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 바이어 명칭 순 | |||
알파성 페가수스자리 알파 α Peg | 베타성 페가수스자리 베타 β Peg | 감마성 알게니브 Algenib | 알페라츠 δ Peg | |
엡실론성 에니프 Enif | 제타성 페가수스자리 제타 ζ Peg | 에타성 페가수스자리 에타 η Peg | 세타성 페가수스자리 세타 θ Peg | |
이오타성 페가수스자리 이오타 ι Peg | 카파성 페가수스자리 카파 κ Peg | 람다성 페가수스자리 람다 λ Peg | 뮤성 페가수스자리 뮤 μ Peg | |
누성 페가수스자리 누 ν Peg | 크시성 페가수스자리 크시 ξ Peg | 오미크론성 페가수스자리 오미크론 ο Peg | 파이성 페가수스자리 파이1·2 π Peg | |
로성 페가수스자리 로 ρ Peg | 시그마성 페가수스자리 시그마 σ Peg | 타우성 페가수스자리 타우 τ Peg | 웁실론성 페가수스자리 웁실론 υ Peg | |
피성 페가수스자리 피 φ Peg | 카이성 페가수스자리 카이 χ Peg | 프시성 페가수스자리 프시 ψ Peg | 페가수스자리 오메가 ω Peg | |
플램스티드 명칭 순 | ||||
페가수스자리 1 | 페가수스자리 2 | 페가수스자리 3 | 페가수스자리 4 | |
페가수스자리 5 | 페가수스자리 51 | 페가수스자리 85 | 페가수스자리 86 | |
그 외 페가수스자리에 속한 항성 | ||||
페가수스자리 IK | - | - | - |
}}}
- [ 심원천체 ]
틀: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
51 peg 페가수스자리 51 51 pegasi | ||
<nopad> | ||
관측 정보 | ||
위치 | 적경 | 22h 57m 27.9805s |
적위 | +20° 46′ 07.797″ | |
별자리 | 페가수스자리 | |
물리적 성질 | ||
형태 | G형 주계열성 | |
분광형 | G2V+ | |
거리 | 50.64 ± 0.04 광년 15.53 ± 0.01 파섹 | |
반지름 | 1.152±0.009 R⊙ | |
질량 | 1.09±0.02 M⊙ | |
평균 온도 | 5,768±8 K | |
나이 | 48억 년 | |
운동 | 시선속도 | -33.33 km/s |
자전 속도 | 5.6 km/s |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 등급 | 5.49 | |
절대 등급 | 4.48 | |
광도 | 1.398±0.016 L⊙ | |
명칭 | ||
Helvetios, 51 Peg, GJ 882, HR 8729, BD+19°5036, HD 217014, LTT 16750, GCTP 5568.00, SAO 90896, HIP 113357 |
1. 개요
페가수스자리 51 / 51 peg태양과 같은 G형 주계열성이다. 1712년 영국 왕실 천문대장이었던 존 플램스티드가 이 별을 처음으로 기록하였다. 겉보기 등급은 5.49로 광해(光害)가 없는 맑은 밤하늘에서나 간신히 보이는 수준이며, 나이는 태양보다 많은 75억년으로 추정하는데 이는 이미 황혼기에 접어든 셈이다. 자전 주기는 37일로 태양보다 12일 정도 느리다.
2. 페가수스자리 51 b
[1] | |
구분 | 외계 행성 |
지름 | 목성의 약 1.5배 |
질량 | 목성의 약 47% |
추정 대기온도 | 섭씨 1000도 이상 |
이심률 | 0(조석 고정 상태) |
공전주기 | 4.2일 |
모항성과의 거리 | 0.052AU(약 780만km) |
훗날 발견자로 인정된 미셸 마이어와 디디에 켈로즈는 2019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2.1. 특징
이 행성의 특징은 크기도 크기지만 무엇보다 모항성과의 거리와 공전주기이다. 모항성과 너무 가깝기 때문에 이 행성은 모항성의 기조력으로 인해 조석 고정된 상태이며, 표면온도가 섭씨 1000도를 넘는다. 게다가 이 행성의 공전주기는 고작 4일이다. 질량에 비해 행성의 크기가 심히 큰데 아마 작열하는 온도로 물질들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진 반면 높은 곳까지 퍼져 있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모항성에 엄청나게 가깝지만 질량이 커서 항성풍에 대기가 벗겨질 일은 없다고 한다.외계행성 관련 다큐멘터리에서도 나왔는데 시뮬레이션을 해보니 우주선이 51peg b에다가 탐사선을 투하하자마자 작열하는 열기와 기화한 칼륨의 독성으로 박살났다.
2.2. 발견 이후
이 행성이 발견되자 많은 천문학자들이 충격을 받았다.- 기존의 행성 탄생 이론으로는 이 행성이 왜 나타났나를 못 설명한다.
- 이후 발견한 행성들 대부분이 작열하는 거대 행성(뜨거운 목성, Hot Jupiter)이었다.
이 행성은 주계열성에서 최초로 발견한 행성인데다[3], 발견 뒤 외계행성 연구가 크게 발전했다. 자세한 건 외계 행성 문서 참고.
[1] 오른쪽 위에 있는 파란 물체가 페가수스자리 51 b이다.[2] a는 없다. 모항성을 대문자 A로 하며 행성은 소문자 b, c 순으로 쓴다. 참고로 항성이 쌍성계 이상이라도 행성은 소문자 b부터 시작한다.[3] 항성 전체에서 최초는 PSR B1257+12