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5 02:36:04

황새치자리

[[별자리|별자리{{{#!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파일:국제천문연맹 로고.svg
Z
P
Z
P
P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황새치자리
Dorado / Dor
파일:external/www.botproductions.com/chart_dor.gif
학명 Dorado
약자 Dor
주요 별 수 3
가장 밝은 별 α Dor (3.27 등급)
가장 가까운 별 ζ Dor (38 광년)
한자명
인접 별자리 화가자리, 조각칼자리, 시계자리, 그물자리, 물뱀자리, 테이블산자리, 날치자리
관측 가능 여부 [X*]

1. 개요2. 상세3. 구성 천체
3.1. 은하3.2. 성단3.3. 항성

[clearfix]

1. 개요

Dorado, Dor

남쪽 하늘의 별자리. 위도가 너무 낮아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그나마 감마성이나 알파성(제주도 및 남해안 한정) 정도가 간신히 보이는 정도. 이마저도 북한 북부 지역(함경북도 등)에서는 전혀 관측할 수 없다. 별자리 전체를 관측할 수 있는 범위는 북위 20도 이남.

2. 상세

17세기 초 두 명의 탐험가(Pieter Dirkszoon Keyser, Frederick de Houtman)에 의해 만들어져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바이어가 만든 《우라노메트리아》에 수록된 별자리로 알려졌다. 물론 어원은 물고기 황새치다.

우리 은하의 위성 은하인 대마젤란 은하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별자리로 유명하다. 남쪽 일부는 테이블산자리가 차지하고 있다. 대마젤란은하의 천체 가운데서도 가장 유명한 천체가 NGC 2070 타란튤라 성운인데, 무려 18만 광년 가량 떨어져 있음에도 8등급으로 보일 정도로 크고 아름답다. 반지름이 무려 500광년. 이 성운 안에서 1987년 초신성 SN1987A가 관측되기도 하였다.

일본이 제출한 태풍 이름 중 하나로 쓰이는 가지키(황새치, Kajiki)가 황새치자리를 염두에 두고 따왔다고 한다.

참고로 이 별자리의 델타성이 달의 남극성이다.

지구가 세차운동을 함에 따라 천구의 북극과 남극도 위치가 바뀌는데[2] 이 별자리의 델타, 엡실론, 에타별 중간쯤이 그 중심축에 해당해서[3] 항상 적위가 -65° 정도로 유지되기 때문에 태양을 비롯한 항성의 고유운동·판의 이동으로 위치가 변하지 않는 이상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경우에도 이 별자리의 남쪽 부분을 볼 수 없다.[4]

3. 구성 천체

파일:황새치자리.png
[[황새치자리#발견된 천체|황새치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황새치자리 알파B
α Dor
베타성
황새치자리 베타
β Dor
감마성
황새치자리 감마
γ Dor
델타성
황새치자리 델타
δ Dor
엡실론성
황새치자리 엡실론
ε Dor
제타성
황새치자리 제타
ζ Dor
에타성
황새치자리 에타1·2
η Dor
세타성
황새치자리 세타
θ Dor
카파성
황새치자리 카파
κ Dor
람다성
황새치자리 람다
λ Dor
누성
황새치자리 누
ν Dor
파이성
황새치자리 파이1·2
π Dor
B: 가장 밝은 항성,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플램스티드 명칭 순
황새치자리 1
황새치자리 30
황새치자리 36
황새치자리 40
황새치자리 50
황새치자리 60
황새치자리 70
황새치자리 80
B: 바이어 명칭에 있는 항성, 취소선: 항성이 아닌 것
변광성 명칭 순
황새치자리 R 황새치자리 S* 황새치자리 AB
그 외 황새치자리에 속한 항성*
황새치자리 G W61 7-8? - -
*: 황새치자리 S를 제외한 대마젤란은하 내부에 위치해 있는 별들은 대마젤란은하/항성 문서를 참고
?: 소속 은하 여부가 확실하지 않은 별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50%> 대마젤란은하G* ||<bgcolor=white,#1c1d1f><width=50%> NGC 1566G ||
*: 대마젤란은하 내부에 위치해 있는 성단, 성운 등의 세부 천체들은 대마젤란은하 문서를 참고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황새치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3.1. 은하

3.2. 성단

3.2.1. 독거미 성운

3.3. 항성



[X*] 서울의 경우 황새치자리 감마남중고도겨우 보인다.[2] 이로 인해 북극성과 남극성이 일정 주기마다 바뀐다.[3] 정확히는, 황도 좌표계상에서의 황도 남극.[4] 반대로 항상 관측 가능한 경우는 용자리가 이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