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1 13:25:17

제단자리

[[별자리|별자리
Constellation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Z
P
Z
P
P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제단자리
Ara / Θυμιατήριον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ara.gif
학명 Ara
약자
주요 별 수 8
가장 밝은 별 β Ara (2.84 등급)
가장 가까운 별 Gliese 674 (15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 전갈자리, 직각자자리, 남쪽삼각형자리, 극락조자리, 공작자리, 망원경자리, 남쪽왕관자리
관측 가능 여부

1. 개요2. 상세3. 발견된 천체
3.1. 항성

1. 개요

Ara[1]

남쪽 하늘의 별자리. 위치상으로는 전갈자리의 남쪽 꼬리 끝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주변에 이리자리직각자자리, 남쪽삼각형자리가 자리잡고 있다. 대한민국에서는 별자리의 북쪽 일부분만을 볼 수 있다.

2. 상세

북서쪽으로 은하수가 지나는 위치에 있어 성단과 성운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이 별자리에 있는 가오리 성운은 가장 최근에 생성된 행성상 성운으로, 나이가 고작 1천만년(…)밖에 되지 않은 어린(?) 성운이다. 청색 초거성의 폭발 잔해로 여겨지고 있으며 현재 이 초거성은 백색 왜성으로 남아 있다.[2]그리고 점점 사라지고 있다.

또한 특이사항으로, 이 별자리의 뮤별은 공식명칭 세르반테스이며 4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는데 그 중 3개는 목성형이고 가장 안쪽에서 공전하는 나머지 1개는 뜨거운 해왕성형 내지 슈퍼지구형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행성의 정식 명칭들은 주성의 이름을 따라 세르반테스의 대표적인 작품인 돈키호테에 등장하는 인물 이름을 따서 키호테, 둘시네아, 로시난테, 산초로 명명되었다. 주성은 태양과 똑같은 G형 주계열성인데, 태양 금속량의 200%의 금속량을 가져 금속이 매우 풍부하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져 온 별자리지만 이 제단도 컵자리처럼 유래에 대해서는 설이 분분하다. 켄타우로스가 사냥한 짐승을 산 제물로 바치는 제단이라는 설에서부터 리카온의 일족이 제우스에게 인신공양 제의를 올리기 위해 만든 리카이우스의 제단(이리자리 항목 참조)이라는 설, 디오니소스의 제단 또는 바벨탑 꼭대기에 건설하는 신전의 제단이라는 설까지 많은 이야기들이 있다.

3. 발견된 천체


3.1. 항성



[1] 사자자리와 마찬가지로 학명과 약칭의 표기가 동일하다.[2] 전 우주적 스케일로 봤을 때, 어리긴 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