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자리|별자리 Constellation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45%; min-height: 2em;" {{{#!folding [ 국제천문연맹 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5%; min-height: 2em;" {{{#!folding [ 비공인 별자리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letter-spacing: -1px" | ※ 서양권 외의 지역에서 사용되었던 비공인 별자리는 별자리/문화 문서를 참고하기 바랍니다. | |
아르고 P | }}}}}}}}}}}} | |
Z: 황도 12궁 (프톨레마이오스 48 별자리에 포함) P: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 ||
틀:성군 · 천문학 관련 정보 |
조랑말자리 Equuleus / Equ | |
| |
학명 | Equuleus |
약자 | Equ |
주요 별 수 | 3 |
가장 밝은 별 | Kitalpha (α Equ, 3.92 등급) |
가장 가까운 별 | Gliese 818 (48 광년) |
한자명 | |
인접 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돌고래자리, 물병자리 |
관측 가능 여부 | O |
1. 개요
Equuleus, Equ온 하늘에서 두 번째로 작은 별자리이다. 페가수스자리 남서쪽에 위치하며, 여름~가을철 밤하늘에서 찾을 수 있다.
2. 상세
의외로 고대부터 존재했던 별자리로, 페가수스의 새끼 또는 그 형제인 셀레리스(Celeris: '빠름'을 의미) 망아지와 관련이 있다. 헤르메스가 셀레리스를 카스토르에 주었고 전해진다. 다른 구전에서는 아테나와 겨루던 포세이돈의 삼지창에 맞은 말이라고도 전해진다.88개 별자리 중 2번째로 작고 딱히 밝거나 유명한 천체도 없어 주목받지 못하고 있는 별자리이다.
3. 발견된 천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8 키탈파 α Equ | 베타성10 조랑말자리 베타 β Equ | 감마성5 조랑말자리 감마 γ Equ | 델타성7 조랑말자리 델타 δ Equ | |
엡실론성1 조랑말자리 엡실론 ε Equ | 제타성3 조랑말자리 제타 ζ Equ | 람다성2 조랑말자리 람다 λ Equ | - | |
숫자: 플렘스티드 명칭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조랑말자리 4 | 조랑말자리 6 | 조랑말자리 9 | ||
그 외 조랑말자리에 속한 항성 | ||||
조랑말자리 R | 조랑말자리 U | 조랑말자리 SY | HD 200779 | |
HD 200964 | HD 201585 | HD 202908 | HD 203473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조랑말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