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03 22:17:01

호만 전이 궤도

호만전이궤도에서 넘어옴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자전 주기) · 공전(공전 주기) · 중력(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태양계 천문학·행성과학
Solar System Astronomy · Planetary Scienc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arkOrange><colcolor=#fff> 태양계
태양 햇빛 · 태양상수 · 흑점(밥콕 모형) · 백반 · 프로미넌스 · 플레어 · 코로나 · 태양풍 · 태양권
지구 지구 구형론(지구타원체) · 우주 방사선 · 지구자기장(자극점 · 지자기극점 · 다이나모 이론 · 오로라 · 밴앨런대 · 델린저 현상 · 지자기 역전 · 지자기 폭풍)
달빛 · 만지구 · 지구조 · 슈퍼문 · 블루 문 · 조석(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달의 바다 · 달의 남극 · 달의 뒷면 · 월석 · 후기 대폭격
월식(블러드문 · 슈퍼 블루 블러드문) · 일식(금환일식) · 사로스 주기 · 엄폐
소행성체 소행성(근지구천체 · 토리노 척도 · 트로이군) · 왜행성(플루토이드) · 혜성(크로이츠 혜성군)
유성 정점 시율 · 유성우 · 화구 · 운석(크레이터 · 천체 충돌 · 광조)
우주 탐사 심우주 · 우주선(유인우주선 · 탐사선 · 인공위성) · 지구 저궤도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라그랑주점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 솔라 세일 · 테라포밍
천문학 가설 태양계 기원설 · 티티우스-보데 법칙 · 네메시스 가설 · 제9행성(벌칸 · 티케 · 니비루) · 후기 대폭격
음모론 지구 평면설 · 지구공동설
행성과학
기본 개념 행성(행성계) · 이중행성 · 외계 행성 · 지구형 행성(슈퍼지구 · 바다 행성 · 유사 지구 · 무핵 행성) · 목성형 행성 · 위성(규칙 위성 · 준위성 · 외계 위성) · 반사율 · 계절 · 행성 정렬 · 극점
우주생물학 골디락스 존(온실효과 폭주) · 외계인 · 드레이크 방정식 · 우주 문명의 척도(카르다쇼프 척도) · 인류 원리 · 페르미 역설 · SETI 프로젝트 · 골든 레코드 · 아레시보 메시지(작성법) · 어둠의 숲 가설 · 대여과기 가설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상세3. 기타

1. 개요

Hohmann transfer orbit

호만 전이 궤도는 같은 평면 내에 있는 서로 다른 두 원 궤도를 최소한의 추가 운동 에너지로 이동하는 데 쓰이는 타원 궤도이며, 우주 공간에서 적은 연료 사용량으로 빠르게 목표 궤도에 도달할 수 있다.[1]

독일의 건축가이며 과학자인 호만(Walter Hohmann; 1880-1945)이 1925년에 작성한 '천체의 접근 가능성'이라는 논문에서 처음으로 발표한 개념이다.

2. 상세


파일:namu_호만전이궤도_개요.svg

간단한 분석을 위해 항성 혹은 행성 주위의 궤도는 원 궤도라 가정한다. 그림과 같이 처음에 물체가 반지름 [math(r_{\rm A})]인 원 궤도에 있었다고 가정하자. 해당 궤도 상 점 [math(\rm A)]에 도달해서 순간적으로 가속해 [math(\Delta v_{\rm A}>0)]의 속력 변화가 생겼다고 하자. 그렇게 되면, 물체의 궤도는 타원 궤도로 변하여 해당 궤도를 이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목표 궤도의 점 [math(\rm B)] 도달했을 때, 또, 순간적으로 가속해 [math(\Delta v_{\rm B}>0)]의 속력 변화가 생겼다하자, 그러면 물체의 궤도는 반지름 [math(r_{\rm B})]인 목표 궤도에 안착하게 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하는 점은 목표 궤도에 안착했을 때, 속도가 궤도의 접선 방향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제 위에서 설명한 자료를 가지고, 각 물리량을 구해보자. 우선 초기 주차 궤도에서 물체의 속력은

[math(\displaystyle v_{\rm A}=\sqrt{\frac{GM}{r_{\rm A} }} )]

임을 쉽게 구할 수 있다.

이제 호만 전이 궤도 상의 점 [math(\rm A)], [math(\rm B)]에서의 속력 [math(V_{\rm A})], [math(V_{\rm B})]를 각각 찾아보자. 순간 가속된 점을 제외하면, 물체에 작용하는 외력은 없으므로 각운동량은 보존된다. 이때 이 점들은 각각 궤도의 근일점과 원일점이므로 각운동량 크기는 곧 질량, 반지름, 속력의 곱으로 간단히 주어진다.

[math(\displaystyle r_{\rm A}V_{\rm A}=r_{\rm B}V_{\rm B} )]

호만 전이 궤도 상에서 에너지 또한 보존된다.

[math(\displaystyle \frac{1}{2}V_{\rm A}^{2}-\frac{GM}{r_{\rm A}}=\frac{1}{2}V_{\rm B}^{2}-\frac{GM}{r_{\rm B}} )]

위 연립 방정식을 풂으로써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V_{\rm A}&=\sqrt{\frac{2GM}{r_{\rm A}+r_{\rm B} } \frac{r_{\rm B}}{r_{\rm A}} } \\ V_{\rm B}&=\sqrt{\frac{2GM}{r_{\rm A}+r_{\rm B} } \frac{r_{\rm A}}{r_{\rm B}} } \end{aligned} )]


또, 목표 궤도에서의 물체의 속력은

[math(\displaystyle v_{\rm B}=\sqrt{\frac{GM}{r_{\rm B} }} )]


이상에서 다음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Delta v_{\rm A}&=V_{\rm A}-v_{\rm A} \\ &= \sqrt{\frac{GM}{r_{\rm A} }} \biggl(\sqrt{\frac{2r_{\rm B}}{r_{\rm A}+r_{\rm B} } }-1 \biggr) \\ \Delta v_{\rm B}&=v_{\rm B}-V_{\rm A} \\ &= \sqrt{\frac{GM}{r_{\rm B} }} \biggl(1-\sqrt{\frac{2r_{\rm A}}{r_{\rm A}+r_{\rm B} } } \biggr) \end{aligned})]

이때, 물체의 총 속력 변화는 [math(\Delta v=\Delta v_{\rm A}+\Delta v_{\rm B})]가 된다.

이제 호만 전이 궤도를 이동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구해보자. 호만 전이 궤도는 타원 궤도이며, 점 [math(\rm A)]에서 점 [math(\rm B)]까지 이동하는 것은 곧 해당 궤도 운동의 반 주기 만큼이므로 케플러 3법칙에 의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t=\frac{T}{2}=\frac{1}{2}\sqrt{\frac{4\pi^{2} a^{3}}{GM}} \end{aligned})]

[math(a)]는 타원 궤도의 긴 반지름으로, 이 예에선 [math((r_{1}+r_{2})/2)]가 된다. 이를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t=\pi\sqrt{\frac{(r_{1}+r_{2})^{3}}{8GM}} \end{aligned})]

3. 기타

이런 호만 전이 궤도를 이용하려면 목표 행성이 태양 궤도의 정 반대편에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화성의 경우에는 지구와 화성의 궤도상 상대 위치가 정반대가 되는 것이 2년(780일) 마다 일어나므로 2년에 1달 가량만 호만 전이 궤도를 이용할 수 있다. 호만 전이 궤도를 이용하면 보통 화성에 도달하는데 259일(8달 반 정도) 가량 걸리게 된다. 하지만 실제 화성 탐사선들은 보통 미션 시간을 줄이기 위해 연료를 더 소비하더라도 6개월 정도에 화성에 도달하는 절충 궤도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호만 전이 궤도가 화성에 착륙하는 최소한의 연료만 쓰는 궤도는 아니다. 화성 궤도에 도착했을 때는 화성의 공전속도보다 빠르므로 반대 방향으로 로켓을 역분사해 감속을 해서 화성의 공전 속도와 맞추고 착륙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연료가 든다. 화성 궤도에서 도달 목표지점을 화성의 궤도보다 더 앞쪽 지점으로 잡으면 로켓을 역분사하지 않더라도 화성 자체의 중력에 이끌려 감속이 되어 연료를 더욱 절약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을 사용하면 호만 전이 궤도보다 25% 가량 연료를 절약할 수 있지만 시간은 감속 시간을 포함하면 몇 달 더 걸리게 된다.


[1] 연료 소모량만 따진다면 이중 타원 전이(bi-elliptic transfer)나 다체문제를 이용하는 다른 방법들이 더 효율적인 경우도 있으나, 그런 경우엔 흔히 시간이 훨씬 더 필요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