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08:39:24

대논쟁(천문학)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2. 주장
2.1. 커티스의 주장2.2. 섀플리의 주장
3. 결론4. 관련 문서

1. 개요

Great Debate

대논쟁 혹은 커티스-섀플리 대논쟁[1]은 20세기 초 천문학계를 뒤흔든 대형 논쟁이다.

커티스와 섀플리가 축으로 나눠져 벌인 논쟁이라 섀플리-커티스 논쟁이라고 하기도 한다. 주요 논점은 망원경의 발달로 전까진 존재를 모르던[2] 나선은하가 발견 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엔 은하라는 개념도 없었고 안드로메다 은하는 성운으로 불리던 시절이다. 결국 나선은하의 정체와 더불어 우주의 크기에 대한 논쟁이 벌어지게 되면서 일이 커진다.[3]

2. 주장

2.1. 커티스의 주장

나선은하는 우리 은하와는 또 다른 섬우주이다.[4]

2.2. 섀플리의 주장

우주는 우리 은하 내의 일부이고 나선은하 역시 우리 은하 내의 천체이다.

3. 결론

이 대논쟁은 에드윈 파월 허블안드로메다 은하 내의 세페이드 변광성을 발견하면서 종결을 맞이한다. 이 변광성을 통해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였더니 약 150만 광년[5]이라는 먼 거리에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는 당시 예상하였던 우리 은하의 크기인 10만 광년을 훨씬 더 넘는 거리였다.

즉, 결론적으로 커티스가 맞았다. 우주에는 수많은 별의 집단인 은하가 존재하는 것이었다. 이로서 우주는 넓고 섬우주의 개념은 은하로 확장되었다. 또한 관측기술이 발달하면서 은하는 계속 발견되었고, 우주에는 수천억개의 은하가 존재함이 확인되었다.

다만, 커티스는 태양이 은하의 중심이라고 주장했고, 섀플리는 태양이 은하의 바깥 쪽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이 부분은 섀플리가 맞았고, 은하에 대한 개념도 새롭게 정비되었다.[6]

4. 관련 문서


[1] 영어 표기 상에선 Great를 빼고 쓰기 때문에 섀플리 - 커티스 논쟁이 맞긴 하다.[2] 천체 관측을 어느정도 해본 사람이면 알겠지만 어지간한 성능의 망원경으론 은하를 정확하게 관측할 수 없다.[3] 이해를 위해 이 문서에서 은하라는 용어를 사용할 뿐 이 당시엔 은하라는 개념이 없던건 둘째고 우주의 크기도 그렇게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4] 섬우주는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제창한 용어로 우리의 은하(당시에는 은하가 우주의 끝이었다.)의 바깥에 새로운 섬우주(은하)들이 펼쳐져 있다고 주장하였다.[5] 실제로는 약 250만 광년 떨어져 있다. 당시 망원경의 한계로 인한 계산 오차.[6] 은하의 중심에는 거대한 중력을 가진 블랙홀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우리 은하의 중심에는 궁수자리 A*가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