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22:22:46

남쪽삼각형자리

[[별자리|별자리{{{#!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Z
P
Z
P
P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남쪽삼각형자리
Triangulum Australe / TrA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tra.gif
학명 Triangulum Australe
약자 TrA
주요 별 수 3
가장 밝은 별 Atria(α TrA, 1.91 등급)
가장 가까운 별 ζ TrA(39.5 광년)[1]
인접 별자리 직각자자리, 컴퍼스자리, 극락조자리, 제단자리
관측 가능 여부 X

1. 개요2. 상세3. 발견된 천체
3.1. 항성3.2. 심원천체

[clearfix]

1. 개요

Triangulum Australe, TrA

남쪽 하늘의 별자리. 1603년 요한 바이어가 도입한 별자리이다. Triangulum Australe는 라틴어로 남쪽의 삼각형이라는 뜻이다.

2. 상세

1589년 페트뤼스 플란시우스라는 플랑드르의 천문학자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으며, 1603년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에 다른 11개 별자리와 수록되었다. 이후 1930년 공식적인 별자리로 지정되었다.

삼각형자리에 비해 모양이 훨씬 더 뚜렷하다. 2~3등성의 별들이 정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위도가 너무 낮아 국내에서는 관측이 불가능하다. 별자리의 넓이는 약 110평방도로 83번째로 커서 작은 편이며, 거대 인력체가 이 별자리와 인접 별자리인 직각자자리 사이에 있다.

3. 발견된 천체

파일:Triangulum Australe Outline.png
[[남쪽삼각형자리#구성원|남쪽삼각형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아트리아
Atria
베타성
남쪽삼각형자리 베타
β TrA
감마성
남쪽삼각형자리 감마
γ TrA
델타성
남쪽삼각형자리 델타
δ TrA
엡실론성
남쪽삼각형자리 엡실론
ε TrA
제타성
남쪽삼각형자리 제타
ζ TrA
에타성
남쪽삼각형자리 에타
η TrA
세타성
남쪽삼각형자리 세타
θ TrA
이오타성
남쪽삼각형자리 이오타
ι TrA
카파성
남쪽삼각형자리 카파
κ TrA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남쪽삼각형자리 1
남쪽삼각형자리 2
남쪽삼각형자리 3
남쪽삼각형자리 4
남쪽삼각형자리 5
남쪽삼각형자리 7
남쪽삼각형자리 8
남쪽삼각형자리 61
그 외 남쪽삼각형자리에 속한 항성
남쪽삼각형자리 X 남쪽삼각형자리 R 남쪽삼각형자리 S 남쪽삼각형자리 RT
남쪽삼각형자리 EK WISE 1639−6847 - -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6025S ||<bgcolor=white,#1c1d1f><width=25%> NGC 5979N ||<bgcolor=white,#1c1d1f><width=25%> ESO 69-6G ||<bgcolor=white,#1c1d1f><width=25%> - ||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남쪽삼각형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3.1. 항성

총 12개의 별에 그리스 문자가 붙여졌으나, 그중 2개의 별[2]이 제외되어 현재는 α(알파)~κ(카파)의 10개의 별만이 그리스 문자가 붙어 있다. 별들 중 α, β, γ 별이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 α TrA(Atria, 아트리아): 남쪽삼각형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삼각형의 남동쪽 꼭짓점을 이룬다. 겉보기 등급은 1.91등급이다. K2형 거성이어서 오렌지색으로 보이며, 지구와의 거리는 약 391광년이다. 브라질 국기에서 히우그란지두술 주를 나타내는 별이다.
  • β TrA: 2.85등급의 별로, 삼각형의 북쪽 꼭짓점을 이룬다. 분광형은 F1형의 주계열성으로, 스피처 우주 망원경을 통한 적외선 관측으로 먼지 원반의 존재가 밝혀졌다. 지구와의 거리는 40.37광년으로, 남쪽삼각형자리에서 2번째로 가깝다. 브라질 국기에서 산타카타리나 주를 나타내는 별이다.
  • γ TrA: 2.87등급의 별로, 삼각형의 남서쪽 꼭짓점을 이룬다. 분광형은 A1형의 주계열성이다. 이 별 또한 β 별과 같이 먼지 원반이 존재한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184광년이다. 브라질 국기에서 파라나 주를 나타내는 별이다.
  • δ TrA: 3.86등급의 별로, β 별의 바로 동쪽에 위치한다. G5형의 밝은 거성으로, 지구와의 거리는 약 610광년이다.
  • ε TrA: 4.11등급의 별로, 분광형 K0형의 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202광년이다.
  • X TrA: 385~455일을 주기로 5.03~6.05등급 사이의 밝기를 보이는 준규칙변광성이다. 분광형은 C5.5형이며, 지구와의 거리는 약 920광년이다.
  • R TrA: 3.39일을 주기로 6.33~6.9등급까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분광형은 F7[3]형의 밝은 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2,210광년이다.
  • S TrA: 6.32일을 주기로 5.95~6.81등급까지 변하는 세페이드 변광성이다. 분광형은 F8[4]형의 밝은 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3,030광년이다.
  • RT TrA: 1.95일을 주기로 9.4~10.2등급까지 변하는 헤라클레스자리 BL형 맥동 변광성으로, 분광형은 F8[5]형의 밝은 거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약 3,200광년이다.
  • EK TrA: 16.7등급의 매우 어두운 별로, 가끔 왜소신성을 일으켜 12.1등급까지 밝아지기도 한다. 지구와의 거리는 586광년 이상으로 추정된다.
  • WISE 1639−6847: 2012년 발견된 남쪽삼각형자리에서 가장 가까이 있는 천체로, Y0~0.5형 갈색왜성이다. 지구와의 거리는 15.45광년이다.

3.2. 심원천체

남쪽삼각형자리는 은하수 근처에 존재하지만 은하수 내 천체들 중 밝은 천체는 매우 적다. 그렇지만 별자리 자체가 작아서 관측이 가능한 멀리 있는 은하들도 거의 없다.
  • NGC 6025: 5.1등급의 산개성단으로, 남쪽삼각형자리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산개성단이다. 30여 개의 별들을 볼 수 있으며, 지구와의 거리는 2,700광년이다. 콜드웰 목록 95번이기도 하다.
  • NGC 5979: 12.3등급의 행성상성운이다.
  • ESO 69-6: 지구로부터 약 6억 광년 정도 떨어진 충돌 중인 은하이다.

[1] 갈색왜성까지 포함하면 WISE 1639-6847 (16 광년)이 더 가깝다.[2] η2별과 λ별[3] ~G5[4] ~G2[5] ~G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