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px; font-size:0.88em" | <colbgcolor=#EDEDED,#000> 주계열 단계 | 초기 태양 질량에 따른 구분* | |||||||||||
<rowcolor=#000><nopad> ≤ 0.25 | <nopad> ≤ 0.4 | <nopad> ≤ 2.25 ≤ 7.5 | <nopad> ≤ 9.25 | ≤ 20 | <bgcolor=#97B8FF> ≤ 45 | ≤ 130 | <nopad> ≤ 250 | ≤ 103 | <nopad> 103 ≤ | ||||
주계열성 | 초대질량 항성 (쿼시 별) |
후주계열단계 | 청색왜성 | 준거성 | 볼프-레이에별WL LBV | |||||||
거성色* | 초점근거성가지 | (LBV) 초거성· 극대거성色* | ||||||||
적색거성 | 헬륨 섬광* (O·B형 준왜성) | |||||||||
수평가지별 (적색덩어리거성) | ||||||||||
점근거성가지 (OH/IR 별) | ||||||||||
(OH/IR 초·극대거성) | 볼프-레이에별WL | |||||||||
행성상성운·PG 1159 별 | 초신성·극초신성 | 쌍불안정성 초신성 | 극초신성 |
밀집성 단계와 그 후 | 헬륨 백색왜성* | 백색왜성 | 중성자별 (킬로노바·마그네타) | 블랙홀 | 잔해 없음 | 블랙홀 | ||||||||||||||||||||||||||||||||||||||||||
흑색왜성*·Ia형 초신성·헬륨 별* | ||||||||||||||||||||||||||||||||||||||||||||||||
철 별* | ||||||||||||||||||||||||||||||||||||||||||||||||
블랙홀 | ||||||||||||||||||||||||||||||||||||||||||||||||
초대질량 블랙홀로 흡수 | ||||||||||||||||||||||||||||||||||||||||||||||||
호킹 복사로 소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기울임: 현재 우주에서 관측 및 발견이 불가능한 이론상의 천체
| }}}}}}}}} | ||||||||||||||||||||||||||||||||||||||||||||||
}}}}}}}}} |
1. 개요
PG 1159의 형성 과정. 이전의 단계는 항성의 외피층이 날아가는 과정이다. |
행성상 성운이 지나간 뒤에도 일부 수소와 헬륨이 남아있고, 중심핵의 질량은 태양 질량의 절반 이상이기 때문에 바깥쪽의 수소부터 시작해서 헬륨까지 핵융합을 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 과정이 끝나고 나면, 오직 탄소와 산소로 구성된 백색왜성이 된다.
초점근거성을 통해 탄소 핵융합까지 거치고 난 항성이 백색왜성 단계에 진입할 경우에는 바깥쪽의 수소, 헬륨까지 핵융합을 시켜서 산소, 네온, 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진 백색왜성이 될 것이다.
2. 기타
- 많은 서적에는 행성상성운이 지나간 후 바로 백색왜성이 된다고 하지만 행성상성운이 지나가더라도 중심핵의 중력에 의해 붙잡힌 수소와 헬륨[1]을 융합하고 전락한다.
[1] 이것은 핵융합이 덜 된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