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letter-spacing: -0.8px" | 항성 | ||||
행성 | ||||
<nopad> 지구형 행성 | ||||
<nopad> 목성형 행성 [A] | ||||
항성 | 지구형 행성 | | 목성형 행성 | |
|
소행성체 및 왜행성 [B] | |||||
<colbgcolor=#535353> 근지구천체 | 아텐 소행성군 · 아모르 소행성군 · 아폴로 소행성군 · 아티라 소행성군 외 다수 | ||||
소행성대 | ⚳ 1 세레스 · ⚴ 2 팔라스 · ⚶ 4 베스타 외 다수 | ||||
켄타우로스족 | ⚷ 2060 키론 · 10199 카리클로 외 다수 | ||||
카이퍼대 | <colbgcolor=#535353> 명왕성족 | ♇ 134340 명왕성 (카론 등 5개▶) | |||
하우메아족 | 136108 하우메아 (히이아카 · 나마카) | ||||
큐비원족 | 136472 마케마케 (S/2015 (136472) 1) | ||||
산란 분포대 | 136199 에리스 (디스노미아) | ||||
세드나족 | 90377 세드나 · 2012 VP113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 ||||
성간 천체 | 1I/오우무아무아 · 2I/보리소프 | ||||
오르트 구름 | |||||
구조 | 안쪽 오르트 구름(힐스 구름) · 바깥 오르트 구름 | ||||
각주 | |||||
[A] 천왕성과 해왕성은 해왕성형 행성으로 따로 분류하는 학자도 있다. | }}}}}}}}} |
MPC 번호 순 소행성체 (Minor Planet) 찾기 | ||||
541131 2004 RC145 | ← | 541132 렐레아쿠호누아 | → | 541133 2002 QN103 |
541132 Leleākūhonua (2015 TG387) (V302126) | |
구분 | 해왕성 바깥 천체 세드나족 천체 |
크기 | 220+28-20 km[1] |
궤도 장반경 | 1010.3855±96.661 천문단위(AU) |
원일점 | 1955.68905±187.1 천문단위(AU) |
근일점 | 65.0819±0.21223 천문단위(AU) |
궤도 경사각 | 11.6580486°±0.00063654° |
이심률 | 0.935587057±0.0063684 |
공전 주기 | 32,117.29±4,609년 |
절대 등급 | +5.5 |
렐레아쿠호누아의 궤도와 2026년 1월 1일 기준 위치.[2] |
렐레아쿠호누아(Leleākūhonua)는 마우나케아 천문대가 카이퍼 절벽(Kuiper cliff)[3] 너머에서 발견한 천체로, 세드나와 2012 VP113에 이어 세번째로 발견된 세드나족 천체다. 임시 명칭은 2015 TG387으로 2019년 10월 10일에 이 천체 단 하나만 번호가 붙었으며, 고블린이라는 별칭이 있었다.
이름은 2020년 6월 명명되었으며. 하와이의 신화 쿠물리포(Kumulipo)에서 언급된 생명체가 모티브다.
반사율 0.09 기준으로 약 352 km의 직경을 가진다. 다만 2018년 10월 20일 캐나다에서 관측된 별 엄폐 현상으로 직경은 약 220km로 나타났으며, 여기서 추산한 반사율은 0.21+0.03-0.05이다. 궤도 장반경은 세드나의 두 배에 공전 주기는 3배 가량이며, 이로 인해 제9행성의 존재 근거 중 하나로 쓰이기도 했다. 2078년 근일점에 도달 예정이다.
2020년 6월 기준 3개의 세드나족 천체 중 원일점이 가장 먼 2,000 AU로, 힐스 구름의 구성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해당 천체의 발견으로 현재의 기술로 탐지하기 어려운 천체 여러 개가 먼 곳에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으며, 힐스 구름에만 40km 이상의 크기를 가진 천체를 약 200만 개 가량으로 추산했다. 이 정도만 해도 이미 소행성대의 몇 배에 달하는 규모이며, 명왕성 질량의 77%에 달한다.
평균 온도는 -264~-265℃로 세드나보다 낮다고 추정된다. 원일점에서의 표면 온도는 -267°C(6K) 가량으로 추정된다.[4]
이 천체가 V774104와 같은 천체라는 이야기도 있었다. 자세한 건 해당 항목 참조.
[1] 출처 : Buie, Marc W.; Leiva, Rodrigo; Keller, John M.; Desmars, Josselin; Sicardy, Bruno; Kavelaars, J. J.; et al. (April 2020). "A Single-chord Stellar Occultation by the Extreme Trans-Neptunian Object (541132) Leleākūhonua". The Astronomical Journal. 159 (5). Bibcode:2020AJ....159..230B. doi:10.3847/1538-3881/ab8630.[2] 안쪽에 있는 것은 해왕성과 천왕성의 궤도다. 이 때가 태양에서 75.5 AU 떨어진 위치로, 태양-해왕성 평균 거리의 약 2.5배 정도다.[3] 47.8 AU부터 시작하는, 카이퍼 벨트 천체 수가 급감하는 영역. 원인은 현재까지 불명이며 지구나 화성 만한 천체의 영향이라는 설이 있다.[4] 항성의 열을 거의 받지 않는 공간도 표면온도가 -270℃는 되고, 행성의 표면온도가 더 낮을 수는 없기 때문에 그 이상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