | C63 | C64 | C65 | C66 | C67 | C68 | C69 | C70 | |
C71 | C72 | C73 | C74 | C75 | C76 | C77 | C78 | C79 | C80 | |
C81 | C82 | C83 | C84 | C85 | C86 | C87 | C88 | C89 | C90 | |
C91 | C92 | C93 | C94 | C95 | C96 | C97 | C98 | C99 | C100 | |
C101 | C102 | C103 | C104 | C105 | C106 | C107 | C108 | C109 | ||
※ 붉은색 바탕은 성단, 노란색 바탕은 성운, 푸른색 바탕은 은하. |
Yale Catalog of Bright Star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100 |
101-200 | |
201-300 | |
301-400 | |
401-500 | |
501-600 | |
601-700 | |
701-800 | |
801-900 | |
901-1000 | |
1001-1100 | |
1101-1200 | |
1201-1300 | |
1301-1400 | |
1401-1500 | |
1501-1600 | |
1601-1700 | |
1701-1800 | |
1801-1900 | |
1901-2000 | }}}}}}}}} |
Gum 천체 목록 Gum catalog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Gum1 | Gum2 | Gum3 | Gum4 | Gum5 | Gum6 | Gum7 | Gum8 | Gum9 | Gum10 |
Gum11 | Gum12a/b | Gum13 | Gum14 | Gum15 | Gum16 | Gum17 | Gum18 | Gum19 | Gum20 | |
Gum21 | Gum22 | Gum23 | Gum24 | Gum25 | Gum26 | Gum27 | Gum28 | Gum29 | Gum30 | |
Gum31 | Gum32 | Gum 33 | Gum34a/b | Gum35 | Gum36 | Gum37 | Gum38a/b | Gum39 | Gum40 | |
Gum41 | Gum42 | Gum43 | Gum44 | Gum45 | Gum46 | Gum47 | Gum48 a/b/c/d | Gum49 | Gum50 | |
Gum51 | Gum52 | Gum 53 | Gum54 | Gum 55 | Gum56 | Gum57a/b | Gum58 | Gum59 | Gum60 | |
Gum61 | Gum62 | Gum63 | Gum64 a/b/c | Gum65 | Gum66 | Gum 67 | Gum68 | Gum69 | Gum70 | |
Gum71 | Gum72 | Gum73 | Gum74 | Gum75 | Gum76 | Gum77 | Gum78 | Gum79 | Gum80 | |
Gum81a/b | Gum82 | Gum83 | Gum84 | Gum85 | ||||||
※ 붉은색 바탕은 발광성운, 푸른색 바탕은 반사성운, 노란색 바탕은 행성상성운, 초록색 바탕은 초신성 잔해 |
8.2. 수단 및 체계
[[별자리|별자리 Constellation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
아르고 P | }}}}}}}}}}}} |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 ||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
||<table bordercolor=#4f4aaf><tablewidth=650><table align=center><tablebgcolor=#000><tablecolor=#fff><#111><-6> 황도 12궁 ||
⛎ (뱀주인자리) |
9. 우주생물학
10. 우주 개발
※ 항공 우주 관련 정보(밑의 '우주' 부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